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02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028B1
KR100787028B1 KR1020050056573A KR20050056573A KR100787028B1 KR 100787028 B1 KR100787028 B1 KR 100787028B1 KR 1020050056573 A KR1020050056573 A KR 1020050056573A KR 20050056573 A KR20050056573 A KR 20050056573A KR 100787028 B1 KR100787028 B1 KR 100787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ound source
feature
frequenc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0903A (en
Inventor
류창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028B1/en
Publication of KR20070000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9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0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을 적은 통신 대역폭 사용으로 전달하지만 사용자의 음성 인지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과 전달된 음성의 주파수 특성의 차이로 인해 전달된 음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의 특징을 판단하는 특징 필터와; 음성의 특징에 대응한 음원을 선택하는 음원 선택기와; 선택된 음원의 이득 조절에 의해 음성을 변조하는 혼합기와; 변조된 음성을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말기 모뎀으로 구성되어 음성을 변조하거나 음원을 혼합하여 원음을 다른 특성의 음으로 변환함으로써 음성의 저음 특성 또는 고음 특성으로 인한 음성의 부정확한 전달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vo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related ar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user's voice with less communication bandwidth but does not consider the user's vo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cognize the delivered voice due to the difference in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ature filter for determining the feature of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A sound source selector for selecting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of the voice; A mixer for modulating the voice by adjusting the gai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It consists of a terminal modem that transmits the modulated voice through a call channel, and modulates the voice or mixes the sound source to convert the original sound into a sound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reby preventing the inaccurate transmission of the voice due to the bass or trebl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There is.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o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transmission devic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transmiss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음성 합성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ech synthesizer of FIG.

도 4는 도 3의 성별 필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der filter of FIG.

도 5는 도 3의 음원 선택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source selector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방법의 동작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1 : 증폭기 22 : 성별 필터21: Amplifier 22: Gender Filter

23 : 음원 선택기 24 : 혼합기23: sound source selector 24: mixer

25 : 저역 필터25 low pass filt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음성을 변조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게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transmission device and a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ice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modulates the voice according to the user's gender to be able to talk to the other party.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증폭하여 보코더에서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신호로 변환시켜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QCELP는 CDMA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의 속도와 음량에 따라 부호화율을 가변하여 채널 사용량을 절약하는 음성 부호화 방법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말이 없을 때는 낮은 부호화율을 적용하여 개인의 채널 사용량을 절약하고, 사용자가 빨리 말할 때는 높은 부호화율을 적용하여 낮은 전송률에서도 우수한 음질을 내도록 하며 복잡한 계산량을 요구한다.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plifies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and converts it into a QCELP (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signal from the vocoder and transmits i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QCELP is a speech coding method that saves channel usage by varying the coding rate according to the speed and volume of speech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aves an individual channel usage by applying a low coding rate when there is no speech, and by applying a high coding rate when a user speaks quickly, a good sound quality is achieved even at a low transmission rate and requires a complicated calculation amount.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마이크(11)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코덱(12)에 전달하고 코덱(12)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보코더(13)로 전달한다. 보코더(13)는 음성의 속도와 음량을 판단하여 부호화율을 가변하여 음성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단말기 모뎀(14)에 전달하고 단말기 모뎀(14)은 음성 데이터를 통화 채널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oice transmission devic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icrophone 11 converts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dec 12. The codec 12 convert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analog signal to the vocoder 13. The vocoder 13 determines the speed and volume of the voice to vary the coding rate to encode the voice, and transmits the encoded voice data to the terminal modem 14, and the terminal modem 14 transmits the voice data through the call channe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ransmit.

