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840B1 - Personal se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sounder using the database - Google Patents

Personal se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sounder using the datab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840B1
KR100789840B1 KR1020060012979A KR20060012979A KR100789840B1 KR 100789840 B1 KR100789840 B1 KR 100789840B1 KR 1020060012979 A KR1020060012979 A KR 1020060012979A KR 20060012979 A KR20060012979 A KR 20060012979A KR 100789840 B1 KR100789840 B1 KR 10078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und
sound device
database
kara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3391A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ublication of KR2007006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3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having a fluid handling member
    • A61F13/020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having a fluid handling member the fluid handling member being absorbent fibrous layer,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having a fluid handling member
    • A61F13/022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having a fluid handling member characterised by the support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82Properties of backing
    • A61F2013/00587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04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31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 A61F2013/00744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absorbing pads containing 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42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for tearing off dressing of desi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85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885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impervious, i.e. occlusive bandage
    • A61F2013/00889Plasters pervious to air or vapours impervious, i.e. occlusive bandage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6/00Patches, e.g. medical patches, repair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sound device personalization information using a databas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하나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등)를 반복해서 사용하거나 여러 사람이 공용(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자체의 데이터베이스(DB)에 기 설정해 두었던 자신의 정보(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복원하여 사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저장/갱신(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치 자신만의 고유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a singl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etc.) is repeatedly used or shared by several people (co-working), the user's information previously set in the database (DB)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itself. By reconstructing and using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nd adding new information to the database of sound device (karaoke device), it is possible to use your own unique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sound device personal information setting method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so as to enjoy the same effect.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사용자 계정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음향기기를 사용할 때 참조되는 고유의 정보(개인정보)를 계정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일 음향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일 음향기기 식별번호 및 계정 식별자(이름 혹은 아이디(/패스워드))를 바탕으로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불러와,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연주 환경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aging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n an environment using an acoustic device (karaoke device), wherein a sound device (karaoke device) registers a user account in a database and uses unique information referred to when using the audio device. Set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account; And the 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connected to the one sound device network by the corresponding account user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ound device based on one sound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and an account identifier (name or ID (/ password)). Impor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presenting the playing environment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of the account.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노래방기기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karaoke equipment and the like.

노래방기기, 음향기기, 데이터베이스, 노래, 계정, 개인설정정보 Karaoke, sound system, database, song, account, personal information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Personal se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sounder using the database}Personal se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sounder using the database}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sound device personaliz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aging sound device personaliz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음향기기(노래방기기) 20 : 오디오기기10: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20: audio equipment

101 : 데이터베이스101: database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 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등)를 반복해서 사용하거나 여러 사람이 공용(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자체의 데이터베이스(DB)에 기 설정해 두었던 자신의 정보(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복원하여 사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저장/갱신(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치 자신만의 고유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aging personalized device personal information using a databas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repeat one audio device (karaoke device, etc.). In the case of using it in common or shared by several people,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personal information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et in the database (DB)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itself. Audio equipment personalization information, enabling users to add new information to the database of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and to enjoy the same effect as using their own unique equipment. A managemen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Al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하여,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 저장된 정보(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서 복원하여 사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저장/갱신(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치 자신만의 고유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connecting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via a network, the information stored in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n the 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Acoustic equipment that can be restored and used, and new information can be additionally stored / updated (edited) in a database of other acoustic equipment (karaoke equipment), allowing users to enjoy the same effect as using their own unique equipmen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통상, 노래방기기는 메모리에 기록된 곡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화면에 나타나는 노래 가사에 따라 부르는 기기이며, 일반인들은 노래방에 가서 노래방기기를 통해 노래를 부르며 스테레스를 해소하기도 한다. Typically, a karaoke device is a device that a user selects a song recorded in a memory and sings it according to song lyrics appearing on a screen, and ordinary people go to karaoke to sing a song through a karaoke device and eliminate stress.

