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269B1 -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in wireless internet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in wireless internet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269B1
KR100786269B1 KR1020060077427A KR20060077427A KR100786269B1 KR 100786269 B1 KR100786269 B1 KR 100786269B1 KR 1020060077427 A KR1020060077427 A KR 1020060077427A KR 20060077427 A KR20060077427 A KR 20060077427A KR 100786269 B1 KR100786269 B1 KR 10078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oviding server
content providing
slave terminal
pd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2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26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resource sharing system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hare network resources assigned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receives the same contents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terminals, thereby saving the network resources. A master terminal(11A) generates a share request message for wireless data contents, and sends the generated message to a contents providing server(17) to receive the wireless data contents. A slave terminal(11B) simultaneously shares the wireless data contents with the master terminal(11A). A wireless Internet network processes the share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master terminal(11A), and processes data transceiving between the master terminal(11A) and the slave terminal(11B). The contents providing server(17) receives the share request message from the master terminal(11A), and simultaneously provides the wireless data contents to the terminals(11A,11B) according to the received share request message.

Description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in wireless internet network}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in wireless internet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source sharing system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의 또다른 구성도,2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source sharing system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방법으로, 각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일 MSC 상에 위치할 경우의 자원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source sharing method when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on the same MSC as a resource sharing method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방법으로, 각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MSC 상에 위치할 경우의 자원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source sharing method when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on a different MSC as a method of sharing resources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A : 마스터(Master) 단말기 11B : 슬레이브(Slave) 단말기11A: Master Terminal 11B: Slave Terminal

12A, 12B : 기지국 13 : 기지국 제어기(BSC)12A, 12B: Base Station 13: Base Station Controller (BSC)

14 : 교환기(MSC) 15 : 홈 위치 등록기(HLR)14: MSC 15: Home Location Register (HLR)

16 : PDSN 17 : 컨텐츠 제공 서버16: PDSN 17: content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서 동일 컨텐츠를 제공받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되는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토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 resource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haring network resource allocated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same content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esource sharing system and method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for saving resources.

일반적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은 이동 상태에서 무선 송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및 영상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기지국 시스템을 통해 무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기능을 말한다. In gener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refers to a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such as text and video through a base station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mobile state.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은 유선망을 이용하는 종래의 통신 서비스 방식과는 달리 휴대용 단말기 하나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문자, 숫자, 그래픽 등의 데이터에 대한 무선 송수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동 중에도 교통 정보, 증권 정보 등의 일반적인 정보 검색은 물론, 신용 카드 결제, 메일 또는 팩스의 송수신, 차량 위치의 확인 등이 가능하게 되었고, 그 응용 범위는 보다 더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다.Unlike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using a wired network,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without restriction of time and place anytime and anywhere with only one portable terminal, and enables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such as letters, numbers, and graphic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general information such as traffic information and securities information on the go, as well as to pay by credit card, to send and receive mail or fax, and to check the location of a vehicle.

문자, 숫자 등의 데이터 전송을 통해 지시 및 검색 사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는 무선 데이터 통신의 특성은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어왔으며, 나아가 이용 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컨텐츠 개발 및 기술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향후에는 유선에 기반을 둔 인터넷을 능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The characteristic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hich can deliver instructions and search items quickly and accurately through data transmission such as letters and numbers, and can obtain information anytime and anywhere, has exploded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f content development and technology development to meet various needs is made, it is expected to surpass wired internet in the future.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의 성장은 무선 데이터 트래픽의 지속적이고 급속한 증가를 가져왔고, 이는 곧 네트워크 망 자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망 자원에 대한 증설을 요구하게 되었다.The growth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has resulted in a continuous and rapid increase in wireless data traffic, which is required to expand the network resources as demand for network network resources increases.