이동 통신 단말기는 통화 채널의 적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음성을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부호화율을 가변하여 음성을 부호화하여 전달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을 부호화하여 효율적으로 전달하는데 중점을 두지만 사용자가 전달된 음성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codes and transmits the voice by varying the coding rate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the speech without loss using the bandwidth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cuses on encoding and efficiently delivering speech, but does not consider how the user recognizes the delivered speech.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을 적은 통신 대역폭 사용으로 전달하지만 사용자의 음성 인지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과 전달된 음성의 주파수 특성의 차이로 인해 전달된 음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livers the user's voice with less communication bandwidth, but does not consider the user's voice recognition. Therefore, the user has a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listening band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tted voice.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recognize the delivered voi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음성의 성별을 판단하고 사용자의 청음 대역을 고려하여 음성을 변조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vo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modulating and transmitting voice in consideration of a user's hearing band.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의 특징을 판단하는 특징 필터와; 음성의 특징에 대응한 음원을 선택하는 음원 선택기와; 선택된 음원의 이득 조절에 의해 음성을 변조하는 혼합기와; 변조된 음성을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말기 모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eature filter for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A sound source selector for selecting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of the voice; A mixer for modulating the voice by adjusting the gai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erminal modem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voice over a call channel.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특징에 따라 필터링하여 음성 특징의 음량 레벨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특징의 음량 레벨에 따라 알맞은 음원을 선택하여 음원에 따른 각 주파수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와; 선택된 음원의 이득 값에 따라 음성의 각 주파수를 이득 조절하여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청음 대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Calculating a volume level of the voice feature by filtering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voice fea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justing a gain of each frequency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by selecting an appropriat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volume level of the voice feature; Gain control of each frequency of the voice according to the gain value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tep of modulat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listening band and transmitting to the other termi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transmiss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일반 사용자의 청음 대역에 맞게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변조하여 변조된 음성을 부호화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달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의 성별을 판단하고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에 맞게 음성을 변조하여 변조된 음성을 코덱에 전달하여 디지털 변환하고 보코더에 의해 부호화 작업을 수행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at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according to the listening band of the general user, encodes the modulated voice, and delivers the modulated voic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gender of the voice, modulates the voic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listening band, transfers the modulated voice to a codec, converts it digitally, and performs encoding by a vocoder.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1)와; 마이크(11)에 의해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고 음성 변조하여 주파수 특성을 청음 대역으로 전이시키는 음성 합성기(20)와; 변조된 음성을 디지털 변환하는 코덱(12)과; 디지털 변환된 음성을 부호화율을 가변하여 부호화하는 보코더(13)와; 부호화된 음성을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말기 모뎀(14)으로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microphone 11 for converting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 voice synthesizer 20 for determin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11 and performing voice modulation to transfer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to the listening band; A codec 12 for digitally converting the modulated voice; A vocoder 13 for encoding the digitally converted speech by varying the coding rate; And a terminal modem 14 for transmitting the encoded voice over a call channel.

이동 통신 단말기의 마이크(11)는 외부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하고, 음성 합성기(20)는 마이크에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여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에 대응하여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 이득을 조절하여 음성을 변조하여 코덱(12)으로 출력한다.The microphone 1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and inputs an external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voice synthesizer 20 determin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to correspond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listening band, and thus the signal of each frequency band. The gain is adjusted to modulate the voice and output to the codec 12.

코덱(12)은 변조된 음성을 디지털 변환하고 보코더(13)는 음성의 속도와 음량을 판단하여 부호화율을 가변하여 디지털 변환된 음성을 부호화하고 단말기 모뎀(14)은 부호화된 음성을 통화 채널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종래에는 목소리가 저음인 남성의 경우에는 통화시에 음성이 상대편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너무 고음의 여성인 경우에는 고음으로 인한 음성대역이 좋지 않은 부분으로 인해 상대편에게 정확한 음성을 들려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남성의 저음을 고음으로 변조하거나 여성의 고음을 저음으로 변환함으로써 정확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The codec 12 digitally converts the modulated voice, and the vocoder 13 determines the speed and volume of the voice to vary the coding rate to encode the digitally converted voice, and the terminal modem 14 converts the encoded voice into a call channel. Send to the other terminal through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man whose voice is low in the prior art, the voice may not be accurately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during a call, and in the case of a woman who is too high in voice, the voice may not be accurately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due to the bad part of the voice band due to the high pitch. I couldn't tell you.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ccurate calls by modulating the low tone of the male to high or by converting the high tone of the female to low.

도 3은 도 2의 음성 합성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음성을 증폭하는 증폭기(21)와; 증폭된 음성의 성별을 판단하는 성별 필터(22)와; 음성의 성별에 대응한 음원을 선택하는 음원 선택기(23)와; 선택된 음원의 이득 조절에 의해 음성을 변조하는 혼합기(24)와; 변조된 음성을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저역 필터(25)로 구성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합성기(20)에서 음성을 변조하여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으로 전이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ech synthesizer of FIG. 2, and an amplifier 21 for amplifying the input voice as shown therein; A gender filter 22 for determining a gender of the amplified voice; A sound source selector 23 for selecting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gender of the voice; A mixer 24 for modulating the voice by adjusting the gai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And a low pass filter 25 for filtering and outputting the modulated voice to an audible frequency band. When the voice synthesizer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ates the voice to transfer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listening band as follows.