노래방기기는 일반적으로 곡목 찾기 기능(신곡 찾기, 제목별 찾기, 가수별 찾기, 번호별 찾기, 장르별 찾기, 년도별 찾기, 가사별 찾기, 인기 곡 찾기, 행사 곡 찾기 등)이 있다. 또한, 노래가 연주되는 동안에 사용하는 기능(템포, 음정, 코러스, 멜로디, 전주나 간주 삭제, 마디 점프, 마디 되돌아감, 노래부르는 도중 끝내기 위한 엔딩, 1절만 부르기, 악기별 또는 채널별 음량 조절 등)이 있고, 노래와 노래 사이에 사용되는 기능(1곡 연주, 반복 연주, 연속 연주, 무작위 연주 등)이 있으며, 배경 영상을 바꾸기 위한 기능(외부 입력 모드, 정지 영상 모드, 동영상 모드 등)이 있고, 메들리 기능(가수 메들리, 댄스 메들리, 애창 메들리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가사 위치 제어, 가사 없애기, 루비 제어, 화면의 밝기 제어, 예약 곡 편집 기능 등이 있다. 또한, 노래를 녹음ㆍ저장하여 듣기를 하거나, 애창곡 곡목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기능 등이 있다. Karaoke equipment generally has a song search function (new song search, title search, singer search, number search, genre search, year search, lyrics search, popular song search, event song search, etc.). Also, the functions you use while the song is playing (tempo, pitch, chorus, melody, deletes prelude or excuses, jumps, measures back, ends to end during singing, sing one verse, adjusts volume by instrument or channel, etc.) ), There are functions used between songs and songs (1 song, repeat, continuous, random play, etc.), and functions to change the background image (external input mode, still image mode, movie mode, etc.) In addition, there are medley functions (singer medley, dance medley, favorite medley, etc.), as well as lyrics position control, lyrics removal, ruby control, screen brightness control, and reservation song editing. In addition, there is a function of recording and storing songs to listen to, or storing and using favorite songs.

이와 같이, 노래방기기를 통해 개개인이 설정할 수 있는 정보를 통칭하여 본 발명에서는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라 명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that can be set by the individual through the karaoke device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런데, 노래방기기는 통상 하나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등)를 반복해서 사용하거나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By the way, the karaoke apparatus is usually used repeatedly one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etc.) or a number of people commonly used.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래방기기를 통해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는 매번 원하는 곡목을 선택(선곡)한 후, 자신의 노래(음원)가 연주되기 시작하면 노래의 음정, 템포, 멜로디 등을 조정하고 노래방기기에 연동된 오디오기기의 에코나 볼륨 등을 조정하며 그외 자신에게 맞는 기능을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각자의 취향에 맞추어 일일이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Nevertheless, the user who sings the song through the karaoke machine selects the desired song every time, and then adjusts the song's pitch, tempo, melody, etc., when the song (sound source) starts playing, and connects to the karaoke device. By adjusting the echo and volume of the audio device, and adjusting other function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user, the user was forced to input and use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ir taste.

물론, 자신이 불렀던 노래나 동반자가 불렀던 노래 등을 나중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일일이 기억하여 추후 선곡시 그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 지만, 기억에 한계가 있고, 노래별로 자신이 원하는 음정, 템포, 메로디 등을 일일이 기억하고 있기란 더욱이 싶지 않을 뿐더러, 설령 기억력에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메모 등을 통해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의 조력을 받을 수도 있지만, 선곡이나 그외 노래의 음정, 템포, 메로디 등의 조정시 최소 사용자의 입력 과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Of course, if you want to use a song that you sang or a companion song later, you can remember them one by on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selection later, but there is a limit to the memory, the pitch, tempo, I don't want to memorize melodies all the time, and even if I wan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y memory, I can be assisted by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through memos, etc. There is still an uncomfortable problem that must be accompanied by a minimum user input process when adjusting the tempo, melody,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등)를 반복해서 사용하거나 여러 사람이 공용(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자체의 데이터베이스(DB)에 기 설정해 두었던 자신의 정보(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복원하여 사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저장/갱신(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치 자신만의 고유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the case of repeatedly using a singl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etc.) or by using several people in common (joint), a database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itself By restoring and using your own information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et in (DB), and allowing new information to be saved / updated (edited) in the database of sound device (karaoke device)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sound devic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so as to enjoy the same effect as using a unique device of its own. hav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하여,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 저장된 정보(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서 복원하여 사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저장/갱신(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치 자신만의 고유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through a network, the sound information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other sound equipment (karaoke device) In order to be able to restore and use new information, and to store / update (edit) new information in a database of other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enjoy the same effect as using a unique device of its ow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aging acoustic device personal informatio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사용자 계정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음향기기를 사용할 때 참조되는 고유의 정보(개인정보)를 계정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일 음향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일 음향기기 식별번호 및 계정 식별자(이름 혹은 아이디(/패스워드))를 바탕으로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불러와,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연주 환경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n acoustic device (karaoke device), a sound device (karaoke device) registers a user account in a database and uses the sound device. Setting uniqu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referred to at the time of each account; And the 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connected to the one sound device network by the corresponding account user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ound device based on one sound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and an account identifier (name or ID (/ password)). Recalling the person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cluding the step of presenting the playing environment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accou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 음향기기에서 노래 연주시, 상기 일 음향기기가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연주 환경을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laying a song in the one sound device, the one sound device extract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ccount user from the database of the one sound device, to present a playing environment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ccount us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인정보의 변경시, 상기 일/타 음향기기가 변경 사항을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개인정보에 자동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utomatically reflecting the chang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database of the one acoustic device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is chang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타 음향기기가 상기 해당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연주된 곡목, 해당 곡목에 대한 연주 정보, 연주 결과 정보를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 내의 해당 계정에 자동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 other sound device, the step of automatically storing the song piece played while the corresponding account is activated, the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song and the performance result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account in the database of the one sound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한편, 본 발명은,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 있어서,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사용자 계정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음향기기를 사용할 때 참조되는 고유의 정보(개인정보)를 계정별로 설정하는 기능; 및 상기 일 음향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일 음향기기 식별번호 및 계정 식별자(이름 혹은 아이디(/패스워드))를 바탕으로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불러와,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연주 환경을 제시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equipped with a processor for managing sound device personalization information, when a sound device (karaoke device) registers a user account in a database and uses the sound device, A function of setting uniqu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account; And the 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connected to the one sound device network by the corresponding account user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ound device based on one sound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and an account identifier (name or ID (/ password)). It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of impor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presenting a performance environment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ccount user.

