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979B1 -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979B1
KR100788979B1 KR1020060104396A KR20060104396A KR100788979B1 KR 100788979 B1 KR100788979 B1 KR 100788979B1 KR 1020060104396 A KR1020060104396 A KR 1020060104396A KR 20060104396 A KR20060104396 A KR 20060104396A KR 100788979 B1 KR100788979 B1 KR 100788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hole
horizontal member
retaining wall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원
서창원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주)한국해외기술공사
남양건설(주)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주)한국해외기술공사, 남양건설(주),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과 동체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옹벽의 후면에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볼트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에 내측으로 다수개의 연결공과 장공이 형성된 스트립이 결합됨으로서 토사와의 마찰력이 증가되고 수평부재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 옹벽이 토체구조물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수평부재 내측에 체결되는 스트립에 장공을 형성하여 수평부재에 고정함으로서 상기 스트립의 상측에 로울러를 이용한 토사 채움작업시 스트립이 좌, 우로 유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스트립의 손상이 방지되며, 상기 스트립의 일측에 보강판이 볼트결합되어 스트립의 수명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공에 연결부가 끼움결합되어 이웃하는 스트립과 연결됨으로서 스트립의 강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토사와의 마찰력이 향상되어 견고한 옹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스트립, 장공, 결합공, 체결공, 보강판, 수평부재, 연결부, 연결공