음성 합성기(20)는 마이크(11)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증폭하고 음성의 성별을 감지하여 성별에 따라 다른 음원을 선택하여 선택된 음원에 따른 이득 조절에 의해 음성을 변조하고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한다.The voice synthesizer 20 amplifies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11 and detects the gender of the voice, selects a different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gender, modulates the voice by gain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elected sound source, and filters the audio frequency band. Output

음성 합성기(20)의 증폭기(21)는 입력된 음성을 증폭하고, 성별 필터(22)는 증폭된 음성을 성별 특성에 따른 각각의 필터에 의해 필터링하여 출력하고, 음원 선택기(23)는 성별의 음량 레벨에 따라 알맞은 음원을 선택하여 혼합기(24)의 이득을 조절한다. The amplifier 21 of the voice synthesizer 20 amplifies the input voice, and the gender filter 22 filters and outputs the amplified voice by respective filters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and the sound source selector 23 of the gender The gain of the mixer 24 is adjusted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volume level.

혼합기(24)는 선택된 음원의 이득 조절에 의해 증폭된 음성을 이득 조절하여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청음 대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이하여 출력하고, 저역 필터(25)는 변조된 음성을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한다.The mixer 24 adjusts the amplified voice by the gain control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shift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listening band, and outputs it. The low pass filter 25 filters the modulated voice to the audible frequency band. To print.

저역 필터(25)는 증폭된 음성과 선택된 음원을 혼합한 후에 가청 주파수 대역 3.4kHz 이내를 제외한 부분을 제거하고 필터링된 음성을 코덱(12)으로 출력한다. 혼합기(24)의 출력 신호는 가청 주파수 대역을 벗어나는 신호를 포함하며 코덱 (12)에서 상기 출력 신호를 그대로 입력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사용하면 가청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가 인코딩과 디코딩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영향을 미쳐 음성 특성이 변화한다. 즉, 저역 필터(25)는 가청 주파수 대역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여 음원의 혼합에 의한 음성 특성을 올바로 나타내도록 동작한다.The low pass filter 25 mixes the amplified voice with the selected sound source, removes portions except the audible frequency band within 3.4 kHz, and outputs the filtered voice to the codec 12. The output signal of the mixer 24 includes a signal outside the audible frequency band, and when the codec 12 receives the output signal as it is and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signal outside the audible frequency band is encoded and decoded. This affects the voice characteristics. That is, the low pass filter 25 operates to remove the portions other than the audible frequency band to correctly represent the voice characteristics by mixing the sound sources.

도 4는 도 3의 성별 필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음성 합성기(20)의 성별 필터(22)에서 성별 특성에 따른 각각의 필터에 의해 필터링하여 성별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ender filter of FIG. 3. The operation of outputting a gender signal by filtering by each filter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in the gender filter 22 of the speech synthesizer 20 will now be described.

성별 필터(22)는 남성과 여성의 음성 대역의 차이를 반영한 대역 필터를 각각 내장하여 음성을 남성과 여성의 음성 대역에 따라 각각 필터링하여 남성 신호와 여성 신호를 구분하여 출력한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성대가 길고 크므로 남성의 음성은 여성의 음성에 비해 저음을 많이 낸다.The gender filter 22 includes a band filter refl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ice bands of the male and the female, respectively, and filters the voices according to the voice bands of the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and outputs the male and female signals separately. Males have longer and larger vocal cords than females, so male voices produce more bass than female voices.

성별 필터(22)의 남성 필터는 200Hz~400Hz 대역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남성의 음성으로 인식하여 남성 신호를 출력하고 여성 필터는 400Hz~600Hz 대역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여성의 음성으로 인식하여 여성 신호를 출력한다. 성별 필터(22)는 남성 또는 여성의 음성을 감지하여 남성 신호 또는 여성 신호를 구분하여 출력한다.The male filter of the gender filter 22 recognizes a signal input from the 200 Hz to 400 Hz band as a male voice and outputs a male signal. The female filter recognizes a signal input from the 400 Hz to 600 Hz band as a female voice to detect a female signal. Output The gender filter 22 detects a male or female voice and outputs a male signal or a female signal.