본 발명은 하나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등)를 반복해서 사용하거나 여러 사람이 공용(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자신이 사용했던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상태나 동작에 관한 정보, 자신이나 동반자가 불렀던 노래 목록 및 관련 정보, 신상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 기타 녹음곡, 애창곡 목록, 글자, 음성, 영상, 그림 사진 등과 같은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한 정보,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 연동된 오디오기기의 설정 정보로서 에코나 볼륨 등을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추후 필요한 경우에 해당 음향기기(노래방기기)로부터 읽어들 여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로 복원하여 이용할 수 있고, 새롭게 정보의 저장/갱신(편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ingl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etc.) is repeatedly used or used by several people in common (joint),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r operation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used by oneself, Or personally stored information such as song list and related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other recorded songs, favorite songs list, text, voice, video, picture, etc. As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audio device, the echo or volume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acoustic device (karaoke device), and later can be restored to the state set by the user by reading from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if necessary. By allowing new information to be stored / updated (edited), it is possible to use audio equipment (karaoke equipment) more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은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기 설정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서 복원하여 이용할 수 있고 새로운 정보의 저장/갱신(정보의 편집 및 업데이트)이 가능하며,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서 편집, 업데이트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다른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서 복원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어,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 저장된 정보(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로 전송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tore and us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preset in a database of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in an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and store / update (new information) Can be used to restore and update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that has been edited and updated on an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This means that the sound devices (karaoke devices) are interconnected via a network, so that information stored in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On the premise.

이때, 상기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여러 사람이 공용(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자의 이름이나 지정된 명칭(계정, ID)을 통해 자신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해당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여 복원함으로써 마치 자신의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자신의 애창곡 목록 등을 통해 선곡할 수 있고, 동일한 곡이 연주되는 경우에는 이전에 연주됐던 상황(음정, 템포, 멜로디, 에코, 볼륨, 배경화면 등)이 그대로 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is used by a plurality of people in common (joint), the user's own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name or designated name (account, ID) By reading and restoring from a database of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or a database of other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using one's own equipment. That is, it can be selected through its favorite song list and the like, and when the same song is played, the previously played situation (pitch, tempo, melody, echo, volume, wallpaper, etc.) can be reproduced as it is.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sound device personaliz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시스템은, '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01)를 갖는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와, 오디오 신호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오디오기기(2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an acoustic device personaliz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acoustic device (karaoke device) 10 having a database 101 storing 'karaoke device personalization information'; The audio device 20 includes an audio signal input / output device.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01)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성되거나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에 의해 자동으로 작성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Here, the database 101 stores and manag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which are manually created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이러한 구성하에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자신이 사용했던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의 상태나 동작에 관한 정보, 자신이나 동반자가 불렀던 노래 목록 및 관련 정보, 신상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 기타 녹음곡, 애창곡 목록, 글자, 음성, 영상, 그림 사진 등과 같은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한 정보,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에 연동된 오디오기기(20)의 설정 정보로서 에코나 볼륨 등을 음향기기(노 래방기기)(10)의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하고, 추후 필요한 경우에 해당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로부터 읽어들여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로 복원하여 이용할 수 있고, 새롭게 정보의 저장/갱신(편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예)Under such a configuration, the acoustic devic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en repeatedly using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the state and operation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used by itself Information about users, song lists and related songs sung by themselves or their companion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other recordings, favorite songs, texts, voices, videos, pictures, etc. Device, the echo or volume is stored in the database 101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as setting information of the audio device 20 linked to the audio device 20, and the sound device (karaoke room) is needed later. The device 10 can be read and restored to the state set by the user, and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by enabling new storage / update (editing) of information. So. (First embodiment)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를 여러 사람이 공용(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자의 이름이나 지정된 명칭(계정, ID)을 통해 자신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해당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의 데이터베이스(101)로부터 읽어들여 복원함으로써 마치 자신의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자신의 애창곡 목록 등을 통해 선곡할 수 있고, 동일한 곡이 연주되는 경우에는 이전에 연주됐던 상황(음정, 템포, 멜로디, 에코, 볼륨, 배경화면 등)이 그대로 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is shared (co-operated) by several people, the user's own 'sound apparatus (' By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database 101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and restor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using its own device. That is, it can be selected through its favorite song list and the like, and when the same song is played, the previously played situation (pitch, tempo, melody, echo, volume, wallpaper, etc.) can be reproduced as it is.

