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109B1 -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109B1
KR100787109B1 KR1020060056398A KR20060056398A KR100787109B1 KR 100787109 B1 KR100787109 B1 KR 100787109B1 KR 1020060056398 A KR1020060056398 A KR 1020060056398A KR 20060056398 A KR20060056398 A KR 20060056398A KR 100787109 B1 KR100787109 B1 KR 10078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service
home
osgi
middle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준
Original Assignee
(주)프로시스트테크놀로지코리아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시스트테크놀로지코리아,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프로시스트테크놀로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06005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 서비스 배포를 위한 기술로서 홈 게이트웨이와 서비스 배포자간의 유기적인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플랫폼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각종 미들웨어가 탑재된 복수의 홈 네트워크상의 원격지 관리서버와, 상기 OSGi 플랫폼과 각종 미들웨어를 지원하기 위한 복수의 미들웨어 번들을 탑재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상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홈 게이트웨이 및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상의 원격지 관리서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적합한 미들웨어 번들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다운로드하여 미들웨어간 상호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하며,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홈 네트워크상의 미들웨어를 지원하는 원격지 관리서버의 정보를 수집하고, OSGi 서비스에 의해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미들웨어 번들을 포함하는 미들웨어 번들모듈과, 상기 각 미들웨어 번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OSGi 서비스를 이용하여 각 미들웨어 번들과 상호 동작하여 서로 다른 미들웨어간의 원격지 관리서버에서 인식할 수 있는 번들의 변환을 수행함과 아울러 각 미들웨어 원격지 관리서버의 메시지를 서로 다른 홈네트워크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OSGi 라이브러리 및 상기 OSGi 라이브러리를 관리하고 운영하여 상기 OSGi 라이브러리 사이의 OSGi 서비스 등록과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OSGi 프레임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비쿼터스, OSGi, 개방형 플랫폼, 홈서비스, 원격

Description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Remote control home service system for supporting ubiquitous environment with using open plat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플랫폼상의 원격지 관리서버와 홈 게이트웨이간의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LC 번들이 설치된 홈 게이트웨이와 미들웨어를 활용한 원격지 관리서버의 서비스 전송에 사용되는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개방형 플랫폼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지 서비스 배포를 위한 기술로서 홈 게이트웨이와 서비스 배포자간의 유기적인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플랫폼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간 상호 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홈 네트워킹 시장은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홈 네트워킹 미들웨어, 지능형 정보가전 디바이스 및 주거용 게이트웨이들이 난립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하드웨어 플랫폼, 운영체제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른 수많은 서비스 개발환경이 존재한다.
특히, 스마트 홈(Smart-Home) 기술은 유비쿼터스 기술들 중의 하나로, 다양한 기능을 갖는 가정 내 디지털 정보기기들을 기능 공유, 데이터 공유, 원격 제어 등을 위해 네트워크로 연결됨을 의미하는 홈 네트워크의 개념을 넘어 서비스들의 지능화와 서비스들 간의 통합에 따른 더 나은 서비스를 창출해 내는 것들을 포함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이러한 스마트 홈 기술에서 여러 가지 서비스들을 관리하고 서로 연결해 줄 수 있는 기술에는 서비스 플랫폼이 필요한데, 대표적인 서비스 플랫폼으로는 비영리 표준화 단체인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에서 제시하는 OSGi 서비스 플랫폼이 있다. 상기 OSGi 서비스 플랫폼은 스마트 홈 환경에서 내부와 외부 환경의 연결을 담당하는 홈 게이트웨이의 내부에서 동작하며 내부의 장비와 서비스들을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외부의 다양한 서비스에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OSGi 핵심 표준에서는 프레임워크 내부에서 서비스와 장비들을 등록 (연결), 관리, 실행시키는 서비스 프레임워크와 몇 가지의 기초 서비스들을 정의하고 사용자 프로그램의 작성에 대한 내용을 정의하고 있다. 한편, OSGi 서비스 플랫폼에서의 프레임워크는 필요한 서비스를 설치, 등록하여 그 정보를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필요한 서비스를 요청할 때 해당 서비스를 검색하여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스마트 홈 환경에서 지능형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로컬 프레임워크의 서비스만이 아닌 원격 서비스와도 연동이 되어야 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컴퓨터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역동성을 전제하여야 한다. 