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149B1 - Dual type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 Google Patents

Dual type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149B1
KR100784149B1 KR1020060115462A KR20060115462A KR100784149B1 KR 100784149 B1 KR100784149 B1 KR 100784149B1 KR 1020060115462 A KR1020060115462 A KR 1020060115462A KR 20060115462 A KR20060115462 A KR 20060115462A KR 100784149 B1 KR100784149 B1 KR 10078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signal
input
received signal
circ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6011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1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4Circuits using the same frequency for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A dual type TDD(Time Division Duplex) transceiver is provided to obtain a sufficient isolation between an Rx path and a Tx path without a switch or a hybrid and to suppress an internal resonance state. A dual type TDD transceiver comprises the first device(350) and the second device(360), which independently receive Tx signals and Rx signals. The first device(350) and the second device(3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n Rx signal inputted to the first device(350) and an Rx signal inputted to the second device(360) respectively are outputted to a port of the second device(360) and a port of the first device(350). The first device(350) comprises the first isolation unit coupled to a port, to which a Tx signal is inputted, and the second isolation unit coupled to a port, to which an Rx signal is inputted. The second device(360) comprises the third isolation unit coupled to a port, to which an Rx signal is inputted, and the fourth isolation unit coupled to a port, to which a Tx signal is inputted. The first through fourth isolation units respectively comprise circulators(400-406).

Description

듀얼 타입 시분할 송수신 장치{Dual Type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ting/Receiving Device}Dual Type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ual type TDD transceiver.

도 2는 종래의 다른 TDD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conventional TDD transceiver;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시분할 송수신 장치의 연결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dual type time division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ual type TDD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8과 같이 회로가 구성될 경우의 시뮬레이션 파형을 도시한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waveform when a circuit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8; FIG.

도 6은 도 4와 같이 구현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서의 수신 경로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ception path output waveform in a dual type TDD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as shown in FIG. 4.

도 7은 도 9와 같이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 파형을 도시한 도면.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received signal waveform output from a dual type TDD transceiver as shown in FIG. 9.

도 8은 수신 경로가 이상적으로 구현된 TDD 송수신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TDD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in which a reception path is ideally implemented.

도 9는 종래의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서 RF 스위 치 또는 하이브리드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an RF switch or a hybrid is not installed in a conventionally operating dual type TDD transceiver.

본 발명은 시분할 다중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리도 개선을 위한 듀얼 타입 시분할 다중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type time division multiplexing device for improving isolation.

무선통신에서 주파수 확보가 큰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단일 주파수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시분할 다중(Time Division Duplex: TDD) 방식이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As frequency acquisition becomes a big problem in wireless communication,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that enables communication with a single frequency is receiving more attention.

TDD 방식은 시간에 따라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방식으로서, 양방향 통신을 위해 상향 링크(Up Link)와 하향 링크(Down Link)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파수 분할 다중(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방식에 비해 단일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TDD 방식은 송신 및 수신 시간 슬롯의 비대칭적인 매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인터넷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전송에 적합한 기술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The TDD scheme operates in a transmission mode and a reception mode over time. Frequency division duplex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i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ompared to the FDD) method, the single frequency can be operated. In addition, since the TDD scheme uses an asymmetric match betwe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time slots, the TDD scheme has a technical characteristic suitable for transmission of an application such as the Internet.

즉, TDD 방식은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고 주파수를 FDD 방식에 비해 반밖에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고속의 처리가 가능한 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TDD scheme enables high-speed processing without using one antenna and using only half the frequency of the FDD scheme, thereby providing a service at a relatively low cost.

이러한 TDD 방식은 휴대 인터넷 신호 및 OFDM 변조된 RF 신호를 기지국과 단 말기 사이에서 중계하는 중계 장치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The TDD scheme is widely used in a relay apparatus for relaying a portable Internet signal and an OFDM modulated RF signa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특히, 중계기 등에 적용되는 TDD 송수신 장치는 듀얼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듀얼 타입은 신호의 에러를 줄이기 위해 두개의 동일한 고주파 회로부가 구성되는 타입을 의미한다. In particular, a TDD transceiver for a repeater or the like is often implemented in a dual type. In this case, the dual type refers to a type in which two identical high frequency circuit units are configured to reduce a signal error.