한편, 다수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하여,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 저장된 정보(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 실시예)On the other han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through a network, information stored in one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sound device (karaoke equipment)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can be used in other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This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2nd Example)

설명의 편의상,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와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는 사용(이용)상의 시계열적인 순서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즉, 먼저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이용한 후,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저장해두고, 추후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이다. 물론,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역시 자신의 '음향기기(노 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경우에 해당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and an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have a time series order of use. That is, after using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and then storing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n the database of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and later using an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to be. Of course, his own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may also be stored in the database of other acoustic devices (karaoke devices), and thus the same case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만약,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음향기기(노래방기기) 식별번호와 각자의 이름이나 지정된 명칭(계정, ID)을 통해 자신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여 복원하여 이용할 수 있고, 새로운 정보의 저장/갱신(정보의 편집 및 업데이트)이 가능하다. 이때,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서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이용할 때,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식별번호를 기억하고 있어야만 하는 다소 불편함이 뒤따를 수 있겠지만,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식별번호만 기억하고 있으면 자신의 취향에 맞게 일일이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입력하여 사용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식별번호는 쉽게 기억 및 인지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If the user's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of other sound equipment (karaoke device),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and each name or designated name (account, ID) can be used to read and restore their own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of a sound device (karaoke device), and to store / update new information (editing and updat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At this time, when using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of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in an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must be stored. This may be a bit uncomfortable, but if you only remembe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information input individually to suit your tast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ase of us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acoustic device (karaoke device) be configured to be easily memorized and recognized.

향후, 다른 음향기기(일 음향기기나 타 음향기기가 아닌 다른 노래방기기)에서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 혹은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자신이 사용했던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 혹은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식별번호만 기억하고 있으면 자신의 취향에 맞게 일일이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입력하여 사용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In the futur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ization stored in a database of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or an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from another sound device (a karaoke device other than one sound device or other sound device) When you want to use 'information', if you remember only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or 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that you used, you can individually set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your taste You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of using '.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라,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 혹은 다른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여러 사람이 공용(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자의 이름이나 지정된 명칭(계정, ID)을 통해 자신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 혹은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여 복원함으로써 마치 자신의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자신의 애창곡 목록 등을 통해 선곡할 수 있고, 동일한 곡이 연주되는 경우에는 이전에 연주됐던 상황(음정, 템포, 멜로디, 에코, 볼륨, 배경화면 등)이 그대로 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n different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or other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is shared (shared) by several people, each person or a designated name (account, ID) By retrieving and restoring one's own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of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or an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it is as effective as using its own device. Can be. That is, it can be selected through its favorite song list and the like, and when the same song is played, the previously played situation (pitch, tempo, melody, echo, volume, wallpaper, etc.) can be reproduced as it is.

상기에서,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의 데이터베이스(101)에는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가 서비스 사용자별로 저장되어 있다. 즉, 자신이 사용했던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의 상태나 동작에 관한 정보, 자신이나 동반자가 불렀던 노래 목록 및 관련 정보, 신상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 기타 녹음곡, 애창곡 목록, 글자, 음성, 영상, 그림 사진 등과 같은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한 정보,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에 연동된 오디오기기(20)의 설정 정보로서 에코나 볼륨 등이 사용자 이름 혹은 계정(명칭)별로 저장되어 있다. In the above, in the database 101 of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for each service user.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r operation of the acoustic device (karaoke device) 10 used by him, a list of songs and related information sung by himself or his companion,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other recorded songs, favorite songs list, letters, Information stored arbitrarily by the user such as voice, video, picture, etc., setting information of the audio device 20 linked to the audio device (karaoke device) 10, and echo or volume is stored by user name or account (name). It is.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는 데이터베이스(101)를 바탕으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정보통신망을 통해 오디오기기(20) 및/또는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stores and manages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base 101, and the audio device 20 and / or other sound devices ( Karaoke equipment (not shown) and operates in response to user request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설정정보 이용 및 갱신/저장 절차를 나타낸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sound device personaliz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procedure for using personal information and updating / stor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먼저, 본 발명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각자의 이름이나 지정된 명칭(계정, ID)을 통해 서비스 등록(계정 등록)을 하여야 한다. First, in order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ust register a service (account registration) through his or her name or designated name (account, ID).