또한, 개별 기기들이 지능화되고 처리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OSGi는 홈 네트워크 내 한 곳에서만이 아닌 여러 기기에서 동작할 수 있는 멀티 서비스 플랫폼(Multi-Service-Platform) 구조도 나타나게 되었는데, OSGi 서비스 플랫폼에서는 프레임워크 간의 통신이나 서비스 공유 방법 등에 대해서는 어떠한 지표도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OSGi 표준에서 정의하는 서비스의 이용은 하나의 프레임워크 안에서 동일한 서비스 저장소를 이용하는 서비스들간에 서로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데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개방형 플랫폼상의 서비스가 전송되는 활용 기술이 없으며, 제조사와 사용자간의 컨텐츠 지향형 서비스 모델이 부족하고, 제조사, 통신사, 서비스 시장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에 부합되는 서비스 표준화가 없다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조사와 사용자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와 이에 상응하는 서비스 전송의 실시간 처리 기술 및 질적인 수준에 부합하는 가치사슬 형성에 가전제품, 아파트, 사용자 단말기, 임베디드 장치간의 원격관리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도 1은 개방형 플랫폼상의 원격지 관리서버와 홈 게이트웨이간의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를 정보 네트워크, A/V 네트워크, 제어 네트워크의 세 가지 네트워크로 분류하고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에 속한 단말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장비에 대한 연결 기술(Ethernet, Bluetooth, 무선랜, IEEE 1394, 전력선 통신기술 등)이 필요하다. 좀 더 섬세한 조절과 장비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미들웨어가 필요한데 이것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Jini 등이다. 상기와 같은 장비 연결 및 제어로 얻을 수 있는 유효한 서비스로는 도 1과 같이 다양한 서비스들이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의 배포문제와 서비스가 작동하기 위한 제반 환경 제공을 목표로 하는 것이 바로 OSGi라고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OSGi는 자바 VM(Virtual Machine) 기반 하에서 작동하게 만들어진 표준으로 상기 자바 VM은 이질적인 임베디드 운영체제와 임베디드 CPU에서 오는 차이점들에 대한 완충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OSGi 서비스는 모두 번들(Bundle)이라 불리우는 물리적 묶음에 포함된다. 복수 개의 OSGi 서비스가 하나의 번들에 포함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번들은 배포와 관리의 기본 단위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번들을 관리해 주는 것이 바로 프레임워크이다. 상기 프레임워크는 서비스에 대한 등록/관리기(Service Registry)를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에 대한 등록/조회/실행/삭제 등을 수행한다. 또한 이벤트와 그에 따른 이벤트 탐지 및 대응 처리도 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이벤트는 장비에서 생성된 물리적 이벤트와는 관계가 없고, 서비스/번들/프레임워크의 세 가지 이벤트 산출자를 근간으로 하는 논리적 이벤트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OSGi 프레임워크는 번들 및 서비스 관리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고, 하나의 프레임워크 상에는 여러 개의 번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번들 중에 임의의 번들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번들은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여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번들은 서비스 번들,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번들은 클라이언트 번들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방형 플랫폼상의 미들웨어를 활용한 원격지 관리서버와 홈 게이트웨이간의 서비스 전송과 관련하여 사용된 OSGi R3에서 표준 명세의 구성요소 중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서비스 전송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지 서비스 배포를 위한 기술로서 홈 게이트웨이와 서비스 배포자간의 유기적인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도록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플랫폼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플랫폼에 있어서,
각종 미들웨어가 탑재된 복수의 홈 네트워크상의 원격지 관리서버와;
상기 OSGi 플랫폼과 각종 미들웨어를 지원하기 위한 복수의 미들웨어 번들을 탑재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상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홈 게이트웨이; 및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상의 원격지 관리서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적합한 미들웨어 번들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다운로드하여 미들웨어간 상호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하며,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홈 네트워크상의 미들웨어를 지원하는 원격지 관 리서버의 정보를 수집하고, OSGi 서비스에 의해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미들웨어 번들을 포함하는 미들웨어 번들모듈과;
상기 각 미들웨어 번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OSGi 서비스를 이용하여 각 미들웨어 번들과 상호 동작하여 서로 다른 미들웨어간의 원격지 관리서버에서 인식할 수 있는 번들의 변환을 수행함과 아울러 각 미들웨어 원격지 관리서버의 메시지를 서로 다른 홈네트워크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OSGi 라이브러리; 및
상기 OSGi 라이브러리를 관리하고 운영하여 상기 OSGi 라이브러리 사이의 OSGi 서비스 등록과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OSGi 프레임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LC(Power Line Control) 번들이 설치된 홈 게이트웨이와 미들웨어를 활용한 원격지 관리서버의 서비스 전송에 사용되는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원격지 관리서버와 홈 게이트웨이는 정보가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PLC(Power Line Control) 번들과;
상기 PLC 번들에서 제공된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보가전 제어가 구현되는 정보가전 제어 번들과;
상기 PLC 번들과 정보가전 제어 번들과 연결되어 HTTP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인터페이스 번들과;
상기 정보가전 제어 번들과 접속하기 위한 RS232 포트와 연결되는 접속 번들과;
상기 정보가전 제어 번들과 연결되어 PDA를 제어하기 위해 구현되는 PDA 제어 번들과;
상기 정보가전 제어 번들과 PDA 제어 번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WAP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인터페이스 번들과;
상기 PDA 제어 번들과 연결되어 PDA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PDA 인터페이스 번들; 로 구성된다.