도 1은 종래의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ual type TDD transceive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는 제1 장치(150) 및 제2 장치(160)로 구성되며, 각각의 장치는 제1 써큘레이터(100), 제2 써큘레이터(102), RF 스위치(104), 대역 통과 필터(106) 및 증폭기(108)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dual type TDD transceiver includes a first device 150 and a second device 160, and each device includes a first circulator 100 and a second circulator 102. , RF switch 104, band pass filter 106, and amplifier 108.

도 1에서, TDD 송수신 시스템이 송신 모드일 경우, 송신 신호는 포트 1로 입력되고, 제1 써큘레이터(100)를 통해 RF 스위치(104)로 전송된다. 이 때, 제1 써큘레이터(100)는 신호가 RF 스위치(104)로 전송되고 증폭기(108)쪽으로 전송되지 않도록 신호를 격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In FIG. 1, when the TDD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s in a transmission mode, a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to port 1 and transmitted to the RF switch 104 through the first circulator 100. At this time, the first circulator 100 functions to isolate the signal so that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F switch 104 and not to the amplifier 108.

TDD 송수신 장치가 송신 모드일 경우, RF 스위치는 오픈 상태가 아니며 송신 신호는 제2 써큘레이터(102)를 통해 포트 2로 출력된다. 이때, 제2 써큘레이터(102)는 송신 신호가 대역 통과 필터(106)가 아닌 포트 2로만 전달되도록 신호를 격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When the TDD transceiver is in the transmit mode, the RF switch is not open and the transmit signal is output to port 2 through the second circulator 102. In this case, the second circulator 102 functions to isolate the signal so that the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only to port 2 and not to the band pass filter 106.

TDD 송수신 장치가 수신 모드일 경우, 수신 신호는 포트 2로 입력되며, 제2 써큘레이터(102)를 통해 수신 신호는 대역 통과 필터(106)로 입력된다. 제2 써큘레이터(102)는 수신 신호가 RF 스위치(104)가 아닌 대역 통과 필터(106)로 전송되도록 수신 신호를 격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When the TDD transceiver is in the reception mode, the reception signal is input to port 2, and the reception signal is input to the band pass filter 106 through the second circulator 102. The second circulator 102 functions to isolate the received signal so that the received signal is sent to the band pass filter 106 rather than the RF switch 104.

대역 통과 필터(106)는 수신된 RF 신호 중 미리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The band pass filter 106 passes only a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among the received RF signals.

대역 통과 필터(106)를 통과한 신호는 증폭기(108)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제1 써큘레이터(100)를 통해 포트 1으로 전달되며, 제1 써큘레이터(100)는 RF 스위치쪽으로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신호를 격리시킨다.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band pass filter 106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108. The amplified signal is transmitted to port 1 through the first circulator 100, and the first circulator 100 isolates the signal so that the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RF switch.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서 제1 장치(150) 및 제2 장치(160)는 동일하게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In the dual type TDD transceiver, the first device 150 and the second device 160 operate the same independently.

이와 같은 TDD 송수신 장치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것은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로 동작할 때 신호의 격리이며, 특히 신호의 격리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자체 공진 현상이다. The most problematic problem in such a TDD transceiver is isolation of the signal when operating in the transmission mode and the reception mode. In particular, the self-resonance phenomenon caused by signal isolation is degraded.

자체 공진 현상은 증폭기(108)에 의해 증폭된 수신 신호가 제1 써큘레이터(100)에서 격리되지 못하고 제2 써큘레이터(102)를 통해 다시 대역 통과 필터(106)로 입력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The self resonance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received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108 is not isolated from the first circulator 100 and is input back to the band pass filter 106 through the second circulator 102.

이때, 증폭기(108)의 증폭도가 써큘레이터들(100, 102)의 격리도보다 클 경우 이러한 자체 공진 현상은 더욱 심화된다. At this time, when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amplifier 108 is greater than the isolation degree of the circulators 100 and 102, this self resonance phenomenon is further intensified.

종래에는 RF 스위치(104)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자체 공진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였다. RF 스위치(104)는 수신 모드일 경우 오픈 상태가 되며 제1 써큘레이터(100)에서 격리되지 못한 신호가 제2 써큘레이터(102)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Conventionally, the occurrence of such a self resonance phenomenon is suppressed by using the RF switch 104. When the RF switch 104 is in the reception mode, the RF switch 104 is open and prevents a signal that is not isolated from the first circulator 10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econd circulator 102.

