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094B1 -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094B1
KR100790094B1 KR1020050012508A KR20050012508A KR100790094B1 KR 100790094 B1 KR100790094 B1 KR 100790094B1 KR 1020050012508 A KR1020050012508 A KR 1020050012508A KR 20050012508 A KR20050012508 A KR 20050012508A KR 100790094 B1 KR100790094 B1 KR 100790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preferred frequency
ld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593A (ko
Inventor
정경인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DE602006000065T priority Critical patent/DE602006000065T2/de
Priority to US11/346,562 priority patent/US8050221B2/en
Priority to EP06002295A priority patent/EP1691508B1/en
Publication of KR2006008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따라 세션 스탑 메시지에 계층분산 지시자(LDI)의 설정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BMS, FLC, LDI, Duration time between sessions, Session stop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E USER EQUIPMENTS TO NON PREFERRED FREQUENCIES I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YSTEM}
도 1은 종래의 같은 서비스 지역에 중첩하고 있는 셀 레이어 구조와 MBMS FLC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MBMS LDI의 사용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MBMS LDI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BMS LDI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RNC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멀티미이어 방송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이하 "MBMS"라 칭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션 시작을 알리는 시간 정보를 이용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종래의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킷 서비스 통신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방송/통신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하나 혹은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소스에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함)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MBMS 서비스가 논의되고 있다.
상기 MBMS 서비스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를 통칭한다. 이때 다수의 수신자가 하나의 무선 채널을 공유하도록 해서 무선 전송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MBMS 서비스는 실시간 영상 및 음성, 정지 영상, 문자 등 멀티미디어 전송 형태를 지원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형태에 따라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대량의 전송 자원을 요구한다. MBMS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용자들이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셀들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각 셀별로 위치하는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일대일(Point to Point: 이하 'PtP'라 한다) 또는 일대다(Point to Multiple: 이하 'PtM'라 한다) 접속이 이루어진다.
최근의 MBMS 시스템에서는 제공 가능한 MBMS 서비스들 각각에 대해 보다 바람직한 주파수를 할당하고, 상기 MBMS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UE들이 가능한 한 선호 주파수(Preferred Frequency Layer:PL)에서 원하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계층 수렴(Frequency Layer Convergence, 이하 "FLC"라 칭함)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FLC 정보는 MBMS 서비스들에 대해 대응하는 선호 주파수들을 지시한다. 즉 MBMS의 FLC는 같은 지역에 중첩되어 있는 모든 주파수에서 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가능한 서비스 별로 하나의 주파수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기를 서비스 별로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도 1은 종래의 같은 서비스 지역에 중첩하고 있는 셀 레이어 구조와 MBMS FLC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같은 서비스 지역에 다른 주파수, 즉 주파수 1, 주파수 2, 주파수 3, 주파수 4로 중첩되어 있는 셀 구조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01은 주파수 1, 111은 주파수 2, 121은 주파수 3, 131은 주파수 4를 나타내며, 141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셀을 제어하는 컨트롤링 무선망 제어기(Controlling 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CRNC"라 칭함)를 나타낸다. FLC는 도 1과 같이 같은 지역에 중첩되어 있는 주파수 1, 주파수 2, 주파수 3, 주파수 4의 모든 셀에서 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가능한 서비스 별로 하나의 주파수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기들을 서비스 별로 각각 해당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도 1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과정 1에서 CRNC(141)는 Iu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패킷 무선 서비스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이하 "SGSN"라 칭함)(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특정 MBMS의 세션이 시작될 것을 알리는 세션 스타트 메시지를 수신받는다. 과정 2에서 상기 세션 스타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CRNC(141)는 상기 MBMS 서비스를 위한 선호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다.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서비스의 세션을 위한 선호 주파수로 주파수 2(111)가 선택되었음을 가정한다. 과정 3에서는 상기 과정 2에서 선택된 상기 MBMS 서비스를 위한 선호 주파수 2(111)의 정보를 모든 주파수, 즉 주파수 1(101), 주파수 2(111), 주파수 3(121), 주파수 4(131)의 셀로 전송한다.
