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918B1 -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918B1
KR100787918B1 KR1020060063809A KR20060063809A KR100787918B1 KR 100787918 B1 KR100787918 B1 KR 100787918B1 KR 1020060063809 A KR1020060063809 A KR 1020060063809A KR 20060063809 A KR20060063809 A KR 20060063809A KR 100787918 B1 KR100787918 B1 KR 10078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coupled
sewage pipe
backflow preven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이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기 filed Critical 이상기
Priority to KR102006006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관의 내부에 역류방지구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된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구는 하수관에 중공형태를 갖는 연결부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비닐튜브가 구비된 튜브고정부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외주연부의 가운데 걸림턱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연결부의 외주연부에 숫나사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비닐튜브는 일측이 튜브고정부의 상부를 감아 외주연부에 열접착되어지며 타측이 하수관을 통해 하수관의 끝에 설치된 수집함까지 연장되어지고, 상기 튜브고정구는 링형태를 갖는 것으로 그 내주연부에 상기 숫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 하수가 비닐튜브의 내부를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하수관에서 발생된 악취가 비닐튜브의 내부를 따라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장마로 인한 집중 호우시 하수관을 통해 하수가 역류될 경우 하수관 내부에 있는 비닐튜브가 하수관의 입구측으로 밀려 올라가는 과정에서 하수관의 내부에 뭉쳐진 상태로 있음에 따라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수관, 역류방지구, 비닐튜브, 튜브고정부, 열접착

Description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The structure for preventing reverse flow of the drain pip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역류방지구 110:연결부
111:걸림턱 112:숫나사
120:비닐튜브 130:튜브고정부
131:암나사 500:하수관
700:수집함
본 발명은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수관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하나의 비닐튜브가 관통되어지게 설치됨으로써 평상시는 하수가 비닐튜브의 내부를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하수관에서 발생된 악취가 비닐튜브의 내부를 따라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장마로 인한 집중 호우시 하수관을 통해 하수가 역류될 경우 하수관 내부에 있는 비닐튜브가 하수관의 입구측으로 밀려 올라가는 과정에서 하수관의 내부에 뭉쳐진 상태로 있음에 따라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에서 사용되어지는 하수는 그 지하에 매설된 작은 하수관을 통하여 보다 큰 하수관으로 합류되어지고, 큰 하수관에 합류된 하수는 하수처리장을 거쳐 정화된 상태로 하천이나 해역으로 방류되어진다.
하수관은 통상 직통으로 뚫려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짐으로써 그 내부의 하수에서 발생된 냄새나 악취 등이 역류하여 그 주변으로 확산되어 불쾌감을 주며 그 속에 서식하고 있는 해충이 하수관을 통해 들어오는 입구 역할을 하는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수관에 벤딩된 형태를 갖는 배수트랩을 결합시켜 배수되어지는 하수의 일부가 항상 하수관의 내부에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하여 악취가 역류되거나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을 계속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배수트랩의 내부에 적당량의 물이 채워져 있음으로써 악취 및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으나 물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수트랩내의 물이 말라 개방됨으로써 악취가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수관의 입구측에 힌지식으로 결 합된 패널이 설치되어지며 패널의 일측에 추를 결합시켜 평상시는 추의 무게로 인하여 입구측이 폐쇄되어지도록 하고, 하수를 버릴 경우 버려지는 하수 압력 또는 무게에 의하여 입구측이 개방되어지는 역류방지구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장마철 집중 호우로 인하여 하수관을 통해 하수 및 우수가 역류될 경우 입구측과 패널 사이의 틈을 통해 그대로 역류됨에 따라 침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수관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하나의 비닐튜브가 관통되어지게 설치됨으로써 평상시는 하수가 비닐튜브의 내부를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하수관에서 발생된 악취가 비닐튜브의 내부를 따라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장마로 인한 집중 호우시 하수관을 통해 하수가 역류될 경우 하수관 내부에 있는 비닐튜브가 하수관의 입구측으로 밀려 올라가는 과정에서 하수관의 내부에 뭉쳐진 상태로 있음에 따라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하수관의 일부에 크랙이 발생되었을 경우 크랙을 통해 하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비닐튜브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관(500)의 내부에 역류방지구(10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된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구(100)는 하수관(500)에 중공형태를 갖는 연결부(11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 부(110)의 상부에 비닐튜브(120)가 구비된 튜브고정부(13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부(110)는 외주연부의 가운데 걸림턱(11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걸림턱(111)이 