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028B1 -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028B1
KR100790028B1 KR1020060089926A KR20060089926A KR100790028B1 KR 100790028 B1 KR100790028 B1 KR 100790028B1 KR 1020060089926 A KR1020060089926 A KR 1020060089926A KR 20060089926 A KR20060089926 A KR 20060089926A KR 100790028 B1 KR100790028 B1 KR 100790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data packet
repeater
network system
transmission phy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8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로 다른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로 통신하는 복수의 댁내기기와 상기 댁내기기를 제어하고 외부 통신망과 정보를 교환하는 홈게이트웨이 및 상기 댁내기기의 상기 전송물리매체를 통하여 상기 댁내기기와 정보를 교환하며, 하나의 전송물리매체로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정보를 교환하는 중계기를 포함한다.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를 달리하는 댁내기기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PLC 중계기를 적용함으로써,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의 전송물리매체에 따른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요구되는 댁내기기 간의 상호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home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C 중계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인터넷
20 : 홈게이트웨이
100 : PLC 중계기
200 : 댁내기기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home network syste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의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를 달리하는 댁내기기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가정 내에 설치되는 TV, 오디오, 비디오, 컴퓨터,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을 제어하고 기기간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이다. 홈네트워크가 갖춰지면 사용자는 원거리에서도 통신망을 통하여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여 가정 내 전자제품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전제품을 통해 가정 내ㅇ외부에서 인터넷 접속, 동영상 전송, e-메일 송ㅇ수신이 가능해져 진정한 사이버 홈 구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홈네트워크의 관련 기술에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 유무선 홈네트워크 기술, 홈게이트웨이 기술, 미들웨어 기술 등이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동축케이블을 이용하는 케이블모뎀(Cable Modem), 위성관련 기술,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FTTH(Fiber to the Home) 기술 등이 있다.
유선 홈네트워크 기술에는 전화선을 이용하는 Home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RS-485, 전력선 배선을 이용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이더넷(Ethernet) 등이 있으며, 무선 홈네트워크 기술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HomeRF(Home Radio Frequency) 등 있다.
홈게이트웨이 기술은 서비스 사업자 및 가정내의 사용자를 위하여 홈네트워크에 접속된 각종 댁내기기의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며, 미들웨어 기술은 다양한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제공해 주고 하부의 하드웨어나 네트워크 구성 요소와는 독립적인 응용 프로그램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홈네트워크 기술은 정보의 처리(process), 관리(manage), 저장(storage), 접속(access), 제어(control), 다중 컴퓨팅의 통합(integration), 정보가전 기기간의 통신(communication) 등이 가정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다.
홈네트워크 기술에서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에 관련된 기술은 가정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나, 댁내기기의 각각에 적합한 전송물리매체를 적용하여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면 전송물리매체를 달리하는 댁내기기가 하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공존하게 된다.
그러나, 전송물리매체를 달리하는 댁내기기는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의 형태를 달리하기 때문에, 홈게이트웨이와 댁내기기 사이 또는 댁내기기 간에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댁내기기에 적합한 데이터 패킷을 다시 생성하여야 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요구되어 댁내기기 간의 상호운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의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를 달리하는 댁내기기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로 다른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로 통신하는 복수의 댁내기기와 상기 댁내기기를 제어하고 외부 통신망과 정보를 교환하는 홈게이트웨이 및 상기 댁내기기의 상기 전송물리매체를 통하여 상기 댁내기기와 정보를 교환하며, 하나의 전송물리매체로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정보를 교환하는 중계기를 포함한다.
상기 댁내기기의 상기 전송물리매체는 지그비(ZigBee), 무선랜(wireless LAN),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홈피앤에이(HomePNA), RS-4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전력선 통신(PLC)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PLC 중계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기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1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댁내기기와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2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상기 댁내기기로부 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다른 전송물리매체로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는 지그비 처리모듈, 무선랜 처리모듈, 홈피앤에이 처리모듈, RS-485 처리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상기 홈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댁내기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인터페이스 모듈 전부로 전송하여 상기 댁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댁내기기는 해당하는 구조의 데이터 패킷만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홈게이트웨이와 댁내기기를 연계하는 중계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가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패킷의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에 해당하는 구조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전송물리매체를 나타내는 물리식별자(physical ID)를 해당 전송물리매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외부 통신망(10)과 정보를 교환하고 댁내기기(200)를 제어하는 홈게이트웨이(20) 및 홈게이트웨이(20)와 댁내기기(200)를 중계하는 중계기(100)를 포함한다.
