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830B1 -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 Google Patents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830B1
KR100786830B1 KR1020010049636A KR20010049636A KR100786830B1 KR 100786830 B1 KR100786830 B1 KR 100786830B1 KR 1020010049636 A KR1020010049636 A KR 1020010049636A KR 20010049636 A KR20010049636 A KR 20010049636A KR 100786830 B1 KR100786830 B1 KR 10078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diameter flange
auxiliary
magnetic field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5740A (en
Inventor
황성구
구와하라야스노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830B1/en
Publication of KR2003001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7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8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며, 화면의 전부분에서 세줄기 전자빔을 일치시켜 미스-컨버젼스 패턴을 보정하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편향 장치는 수평 편향코일과 수직 편향코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자총 측에 위치하는 소구경 플랜지부와, 형광면 측에 위치하는 대구경 플랜지부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와 대구경 플랜지부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의 일부에서 대구경 플랜지부를 향해 돌출되거나 대구경 플랜지부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G 전자빔에 대한 보조자계를 생성하는 보조자계 형성부를 포함한다.A deflection device for a cathode ray tube which deflects an electron beam emitted from an electron gun, and corrects a mis-convergence pattern by matching three-beam electron beams in all parts of a screen, wherein the deflection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a vertical deflection coil. (A) A pair of small-diameter flange portions located on the electron gun side, a large-diameter flange portion located on the fluorescent surface side,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respectively connecting one end of the small-diameter flange portion and the large-diameter flange portion, and a part of the small-diameter flange portion And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large-diameter flange portion or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arge-diameter flange portion to generate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 the G electron beam.

음극선관, 전자총, 편향장치,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미스컨버젼스, 보조자계, 편향자계Cathode ray tube, electron gun, deflection device, horizontal deflection coil, vertical deflection coil, misconvergence, auxiliary magnetic field, deflection magnetic field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Deflection Device for Cathode Ray Tubes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 장치가 설치된 음극선관의 부분 절개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artial cutaway sectional view of a cathode ray tube equipped with a def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부분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3 for explaining current flow;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6은 도 5의 자계 패턴을 다극 자계로 도식화한 개략도.FIG.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magnetic field pattern of FIG. 5 as a multipolar magnetic field. FIG.

도 7은 도 6의 자계 패턴에 의해 전자빔이 받는 힘을 도식화한 개략도.FIG.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orce received by an electron beam by the magnetic field pattern of FIG. 6. FIG.

도 8은 전자빔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음극선관의 개략도.8 is a schematic view of a cathode ray tube showing the path of travel of an electron beam;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9의 부분 확대도.1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9 for explaining current flow;

도 11은 도 10의 D-D선 단면도.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10; FIG.

도 12는 도 11의 자계 패턴에 의해 전자빔이 받는 힘을 도식화한 개략도.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orce received by an electron beam by the magnetic field pattern of FIG. 11;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평면도.13 is a plan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13의 부분 확대도.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3 for explaining current flow; FIG.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평면도.15 is a plan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15의 부분 확대도. FIG. 1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5 for explaining current flow; FIG.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평면도.17 is a plan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정면도.18 is a front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a∼도 19c는 도 18에 도시한 보빈의 부분 확대도.19A to 19C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the bobbin shown in FIG. 18.

도 20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 장치와 상기 편향 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계 패턴의 개략도.2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f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magnetic field pattern generated in the deflection apparatus.

도 2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코일의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음극선관에서 발생하는 미스-컨버젼스 패턴을 도시한 개략도.Fig. 2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iss-convergence pattern occurring in a cathode ray tub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칼라 텔레비젼 등에 사용되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에 장착되어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athode ray tubes used in color television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lection apparatus mounted on a cathode ray tube to deflect an electron beam emitted from an electron gun.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면이 형성된 패널과, 내부에 전자총이 장착된 넥크부와, 상기 패널과 넥크부를 연결하는 펀넬이 일체로 결합되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자빔을 색분리하는 섀도우 마스크가 패널의 내측으로 고정되며, 전자빔 편향을 위한 편향 장치가 펀넬의 외주상에 결합된다.In general, the cathode ray tube has a panel in which a fluorescent surfac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a neck portion in which an electron gun is mounted, and a funnel connecting the panel and the neck portion are integrally combined, and a shadow mask for color separation of the electron beam is provided. Fixed inwardly, a deflection device for electron beam deflection is coup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unnel.

상기 구성에 의해, 전자총에서 방출된 세줄기 전자빔은 편향 장치가 발생한 자계에 의해 편향되고, 섀도우 마스크의 구멍부를 통과하면서 형광면에 구비된 해 당 R, G, B 형광막으로 분리되어 소정의 칼라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With this arrangement, the three-stem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is deflec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deflector, and is separated into the corresponding R, G, and B fluorescent films provided on the fluorescent surface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es of the shadow mask, and the predetermined color image. Will be implemented.

여기서, 통상의 편향 장치는 절연체인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수평 편향코일과 수직 편향코일이 세퍼레이터의 내, 외측에 각각 설치되며, 원추형의 코어가 상기 세퍼레이터의 외측에서 수직 편향코일과 연계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Here, in the conventional deflection apparatus,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a vertical deflection coil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separator with a separator as an insul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conical core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t the outside of the separator. Is done.

도 20은 편향 장치와 상기 편향 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계 패턴의 개략도로서, 음극선관의 수평축(X)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축(X)의 상,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 편향코일(1a)은 핀쿠션형 수평 자계를 생성하여 전자빔들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며, 음극선관의 수직축(Y)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축(Y)의 좌, 우측에 배치되는 수직 편향코일(1b)은 바렐형 수직 자계를 생성하여 전자빔들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킨다.FIG. 20 is a schematic view of a deflection device and a magnetic field pattern generated in the deflection device, wherein horizontal deflection coils 1a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horizontal axis X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X of the cathode ray tube are pincushioned horizontally.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to deflect the electron beam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s 1b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axis 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Y of the cathode ray tube generate a barrel-type vertical magnetic field to generate the electron beams. Deflect in the vertical direction.

