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110B1 -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110B1
KR100789110B1 KR1020060037030A KR20060037030A KR100789110B1 KR 100789110 B1 KR100789110 B1 KR 100789110B1 KR 1020060037030 A KR1020060037030 A KR 1020060037030A KR 20060037030 A KR20060037030 A KR 20060037030A KR 100789110 B1 KR100789110 B1 KR 10078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paper display
plasma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5061A (en
Inventor
조원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110B1/en
Publication of KR2007010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1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에 각각 내접하는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상기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사이에서 화소를 분할하여 화소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및 상기 화소공간에 봉입되는 다수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입자는 표면이 거칠게 표면개질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는 경우, 하부전극이나 상부전극과 접촉하는 입자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정전기력을 이용하는 접점의 갯수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입자를 구동시키는 전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in particular, a lower substrate and an upper substrat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lower electrode and an upper electrode inscribed to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respectively; A partition wall which divides the pixel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to form a pixel space; And a plurality of particles encapsulated in the pixel space, wherein the particles have a surface that is roughly modified.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may include an area of a particle contacting a lower electrode or an upper electrode. By reducing the number of contacts using the electrostatic forc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voltage driving the particles.

전자종이, 플라즈마, 표면개질 Electronic paper, plasma, surface modification

Description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캡슐형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 structure of a microcapsule typ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식형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ell structure of a dry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식형 전자종이 입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ry electronic paper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ell structure of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면개질 되기 전과 후의 입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articles before and after surface mod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면개질 되기 전과 후의 입자가 전극에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cles before and after the surface modification contact th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자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다공성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osity is formed by plasma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자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가 교(cross-linking)나 접목(grafting)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cross-linking or grafting is formed by performing a plasma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 하부기판 2: 상부기판1: lower substrate 2: upper substrate

3: 하부전극 4: 상부전극3: lower electrode 4: upper electrode

5: 격벽 6: 흑색 입자5: bulkhead 6: black particles

7: 백색 입자 8: 고분자 레진7: white particle 8: polymer resin

9: 착색제 10: 대전제어제9: colorant 10: charge control agent

11: 외첨제 12: 홈(recess)11: external additive 12: recess

13: 입자의 표면 14: 가교(cross-linking)13: surface of the particle 14: cross-linking

15: 접목(grafting)15: grafting

본 발명은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기에 포함된 입자의 표면이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화소공간에 봉입되는 다수의 입자 표면이 거칠게 표면개질 되어서, 하부전극이나 상부전극과 접촉하는 입자의 면적이 줄어든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in particu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contained therein are modified. In more detail, th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articles encapsulated in the pixel space is roughly modified so that the area of the particles in contact with the lower electrode or the upper electrode is reduced.

종래부터 액정(LCD)을 대신하는 화상표시장치로서 전기영동 방식, 일렉트로크로믹 방식, 서멀 방식, 2 색 입자 회전방식 등의 기술을 사용한 전자종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종이 장치는 LCD에 비하여 통상의 인쇄물에 가까운 넓은 시야각이 얻어지고, 소비전력이 작으며, 메모리 기능을 갖고 있는 등의 장점으로부터 차세대의 저렴한 화상표시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여겨져, 휴대단말용 화상표시, 전자페이퍼 등으로의 전개가 기대되고 있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n electronic paper device using an electrophoretic method, an electrochromic method, a thermal method, a two-color particle rotation method and the like has been proposed as an image display device replacing a liquid crystal (LCD). Such an electronic paper device is considered to be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the next generation of inexpensive image display devices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having a wider viewing angle closer to a normal printed matter, smaller power consumption, and a memory function than LCDs. Development into terminal image displays, electronic papers, and the like is expected.

특히 최근에는, 분산입자와 착색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분산액을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이것을 대향하는 기판 사이에 배치하는 전기영동 방식의 전자종이가 제안되어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그 기술에 캡슐화된 전기영동 잉크라는 독창적인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캡슐형 전자종이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흑색미립자(40)와 백색미립자(30)가 색을 띤 유전유체에 포함된 투명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후, 바인더(50)와 혼합하여 기판(10)에 내접한 상, 하부 투명전극(20) 사이에 위치시키고, 양의 전압을 인가하면 음으로 대전된 잉크 미립자들이 표면으로 이동하여 미립자의 색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음의 전압을 인가하면 잉크 미립자들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유체의 색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문자나 이미지를 표시하게 되는 원리이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electrophoresis-type electronic paper has been proposed, which encapsulates a dispersion liquid composed of dispersed particles and a colored solution and arranges them between opposing substrates. The display incorporates a unique concept of electrophoretic ink encapsulated in the technology. As shown in FIG. 1, the capsule-type electronic paper prepares transparent microcapsules contained in a dielectric fluid in which black fine particles 40 and white fine particles 30 have a color, and then mixed with a binder 50 to form a substrate (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ransparent electrodes 20 inscribed in 10) and applying a positive voltage, the negatively charged ink fine particles move to the surface to display the color of the fine particles. In addition, when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he ink particles move downward to see the color of the fluid. In this way, the characters or images are displayed.

그러나, 전기영동 방식에서는 액 속을 입자가 영동하기 때문에 액의 점성저항에 의해 응답속도가 느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저비중 용액 속에 산화티탄 등의 고 비중 입자를 분산시키고 있기 때문에 침강되기 쉽고, 분산상태의 안정성 유지가 어려우며, 화상 반복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마이크로캡슐화로 해도 셀 사이즈를 마이크로캡슐 레벨로 하여 외관상 상기 서술한 결점이 잘 나타나지 않게 한 것일 뿐 본질적인 문제는 조금도 해결되지 않는다.However, in the electrophoresis method, since the particles move in the liqui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ponse speed is slow due to the viscosity resistance of the liquid. In addition, since high specific gravity particles such as titanium oxide are dispersed in a low specific gravity solution, they tend to settle, are difficult to maintain stability in a dispersed state, and suffer from a lack of image repeat stability. Even in the case of microencapsulation, the cell size is set to the microcapsule level so that the above-mentioned defects are not easily seen in appearance.