특히 현재 실시 중인 상시 접속(Always ON) 서비스 등과 같은 네트워크 망 자원의 소모가 큰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네트워크 망 자원에 대한 수요는 더욱더 커지고 있다.In particular, the demand for network resources is increasing as the service that consumes a lot of network resources such as Always ON service is being expanded.

상기한 바와 같은 수요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예로써, CDMA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 제어기의 RPP 프로세서의 동시 처리 가능한 세션 수의 증가 및 PDSN의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할당 가능한 IP POOL의 증설 또는 처리 용량의 증설이 요구된다. In order to cope with the increase in deman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DMA system,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essions that can be simultaneously processed by an RPP processor of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an expansion of an IP POOL that can be alloca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increase in processing capacity of a PDSN. Is required.

그러나 IPv4 어드레스 체계를 사용하고 있는 현재로서는 IP 어드레스 부족으로 인해 무선 데이터 통신이 큰 부담이 될 수 있고, PDSN의 경우에는 많은 양의 PPP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을 감당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을 안고 있다. However, at present, using IPv4 addressing system, the lack of IP address can be a big burden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PDSN can not afford a large number of point-to-point connections. Holding i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 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ve the network resources by sharing the network resources between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same wireless data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s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은, 무선 데이터 컨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마스터 단말기;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상기 무선 데이터 컨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에 부응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동시 공유하는 슬레이브 단말기;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요청 메시지의 처리 및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무선 인터넷망; 및 상기 무선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의 공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유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source sharing system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generates a sharing request message for the wireless data conten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haring request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 Receiving a master terminal; A slave terminal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shar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s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with the master terminal in response to a sharing request for the wireless data contents of the master terminal; A wireless internet network for processing a sharing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master terminal 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a sharing request message from the master terminal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simultaneously provid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s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haring request messag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또한, 무선 접속 장치, RPP,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그와 연동하는 PDS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구비하여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일 컨텐츠를 동시 제공하는 자원 공유 방법은,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상 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번호를 포함하는 공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의 공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공유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위치 조회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요청하는 제2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의 착신을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착신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PDSN 연결 요청을 상기 RPP로 전송하여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PDSN과의 연결 수립을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IP 할당 요청을 상기 PDSN으로 전송하여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의 IP 할당을 수행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일 컨텐츠를 동시 제공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are provided with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 content providing service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including a wireless access device, an RPP, an access network including an exchange, a home location register, and a PDSN interoperating therewith. In one embodiment, a resource sharing method for simultaneously providing the same content to the master terminal may include: generating, by the master terminal, a shar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number of the slav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haring request message to a content providing server; A second step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the sharing request message from the master terminal, extracting the number of the slave terminal included in the sharing request message and requesting a location inquiry for the corresponding slave terminal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A third step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erforming an incoming call to the slave terminal; A fourth step of, when the incoming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slave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a PDSN connection request for the slave terminal to the RPP to establish connection with a PDSN for a slave terminal; A fifth step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an IP allocation request for the slave terminal to the PDSN to perform IP allocation to the slave terminal; And a sixth step in whic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imultaneously provides the same content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source sharing system and method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 동일 컨텐츠를 제공받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일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 상에 위치할 경우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동일 컨텐츠를 제공받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각 다른 교환기 상에 위치할 경우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1 and 2 illustrate a system for sharing a resource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llustrates a mobile switching terminal (MSC) in which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same content is provided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FIG. 2 shows a system in the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on a different exchange.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공유 시스템은 컨텐츠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로 구성되는 무선 접속 장치와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PDS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the resource sharing system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content, a radio access device and a switch composed of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a home location register, and a PDSN.

이동통신 단말기(11A, 11B)는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마스터(master) 단말기와 슬레이브(slave) 단말기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먼저 마스터 단말기(11A)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통해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현재 제공받고 있는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받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1A and 11B generate a message for requesting wireless data contents and transmit the message to the contents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contents.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First, the master terminal 11A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provided with wireless data contents through a content providing server. It inputs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the received wireless data content at the same time and transmits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슬레이브 단말기(11B)는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현재 제공받고 있는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함께 제공받고자 번호 입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The slave terminal 11B refer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master terminal inputs a number to receive the wireless data content currently being provided.