외부 통신망(1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근거리 통신망(LAN), 메트로폴리탄 에어리어 네트워크(MAN), 인터넷, 모바일(mobile) 무선 통신망 등이 될 수 있으며,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로 원격지의 단말기들이 상호 접속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홈게이트웨이(20)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연결될 때 미디어 변환, 주소 변환, 인증 및 필터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로서, 원격지에서 가정에 소비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는 원격 검침 기능을 제공하는 텔리메트리 게이트웨이(Telemetry Gateways), 가입자 망과의 기본적인 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인터넷 공유,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나 방화벽과 같은 보안기능 그리고 프로토콜 변환기능 등을 포함하는 광대역 엑세스 게이트웨이(Broadband Access Gateway) 등이 있다.
댁내기기(200)는 홈게이트웨이(20)의 제어 및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냉장고와 같은 일반가전기기, 컴퓨터와 같은 정보화기기, 전동 블라인드와 같은 홈오토메이션기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댁내기기(200)는 홈게이트웨이(20) 또는 댁내기기(200) 간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홈게이트웨이(20)와 댁내기기(200) 상호 정보교환을 위한 방식을 전송물리매 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라 하며, 전송물리매체에는 IEEE 802.11 계열로서 2.4GHz 또는 5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랜(wireless LAN),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산업 표준인 지그비(ZigBee)의 무선 네트워크 및 전력선을 이용하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을 이용하는 홈피앤에이(HomePNA, Home Phone Networking Alliance), 멀티포인트 통신회선을 이용하는 RS-485의 유선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댁내기기(200)를 지그비를 사용하는 지그비 그룹(201), 무선랜을 사용하는 무선랜 그룹(202), 전력선 통신을 사용하는 PLC 그룹(203), 홈피앤에이를 사용하는 홈피앤에이 그룹(204), RS-485를 사용하는 RS-485그룹(205)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동일 그룹의 댁내기기(200)는 동일 전송물리매체로 홈게이트웨이(20)와 통신하며, 또한 동일 그룹의 댁내기기(200)는 상호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노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둘 이상의 다른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통신 모듈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댁내기기(200)는 둘 이상의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중계기(100)는 디지털 방식의 통신선로에서 전송신호를 재생하여 전달하는 전자통신장치로서, 단순히 신호를 전기적으로 재생하는 비트 중계기(Bit Repeater)와 메모리 버퍼를 가지고 속도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결합할 수 있는 축적형 중계기(Buffered Repeater)가 있다.
중계기(100)는 서로 다른 전송물리매체로 통신하는 댁내기기(200)와 정보를 교환하며, 하나의 전송물리매체로 홈게이트웨이(2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도 2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LC 중계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기(100)는 홈게이트웨이(20)와 전력선 통신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PLC 중계기(100)로서, 홈게이트웨이(20) 및 PLC 그룹(203)과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PLC 인터페이스 모듈(103)과 댁내기기(200)의 각 그룹(201, 202, 204, 205)과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지그비 인터페이스 모듈(101), 무선랜 인터페이스 모듈(102), 홈피앤에이 인터페이스 모듈(104), RS-485 인터페이스 모듈(105)을 구비한다.
그리고 PLC 중계기(100)는 홈게이트웨이(20)와 댁내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다른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로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는 처리부(120)를 구비한다.
처리부(120)는 지그비 처리모듈(121), 무선랜 처리모듈(122), 홈피앤에이 처리모듈(124), RS-485 처리모듈(125)을 포함하는데, 지그비 처리모듈(121)은 홈게이트웨이(20) 및 각 인터페이스 모듈(101, 102, 103, 104, 105)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지그비 인터페이스 모듈(101)에서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무선랜 처리모듈(122)은 무선랜 인터페이스 모듈(102)에서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홈피앤에이 처리모듈(124)은 홈피앤에이 인터페이스 모듈(104)에서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RS-485 처리모듈(125)은 RS-485 인터페이스 모듈(105)에서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데이터 패킷을 변환한다.