이와 같은 용액 속에서의 거동을 이용한 전기영동 방식에 대하여, 근래에는 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적어도 일방이 투명한 2 장의 기판 사이에 색 및 대전특성이 다른 2 종류 이상의 입자를 봉입하고, 상기 기판의 일방 또는 양방에 형성한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쌍으로부터 상기 입자에 전계를 부여하고, 쿨롱력에 의해 상기 입자를 비상 이동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전자종이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건식형 전자종이 표시 장치의 동작 메커니즘은,색 및 대전 극성이 다른 2 종류의 입자를 혼합한 것을 전극 원판으로 끼워 넣고 전극 원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극 원판 사이에 전계를 발생시켜서 극성이 다른 대전 입자를 다른 방향으로 비상시키는 것에 의해 표시 소자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들은 입자와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기체 중에서의 입자 거동을 이용한 건식 표시 장치이며,용액을 전혀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영동 방식에서 문제가 되었던 입자의 침강,응집 등의 문제가 해결되고, 입자의 이동 저항이 작고 응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electrophoretic method using the behavior in such a solution, two or more kinds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colors and charging characteristics are enclosed between at least one transparent substrate without using a solution in recent years, and either one of the substrates or Electronic paper has been proposed to impart an electric field to the particles from an electrode pair formed of both electrodes, and to move the particles by coulomb force to display an image. The operation mechanism of such a dry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is to insert a mixture of two kinds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colors and charge polarities into an electrode disc, and apply a voltage to the electrode disc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pole discs to generate a polarity. It is used as a display element by making different charged particles fly in a different direction. These are dry display devices that consist of particles and substrates and utilize particle behavior in gas, and solve problems such as sedimentation and flocculation of particles, which have been a problem in electrophoresis because no solution is used.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small and fast in response.

이러한 건식형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셀 구조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조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형성 된 상부 및 하부기판(160, 110)과,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160, 110) 상에 소자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투명전극(ITO)으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전극(170, 120)과, 셀과 셀을 분리시키는 격벽(130)과, 상기 두 전극 사이에 존재하는 흑색의 정(+)대전입자(140)와 백색의 부(-)대전입자(150)로 구성된다. The cell structure of the dry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is shown in FIG. 2 and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As shown, the structure includes a top and bottom substrate (160, 110) formed of plastic or glass, and a transparent electrode (ITO) to apply a driving voltage of the device on the top and bottom substrate (160, 110)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170 and 120 formed thereon, the partition wall 130 separating the cell from the cell, the black positive charged particles 140 and the white negative charged present between the two electrodes. It consists of particles 150.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전극(170)과 하부전극(120)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극 극성에 따라 대전되는 대전입자들(130, 140)이 각 전극으로 끌려간다. 예컨대, 하부전극(120)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부전극(170)에 +전압을 인가하면 쿨롱력에 의해 정(+)대전된 흑색 대전입자(140)는 하부기판(110)쪽으로 이동하고, 부대전된 백색 대전입자(150)는 상부기판(160)쪽으로 이동한다. 상부기판(160)쪽에 백색 대전입자(150)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관찰하는 경우 백색으로 보이게 된다. 반대로, 하부전극(120)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부전극(170)에 -전압을 인가하면 부대전된 백색 대전입자(150)는 하부기판(110)쪽으로 이동하고, 정대전된 흑색 대전입자(140)는 상부기판(160)쪽으로 이동하여 흑색으로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처음에 모든 셀이 백색으로 보이도록 전압을 가한 후, 원하는 셀만 반대 전압을 가해 흑색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그림이나 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 structure, when sufficient voltage is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170 and the lower electrode 120, charged particles 130 and 140 charged according to the applied electrode polarity are attracted to each electrode. . For example, when-voltage is applied to the lower electrode 120 and + voltage is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170, the black charged particles 140 positively charged by the coulomb force move toward the lower substrate 110. The charged white charged particles 150 move toward the upper substrate 160. Since the white charged particles 150 are located on the upper substrate 160 side, the white charged particles 150 appear to be whit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n the contrary, when + voltage is applied to the lower electrode 120 and-voltage is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170, the charged white charged particles 150 move toward the lower substrate 110, and the positively charged black charged particles ( 140 moves toward the upper substrate 160 to be displayed in black. Therefore, after applying a voltage so that all the cells appear white at first, only the desired cell is applied with the opposite voltage so that the cells appear black.

이러한 건식형 전자종이 표시소자에서 각 셀 안에 있는 색깔이 다른 두 입자는 마찰에 의해 한 입자는 양(+)으로 대전되며, 다른 입자는 음(-)으로 대전된다. 도 3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에서 사용되는 입자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 레진(220)에 대전제어제(230)와 외첨제(210)가 첨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에는 입자의 색을 나타내는 안료나 염료(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the dry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two particles of different colors in each cell are charged positively by one particle and negatively charged by another by friction. 3 is related to the particles used in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ge control agent 230 and the external additive 210 is added to the polymer resin 220. This may further include a pigment or dye 240 representing the color of the particles.

이렇게 구형으로 이루어져 색과 대전 특성이 다른 두 종류의 입자(140, 150)는 상하 기판에 있는 전극의 전압에 의해 비상하여 이동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형태의 입자를 포함하는 건식형 전자종이는 종래의 습식형 전자종이보다 입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입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두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의 크기를 낮출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나 새로운 형태의 입자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구동전압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써, 입자의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us, two kinds of particles 140 and 150 which are spherical in shape and differ in color and charging characteristics are displayed by moving in an emergency by the voltage of the electrodes o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y electronic paper including the particles of the above type has a higher driving voltage for moving the particles than the conventional wet electronic paper.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new methods or new types of particles that can lower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two electrodes to drive the particle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odifying the surface of particles as one of methods for reducing driving volt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소공간에 봉입되는 다수의 입자 표면이 거칠게 표면개질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하부전극이나 상부전극과 접촉하는 입자의 표면적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it is to include a plurality of parti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articles enclosed in a rough rough surface modification. Through this, to reduce the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in contact with the lower electrode or the upper electrode.

이렇게, 입자의 표면적이 개질되어 하부전극이나 상부전극과 접촉하는 입자의 표면적을 줄이면, 정전기력을 이용하는 접점의 갯수가 줄어들게 되고, 이를 통하여 입 자를 구동시키는 전압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입자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고분자 폴리머 레진의 가교력을 향상시켜서 외첨제가 잘 들러붙도록 하고, 이에 따라 입자의 유동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구동전압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Thus, if the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is modified to reduce the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in contact with the lower electrode or the upper electrode, the number of contacts using electrostatic forc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voltage driving the particl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driving voltage by improving the crosslinking force of the polymer resin resin through the surface modification of the particles to adhere the external additives well, thereby increasing the fluidity of the particles.

