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901B1 -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 Google Patents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901B1
KR100781901B1 KR1020060048446A KR20060048446A KR100781901B1 KR 100781901 B1 KR100781901 B1 KR 100781901B1 KR 1020060048446 A KR1020060048446 A KR 1020060048446A KR 20060048446 A KR20060048446 A KR 20060048446A KR 100781901 B1 KR100781901 B1 KR 10078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power
convex surface
objec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호식
노명재
Original Assignee
정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용 filed Critical 정수용
Priority to KR1020060048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at least one element being a compound optical element, e.g. cement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물체측에 볼록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갖는 음의 굴절력을 가진 제1렌즈와; 물체측에 볼록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갖는 양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이며, 굴절율(n)이 1.90≤n≤1.95인 초고굴절의 구면렌즈로 형성된 제2렌즈와; 물체측에 볼록면 또는 오목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볼록면을 갖는 양의 굴절력을 가진 제3렌즈와; 물체측과 상측에 모두 볼록면을 갖는 양의 굴절력을 가진 제4렌즈와; 물체측에 오목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갖는 음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이며, 굴절율(n)이 1.90≤n≤1.95인 초고굴절의 구면렌즈로 형성된 제5렌즈와; 상기 제2렌즈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상기 제5렌즈의 상측 앞에 배열되며, 컬러 촬영에서 불필요한 적외선(IR)영역의 빛을 제거하는 적외선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한 구면렌즈를 적절히 사용하고 배열함에 의해 광학계의 해상력을 월등하게 증가시킴과 동시에 파장에 관계없이 광대역 파장에 두루 쓰일 수 있는 광학계를 만족시키므로 주변의 환경변화(주/야간)에도 화질변화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면만의 구성으로도 메가급의 고해상력 성능을 발휘되게 할 뿐만 아니라 광학전장이 짧아져 협소한 공간에도 용이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OPTICAL SYSTEM FOR BROADBAND SECURITY CAMER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의 배열상태 중 60도의 화각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의 배열상태 중 90도의 화각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의 배열상태 중 110도의 화각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f는 도 1의 60도 화각을 형성하는 광학계의 수차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f는 도 2의 90도 화각을 형성하는 광학계의 수차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f는 도 3의 110도 화각을 형성하는 광학계의 수차특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렌즈 20: 제2렌즈
30: 제3렌즈 40: 제4렌즈
50: 제5렌즈 60: 조리개
70: 적외선필터 80: 윈도우글라스
90: 촬상소자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 장착이 용이하고 주/야간 모두 사용 가능한 고화소의 감시카메라용 초소형 구면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면의 특수한 렌즈를 적절히 사용하고 배열함으로써 광대역 파장에 두루 쓰일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주/야간의 환경변화에도 화질에 변화가 없도록 하며 고해상력의 메가픽셀(mega-pixel)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저가형 감시카메라는 주로 아파트의 주차장이나 엘리베이터 등의 폐쇄적인 공간이나 또는 공장 등의 사람이 직접 모니터링하기 부적합한 곳에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화질이 떨어짐에 의해 사건사고시 정확한 데이터의 확보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야간의 환경변화에 해상력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화질에 심한 변화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감시카메라용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구면렌즈는 상면만곡이나 왜곡이 크고 주변광량이 30% 내지 60% 미만까지 현저하게 저하됨으로써 광학성능을 저하시 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CMOS 카메라에는 주변광량이 70% 이상인 렌즈가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에 기존의 광학계 적용이 어려웠을뿐더러 CMOS 카메라에 적합한 렌즈의 개발이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나아가, 시장의 성장에 따라 응용분야가 다양해지고 있고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더욱 우수한 광학성능 발휘는 물론 좀 더 작은 렌즈 개발을 시장에서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면의 특수한 렌즈를 광학계에 적절히 사용하고 배열하여 가시영역의 빛이나 적외선영역의 빛이나 후면초점거리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광대역 파장에 두루 쓰일 수 있도록 하고 주변의 환경변화(주/야간)에도 화질변화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구면만의 구성으로도 메가급의 