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194B1 -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194B1
KR100782194B1 KR1020060022230A KR20060022230A KR100782194B1 KR 100782194 B1 KR100782194 B1 KR 100782194B1 KR 1020060022230 A KR1020060022230 A KR 1020060022230A KR 20060022230 A KR20060022230 A KR 20060022230A KR 100782194 B1 KR100782194 B1 KR 10078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average brightness
image signal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868A (ko
Inventor
김준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1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9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되는 비규격신호 또는 셋탑박스(STB)와 같은 외부기기를 거쳐서 입력되는 비정상 신호를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크기의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화면이 전체적으로 좌/우 또는 상/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보이는등의 문제점 및 비규격 신호가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등의 상태를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평균밝기 기능을 이용하여 광학적 범위내에서 +/- 편차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하여 보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은 비규격 신호가 수신되거나 비정상적인 위치 신호에 대해 신호보상이 가능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화면크기로 영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일정크기의 영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면크기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of (an)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셋탑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영상신호 판단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튜너 200 : 영상신호 입력부
300 : 영상신호 판단부 400 : 제어부
500 : 영상신호 처리부 600 : 디스플레이부
700 : 키 입력부 800 : 메모리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되는 비규격신호 또는 셋탑박스(STB)와 같은 외부기기를 거쳐서 입력되는 비정상 신호를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크기의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에서 티브이가 대표적이며, 이러한 티브이는 튜너를 통해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지상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다양한 A/V(Audio/Video) 신호를 입력받아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현재 티브이 시스템의 그 이용 활용도가 넓어지고 고급화됨에 따라 RF, AV, S-Video, Component, RGB-PC, RGB-DTV, DVI-DTV, DVI-PC, HDMI등의 소스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당히 많은 입력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티브이 시스템 내부적으로 각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디코더 및 A/D 변환소자는 대부분 디지털 출력을 내어 뒤쪽의 비디오 처리장치로 전달하며, 이러한 신호변환 소자는 입력 소스별로 각각 상이하다. 그리고, 디코더나 A/D 변환소자와 같은 신호 변환소자 뿐 아니라, 이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모두 다를 수 있다.
즉, RF 신호는 튜너의 출력에 의해 AV 신호는 외부 AV 기기의 출력에 의해 PC 신호는 연결되어 있는 PC에 의해 컴포넌트 신호는 외부 DVD 플레이어 등에 의해, DVI 신호는 연결 제품에 의해 그 신호 크기가 모두 상이하다.
또한, 방송매체가 디지털화가 진전됨에 따라 최근 각광을 받기 시작하고 있는 분야가 디지털 셋탑박스이며, 이러한 셋탑박스의 종류는 크게 케이블 티브이용, 위성방송용, 디지털 지상파 방송용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박스(10)의 기본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에 따른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스트림 수신부(11)와, 상기 스트림 수신부(11)를 통해 수신된 스트림을 다중화되기 이전의 신호로 복원하는 역다중화부(12)와, 상기 역다중화부(12)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영상디코더(13)와, 상기 영상디코더(13)의 출력을 화면처리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영상처리부(14)와, 상기 영상처리부(14)의 출력을 티브이에서 수신 가능한 전송방식(NTSC/PAL)으로 코딩하는 엔코더(15)와, 상기 역다중화부(12)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디코더(16)와, 상기 음성디코더(16)의 출력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음성처리부(17)와, 그리고 사용자 명령에 따르 채널의 방송신호가 선국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영상 및 음성처리 전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셋탑박스(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8)는 이를 입력받아 튜너(도시생략)를 통해 해당 채널이 선국되도록 제어하고, 선국 된 채널의 방송국에서 MPEG/AC-3 방식으로 압축, 코딩 및 다중화 과정을 거쳐 위성 또는 지상파 형태로 전송된 방송신호를 스트림 수신부(11)에서 수신하여 스트림 형태로 변환하고 역다중화부(12)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디코더(13)는 상기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원상태로 복원 및 신장시켜 상기 영상처리부(14)로 출력하며, 상기 영상처리부(14)는 상기 영상디코더(13)에서 출력한 영상신호를 화면표시가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여 상기 엔코더(15)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엔코더(15)는 상기 영상처리부(14)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방송신호 전송방식에 맞도록 예를 들어, NTSC 방식으로 코딩하여 티브이에 출력하며, 상기 음성디코더(16)는 상기 음성신호를 디코딩하여 원상태로 복원 및 신장시켜 상기 음성처리부(17)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처리부(17)는 상기 음성디코더(16)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 출력가능하도록 변환하여 티브이로 전송함으로써 티브이는 상기 셋탑박스에서 출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소자(CRT, PDP, LCD 등)에 맞도록 자체적인 처리과정을 거쳐 화면표시 및 스피커 출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에 정상적이지 못한 비규격신호가 튜너를 통해 수신되거나, 정상적인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셋탑박스(10)를 거치면서 신호의 왜곡이 발생되어 어떠한 보상도 없이 그대로 영상표시기기에 입력됨으로써 영상표시기기의 화면(20)상에 양측으로 영상이 짤려 블랭킹(Blanking) 구간(A)(B)처럼 검게 디스플레이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화면이 쉬프트(Shift)되건 좌/우로 영상이 짤리든 그대로(C)를 보여줌으로써 소비자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방송국에서 보내주는 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셋탑박스 자체에서 신호처리를 잘못해서 출력되는 경우에도 영상표시기기 자체 불량으로 오판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APL(Average Picture Level)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상태를 판단하여 화면크기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항상 일정크기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는 각종 