과정 4에서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전송 받은 상기 MBMS 서비스의 세션을 수신하려는 단말기들 중에서 비선호 주파수들(101, 121, 131)에 있는 단말기들은 선호 주파수(111)로 이동하며, 상기 선호 주파수(111)에 있는 단말기들은 상기 선호 주파수(111)에 계속 머무르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과정 4를 FLC라 한다. 상기 FLC에 의해 상기 서비스의 세션을 수신하려는 단말기들은 상기 세션동안 선호 주파수(111)에 집중된다.
따라서 상기 도 1과 같은 경우에, 상기 세션이 종료될 시, 상기 선호 주파수(111)에 집중된 단말기들을 모든 주파수 대역으로 분산시킬 필요가 발생하게 되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선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전용채널을 가지지 않은 단말기들을 세션이 끝났을 때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의 효율적인 분산을 위해 세션스탑 메시지에 상기 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호 주파수를 가지는 특정 MBMS의 세션이 끝났을 때, 상기 세션을 위해 상기 선호 주파수에 모여있던 단말기들을 불필요하게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분산시키지 않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전용채널을 가지지 않은 단말기들을 세션이 끝났을 때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의 효율적인 분산을 위해 세션스탑 메시지에 상기 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션 스탑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걸리는 시간 정보 파라미터를 정의하고 상기 파라미터에 따른 CRNC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따라 세션 스탑 메시지에 계층분산 지시자(LDI)의 설정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세션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 정보를 제 1 메시지에 포함하여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센터(BM-SC)와, 복수의 셀들을 제어하며,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세션 스탑 메시지에 계층분산 지시자(LDI)의 설정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무선망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MBMS LDI 사용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계층 분산 지시자(Layer Dispersion Indicator, 이하 "LDI"라 칭함)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FLC에 의해 MBMS 서비스의 선호 주파수에 집중된 단말기들을 세션이 끝났을 때 모든 주파수 대역으로 다시 분산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도 2에서 참조번호 201, 211, 221, 231은 같은 서비스 지역에 중첩되어 있는 주파수 1, 주파수 2, 주파수 3, 주파수 4를 나타내며, 241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셀을 제어하는 CRNC를 나타낸다. 과정 1에서 CRNC(241)는 Iu 인터페이스를 통해 SGSN(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특정 MBMS 세션이 끝났음을 알리는 세션 스탑(Session Stop) 메시지를 수신 받는다.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특정 MBMS 세션의 선호 주파수로 주파수 2(211)가 사용되었음을 가정한다.
과정 2에서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CRNC(141)는 LDI를 시그널링한다. 상기 LDI는 MBMS제어 채널(MBMS Control Channel, 이하 "MCCH"라 칭함)을 통해 전송된다. 과정 3에서는 상기 LDI를 수신 받은 선호 주파수(211)에 모여있던 단말기들은 세션이 끝났으므로 더 이상 상기 MBMS 서비스의 세션을 위해 선호 주파수(211)에 모여 있을 필요가 없음을 인지하고, 다른 주파수들(201, 221, 231)로 분산하여 이동한다. 이때 분산하는 방법은 이미 정의되어 있는 가장 라디오 세기가 좋은 선택 가능한 셀로 이동하거나 또는 별도의 분산 매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1과 도 2의 FLC와 LDI를 적용하였을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의 참조번호 301, 311, 321, 331은 같은 서비스 지역에 중첩되어 있는 주파수 1, 주파수 2, 주파수 3, 주파수 4를 나타내며, 341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셀을 제어하는 CRNC를 나타낸다. 상기 도 3에서는 선호 주파수를 가지는 특정 MBMS 세션의 세션 스탑으로부터 상기 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연속적인 절차(Procedure)를 나타낸다. 단, 다음 세션 스타트가 이전 세션 스탑으로부터 짧은 시간 내에 발생한다.
과정 1에서 상기 CRNC(341)가 상기 주파수2(311)를 선호주파수로 가지는 특정 MBMS 서비스의 세션이 끝났음을 알리는 세션 스탑을 SGSN(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수신 받는다. 과정2에서 상기 CRNC(341)는 LDI를 시그널링하고, 과정 3에서 상기 서비스의 세션을 위해 선호 주파수(311)에 모여있던 단말기들이 상기 LDI를 수신 받고 다른 주파수들(301, 321, 331)로 분산한다.