특히 상기 편향 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계는, 화면의 전부분에서 세줄기 전자빔을 일치시키고, 패널의 형상에 따라 장방형의 직선상 화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편향코일(1a)에서는 전자총 측으로 약한 바렐형 자계(미도시)를 생성하고, 형광면 측으로 강한 핀쿠션형 자계를 생성하며, 또한 수직 편향코일(1b)에서는 전체적으로 약한 바렐형 자계를 생성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deflecting device is a barrel-type weak magnetic field to the electron gun side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1a so that the three-beam electron beams can be matched in all parts of the screen, and a rectangular linear screen can be realiz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nel. (Not shown), a strong pincushion typ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toward the fluorescent surface side, and a weak barrel typ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s a whole in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1b.

도 2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코일의 사시도로서, 편향코일(1)은 전자총 측에 위치하는 소구경 플랜지부(3)와, 형광면 측에 위치하는 대구경 플랜지부(5)와, 각 플랜지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7)로 구성되며, 편향 자계는 주로 한쌍의 연결부(7)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편향 자계는 상기 연결부(7)의 코일 분포를 변화시켜 조정하게 된다.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rein the deflection coil 1 includes a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3 located on the electron gun side, a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5 located on the fluorescent surface side, and each flange portion. It consists of a pair of connections 7 which connect the ends, and a deflection magnetic field mainly occurs at the pair of connections 7. The deflection magnetic field is thus adjusted by varying the coil distribution of the connection 7.                         

그러나 최근의 음극선관이 패널 형상을 점진적으로 평면화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평면화된 패널 형상에 대응하여 편향 자계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 연결부(7)의 코일 분포 변화만으로는 평면화된 패널 형상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current cathode ray tube is gradually flattening the panel shape,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deflection magnetic field corresponding to the flattened panel shape, but the change in the coil distribution of the connection part 7 is positive for the flattened panel shape. It is not possible to respond.

즉, 평면화된 패널 형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평 편향코일(1a)이 대구경 플랜지부(5) 근처의 연결부(7) 코일 분포를 증가시켜 기존의 강한 핀쿠션형 자계를 보다 강화하고, 이와 함께 소구경 플랜지부(3) 근처의 연결부(7) 코일 분포도 증가시켜 기존의 약한 바렐형 자계를 강한 바렐형 자계로 변화시켜야 한다. 또한 수직 편향코일(1b)은 연결부(7)의 코일 분포를 전체적으로 증가시켜 보다 강한 바렐형 자계를 생성해야 한다.That is, in order to cope with the flattened panel shape,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1a increases coil distribu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7 near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5 to further strengthen the existing strong pincushion type magnetic field, and together with the small diameter The coil distribution of the connection 7 near the flange 3 must also be increased to change the existing weak barrel type magnetic field into a strong barrel type magnetic field. In addition,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1b should increase the coil distribu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7 as a whole to generate a stronger barrel magnetic field.

그러나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편향코일(1a)이 전자총 측으로 강한 바렐형 자계를 생성하면, 세줄기 전자빔 가운데 중앙의 G 전자빔에 대한 편향 감도가 증가하여 화면의 좌우 부분에서는 G 전자빔의 주사 궤적이 R/B 전자빔의 주사 궤적보다 바깥에 위치하는 일명 HCR(Horizontal Center Raster) 미스-컨버젼스 패턴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22, whe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1a generates a strong barrel-type magnetic field toward the electron gun side, the deflection sensitivity with respect to the center G electron beam among the three stem electron beams increases, and the G electron beam The so-called HCR (Horizontal Center Raster) miss-convergence pattern in which the scan trajectory is located outside the scan trajectory of the R / B electron beam is generated.

이와 동시에 상기 수직 편향코일(1b)에서 발생하는 바렐형 자계를 보다 강화하면, 중앙의 G 전자빔에 대한 편향 감도가 감소하여 화면의 상하 부분에서는 G 전자빔의 주사 궤적이 R/B 전자빔의 주사 궤적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일명 VCR(Vertical Center Raster) 미스-컨버젼스 패턴이 발생하는 등, 음극선관의 화면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안고 있다.At the same time, when the barrel-typ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1b is further strengthened, the deflection sensitivity with respect to the center G electron beam is decreased, so that the scanning trajectory of the G electron beam is higher than that of the R / B electron beam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creen. It has a disadvantage of deteriorating the screen quality of the cathode ray tube, such as a so-called VCR (Vertical Center Raster) miss-convergence pattern located insid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화된 패널 형상에 대응하여 보다 장방형의 직선 화면을 구현하고, 화면의 전부분에서 세줄기 전자빔의 컨버젼스를 일치시켜 HCR 및 VCR과 같은 미스-컨버젼스 패턴을 보정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more rectangular straigh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lat panel shape, and match the convergence of the three-strip electron beam in all parts of the screen HCR and VC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flection device for a cathode ray tube capable of correcting a mis-convergence patter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절연체인 세퍼레이터와, 상기 세퍼레이터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과, 상기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설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연계되어 상기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을 포함하며,A separator that is an insulator, a pair of horizontal deflection coils installed inside the separator, a core installed outside the separator, and a pair of vertical deflection coils connected to the core and installed outside the separator,

상기 수평 편향코일과 수직 편향코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가,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일측단에 위치하는 소구경 플랜지부와, 다른 일측단에 위치하여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와 대향 배치되는 대구경 플랜지부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와 대구경 플랜지부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의 일부에서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를 향해 돌출되거나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G 전자빔에 대한 보조자계를 생성하는 보조자계 형성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를 제공한다.A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positioned at one side end, a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disposed at the other end side opposite to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one end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and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respectively; It provides a deflecting device for a cathode ray tube comprising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for protruding toward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from a portion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to generate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 the G electron beam. .