계정이 만들어지면,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추가, 편집,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의 상태나 동작에 관한 정보, 신상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 기타 녹음곡, 애창곡 곡목, 음성, 영상, 사진 등과 같은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한 정보,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에 연동된 오디오기기(20)의 에코나 볼륨 등에 관한 정보 등을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 등록한다. 이때, 사용자별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가 저장 관리되고, 필요시 수시로 변경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언제든지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의 등록, 저장, 갱신이 가능하다. Once your account is created, you can add, edit, and save your personal sound settings. That is, the user may u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r operation of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other recording songs, favorite songs, voices, images, pictures, etc., which are arbitrarily created by the user. (Karaoke device) 10, etc., information about an echo, a volume, etc. of the audio device 20 interlocked is created, and stored and registered in the database 101. In this case,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for each user, and can be changed and stored at any time if necessary. That is, the user can register, store and update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t any time.

한편, 사용자(계정 사용자)는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의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하여,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에 이름이나 아이디(/및 패스워드)(또는 아이디에 갈음하는 계정 정보)를 입력하여 자기 계정을 활성화시킨 후, 데이터베이스(101)에서 자신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가져와 이용을 시작하고, 이용 종료시에는 수정된 정보와 새로 수집된 정보 등이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의 데이터베이스(101)(사용자 계정별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음)에 자동 갱신 저장된다. Meanwhile, a user (account user) uses a name or ID (/ and password) (or password) to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in order to us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01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Activate your account by entering the account information replaced by the ID), and take the user's own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101 and start using, and at the end of the use, the modified information and new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automatically upd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01 (the database is constructed for each user account) of the acoustic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만약, 하나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를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사용자는 자신의 이름 또는 계정을 선택한 후(이때,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버튼을 가지고 사용하거나, 한 개의 버튼으로 순차적으로 바꾸어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음) 자신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불러와 복원 및 이용할 수 있고, 이때 갱신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이용자별(계정별)로 분리 저장/갱신된다. If several users simultaneously use one audio device (karaoke device) 10, each user selects his or her name or account (in this case, uses a button for each user, or Users can select the user by changing them sequentially with the button) .You can recall and restore your own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nd the updated information can be saved and updated separately by user (by account). do.

그런데,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를 사용함에 있어서, 노래를 미리 예약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노래가 예약되는 경우에는 곡 번호 뿐만 아니라 사용자 계정을 같이 예약해 두면, 해당 곡이 연주를 시작할 때 이전 연주 상황(음정, 템포, 멜로디, 에코, 볼륨, 배경화면,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이나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저장된 소리를 출력하는 등)이 그대로 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자신의 이름 혹은 계정 입력후, 애창곡 목록 등을 통해 선곡하여 해당 연주를 시작할 때, 이전 연주 상황(음정, 템포, 멜로디, 에코, 볼륨, 배경화면,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이나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저장된 소리를 출력하는 등)이 그대로 재현되는 것은 자명하다. By the way, in using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a song is reserved in advance. If a song is reserved, if the user's account is reserved as well as the song number, the song will play. At startup, you can recreate previous performances (such as pitch, tempo, melody, echo, volume, wallpaper, user-specified images or characters, or output stored sounds). Of course, after entering your name or account, when you start playing the song by selecting a favorite song list, the previous playing status (pitch, tempo, melody, echo, volume, wallpaper, user-specified video or tex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outputting the stored sound) is obvious.

이때, 계정 사용자가 지정한 곡의 연주가 시작될 때,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바탕으로,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의 상태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복원되고, 템포, 음정, 가수나 코러스, 멜로디, 전주나 간주 삭제, 1절만 부르기 등과 같은 곡 연주와 관련된 정보,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에 연동된 오디오기기(20)의 동작에 관한 에코나 볼륨 등과 같은 정보가 복원된다. At this time, when the performance of the song specified by the account user starts, based on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state or operation of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is restored, and the tempo, pitch Information related to song performance such as singer or chorus, melody, prelude or deemed song, sing verse 1, information such as echo or volume about the operation of audio device 20 linked to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Is restored.

한편, 노래가 끝나면,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와 오디오기기(20)는 통상의 상태로 복원되고, 곡 번호와 곡 연주와 관련된 정보와,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 및 오디오기기(20)의 상태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01)에서 갱신/저장이 이루어져(자신의 계정에 갱신/저장됨), 다음 사용시에 갱신 저장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복원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자신이 부른 노래 목록이나 다른 사람이 부른 목록이 애창곡 목록 등에 자동으로 저장됨은 물론, 각각의 곡목에 대한 점수, 부른 횟수 등과 같은 곡 연주와 관련된 정보들도 자동으로 저장되어, 통계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ng is finished,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and the audio apparatus 20 are restored to a normal stat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ng number and song performance,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and audio Th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r operation of the device 20 is updated / stored in the database 101 (updated / stored in its own account), and updated and stored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t the next use. To be restored and available. At this time, the list of songs sung by him or the list of others is automatically saved in the favorite song list, etc.,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song such as the score and the number of songs for each song is automatically stored and used as statistical data. To be possible.