상기 CRNC(341)는 과정 4에서 상기 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를 짧은 시간내에 수신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과정 5에서 상기 CRNC(341)는 상기 서비스의 다음 세션을 위한 선호 주파수(311)를 선택하고, 상기 과정 2, 3에 의해 다른 주파수 (301, 321, 331)로 분산시켜 놓았던 상기 단말기들을 다시 과정 6과 과정 7에 의해 상기 선호 주파수(311)로 모아야 한다. 즉, 상기 과정 1의 이전 세션 스탑과 상기 과정 4의 다음 세션 스타트와의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면, 상기 과정 2, 3에 의해 상기 단말기들을 다른 주파수로 분산시키는 것은 쓸모없는 절차이며, 상기 쓸모없는 절차에 의해 단말기의 측정(Measurement), 셀 재선택, 업링크/다운링크 시그널링 등이 유발된다. 왜냐하면 다음 세션이 곧 시작되면, 상기 단말기들을 분산시켜 놓는다 하더라도 다시 선호 주파수로 재집중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도 3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선호 주파수를 가지는 특정 MBMS 서비스의 세션 스탑에서 상기 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 과정까지의 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LDI를 시그널링 하는 경우에 곧 다음 세션이 시작한다면 선호 주파수 대역에 모여있던 단말기들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분산시키고, 다음 세션의 스타트에 의해 다시 분산시켰던 단말기들을 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집중시키는 절차에 의해 쓸모없는 단말기의 측정, 셀 재선택, 업링크/다운링크 시그널링 등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선호 주파수를 가지는 특정 MBMS의 세션이 끝나고 곧이어 다음 세션이 시작할 경우에, 상기 세션을 위해 같은 선호 주파수에 모여 있던 단말기들을 불필요하게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분산시키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BMS LDI 시그널링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참조번호 401은 선호 주파수를 가지는 특정 MBMS 세션을 상기 선호 주파수의 셀에서 수신하던 단말기들을 나타내며, 402는 상기 단말기들(401)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선호 주파수의 셀을 제어하는 CRNC를 나타낸다. 403은 상기 CRNC(402)과 연결되어 있는 SGSN, 404는 상기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방송-서비스 센터(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 이하 'BM-SC'라 칭함)(404)를 나타낸다. 과정 411에서 상기 선호 주파수를 가지는 MBMS 서비스의 세션이 끝났으므로, 과정 421에서 상기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BM-SC(404)가 상기 SGSN(403)으로 세션 스탑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에는 서비스 아이디과 세션 아이디가 포함된다. 상기 서비스 아이디는 상기 MBMS서비스를 나타내며, 상기 세션 아이디는 상기 MBMS서비스의 상기 세션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상기 BM-SC(404)로부터 세션 스탑 메시지를 하위 코어네트워크(CN:Core Network)로 전송할 때, 상기 BM-SC(404)는 상기 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 정보를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를 통해 알려준다. 즉, 상기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는 상기 과정 421에서 상기 SGSN(403)에 전송되고, 상기 SGSN(403)은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를 상기 CRNC(402)로 전송한다.
과정431에서는 세션 스탑 메시지를 수신받은 상기 CRNC(402)가 상기 세션스탑 메시지로부터 얻은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LDI 전송을 할 것인지, 안 할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상기 수신받은 시간 정보를 토대로 판단하여 다음 세션 스타트가 짧은 시간내에 시작한다면, 과정 441.b에서 상기 CRNC(402)는 상기 단말기들(401)을 다른 주파수로 분산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LDI를 시그널링하지 않는다. 즉, 이때에는 LDI를 포함하지 않는 세션 스탑 메시지만 전송된다. 상기 단말기들(401)은 상기 과정 441.b의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른 주파수로 흩어지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기존 REL-99에 정의된 셀 이동 절차를 그대로 따른다.