상기 보조자계 형성부는 편향코일에 전류 공급시, 세줄기 전자빔을 화면의 각 부분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자계와 별도로, 편향코일의 전자총 측으로 중앙의 G 전자빔을 이동시키는 보조자계를 생성하여 G 전자빔의 편향 감도와 이동 경로를 보 정한다.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unit generates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 moving the central G electron beam toward the electron gun side of the deflection coil, apart from the deflection magnetic field for deflecting the three-stem electron beam to each part of the screen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deflection coil. And correct the travel path.

따라서 본 발명은 R/B 전자빔 주사 궤적과 G 전자빔 주사 궤적을 일치시켜 화면의 미스-컨버젼스 패턴을 용이하게 보정하며, 평면화된 패널 형상에 대응하여 보다 직선화된 장방형 화면을 구현하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asily correcting the miss-convergence pattern of the screen by matching the R / B electron beam scanning trajectory and the G electron beam scanning trajectory, and realizing a more linear rectangula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lat panel shap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 장치가 설치된 음극선관의 부분 절개 단면도로서, 편향 장치(2)는 절연체인 세퍼레이터(4)와, 이 세퍼레이터(4)의 내,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수평 편향코일(6a) 및 수직 편향코일(6b)과, 상기 세퍼레이터(4)의 외측에서 수직 편향코일(6b)에 연계 설치되는 원추형의 코어(8)를 포함하며, 도면에서는 일례로 상기 코어(8)가 수직 편향코일(6b)을 감싸는 새들-새들(Saddle-Saddle) 타입을 도시하였다.1 is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a cathode ray tube provided with a def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eflection apparatus 2 is a separator 4 which is an insulator and horizontally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separator 4, respectively. A deflection coil 6a and a vertical deflection coil 6b, and a conical core 8 which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6b from the outside of the separator 4; ) Shows a saddle-saddle type that surrounds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6b.

상기한 구성의 편향 장치(2)는 펀넬(10)의 외주상에 설치되어 음극선관의 관축(Z) 상에서 전자총(12)과 형광면(14) 사이에 위치하며, 전자빔 경로의 상, 하부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6a)에서 수평 자계를 생성하고, 전자빔 경로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6b)에서 수직 자계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총(12)에서 방출된 세줄기 전자빔을 형광면(14) 상으로 편향시킨다.The deflecting device 2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unnel 10 and is located between the electron gun 12 and the fluorescent surface 14 on the tube axis Z of the cathode ray tube, and respectively above and below the electron beam path. The horizontal magnetic field is generated from the pair of horizontal deflection coils 6a disposed, and the vertical magnetic field is generated from the pair of vertical deflection coils 6b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ctron beam path, respectively. The stem electron beam is deflected onto the fluorescent surface 14.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편향 장치(2)는 세줄기 전자빔의 미스-컨버젼스 패턴을 보정하고, 평면화된 패널 형상에 대응하여 보다 직선화된 장방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수평 편향코일(6a)과 수직 편향코일(6b)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다 음과 같은 구성으로 제작한다.Here, the deflection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rrects the miss-convergence pattern of the three-stripe electron beam and vertically deflects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and the vertical deflection so as to implement a more linear rectangular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lat panel shape. At least one of the coils 6b is manufactured i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사시도와 평면도로서, 상기 편향코일(6)은 음극선관의 관축(Z) 상에서 전자총을 향한 일측(도면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소구경 플랜지부(16)와, 형광면을 향한 일측(도면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대구경 플랜지부(18)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16)와 대구경 플랜지부(18)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20)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16)의 중앙에서 대구경 플랜지부(18)를 향해 돌출된 보조자계 형성부(23)를 포함한다.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respectively, of the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deflection coil 6 is located on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facing the electron gun on the tube axis Z of the cathode ray tube.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located on one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facing the fluorescent surface, and one end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and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respectively.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20 and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23 protruding toward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from the center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상기 보조자계 형성부(23)는 소구경 플랜지부(16)의 두 지점에서 대구경 플랜지부(18)를 향해 굽힘된 한쌍의 보조 연결부(24)와, 상기 보조 연결부(24)의 두 단부를 연결하는 보조 플랜지부(22)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연결부(24)는 소구경 플랜지부(16) 측의 연결부(20)와 평행하고, 상기 보조 플랜지부(22)는 소구경 플랜지부(16)와 평행하게 구성된다.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unit 23 connects the pair of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24 bent toward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at two point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and the two ends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4. It consists of an auxiliary flange 22,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4 is parallel to the connecting portion 20 on the small diameter flange 16 side, the auxiliary flange 22 is a small diameter plan It is configured parallel to the branch 16.

이와 같이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16)에서 보조자계 형성부(23)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보조 플랜지부(22)는 음극선관의 관축(Z) 방향으로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16)와 소정의 단차(B)를 갖는다. 이로서 음극선관의 관축(Z) 상에서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16)와 대구경 플랜지부(18) 사이의 거리가 A일 때,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18)와 보조 플랜지부(22) 사이의 거리는 A-B가 된다.As 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23 protrudes from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flange portion 22 is connected to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in the tube axis Z direction of the cathode ray tube. It has a predetermined step B. Thu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and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is A on the tube axis Z of the cathode ray tube, the distance between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and the auxiliary flange portion 22 is AB. Becomes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편향코일(6)의 작용을 수평 편향코일(6a)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eflection coil 6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y taking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as an example.