물론, 계정 사용자가 녹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해당 곡의 연주 시작과 함께 녹음이 시작되고 해당 곡의 연주가 종료되면 녹음이 완료되어, 자동으로 해당 계정으로 녹음된 노래가 저장되어, 해당 계정 사용자는 추후 녹음 곡 목록을 이용하여 녹음된 곡을 다시 들어 볼 수 있다. Of course, if the account user selects recording, recording starts with the start of the song, and when the song ends, the recording is completed, and the song recorded with the account is automatically saved. You can listen to the recorded song again using the Song List.

그리고, 계정 사용자가 디폴트로 음정 영역을 설정해 둔 경우에는 선곡된 곡의 음정 영역을 찾아내어 사용자 음정 영역과 비교하여 사용자 음정 영역내에 있는 경우에는 음정을 바꾸지 않고, 사용자 음정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음정 영역에 들 수 있도록 음정을 바꾼다. If the account user has set the pitch area by default, the pitch area of the selected song is found and compared to the user pitch area, and the pitch is not changed when the user is within the user pitch area. Change the pitch so that you can enter the area.

그럼, 도 2를 참조하여 개인설정정보를 이용하고 및 해당 정보를 갱신/저장하는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referring to FIG. 2, the procedure of using th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and updating / sav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사용자가 노래방을 방문하여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에 자신의 이름 혹은 아이디(/및 패스워드)(또는 아이디에 갈음하는 계정 정보)를 입력하면(201),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는 사용자 정보(이름 혹은 아이디(/및 패스워드) 혹은 계 정 정보 등)를 검색하여(202),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가 있으면, 각자의 계정으로 이동하여(하나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를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함) 노래 찾기 및 예약한다(203). 이때, 애창곡 목록 등을 통해 선곡이 가능하고, 예약할 때에는 곡목은 물론 계정이 함께 쌍으로 예약된다. 즉, 내 계정으로 이동하여 노래 찾기 및 예약을 한 경우 곡목번호와 함께 자동으로 계정이 예약된다. 이로써, 자신이 지정한 곡이 연주될 때 이전 연주 상황(음정, 템포, 멜로디, 에코, 볼륨, 배경화면,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이나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저장된 소리를 출력하는 등)이 그대로 재현된다. First, when a user visits a karaoke room and inputs his or her name or ID (and / or password) (or account information for the ID) into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201),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retrieves the user information (name or ID (and password) or account information, etc.) (202), if there is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each account Moving to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multiple users use on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at the same time) to find and reserve a song (203). At this time, the song selection is possible through a favorite song list and the like, and when the reservation is made, the song titles as well as the accounts are booked together in pairs. In other words, if you go to My Account to find and reserve a song, the account will be automatically reserved with the song number. As a result, when the song designated by the user is played, the previous playing status (pitch, tempo, melody, echo, volume, wallpaper, the user-specified image or character on the screen or output the stored sound) is reproduced as it is.

다음으로, 해당 계정 사용자가 지정한 곡의 연주가 시작될 때, 해당 계정 사용자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로 이동(추출)하여, 이 계정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 및 오디오기기(20)의 동작 상태를 복원한다(204). 동시에, 해당 계정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이나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저장된 소리를 출력하는 등의 동작을 호출한다. 그리고, 노래가 연주되기 시작하면, 이전에 저장된 연주 정보를 복원한다(205). Next, when the user starts to play the song specified by the user of the account, the user moves to (extracts)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ization information' of the account user, and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information' of this account.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and the audio device 20 is restored (204). At the same time, an operation such as displaying an image or text designated by the corresponding user on the screen or outputting a stored sound is called. When the song starts playing, the previously stored performance information is restored (205).

즉, 해당 계정 사용자가 지정한 곡의 연주가 시작되면, 해당 계정 사용자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에 따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의 상태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복원되고, 템포, 음정, 가수나 코러스, 멜로디, 전주나 간주 삭제, 1절만 부르기 등과 같은 곡 연주와 관련된 정보,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 에 연동된 오디오기기(20)의 동작에 관한 에코나 볼륨 등과 같은 정보가 복원된다. That is, when the performance of the song designated by the corresponding user of the account starts, according to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account, information on the state or operation of the acoustic device (karaoke device) 10 is restored. Information relating to song performance, such as tempo, pitch, singer or chorus, melody, prelude or sing, sing verse only, and echoes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dio device 20 linked to the acoustic device (karaoke device) 10 Information such as volume is restored.