도 5는 도 3의 음원 선택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 메모리(23a)와; 성별 필터(22)의 출력 신호에 의해 음원 메모리(23a)의 음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23b)로 구성된다. 음성 합성기(20)의 음원 선택기(23)에서 음원을 선택하여 혼합기(24)에 의해 음원을 입력된 음성에 혼합하여 다른 음성 대역의 주파수 특성 을 갖도록 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source selector of FIG. 3, and as shown therein, a sound source memory 23a for stori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having differ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The selector 23b selects and outputs one of the sound sources of the sound source memory 23a by the output signal of the gender filter 22. The operation of selecting a sound source in the sound source selector 23 of the voice synthesizer 20 and mixing the sound source with the input voice by the mixer 24 to hav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oice bands is as follows.

음원 메모리(23a)는 주파수 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의 음원을 저장하며 예를 들어 고음 음원, 저음 음원, 악기 음원, 동물 음원, 자연음 음원 등 다수의 음원을 저장한다. 음원 메모리(23a)는 여러 음원과 그에 대응하는 각 주파수 대역의 이득 값을 저장하여 음성과 음원의 혼합 비율을 제어하는 정보를 제공한다.The sound source memory 23a stores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having differ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for example,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such as a high sound source, a low sound source, an instrument sound source, an animal sound source, and a natural sound source. The sound source memory 23a stores information of various sound sources and corresponding frequency bands,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ixing ratio of the voice and the sound source.

선택기(23b)는 성별 필터(22)의 출력 신호에 의해 음원 메모리(23a)의 음원 중 하나 이상의 음원을 선택하여 혼합기(24)로 선택된 음원을 출력하여 음성의 변조 특성을 조정한다. 선택기(23b)는 음원을 선택하여 혼합기(24)로 출력하여 남성 음성을 고역의 여성음으로 변환하거나 여성 음성을 저역의 남성음으로 변환하는 혼합기(24)의 변조 특성을 조정한다.
즉, 상기 선택기(23b)는 성별 필터(22)의 출력 신호를 근거로 남성음성인 경우에는 음원 메모리(23a)로부터 고음음원을 선택하고, 여성음원인 경우에는 음원 메모리(23a)로부터 저음음원을 선택하여 혼합기(24)로 출력함으로써 남성 음성을 고역의 여성음으로 변환하거나 여성 음성을 저역의 남성음으로 변환한다. 이때, 음성변환은 음성(남성 또는 음성)의 음량레벨이 소정 레벨이상인 경우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lector 23b selects one or more sound sources of the sound sources of the sound source memory 23a by the output signals of the gender filter 22 and outputs the selected sound sources to the mixer 24 to adjust the mod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The selector 23b selects a sound source and outputs it to the mixer 24 to adjust the mod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xer 24 for converting the male voice into the high female voice or the female voice into the low male voice.
That is, the selector 23b selects a high sound source from the sound source memory 23a in the case of male voice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gender filter 22, and selects a low sound source from the sound source memory 23a in the case of a female sound source. By selecting and outputting to the mixer 24, the male voice is converted into a high frequency female voice or a female voice is converted into a low frequency male voice. In this case, the voice conversion may be performed only when the volume level of the voice (male or voic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level.