형성된 연결부(110)의 외주연부에 숫나사(11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비닐튜브(120)는 일측이 튜브고정부(130)의 상부를 감아 외주연부에 열접착되어지며 타측이 하수관(500)을 통해 하수관(500)의 끝에 설치된 수집함(700)까지 연장되어지고, 상기 튜브고정구(130)는 링형태를 갖는 것으로 그 내주연부에 상기 숫나사(112)에 결합되는 암나사(131)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비닐튜브(120)가 열접착되어진 튜브고정부(130)의 상부에는 악취역류방지구(200)가 결합된 하수유입구(30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하수유입구(300)는 다수개의 하수유입홈(310)이 형성된 타공판(320)과, 상기 타공판(320)의 하부에 제1관통홈(330)이 형성되어진 유입가이드판(34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유입가이드판(340)은 제1관통홈(330)을 향하여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악취역류방지구(200)는 유입가이드판(340)의 제1관통홈(330)에 배수홈(210)이 형성된 유입캡(220)이 연결부재(230)에 의하여 걸려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유입캡(220)의 상부에 하부로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깔대기(240)가 유입캡(220)을 눌러주는 형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1관통홈(330)에 제1나선돌기(24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230)에 제1나선홈(233)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부재(230)의 내주연부에 걸림턱(231)을 형성하여 유입캡(220)의 테두리가 걸려지고, 상기 연결부재(230)의 내주연부 상측에 제2나선홈(23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2나선홈(232)에 결합되어지는 제2나선돌기(241)를 깔대기(240)의 상부에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깔대기(240)의 내면에 손잡이(242)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가이드판(340)에 형성된 제1관통홈(330)이 상기 튜브고정구(1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바닥(600)을 관통하도록 시공된 하수관(500)의 입구측에 역류방지구(10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구(100)의 상부에는 악취역류방지구(200)가 결합된 하수유입구(300)가 안착 또는 덮혀지는 형태를 갖도록 시공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역류방지구(100)는 평상시는 욕실이나 기타 물이 사용되어지는 공간에서 버려지는 하수가 하수관(500) 내부의 배수 저항없이 자연스럽게 배수되어지도록 하며 역방향 즉, 하수관(500)으로 부터 역류방지구(100)를 통해 물이 사용되어지는 공간으로 악취 및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집중호우시 발생되어지는 하수 및 우수의 역류를 막아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된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역류방지구(100)는 하수가 유입되어지는 하수관(500)의 상부 또는 상단인 유입측에 중공형태를 갖는 연결부(11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 결부(110)의 상부에는 비닐튜브(120)가 구비된 튜브고정부(13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10)는 외주연부의 가운데 걸림턱(111)을 형성하여 연결부(110) 자체가 하수관(5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111)이 형성된 연결부(110)의 외주연부에 숫나사(112)를 형성하여 튜브고정부(130)가 나사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나중에 이를 분리시켜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닐튜브(120)는 그 일측단이 튜브고정부(130)의 상부를 감아 튜브고정부(130)의 외주연부에 열접착되어지며 그 타측단이 하수관(500)을 통해 하수관(500)의 끝에 설치된 수집함(700)까지 연장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닐튜브(120)를 고정하는 튜브고정구(130)는 링형태를 갖는 것으로 그 내주연부에 상기 숫나사(112)에 결합되는 암나사(131)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부(110)를 하수관(500)의 상부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억지끼워맞춤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분리되는 것과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량 접착제를 하수관(500)의 상부 내측이나 연결부(110)에 도포되어지도록 한 후 결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하수유입구(300)는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넘친 물이 한곳으로 모여 하수관(500)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지도록 하며 동시에 후술하는 악취역류방지구(200)가 용이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역류방지구(100)의 튜브고정 부(13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수유입구(300)는 상기 비닐튜브(120)가 열접착되어진 튜브고정부(130)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것으로 다수개의 하수유입홈(310)이 형성된 타공판(320)과, 상기 타공판(320)의 하부에 제1관통홈(330)이 형성되어진 유입가이드판(340)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입가이드판(340)은 주변으로 부터 중심을 향하여 물이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1관통홈(330)을 향하여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가이드판(340)에 형성된 제1관통홈(330)이 상기 튜브고정구(1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나중에 튜브고정구(13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악취역류방지구(200)는 하수유입구(300)에 형성된 제1관통홈(330)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는 것으로 후술하는 유입캡(220)의 내측에 일정량의 하수가 채워지도록 하고, 채워진 하수속에 깔대기(240)의 하단이 잠겨지도록 하여 하수관(500) 또는 하수관(500)과 비닐튜브(120) 사이로 유입되는 악취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악취역류방지구(200)는 상기 튜브고정부(130)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것으로 