또한, PLC 중계기(100)의 전반적인 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110)가 마련되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확인하여 해당 전송물리매체로 데이터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 패킷을 처리부(120)에 전달하여 처리하고,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데이터 패킷의 구조와 처리부(120)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변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링크 레이어(data link layer)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로 구성된다.
데이터 링크 레이어는 데이터 패킷의 자체 정보를 담고 있는 것으로,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STX" 필드, 홈 코드 정보가 삽입되는 "Home Code" 필드, 전송물리매체의 ID 정보가 삽입되는 "PHY ID" 필드,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LEN" 필드, 제어 정보가 삽입되는 "CMD" 필드, 주소 정보가 삽입되는 "ADR" 필드, 에러 보정을 위한 "CRC"필드, 패킷의 끝을 알리는 "ETX" 필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실제 데이터 정보들이 삽입되는 "DATA" 필드로 구성되는데, 실제 데이터 정보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홈게이트웨이(20)의 댁내기기(200)에 대한 제어를 위한 통신에 있어서 "DATA" 필드에는 제어명령(control command)과 제어명령코드(control parameter)가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링크 레이어의 "PHY ID" 필드에 전송물리매체를 나타내는 값, 즉 물리식별자(physical ID)가 삽입됨으로써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고, 다른 물리식별자로 변경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의 구분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HY ID" 필드에 지그비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 "Ox01" 값을, 무선랜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 "Ox02" 값을, PLC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 "Ox03" 값을, 홈피앤에이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 "Ox04" 값을, RS-485의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 "Ox05" 값을 삽입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을 구분 및 변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홈게이트웨이(20)는 외부 통신망(10)으로부터 정보를 입수하거나 내부의 댁내기기(200)로부터 입수한 정보를 해당하는 댁내기기(2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적절한 형태의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한다. 이때, 홈게이트웨이(20)는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전송 대상이 되는 댁내기기(200)에 대한 정보와 해당 전송물리매체를 나타내는 물리식별자(PHY ID)를 기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데이터 패킷을 PLC 중계기(100)는 전력선 통신(PLC)으로 수신한다(S10).
PLC 중계기(100)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모든 인터페이스 모듈로 전달하여 전송할지, 데이터 패킷의 내용을 확인하여 해당 인터페이스 모듈만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할지 결정한다(S20). 이는 사전에 하나의 전송방법으로 지정해 둘 수 있다.
PLC 중계기(100)로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지그비 인터페이스 모듈(101), 무선랜 인터페이스 모듈(102), PLC 인터페이스 모듈(103), 홈피앤에이 인터페이스 모듈(104), RS-485 인터페이스 모듈(105) 모두로 전달되어 댁내기기(200)로 전송된 다(S50). 댁내기기(200)는 이렇게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의 물리식별자 및 어드레스 정보 등을 확인하여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만을 수신한다.
한편, PLC 중계기(100)의 제어부(110)는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여 데이터 패킷의 전송물리매체 및 전송 대상이 되는 댁내기기(200)를 확인할 수 있다(S30).
제어부(110)에 의해 확인된 데이터 패킷은 처리부(120)의 처리모듈 중 전송 대상이 되는 전송물리매체에 해당하는 처리모듈로 전달되고, 처리모듈은 데이터 패킷을 대상이 되는 댁내기기(200)에서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즉, 데이터 패킷의 "PHY ID" 필드에 해당 물리식별자가 기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를 기입하여 전송물리매체가 확정되도록 하여 데이터 패킷을 처리한다(S40).
처리부(120)에서 처리된 데이터 패킷은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댁내기기(200)로 전송된다(S50).
데이터 패킷을 전송받은 댁내기기(200)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의 "DATA" 필드의 정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댁내기기(200)로부터 PLC 중계기(100)를 통하여 홈게이트웨이(10)로 정보를 전송할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PLC 중계기(100)에서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PLC 중계기(100)는 댁내기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S10),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 링크 레이어를 확인하고(S30), 데이터 패킷의 물리식별자(PHY ID)를 기입하여 처리하고(S40), PLC 인터페이스(103)를 통하 여 홈게이트웨이(20)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S50).