도 4는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6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로서, 일반적으로 편향코일은 정해진 형상에 따라 전선을 여러번 권회하여 고정시킨 구조이나, 여기서는 편의상 하나의 전선으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였으며, 도 5에서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6a)은 음극선관의 수평축(X)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축(X)의 상, 하부에 경면 배치되는 바, 이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for explaining current flow,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4. In general, the deflection coil has a structure in which wires are wound and fixed several tim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hape. Here, it is shown assuming that a case consisting of one wire for convenience, in Figure 5 a pair of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is mirror-arranged on the upper,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axis (X) relative to the horizontal axis (X) of the cathode ray tube The cross-sectional shape thereof is show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편향코일(6a)의 전류가 일례로 도면 상부의 제 1연결부(20a)를 통해 소구경 플랜지부(16)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16)의 상측 단부에 제공된 전류는 제 1보조 연결부(24a)를 통해 보조 플랜지부(22)로 제공되고, 이어서 상기 전류는 도면 하부의 제 2보조 연결부(24b)와 소구경 플랜지부(16)의 하측 단부를 거쳐 도면 하부의 제 2연결부(20b)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대구경 플랜지부(18)로 흐른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current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is provided to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a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ing, for example,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The current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ly is provided to the auxiliary flange portion 22 through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24a, and the current is then lowered to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24b and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at the bottom of the drawing. It passes through the end part through the 2nd connection part 20b of the lower figure to the large diameter flange part 18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이와 같이 수평 편향코일(6a)의 전류 흐름은, 제 1연결부(20a)와 제 1보조 연결부(24a)에서 서로 반대 방향이고, 제 2보조 연결부(24b)와 제 2연결부(20b)에서 서로 반대 방향이며, 각각의 제 1, 2보조 연결부(24a, 24b)는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의 전류 흐름을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flow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is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a and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24a, and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24b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0b. Direction,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connections 24a, 24b has a current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이로서 상기 수평 편향코일(6a)은 종래 기술에 의한 편향코일 구조와 비교하여, 보조 플랜지부(22)와 한쌍의 보조 연결부(24)에 의한 전류 흐름이 추가로 형성되며, 더욱이 보조 연결부(24)의 전류 흐름은 이웃하는 연결부(20)에 흐르는 전류 흐름과 반대되는 특성을 나타낸다.As a result,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is further formed with a current flow by the auxiliary flange 22 and the pair of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24, compared to the deflection co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urther,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4. The current flow of is opposite to the current flow in the neighboring connection 20.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전류 흐름을 기준으로 수평 편향코일(6a)의 단면상 전 류 흐름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연결부(20a)와 제 2보조 연결부(24b)의 전류는 지면 밖으로 나오고(원내의 점표시), 제 1보조 연결부(24a)와 제 2연결부(20b)의 전류는 지면 안으로 들어가는(원내의 x표시) 흐름을 나타내며, 상기 전류 흐름에 의해 각각의 연결부(20)와 보조 연결부(24) 주위로 자계(점선으로 도시)가 형성된다.Therefore, referring to the current flow in the cross section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based on the current flow shown in FIG. 4, the current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0a and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part 24b are grounded as shown in FIG. 5. Outwards (dots in the circle), the current of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24a and the second connection 20b represents a flow into the ground (x mark in the circle), and each connection 20 by the current flow And magnetic fields (shown in dashed lines) are formed around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4.

여기서, 상기 자계의 방향을 플레밍의 오른나사 법칙을 이용하여 정의하면, 상기 제 1연결부(20a)와 제 2보조 연결부(24b) 주위에는 반시계 방향의 자계가 형성되고, 제 1보조 연결부(24a)와 제 2연결부(20b) 주위에는 시계 방향의 자계가 형성된다.Here, if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defined using Fleming's right-hand rule, a magnetic fiel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formed arou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a and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4b, and the first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4a is formed. ) And a second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b.

도 6은 도 5의 자계 패턴을 다극 자계로 도식화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자계 패턴에 의해 전자빔이 받는 힘을 도식화한 것으로서, 상기 편향코일 형상에 의해 음극선관 수직축(Y)의 상, 하부에 각각 N극과 S극이 형성되고, 수평축(X)의 위쪽으로 한쌍의 S극이, 그리고 수평축(X)의 아래쪽으로 한쌍의 N극이 형성되어 모두 6극 자계를 구성한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agnetic field pattern of FIG. 5 as a multipolar magnetic field,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orce applied to the electron beam by the magnetic field pattern of FIG. 6, and the image of the cathode ray tube vertical axis Y is defined by the deflection coil shape. N-poles and S-poles are formed at the bottom, a pair of S-poles are formed above the horizontal axis X, and a pair of N-poles are formed below the horizontal axis X, respectively, to form a six-pole magnetic field.