선택기(23b)는 음성의 변조 특성을 조정하는 동작과 상응하게 자연음 음원이나 동물 음원 등의 여러 음원을 선택하여 혼합기(24)로 출력하여 자연음 또는 동물 소리를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혼합기(24)의 혼합 특성을 조정한다.The selector 23b selects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such as a natural sound source or an animal sound source and outputs them to the mixer 24 so as to adjust the mod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and outputs the natural or animal sound as a background sound. To adjust the mixing characteristic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증폭하고 증폭된 음성을 성별 특성에 따라 필터링하여 성별의 음량 레벨을 계산하는 단계와; 성별의 음량 레벨에 따라 알맞은 음원을 선택하여 음원에 따른 각 주파수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와; 선택된 음원의 이득 값에 따라 음성을 이득 조절하여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청음 대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이하는 단계와; 변조된 음성을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와; 상대방 단말기에서 수신된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고 상대방의 청음 레벨과 음성의 주파수 레벨간의 차를 계산하여 차에 비례하는 이득 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대방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에 대응하여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 이득을 조절하여 음성을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6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voice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amplified voice input by a microphon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ltering the amplified voice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Calculating a volume level of gender; Adjusting a gain of each frequency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by selecting an appropriat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gender sound level; Gain-adjusting the voice according to the gain value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to transition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listening band; Filtering the modulated voice to an audible frequency band and transmitting the modulated voice to a counterpart terminal; Determin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received at the counterpart terminal,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party's listening level and the voice's frequency level, and calculating a gain valu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In response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party's listening band, the signal gain of each frequency band is adjusted to modulate and output the voice.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일반 사용자의 청음 대역에 맞게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변조하여 변조된 음성을 부호화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달한다고 가정하자.Suppose th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at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voice according to a hearing band of a general user, encodes the modulated voice, and transmits the modulated voice to a counterpart terminal.

이동 통신 단말기는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고 음성 변조하여 주파수 특성을 청음 대역으로 전이시킨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여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에 대응하여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 이득을 조절하여 음성을 변조하여 코덱으로 출력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and modulates the voice to transfer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to the listening b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adjusts the signal gain of each frequency band in response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listening band, modulates the voice, and outputs it to the codec.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변조하여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으로 전이시키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modulating the vo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fer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listening b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이동 통신 단말기는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증폭하고 음성의 성별을 감지하여 성별에 따라 다른 음원을 선택하여 선택된 음원에 따른 이득 조절에 의해 음성을 변조하고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한다.The mobile terminal amplifies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senses the gender of the voice, selects a different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gender, modulates the voice by adjusting the gain according to the selected sound source, and filters the audio frequency band and outputs the filtered voice.

이동 통신 단말기는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증폭하고 증폭된 음성을 성별 특성에 따라 필터링하여 성별의 음량 레벨을 계산하고, 성별의 음량 레벨에 따라 알맞은 음원을 선택하여 음원에 따른 각 주파수의 이득을 조절한다.The mobile terminal amplifies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filters the amplified voice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calculates the volume level of the gender, selects an appropriat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gender volume level, and obtains the gain of each frequency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Adjust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음원의 이득 값에 따라 음성을 이득 조절하여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청음 대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이하고 변조된 음성을 가청 주 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ain-adjusts the voice according to the gain value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shifts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listening band, and filters and outputs the modulated voice to the audible frequency band.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성별 특성에 따라 음성을 필터링하여 성별의 음량 레벨을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of outputting a volume level of gender by filtering voice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below.

이동 통신 단말기는 남성과 여성의 음성 대역의 차이를 반영한 대역 필터를 구성하여 음성을 남성과 여성의 음성 대역에 따라 각각 필터링하여 남성의 음량 레벨과 여성의 음량 레벨을 구분하여 계산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남성과 여성의 다른 음성 특징을 감안하여 남성 또는 여성의 음성을 감지하여 남성과 여성의 음량 레벨을 출력한다.The mobile terminal configures a band filter refl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voice bands and filters the voices according to the male and female voice bands to calculate the male and female volume leve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the male or female voice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voice characteristics of the male and female, and outputs the male and female volume levels.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의 성별을 판단한 결과를 참조하고 그에 따른 음원을 선택하여 음성과 음원을 혼합하여 원 음성이 다른 음성 대역의 주파수 특성을 갖도록 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gender of the voi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a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result, and describes an operation of mixing the voice and the sound source to hav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voice bands as follows.

이동 통신 단말기는 주파수 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의 고음 음원, 저음 음원, 악기 음원, 동물 음원, 자연음 음원을 저장하고 여러 음원과 그에 대응하는 각 주파수 대역의 이득 값을 저장하여 음성과 음원의 혼합 비율을 제어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a plurality of high-pitched sound sources, bass sound sources, musical instrument sources, animal sources, and natural sound sources having differ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stores gain values of various sound sources and their corresponding frequency bands, thereby mixing voice and sound sources. To control.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성별 판단 결과에 의해 저장된 음원 중 하나 이상의 음원을 선택하여 음성과 음원을 혼합하여 음성의 변조 특성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남성 음성을 고음의 여성음으로 변환하거나 여성 음성을 저역의 남성음으로 변환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의 변조 특성을 조정하는 동작과 상응하게 자연음 음원이나 동물 음원 등의 여러 음원을 선택하여 자연음 또는 동물 소리를 배경음으로 삽입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one or more sound sources from the stored sound sources according to the gender determination result, adjusts the mod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by mixing the voice and the sound sourc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a male voice into a high female voice or a female voice into a low male voice.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various sound sources such as a natural sound source or an animal sound source and inserts natural or animal sounds into the background sound in correspondence with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mod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상대방 단말기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을 수신하고 음성의 성별을 판단하고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에 맞게 음성을 변조하여 출력한다고 가정하자.Suppose that the other terminal receives the vo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gender of the voice, and modulates and output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listening band.