고해상력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광량비가 90% 이상을 형성하도록 설계하고 렌즈의 중심과 주변의 밝기차이를 해소할 수 있어 CCD 및 CMOS 카메라에 두루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용 광학계를 구성함에 있어서; 물체측에 볼록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갖는 음[(-)Power]의 굴절력을 가진 제1렌즈와; 물체측에 볼록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갖는 양[(+)Power]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이며, 굴절율(n)이 1.90≤n≤1.95인 초고굴절의 구면렌즈로 형성된 제2렌즈와; 물체측에 볼록면 또는 오목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볼록면을 갖는 양[(+)Power]의 굴절력을 가진 제3렌즈와; 물체측과 상측에 모두 볼록면을 갖는 양[(+)Power]의 굴절력을 가진 제4렌즈와; 물체측에 오목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갖는 음[(-)Power]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이며, 굴절율(n)이 1.90≤n≤1.95인 초고굴절의 구면렌즈로 형성된 제5렌즈와; 상기 제2렌즈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상기 제5렌즈의 상측 앞에 배열되며, 컬러 촬영에서 불필요한 적외선영역의 빛을 제거하는 적외선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도표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는 양과 음의 배율을 갖는 3매의 구면렌즈와 양과 음의 배율을 갖는 2매의 특수물성을 갖는 초고굴절 구면렌즈를 배열하여 광학계를 구성함으로써 파장대가 바뀌면 해상력의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과 기존의 구면렌즈에 의한 감시카메라로는 메가급의 해상력이 나오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의 화각특성에 따른 배열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60도의 화각특성을 갖는 배열상태이고, 도 2는 90도의 화각특성을 갖는 배열상태이며, 도 3은 110도의 화각특성을 갖는 배열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는 5장의 구면렌즈(10)(20)(30)(40)(50)로 형성되는 렌즈계와, 조리개(60)와, 적외선필터(70)와, 윈도우글라스(80)와, 촬상소자(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렌즈계는, 물체측에 볼록면(R1)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R2)을 갖는 음[(-)Power]의 굴절력을 가진 제1렌즈(10)와; 물체측에 볼록면(R3)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R4)을 갖는 양[(+)Power]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이며, 초고굴절의 구면렌즈로 형성된 제2렌즈(20)와; 물체측에 볼록면 또는 오목면(R5)을 갖고 상측으로는 볼록면(R6)을 갖는 양[(+)Power]의 굴절력을 가진 제3렌즈(30)와; 물체측과 상측에 모두 볼록면(R7)(R8)을 갖는 양[(+)Power]의 굴절력을 가진 제4렌즈(40)와; 물체측에 오목면(R9)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R10)을 갖는 음[(-)Power]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이며, 초고굴절의 구면렌즈로 형성된 제5렌즈(50)가 순차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렌즈(20)와 제3렌즈(30)는 조리개(60)를 사이에 두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4렌즈(40)와 제5렌즈(50)는 서로 면접촉되도록 맞닿게 접합 배열하여 접합부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렌즈(20)의 상측면(R4)은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은 60도 및 110도의 화각 형성시에는 오목면을 갖도록 하고, 도 2에서와 같은 90도의 화각 형성시에는 볼록면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렌즈(30)의 물체측면(R5)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60도의 화각 형성시에는 오목면을 갖도록 하고, 도 3에서와 같은 110도의 화각 형성시에는 볼록면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렌즈(50)의 상측면(R1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60도 및 90도의 화각 형성시에는 볼록면을 갖도록 하고, 도 3에서와 같은 110도의 화각 형성시에는 오목면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렌즈(10) 내지 제5렌즈(50)는 모두 구면렌즈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제2렌즈(20)와 제5렌즈(50)를 초고굴절의 물성특성을 갖는 특수한 구면렌즈로 구성함에 의해 광대역의 색수차를 제거하고 광대역 파장들의 색수차를 최저로 하는 배열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파장에 관계없이 매우 뛰어난 해상력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제1렌즈(10)로는 외부 환경변화에 매우 강하도록 경도가 있는 구면렌즈를 사용하여 스크래치(scratch)나 렌즈 파손이 거의 없는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제3렌즈(30)와 제4렌즈(40)로는 일반적인 고굴절 구면렌즈를 사용하였으며, 렌즈계의 전반적인 배율(power)과 분산의 최적화를 만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제2렌즈(20)와 제5렌즈(50)로는 초고굴절의 물성특성을 지닌 특수한 구면렌즈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호야(hoya)사의 FDS1렌즈, 쇼트(schott)사의 SF58렌즈나 SF59렌즈, 오하라(ohara)사의 PBH21렌즈나 PBH71렌즈 및 PBH72렌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렌즈(20)와 제5렌즈(50)는 색수차의 보정기능과 더불어 가장 콤팩트하고 얇은 렌즈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광학계의 전반적인 소형화 및 경량화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며, 굴절율과 분산율을 고려한 렌즈 형상을 갖게 함으로써 상이 어두워지는 현상을 제거함은 물론 밝기의 증대효과를 발휘되게 구성하였다.