따라서 수평 편향코일(6a)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은 수직축(Y) 상의 N극에서 S극을 향하는 제 1자력선(점선 화살표로 도시)과, 상기 제 1자력선의 좌, 우측에서 제 1자력선과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는 제 2, 3자력선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 1자력선은 제 1, 2보조 연결부(24a, 24b)의 전류 흐름에 의한 것이고, 제 2, 3자력선은 제 1, 2연결부(20a, 20b)의 전류 흐름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 편향코일은 종래 구조와 비교하여 제 1자력선을 추가로 형성한다. Therefore,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are first magnetic lines (shown by dotted arrows) from the N poles on the vertical axis Y to the S poles, and opposite to the first magnetic lin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magnetic lines. It consists of second and third magnetic lines generated by. In this case, the first magnetic force line is due to the current flow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connection parts 24a and 24b, and the second and third magnetic force lines are due to the current flow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20a and 20b. The deflection coil further forms a first magnetic line of forc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이로서 상기 전자총(12)에서 방출된 세줄기 R, G, B 전자빔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3자력선의 영향으로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힘(도 7의 실선 화살표 참고)을 받아 편향되어 형광면을 향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화된 패널 형상에 대응하여 수평 편향코일(6a)의 전자총 측 바렐형 자계를 강화하는 경우, 중앙의 G 전자빔은 편향 감도가 증가하여 R/B 전자빔의 바깥으로 주사 궤적을 형성하게 된다.As a result, the three stems R, G, and B electron beams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12 have a force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drawing (see the solid arrow in FIG. 7) under the influence of the second and third magnetic lines as shown in FIG. 8. When the deflector is deflected and directed toward the fluorescent surface, and the barrel-type magnetic field of the electron gun side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is strengthened in response to the flat panel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G electron beam increases the deflection sensitivity and the R / B electron beam. Scan trajectory is formed outside of.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 편향코일(6a)이 전자총 측의 소구경 플랜지부(16) 내부에 제 1자력선을 추가로 형성함에 따라, 중앙의 G 전자빔은 상기 제 1자력선의 영향으로 세줄기 전자빔의 편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도 7의 쇄선 화살표 참고)을 받아 상기 바렐형 자계에 의해 강화된 편향력이 상쇄된다.At this time, as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dditionally forms the first magnetic field lines inside the small-diameter flange portion 16 on the electron gun side, the central G electron beam is separated by the influence of the first magnetic lines. The deflection force strengthened by the barrel-type magnetic field is canceled by receiving a force (see the dashed line arrow in FIG. 7)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eflection direction of the stem electron beam.

따라서 상기 수평 편향코일(6a)은 G 전자빔의 주사 궤적을 보정하여 화면의 좌우 부분에서 R/B 전자빔의 주사 궤적과 일치시킬 수 있으며, 보정된 G 전자빔의 이동 경로를 점선으로 도시하였다.Accordingly,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may correct the scan trajectory of the G electron beam to coincide with the scan trajectory of the R / B electron beam i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screen, and the moving path of the corrected G electron beam is illustrated by a dotted line.

한편, 상기 제 1자력선에 의한 G 전자빔이 편향 감도는 도 3에 도시한 소구경 플랜지부(16)와 보조 플랜지부(22) 사이의 단차(B), 즉 보조 연결부(24)의 길이에 비례하며, 상기 단차(B)를 조정하는 것으로 G 전자빔의 편향 감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flection sensitivity of the G-electron beam by the first magnetic force line is proportional to the step B between the small-diameter flange portion 16 and the auxiliary flange portion 22, that is, the length of the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24 shown in FIG. By adjusting the step B, the deflection sensitivity of the G electron beam can be easily controlled.

그리고 상기 수평 편향코일(6a)의 전류 흐름이 반대가 되면, 도 5∼도 7에 도시한 자력선의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도 8에서 세줄기 R, G, B 전자빔은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힘을 받아 편향되고, 중앙의 G 전자빔은 제 1자력선의 영향으로 편 향 감도가 조정되어 G 전자빔의 주사 궤적을 R/B 전자빔의 주사 궤적과 일치시킬 수 있다.When the current flow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6a is reversed,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orce lines shown in FIGS. 5 to 7 is reversed, so that the three stem R, G, and B electron beams in FIG. The deflection sensitivity is adjusted and the center G electron beam is deflected by the influence of the first magnetic field line so that the scanning trajectory of the G electron beam can be matched with the scanning trajectory of the R / B electron beam.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편향코일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6)에서 보조자계 형성부(27)는 소구경 플랜지부(16)의 중앙에서 대구경 플랜지부(18)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9 is a plan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deflection coil for explaining current flow, and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unit in the deflection coil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ence numeral 27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arge-diameter flange portion 18 at the center of the small-diameter flange portion 16.

즉, 상기 보조자계 형성부(27)는 소구경 플랜지부(16)의 두 지점에서 대구경 플랜지부(18)와 반대 방향으로 굽힘된 한쌍의 보조 연결부(28)와, 상기 보조 연결부(28)의 두 단부를 연결하는 보조 플랜지부(26)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연결부(28)는 소구경 플랜지부(16) 측의 연결부(20)와 평행하고, 상기 보조 플랜지부(26)는 소구경 플랜지부(16)와 평행하게 구성된다.That is, 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27 is a pair of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8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at two point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8 It consists of an auxiliary flange portion 26 connecting the two ends,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8 is parallel to the connecting portion 20 on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side, the auxiliary flange portion 26 Is configured in parallel with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따라서 상기 보조 플랜지부(26)는 음극선관의 관축(Z) 방향으로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16)와 소정의 단차(B')를 가지며, 음극선관의 관축(Z) 상에서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16)와 대구경 플랜지부(18) 사이의 거리가 A일 때,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18)와 보조 플랜지부(26) 사이의 거리는 A+B'가 된다.Therefore, the auxiliary flange portion 26 has a predetermined step B ′ with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in the tube axis Z direction of the cathode ray tube, and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on the tube axis Z of the cathode ray tub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16 and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is A, the distance between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and the auxiliary flange portion 26 is A + B '.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편향코일(6)의 전류 흐름은 제 1연결부(20a)와 제 1보조 연결부(28a)에서 같은 방향이고, 제 2보조 연결부(20b)와 제 2연결부(20b)에서 같은 방향이며, 각각의 제 1, 2보조 연결부(28a, 28b)는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의 전류 흐름을 갖는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current flow of the deflection coil 6 is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a and the first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8a, and the same at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0b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b. Direc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connections 28a, 28b has a current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편향코일의 작용을 수직 편향코일(6b)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eflection coi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6b as follows.