나아가,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전극 또는 상부전극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하부절연층 또는 상부절연층이 있는 경우라면, 본 발명은 표면 개질된 입자를 통하여 상기한 절연층과 접촉하는 입자의 면적을 줄임으로써, 적은 구동전압으로도 자유롭게 입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Furthermore, if there is a lower insulating layer or an upper insulating layer that can be selectively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or the upper electrode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ea of the particle contacting the insulating layer through the surface-modified particles. By reducing th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move the particles freely even with a small driving voltag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따라 입자의 표면을 개질시킴으로써 입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두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의 크기를 낮출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또는 새로운 형태의 입자를 제공하여, 구동회로의 마진을 더욱 많이 확보 하는 것과 더불어,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화질의 소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method or a new type of particles that can reduc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two electrodes to drive the particles by modifying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thereby securing more margin of the driving circuit.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device of excellent image quality at a low cos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에 각각 내접하는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상기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사이에서 화소를 분할하여 화소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및 상기 화소공간에 봉입되는 다수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입자는 표면이 거칠게 표면개질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which is arranged fac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lower electrode and an upper electrode inscribed to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respectively; A partition wall which divides the pixel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to form a pixel space; And a plurality of particles encapsulated in the pixel space, wherein the particles have a rough surface modified surface.

이러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부전극과 상부전극에 각각 내접하는 하부절연층과 상부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자는 표면개질 되어서 입자 표면에 홈(recess)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wer insulating layer and an upper insulating layer inscribed i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respectively, wherein the particles are surface-modified so that recess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It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표면개질은 플라즈마 처리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저온 플라즈마(low temperature plasma 또는 glow discharge) 처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urface modific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by a plasma treatment, and the plasma treatment is more preferably a low temperature plasma or glow discharge treat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입자가 다공성(porous) 표면을 가지거나 입자의 표면에는 가교(cross-linking)나 접목(graftin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는 아르곤(Ar), RF(radio frequency) 아르곤(Ar), 헬륨(He), 수소(H2), 산소(O2), 질소(N2), 암모니아(NH3), 메탄(CH4), 아세틸렌(acetylene), 수소와 질소가 혼합된 저온 RF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스인 것이 더욱 적합하다. In addition, in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les may have a porous surface or cross-linking or grafting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by the plasma treatment. The gas used in the plasma treatment is argon (Ar), RF (radio frequency) argon (Ar), helium (He), hydrogen (H 2 ), oxygen (O 2 ), nitrogen (N 2 ), ammonia (NH 3 ), methane (CH 4 ), acetylene (acetylene), low-temperature RF mixed with hydrogen and nitrogen or a combination of these gases is more suitable.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가 산소(O2) 가스인 경우, 입자의 표면에서는 산화반응이 일어나거나 휘발성 산화물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가 질소(N2) 또는 아르곤(Ar) 가스인 경우, 입자의 표면에는 질소가 함유된 관능기가 생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가 아르곤(Ar) 가스이고, RF(radio frequency)로 플라즈마를 일으키는 경우, 입자의 표면에 높이 1 ㎛ 정도의 원추체가 109 cm-2의 밀도로 형성되거나 -C-O 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gas used in the plasma treatment is oxygen (O 2 ) gas,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xidation reaction or volatile oxide is generated, the gas used in the plasma treatment is nitrogen In the case of (N 2 ) or argon (Ar) gas,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 functional group containing nitrogen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 the gas used in the plasma treatment is an argon (Ar) gas, by radio frequency (RF) When generating a plasma,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cone having a height of about 1 μm is formed at a density of 10 9 cm −2 or a -CO bon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

계속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입자의 표면 접촉각은 50°이하인 것이 가능하고,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입자의 표면은 친수성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Subsequently, the surface contact angle of the particles may be 50 ° or less by the plasma treatment, and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may be hydrophilic by the plasma treatment.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고분자 레진 주위에 외첨제가 구형으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이고, 염색된 안료나 염료 및 대전제어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입자는 대전 또는 비대전된 건식입자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n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particles are in the form of a spherical external additive enclosed around the polymer resi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igments, dyes and charge control agents dyed. More preferably, the particles are charged or uncharged dry particl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intend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하부기판(1)과 상부기판(2); 상기 하부기판(1)과 상부기판(2)에 각각 내접하는 하부전극(3)과 상부전극(4); 상기 하부전극(3)과 상부전극(4) 사이에서 화소를 분할하여 화소공간을 형성하는 격벽(5); 및 상기 화소공간에 봉입되는 다수의 입자(6, 7);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입자(6, 7)는 표면이 거칠게 표면개질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ell structure of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er substrate 1 and an upper substrate (which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2); A lower electrode 3 and an upper electrode 4 inscribed in the lower substrate 1 and the upper substrate 2, respectively; Barrier ribs 5 for dividing pixels between the lower electrode 3 and the upper electrode 4 to form a pixel space; And a plurality of particles 6 and 7 encapsulated in the pixel space, wherein the particles 6 and 7 are roughly surface-modifi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기판(1) 위에 하부전극(3)을 형성되고, 상부기판(2) 아래에 상부전극(4)이 형성되며, 이러한 하부전극(3)과 상부전극(4)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ITO 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전극 구조는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고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in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lectrode 3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 the upper electrode 4 is formed below the upper substrate 2, and the lower electrode 3 and the upper part are formed.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s 4 is preferably a transparent ITO electrod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 electrode structures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matrix structure and cross each other.

이러한 하부전극(3)과 상부전극(4)에는 여기에 각각 내접하는 하부절연층(도시하지 않음)과 상부절연층(도시하지 않음)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전극(3) 위와 상부전극(4) 아래에 적용되는 하부절연층과 상부절연층은 생략되어도 구동에는 문제가 없으나, 대전된 입자(6, 7)들이 전극에 밀착되면서 전자 이동이 발생하 게 되면 메모리 효과가 감소되어 새로운 전원 인가없이 영상을 오랫동안 보존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lower insulating layer (not shown) and an upper insulating layer (not shown)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3 and the upper electrode 4, respectively. Although the lower insulating layer and the upper insulating layer applied on the lower electrode 3 and below the upper electrode 4 are omitted, there is no problem in driving. However, when the charged particles 6 and 7 adhere to the electrode, electron movement occurs. The memory effect is preferably applied because it can be difficult to preserve the image for a long time without applying new power.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하부전극(3)과 상부전극(4) 사이에서 화소를 분할하여 화소공간을 형성하는 격벽(5)을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기판(1) 위에 형성된 하부전극(3)이나 하부절연층 상부에 격벽(5)이 수개 형성되고, 이것은 상부기판(2) 아래에 형성된 상부전극(4)이나 상부절연층과 맞닿아 있어서, 화소를 분할하는 화소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4에서는 하부전극(3) 상부에 격벽(5)이 바로 형성되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절연층은 생략되는 형태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전극(3) 위에 형성된 하부절연층 상에 화소공간을 형성하는 격벽(5)이 형성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ition wall 5 for dividing pixels between the lower electrode 3 and the upper electrode 4 to form a pixel space.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barrier ribs 5 are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3 or the lower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electrode 4 or upper insulating layer formed under the upper substrate 2. In contact with the layer, a pixel space for dividing the pixels is formed. In FIG. 4, the barrier rib 5 is formed directly on the lower electrode 3, bu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er insulating layer may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lectrode 3 is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3.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partition wall 5 forming the pixel space on the formed lower insulating layer.