Description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STRIP CONNECTING STRUCTURE OF BREAST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수직부재 2:수평부재
21:상부면 22:하부면
211,221:결합공 3:스트립
31:연결공 32:제1장공
33:제1체결공 4:제1보강판
4':제2보강판 5:연결부
본 발명은 옹벽 후면의 수평부재에 결합되어지는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과 동체화되도록 하 기 위하여 옹벽의 후면에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볼트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에 내측으로 다수개의 연결공과 장공이 형성된 스트립이 결합됨으로서 토사와의 마찰력이 증가되고 수평부재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 옹벽이 토체구조물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세워지는 벽체를 말하는 것으로 자연재해 등에 의하여 옹벽의 붕괴가 발행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옹벽의 후면 공간부에 토사를 채워 토체구조물을 형성시킴으로서 옹벽을 보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옹벽이 토체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하기 위하여 바 형태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직교되게 교차되어 옹벽틀이 만들어지고, 상기 수평부재 내측에 두께가 얇고 긴 형상의 스트립이 체결되어 토체구조물 속에 앵커됨으로서 옹벽이 지지되어진다.
종래에는 옹벽 후면의 토체구조물에 앵커되는 스트립의 일측은 옹벽과 고정되고 타측은 앵커내지 콘크리트 양생을 통하여 고정된 후 토사채움작업이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스트립의 양방향이 고정되는 경우 작업의 특성상 스트립이 고정설치됨으로서 스트립이 손상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함과 동시에 스트립과 연결된 수평부재에도 충격이 전달되어 옹벽틀 자체에 결함요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트립의 결합구조를 강화하고자 스트립의 일측을 U자형상으로 절곡하여 중첩형성시키는 경우 현실적으로 시공이 어려워 시공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트립의 경우 스트립과 토사간에 별도의 마찰력이 형성되지 않 아 옹벽과 토체구조물간의 분리현상 및 침하현상 등이 발생하며, 충분한 마찰력의 확보를 위하여 스트립의 길이를 연장시킬 경우에는 토체구조물의 부피가 크게 확대될 수 밖에 없으므로 시공성 및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옹벽 후면의 수평부재에 결합되어지는 스트립의 일측 단부에 장공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스트립이 토사 채움 작업시 좌, 우로 유동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수평부재에 수월하게 볼트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스트립의 일측에 보강판을 결합하여 스트립이 수평부재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며, 스트립에 연결공을 형성시켜 이웃하는 스트립과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스트립의 강도가 강화됨과 동시에 토체구조물과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옹벽 후면에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가 볼트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2)에 스트립(3)이 결합되어지는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는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면(21)과 하부면(22)에 결합공(211)(221)이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트립(3)은 다수개의 연결공(3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제1장공(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장공(32)의 내측에 제1체결공(3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스트립(3)의 일측 단부에 제2장공(42)과 제2체결공(43)이 형성된 제1보강판(4)이 상기 제2체결공(43)과 제1체결공(33)을 관통한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보강판(4)이 체결 된 스트립(3)의 일측 단부가 상기 수평부재(2) 내측에 삽입되어 볼트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재(2)의 상부면(21)의 결합공(211), 보강판(4)의 제2장공(42), 스트립(3)의 제1장공(32), 수평부재(2) 하부면(22)의 결합공(221)을 관통하여 체결되어지고, 상기 스트립(3)의 연결공(31)과 이웃하는 스트립(3)의 연결공(31)에 연결부(5)의 연결다리(51)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3)의 일측 단부에 제2보강판(4')이 제1보강판(4)과 대향되어지게 볼트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와 수평부재와 스트립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확대하여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직부재(1)와 수직부재(1) 사이에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수평부재(2)가 볼트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2)에 스트립(3)이 등간격으로 체결되어진 것이다.
상기 스트립(3)은 다수개의 연결공(3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제1장공(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장공(32)의 내측에 제1체결공(33)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스트립(3)의 일측단부에 제2장공(42)과 제2체결공(43)이 형성된 제1보강판(4)이 상기 제2체결공(43), 제1체결공(23)을 관통한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스트립의 체결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장공(32)과 제2장공(42)은 볼트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립(3) 및 제1보강판(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부재(2)는 ㄷ자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지되 상, 하부면의 높이가 스트립(3)의 높이보다 훨씬 높게 형성되며, 상부면(21)과 하부면(22)에 결합공(211), (221)이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보강판(4)이 결합된 스트립(3)의 일측 단부가 상기 수평부재(2) 내측에 삽입되어 볼트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재(2) 상부면(21)의 결합공(211), 제1보강판(4)의 제2장공(42), 스트립(3)의 제1장공(32), 수평부재(2) 하부면(22)의 결합공(221)을 관통하여 체결되어짐으로서, 상기 스트립(3)이 상기 수평부재(2)에 결합되어도 수평부재(2) 내에서 볼트의 길이를 따라 상하로 자유롭게 유동가능하게 하며, 스트립(3)이 설치된 후 토사채움 작업에 따른 로울러의 압박시 스트립(3)에 형성된 장공이 볼트를 중심으로 상, 하로 이동이 용이하게 함으로서 스트립(3)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트립(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공(31)과 이웃하는 스트립(3)의 연결공(31)이 연결부(5)의 연결다리(51)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끼움결합되어 스트립 체결강도가 강화됨과 동시에 스트립(3)의 연결공에 끼워져 하측으로 관통된 연결다리가 토사와 긴밀하게 마찰됨으로서 스트립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의 결합이 완성된 후 돌채움작업을 마친 옹벽틀의 후면에 토사 채움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며, 상기 일단의 높이만큼 토사 채움작업이 완료되면 수직부재(1)에 등간격으로 볼트결합된 수평부재(2)의 내측으로 스트립(3)이 설치되어지고, 재차 토사채움작업이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토사채움작업과 스트립(3) 설치작업이 반복됨으로서 토체구조물이 완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부재(2)에 스트립(3)이 체결되어지되 스트립(3)의 일측에 제1보강판(4)이 볼트결합되 어 체결력이 향상되며, 제1보강판(4)과 스트립(3)에 각각 장공(42)(32)이 형성되어 볼트의 체결이 용이하게 되고 토사채움작업시 로울러에 대한 압박이 보다 탄력적으로 해소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트립(3)의 일측 단부에 제3장공(42')과 제3체결공(42')이 형성된 제2보강판(4')이 제1보강판(4)과 대향되어지게 상기 제1보강판(4)의 제2체결공(43), 스트립(3)의 제1체결공(33)을 관통한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수평부재(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볼트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재(2)의 상부면(21)의 결합공(211), 제1보강판(4)의 제2장공(42), 스트립(3)의 제1장공(32), 제2보강판(4')의 제3장공(42'), 수평부재(2) 하부면(22)의 결합공(221)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스트립(3)의 일측 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어지는 절곡부(34)가 형성되어짐으로서 스트립의 체결력이 강화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3장공(42')도 제1장공(32) 및 제2장공(42)과 동일한 형태로 제2보강판(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종래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트립(3)의 일측이 U자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수평부재(2) 내측으로 결합되어지는 것으로서 현실적으로 U자형상으로 절곡 형성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워 시공상의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옹벽 후면의 수평부재에 형성된 체결공과 스트립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가 관통되어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이 수평부재에 형성된 체결공에 비하여 연장형성된 장공으로 형성됨으로서 상기 수평부재의 내측에 고정되어진 스트립이 토사채움 작업시 상, 하, 좌, 우 로 유동가능하여 스트립 자체의 손상을 방지하며 로울러에 대한 압박이 보다 탄력적으로 해소되고, 상기 스트립의 일측에 보강판이 볼트결합됨으로서 스트립의 체결강도가 보다 향상되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트립에 형성된 연결공에 연결부가 끼움결합되어 이웃하는 스트립과 연결됨으로서 스트립의 강도 및 결속력을 높임과 동시에 스트립 하측으로 관통되어 나온 연결부의 연결다리에 의하여 토사와의 마찰력이 향상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옹벽이 형성되는 것이다.