무선 접속 장치를 구성하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ystem : BTS)(12A, 12B)과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13)에서, 기지국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접속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In the base transceiver system (BTS) 12A, 12B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3 constituting the radio access device, the base station performs a function of a base station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기지국 제어기 또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로서 기지국 관리를 담당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다른 노드 간의 데이터 내지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 제어기는 RPP를 구비하여 PDSN과의 연결 수립 등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한 절차를 수행한 다.The base station controller is also a base station control device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a base station controller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s responsible for base station management, and serves to transfer data or signals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other node.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controller has a RPP and performs a procedure related to data communication such as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PDSN.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는 해당 시스템이 동기식으로 운영되는 경우의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구성 요소이며, 만일 해당 시스템이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는 각각 RTS(Radio Transceiver System) 및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nents for a radio access device when the system is operated synchronously, and if the system is asynchronous,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re RTS (Radio Transceiver System) and RNC, respective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can replace it.

교환기(Mobile Station Switching Center : MSC)(14)는 모든 신호의 전송과 연결을 담당하는 장비로서 과금 정보 수집 및 통화량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및 가입자 착발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의한 슬레이브 단말기로의 착신 시도 시, 교환기를 통해 해당 착신 신호가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A mobile station switching center (MSC) 14 is a device that i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and connection of all signals,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charg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call volume management, and processes basic and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and subscriber call. In addition, the ex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rresponding incoming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lave terminal through the exchange when an incoming call is attempt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slave terminal.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 HLR)(1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롯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상태, 통계 및 각종 서비스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센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홈 위치 등록기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및 위치 확인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국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MIN),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15 is a device that serves as a database center that manag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tatus, statistics, and various service related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ore specifically, the home location register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visitor location register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registration recognition, registration deletion, and location checking, and includes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and ESN (Electronic). Serial information) and profil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subscrib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과 더불어 상기 마스터 단말기(11A)로부터 입력받은 슬레이브 단말기(11B)의 번호를 통해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와 동일 교환기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location register checks whether the corresponding slave terminal is located on the same exchange as the master terminal through the number of the slave terminal 11B received from the master terminal 11A together with the above functions. Serves as a content providing server.

PDSN(Packet Data Serving Node)(16)은 기지국 제어기의 RPP(13A)로부터 요구된 자원 할당 요청 및 PPP(Point-to-Point Protocol) 협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PPP 연결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 및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IP 할당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PDSN은 마스터 단말기 이외에 슬레이브 단말기로의 IP 할당 시, 마스터 단말기에 이미 할당된 IP를 지정하여 할당함으로써 슬레이브 단말기와 마스터 단말기 간에 동일 IP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마스터 단말기와 동일한 세션을 슬레이브 단말기에 할당함으로써 동일 컨텐츠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 즉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 간에 세션 자원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16 processes the resource allocation request and the Point-to-Point Protocol (PPP) negotiation signal requested from the RPP 13A of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he data through the PPP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nd IP allocation function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ssigning an IP address to a slav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master terminal, the PDSN designates and assigns an IP that is already assigned to the master terminal so that the same IP can be shared between the slave terminal and the master terminal. Is assigned to the slave terminal so that session resources can be share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eceiving the same content, that is, between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컨텐츠 제공 서버(17)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무선 데이터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마스터 단말기(11A)로부터 슬레이브 단말기(11B)의 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가 마스터 단말기와 함께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7 is a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data contents to a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7 is a slave terminal (i.e., a master terminal 11A) receiving a wireless data content service. 11B), the wireless data content is simultaneously provided to the slave terminal together with the master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원 공유 시스템에서의 자원 공유 방법을 설명하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A resource sharing method in a resource sharing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자원 공유 방법은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받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 즉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가 동일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상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할 수 있다.The resource sharing method may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 to whether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same content, that is,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re located on the same switch.