이어서, 상기한 화소공간에는 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다수의 입자(6, 7) 봉입되며, 본 발명은 상기 입자(6, 7)의 표면이 거칠게 표면개질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Subsequently, a plurality of particles 6 and 7 are encapsulated in the pixel space to express an imag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s of the particles 6 and 7 are roughly surface modified.

여기서, 입자(6, 7)의 표면이 거칠게 표면개질 되었다는 것은 고분자 레진 또는 외첨제로 둘러싸인 고분자 레진으로 이루어진 입자의 표면이 매끄럽다거나 평탄한 것이 아니라, 울퉁불퉁하게 또는 날카롭게 요철이진 형태를 의미한다. 또한, 평평한 표면이 다공성 표면을 가진다거나 굴곡이 있는 형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6, 7) 표면에 홈(recess)(12)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6 and 7 is roughly surface-modified means that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made of the polymer resin or the polymer resin surrounded by the external additive is not smooth or flat, but is roughly or sharply uneven. In addition, the flat surface has a porous surface or includes a curved shape, it is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 (1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6, 7) as shown in FIG.

이렇게 본 발명에 따라 표면이 거칠게 개질된 입자(6, 7)를 사용하면, 하부전극(3)이나 상부전극(4)과 접촉하는 입자(6, 7)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정전기력을 이용하는 접점의 갯수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입자(6, 7)를 구동시키는 전압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건식형 전자종이의 단점인 높은 구동전압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투명전극에 닿는 입자(6, 7)의 표면을 거칠게 하여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낮은 외부전압에 의해 입자(6, 7)를 전극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고분자 폴리머 레진으로 이루어진 입자(6, 7)의 표면을 개질한 것이다. Thus, using the particles 6, 7 whose surface is rough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ea of the particles (6, 7) in contact with the lower electrode (3) or the upper electrode (4) contact using the electrostatic force The number of th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voltage driving the particles (6, 7).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high driving voltage,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conventional dry electronic paper,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by roughening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6, 7) that touch the transparent electrode particles (6, 7) by low external voltage ) Is removed from the electrod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dify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6, 7) made of a high molecular polymer resin for this purpos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면개질 되기 전과 후의 입자(6, 7)가 전극(3, 4)에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자(6, 7)와 전극(3, 4)이 접촉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작은 전압으로도 입자(6, 7)를 떼어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고비저항 폴리머인 입자(6, 7) 전체에 골고루 전하들이 분포한다고 가정하면 영상력에 의해 달라붙어 있다가 반대 극성의 전압에 의해 떼어지는데, 이때 가해준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가 매끄러운 입자보다 표면개질된 입자에 분포하는 전하들이 거리가 멀기 때문에 쿨롱의 법칙에 따라 작은 힘(전압)으로도 뗄 수 있는 것이다. 즉, 본원발명에 따라 표면개질된 입자는 전하가 표면개질된만큼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쿨롱의 법칙(전하간 작용하는 힘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에 의해 전극으로부터 입자를 떼어내는데 더 작은 힘을 필요로 하는, 즉 더 작은 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영상력에 의해 달라붙어 있는 힘도 본 발명에 따라 표면개질된 입자(6, 7)의 경우 약하게 붙어있다고 할 수 있다.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cles 6 and 7 come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s 3 and 4 before and after surface mod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and the electrode 3, 4 by reducing the area that the particles (6, 7) can be removed even at a small voltage. Assuming that the charges ar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particles 6 and 7, which are high resistivity polymers, they are held together by the imaging force and released by voltages of opposite polarity. Since the charges distributed on the particles are so far apart, they can be held by small forces (voltages) according to Coulomb's law.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rface-modified particles are displaced from the surface as much as the charge is surface-modified, Coulomb's law (the force acting between charge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is smaller than That means you can drive with a smaller voltage that requires force. In addition, the force stuck by the imaging force is also weakly attached to the surface-modified particles (6,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표면개질에 의해 표면이 거칠게 개질된 입자(6, 7)는, 표면에 홈(1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극(3, 4)과 접촉하는 면적이 적어 정전기력을 이용하는 접점의 갯수가 적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입자(6, 7)를 떼어내는데 필요한 힘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입자(6, 7)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줄일 수 있고, 구동회로의 마진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화질의 소자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les 6 and 7 whose surface is roughly modified by the surface modification have grooves 12 on the surface, so that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electrodes 3 and 4 is small so that the electrostatic force is used. The fewer the contacts, the less the force required to remove the particles 6 and 7. Then, the voltage for driving the particles 6 and 7 can be reduced, the margin of the driving circuit can be more secured, and the device of excellent image quality can be provided at low cos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면이 거칠게 표면개질된 입자(6, 7)를 포함하는 것이고, 이렇게 입자를 표면개질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는 종래의 입자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플라즈마처리를 통하여 입자(6, 7)의 표면을 개질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articles 6, 7 whose surface is roughly surface-modified, and the method of surface-modifying th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 the following, conventional particles The case where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6 and 7 is modified through plasma treatment while using is described as an example.

입자(6, 7)의 고분자 표면 개질을 위해 플라즈마를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화학적으로 매우 활성적인 상태로 개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동성 향상을 위한 외첨제(11)가 잘 달라 붙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하면 벌크 성질을 바꾸지 않으면서도 고분자 또는 무기질 수지인 입자(6, 7)의 표면 특성을 바꾸어 거칠게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플라즈마에 노출된 고분자는 젖음성(wetting property), 가교(cross-linking), 분자량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이 에 따라 입자(6, 7)와 전극(3, 4) 또는 절연층이나 격벽(5)이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Plasma treatment to modify the polymer surface of the particles 6 and 7 not only results in a chemically highly active state but also allows the external additive 11 to adhere to the fluidity well. have. When the surface is treated with plasma,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particles 6 and 7, which are polymers or inorganic resins, can be roughly activated without changing bulk properties. That is, the polymer exposed to the plasma changes in wetting property, cross-linking, and molecular weight, and accordingly, the particles 6 and 7 and the electrodes 3 and 4 or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partition wall ( 5) can reduce the area of contact.