한편, 노래가 끝나면, 해당 곡목, 점수, 부른 횟수 등의 각종 정보가 우선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에 계정별로 임시 저장된 후(206), 계정 종료시(207) 저장된 정보(곡목, 각각의 곡목에 대한 점수, 부른 횟수 등)를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의 데이터베이스(103)에 해당 계정 사용자의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갱신/저장토록 한다(208).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ng is finished,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song, score, number of songs, etc. are first temporarily stored in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10 for each account (206), and at the end of the account (207) stored information (song, each The score of the music piece, the number of times of singing, etc.) are upd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03 of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to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208).

즉, 노래가 끝나면,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와 오디오기기(20)는 통상의 상태로 복원되고, 곡 번호와 곡 연주와 관련된 정보와, 음향기기(노래방기기)(10) 및 오디오기기(20)의 상태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01)에서 갱신/저장이 이루어진다. 이는 다음 사용시에 갱신 저장된 '음향기기(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복원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자신이 부른 노래 목록이나 자신의 계정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이 부른 목록이 애창곡 목록 등에 자동으로 저장됨은 물론, 각각의 곡목에 대한 점수, 부른 횟수 등과 같은 곡 연주와 관련된 정보들도 자동으로 저장되어, 통계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물론, 계정 사용자가 녹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녹음된 노래가 해당 계정에 자동으로 저장되어, 추후 녹음된 곡을 다시 들어 볼 수도 있다. That is, after the song is finished,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and the audio apparatus 20 are restored to a normal stat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ng number and song performance, the sound apparatus (karaoke apparatus) 10, and audio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e or operation of the device 20 is updated / stored in the database 101. This is to restore and use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updated and stored at the next use. At this time, the list of songs sung by yourself or the list of others by using your account is automatically saved in the favorite song list, and also automatically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song such as the score and the number of songs for each song. It can be used as statistics. Of course, if the account user selects recording, the recorded song is automatically saved in the account,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recorded song lat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 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Since this process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반복해서 사용하거나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음향기기(노래방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기 설정해 두었던 자신의 정보를 복원하여 사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추가 저장/갱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치 자신만의 고유 기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is repeatedly used or used by several people, the new information is restored by using its own information previously set in the database of the sound equipment (karaoke equipment). By allowing additional storage / updates, the effect is as if you are using your ow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일일이 '노래방기기 개인설정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자신만의 고유 음향기기(노래방기기) 환경을 구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build its own uniqu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environment even when using a different sound device (karaoke device), even without inputting the 'karaoke device personal setting information' one by one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laims (11)