상대방 단말기는 수신된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고 상대방의 청음 특성을 고려하여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청음 대역으로 전이시킨다. 상대방의 청음 특성은 상대방의 청음 주파수 특성을 저장하며 각 주파수 대역의 청음 레벨을 저장한다.The counterpart terminal determin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ceived voice and transfer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to the listening band in consideration of the other party's listening characteristic. The other party's hearing characteristic stores the other party's hearing frequency characteristic and stores the hearing level of each frequency band.

상대방 단말기는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여 상대방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에 대응하여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 이득을 조절하여 음성을 변조하여 출력한다.The counterpart terminal determin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and modulates the voice by outputting a signal gain of each frequency band in response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other party's listening band.

상대방 단말기에서 음성을 변조하여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으로 전이시키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ransla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in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listening band by modulating the voice in the counterpart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대방 단말기는 상대방의 청음 특성을 입력받아 상대방의 청음 대역에 대한 각 주파수 대역의 청음 레벨을 저장한다. 상대방 단말기는 수신된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고 상대방의 청음 레벨과 음성의 주파수 레벨간의 차를 계산하여 차에 비례하는 이득 값을 계산하여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상대방의 청음 대역으로 전이시킨다. 상대방 단말기는 상대방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에 대응하여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 이득을 조절하여 음성을 변조하여 출력한다.The counterpart terminal receives the counterpart's listening characteristics and stores the listening level of each frequency band for the counterpart's listening band. The other terminal determin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ceived voice,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hearing level of the other party and the frequency level of the voice, calculates a gain valu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and transfer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voice to the other party's listening band. The counterpart terminal modulates and outputs a voice by adjusting a signal gain of each frequency band in response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unterpart listening ban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을 변조하거나 음원을 혼 합하여 원음을 다른 특성의 음으로 변환함으로써 음성의 저음 특성 또는 고음 특성으로 인한 음성의 부정확한 전달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incorrect transmission of the voice due to low or high ton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by modulating the voice or mixing the sound source to convert the original sound to the sound of the other characteristics.

또한,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사용자의 청음 특성에 맞게 변조함으로써 사용자는 청음 레벨에 따라 조절된 상대방의 음성을 듣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modula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according to the hearing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he user may hear the other party's voic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aring level.