상기 조리개(60)는 상기 제2렌즈(20)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적외선필터(70)는 컬러 촬영에서 불필요한 적외선(IR)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도록 IR cut-off 필터로 구성하며, 특히 메가급 칼라센서용으로 구성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도우글라스(80)는 상기 적외선필터(70)와 촬상소자(9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촬상소자(90)의 보호 및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되게 한다.
상기 촬상소자(90)는 CCD센서 또는 CMOS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빛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켜 영상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시영역의 빛이나 적외선영역의 빛이나 후면 초점거리(back focal length)의 변화를 없게 한 고정초점 광학계의 구성으로서, 3매의 일반적인 구면렌즈(10)(30)(40)와 2매의 초고굴절 구면렌즈(20)(50)를 복합적으로 배열함과 더불어 적절한 배율로 분배함으로써 수차보정을 양호하게 하되 광대역 파장들의 색수차를 최저로 하는 배열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사용파장에 거의 관계가 없이 뛰어난 해상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학계의 광학전장을 21mm로, 구경비는 F/2.0으로, 화각(시계각)은 임의로 60도와 90도 및 110도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제1렌즈(10) 내지 제5렌즈(40)는 다음의 조건 1,2,3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
[조건 1]
1.23 ≤ B/f ≤ 2.09
여기서,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 후면초점거리(back focal length)를 B라 한다.
[조건 2]
T/f ≤ 4.3
여기서, 광학계의 첫 번째(제1렌즈) 물체측 렌즈면에서 마지막(제5렌즈) 상측 렌즈면까지의 거리를 T라 하고,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라 한다.
[조건 3]
1.90≤n≤1.95, 20≤v≤22 [제2렌즈]
1.90≤n≤1.95, 20≤v≤22 [제5렌즈]
여기서, n은 렌즈의 굴절율이고, v는 렌즈의 분산율이다.
나아가, 다음의 표 1 내지 표 3은 상술한 구성 및 조건에 의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광학계에 대하여 곡률반경, 중심간격, 굴절율, 분산계수(분산율) 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임의로 선정된 화각특성에 따른 각각의 광학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본 발명의 60도 화각특성을 갖는 광학계 데이터
렌즈면 곡률반경(r) 간격(d) 굴절율(n) 분산율(v) 비고
제1면(R1) 1.5751 0.1655 1.7234 37.99
제2면(R2) 0.5148 0.1825
제3면(R3) 1.3392 0.4966 1.9229 20.88
제4면(R4) 2.3533 0.1806
조리개 0.1020
제5면(R5) -1.5751 0.4966 1.6968 55.46
제6면(R6) -0.8045 0.0083
제7면(R7) 1.7017 0.4304 1.6968 55.46
제8면(R8) -1.0181 0 접합면
제9면(R9) -1.0181 0.0828 1.9229 20.88 접합면
제10면(R10) -3.4597 0.0662
적외선필터 0.2649 1.5168 64.20
윈도우글라스 0.1242 1.5168 64.20
촬상소자 0.1986
여기서, 상기 각 데이터는 유효초점거리(EFL; Effective Focal Length) 1.0mm으로 표준화(normalization)된 수치이다.
