KR100790320B1 - 무선통신장치의 송,수화기 단자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의 송,수화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320B1
KR100790320B1 KR1020060068005A KR20060068005A KR100790320B1 KR 100790320 B1 KR100790320 B1 KR 100790320B1 KR 1020060068005 A KR1020060068005 A KR 1020060068005A KR 20060068005 A KR20060068005 A KR 20060068005A KR 100790320 B1 KR100790320 B1 KR 100790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receiver
terminal
exposed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06006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송, 수화기단자를 포함한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송, 수화기단자의 위치를 액정화면과 입력버튼이 위치한 면과 구분된 부분면에 위치하고, 일반적인 대기상태나 통화를 제외한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한정된 상황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inside)에 위치시키는 구조; 송, 수화기단자의 위치를 액정화면과 입력버튼이 위치한 면과 구분된 부분면에 위치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inside)에 위치하였던 송, 수화기 단자부분을 통화기능을 사용하는 상황에는 송, 수화기 단자면과 사용자의 안면이 접하게 되는 무선통신장치의 부분면이 외부에 노출시키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송, 수화기 단자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를 특징으로 합니다.
휴대폰 내부(inside)면, 바-형(bar-type), 슬라이드-형(slide-type), 액정(LCD)화면, 입력버튼, 기능버튼, 숫자버튼, 송화입력단자, 수화출력단자, 송,수화기단자, 외부, 노출, 오염, 사용자, 얼굴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의 송,수화기 단자{ Handset-Terminal of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바-형(bar-type)휴대폰 120 : 슬라이드-형(slide-type)휴대폰
210, 230 : 바-형(bar-type)휴대폰의 전면도
220, 240 : 바-형(bar-type)휴대폰의 상측 평면도
310, 330 : 슬라이드-형(slide-type)휴대폰의 전면도
320, 340 : 슬라이드-형(slide-type)휴대폰의 상측 평면도
250 : 바-형(bar-type)휴대폰의 송, 수화기 단자면
350 : 슬라이드-형(slide-type)휴대폰의 송, 수화기 단자면
삭제
보편적으로 현재 많이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이 바형,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의 현재 대부분이 사용하는 휴대폰의 외형은 다양하지만, 거의 모든 형태의 단발기는 그 단말기의 액정화면 위쪽 부분과 입력버튼 아래쪽 부분에 송, 수화기 단자가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대부분의 단말기는 통화시 액정화면과 입력버튼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되는 외형을 벗어나지 못했다. 얼굴에 접촉되는 면은 열이 발생하고 노출이 많은 부분인 액정화면과 잦은 입력을 하는 입력버튼이 위치하는 면으로 상당한 오염이 예상되는 부분이다.
그럼에도 송, 수화기 단자가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는 휴대폰의 가장 오염이 심한 부분과 얼굴이 접촉된 채 통화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피부에 충분히 휴대폰의 이물질로 인한 손상이 가능하고, 반대로 땀이나 여성의 화장품등 인체로부터 발생, 전달되는 이물질이 휴대폰으로 묻어나 반복되는 오염을 발생시키고, 액정화면의 시야를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은 '키스타입의 휴대폰 20-2005-0006043'을 실용신안으로 2005년 3월 4일에 출원하여 최종 등록유지 결정되었다.
상기 실용신안인 '키스타입의 휴대폰' 의 청구항 1에서
액정화면의 상단부분과 숫자버튼을 포함한 기능버튼의 하단부분에 위치하던 송, 수화기단자의 위치를 일반적인 대기상태나 통화를 제외한 다른 기능들을 사용하는 과정중에는 노출되지 않는, 휴대폰이 접히는 면 부분에 송, 수화기 단자를 위치시킨 구조;
휴대폰이 접히는 부분에 위치하였던 송, 수화기 단자부분을 통화시에만 노출시키는 형태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키스타입의 휴대폰을 고안하였다.
해당 고안은 휴대폰의 외형 중 접히는 면이 발생하는 휴대폰의 경우 이를 적용한 단말기의 제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바-형(bar-type)이나 슬라이드-형(slide-type)과 같은 휴대폰의 구조에서는 휴대폰이 접히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해당 고안을 적용한 휴대폰 단말기의 제조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본체의 형태변화가 없거나 또는 형태변화의 과정을 통해 휴대폰의 본체가 접히는 면이 존재하지 않는 바-형(bar-type)이나 슬라이드-형(slide-type)과 같은 휴대폰에서, 노출되지 않는 내부(inside)면에 송, 수화기 단자를 위치시킨 형태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발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의 송, 수화기 단자와 기존의 액정화면과 입력버튼이 동일한 면에 있는 외형을, 새로운 형태로 발명하여 사용자의 얼굴 즉 피부와의 유해함을 최소화시키는 특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락한다.