여기서, 플라즈마라 함은 이온화되어 있고 전체적으로는 전기적 중성을 띄고 있는 기체를 가리킨다. 자연에 존재하는 플라즈마로서 잘 알려져 있는 것은 번개와 오로라이다. 이들은 각각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과 극히 낮은 압력 하에서 발생된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는 그 생성 방법 및 압력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Here, the plasma refers to a gas that is ionized and exhibits electrical neutrality as a whole. Well-known plasmas in nature are lightning and aurora. These occur under relatively high and extremely low pressures, respectively. As such, the plasma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its generation method and pressure.

이들 플라즈마는 온도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이온화 정도가 높고 구성 요소들이 열역학적으로 평형 상태에 있으며 평균 온도가 수만도에 달하는 '고온 플라즈마(high temperature plasma 또는 thermal plasma)'이고 다른 하나는 이온화 정도가 극히 미미하고(이온 농도: 10-5 ~ 10-6) 구성 요소들이 열역학적으로 평형을 이루고 있지 않으며 평균 온도가 상온 보다 약간 높은 '저온 플라즈마(low temperature plasma 또는 glow discharge)' 이다. These plasma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emperature: one is a high temperature plasma or thermal plasma, which has a high degree of ionization, its components are thermodynamically balanced, and has an average temperature of tens of thousands of degrees. The other is a 'low temperature plasma or glow discharge' with extremely low ionization (ion concentrations: 10 -5 to 10 -6 ) and components that are not thermodynamically balanced and whose average temperature is slightly above room temperature. to be.

본 발명은 이러한 고온 플라즈마와 저온 플라즈마 중에서도 저온 플라즈마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는 저온으로 플라즈마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저압 상태에 있는 기체나 유기 증기들을 전기적으로 방전시키면서 손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 이다. 또한,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고분자 가공법은 종래의 가공법에 비하여 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 공정으로 환경오염이 적으며 강도, 탄성율 등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표면특성만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특히 다양한 기체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었던 여러 가지 다양한 표면 특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erforms a low temperature plasma treatment among such high temperature plasma and low temperature plasma. The latter can be plasma-treated at low temperatures and easily obtained by electrically discharging gases or organic vapors at low pressure. In addition, the polymer processing method using low temperature plasma is a dry process that does not use wat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cessing method, and is an efficient method that can change only the surface properties without chang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with less environmental pollution. . In particular, by using a variety of gases alone or in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rovide various various surface properties that could not be obtained by conventional methods.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자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입자의 표면개질은 예시적으로 두가지 형태일 수 있다. 도 7은 입자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기 전과 플라즈마 처리를 한 후에 다공성(porous)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8은 입자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기 전과 플라즈마 처리를 한 후에 가교(cross-linking)나 접목(grafting)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plasma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rface modification of the particles by plasma treatment may be of two types for example.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ous is formed before and after plasma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 and FIG. 8 is cross-linked before and after plasma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linking) or grafting was formed.

먼저, 본 발명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자(6, 7)의 표면(13)을 플라즈마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입자(6, 7)의 표면(13)에 다공성이 형성되어 입자(6, 7)의 표면적이 줄어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매끄러운 입자의 표면에 다공성이 생긴다는 것은 입자의 표면적이 줄어들어 전극이나 절연층과 접촉하는 입자의 면적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분자로 이루어진 입자의 평평한 표면에 대한 플라즈마 처리는 고분자 물 질에 대한 물리적인 융삭(ablation)을 수반한다. 이러한 형태의 플라즈마 처리 방법으로 입자(6, 7)의 표면(13)에 다공성을 생기게 할 수 있는 것이다. First, as shown in FIG. 7, in the case of performing a plasma treatment on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and 7, the porosity is increased on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and 7 by the plasma treatment.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reduce the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6, 7). Porosity on the surface of a smooth particle means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particle is reduced, which reduces the area of the particl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or the insulating layer. Plasma treatment of flat surfaces of particles of polymers involves physical ablation of polymer materials. In this type of plasma treatment method,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and 7 can be made porous.

본 발명에 따라 물리적인 융삭으로 다공성을 형성시키려면 플라즈마 처리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라즈마 처리 시간이 너무 길면 융삭된 물질의 중합에 의해 다공성이 막힐 수 있다. 입자(6, 7)의 고분자 폴리머 재료 뿐만 아니라 무기질 재료의 경우도 일반 고분자를 표면에 증착시킨 후 플라즈마 처리를 하면, 이에 따라 물리적인 융삭으로 입자(6, 7)의 표면(13)에 다공성을 형성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form porosity by physical mel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horten the plasma treatment time, and when the plasma treatment time is too long, porosity may be blocked by polymerization of the melted material. In the case of the inorganic polymer material as well as the polymer polymer material of the particles 6 and 7, when the general polymer is deposited on the surface and subjected to plasma treatment, porosity is applied to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and 7 by physical melting. Can be formed.

그리고, 본 발명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자(6, 7)의 표면(13)을 플라즈마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입자(6, 7)의 표면(13)에 가교(cross-linking)(14)나 접목(grafting)(15)이 형성되어 표면이 개질됨으로서 표면적이 줄어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즈마로 고분자 표면을 개조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카싱이라고 불리는 공정으로서, 이것은 플라즈마의 고에너지 입자들의 포격에 의해 고분자 표면이나 이미 증착되어 있는 막에 가교(cross-linking)(14)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다. As shown in FIG. 8, the present invention cross-links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and 7 when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and 7 is plasma treated. (14) or a grafting (15) is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area is reduced by modifying the surface is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wo methods of modifying the surface of the polymer with plasma, one of which is a process called casing, which is cross-linked to the surface of the polymer or to an already deposited film by bombardment of high-energy particles in the plasma. cross-linking) 14.