도 3은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가 동일 교환기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자원 공유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ource sharing method when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are located on the same exchange, and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마스터 단말기가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받고자 희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된 컨텐츠 제공 서버로 해당 컨텐츠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1).The master terminal receiving the wireless data content inputs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wishes to simultaneously receive th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sharing request signal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S31).

이때, 마스터 단말기는 현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장치로서,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PDSN과의 세션 및 IP를 할당받은 상태이다. 무선 데이터 컨텐츠 제공 시에 컨텐츠 제공 서버는 마스터 단말기로 제공되는 컨텐츠 서비스 화면상에 번호 입력란을 제공하여 표시토록 함으로써 마스터 단말기가 해당 번호 입력란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즉 슬레이브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aster terminal is a device that is currently receiving the wireless data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has been assigned a session and IP with the PDSN for receiving the wireless data content. When providing wireless data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es a number input box on the content service screen provided to the master terminal to display the number input box so that the master terminal can input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slave terminal number in the corresponding number input box. Make sure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슬레이브 번호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해당 슬레이브 번호가 마스터 단말기와 동일 교환기 상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요청하여 제공받는다(S32).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the content sha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lave number from the master terminal receives the request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slave number is located on the same exchange as the master terminal (S32).

이때, 마스터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요청 신호는 무선 접속 장치와 PDSN, 즉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의 RPP 및 PDSN의 순서로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로 수신되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슬레이브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번호가 마스터 단말기와 동일한 교환기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홈 위치 등록기로 슬레이브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다.At this time, the content sharing request signal of the master terminal is delivered in the order of RPP and PDSN of the radio access device and the PDSN, that is,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finally receiv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is a slave terminal.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number is located in the same exchange as the master terminal by extracting the number of the slave terminal to reques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terminal is provided.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의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조회 결과,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와 동일 교환기 상에 위치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는 해당 교환기를 통해 슬레이브 단말기로의 착신을 시도한다(S33).As a result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about the slave terminal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when the slave terminal is located on the same exchange as the master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ttempts to receive a slave terminal through the corresponding exchange (S33).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제공 서버는 슬레이브 단말기로의 착신 요청 신호를 교환기로 전달하고, 교환기는 해당 요청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를 서비스하고 있는 무선 접속 장치, 즉 기지국 제어기 및 기지국을 통해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송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an incoming request signal to the slave terminal to the exchange, and the exchange transmits the request signal to the corresponding slav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access device serving the slave terminal, that is,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he base station. do.

이후,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착신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컨텐츠 제공 서버는 RPP로 세션 할당을 요청한다(S34).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는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세션 할당이 마스터 단말기에 할당된 세션과 동일하도록 요청하며, 요청 신호를 수신한 RPP는 PDSN으로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 PDSN은 RPP의 요청 신호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와 동일한 세션을 슬레이브 단말기로 할당한다. Thereafter, when a response to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from the slave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quests a session allocation to the RPP (S34). 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quests that the session allocation to the slave terminal is the same as the session allocated to the master terminal, the RPP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requests resource allocation to the PDSN, and the PDSN connects to the mast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of the RPP. Assign the same session to the slave terminal.

상기의 과정을 통해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동일한 세션을 할당받아 PDSN과의 연결을 수립하게 된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re assigned the same session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PDSN.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IP 할당 요청을 PDSN으로 전송한다(S35). 상세하게는, 컨텐츠 제공 서버는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IP 할당 요청을 무선 접속 장치 내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고, 기지국 제어기는 입력받은 IP 할당 요청 신호를 RPP로 전달한다. RPP는 해당 요청 신호를 PDSN으로 최종 전달하여, 이를 수신한 PDSN이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IP 할당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an IP allocation request for the slave terminal to the PDSN (S35). In detai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an IP allocation request for the slav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in the radio access apparatus,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transmits the received IP allocation request signal to the RPP. The RPP finally delivers the request signal to the PDSN, and the PDS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performs an IP allocation procedure for the corresponding slave terminal.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할당 요청되는 IP는 마스터 단말기에 이미 할당되어 있는 IP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t this tim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P requested to be allocat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s the same as the IP already assigned to the master terminal.