본 발명은 보편적으로 현재 많이 사용하는 휴대폰의 외형 대부분이 단말기의 액정화면 위쪽 부분과 입력버튼 아래쪽 부분에 위치한 송, 수화기 단자 부분에 대한 것으로 송, 수화기 단자와 액정화면 및 입력버튼이 구별되어 배치되는 새로운 무선 단말기의 형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송, 수화기단자의 위치를 액정화면과 입력버튼이 위치한 면과 구분된 부분면에 위치하고, 통화기능을 사용하는 상황에는 송, 수화기 단자면과 사용자의 안면이 접하게 되는 무선통신장치의 부분면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를 제외한 상황인 일반적인 대기상태나 통화를 제외한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한정된 상황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inside)에 송, 수화기 단자를 위치시킨 휴대폰의 도면이다.
각각 도 1 a (110)는 바-형(bar-type)휴대폰과 도 1 b (120)는 슬라이드-형(Slide-type)휴대폰의 도면이다. 현재까지는 액정화면(111,121)과 기능버튼(112, 122) 및 숫자버튼(113, 123)과 동일한 면에, 즉 표시된 빗금으로 표시된 부분에 송, 수화기 단자(115, 116, 125, 126)가 위치하였다.
도 2 는 도 1 a (110)의 바-형(bar-type)휴대폰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송, 수화기 단자를 위치시킨 휴대폰의 정면도(210, 230), 상측 평면도(220, 240) 및 일반적인 대기상태나 통화를 제외한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한정된 상황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inside)에 위치한 송, 수화기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해당 면을 표시(250)하였다.
도 2 의 210은 바-형(bar-type)휴대폰의 일반적인 대기상태의 도면으로, 휴대폰의 액정화면(211)과 기능버튼(212)과 숫자버튼(213)을 포함한 입력버튼이 위치한 면을 휴대폰의 전면부(241)이라 하였을 때, 송, 수화기 단자(251, 252)는 액정화면(211)과 입력버튼(212, 213)이 위치한 전면부(241)에서 구분되고, 통화기능을 사용하는 상황에는 송, 수화기 단자면과 사용자의 안면이 접하게 되는 무선통신장치의 부분면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를 제외한 상황인 일반적인 대기상태나 통화를 제외한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한정된 상황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inside)에 위치한다(222).
사용자가 통화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222)에 위치하였던 송, 수화기 단자(251, 252)가 포함된 면(222)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245)시킨다.
통화가 종료되면 송, 수화기 단자(251, 252)를 포함한 면(222)은 대기상태의 위치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222)으로 이동(225)한다.
도 3 은 도 1 b (120)의 슬라이드-형(slide-type)휴대폰에 본 고안을 적용하여 송, 수화기 단자를 위치시킨 휴대폰의 정면도(310, 330), 상측 평면도(320, 340) 및 일반적인 대기상태나 통화를 제외한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한정된 상황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inside)에 위치한 송, 수화기 단자(351, 352) 및 이를 포함하는 해당 면을 표시(322)하였다.
도 3 의 310은 슬라이드-형(slide-type)휴대폰의 일반적인 대기상태의 도면으로, 휴대폰의 액정화면(311)과 기능버튼(312)과 숫자버튼(313)을 포함한 입력버튼이 위치한 면을 휴대폰의 전면부(341)이라 하였을 때, 송, 수화기 단자(351, 352)는 액정화면(311)과 입력버튼(312, 313)이 위치한 전면부(341)에서 구분되고, 통화기능을 사용하는 상황에는 송, 수화기 단자면과 사용자의 안면이 접하게 되는 무선통신장치의 부분면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를 제외한 상황인 일반적인 대기상태나 통화를 제외한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한정된 상황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inside)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통화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322)에 위치하였던 송, 수화기 단자(351, 352)가 포함된 면(322)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345)시킨다.
통화가 종료되면 송, 수화기 단자(351, 352)를 포함한 면(322)은 대기상태의 위치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inside)으로 이동(325)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와 도 3 에서 전면부(241, 341)로 구분한 면에 액정화면(211, 311)과 기능버튼(212, 312) 및 입력버튼(213, 313)을 위치시키고, 송, 수화기단자의 위치를 액정화면과 입력버튼이 위치한 면과 구분된 부분면에 위치하되, 송, 수화기 단자(251, 252, 351, 352)는 통화기능을 사용하는 상황에는 송, 수화기 단자면과 사용자의 안면이 접하게 되는 무선통신장치의 부분면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를 제외한 상황인 일반적인 대기상태나 통화를 제외한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한정된 상황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222, 322)에 위치시킨다.