[표 2] 본 발명의 90도 화각특성을 갖는 광학계 데이터
렌즈면 곡률반경(r) 간격(d) 굴절율(n) 분산율(v) 비고
제1면(R1) 12.813 0.2330 1.7234 37.99
제2면(R2) 0.7855 0.3101
제3면(R3) 3.0946 0.6614 1.9229 20.88
제4면(R4) -44.356 0.7046
조리개 0.0225
제5면(R5) -10.046 0.5946 1.6968 55.46
제6면(R6) -1.3644 0.0116
제7면(R7) 1.8879 0.7521 1.6968 55.46
제8면(R8) -1.1709 0 접합면
제9면(R9) -1.1709 0.1996 1.9229 20.88 접합면
제10면(R10) -8.8917 0.0932
적외선필터 0.3727 1.5168 64.20
윈도우글라스 0.1747 1.5168 64.20
촬상소자 0.2796
여기서, 상기 각 데이터는 유효초점거리(EFL; Effective Focal Length) 1.0mm으로 표준화(normalization)된 수치이다.
[표 3] 본 발명의 110도 화각특성을 갖는 광학계 데이터
렌즈면 곡률반경(r) 간격(d) 굴절율(n) 분산율(v) 비고
제1면(R1) 14.733 0.2679 1.7234 37.99
제2면(R2) 0.9196 0.3712
제3면(R3) 3.2369 0.8036 1.9229 20.88
제4면(R4) 11.723 1.0437
조리개 0.0268
제5면(R5) 9.1478 0.6833 1.6968 55.46
제6면(R6) -1.7899 0.0134
제7면(R7) 1.8975 0.9115 1.6968 55.46
제8면(R8) -1.3065 0 접합면
제9면(R9) -1.3065 0.1339 1.9229 20.88 접합면
제10면(R10) -61.193 0.1071
적외선필터 0.4286 1.5168 64.20
윈도우글라스 0.2009 1.5168 64.20
촬상소자 0.3214
여기서, 상기 각 데이터는 유효초점거리(EFL; Effective Focal Length) 1.0mm으로 표준화(normalization)된 수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투영측정기(PROFILE PROJECTOR)를 통해 측정한 해상력 측 정치와 유효경, 구면계(SPHEROMETER)로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 측정치를 f, 후면 초점거리를 B, 광학계의 첫 번째 제1렌즈(10)에서 마지막 제5렌즈(50)까지의 거리를 T, 투영검사기에 의한 화각측정치 θ, 해상력 측정치의 중심(CR)과 주변(PR)이 구경비(f/dl = F/2.0)라 할 때, 본 발명에 의한 광학계의 렌즈 형상과 렌즈 배열이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 1, 2, 3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조건 1]
1.23 ≤ B/f ≤ 2.09와,
[조건 2]
T/f ≤ 4.3과,
[조건 3]
1.90≤n≤1.95, 20≤v≤22 [제2렌즈]
1.90≤n≤1.95, 20≤v≤22 [제5렌즈]를 만족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는 광학전장 21mm, 구경비 F/2.0 및 60도/90도/110도의 화각(시계각) 특성을 갖는 광학성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있어 60도와 90도 및 110도의 화각특성을 갖는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의 수차특성을 나타낸 분석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4a와 도 5a 및 도 6a는 자오상면 수차와 구결상면 수차를 각각 광축 상의 0, 0.7, 1.0 영역에서 나타낸 것이고, 도 4b와 도 5b 및 도 6b는 초점거 리에 따른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 및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의 비점수차(Astigmatism)를 나타낸 것이고, 도 4c와 도 5c 및 도 6c는 백분왜곡(Distortion)을 나타낸 것이고, 도 4d와 도 5d 및 도 6d는 측면색수차(Lateral Color)를 나타낸 것이고, 도 4e와 도 5e 및 도 6e는 경선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verage)를 나타낸 것이며, 도 4f와 도 5f 및 도 6f는 색수차 초점이동(Chromatic Focal Shift)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4a 내지 도 6f의 분석 그래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는 거의 모든 필드에서 상들의 값이 축에 인접하게 나타나고 있어 구면수차나 자오상면 수차, 백분왜곡, 색수차의 보정 상태가 양호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밝기가 향상된 매우 효과적인 설계가 이루어졌음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광대역 파장에서 초점거리에 거의 변화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어 파장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화소의 고정초점 광학계가 설계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낮이나 밤이나 자동초점시스템(auto focus system)의 부가적인 장치 없이 고정된 초점에서도 메가급 화질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광학계에서 왜곡 수차는 상 거리와 물체 거리가 비슷할 때 최소가 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기존의 일반적인 광학계에서는 렌즈의 형상과 굴절능의 배치 및 조리개의 위치를 조정하여 왜곡 수차를 보정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초고굴절의 