종래에는, 이러한 RF 스위치가 아닌 하이브리드를 이용하여 자체 공진 현상 의 발생을 억제하기도 하였다. In the related art, such a hybrid switch, rather than an RF switch, has been us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self resonance.

도 2는 종래의 다른 TDD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들(200, 202, 204)이 구비되며, 하이브리드들(200, 202, 204)을 이용하여 증폭된 수신 신호가 다시 인입되는 자체 공진 현상을 억제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conventional TDD transceiver. As shown in FIG. 2, hybrids 200, 202, and 204 are provided, and the self-resonance phenomenon in which the received signal amplified using the hybrids 200, 202, and 204 is retracted is suppressed.

즉,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같이 스위치 또는 하이브리드를 이용하여 송신 및 수신간의 격리를 확보하고 자체 공진 현상을 억제하였으나, 스위치 및 하이브리드의 높은 손실과 열악한 스퓨리어스(Spurious) 특성이 항상 문제가 되었다. 아울러, 낮은 손실의 스위치를 사용하기 위해 사업자들인 스위치 패키징에 있어 상당한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That is, conventionally, as in the case of FIGS. 1 and 2, the isolation betwe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secured by using a switch or a hybrid and the self-resonance phenomenon is suppressed. However, the high loss and poor spu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witch and the hybrid are always problematic. Becam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significant cost in packaging a switch, which is a carrier, in order to use a low loss switch.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나 하이브리드를 이용하지 않고 수신 경로와 송신 경로 사이의 충분한 격리도를 확보하고 자체 공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시분할 다중 송수신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time-division multiplexing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capable of securing sufficient isolation between a reception path and a transmission path and suppressing self-resonance without using a switch or a hybrid. do.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립적이 아닌 종속적으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수신 경로와 송신 경로 사이의 격리도를 확보하는 듀얼 타입 시분할 다중 송수신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ual type time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which secures isolation between a reception path and a transmission path by processing signals independently and independent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수신 경로와 송신 경로 사 이의 충분한 격리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시분할 다중 송수신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device capable of securing sufficient isolation between a reception path and a transmission path at a lower cos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독립적으로 입력받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장치로 입력된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장치의 포트로 출력되며, 상기 제2 장치로 입력된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장치의 포트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가 서로 연결된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ual type TDD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including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independently, the first A dual type in which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uch that a received signal input to a device is output to a port of the second device, and a received signal input to the second device is output to a port of the first device. A TDD transceiver is provided.

상기 제1 장치는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에 결합되는 제1 격리 수단 및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에 결합되는 제2 격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는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에 결합되는 제3 격리 수단 및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에 결합되는 제4 격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pparatus includes first isolation means coupled to a port through which a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and second isolation means coupled to a port through which a received signal is input, and wherein the second device is coupled to a port through which the received signal is input. And third isolation means and fourth isolation means coupled to the port to which the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상기 제1 격리 수단 내지 제4 격리 수단을 써큘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o fourth isolation means may include a circulator.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제1 장치로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미리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 시키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하는 제1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장치의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로 출력된다. The first device may include: a first band pass filter configured to pass only a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with respect to a received signal input to the first device; And 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band pass filter, wherein the received signal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ier is output to a port to which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econd device is input.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제2 장치로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미리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 시키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및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하는 제2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로 출력된다. The second device may include: a second band pass filter configured to pass only a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with respect to a received signal input to the second device; And a second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second band pass filter, wherein the received signal amplified by the second amplifier is output to a port to which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first device is inpu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격리도 개선을 위한 듀얼 타입 시분할 다중 송수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ual type time division multiplexing and transmissio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iso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시분할 송수신 장치의 연결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diagram of a dual type time division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듀얼 타입에서 시분할 송수신 장치가 독립적으로 동작하였던 것과는 달리 제1 장치(350) 및 제2 장치(360)가 서로 종속적으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3, unlike the time divis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operating independently in the conventional dual type, the first device 350 and the second device 360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1 장치(350)에는 포트 1 및 포트 2가 구비되며, 포트 1으로는 송신 신호, 포트 2로는 수신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2 장치(360)에는 포트 3 및 포트 4가 구비되며, 포트 3으로는 수신 신호 포트 4로는 송신 신호가 입력된다. The first device 350 is provided with a port 1 and a port 2, and a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to the port 1 and a reception signal is input to the port 2. In addition, the second device 360 is provided with a port 3 and a port 4, and a port 3 receives a transmission signal to the reception signal port 4.