즉, 통화를 제외한 일반적인 대기상태 및 타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에 위치시킨다. 이후 통화를 목적으로 하거나 그에 준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송, 수화기 단자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245, 345)시킨다.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으로 존재하던 부분(222, 32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통화가 종료되거나 그에 준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었던 송, 수화기 단자를, 기존에 위치하던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으로 이동(225, 325)시킨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통화의 시작 및 통화의 종료시 송, 수화기 단자가 위치한 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폰 본체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부분적인 회전이나, 탈부착 과정에 있어서 각 부분의 고정, 해제하는 부분은 해당 부분의 통상적인 지식이 있는 자라면 누구든지 변환이 가능함은 물론, 이 부분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락한다. 또한 연결의 축이 되는 부분에서의 설명도 같은 이유로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아래와 같다.
1. 사용자의 얼굴과 휴대폰의 송, 수화기 단자가 위치한 면이 평소 대기시에는 노출되지 않는 구조 및 통화시 송, 수화기 단자가 노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2. 액정화면 및 입력버튼의 해당 면에 송, 수화기 단자를 위치시키지 않음으로 인해 액정화면의 극대화 또는 동일 액정화면인 경우 휴대폰 전체크기를 기존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3.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컨버젼스 현상 ( 1.점차 한점으로 집합함. 2. 집중성. 집합점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즉, 디지털 컨버젼스란 다양한 기능이 한 기기 속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손목시계, 휴대폰, 셋톱박스, PDA, 노트북, 프린터, 스케너등 각기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정보기기등이 융합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고려하면, 현 디지털 기기에 가령, mp3 player와 같은 제품에 통신장치기능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상품의 기존 디자인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통신장치기능의 추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삭제
  2. 송, 수화기단자를 포함한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송, 수화기단자의 위치를 액정화면과 입력버튼이 위치한 면과 구분된 부분면에 위치하고, 일반적인 대기상태나 통화를 제외한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한정된 상황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inside)에 위치시키는 구조;
    송, 수화기단자의 위치를 액정화면과 입력버튼이 위치한 면과 구분된 부분면에 위치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제한상황적으로 외부면과 구분되는 내부면(inside)에 위치하였던 송, 수화기 단자부분을 통화기능을 사용하는 상황에는 송, 수화기 단자면과 사용자의 안면이 접하게 되는 무선통신장치의 부분면이 외부에 노출시키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송, 수화기 단자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
KR1020060068005A 2006-07-18 2006-07-18 무선통신장치의 송,수화기 단자 KR100790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05A KR100790320B1 (ko) 2006-07-18 2006-07-18 무선통신장치의 송,수화기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05A KR100790320B1 (ko) 2006-07-18 2006-07-18 무선통신장치의 송,수화기 단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080U Division KR200429600Y1 (ko) 2006-08-14 2006-08-14 무선통신장치의 송,수화기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320B1 true KR100790320B1 (ko) 2008-01-02

Family

ID=3921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005A KR100790320B1 (ko) 2006-07-18 2006-07-18 무선통신장치의 송,수화기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885A (ko) * 2012-06-05 2013-12-13 김정훈 송수화기 단자가 포함된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006Y1 (ko) 2005-03-04 2005-08-01 김정훈 키스타입의 휴대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006Y1 (ko) 2005-03-04 2005-08-01 김정훈 키스타입의 휴대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885A (ko) * 2012-06-05 2013-12-13 김정훈 송수화기 단자가 포함된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89264U (zh) 平板可移动式电子装置的携行装置
US954478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according to environmental data
KR200453437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CN201839330U (zh) 一种双屏手机
CN202652304U (zh) 一种手机充电保护套
CN104571313A (zh) 可移动式移动装置的保护装置
TW200704110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3647858B (zh) 一种可穿戴式设备
TW201427370A (zh) 手機保護殼及具有該保護殼
CN102938799A (zh) 一种具有双端通话功能的手机及其的通话处理方法
CN203071933U (zh) 手套蓝牙通话装置
JP2000184023A (ja) 携帯用通信端末機及びその情報表示構造
CN202710941U (zh) 手表
CN104720216A (zh) 一种具有蓝牙耳机功能的智能指环
KR100790320B1 (ko) 무선통신장치의 송,수화기 단자
CN108391194A (zh) 全屏触控蓝牙耳机
CN205721104U (zh) 一种以可拆卸显示屏作为蓝牙耳机的智能手表
CN203377919U (zh) 腕戴式触控智能电话
CN105491184B (zh) 具有键盘的手机套
CN201230333Y (zh) 手腕佩戴式移动电话机
CN209659369U (zh) 卡托机构组合件及移动终端
KR20040048469A (ko) 폴더형 통신 장치
CN202587106U (zh) 按键式手表手机
KR100689611B1 (ko) 키스타입의 휴대폰
CN203368539U (zh) 可用作手机的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