PDSN과의 세션 연결이 수립되고 IP를 할당받게 됨으로써 슬레이브 단말기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By establishing a session connection with the PDSN and assigning an IP, the slave terminal is ready to receive wireless data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이후, 컨텐츠 제공 서버는 마스터 단말기로 제공하고 있는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마스터 단말기와 더불어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시 제공한다(S36).Thereaft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imultaneously provides th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 provided to the master terminal to the slave terminal together with the master terminal (S36).

즉, 컨텐츠 제공 서버는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IP를 기준으로 하여 전송하는데,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동일 IP를 할당받아 공유하고 있으므로, 마스터 단말기의 요청만으로도 슬레이브 단말기에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가 동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wireless data content based on the IP. Since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share the same IP and share the same, the wireless data content can be simultaneously provided to the slave terminal only by the request of the master terminal. Will be.

이때, 무선 데이터 컨텐츠 제공은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가 PDSN으로 수신되고, 다시 PDSN과 연결된 RPP로 수신되는 절차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 및 슬레이브 단말기로 최종 전달됨으로써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provision of the wireless data contents is achieved by finally delivering the wireless data contents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through a procedure in which th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s are received in the PDSN and then in the RPP connected to the PDSN.

지금부터는 도 4를 참조하여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가 서로 다른 교환기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자원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resource sharing method when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re located on different exchanges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마스터 단말기가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받고자 희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된 컨텐츠 제공 서버로 해당 컨텐츠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41).First, the master terminal receiving the wireless data content inputs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wishes to simultaneously receive th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sharing request signal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S41). ).

이때, 마스터 단말기는 현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장치로서,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PDSN과의 세션 및 IP를 할당받은 상태이다. 무선 데이터 컨텐츠 제공 시에 컨텐츠 제공 서버는 마스터 단말기로 제공되는 컨텐츠 서비스 화면상에 입력란을 제공하여 표시토록 함으로써 마스터 단말기가 해당 입력란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즉 슬레이브 단말기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aster terminal is a device that is currently receiving the wireless data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has been assigned a session and IP with the PDSN for receiving the wireless data content. When providing wireless data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es an input box on the content service screen provided to the master terminal to display the input box so that the master terminal inputs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slave terminal number, in the corresponding input box. .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슬레이브 번호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해당 슬레이브 번호가 마스터 단말기와 동일 교환기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요청하여 제공받는다(S42).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the content shar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lave number from the master terminal receives the request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slave number is located on the same exchange as the master terminal (S42).

이때, 마스터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요청 신호는 무선 접속 장치와 PDSN, 즉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의 RPP 및 PDSN의 순서로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로 수신되고,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슬레이브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번호가 마스터 단말기와 동일한 교환기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홈 위치 등록기로 슬레이브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다.At this time, the content sharing request signal of the master terminal is delivered in the order of RPP and PDSN of the radio access device and the PDSN, that is,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finally receiv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the sharing request signal is a slave.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number is located in the same exchange as the master terminal by extracting the number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lave terminal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의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조회 결과,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와 다른 교환기 상에 위치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슬레이브 단말기가 속한 해당 교환기를 통해 슬레이브 단말기로의 착신을 시도한다(S43).As a result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about the slave terminal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when the slave terminal is located on a different exchange from the master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ttempts to reach the slave terminal through the corresponding exchange to which the slave terminal belongs ( S43).