포트 1에는 제1 써큘레이터(400)가 연결되고, 포트 2에는 제2 써큘레이터(402)가 연결되며, 포트 3에는 제3 써큘레이터(404)가 연결되고, 포트 4에는 제4 써큘레이터(406)가 연결된다. The first circulator 400 is connected to port 1, the second circulator 402 is connected to port 2, the third circulator 404 is connected to port 3, and the fourth circulator is connected to port 4. 406 is connected.

포트 1을 통해 입력되는 송신 신호의 제1 송신 경로(300)는 종래와 같이 포 트 1에서 포트 2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포트 4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 신호의 제2 송신 경로(304) 역시 포트 4와 포트 3 사이에 형성된다. The first transmission path 300 of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hrough the port 1 is formed between the port 1 to the port 2 as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a second transmission path 304 of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hrough port 4 is also formed between port 4 and port 3.

그러나, 포트 2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신호의 제1 수신 경로(302)는 포트 2와 포트 4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포트 3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신호의 제2 수신 경로(306)는 포트 3과 포트1 사이에 형성된다. However, a first receive path 302 of the received signal input through port 2 is formed between port 2 and port 4. In addition, a second receive path 306 of the received signal input through port 3 is formed between port 3 and port 1.

즉, 종래에는 포트 2로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포트 1으로 출력되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 2로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포트 4로 출력되며, 종래에 포트 3로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포트 4로 출력되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 3으로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포트 1로 출력된다. That is, although a conventionally received signal input to port 2 is output to port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ed signal input to port 2 is output to port 4, and a conventionally received signal input to port 3 Although is output to the port 4,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d signal input to the port 3 is output to the port 1.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치(350)로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제2 장치(360)에서 출력되며, 제2 장치(360)로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제1 장치로(360)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서 수신 신호 경로를 변경하는 것은 써큘레이터 또는 기타의 격리 수단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송신 경로로부터 격리 시킬 때 충분한 격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증폭된 수신 신호가 다시 수신 경로로 인입(자체 공진)되어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d signal input to the first device 350 is output from the second device 360, and the received signal input to the second device 360 is directed to the first device. The output is 360. As such, in the dual type TDD transceiver, changing the reception signal path does not provide sufficient isolation when the reception signal is separated from the transmission path by using a circulator or other isolation means so that the amplified reception signal is returned to the reception path. This is to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elf-resonance.

이와 같이, 수신 경로를 변경하여 종속적으로 연결된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는 불충분한 격리로 인해 송신 경로로 유입된 수신 신호가 다시 수신 경로로 인입되기 까지 보다 많은 격리 수단에 의해 격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 비해 효율적으로 자체 공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ual type TDD transceiver which is connected in a dependent manner by changing the reception path is isolated by more isolation means until the received signal introduced into the transmission path is introduced back into the reception path due to insufficient isolation. Compared to the dual type TDD transceiver, self resonance can be suppressed more efficiently.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의 연결 상태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장점 및 상세한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FIG. 3 illustrates only a connection state of a dual type TDD transce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Advantages and detailed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ual type TDD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는 제1 장치(350) 및 제2 장치(360)를 포함하며, 제1 장치(350)는 제1 써큘레이터(400), 제2 써큘레이터(402), 제1 대역 통과 필터(408) 및 제1 증폭기(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장치(360)는 제3 써큘레이터(404), 제4 써큘레이터(406), 제2 대역 통과 필터(412) 및 제2 증폭기(41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dual type TDD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vice 350 and a second device 360, and the first device 350 includes a first circulator 400. ), A second circulator 402, a first band pass filter 408, and a first amplifier 410, wherein the second device 360 includes a third circulator 404, a fourth circulator 406, a second band pass filter 412, and a second amplifier 41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치(350) 및 제2 장치(360)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종속적으로 동작한다. 도 3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장치(350)의 포트 2로 입력된 수신 신호는 제2 장치의 포트 4로 출력되며, 제2 장치(360)의 포트 3으로 입력된 수신 신호는 제1 장치의 포트 1으로 출력된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device 350 and the second device 3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perate dependently. As shown in FIG. 3, the received signal input to port 2 of the first device 350 is output to port 4 of the second device, and the received signal input to port 3 of the second device 360 is first. Output to port 1 of the device.