다른 하나의 방법은 증착이나 접목을 통하여 입자 표면(13)의 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플라즈마 내의 단량체 선구물질(precursor)이 해리되면서 다양하 고 활성있는 막이 형성되면서 성장하는 것이다. 고분자 표면 활성화는 플라즈마의 고에너지 입자들이 표면을 포격하면 고분자 표면의 공유결합이 깨어지면서 표면에 활성종들이 생성되는데, 이 활성종들이 플라즈마 내의 활성종들과 반응하여 표면에 다양한 화학적 활성이 있는 작용기들을 만든다. 이러한 작용기들은 입자의 고분자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여 활성에너지를 높이고, 이에 따라 입자의 표면적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Another method is to change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particle surface 13 through deposition or grafting. As the precursor precursor in the plasma dissociates, it grows as a variety of active films are formed. In the surface activation of the polymer, when the high-energy particles of the plasma bombard the surface, covalent bonds of the polymer surface are broken, and active specie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The active species react with the active species in the plasma, and the functional group having various chemical activities on the surface is present. Make them. These functional groups modify the surface of the polymer of the particles to hydrophilic to increase the active energy, thereby reducing the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본 발명에 따른 저온 플라즈마의 고분자 표면 처리효과는 반응기 형상, 전극형태, 고주파 출력 및 주파수, 사용기체 종류, 기체 유량, 처리압력, 배기속도, 처리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사용기체가 중합성이냐 혹은 비중합성이냐에 따라 표면에 단순 개질 혹은 표면 그라프트 등 다른 양상의 표면 개질이 일어난다.The polymer surface treatment effect of the low temperature plasm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eactor, electrode type, high frequency output and frequency, type of gas used, gas flow rate, processing pressure, exhaust rate, treatment time, and the like. Depending on whether it is or non-polymeric, other aspects of surface modification such as simple modification or surface graft occur.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로는 아르곤(Ar), RF(radio frequency) 아르곤(Ar), 헬륨(He), 수소(H2), 산소(O2), 질소(N2), 암모니아(NH3), 메탄(CH4), 아세틸렌(acetylene), 수소와 질소가 혼합된 저온 RF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스가 바람직하다. Gas used for the plasma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gon (Ar), RF (radio frequency) argon (Ar), helium (He), hydrogen (H 2 ), oxygen (O 2 ), nitrogen (N 2 ) Preferred is a gas consisting of ammonia (NH 3 ), methane (CH 4 ), acetylene, low-temperature RF mixed with hydrogen and nitrogen, or a combination thereof.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써,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가 산소 가스인 경우 입자(6, 7)의 표면(13)에서는 산화반응이 일어나거나 휘발성 산화물이 생성되어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반응 기체인 헬륨이나 아르곤에 산소를 첨가하면 산소와 깨진 고분자 사슬 사이에 반응이 생겨 휘발성 산화물이 만들어지면서 고분자 표면이 활성화 된다. 이 경우 불활성 기체에서 처리된 것보다 산소를 첨가한 플라즈마에서는 활성화 정도가 약 3배 증가하였다. 활성화 정도가 개선되는 이유는 고분자 사슬을 끊어 표면을 더 거칠게 하기 때문이다.In a specific embodiment, when the gas used for the plasma treatment is oxygen gas,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and 7 may undergo an oxidation reaction or volatile oxides to modify the surface. In addition, when oxygen is added to the plasma reaction gas helium or argon, a reaction occurs between the oxygen and the broken polymer chain, thereby volatile oxides are made to activate the polymer surface. In this case, the activation degree increased about three times in the plasma to which oxygen was added than that treated in an inert gas. The degree of activation is improved because the polymer chains are broken to make the surface rougher.

그리고,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가 질소 또는 아르곤 가스인 경우 입자(6, 7)의 표면(13)에서는 질소가 함유된 관능기가 생성되어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가 아르곤(Ar) 가스이고, RF(radio frequency)로 플라즈마를 일으키는 경우 격벽의 상면 표면에 높이가 1 ㎛ 정도의 원추체가 109 cm-2의 밀도로 형성되거나 -C-O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gas used in the plasma treatment is nitrogen or argon gas,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nitrogen may be generated on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and 7 to modify the surface. In addition, when the gas used for the plasma treatment is an argon (Ar) gas, and when plasma is generated by RF (radio frequency), a cone having a height of about 1 μm is formed at a density of 10 9 cm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or -CO bonds can be formed.

나아가, 사용되는 플라즈마 기체로써 암모니아 플라즈마나 수소와 질소를 섞은 저온 RF 플라즈마는 폴리프로필렌, PET(poly ethylene terephtlate), PC(poly carbon), 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표면 개질에 탁월한데, 플라즈마에서 형성된 아미노기들은 고분자 표면에 흡착되어 표면의 젖음성을 향상시킨다. 이렇게 물리적, 화학적 변화에 의해 입자 표면의 젖음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높은 표면 에너지와 우수한 활성 에너지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Furthermore, ammonia plasma or low-temperature RF plasma mixed with hydrogen and nitrogen as the plasma gas is used for surface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late (PET), polycarbonate (PC), PVC, and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Excellent, amino groups formed in the plasma are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polymer to improve the wettability of the surface. Thus, the wettability of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is improved by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and thus high surface energy and excellent activation energy can be obta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입자(6, 7)의 표면(13)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면, 입자(6, 7)의 표면(13)은 거칠게 표면개질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실험을 통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자(6, 7)의 표면(13)이 평활한 상태를 나타내고, 플라즈마 처리에 따라 발포체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렇게 고분자 물질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나타나는 현상은 플라즈마 에칭에 기인하는 것이다. As such, when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7 is subjected to plasma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7 may be roughly surface modified. When the present inventors did not perform the plasma treatment through experiments, the inventors observed that the surfaces 13 of the particles 6 and 7 were smooth, and fine irregularities we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foam according to the plasma treatment. The phenomenon that minute irregularities appear on the surface of the polymer material is due to plasma etching.

구체적으로, 플라즈마 발생 기체로 질소 혹은 산소를 사용한 경우가 아르곤 보다 표면 에칭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아르곤 가스는 불활성 기체이지만 질소나 산소는 활성기체로서 고분자 표면의 화학결합을 절단하는 효과가 아르곤 가스보다 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산소 기체를 사용한 경우가 질소 기체를 사용한 경우보다 표면 에칭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자(6, 7)의 표면(13)을 에칭 가공하기 위하여서는 플라즈마 발생기체로 불활성 기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활성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Specifically, when nitrogen or oxygen was used as the plasma generating gas, the surface etching effect was superior to argon. This phenomenon is presumably because argon gas is an inert gas, but nitrogen and oxygen are active gases, and the effect of breaking the chemical bond on the surface of the polymer is greater than that of argon ga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use of oxygen gas was more excellent in the surface etching effect than the use of nitrogen gas. Therefore, in order to etch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and 7, it was confirme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use the active gas than to use the inert gas as the plasma generating gas.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이러한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입자(6, 7)의 표면(13) 접촉각이 50°이하로 되거나 입자의 표면이 친수성을 띠는 것일 수 있다. 접촉각이란 액체가 고체 표면 위에서 열역학적으로 평형을 이룰때 이루는 각을 의미하며, 접촉각은 고체 표면의 젖음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낮은 접촉각은 높은 젖음성과 높은 표면에너지를 나타내며, 이것은 활성 에너지가 크고 표면이 거칠게 개질되었음을 의미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at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7 is 50 ° or less or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is hydrophilic by such plasma treatment. Contact angle refers to the angle formed when a liquid is thermodynamically equilibrated on a solid surface, and the contact angle is a measure of the wettability of a solid surface. A low contact angle indicates high wettability and high surface energy, which means that the active energy is large and the surface is roughly modified. It means.