유입가이드판(340)에 형성된 제1관통홈(330)에 배수홈(210)이 형성된 유입캡(220)이 연결부재(230)에 의하여 걸려져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캡(220)의 상부에 하부로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깔대기(240)가 유입 캡(220)을 눌러주는 형태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홈(330)에는 제1나선돌기(241)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재(230)에 형성된 제1나선홈(233)이 서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230)의 내주연부에는 걸림턱(231)을 형성하여 유입캡(220)의 테두리가 걸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30)의 내주연부 상측에는 제2나선홈(232)을 형성하고, 상기 제2나선홈(232)에 결합되어지는 제2나선돌기(241)를 깔대기(240)의 상부에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깔대기(240)의 내면에는 손잡이(242)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깔대기(240)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하수관에 역류방지구(100)와 악취역류방지구(200) 및 하수유입구(300)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먼저, 바닥(600)에 노출되도록 시공된 하수관(500)의 상부에 연결부(110)의 걸림턱(111)이 걸쳐지도록 결합시킨 후 하수관(500)의 끝에서 미도시한 와이어를 넣어 와이어의 선단이 하수관(500) 및 하수관(500)에 결합된 연결부(110)로 노출되도록 하고, 연결부(110)로 토출된 와이어에 비닐튜브(120)의 끝을 걸어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비닐튜브(120)가 연결부(110) 및 하수관(500)을 통해 하수관(500)의 끝으로 인출되어진다. 이때 하수관(500)의 끝으로 인출된 비닐튜브(120)는 수집함(700)의 내부에 위치되어지게 된다.
다음, 비닐튜브(120)에 고정된 튜브고정부(130)의 암나사(131)를 연결부(110)의 숫나사(112)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역류방지구(100)가 설치되어지고, 역 류방지구(100)의 상부에 타공판(320)이 결합된 유입가이드판(340)을 갖는 하수유입구(300)를 안착시킨 후 안착된 유입가이드판(340)의 제1관통홈(330)에 형성된 제1나선돌기(241)에 연결부재(230)의 제2나선홈(232)을 결합시킨다.
다음, 연결부재(230)의 걸림턱(231)에 유입캡(220)의 가장자리가 걸려지도록 삽입한 후 깔대기(240)의 손잡이(242)를 잡고 깔대기(240)의 제2나선돌기(241)를 연결부재(230)에 형성된 제2나선홈(232)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작업이 마무리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물(하수)를 바닥으로 버리게 됨과 동시에 버려진 물은 바닥(600)을 따라 흐르면서 하수유입구(300)의 타공판(320)에 형성된 하수유입홈(310)을 통해 하부로 흐르게 되고, 하수유입홈(310)을 통해 흐른 하수는 유입가이드판(340)의 중앙에 형성된 제1관통홈(330)으로 모이게 된다.
제1관통홈(330)으로 모인 하수는 다시 깔대기(240)의 하부를 통해 유입캡(220)의 하부로 흐르게 되며 유입캡(220)에 채워진 하수는 배수홈(210)을 따라 비닐튜브(120)를 통해 배수되어진다.
집중호우로 인하여 하수관(500)을 통해 우수와 하수가 역류될 경우 하수관(500)내부에 있는 비닐튜브(120)가 하수유입구(300)를 향하여 밀려 올라오는 과정에서 비닐튜브(120)가 하수유입구(300) 및 악취역류방지구(200)에 의하여 뭉처진 상태로 됨에 따라 역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평상시 하수관에서 발생된 악취는 비닐튜브(120)의 내면 일부가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가 됨에 따라 악취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지게 되며, 간혹 비닐튜브(120)의 내부로 악취가 유입된다 하더라도 유입캡(220)의 하부에 어느 정도 의 하수가 채워진 상태로 있고, 이 하수속에 깔때기의 하단이 잠겨진 상태로 있게 됨에 따라 비닐튜브(120)의 내부를 통해 역류된 악취가 다시 깔대기(24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역류방지구(10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하수유입구(300)를 구성하는 유입가이드판(340)에 결합된 악취역류방지구(200)의 연결부재(230)를 분리한 후 연결부(110)에 결합된 튜브고정부(1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한 후 비닐튜브(120)를 설치할 때와 동일한 과정으로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관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하나의 비닐튜브가 관통되어지게 설치됨으로써 평상시는 하수가 비닐튜브의 내부를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하수관에서 발생된 악취가 비닐튜브의 내부를 따라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마로 인한 집중 호우시 하수관을 통해 하수가 역류될 경우 하수관 내부에 있는 비닐튜브가 하수관의 입구측으로 밀려 올라가는 과정에서 하수관의 내부에 뭉쳐진 상태로 있음에 따라 하수의 역류를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비닐튜브가 하수관의 입구부터 출구를 향하여 설치되어짐으로써 하수관의 일부에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외부로 하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하수관(500)의 내부에 역류방지구(10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된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구(100)는 하수관(500)에 중공형태를 갖는 연결부(11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부(110)의 상부에 비닐튜브(120)가 구비된 튜브고정부(13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부(110)는 외주연부의 가운데 걸림턱(11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걸림턱(111)이 형성된 연결부(110)의 외주연부에 숫나사(11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비닐튜브(120)는 일측이 튜브고정부(130)의 상부를 감아 외주연부에 열접착되어지며 타측이 하수관(500)을 통해 하수관(500)의 끝에 설치된 수집함(710)까지 연장되어지고, 상기 튜브고정구(130)는 링형태를 갖는 것으로 그 내주연부에 상기 숫나사(112)에 결합되는 암나사(131)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튜브(120)가 열접착되어진 튜브고정부(130)의 상부에는 악취역류방지구(200)가 결합된 하수유입구(30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하수유입구(300)는 