먼저 제1 장치의 포트 1으로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operation in the case where a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to port 1 of the first device will be described.

제1 장치(350)의 포트 1으로 송신 신호가 입력될 경우, 송신 신호는 제1 써큘레이터(400)에 의해 제1 송신 경로(300)를 통해 전송된다. 제1 송신 경로(300)에는 종래와 같이 신호의 단절을 위한 RF 스위치 또는 하이브리드 등이 구비되지 않는다. When a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to port 1 of the first device 350, the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path 300 by the first circulator 400. The first transmission path 300 is not provided with an RF switch or a hybrid for disconnecting a signal as in the prior art.

제1 송신 경로(300)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 신호는 제2 써큘레이터(402)에 의해 포트 2로 출력된다. 제1 써큘레이터(400) 또는 제2 써큘레이터(402)가 충분히 송신 신호를 격리시키지 못해 다른 경로를 통해 포트 2로 송신 신호가 출력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 따르면, 다른 경로로 유입된 송신 신호가 보다 많은 써큘레이터들을 통해 신호가 격리된 후에 포트 2로 인입되는 바, 이러한 신호가 포트 2로 출력되는 송신 신호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path 300 is output to the port 2 by the second circulator 402. Although the first circulator 400 or the second circulator 402 does not sufficiently isolate the transmission signal, the transmission signal may be output to port 2 through another path, but the dual type TDD transmission / recep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the transmitted signal entering the other path is introduced into port 2 after the signal is isolated through more circulators, so that the likelihood of affecting the transmitted signal output to port 2 is significantly reduced.

제2 포트로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when the reception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port will be described below.

제2 포트로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써큘레이터(402)는 수신 신호가 제1 수신 경로(302)로 전달되도록 신호를 격리시킨다. 제1 대역 통과 필터(408)는 수신 신호 중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대역 통과 필터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는 캐패시터 및 인덕터 값의 조절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When a received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port, the second circulator 402 isolates the signal so that the receiv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eceive path 302. The first band pass filter 408 passes only signals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mong the received signals. The bandwidth and center frequency of the band pass filte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capacitor and inductor values.

제1 대역 통과 필터(408)를 통과한 수신 신호는 증폭기(410)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기(410)는 RF 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시키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ceived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band pass filter 408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410. The amplifier 410 is preferably a low noise amplifier that amplifies the RF signal with low noise.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제4 써큘레이터(406)에 의해 격리되어 포트 4로 출력된다. 포트 2로 수신된 수신 신호가 제2 써큘레이터(402)에 의해 충분히 격리되지 못해 제1 송신 경로(300)를 통해 제1 써큘레이터(4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제1 서큘레이터(400)에서도 충분히 격리가 이루어지지 못해 포트 1으로 출력될 수 도 있다. 수신 모드에서 포트 1으로는 포트 3로 입력된 수신 신호가 출력되어 신호의 왜곡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존재하나, 포트 3로 입력된 수신 신호는 제2 증폭기(414)에 의해 증폭되어 포트 1으로 전달되며, 제1 경로를 통해 포트 1으로 인입되는 수신 신호는 증폭을 거치지 않고 두 개의 써큘레이터(400, 402)에 의해 두 번에 걸쳐 격리된 후 포트 1으로 인입되기 때문에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작다. Th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is isolated by the fourth circulator 406 and output to port 4.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ort 2 may not be sufficiently isolated by the second circulator 402, and thus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irculator 400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path 300, and the first circulator 400 may receive the received signal. May not be sufficiently isolated and may be output to port 1. In the reception mod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ceived signal inputted to the port 3 is outputted to the port 1 and the signal is distorted. However, the received signal inputted to the port 3 is amplified by the second amplifier 414 and transmitted to the port 1. Since the received signal entering the port 1 through the first path is isolated twice by two circulators 400 and 402 without being amplified, and then the incoming signal is introduced into the port 1,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of distortion of the signal. small.