만약 상기 과정 431에서 다음 세션 스타트가 충분히 긴 시간 후에 시작한다면, 과정 441.a에서 상기 CRNC(402)는 상기 단말기들(401)을 다른 주파수로 흩어리기 위해 LDI를 세션 스탑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들(401)은 상기 LDI가 포함된 세션 스탑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른 주파수로 흩어지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다른 주파수로 흩어지는 동작은 별도로 정의되는 메커니즘을 따르거나 또는 가장 라디오 세기가 좋은 선택 가능한 셀을 재선택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CRNC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과정 501에서 Iu 인터페이스를 통해 SGSN으로부터 세션 스탑 메시지를 수신한다. 과정 502에서는 상기 CRNC가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는 MBMS 서비스의 세션에 관련된 것이고,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참조하여,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충분히 긴지를 체크 한다. 예를 들어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보다 더 긴시간이라면, 즉, 상기 과정 502에서 상기 세션이 선호 주파수를 가지는 MBMS 서비스의 세션이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충분히 길다면, 과정 511로 진행하여 세션 스탑 메시지에 LDI를 포함하여, MCCH을 통해 선호주파수내의 단말들에게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과정 502에서, 상기 세션이 선호 주파수를 가지는 MBMS 서비스의 세션이 아니거나,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짧다면, 과정 512로 진행하여 세션 스탑 메시지를 MCCH를 통해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며, 이때 LDI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LDI 시그널링 방법은 여러가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도 5에서는 단말기들을 다른 주파수로 분산시키고자 할 때 LDI를 참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며, 만약 상기 단말기들을 다른 주파수로 흩어리지 않고 기존의 REL-99에 정의된 단말기 측정과 셀 재선택 방법을 그대로 따르고자 할 때에는 LDI를 전송하지 않는 방법을 적용할 때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단말기들을 다른 주파수로 분산시키고자 할 때는 LDI를 참으로 설정하여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들을 다른 주파수로 흩어리지 않고자 할 때는 LDI를 거짓으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하기의 (표 1)은 상기 도 4의 과정 421, 422 및 상기 도 5의 과정 501의 세션 스탑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걸리는 시간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5007952608-pat00001
상기 (표1)에서는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 걸리는 시간을 초(Second)와일(Day)로 나타내었다. 단, 상기 (표1)의 시간 정보는 하나의 실시예 일뿐, 전송되는 정보의 범위 등은 변형될 수 있다.
하기의 (표2)는 상기 도 4의 과정 421, 422 및 상기 도 5의 과정 501의 세션 스탑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걸리는 시간 정보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6051323329-pat00002

상기 (표 2)에서는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걸리는 시간 정보가 세션 스탑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으면, 이는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소정 값, 예를 들어 1024초를 초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표2)와 같이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걸리는 시간을 초단위로 시그널링한다. 단, 상기 (표2)의 시간 정보는 하나의 실시예 일뿐, 전송되는 정보의 범위 등은 변형될 수 있다.
하기 (표3)는 상기 도 4의 과정 421, 422 및 상기 도 5의 과정 501의 세션 스탑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걸리는 시간 정보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51323329-pat00003

상기 (표 3)에서는 두 정수간의 간격을 1초로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2초로 인지함으로써 상기 (표 2)와 같은 양의 시그널링을 가지고 두배의 타임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0'은 2초, '1'은 4초, '2'는 6초 등을 나타내며, '1024'는 2048초를 나타낸다. 상기 (표 3)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사용하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면서 보다 긴 시간 간격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두 정수간의 간격을 나타내는 2초는 하나의 일예 일뿐 다른 값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시간단위 또한 초가 아닌 분이나 시간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시간 정보를 CRNC에서 수신하여 선호 주파수에 머무른 단말들에 대해 다른 주파수들로의 분산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단말기가 불필요한 측정, 셀 재선택, 업링크/다운링크 시그널링 등을 수행하지 않게 하여 전력낭비 감소와 이동통신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따라 세션 스탑 메시지에 계층분산 지시자(LDI)의 설정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아이디와 상기 세션을 나타내는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서비스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에 상기 계층분산 지시자(LDI)를 참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지 않거나,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에 상기 LDI를 거짓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는,
    초(Second)와 일(Day)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는,
    미리 정해지는 시간범위 이내에서 미리 정해지는 시간단위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스탑 메시지에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지는 시간범위를 초과하는 것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지는 시간단위는,
    초, 분 및 시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9.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세션이 종료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서비스의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 정보를 제 1 메시지에 포함하여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센터(BM-SC)와,
    복수의 셀들을 제어하며,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세션 스탑 메시지에 계층분산 지시자(LDI)의 설정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무선망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아이디와 상기 세션을 나타내는 세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서비스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에 상기 계층분산 지시자(LDI)를 참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지 않거나,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세션 스탑 메시지에 상기 LDI를 거짓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는,
    초(Second)와 일(Day)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는,
    미리 정해지는 시간범위 이내에서 미리 정해지는 시간단위로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스탑 메시지에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지는 시간범위를 초과하는 것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지는 시간단위는,
    초, 분 및 시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에 따라 세션 스탑 메시지에 계층분산 지시자(LDI)의 설정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서비스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세션 스탑 메시지에 계층분산 지시자(LDI)를 설정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지 않거나,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LDI를 설정하지 않은 세션 스탑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1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제어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서비스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면, 세션 스탑 메시지에 계층분산 지시자(LDI)를 설정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들에게 전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선호 주파수를 가지지 않거나, 상기 다음 세션 스타트 때까지의 걸리는 시간이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LDI를 설정하지 않은 세션 스탑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장치.