즉, 컨텐츠 제공 서버는 슬레이브 단말기가 위치한 교환기로 착신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 해당 요청 신호를 수신한 교환기가 슬레이브 단말기를 서비스하고 있는 기지국 제어기 및 기지국을 통해 슬레이브 단말기로 착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incoming request signal to the exchange in which the slave terminal is located, and transmits the incoming request signal to the slave terminal throug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he base station in which the exchange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serves the slave terminal.

착신 요청 후,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착신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컨텐츠 제공 서버는 해당 교환기 영역 내의 RPP로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세션 할당 요청을 전송한다(S44). After the incoming request, when the response for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from the slave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a session allocation request for the slave terminal to the RPP in the switch area (S44).

세션 할당 요청에 따른 할당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세션 할당 요청을 RPP로 전송하는데, 여기서의 RPP는 슬레이브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의 교환기에 연결된 장치로서, 기지국 제어기에 포함되어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한 RPP는 PDSN으로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 PDSN은 RPP의 요청 신호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세션을 할당한다. 이때 PDSN은 마스터 단말기와 연결 수립되어 마스터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PDSN과 동일한 장치여야 한다.When the alloc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session allocation request is described in detai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session allocation request to the RPP, where the RPP is a device connected to the exchange in the area where the slave terminal is located and i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Upo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RPP requests resource allocation to the PDSN, and the PDSN allocates a session to the slav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of the RPP. At this time, the PDSN should be the same device as the PDSN that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master terminal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terminal.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IP 할당 요청을 상기 PDSN으로 전송한다(S45). 이때 IP 할당 절차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의 IP 할당 요청이 슬레이브 단말기를 서비스하고 있는 기지국 제어기로 수신되고, 이를 수신 한 기지국 제어기는 RPP로 해당 IP 할당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RPP는 해당 요청 신호를 PDSN으로 최종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PDSN이 컨텐츠 제공 서버에 의한 IP 할당 요청에 대응하여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IP 할당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슬레이브 단말기로 할당되는 IP는 마스터 단말기에 이미 할당된 IP와 동일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an IP allocation request for the slave terminal to the PDSN (S45). At this time, the IP assignment procedure receives an IP allocation reques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serving the slav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receiving the IP transmissio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P allocation request signal to the RPP. The RPP finally transmits the request signal to the PDSN so that the PDSN receiving the IP signal performs IP allocation to the slave terminal in response to an IP allocation request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He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IP assigned to the slave terminal is the same as the IP already assigned to the master terminal.

PDSN과의 세션 연결이 수립되고 IP를 할당받게 됨으로써 슬레이브 단말기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By establishing a session connection with the PDSN and assigning an IP, the slave terminal is ready to receive wireless data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이후, 컨텐츠 제공 서버는 마스터 단말기로 제공하고 있는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마스터 단말기와 더불어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시 제공한다(S46).Thereaft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imultaneously provides th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 provided to the master terminal to the slave terminal together with the master terminal (S46).

컨텐츠 제공 서버는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IP를 기준으로 하여 전송하는데,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는 동일 IP를 할당받아 공유하고 있으므로, 마스터 단말기의 요청만으로도 동시에 슬레이브 단말기에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게 되며, 이때, 무선 데이터 컨텐츠 제공은 PDSN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RPP로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어루어지며, 상기 절차를 통해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가 마스터 단말기 및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시 전달된다.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wireless data content based on the IP. Since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share the same IP and share the same, the wireless data content can be simultaneously provided to the slave terminal only by the request of the master terminal. In this case, the wireless data content provision is performed by the PDSN receiving the wireless data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data content to the RPP, and simultaneously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do.

이상,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oregoing has described a resource sharing system and method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is can be chang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받는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되는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토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 할당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 자원의 공유를 통해 실제 할당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source sharing system and method in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network resource allocation by sharing the network resources allocated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same content Through the sharing of network resources, the network resource capacity that can be allocated can be increased.