본 발명자는 입자(6, 7)의 표면(13)을 플라즈마 처리함으로서, 상기 표면의 접촉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플라즈마 미처리 격벽 표면의 접촉각은 97°였으나 30초간 플라즈마 처리한 입자(6, 7)의 표면(13) 접촉각은 약 50°로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온 플라즈마 처리에 따라 초기에 접촉각이 현저히 감소하는 이유는, 미처리 입자 표면의 경우 마이크로적으로 매우 평활하며 소수성이지만, 초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하여 표면이 에칭되면서 표면의 평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액체가 부착될 수 있는 미소한 공극들이 발생한 것에 기인한다. 또한 입자(6, 7)의 표면(13)의 화학구조의 변화에 따라 표면이 소수성에서 친수성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is reduced by plasma treatment of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7. Although the contact angle of the untreated plasma barrier surface was 97 °,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13 of the plasma-treated particles 6 and 7 for 30 seconds tended to decrease rapidly to about 50 °. The reason why the initial contact angle i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low temperature plasma treatment is that the surface of the untreated particles is microscopically very smooth and hydrophobic, but the surface is etched by the initial plasma treatment and the surface smoothness is significantly reduced, so that the liquid may adhere. This is due to the occurrence of small void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urface was changed from hydrophobic to hydrophilic with the change in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7.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입자(6, 7)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고분자 폴리머 레진(8)의 가교력을 향상시켜서 외첨제(11)가 잘 들러붙도록 하고, 이에 따라 입자(6, 7)의 유동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구동전압을 낮출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자(6, 7)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분자 레진(8) 주위에 외첨제(11)가 구형으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improves the crosslinking force of the polymer resin resin (8) through surface modification of the particles (6, 7)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external additive (11) sticks well, and thus the particles (6, 7) By increasing the fluidity of the drive voltage can be lowered. To this end, the particles (6, 7)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eferably a form in which the external additive 11 is surrounded by a sphere around the polymer resin (8)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라 거칠게 표면개질된 입자(6, 7)는 종래의 일반적인 구형 입자와 비교했을때, 동일한 크기에서 더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넓은 표면적이라는 것은 입자(6, 7) 자체의 표면적이 넓어졌다는 것이고, 이에 따라 입자(6, 7)가 전극(3, 4)이나 절연층과 접촉하는 면적은 더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표면개질에 의해 입자(6, 7) 자체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고분자 레진의 가교력이 증가하면, 더욱 많은 양의 외첨제(11)를 고분자 레진(8) 주위에 코팅시킬 수 있다. 동시에, 표면개질에 의해 형성된 가교나 접목 또는 홈(12)에 의해 입자(6, 7)의 표면(13)은 거칠어지고, 이러한 울퉁불퉁한 표면 때문에 보통의 구형 입자보다 표면적은 줄어들 수 있는 것이다. The roughly surface modified particles 6, 7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have a larger surface area at the same size as compared to conventional general spherical particles. Here, the large surface area means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6 and 7 itself becomes wider, and the area where the particles 6 and 7 come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s 3 and 4 or the insulating layer is further reduced. When the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6 and 7 is increased by the surface modification and the crosslinking force of the polymer resin is increased, a larger amount of the external additive 11 may be coated around the polymer resin 8. At the same time, the surface 13 of the particles 6, 7 is roughened by crosslinking, grafting or grooves 12 formed by surface modification, and the surface area can be reduced than that of ordinary spherical particles because of the uneven surface.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분자 레진(8)은 전하를 띠거나 또는 전하를 획득할 수 있는 임의의 성분이고, 이러한 고분자 레진(8)의 표면에는 외첨제(11)가 코팅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염색된 안료나 염료, 즉 착색제(9) 또는 대전제어제(10)가 포함될 수도 있다. Here, the polymer resin 8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component capable of being charged or obtaining a charge, and the external resin 11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olymer resin 8, Dyed pigments or dyes, ie colorants 9 or charge control agents 10 may also be includ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입자(6, 7)는 화상표현을 위한 것으로서, 색 및 대전특성이 다른 2종류의 대전 입자가 혼합되어 주입될 수 있으며 각각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입자(6, 7)로는 대전된 입자 또는 대전 가능한 비대전입자를 주입할 수도 있다. 입자(6, 7)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화상표현을 위해 이용되는 입자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즉 고체뿐만이 아니라 전해질 용액, 현탁액, 졸, 겔, 캡슐, 트위스트볼 등의 입자도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액체, 현탁액등과 같은 점성 특성이 없는 건식 입자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전되지 않은 입자를 주입한 후에 상하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입자들을 서로 충돌시켜 충돌에 따른 전하를 띠게 하여 대전입자를 형성하는 건식방식의 충돌대전형의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articles 6 and 7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image expression, and two kinds of charged particles having different colors and charging characteristics may be mixed and injected, respectively. The particles 6 and 7 may be charged with charged or non-chargeable particles. The kind of the particles 6 and 7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particles used for image expressio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hat is, not only a solid but also particles of an electrolyte solution, a suspension, a sol, a gel, a capsule, and a twist ball may be included.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inject dry particles having no viscous properties such as liquid, suspension and the like. That is,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dry collision type charged particles in which charged particles are form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fter injecting uncharged particles to collide the particles with each other to form a charge due to a collision. .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극 극성에 따라 대전되는 대전입자들(9)이 각 전극으로 끌려가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픽셀별로 적색, 녹색, 청색을 구현하기 위해 상판에 컬러필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대전입자들로부터 투과되는 광을 필터링하여 원하는 색상을 얻을 수 있다.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sufficient voltage is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charged particles 9 charged according to the applied electrode polarity are attracted to each electrod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color filter may be provided on the top plate to implement red, green, and blue colors for each pixel, and a desired color may be obtained by filtering light transmitted from the charged particles.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only make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erely illustrativ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에 각각 내접하는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상기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사이에서 화소를 분할하여 화소공간을 형성하는 격 벽; 및 상기 화소공간에 봉입되는 다수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입자는 표면이 거칠게 표면개질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substrate and an upper substrat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lower electrode and an upper electrode inscribed to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respectively; A partition wall which divides pixels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to form a pixel space; And a plurality of particles encapsulated in the pixel space, wherein the particles have a rough surface modified surfac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하부전극이나 상부전극과 접촉하는 입자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정전기력을 이용하는 접점의 갯수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입자를 구동시키는 전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입자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고분자 폴리머 레진의 가교력을 향상시켜서 외첨제가 잘 들러붙도록 하고, 이에 따라 입자의 유동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구동전압을 낮출 수도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particles in contact with the lower electrode or the upper electrode can be reduced, the number of contacts using the electrostatic forc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voltage for driving the particles. In addition, through the surface modification of the particles to improve the crosslinking force of the polymer resin resin to adhere the external additives well, thereby increasing the fluidity of the particles may lower the driving voltage.