KR1020050012508A 2005-02-04 2005-02-15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790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602006000065T DE602006000065T2 (de) 2005-02-04 2006-02-0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teilung von Benutzergeräten zu nicht-bevorzugten Frequenzen in einem multimedialen Rundruf/Vielfachruf Dienstleistungssystem.
US11/346,562 US8050221B2 (en) 2005-02-04 2006-02-03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ng user equipments to non-preferred frequencies in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EP06002295A EP1691508B1 (en) 2005-02-04 2006-02-03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ng user equipments to non-preferred frequencies in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0869 2005-02-04
KR1020050010869 2005-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593A KR20060089593A (ko) 2006-08-09
KR100790094B1 true KR100790094B1 (ko) 2007-12-31

Family

ID=3717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508A KR100790094B1 (ko) 2005-02-04 2005-02-15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695B1 (ko) * 2009-05-21 2012-03-28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지원방법 및 장치
KR101330363B1 (ko) * 2010-09-17 2013-1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물 배송 서비스 측정을 위한 지향성 rfid 라벨 태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821A (ko) * 2001-11-06 2003-05-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수직 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
US20030114177A1 (en) * 2001-08-20 2003-06-19 Ragulan Sinnarajah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KR20050107968A (ko) * 2004-05-10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셀 재선택 방법
KR20060010682A (ko) * 2004-07-27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라디오 자원 상태에 따른 커넥티드 모드 단말기의 차별적flc 적용 방법
KR20060024756A (ko) * 2004-09-14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세션의 종료시 셀 재선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4177A1 (en) * 2001-08-20 2003-06-19 Ragulan Sinnarajah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37821A (ko) * 2001-11-06 2003-05-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수직 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50107968A (ko) * 2004-05-10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셀 재선택 방법
KR20060010682A (ko) * 2004-07-27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라디오 자원 상태에 따른 커넥티드 모드 단말기의 차별적flc 적용 방법
KR20060024756A (ko) * 2004-09-14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세션의 종료시 셀 재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593A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876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세션의 시작시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장치
EP16223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frequency layer for connected mode UE in a MBMS mobile communication sytem
KR100965659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 세션의 종료시 셀 선택 지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8472364B2 (en) 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of
KR100689516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호주파수정보의 전달 방법 및 장치
KR101419953B1 (ko)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용 분배 아키텍처 및 방법
US20050118992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availability information about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US2012018292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613595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mbms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KR2005008151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bms 서비스를 위한 제어정보송수신방법
AU20062132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MBMS
EP16915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ng user equipments to non-preferred frequencies in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KR20060010682A (ko) 라디오 자원 상태에 따른 커넥티드 모드 단말기의 차별적flc 적용 방법
JP2006526313A (ja) 周波数間測定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6526312A (ja) スケーラブルデータサービスのインポータンスレイヤ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790130B1 (ko)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의 세션 무관심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7610020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0790094B1 (ko)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선호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기들을 분산시키는 방법 및 장치
CN107580301B (zh) 多媒体广播单频网mbsfn区域保留小区实现的方法
KR101073914B1 (ko)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플로우 해제 방법
KR20060109234A (ko)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프로그램 해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