외부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 입력부와, 튜너 또는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평균밝기를 산출하여 영상신호의 영역정보를 산출하는 영상신호 판단부와, 상기 영상신호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영역정보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값과의 비교결과에 따라 영상영역을 보정 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 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신호 판단부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평균밝기를 산출하기 위한 평균밝기 산출부와, 상기 평균밝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평균 밝기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A/D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평균밝기 산출부는 프레임 단위로 영상신호의 평균 밝기를 산출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밝기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영상신호의 평균밝기를 입력받아 영상영역의 시작 및 종료지점의 픽셀값을 파악하고, 기 설정된 기준 영역의 시작 및 종료지점의 기준 픽셀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만큼 영상영역의 확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은 영상신호를 입력되면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영상신호를 입력되면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이 존재하면 평균밝기 산출 모드가 기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밝기 산출 모드가 기 설정되어 있으면 영상신호의 평균밝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평균 밝기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을 기 설정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기 설정범위의 초과 또는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신호의 화면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을 기 설정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의 시작지점 및 종료 지점을 캡쳐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작지점 및 종료지점과 비교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그 값이 기 설정한 설정 범위를 초과했는지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영역의 차이만큼 화면크기를 가변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 시작점 및 종료점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수평/수직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영상신호 판단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기 위한 튜너(100)와, 각종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영상신호 입력부(200)와, 상기 튜너(100) 또는 영상신호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가 정상적인 신호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영상신호 판단부(300)와, 상기 영상신호 판단부(300)의 판단결과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과의 비교결과에 따라 화면크기가 가변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600)에 항상 일정한 크기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500)와, 사용자 요구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700)와, 각종 기준값 및 정보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8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 판단부(300)는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의 프레임별 평균밝기를 산출하기 위한 평균밝기 산출부(310)와, 상기 평균밝기 산출부(310)를 통해 산출된 평균밝기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키 입력부(700)를 통해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소스를 통해 원하는 영상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티브이를 선택하였으면 상기 튜너(10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국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정상적인 영상신호인 지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인지 판단을 위해 상기 영상신호 판단부(30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평균밝기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평균밝기 산출부(310)를 거쳐 프레임별 영상신호의 평균밝기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평균밝기는 A/D 컨버터(320)를 거쳐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부(400)에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외부기기를 통한 영상신호 입력을 선택하였으면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신호 판단부(300)를 거쳐 해당 영상신호의 프레임별 평균밝기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영상신호 판단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기 설정된 기준레벨(Low AD level 0~4)까지는 블랙(Black) 영상으로 인식하여 영상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 판단하고, 그 이상 레벨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부터 영상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해당 시작지점의 수평 픽셀값을 카운팅하여 상기 메모리(800)에 기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결과 그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즉 영상영역이 기 설정된 설정 영역보다 작을 경우 그 차이만큼 상기 제어부(400)는 영상신호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5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5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원 영상을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크기가 조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영상의 확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로 픽셀이 1280이고, 세로 픽셀이 720인 화면에서 상기 영상신호 판단부(300)를 통해 산출된 평균밝기로부터 영상신호가 존재하는 영상영역을 파악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지점이 좌/우 32 픽셀씩 줄어든 지점(A1)(A3)부터 영상신호가 존재하고, 세로는 상/하 18 픽셀씩(B1)(B3)부터 영상신호가 존재하면 실질적으로 영상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은 가로 1216 픽셀(A2)과 세로 684 픽셀(B2)인 영역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하/좌/우 영상의 확장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영상(610)이 디스플레이 될 경우 상기 영상판단부(3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을 확장함으로써 도 6의 (b)와 같이 설정된 크기로 정상적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영역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영역을 감지하는 것이고, 도 6의 (b)에 도시된 영역은 영상크기 보정을 수행한 후 풀(Full) 사이즈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픽셀 카운트 차이값을 바탕으로 수평/수직 시작점 및 종료점 위치 및 ,수평/수직 크기를 자동으로 가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영상신호를 입력받는다(S101 ∼ S102).