Claims (3)

  1. 옹벽 후면에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2)가 볼트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2)에 스트립(3)이 결합되어지는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는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부면(21)과 하부면(22)에 결합공(211)(221)이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트립(3)은 다수개의 연결공(3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제1장공(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장공(32)의 내측에 제1체결공(3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스트립(3)의 일측 단부에 제2장공(42)과 제2체결공(43)이 형성된 제1보강판(4)이 상기 제2체결공(43)과 제1체결공(33)을 관통한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1보강판(4)이 체결된 스트립(3)의 일측 단부가 상기 수평부재(2) 내측에 삽입되어 볼트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재(2)의 상부면(21)의 결합공(211), 제1보강판(4)의 제2장공(42), 스트립(3)의 제1장공(32), 수평부재(2) 하부면(22)의 결합공(221)을 관통하여 체결되어지고, 상기 스트립(3)의 연결공(31)과 이웃하는 스트립(3)의 연결공(31)에 연결부(5)의 연결다리(51)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3)의 일측 단부에 제2보강판(4')이 제1보강판(4)과 대향되어지게 볼트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4)과 결합되는 상기 스트립(3)의 일측 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어지는 절곡부(34)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
KR1020060104396A 2006-10-26 2006-10-26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 KR100788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396A KR100788979B1 (ko) 2006-10-26 2006-10-26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396A KR100788979B1 (ko) 2006-10-26 2006-10-26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979B1 true KR100788979B1 (ko) 2007-12-27

Family

ID=3914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396A KR100788979B1 (ko) 2006-10-26 2006-10-26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305B1 (ko) * 2024-02-19 2024-04-16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메시패널을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및 메시패널 옹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886A (ko) * 2002-12-23 2004-06-30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건설용 스트립형의 보강메시 및 이를 이용한 토체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886A (ko) * 2002-12-23 2004-06-30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건설용 스트립형의 보강메시 및 이를 이용한 토체구조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10-2004-55886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305B1 (ko) * 2024-02-19 2024-04-16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메시패널을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및 메시패널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814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KR100801480B1 (ko) 옹벽의 지오그리드 결합구조
CN213063583U (zh) 采用直线型预应力索的地下管幕组合式预应力结构
CA2756268C (en)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39314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립 보강재
JP5688508B2 (ja) 盛土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382609B1 (ko) 흙막이용 토류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129657A (ko)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101232604B1 (ko) 강재토류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19001B1 (ko) 흙막이용 토류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15098B1 (ko) 흙막이 구조물
KR101386275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521557B1 (ko) 차수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0788979B1 (ko) 옹벽의 스트립 결합구조
KR101331219B1 (ko) 선단지지력이 보강된 마이크로 파일
KR101388478B1 (ko) 아치형 토류판
KR101651824B1 (ko) 공동주택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토류판
KR102560550B1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CN213389556U (zh) 一种结构加强型双层土工格栅
KR101534058B1 (ko) 하중 지지 영구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091972B1 (ko) 흙막이용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공법
KR20140008207A (ko) 마찰저감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공법
KR101193074B1 (ko) 외부 내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패널을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상부 구조물의 기초 보강 방법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