도 11은 도 10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자계 패턴에 의해 전자빔이 받는 힘을 도식화한 것으로서, 도면에서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6b)은 음극선관의 수직축(Y)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축(Y)의 좌, 우측으로 경면 배치된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0, and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ce applied to an electron beam by the magnetic field pattern of FIG. 11. In the drawing, a pair of vertical deflection coils 6b refers to the vertical axis Y of the cathode ray tube. The mirrors are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vertical axis Y.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편향코일(6a)의 전류가 제 1연결부(20a)와 제 1보조 연결부(28a)를 통해 보조 플랜지부(26)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 1연결부(20a)와 제 1보조 연결부(28a)의 전류는 지면 밖으로 나오고(원내의 점표시), 제 2연결부(20b)와 제 2보조 연결부(28b)의 전류는 지면 안으로 들어가는(원내의 x표시) 흐름을 나타낸다. 이로서 상기 전류 흐름에 의해 제 1연결부(20a)와 제 1보조 연결부(28a) 주위로 반시계 방향의 자계가 형성되고, 제 2연결부(20b)와 제 2보조 연결부(28b) 주위로 시계 방향의 자계가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current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6a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flange portion 26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a and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28a,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a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a are provided. The current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8a comes out of the ground (dotted in the circle), and the current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b and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8b represents the flow into the ground (x in the circle). As a result, a magnetic fiel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formed arou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a and the first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8a by the current flow, and clockwise arou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0b and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28b. A magnetic field is formed.

따라서 음극선관의 수평축(X) 좌측이 N극, 우측이 S극이 되고, 수직축(Y)의 좌측으로 한쌍의 N극이, 수직축(Y)의 우측으로 한쌍의 S극이 형성되어 모두 6극 자계를 구성하며, 상기 자계에 의해 수직 편향코일(6b) 내부에 세개의 자력선이 형성된다. 상기한 세개의 자력선 가운데 제 1자력선은 제 1, 2보조 연결부(28a, 28b)의 전류 흐름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것으로서, 제 1, 2연결부(20a, 20b)의 전류 흐름에 의한 제 2, 3자력선과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다.Therefore, the left side of the horizontal axis (X) of the cathode ray tube becomes the N pole, the right side is the S pole, a pair of N poles ar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vertical axis (Y), and a pair of S poles ar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rtical axis (Y). A magnetic field is formed, and three magnetic lines of force are formed inside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6b by the magnetic field. Among the three magnetic lines, the first magnetic lines are newly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connectors 28a and 28b, and the second and third lines are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0a and 20b. It has the same direction as the magnetic force line.

이에 따라 전자총(12)에서 방출된 세줄기 전자빔은 상기 제 2, 3자력선의 영향으로 도면의 아래 방향으로 힘(실선 화살표 참고)을 받아 편향되어 형광면(14)을 향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화된 패널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 편향코일(6b)의 바렐형 자계를 강화하는 경우, 중앙의 G 전자빔에 대한 편향 감도가 감소하게 된다.Accordingly, the three-stem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12 is deflected by the force (see the solid arrow)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draw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second and third magnetic lines to face the fluorescent surface 14,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rrel-shaped magnetic field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6b is strengthe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anel shape, the deflection sensitivity with respect to the center G electron beam is reduced.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편향코일(6b)의 전자총 측으로 상기 제 1자력선이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중앙의 G 전자빔은 세줄기 전자빔의 편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힘(쇄선 화살표 참고)을 받아 상기 바렐형 자계에 의해 약화된 편향 감도가 증가하게 된다.However, as the first magnetic force line is further formed on the electron gun side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6b 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G electron beam receives the force (see the dashed line arro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eflection direction of the three-strip electron beam. The deflection sensitivity weakened by the barrel type magnetic field increases.

따라서 상기 수직 편향코일(6b)은 제 1자력선에 의해 G 전자빔의 주사 궤적을 보정하여 화면의 상하 부분에서 R/B 전자빔의 주사 궤적과 일치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6b may correct the scan trajectory of the G electron beam by the first magnetic force line to coincide with the scan trajectory of the R / B electron beam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creen.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편향코일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6)에서 보조자계 형성부(30)는 소구경 플랜지부(16)의 두 지점에서부터 대구경 플랜지부(18) 측에 위치하는 임의의 절곡점(30a)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굽힘된 한쌍의 보조 연결부(32)로 이루어진다.FIG. 13 is a plan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deflection coil for explaining current flow, and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unit in the deflection coil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0 consists of a pair of auxiliary connection parts 32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ny bending point 30a located on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side from two point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

이와 같이 보조자계 형성부(30)가 대략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는, 편향코일(6) 제조시 전선을 권회할 때, 상기 절곡점(30a)을 기준으로 전선을 권회할 수 있으므로 편향코일(6)의 제조가 보다 용이해지며, 소구경 플랜지부(16)에 대한 절곡점(30a)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제 1자력선의 세기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상기 제 1자력선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n which 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30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can be wound based on the bending point 30a when the electric wire is woun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deflection coil 6, so that the deflection coil 6 ) Is easier to manufacture, and the strength of the first magnetic line is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distance from the bending point 30a with respect to the small-diameter flange portion 16, so that the 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irst magnetic line It has the advantage of implementing more effectively.

상기한 구성의 편향코일(6)에서, 보조 연결부(32)에 의해 새롭게 생성되는 자계 패턴과, G 전자빔에 대한 조정 원리는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 루어진다.In the deflection coil 6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agnetic field pattern newly generated by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32 and the adjustment principle for the G electron beam are mad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전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편향코일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6)에서 보조자계 형성부(34)는 소구경 플랜지부(16)의 두 지점에서부터 대구경 플랜지부(18)에 대항하는 방향에 위치한 임의의 절곡점(34a)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굽힘된 한쌍의 보조 연결부(36)로 이루어진다.FIG. 15 is a plan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deflection coil for explaining current flow, and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unit in the deflection coil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4 is a pair of auxiliary connections 36 that are bent at an angle with respect to any bending point 34a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18 from two point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Is made of.