또한, 포트 2로 입력된 수신 신호가 제1 증폭기(410)에 의해 증폭된 후 제4 써큘레이터(406)에서 충분히 격리가 이루어지지 못해 자기 공진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공진기에 의하면, 제4 써큘레이터에서 충분히 격리가 이루어지지 못해 제2 송신 경로(304)로 신호가 유입될 경우, 유입된 신호는 제 3 써큘레이터(404) 및 제1 써큘레이터(400) 및 제2 써큘레이터(402)의 세 개의 써큘레이터를 거친 후에야 다시 포트 4로 출력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단 하나의 써큘레이터에 의해 신호의 격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세 개의 써큘레이터에 의해 신호의 격리가 이루어지는 바 스위치나 하이브리드 등의 부가적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자체 공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received signal inputted to the port 2 is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ier 410, the isolation may not be sufficiently performed in the fourth circulator 406, thereby causing a 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However, according to the dual type TDD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gnal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304 because the isolation is not sufficiently performed in the fourth circulator, the introduced signal is a third circulator. Only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ee circulators of the 404 and the first circulator 400 and the second circulator 402 is output back to the port 4. Therefore, the signal isolation is not performed by only one circulator, but the signal is isolated by three circulators as in the prior art. Therefore, even if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a switch or a hybrid is not used, the self-resonance phenomenon can be sufficiently suppressed. Can be.

다음으로, 포트 4로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포트 4로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동작은 포트 1으로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와 동일하다. Next,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a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to the port 4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to the port 4 is the same as the case in which the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to the port 1.

포트 4로 입력된 송신 신호는 제4 써큘레이터(406)에 의해 격리되어 제2 송 신 경로(304)로 전달되며, 제3 써큘레이터(404)에 의해 격리되어 포트 3으로 출력된다. 제2 송신 경로(304)에도 신호의 단절을 위한 RF 스위치 또는 하이브리드 등이 구비되지 않는다. Th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port 4 is isolated by the fourth circulator 406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304, and is isolated by the third circulator 404 and output to the port 3.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304 is not provided with an RF switch or a hybrid for disconnecting the signal.

제3 써큘레이터(404) 또는 제2 써큘레이터(406)가 충분히 송신 신호를 격리시키지 못해 다른 경로를 통해 포트 3으로 송신 신호가 출력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 따르면, 다른 경로로 유입된 송신 신호가 보다 많은 써큘레이터들을 통해 신호가 격리된 후에 포트 3으로 인입되는 바, 이러한 신호가 포트 3으로 출력되는 송신 신호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Although the third circulator 404 or the second circulator 406 does not sufficiently isolate the transmission signal, the transmission signal may be output to port 3 through another path, but the dual type TDD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evice, the transmitted signal entering the other path is introduced into port 3 after the signal is isolated through more circulators, so that the likelihood of affecting the transmitted signal output to port 3 is significantly reduced.

다음으로, 포트 3으로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포트 3으로 수신되는 경우는 전술한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와 동일하다. Next, the case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input to the port 3 will be described. Receiving through the port 3 is the same as when the above-described reception signal is input.

포트 3으로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3 써큘레이터에 의해 신호는 제 4 경로(306)로 전달되며, 제2 대역 통과 필터(412)에 의해 필터링 되고, 제2 증폭기(414)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제1 써큘레이터(400)를 통해 포트 1으로 출력된다. When the received signal is input to port 3, the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third circulator to the fourth path 306, filtered by the second band pass filter 412, and amplified by the second amplifier 414. do. The amplified signal is output to port 1 through the first circulator 400.