Claims (9)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의 특징을 판단하는 특징 필터와;A feature filter for determining a feature of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음성의 특징에 대응한 음원을 선택하는 음원 선택기와;A sound source selector for selecting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of the voice; 선택된 음원의 이득 조절에 의해 음성을 변조하는 혼합기와;A mixer for modulating the voice by adjusting the gain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변조된 음성을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말기 모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And a terminal modem for transmitting a modulated voice through a call chan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필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eature filter 상기 입력된 음성을 성별 특성에 따라 필터링하고, 상기 음원 선택기는 특징 필터의 출력 신호가 남성음성을 나타낼 경우에는 고음 음원을 선택하고, 여성음성을 나타낼 경우에는 저음 음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The input voice is filtered according to a gender characteristic, and the sound source selector selects a high sound source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feature filter indicates a male voice, and selects a low sound source when a female voice is displayed. Voice transmission devic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선택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source selector 주파수 특성이 서로 다른 다수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 메모리와;A sound source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having different frequency characteristics; 특징 필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음원 메모리의 음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And a selector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one of sound sources of the sound source memory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feature fil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선택기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ound source selector 자연음 음원이나 동물 음원과 같은 여러 음원을 선택하여 자연음 또는 동물 소리를 배경음으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장치.A voice transmiss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such as natural sound sources or animal sound sources are selected to insert natural or animal sounds as background sound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이크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음성 특징에 따라 필터링하여 음성 특징의 음량 레벨을 계산하는 단계와;Calculating a volume level of the voice feature by filtering the voice input by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voice feat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음성 특징의 음량 레벨에 따라 알맞은 음원을 선택하여 음원에 따른 각 주파수의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와;Adjusting a gain of each frequency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by selecting an appropriat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volume level of the voice feature; 선택된 음원의 이득 값에 따라 음성의 각 주파수를 이득 조절하여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청음 대역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방법.And controlling each frequency of the voice according to a gain value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modulat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into a frequency band of the listening band, and transmitting the frequency ban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특징이 남성음성을 나타낼 경우에는 고음 음원을 선택하고, 상기 음성 특징이 여성음성을 나타낼 경우에는 저음 음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high tone sound source is selected when the voice feature indicates male voice, and a low tone sound source is selected when the voice feature indicates female vo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의 변조 단계는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odulating the voice 자연음 음원이나 동물 음원과 같은 여러 음원을 선택하여 자연음 또는 동물 소리를 배경음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방법.And selecti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such as a natural sound source or an animal sound source and inserting natural or animal sounds into a background soun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음성 출력에서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in the voice output of the counterpart terminal, 상대방의 청음 특성을 입력받아 상대방의 청음 대역에 대한 각 주파수 대역의 청음 레벨을 저장하는 단계와;Receiving a hearing characteristic of the other party and storing a hearing level of each frequency band of the other party's hearing band; 수신된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판단하고 상대방의 청음 레벨과 음성의 주파수 레벨간의 차를 계산하여 차에 비례하는 이득 값을 계산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ceived voice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hearing level of the other party and the frequency level of the voice to calculate a gain valu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상대방 청음 대역의 주파수 특성에 대응하여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 이득을 조절하여 음성을 변조하여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전달 방법.And modulating and outputting a voice by adjusting a signal gain of each frequency band in response to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party's listening band.
KR1020050056573A 2005-06-28 2005-06-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870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573A KR100787028B1 (en) 2005-06-28 2005-06-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573A KR100787028B1 (en) 2005-06-28 2005-06-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03A KR20070000903A (en) 2007-01-03
KR100787028B1 true KR100787028B1 (en) 2007-12-21

Family

ID=3786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573A KR100787028B1 (en) 2005-06-28 2005-06-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0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21B1 (en) * 2009-01-23 2009-10-01 예흥정보통신 주식회사 The public address for speech eff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774A (en) * 2000-02-08 2001-08-20 손영권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voice transformation device and abstracting method of transformation parameter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774A (en) * 2000-02-08 2001-08-20 손영권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voice transformation device and abstracting method of transformation parameter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21B1 (en) * 2009-01-23 2009-10-01 예흥정보통신 주식회사 The public address for speech eff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03A (en)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77904B2 (en) Digital phone that adjusts the digital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hearing
CN100514989C (en) Microphone gains regulator of communication device
US8369549B2 (en) Hearing aid system adapted to selectively amplify audio signals
US80953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peech signals
JP3983668B2 (en) How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coding systems that use high-frequency reconstruction methods
JP3898218B2 (en) Transmission system for performing differential encoding
US768477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qualizer function
US5867815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levels of voiced speech, unvoiced speech, and noise for transmission and reproduction
US20070239294A1 (en) Hearing instrument having audio feedback capability
DE60138464D1 (en) IMPROVED INBAND SIGNALING F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DIGITAL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20040005860A (en) Method and system for comfort noise generation in speech communication
JPH09258787A (en) Frequency band expanding circuit for narrow band voice signal
ES2371455T3 (en) PRE-PROCESSING OF DIGITAL AUDIO DATA FOR MOBILE AUDIO CODECS.
US6993125B2 (en) Variable sidetone system for reducing amplitude induced distortion
WO2002095726A1 (en) Speech quality indication
KR100506224B1 (en) Nois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station
KR20060122854A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signal processing
WO200002530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comfort noise in communications systems
KR1007870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210116274A (en) Method for controll loudness level of audio signl using metadata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5255358B2 (en) Audio transmission system
JP2006157574A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program
KR101062344B1 (en) Audio output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0695368B1 (en) Sound process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to output high quality sound
KR200225419Y1 (en) Improved micro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