물성특성을 갖는 구면렌즈 2매를 적절히 배열함에 의해 구면수차 및 자오상면 수차의 보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에 의하면, 초고굴절의 물성특성을 갖는 특수한 구면렌즈를 적절히 사용하고 배열함에 의해 광학계의 해상력을 월등하게 증가시킴과 동시에 파장에 관계없이 광대역 파장에 두루 쓰일 수 있는 광학계를 만족시키므로 주변의 환경변화(주/야간)에도 화질변화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면만의 구성으로도 메가급의 고해상력 성능을 발휘되게 할 뿐만 아니라 광학전장이 짧아져 협소한 공간에도 용이한 장착을 가능하게 하므로 응용범위가 광범위해지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대역 파장에서도 색수차의 최소화를 이루므로 자동초점시스템의 부가적인 장치 없이 고정된 초점에서도 완벽한 메가급 화질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며, 주변광량비가 90% 이상을 형성하므로 렌즈의 중심과 주변의 밝기차이를 해소할 수 있어 CCD 및 CMOS 카메라에 두루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Claims (5)

  1. 감시카메라용 광학계를 구성함에 있어서;
    물체측에 볼록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을 갖는 음[(-)Power]의 굴절력을 가진 제1렌즈와;
    물체측에 볼록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갖는 양[(+)Power]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이며, 굴절율(n)이 1.90≤n≤1.95인 초고굴절의 구면렌즈로 형성된 제2렌즈와;
    물체측에 볼록면 또는 오목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볼록면을 갖는 양[(+)Power]의 굴절력을 가진 제3렌즈와;
    물체측과 상측에 모두 볼록면을 갖는 양[(+)Power]의 굴절력을 가진 제4렌즈와;
    물체측에 오목면을 갖고 상측으로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갖는 음[(-)Power]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이며, 굴절율(n)이 1.90≤n≤1.95인 초고굴절의 구면렌즈로 형성된 제5렌즈와;
    상기 제2렌즈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상기 제5렌즈의 상측 앞에 배열되며, 컬러 촬영에서 불필요한 적외선영역의 빛을 제거하는 적외선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와 제5렌즈는 호야(hoya)사의 FDS1렌즈, 쇼트(schott)사의 SF58렌즈나 SF59렌즈, 오하라(ohara)사의 PBH21렌즈나 PBH71렌즈 및 PBH72렌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3.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렌즈계의 초점 거리를 f라 하고, 후면 초점거리를 B라 할 때,
    1.23 ≤ B/f ≤ 2.09인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한 렌즈배열을 이용한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 렌즈면에서부터 제5렌즈의 상측 렌즈면까지의 거리를 광학전장 T라 하고, 전체 렌즈계의 초점 거리를 f라 할 때,
    T/f ≤ 4.3인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5. 삭제
KR1020060048446A 2006-05-30 2006-05-30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KR100781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446A KR100781901B1 (ko) 2006-05-30 2006-05-30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446A KR100781901B1 (ko) 2006-05-30 2006-05-30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491U Division KR200426481Y1 (ko) 2006-05-30 2006-05-30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901B1 true KR100781901B1 (ko) 2007-12-04

Family

ID=3913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446A KR100781901B1 (ko) 2006-05-30 2006-05-30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90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9206A (ja) * 2013-09-30 2015-04-13 玉晶光電股▲ふん▼有限公司 撮像レンズ
CN104614842A (zh) * 2015-03-09 2015-05-13 襄阳锦翔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五片式成像透镜组
KR20190005322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나오텍 저조도 카메라용 광학계
KR20200010543A (ko) * 2018-01-23 2020-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11025576A (zh) * 2019-12-26 2020-04-17 天津大学 一种双焦双向组合成像光学系统
CN111025606A (zh) * 2019-12-30 2020-04-17 深圳市特莱斯光学有限公司 超广角针孔镜头及摄像设备