음향기기(노래방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an environment using an acoustic device (karaoke device),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사용자 계정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음향기기를 사용할 때 참조되는 고유의 정보(개인정보)를 계정별로 설정하는 단계; 및A sound device (karaoke device) registering a user account in a database, and setting uniqu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referred to when using the sound device for each account; And 상기 일 음향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일 음향기기 식별번호 및 계정 식별자(이름 혹은 아이디(/패스워드))를 바탕으로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불러와,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연주 환경을 제시하는 단계The 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connected to the one sound device by the network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ound device based on one sound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and an account identifier (name or ID (/ password)). Import the information and present the playing environment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account user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Sound devic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databas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타 음향기기는, The one / other acoustic device, 하나의 음향기기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활성화된 계정별로 버튼을 부여하거나, 하나의 버튼으로 여러 계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노래 예약시 곡목 및 계정이 함께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When multiple users are using a single audio device, the database is characterized by assigning a button to each active account or selecting multiple accounts with a single button, and inputting songs and accounts together when reserving a song. How to manage personal information settings using the sound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 음향기기에서 노래 연주시, 상기 일 음향기기가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연주 환경을 제시하는 단계When the song is played in the one sound device, the one sound device extract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ccount user from the database of the one sound apparatus, and presents a playing environment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ccount user;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Sound device personalize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database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개인정보의 변경시, 상기 일/타 음향기기가 변경 사항을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개인정보에 자동 반영하는 단계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is changed, the one / other acoustic device automatically reflects the chang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database of the one acoustic device.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Sound device personalize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database further comprising.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일/타 음향기기가 상기 해당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연주된 곡목, 해당 곡목에 대한 연주 정보, 연주 결과 정보를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 내의 해당 계정에 자동 저장하는 단계Automatically storing, by the first / other acoustic device, a song piece played while the corresponding account is activated, a performance information about the song item, and a performance result information in a corresponding account in the database of the one sound device;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Sound device personalize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database further comprising.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일/타 음향기기 각각에서 녹음 기능 설정시에, When setting the recording function in each of the one / the other sound device, 상기 일/타 음향기기가 상기 해당 계정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녹음된 노래를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 내의 해당 계정에 자동 저장하여, 추후 상기 일/타 음향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The one / other audio device automatically stores the song recorded while the corresponding account is activated in the corresponding account in the database of the one audio device, and can be played later in the one / other audio device. How to manage your personal sound preferences.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개인정보는, The personal information, 해당 음향기기의 상태나 동작에 관한 정보, 자신이나 동반자가 불렀던 노래 목록 및 관련 정보, 신상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 기타 녹음곡, 애창곡 목록, 글자, 음성, 영상, 그림 사진과 같은 임의 지정 정보, 해당 음향기기에 연동된 오디오기기의 설정 정보(에코, 볼륨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일/타 음향기기에서 편집, 저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or operation of the sound device, a list of songs and related information sung by you or your companion,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other recordings, favorite songs, randomly designated information such as letters, sounds, images, pictures, A method for managing personalized device personal information using a database including setting information (eco, volume information) of an audio devic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sound device, and being editable and stored in the one / other audio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일/타 음향기기 각각에서 상기 계정 사용자가 음정 영역을 설정해 둔 경우, If the account user has set a pitch area in each of the one / other acoustic devices, 상기 일/타 음향기기에서 선곡된 곡의 음정 영역을 찾아내어 사용자 음정 영역과 비교하여 사용자 음정 영역내에 있는 경우에는 음정을 바꾸지 않고, 사용자 음정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음정 영역에 들 수 있도록 음정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It finds the pitch area of the tune selected by the one / other acoustic device and compares it with the user pitch area, and does not change the pitch if it is within the user pitch area, and if it is out of the user pitch area, the pitch is entered into the user pitch area. A sound devic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databas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일/타 음향기기 각각에서 상기 계정 사용자가 오디오기기의 설정 정보(에코, 볼륨 정보)를 설정해 둔 경우, If the account user has set the setting information (eco, volume information) of the audio device in each of the one / the other sound device, 상기 일/타 음향기기에서 연동된 상기 오디오 기기로 설정 정보(에코, 볼륨 정보)를 전송하여, 설정 정보에 따라 기기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 방법.And transmitting setting information (echo and volume information) from the one / other audio device to the audio device linked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device outpu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음향기기 개인설정정보 관리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음향기기(노래방기기)에 있어서,In the sound device (karaoke device) having a processor for managing the sound device personal information, 일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사용자 계정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음향기기를 사용할 때 참조되는 고유의 정보(개인정보)를 계정별로 설정하는 기능; 및A sound device (karaoke device) registers a user account in a database, and sets uniqu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referred to when using the sound device for each account; And 상기 일 음향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타 음향기기(노래방기기)가, 일 음향기기 식별번호 및 계정 식별자(이름 혹은 아이디(/패스워드))를 바탕으로 상기 일 음향기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불러와, 해당 계정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연주 환경을 제시하는 기능The other sound device (karaoke device) connected to the one sound device by the network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ound device based on one sound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and an account identifier (name or ID (/ password)). Import information and present the playing environment based o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is.
KR1020060012979A 2005-12-14 2006-02-10 Personal se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sounder using the database KR10078984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374 2005-12-14
KR20050123374 2005-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391A KR20070063391A (en) 2007-06-19
KR100789840B1 true KR100789840B1 (en) 2007-12-28

Family

ID=3836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979A KR100789840B1 (en) 2005-12-14 2006-02-10 Personal se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sounder using the datab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84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289A (en) 2000-09-25 2002-04-05 Uniden Corp Internet 'karaok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289A (en) 2000-09-25 2002-04-05 Uniden Corp Internet 'karaok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391A (en) 200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2808A (en) Modifying audiovisual output in a karaoke system based on performance context
JP2001331176A (en) Music reproduction method, multimedia data reproduction method, server client system and server device
JP2006010988A (en) Method, program, and device for optimizing karaoke music selection
JP2008522212A (en) Management method of personal information of audio equipment
JP5220494B2 (en) Low-level music search system for music selectors
JPH1063281A (en) Acoustic video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musical piece by using the same
JP4172610B2 (en) Player participation type online karaoke system
JP5014927B2 (en) Karaoke system on request
JP3714865B2 (en) Karaoke automatic music selection performance system
KR100789840B1 (en) Personal se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sounder using the database
JP6058991B2 (en) Singing video selection system corresponding to singing voice
JP5415866B2 (en) Karaoke system with performance music advance function
JP5423985B2 (en) Music playback system
JP2009180952A (en) Karaoke system with electronic index book function
JP4447524B2 (en) Karaoke equipment characterized by medley music selection processing with uniform tempo
JP6144477B2 (en) Collaboration singing video display system
JP6472050B2 (en) Karaoke system and program
JP2012234002A (en) Karaoke music piece retrieval system
JP4263151B2 (en) Content reproduction pattern generation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system, and content reproduction pattern generation method
JP6208439B2 (en) Performance key matching system in network chorus
JP5350306B2 (en) Karaoke music selec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karaoke music selection device, control program for karaoke music selection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thereof
JP6505307B1 (en) Music posting apparatus and music posting program
JP5036053B2 (en) Karaoke system with game function
JP5025003B2 (en) Karaoke system with game function
JP4949962B2 (en) Karaok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