상기 보조자계 형성부(34) 구성에 의해 새롭게 추가되는 자계 패턴과, G 전자빔에 대한 편향 감도 조정 원리는 앞서 설명한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The magnetic field pattern newly add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unit 34 and the principle of adjusting the deflection sensitivity with respect to the G electron beam are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의 평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6)에서 보조자계 형성부(39)는 소구경 플랜지부(16)의 두 지점에서 대구경 플랜지부(18)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굽힘된 한쌍의 보조 연결부(40)와, 상기 보조 연결부(40)의 두 단부를 연결하는 보조 플랜지부(38)로 이루어져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FIG. 17 is a plan view of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flection coil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39 has a large diameter plan at two point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16. It consists of a pair of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40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ranch portion 18, and an auxiliary flange portion 38 connecting two ends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40 to have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

상기한 구성의 보조자계 형성부(39)를 구비하는 편향코일(6) 또한 그 작용은 앞서 설명한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The deflection coil 6 having 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39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lso has the same effect as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의 편향코일(6)은 각 실시예에 맞게 제작된 별도의 보빈에 감겨 편향 장치에 장착되거나, 상기 보빈 형상을 갖춘 세퍼레이터에 감겨 장착된다. 여기서는 일례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 제작을 위한 보빈에 대해 설명하며, 아래에 설명하는 보빈의 형상은 세퍼레이터에도 적용 이 가능하다.The deflection coils 6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ounted on a deflection device wound on separate bobbins manufactured for each embodiment, or wound on a separator having the bobbin shape. Here, as an example, a bobbin for manufacturing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bobbin shape described below can be applied to a separator.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정면도이고, 도 19a∼도 19c는 보빈의 부분 확대도로서, 상기 보빈(42)은 소구경 플랜지부 형상에 대응하는 소구경 걸이부(44)와, 대구경 플랜지부 형상에 대응하는 대구경 걸이부(46)와, 연결부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부(48)를 포함하며, 상기 소구경 걸이부(44)는 소구경 플랜지부를 구성하기 위한 주 걸이부(44a)와, 보조 플랜지부를 구성하기 위한 보조 걸이부(44b)로 구성된다.18 is a front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9a to 19c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bobbin, the bobbin 42 and the small diameter hook portion 44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And a large diameter hook portion 46 corresponding to a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shape, and a curved portion 48 formed into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mall diameter hook portion 44 includes a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It is comprised by the main hook part 44a for a structure, and the auxiliary hook part 44b for configuring an auxiliary flange part.

상기 보조 걸이부(44b)는 보조 플랜지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주 걸이부(44a)에서 소정의 단차를 가지고 대구경 걸이부(46) 측으로 배치되며, 전선(50)이 감겨 장착되도록 보빈(42)의 표면에서 소정의 폭으로 인입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hook portion 44b is disposed toward the large-diameter hook portion 46 with a predetermined step in the main hook portion 44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uxiliary flange portion, and the bobbin 42 so that the wire 50 is wound and mounted. It is made of a shape drawn in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surface of the.

이로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50)은 보빈(42)의 외측에서 소구경 걸이부(44)의 주 걸이부(44a)를 통해 대구경 걸이부(46)로 유도되고, 대구경 걸이부(46)를 통과한 전선(50)은 다시 주 걸이부(44a)를 통해 대구경 걸이부(46)를 통과한 다음, 주 걸이부(44a)를 지나 보조 걸이부(44b)로 유도되고, 보조 걸이부(44b)를 통과한 전선(50)은 다시 주 걸이부(44a)를 거쳐 대구경 걸이부(46)를 통과하게 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9, the electric wire 50 is guided to the large-diameter hook portion 46 through the main hook portion 44a of the small-diameter hook portion 44 from the outside of the bobbin 42. The electric wire 50 passing through the 46 passes through the large-diameter hanger 46 through the main hanger 44a, and then is led to the auxiliary hanger 44b through the main hanger 44a, and the auxiliary The electric wire 50 passing through the hook portion 44b passes through the large-diameter hook portion 46 via the main hook portion 44a again.

따라서 위의 과정을 반복하면 보조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편향코일을 제작할 수 있는바, 상기 보조 걸이부(44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편향코일 제작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 걸이부(44b)는 본 발명의 제 2∼5실시예에 대응하여 그 형상과 높이가 조정되어 여러 실시예의 편향코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Therefore,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o produce a deflection coil including an auxiliary flange, the auxiliary hook portion 44b is for producing a deflection co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hook portion ( 44b) corresponds to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shape and height can be adjusted to easily produce deflection coils of various embodiment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range of.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편향코일의 소구경 플랜지부에서 전자총 또는 형광면 측으로 굽힘 형성된 보조 플랜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세줄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자계 이외에 G 전자빔의 편향 감도를 제어하는 별도의 편향 자계를 형성하여 G 전자빔의 주사 궤적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화된 패널 형상에 대응하여 R, G, B 전자빔 주사 궤적을 일치시켜 화면의 미스-컨버젼스 패턴을 보정하고, 보다 직선화된 장방형 화면을 구현하는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flange formed by bending a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of the deflection coil toward the electron gun or the fluorescent surface, thereby forming a separate deflection magnetic field for controlling the deflection sensitivity of the G electron beam in addition to the magnetic field for deflecting the three-stem electron beam. The scanning trajectory of can be corrected easily. Therefore, corresponding to the planarized panel shape, the R, G, and B electron beam scanning trajectories are matched to correct a mis-convergence pattern of the screen, and a more straight rectangular screen is realized.