KR102112862B1 (ko) * 2019-04-16 2020-05-19 주식회사 나오텍 고해상력 광각 렌즈 어셈블리
CN113267881A (zh) * 2021-07-19 2021-08-17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成像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730A (ja) 1997-09-04 1999-05-28 Konica Corp 撮像レンズ
KR200327044Y1 (ko) 2003-06-20 2003-09-19 장요셉 초소형 가시광선 및 적외선 광대역 카메라용 광학계
KR100457967B1 (ko) 2003-12-08 2004-12-03 장요셉 초소형 가시광선 및 적외선 광대역 카메라용 광학계
KR20050028064A (ko) * 2003-09-17 2005-03-22 추병욱 씨씨티브이 감시 카메라용 고정 초점 렌즈
KR20050110605A (ko) * 2005-11-08 2005-11-23 샤닝포터 주식회사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2730A (ja) 1997-09-04 1999-05-28 Konica Corp 撮像レンズ
KR200327044Y1 (ko) 2003-06-20 2003-09-19 장요셉 초소형 가시광선 및 적외선 광대역 카메라용 광학계
KR20050028064A (ko) * 2003-09-17 2005-03-22 추병욱 씨씨티브이 감시 카메라용 고정 초점 렌즈
KR100457967B1 (ko) 2003-12-08 2004-12-03 장요셉 초소형 가시광선 및 적외선 광대역 카메라용 광학계
KR20050110605A (ko) * 2005-11-08 2005-11-23 샤닝포터 주식회사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9206A (ja) * 2013-09-30 2015-04-13 玉晶光電股▲ふん▼有限公司 撮像レンズ
CN104614842A (zh) * 2015-03-09 2015-05-13 襄阳锦翔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五片式成像透镜组
KR20190005322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나오텍 저조도 카메라용 광학계
KR101970218B1 (ko) * 2017-07-06 2019-04-18 주식회사 나오텍 저조도 카메라용 광학계
KR20200010543A (ko) * 2018-01-23 2020-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2296114B1 (ko) 2018-01-23 2021-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2112862B1 (ko) * 2019-04-16 2020-05-19 주식회사 나오텍 고해상력 광각 렌즈 어셈블리
CN111025576A (zh) * 2019-12-26 2020-04-17 天津大学 一种双焦双向组合成像光学系统
CN111025606A (zh) * 2019-12-30 2020-04-17 深圳市特莱斯光学有限公司 超广角针孔镜头及摄像设备
CN113267881A (zh) * 2021-07-19 2021-08-17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成像设备
CN113267881B (zh) * 2021-07-19 2021-10-08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成像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728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0781901B1 (ko)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KR100959687B1 (ko) 렌즈 광학계
KR20160108080A (ko) 촬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50087059A (ko) 광각 렌즈계
KR101364974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50072511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215826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90128902A (ko) 촬상 광학계
KR101215827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30106107A (ko) 촬영 렌즈 광학계
JP4268323B2 (ja) 広角レンズ
KR10171032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057139B1 (ko) 대구경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KR100845874B1 (ko)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KR100463133B1 (ko) 광각 렌즈
KR200426481Y1 (ko) 광대역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KR102369803B1 (ko) 어안 렌즈계
KR101872857B1 (ko) 초소형 광각 촬상 렌즈 시스템
KR100712373B1 (ko) 비구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KR20050110604A (ko) 비구면을 이용한 광각 카메라용 광학계
KR200408498Y1 (ko) 비구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KR200422729Y1 (ko) 특수한 렌즈배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용 광학계
KR100536866B1 (ko) 초박형 메가 픽셀급 카메라용 광학계
KR101621204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