다수개의 하수유입홈(310)이 형성된 타공판(320)과, 상기 타공판(320)의 하부에 제1관통홈(330)이 형성되어진 유입가이드판(34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유입가이드판(340)은 제1관통홈(330)을 향하여 낮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역류방지구(200)는 유입가이드판(340)의 제1관통홈(330)에 배수홈(210)이 형성된 유입캡(220)이 연결부재(230)에 의하여 걸려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유입캡(220)의 상부에 하부로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깔대기(240)가 유입캡(220)을 눌러주는 형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1관통홈(330)에 제1나선돌기(24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230)에 제1나선홈(233)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부재(230)의 내주연부에 걸림턱(231)을 형성하여 유입캡(220)의 테두리가 걸려지고, 상기 연결부재(230)의 내주연부 상측에 제2나선홈(23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2나선홈(232)에 결합되어지는 제2나선돌기(241)를 깔대기(240)의 상부에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깔대기(240)의 내면에 손잡이(242)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가이드판(340)에 형성된 제1관통홈(330)이 상기 튜브고정구(1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KR1020060063809A 2006-07-07 2006-07-07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KR10078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09A KR100787918B1 (ko) 2006-07-07 2006-07-07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09A KR100787918B1 (ko) 2006-07-07 2006-07-07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918B1 true KR100787918B1 (ko) 2007-12-24

Family

ID=3914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809A KR100787918B1 (ko) 2006-07-07 2006-07-07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91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443U (ko) * 1997-08-21 1999-03-15 이형종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192968Y1 (ko) * 2000-03-14 2000-08-16 오천리 하수구용 냄새 차단장치
KR200229066Y1 (ko) * 2001-01-16 2001-07-19 도남호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0286092Y1 (ko) * 2002-05-24 2002-08-21 김종호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298296Y1 (ko) * 2002-05-15 2002-12-18 김성숙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KR200368838Y1 (ko) * 2004-08-18 2004-12-03 서성탁 하수관로 악취 및 벌레 차단장치(튜브)
KR100541670B1 (ko) * 2005-08-19 2006-01-11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씽크대의 잔반처리 시공을 위한 배수구조
KR200415866Y1 (ko) * 2006-02-20 2006-05-10 이준기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배수트랩용 상부 가이드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443U (ko) * 1997-08-21 1999-03-15 이형종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192968Y1 (ko) * 2000-03-14 2000-08-16 오천리 하수구용 냄새 차단장치
KR200229066Y1 (ko) * 2001-01-16 2001-07-19 도남호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0298296Y1 (ko) * 2002-05-15 2002-12-18 김성숙 하수관의 악취 역류방지구
KR200286092Y1 (ko) * 2002-05-24 2002-08-21 김종호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368838Y1 (ko) * 2004-08-18 2004-12-03 서성탁 하수관로 악취 및 벌레 차단장치(튜브)
KR100541670B1 (ko) * 2005-08-19 2006-01-11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씽크대의 잔반처리 시공을 위한 배수구조
KR200415866Y1 (ko) * 2006-02-20 2006-05-10 이준기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배수트랩용 상부 가이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9838A1 (en) Floor drain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100787918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구조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KR100712963B1 (ko) 배수관용 소음 및 역유입 방지장치
KR200439737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JP603473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とそれに用いる堰部材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100635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20090078080A (ko) 빗물받이 일체형 오수받이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CN101654922A (zh) 偏管a-f形系列地漏
KR200300280Y1 (ko) 배수조용 악취차단구
KR200493873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욕조배수유도장치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200229066Y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0249102Y1 (ko) 냄새차단용 오수받이
KR200257162Y1 (ko) 배수트랩
KR200435801Y1 (ko) 배수트랩
KR940000287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관의 배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