상기 PLC 번들의 원격관리에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는 번들에서 사용하는 패키지를 관리하는 Package Admin과 각 번들마다 구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Configuration Admin, 번들에 대해서 권한이 할당되며 해당 번들은 주어진 권한 내의 작업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Permission Admin,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며, 역할 정보(Role Repository)를 이용하여 접근 권한에 대한 확인(Authorization)을 지원하는 User Admin,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조회/변경하는 기능 제공하는 Preferences, LDAP와 같이 데이터를 담고 있는 통과 같은 역할을 하는 서비스를 정의하고, 데이터 구조 또한 LDAP와 흡사한데, 객체가 있고 그 밑에 여러 속성들을 담을 수 있는 Meta Type, 상기 Meta Type은 LDAP처럼 다양한 쿼리(Query)는 불가능하고,ID로 찾는 방법만을 지원한다.
또한 서비스가 수행되면 상호 호출 등을 통하여 다른 서비스와의 의존관계가 생성된다. 이 때 관리자에 의해 번들이 정지 등의 상황이 생기면 번들에 속하는 모든 서비스가 정비되어야 하는데 의존관계에 있는 모든 다른 서비스들은 이처럼 정지된 서비스를 실행시킬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특정 서비스에 대한 추적을 쉽게 해주는 기능에 관련된 명세가 Service Tracker이다.
미들웨어와 관련하여 OSGi R3 권고명세의 구성요소는 외부의 Jini 서비스 탐색과 제어를 담당하며 외부에 대해 OSGi 서비스를 Jini 서비스로 포장해 주기도 하는 Jini와 UPnP 장비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는 UPnP, 등록 속성을 가지고 UPnP 디바이스 서비스를 등록하는 UPNP_Export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있다.
OSGi는 서비스가 작동하고 관리되는 서비스 환경에 관한 표준이다. 현재와 같이 초기단계의 홈 네트워킹 시장에서는 아직까지 장비제어 정도의 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많은 장비들이 상호작용할 시점에 이르면 미들웨어 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서비스가 점차적으로 고도화되어 질수록 OSGi와 같은 서비스 환경이 꼭 필요하게 될 것이다. 홈 네트워크상의 UPnP, HAVi, Jini와 같은 미들웨어가 주로 장비의 제어나 데이터 전달 등을 처리하게 되므로 OSGi는 상호 보완적인 위치에 있는 셈이다. OSGi를 사용하거나 구현하는 쪽에서는 이러한 미들웨어의 지원이 또 다른 고려사항임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OSGi R3에서 권고명세에 포함된 Jini와 UPnP 지원 외에도 오디오/비디오쪽 미들웨어의 표준인 HAVi나 전력선 제어부문의 미들웨어와 OSGi가 연계된다면 OSGi의 활용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도 전력선 제어부문의 미들웨어와 OSGi의 연계를 위해 PLC(Power Line Control) 번들과 상기 PLC 번들간의 서비스 전송모델 및 종전에 탑재된 미들웨어 지원 번들과 PLC가 설치된 홈 게이트웨이간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PLC와 관련된 번들을 생성해야 하는데 상기 번들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자바 클래스를 생성하고, 상기 자바 클래스로부터 번들 액티베이터 클래스를 생성하며, 번틀 액티베이터 클래스 및 자바 클래스로부터 번들의 매니페스트 파일을 생성한 후에 자바 소스 파일을 컴파일하고, 번들 액티베이터 클래스, 매니페스트 파일 및 컴파일을 통해 생성된 클래스를 번들 Jar 파일로 압축하여 생성한다.