Claims (9)

절연체인 세퍼레이터와;A separator that is an insulator; 상기 세퍼레이터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수평 편향코일과;A pair of horizontal deflection coils installed inside the separator; 상기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설치되는 코어; 및A core installed outside the separator; And 상기 코어에 연계되어 상기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 편향코일을 포함하며,A pair of vertical deflection coils connected to the core and installed outside the separator, 상기 수평 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코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가,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일측단에 위치하는 소구경 플랜지부와;A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located at one end; 다른 일측단에 위치하여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와 대향 배치되는 대구경 플랜지부와;A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disposed at the other end and facing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와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부; 및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one end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and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respectively; And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의 일부에서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를 향해 돌출되거나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G 전자빔에 대한 보조자계를 생성하는 보조자계 형성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And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from the portion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or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to generate an auxiliary magnetic field for the G electron bea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자계 형성부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의 두 지점에서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를 향해 굽힘된 한쌍의 보조 연결부와, 상기 보조 연결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보조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And a pair of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bent from two point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toward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and an auxiliary flange portion connecting an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보조 연결부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 측의 연결부와 평행한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A deflection device for cathode ray tubes, wherein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is parallel to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side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자계 형성부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의 두 지점에서부터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 측에 위치하는 절곡점을 기준으로 굽힘된 한쌍의 보조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And a pair of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wherein 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is bent from two point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based on a bending point located on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si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자계 형성부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의 두 지점에서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굽힘된 한쌍의 보조 연결부와, 상기 보조 연결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보조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And 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unit includes a pair of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bent in two direction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against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and an auxiliary flange portion connecting the end portions of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보조 연결부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 측의 연결부와 평행한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A deflection device for cathode ray tubes, wherein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is parallel to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side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자계 형성부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의 두 지점에서부터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에 대항하는 방향에 위치한 절곡점을 기준으로 굽힘된 한쌍의 보조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And a pair of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wherein 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is bent from two point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at a bending point located in a direction opposed to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자계 형성부가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의 두 지점에서 상기 대구경 플래지부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굽힘된 한쌍의 보조 연결부와, 상기 보조 연결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보조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And a pair of auxiliary connection portions bent in two direction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against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at two points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and an auxiliary flange portion connecting the end portions of the auxiliary connection portio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편향코일을 권선하여 고정하는 보빈을 더욱 포함하며,It further comprises a bobbin for winding the deflection coil by winding, 상기 보빈이,The bobbin, 상기 소구경 플랜지부 형상에 대응하는 주 걸이부와, 상기 보조자계 형성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주 걸이부와 단차를 갖는 보조 걸이부로 구성되는 소구경 걸이부와;A small diameter hook portion including a main hoo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mall diameter flange portion, and an auxiliary hook portion having a step with the main hoo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uxiliary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상기 대구경 플랜지부 형상에 대응하는 대구경 걸이부; 및A large diameter hoo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 diameter flange portion shape; And 상기 연결부 형상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Deflection apparatus for a cathode ray tube comprising a curved portion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shape.
KR1020010049636A 2001-08-17 2001-08-17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KR1007868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636A KR100786830B1 (en) 2001-08-17 2001-08-17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636A KR100786830B1 (en) 2001-08-17 2001-08-17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740A KR20030015740A (en) 2003-02-25
KR100786830B1 true KR100786830B1 (en) 2007-12-20

Family

ID=2771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636A KR100786830B1 (en) 2001-08-17 2001-08-17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83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30A (en) * 1983-06-17 1985-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flecting coil
JPH02230632A (en) * 1989-01-30 1990-09-13 Philips Gloeilampenfab:Nv Manufacture of saddle type deflecting coil of picture display tube
JPH0389434A (en) * 1989-09-01 1991-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flection yoke
JPH0487140A (en) * 1990-07-26 1992-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flecting yoke
JPH087780A (en) * 1994-06-15 199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flection yok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30A (en) * 1983-06-17 1985-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flecting coil
JPH02230632A (en) * 1989-01-30 1990-09-13 Philips Gloeilampenfab:Nv Manufacture of saddle type deflecting coil of picture display tube
JPH0389434A (en) * 1989-09-01 1991-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flection yoke
JPH0487140A (en) * 1990-07-26 1992-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flecting yoke
JPH087780A (en) * 1994-06-15 199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flection yo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740A (en)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4888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4357586A (en) Color TV display system
US4523123A (en) Cathode-ray tube having asymmetric slots formed in a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US4882521A (e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EP042494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4039989A (en) Deflection system for a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US6380667B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EP0589064B1 (en) Deflection device for use in a color cathode-ray tube
US4608515A (en) Cathode-ray tube having a screen grid with asymmetric beam focusing means and refraction lens means formed therein
KR100786830B1 (en)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JPS5933153Y2 (en) deflection yoke
KR100703506B1 (en) A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convergence correction apparatus
KR100786829B1 (en)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KR100823500B1 (en) Deflec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KR100295453B1 (en) Deflection Yoke for Cathode-ray Tube
KR200147265Y1 (en) Deflection yoke for cathode ray tube
JP3389623B2 (en) Deflection yoke
KR100401101B1 (en) Deflection yoke
KR20010018033A (en) Deflection yoke of cathode-ray tube
KR810001808B1 (en) Deflection yoke device for use in color television reciever sets
KR100431262B1 (en) Deflection yoke
KR0129381Y1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WO2002099834A2 (en) Spot optimization in a color display tube system
KR20010054542A (en) 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in Deflection Yoke for Broun tube
KR20030072888A (en) Deflection Yoke for C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