나아가, 하부전극 또는 상부전극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하부절연층 또는 상부절연층이 있는 경우라면, 입자는 상기한 절연층과 접촉하는 입자의 면적을 줄임으로써, 적은 구동전압으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if there is a lower insulating layer or upper insulating layer that can be selectively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or the upper electrode, the particles can move freely even with a small driving voltage by reducing the area of the particles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layer. It has an effec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입자의 표면을 개질시킴으로써 입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두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의 크기를 낮출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또는 새로운 형태의 입자를 제공하여, 구동회로의 마진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화질의 소자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method or a new type of particles that can reduc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two electrodes to drive the particles by modifying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thereby securing more margin of the driving circu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of excellent image quality at low cost.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A lower substrate and an upper substrat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에 각각 내접하는 하부전극과 상부전극;A lower electrode and an upper electrode inscribed to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respectively; 상기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사이에서 화소를 분할하여 화소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및A partition wall which divides the pixel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to form a pixel space; And 상기 화소공간에 봉입되는 다수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It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cles encapsulated in the pixel space, 상기 입자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표면이 거칠게 표면개질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particle is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rough surface modification by the plasma treat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저온 플라즈마(low temperature plasma 또는 glow discharge)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plasma treatment is a low temperature plasma or glow discharge treat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입자는 다공성(porous)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rticles have a porous surface by the plasma treat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입자의 표면에는 가교(cross-linking)나 접목(graftin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cross-linking or grafting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by the plasma treat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는 아르곤(Ar), RF(radio frequency) 아르곤(Ar), 헬륨(He), 수소(H2), 산소(O2), 질소(N2), 암모니아(NH3), 메탄(CH4), 아세틸렌(acetylene), 수소와 질소가 혼합된 저온 RF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gas used in the plasma treatment is argon (Ar), RF (radio frequency) argon (Ar), helium (He), hydrogen (H 2 ), oxygen (O 2 ), nitrogen (N 2) ), Ammonia (NH 3 ), methane (CH 4 ), acetylene, acetylene (acetylen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 consisting of a low-temperature RF mixed with hydrogen or nitrogen or a combination there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가 산소(O2) 가스인 경우, 입자의 표면에서는 산화반응이 일어나거나 휘발성 산화물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when the gas used for the plasma treatment is an oxygen (O 2 ) gas, an oxidation reaction occurs or a volatile oxide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가 질소(N2) 또는 아르곤(Ar) 가스인 경우, 입자의 표면에는 질소가 함유된 관능기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when the gas used for the plasma treatment is nitrogen (N 2 ) or argon (Ar) gas,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nitrogen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되는 기체가 아르곤(Ar) 가스이 고, RF(radio frequency)로 플라즈마를 일으키는 경우, 입자의 표면에 높이 1 ㎛ 정도의 원추체가 109 cm-2의 밀도로 형성되거나 -C-O 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as used in the plasma treatment is argon (Ar) gas, the plasma having a radio frequency (RF), the cone having a height of about 1 ㎛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 density of 10 9 cm -2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r -CO bond is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입자의 표면 접촉각은 5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urface contact angle of the particles is 50 degrees or less by the plasma treat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입자의 표면은 친수성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is hydrophilic by the plasma treatment.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고분자 레진 주위에 외첨제가 구형으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이고, 염색된 안료나 염료 및 대전제어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13, wherein the particles are in a form in which an external additive is spherically enclosed around the polymer resin, and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dyed pigments, dyes and charge control agents.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대전 또는 비대전된 건식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13, wherein the particles are charged or uncharged dry particles.
KR1020060037030A 2006-04-25 2006-04-25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KR1007891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030A KR100789110B1 (en) 2006-04-25 2006-04-25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030A KR100789110B1 (en) 2006-04-25 2006-04-25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061A KR20070105061A (en) 2007-10-30
KR100789110B1 true KR100789110B1 (en) 2007-12-26

Family

ID=3881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030A KR100789110B1 (en) 2006-04-25 2006-04-25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11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6341A (en) * 1998-08-10 2000-02-25 Sony Corp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JP2004301947A (en) * 2003-03-28 2004-10-28 Casio Comput Co Ltd Display device
KR20050000702A (en) * 2003-06-24 2005-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A electrophoretic p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phoretic display having the same
KR20060065784A (en) * 2004-12-10 2006-06-14 제일모직주식회사 Bump type conductive particle composition with anisotropic conduction and anisotropic conductive fil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6341A (en) * 1998-08-10 2000-02-25 Sony Corp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JP2004301947A (en) * 2003-03-28 2004-10-28 Casio Comput Co Ltd Display device
KR20050000702A (en) * 2003-06-24 2005-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A electrophoretic p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phoretic display having the same
KR20060065784A (en) * 2004-12-10 2006-06-14 제일모직주식회사 Bump type conductive particle composition with anisotropic conduction and anisotropic conductive fil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061A (en) 200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4692B (en) Pigment particles for electrophoretic display
EP2041739B1 (en) Electrophoretic medium with improved image stability
US7230750B2 (en) Electrophoretic media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230751B2 (en) Electrophoretic displays using gaseous fluids
TWI251710B (en) Electrophoretic dispersion, 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20100148385A1 (en) Electrophoretic media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20080158652A1 (en) Display medium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110268317B (en) Polymer additives for color electrophoretic display media
US20120212798A1 (en) Electrophoretic element and display device
EP1857862A2 (en) Electrophoretic display nediums, devices and methods of displaying images with such devices
WO2006040928A1 (en) Display mediu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05024505A1 (en) Liquid for electrophoretic display and display medium and display employing it
JP2008051931A (en) Electrophoretic display medium
KR100789110B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KR20110083698A (en) Electrophoretic media
JP4578270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liquid, display medium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N114868078A (en) Color electrophoretic layer comprising microcapsules with non-ionic polymer walls
KR100710996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by plasma treatment and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662198B1 (en) E-paper display
KR100786482B1 (en) White Particle For Electronic Paper Using Collision Electrification and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60098B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Having Stacked Insulating Layer Structure
KR100747921B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using inert gas as medium
JP4450742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liquid, display medium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JP2005172845A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119189A (en) Charged particle,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nd electrophoresis display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