상기 PLC 번들은 PLC 번들을 작동하기 위한 생성자로서 내외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각각의 설정목록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기본 URL 및 각각의 선언 값을 해쉬 테이블로 넣어 접근명을 정의하는 PLCHandler()와;
상기 PLCHandler() 시작 부분으로 서비스가 시작되고, BundleContext를 사용하는 Start(BundleContext bundlecontext)와;
상기 Start(BundleContext bundlecontext)에 의해 서비스가 시작되면 Localhost의 IP를 가져오는 getLocalIP()와;
상기 getLocalIP()에서 IP를 가져오면 상기 PLCHandler()가 정의한 Properties 목록을 다시 보내는 getProperties(Servlet servlet)과;
상기 getProperties(Servlet servlet)에 의해 Properties를 보내면 응답(response), 요청(request)을 해주는 부분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사용자 이벤트를 처리하는 doGet(request, response)와;
상기 PLC 번들에서 사용되는 곳을 등록하는 resourceForRegistering()과;
상기 Start(BundleContext bundlecontext)에서 시작된 서비스를 종료하는 Stop(BundleContext bundlecontext);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OSGi 서비스 플랫폼 동일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모든 OSGi 프레임워크에 서비스를 설치 등록한 후에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미들웨어인 UPnP와 홈 게이트웨이에 탑재된 PLC 서비스 번들 을 이용하여 등록 요청된 서비스가 존재할 경우 이를 제공하며, OSGi 프레임워크간의 서비스 공유를 수행하여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OSGi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의 임의의 OSGi 프레임워크간에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고, 독립된 OSGi 서비스 플랫폼에 서비스 전체를 설치하지 않고도 다른 서버로부터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기술적 파급효과로 사용자에게 산재하고 있는 멀티 디바이스(Multi-Device)와 이에 대한 멀티 펑션(Multi-Function)에 대한 원격 관리와 기술적으로는 유무선 홈 게이트웨이 표준화 작업을 주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격지 서비스 배포를 위한 기술로서 홈 게이트웨이와 서비스 배포자간의 유기적인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도록 각종 미들웨어가 탑재된 복수의 홈 네트워크상의 원격지 관리서버와,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플랫폼과 각종 미들웨어를 지원하기 위한 복수의 미들웨어 번들을 탑재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상의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홈 게이트웨이 및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상기 홈 네트워크상의 원격지 관리서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적합한 미들웨어 번들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다운로드하여 미들웨어간 상호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하며,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홈 네트워크상의 미들웨어를 지원하는 원격지 관리서버의 정보를 수집하고, OSGi 서비스에 의해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미들웨어 번들을 포함하는 미들웨어 번들모듈과, 상기 각 미들웨어 번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OSGi 서비스를 이용하여 각 미들웨어 번들과 상호 동작하여 서로 다른 미들웨어간의 원격지 관리서버에서 인식할 수 있는 번들의 변환을 수행함과 아울러 각 미들웨어 원격지 관리서버의 메시지를 서로 다른 홈네트워크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OSGi 라이브러리 및 상기 OSGi 라이브러리를 관리하고 운영하여 상기 OSGi 라이브러리 사이의 OSGi 서비스 등록과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OSGi 프레임워크로 이루어진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OSGi 플랫폼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관리서버와 홈 게이트웨이는 정보가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PLC(Power Line Control) 번들과;
    상기 PLC 번들에서 제공된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보가전 제어가 구현되는 정보가전 제어 번들과;
    상기 PLC 번들과 정보가전 제어 번들과 연결되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HTTP 인터페이스 번들과;
    상기 정보가전 제어 번들과 접속하기 위한 RS232 포트와 연결되는 접속 번들과;
    상기 정보가전 제어 번들과 연결되어 PDA를 제어하기 위해 구현되는 PDA 제어 번들과;
    상기 정보가전 제어 번들과 PDA 제어 번들을 연결시키기 위해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WAP 인터페이스 번들과;
    상기 PDA 제어 번들과 연결되어 PDA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PDA 인터페이스 번들;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LC 번들은 PLC 번들을 작동하기 위한 생성자로서 내외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각각의 설정목록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기본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각각의 선언 값을 해쉬 테이블로 넣어 접근명을 정의하는 PLCHandler()와;
    상기 PLCHandler() 시작 부분으로 서비스가 시작되고, BundleContext를 사용하는 Start(BundleContext bundlecontext)와;
    상기 Start(BundleContext bundlecontext)에 의해 서비스가 시작되면 Localhost의 IP를 가져오는 getLocalIP()와;
    상기 getLocalIP()에서 IP를 가져오면 상기 PLCHandler()가 정의한 Properties 목록을 다시 보내는 getProperties(Servlet servlet)과;
    상기 getProperties(Servlet servlet)에 의해 Properties를 보내면 응답(response), 요청(request)을 해주는 부분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사용자 이벤트를 처리하는 doGet(request, response)와;
    상기 PLC 번들에서 사용되는 곳을 등록하는 resourceForRegistering()과;
    상기 Start(BundleContext bundlecontext)에서 시작된 서비스를 종료하는 Stop(BundleContext bundlecontext); 로 구성된 PLC 번들 동작 번들과
    상기 홈 게이트웨이간의 원격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서비스 라이브러리는 번들에서 사용하는 패키지를 관리하는 Package Admin과;
    상기 각 번들마다 구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Configuration Admin과;
    상기 번들에 대해서 권한이 할당되며 해당 번들은 주어진 권한 내의 작업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Permission Admin과;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며, 역할 정보(Role Repository)를 이용하여 접근 권한에 대한 확인(Authorization)을 지원하는 User Admin과;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조회/변경하는 기능 제공하는 Preferences과;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와 같이 데이터를 담고 있는 통과 같은 역할을 하는 서비스를 정의하고, 데이터 구조 또한 LDAP와 흡사한데, 객체가 있고 그 밑에 여러 속성들을 담을 수 있으며, ID로 검색이 가능한 Meta Type과;