지금까지 홈게이트웨이(20)와 전력선 통신(PLC)으로 연결되고, 댁내기기(200)와 지그비, 무선랜, 전력선 통신, 홈피앤에이, RS-485를 통하여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중계기(1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송물리매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IEEE1394,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다른 통신방법도 포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를 달리하는 댁내기기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PLC 중계기를 적용함으로써,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의 전송물리매체에 따른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요구되는 댁내기기 간의 상호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서로 다른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로 통신하는 복수의 댁내기기;
    상기 댁내기기를 제어하고 외부 통신망과 정보를 교환하는 홈게이트웨이; 및
    상기 댁내기기의 상기 전송물리매체를 통하여 상기 댁내기기와 정보를 교환하고, 하나의 전송물리매체로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정보를 교환하며,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상기 댁내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다른 전송물리매체로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시키는 중계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기기의 상기 전송물리매체는 지그비(ZigBee), 무선랜(wireless LAN),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홈피앤에이(HomePNA), RS-4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전력선 통신(PLC)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PLC 중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1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댁내기기와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2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상기 댁내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다른 전송물리매체로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지그비 처리모듈, 무선랜 처리모듈, 홈피앤에이 처리모듈, RS-485 처리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홈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댁내기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인터페이스 모듈 전부로 전달하여 상기 댁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댁내기기는 해당하는 구조의 데이터 패킷만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7. 홈게이트웨이와 댁내기기를 연계하는 중계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가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전송물리매체(transmission physical media)를 나타내는 물리식별자(physical ID)를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전송물리매체에 해당하는 물리식별자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삭제
KR1020060089926A 2006-09-18 2006-09-18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790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926A KR100790028B1 (ko) 2006-09-18 2006-09-18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926A KR100790028B1 (ko) 2006-09-18 2006-09-18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028B1 true KR100790028B1 (ko) 2008-01-02

Family

ID=3921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926A KR100790028B1 (ko) 2006-09-18 2006-09-18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0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979B1 (ko) * 2008-07-30 2011-09-14 김성태 지능형 조명 기기
CN102291283A (zh) * 2011-08-03 2011-12-21 中山大学深圳研究院 一种数字家庭网络系统
KR101997529B1 (ko) * 2018-08-07 2019-07-08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선 통신용 통합통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727A (ko) * 2003-06-02 2004-12-09 삼성물산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백본망 구조
KR20060078039A (ko) * 2004-12-30 2006-07-05 전자부품연구원 홈 네트워크용 스위치 허브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727A (ko) * 2003-06-02 2004-12-09 삼성물산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백본망 구조
KR20060078039A (ko) * 2004-12-30 2006-07-05 전자부품연구원 홈 네트워크용 스위치 허브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979B1 (ko) * 2008-07-30 2011-09-14 김성태 지능형 조명 기기
CN102291283A (zh) * 2011-08-03 2011-12-21 中山大学深圳研究院 一种数字家庭网络系统
KR101997529B1 (ko) * 2018-08-07 2019-07-08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선 통신용 통합통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170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6957275B1 (en) Gateway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aratuses on home network
EP2015531B1 (en) A home gateway device
Goldfisher et al. IEEE 1901 access system: An overview of its uniqueness and motivation
US20070223500A1 (en) Home Network System
Bergmann et al. A CoAP-gateway for smart homes
JP2002094543A (ja) 携帯情報機器、携帯情報機器アクセス装置、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アクセス方法
CN102123216A (zh) 动态多模式家庭联网调制解调器装置
KR20090010564A (ko) 광대역 전력선통신 및 이진부호분할다중접속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시스템
CN201839302U (zh) 基于物联网的智能家居控制系统
CN102291283A (zh) 一种数字家庭网络系统
CN113115346A (zh) 一种基于5g的网关多协议转换装置及其方法
KR100790028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CN103023761A (zh) 网关装置、智能物联网系统及该系统的混合接入方法
KR20030064722A (ko) 피.디.에이. 기반의 무선 홈 정보가전 제어 시스템 구축방법
US20050151718A1 (en) Coupling module for a network
KR10068461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전송 방법
CN100446512C (zh) 网络间中继的设备和方法
KR100445658B1 (ko) 복수개의 통신규격이 사용되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동작방법
Orfanos et al. Trends in home automation systems and protocols
Adams Home area network technologies
CN112468755B (zh) 一种数据传输方法、以及网络终端设备
KR100675402B1 (ko) 홈 네트워크용 스위치 허브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CN102143020A (zh) 一种传输方法和装置
US6295280B1 (en) Method for network node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