포트 3으로 수신된 수신 신호가 제3 써큘레이터(404)에 의해 충분히 격리되지 못해 제2 송신 경로(304)를 통해 제4 써큘레이터(406)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제4 서큘레이터(406)에서도 충분히 격리가 이루어지지 못해 포트 4로 출력될 수도 있다. 수신 모드에서 포트 4로는 포트 2로 입력된 수신 신호가 출력되어 신호의 왜곡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존재하나, 포트 2로 입력된 수신 신호는 제1 증폭기(410)에 의해 증폭되어 포트 4로 전달되며, 제2 송신 경로(304)를 통해 포트 4로 인입되는 수신 신호는 증폭을 거치지 않고 두 개의 써큘레이터(404, 406)에 의해 두 번에 걸쳐 격리된 후 포트 4로 인입되기 때문에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작다.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at port 3 may not be sufficiently isolated by the third circulator 404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fourth circulator 406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304, and the fourth circulator 406 May not be isolated enough to output to port 4. In the reception mod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ceived signal inputted to the port 2 is outputted to the port 4 and the signal is distorted, but the received signal inputted to the port 2 is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ier 410 and transmitted to the port 4, Since a received signal entering the port 4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304 is isolated twice by two circulators 404 and 406 without being amplified, and then the incoming signal enters the port 4, signal distortion may occur. The probability is very small.

또한, 포트 3으로 입력된 수신 신호가 제2 증폭기(410)에 의해 증폭된 후 제1 써큘레이터(400)에서 충분히 격리가 이루어지지 못해 자기 공진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공진기에 의하면, 제1 써큘레이터에서 충분히 격리가 이루어지지 못해 제1 송신 경로(300)로 신호가 유입될 경우에도 유입된 신호는 제 2 써큘레이터(402) 및 제4 써큘레이터(406) 및 제3 써큘레이터(404)의 세 개의 써큘레이터를 거친 후에야 다시 포트 1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스위치나 하이브리 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다수에 걸친 신호의 격리에 의해 자기 공진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received signal input to the port 3 is amplified by the second amplifier 410 may not be sufficiently isolated from the first circulator 400 may cause a 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However, according to the dual type TDD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ignal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transmission path 300 because the isolation is not sufficiently performed in the first circulator, the received signal is still in the second circulator. Since the output is outputted to Port 1 only after passing through three circulators of the 402 and the fourth circulator 406 and the third circulator 404, a plurality of signals cannot be installed even if a switch or a hybrid is not provided separately. Isolation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파형 및 성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ignal waveform and the performance output from the dual type TDD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수신 경로가 이상적으로 구현된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일 경우 발생하는 파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수신 경로가 이상적으로 구현된 TDD 송수신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신 경로가 이상적으로 구현된 TDD 송수신 장치는 도 8과 같이 수신 신호가 수신 경로로만 전달되며, 다른 경로를 통해 유입되지 못하게 설정된다. First, a waveform generated when a reception path is an ideally implemented dual type TDD transceiver is described.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TDD transceiver device having an ideal reception path. In a TDD transceiver apparatus having an ideal implementation of a reception path, a reception signal is transmitted only to a reception path as shown in FIG. 8, and is configured not to flow through another path.

도 5는 도 8과 같이 회로가 구성될 경우의 시뮬레이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 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ulation waveform when a circuit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8.

한편, 도 6은 도 4와 같이 구현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서의 수신 경로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ception path output waveform in a dual type TDD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as shown in FIG.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는 수신 경로가 이상적으로 구현된 TDD 송수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파형과 거의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dual type TDD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at the reception path is almost the same as the waveform output from the TDD transceiv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의 출력 파형을 RF 스위치 또는 하이브리드가 설치되지 않은 종래의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의 출력 파형과 비교해보기로 한다. 도 9는 종래의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서 RF 스위치 또는 하이브리드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9와 같이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output waveform of the dual type TDD transce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output waveform of a conventional independently operated dual type TDD transceiver without an RF switch or hybri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an RF switch or a hybrid is not installed in a conventionally operated dual type TDD transceiver. FIG. 7 is a reception signal output from the dual type TDD transceiver. It is a figure which shows a waveform.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듀얼 타입 송수신 장치는 RF 스위치 또는 하이브리드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도 5의 이상적인 경우의 파형과 비교해볼 때 자체 공진 현상으로 인해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conventional independently operating dual type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does not include an RF switch or a hybrid, the signal is distorted due to self resonance when compared with the waveform of the ideal case of FIG. 5. You can check 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를 독립적이 아닌 종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스위치나 하이브리드를 이용하지 않고 수신 경로와 송신 경로 사이의 충분한 격리도를 확보하고 자체 공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type TDD transceiver is independently connected independently and independently, thereby ensuring sufficient isolation between the reception path and the transmission path without using a switch or a hybrid and causing self-resona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uppressed.