    특정 서비스에 대한 추적을 쉽게 해주는 기능에 관련된 명세가 Service Tracker;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LC 번들이 장착된 홈 게이트웨이와 미들웨어간 원격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 라이브러리는 UPnP 장비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하는 UPnP와;
    상기 UPnP 장비 등록 속성을 가지고 UPnP 디바이스 서비스를 등록하는 UPNP_Export;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
KR1020060056398A 2006-06-22 2006-06-22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 KR10078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398A KR100787109B1 (ko) 2006-06-22 2006-06-22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398A KR100787109B1 (ko) 2006-06-22 2006-06-22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109B1 true KR100787109B1 (ko) 2007-12-21

Family

ID=3914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398A KR100787109B1 (ko) 2006-06-22 2006-06-22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1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52B1 (ko) 2007-06-26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CN111949286A (zh) * 2019-05-14 2020-11-1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升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319846A (zh) * 2022-09-07 2023-06-23 安徽德诺科技股份公司 一种建筑内远程设备大数据智能化采控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066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게이트웨이와 오에스지아이 플랫폼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간 상호운용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87129A (ko) * 2004-02-25 200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OSGi 서비스 플랫폼 테스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테스트 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066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게이트웨이와 오에스지아이 플랫폼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간 상호운용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87129A (ko) * 2004-02-25 200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OSGi 서비스 플랫폼 테스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테스트 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52B1 (ko) 2007-06-26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기종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방법
CN111949286A (zh) * 2019-05-14 2020-11-1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升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319846A (zh) * 2022-09-07 2023-06-23 安徽德诺科技股份公司 一种建筑内远程设备大数据智能化采控平台
CN116319846B (zh) * 2022-09-07 2023-09-15 安徽德诺科技股份公司 一种建筑内远程设备大数据智能化采控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1600B2 (ja) ブリッジングする多数のホームネットワークソフトウェアアーキテクチャ
Valtchev et al. Service gateway architecture for a smart home
EP17756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me network device service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WEB service
US20080201723A1 (en) Method of Automatically Managing Associations Between Service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KR100637080B1 (ko)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Li et al.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 network system using OSGi compliant middleware
US7191232B2 (en) Extendable provisioning mechanism for a service gateway
KR100586866B1 (ko) 네트워크 상에서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80152313A1 (en) Box for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of devices
US20180191858A1 (en) System for managing data of user devices
Zhang et al. An OSGi and agent based control system architecture for smart home
Rellermeyer et al. Services everywhere: Osgi in distributed environments
KR100787109B1 (ko)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환경지원 원격 홈서비스 시스템
Wu et al. R-OSGi-based architecture of distributed smart home system
Pellegrino et al. Domotic house gateway
JP2003208366A (ja) 機器統合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構築装置
KR100571520B1 (ko) 일원화된 통합 미들웨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자원공유방법
US20180152314A1 (en) Interconnection box for user devices
Yiqin et al. Home networking and control based on upnp: An implementation
CN102724312A (zh) 事件消息发送方法
Cho Framework for the composition and inter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s based on heterogeneous middleware in residential networks
Saif Architectures for ubiquitous systems
KR20080000310A (ko) 홈네트워크 간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정보 공유 방법,그리고 정보 공유 생성 방법
US11329841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 remote action manager and a communication box
KR10113479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및 이기종 디바이스를 지원 가능한 다중 에이전트 기술에 기반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게이트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