또한, IP 및 세션 자원의 공유를 통해 무선 데이터 컨텐츠 제공 시 자원을 공유하고 있는 다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동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data contents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haring resources when providing the wireless data contents through sharing of IP and session resources.

Claims (12)

네트워크 자원 공유를 위한 시스템으로서,A system for sharing network resources, 무선 데이터 컨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마스터 단말기;A master terminal generating a sharing request message for the wireless data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haring request messag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 상기 마스터 단말기의 상기 무선 데이터 컨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에 부응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동시 공유하는 슬레이브 단말기;A slave terminal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shar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s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with the master terminal in response to a sharing request for the wireless data contents of the master terminal;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공유 요청 메시지의 처리 및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무선 인터넷망; 및A wireless internet network for processing a sharing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master terminal 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nd 상기 무선 인터넷망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의 공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유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A content providing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a sharing request message from the master terminal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simultaneously provide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s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haring request message;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Resource sharing system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고,A home location register for storing and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요청 시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가 동일 교환기 상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And the home location register provi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re located on the same exchange at the request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스터 단말기는 상기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할당된 IP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망의 PDSN과 연결 수립되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The master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P assign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connected with a PDSN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o receive wireless data contents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Resource shar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PDSN은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 상호 간에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자원 공유 시스템.The PDSN is a resource sharing system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shared between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무선 접속 장치, RPP,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및 그와 연동하는 PDS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구비하여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일 컨텐츠를 동시 제공하는 자원 공유 방법으로서, A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ing a content providing service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including a wireless access device, an RPP, an access network including an exchange, a home location register, and a PDSN interworking with the same, is identical to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As a resource sharing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t the same time,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번호를 포함하는 공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유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the master terminal generating a shar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number of the slav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haring request message to a content providing server;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의 공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공유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의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위치 조회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요청하는 제2단계;A second step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the sharing request message from the master terminal, extracting the number of the slave terminal included in the sharing request message and requesting a location inquiry for the corresponding slave terminal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의 착신을 수행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erforming an incoming call to the slave terminal;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착신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PDSN 연결 요청을 상기 RPP로 전송하여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PDSN과의 연결 수립을 수행하는 제4단계;A fourth step of, when the incoming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slave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a PDSN connection request for the slave terminal to the RPP to establish connection with a PDSN for a slave terminal;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IP 할당 요청을 상기 PDSN으로 전송하여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의 IP 할당을 수행하는 제5단계; 및A fifth step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an IP allocation request for the slave terminal to the PDSN to perform IP allocation to the slave terminal; And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일 컨텐츠를 동시 제공하는 제6단계;A sixth step in whic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imultaneously provides the same content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크 자원 공유 방법.Network resource sharing method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PDSN으로부터 할당된 IP를 가지며, PDSN과 연결 수립되어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크 자원 공유 방법.In the first step, the master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P assigned from the PDSN and connected with the PDSN to receive wireless data contents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Wa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2단계는, The second step,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위치 조회 요청을 수신한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가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 와 동일 교환기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단계; 및Inquiring, by the home location register, receiving the location inquiry request for the slave terminal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hether the slave terminal is located on the same exchange as the master terminal; And 상기 조회 결과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inquiry result to a content providing serv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크 자원 공유 방법.Network resource sharing method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3단계는,The third step,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가 위치한 교환기로 착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 incoming request to an exchange in which the slave terminal is located; And 상기 착신 요청을 수신한 교환기가 무선 접속 장치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 착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The exchange receiving the incoming request, transmitting the incoming request to the slav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access devi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크 자원 공유 방법.Network resource sharing method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4단계는,The fourth step, 상기 연결 요청을 수신한 RPP가 상기 PDSN으로 자원 할당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RPP receiving the connection request sends a resource allocation request to the PDSN; 상기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한 PDSN이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의 세션을 할당하고 그 결과를 상기 RPP로 전송하는 단계; 및The PDSN receiving the resource allocation request allocates a session to the slave terminal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RPP; And 상기 RPP가 상기 PDSN과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와의 연결 수립을 진행하는 단계;The RPP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PDSN and the slave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크 자원 공유 방법.Network resource sharing method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PDSN으로 IP 할당 요청 전송시, 해당 IP가 상기 마스터 단말기에 할당된 IP와 동일한 IP일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크 자원 공유 방법.The fifth step may include, 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an IP allocation request to the PDSN, requesting that the corresponding IP is the same IP as the IP allocated to the master terminal. How to share network resources.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or 10,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한 IP 할당 시,In the fifth step, when IP is allocated to the slave terminal,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기지국 제어기로 IP 할당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 IP allocation request signal to a base station controller; 상기 IP 할당 요청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 제어기가 해당 요청 신호를 RPP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by the base station controller receiving the IP allocation request signal, a corresponding request signal to RPP; And 상기 RPP가 수신된 요청 신호를 PDSN으로 전송하는 단계;The RPP transmitting the received request signal to a PDS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크 자원 공유 방법.Network resource sharing method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6단계는,The sixth step,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PDSN으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ireless data content to a PDSN; 상기 PDSN이 수신한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RPP로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radio data content received by the PDSN to RPP; And 상기 RPP가 해당 무선 데이터 컨텐츠를 마스터 단말기 및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시 전송하는 단계;Simultaneously transmitting, by the RPP, corresponding wireless data content to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망에서의 네트워크 자원 공유 방법.Network resource sharing method in a wireless Internet network comprising a.
KR1020060077427A 2006-08-17 2006-08-17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in wireless internet network KR100786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427A KR100786269B1 (en) 2006-08-17 2006-08-17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in wireless internet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427A KR100786269B1 (en) 2006-08-17 2006-08-17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in wireless internet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269B1 true KR100786269B1 (en) 2007-12-18