Claims (5)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In the dual type TDD transceiver,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독립적으로 입력받는 제1 장치 및 제2 장치를 포함하되,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independently, 상기 제1 장치로 입력된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장치의 포트로 출력되며, 상기 제2 장치로 입력된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장치의 포트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2 장치가 서로 연결된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 The received signal inputted to the first device is outputted to the port of the second device, and the received signal inputted to the second device is outputted to the port of the first device so that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are mutually different. Connected dual type TDD transceiv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장치는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에 결합되는 제1 격리 수단 및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에 결합되는 제2 격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는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에 결합되는 제3 격리 수단 및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에 결합되는 제4 격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 The first apparatus includes first isolation means coupled to a port through which a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and second isolation means coupled to a port through which a received signal is input, and wherein the second device is coupled to a port through which the received signal is input. And a fourth isolation means coupled to the third isolation means and a port to which the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격리 수단 내지 제4 격리 수단은 써큘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 And the first to fourth isolating means comprises a circul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장치는,The first device, 상기 제1 장치로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미리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 시키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및 A first band pass filter configured to pass only a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signal input to the first device; And 상기 제1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하는 제1 증폭기를 포함하며, 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band pass filter, 상기 제1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수신 신호는 상기 제2 장치의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 And a received signal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ier is output to a port to which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econd device is inpu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장치는,The second device, 상기 제2 장치로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미리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 시키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및 A second band pass filter configured to pass only a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signal input to the second device; And 상기 제2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하는 제2 증폭기를 포함하며, A second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second band pass filter, 상기 제2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수신 신호는 상기 제1 장치의 상기 송신 신호가 입력되는 포트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 TDD 송수신 장치.And a received signal amplified by the second amplifier is output to a port to which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first device is input.
KR1020060115462A 2006-11-21 2006-11-21 Dual type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KR100784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62A KR100784149B1 (en) 2006-11-21 2006-11-21 Dual type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62A KR100784149B1 (en) 2006-11-21 2006-11-21 Dual type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149B1 true KR100784149B1 (en) 2007-12-10

Family

ID=3914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462A KR100784149B1 (en) 2006-11-21 2006-11-21 Dual type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14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06483A1 (en) * 2019-02-06 2022-01-06 Commscope Italy S.R.L. Transmit/receive switch circuits for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s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983A (en)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에어텍시스템 Switch matrix isolation deterior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 wireless translator of tdd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983A (en)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에어텍시스템 Switch matrix isolation deterior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 wireless translator of td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06483A1 (en) * 2019-02-06 2022-01-06 Commscope Italy S.R.L. Transmit/receive switch circuits for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s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248B1 (en) Hybrid transformer based integrated duplexer for multi-band/multi-mode radio frequency (rf) front end
US11742890B2 (e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s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coexistence
EP2918016B1 (en) Antenna interface circuits with quadplexers
US9935662B2 (en) Transmit spectral regrowth cancellation at receiver port
US11736140B2 (en) Mixed signal low noise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615754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gital pre-distortion
US10499352B2 (en) Power amplification module for multiple bands and multiple standards
US20230275609A1 (en) Radio-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6174449A (en) Multiple band handset architecture
US10187194B2 (en) Transmit-and-receive module
KR100784149B1 (en) Dual type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WO2006135288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mproved feeder shar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140334361A1 (en)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simplex antennas
JP2022170177A (en) power amplifier module
EP3811520B1 (en) Radio unit for unsynchronized tdd multi-band operation
US10992444B2 (en) Full-duplex communications system
KR100204266B1 (en) Repeater for mobile cdma system
KR101911356B1 (en) Rf relay apparatus using time division duplex and frequnecy division duplex
KR101911355B1 (en) Rf relay apparatus using time division duplex and frequnecy division duplex
KR20020029167A (en) Front end unit of base station for interference signal control
KR100513374B1 (en) Dualduplex apparatus for having matrix structure and method forming thereof
KR20090114851A (en) The High Isolation Front End Module built in Low Noise Amplifier
KR200700064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bodying simultaneous-global positioning system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101716A (en) Full band duplexer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