그리고 영상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03).
즉, 영상신호가 존재하기 시작하면 사용자에 의해 평균밝기 산출모드(APL 모드)가 기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104), 평균밝기 산출모드(APL 모드)가 기 선택 되어있으면 입력 영상신호의 프레임별 평균밝기를 산출한다(S105).
그리고 산출된 평균밝기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값을 통해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영역의 시작지점의 픽셀값 및 종료지점의 픽셀값을 파악하여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작지점의 픽셀값 및 종료지점의 픽셀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한다(S106 ∼ S107). 즉, 평균밝기에 따라 실질으로 영상신호가 디스플이되는 영상영역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비교값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초과하는지 또는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즉, 기 설정범위는 시작점의 수평 픽셀값 및 수직 픽셀값이 기 설정된 픽셀값과의 비교 결과가 기 설정된 설정범위를 초과하는지,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그 차이만큼 화면크기를 조정한다(S109).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파워 오프 명령을 입력하였으면 종료한다(S110).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4), 평균밝기 산출모드(APL) 모드가 기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기 설정된 디폴트값을 유지하고, 사용자가 파워 오프 명령을 입력하면 종료한다(S111 ∼ S1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화면이 전체적으로 좌/우 또는 상/하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보이는 등의 문제점 및 비규격 신호가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등의 상태를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평균밝기 기능을 이용하여 광학적 범위 내에서 +/- 편차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하여 보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비규격 신호가 수신되거나 비정상적인 위치 신호에 대해 신호보상이 가능하다.
둘째, 비규격 또는 비정상적인 위치 신호에 대해 보상이 가능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화면크기로 영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일정크기의 영상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각종 외부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 입력부;
    튜너 또는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평균밝기를 산출하여 영상신호의 영역정보를 산출하는 영상신호 판단부;
    상기 영상신호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영역정보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값과의 비교결과에 따라 영상영역을 보정 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판단부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평균밝기를 산출하기 위한 평균밝기 산출부와, 상기 평균밝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평균 밝기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A/D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밝기 산출부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프레임 단위로 영상신호의 평균 밝기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균밝기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영상신호의 평균밝기를 입력받아 영상영역의 시작 및 종료지점의 픽셀값을 파악하고, 기 설정된 기준 영역의 시작 및 종료지점의 기준 픽셀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만큼 영상영역의 확장 또는 축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5. 영상신호를 입력되면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이 존재하면 평균밝기 산출 모드가 기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평균밝기 산출 모드가 기 설정되어 있으면 영상신호의 평균밝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평균 밝기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을 기 설정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기 설정범위의 초과 또는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신호의 화면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을 기 설정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의 시작지점 및 종료 지점을 캡쳐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작지점 및 종료지점과 비교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그 값이 기 설정한 설정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영역의 차이만큼 화면크기를 가변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 시작점 및 종료점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수평/수직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방법.
KR1020060022230A 2006-03-09 2006-03-09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82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230A KR100782194B1 (ko) 2006-03-09 2006-03-09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230A KR100782194B1 (ko) 2006-03-09 2006-03-09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868A KR20070092868A (ko) 2007-09-14
KR100782194B1 true KR100782194B1 (ko) 2007-12-04

Family

ID=3869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230A KR100782194B1 (ko) 2006-03-09 2006-03-09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1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716B1 (ko) * 1993-12-24 1999-05-01 김광호 영상신호의 화질개선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716B1 (ko) * 1993-12-24 1999-05-01 김광호 영상신호의 화질개선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868A (ko) 200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1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nalog and digital video format
JP3664251B2 (ja) 映像出力装置
KR20020091997A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8520008B2 (en) Picture display device
US20090044247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KR20090010494A (ko) 자막을 갖는 영상의 크기 조절 방법 및 그 디지털 티브이
KR10135648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0901900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pect ratio control
KR10078219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JP4293073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100598360B1 (ko) 채널 전환시 영상 표시 지연 시간 단축 장치 및 방법
JP200702797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EP1995954A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KR100841143B1 (ko) 시청 제한 방법 및 그 장치
US20060161945A1 (en) Method for informing video receiving delay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reof
KR20100047736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tv 음량 조절방법
KR100853729B1 (ko) 텔레비전의 밝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US839162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image quality improvement and method thereof
KR2010004773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tv 음량 제어 방법
JP2008193349A (ja) 映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8004028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080079850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providing commerce broadcast without modifying broadcast picture and broadcast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0777302B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불쾌지수에 따른 화질 자동 조정 방법및 그 텔레비전 수상기
EP201558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broadcast signal
KR100722449B1 (ko) 텔레비전의 영상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