Family

ID=3914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427A KR100786269B1 (en) 2006-08-17 2006-08-17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in wireless internet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26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917A (en) * 2002-09-17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the ip address
KR20040044713A (en) * 2002-11-21 2004-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Internet protocol manag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20203A (en) * 2003-08-21 2005-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acket Transmission Method using same IP Address in WCDMA
KR20070045767A (en) * 2005-10-28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ccess point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917A (en) * 2002-09-17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the ip address
KR20040044713A (en) * 2002-11-21 2004-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Internet protocol manag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20203A (en) * 2003-08-21 2005-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acket Transmission Method using same IP Address in WCDMA
KR20070045767A (en) * 2005-10-28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ccess point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751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ckhaul services
CN102148878B (e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alloc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EP4247049A1 (en) Data processing method, network element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50207336A1 (en) System and method of receiving various packet services through the same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system
KR20050054663A (en) A method for balancing load in gprs network and call set-up method thereby
US20050221842A1 (en) Position management server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103065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unnel producing of merging sgsn and ggsn in umts network
US20010049746A1 (en) IP-based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rminals and method thereof
JP4497555B2 (en) Efficient IP address assignment apparatus for IPv6 and method in dial-up network
CN103442450A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EP3641226B1 (en) Address allo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KR1007862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in wireless internet network
KR100706337B1 (en)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QoS using Access point name
US20200076494A1 (en) Communication system, relay server,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WO2016023282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iscover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30007196A1 (en) Connectionless Operation in a Wireless Network
EP3846518B1 (en) System, control plane device, user plane device, and program
KR1003884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Dynamic IP Address to ISP Subscriber Mobile Terminal Visiting 3rd Generation GPRS Network
KR20040049189A (en) Internet Protocol Allocating Method in Inter-working System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KR20020069976A (en) A method for terminating data at mobile through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6787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Dynamic Internet Protocol Address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13973098A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domain name system request
CN108377570B (en) Service data routing method and system and related equipment
KR1005684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ip assignment in efficient network deployment
KR100428249B1 (en) Method for Data Packet Communication using Specific Nam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