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356B1 - 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356B1
KR100781356B1 KR1020060098860A KR20060098860A KR100781356B1 KR 100781356 B1 KR100781356 B1 KR 100781356B1 KR 1020060098860 A KR1020060098860 A KR 1020060098860A KR 20060098860 A KR20060098860 A KR 20060098860A KR 100781356 B1 KR100781356 B1 KR 10078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or
information
blood
barcode
perso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용
Original Assignee
대한적십자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적십자사 filed Critical 대한적십자사
Priority to KR102006009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3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3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A 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nhance business efficiency by performing automatically a verification process. A blood donor paperweight process is performed(S10). Paperweight information and blood donor bar cod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a server computer(S20). The server computer stores corresponding information into a database(S30). A bar code is scanned to identify blood donor information and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puter(S40). The server computer provides the corresponding blood donor information(S50). A blood-gathering process is performed when the corresponding blood donor information is identified(S60,S80). The bar code is scanned to identify the blood donor information and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puter(S90). The server computer provides the corresponding blood donor information(S100). The corresponding blood donor information is identified(S110).

Description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pparatus thereof}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information and device using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서버 컴퓨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computer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의 일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네트워크 통신망100: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200 : 컴퓨터200: computer

300 :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400 : 서버 컴퓨터400: server computer

410 : 데이터 통신수단410: data communication means

420 : 제어수단420: control means

430 : 데이터베이스430: Database

본 발명은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hecking blood donor information and a device thereof.

보다 상세하게는 채혈현장에서 헌혈자의 정보, 채혈된 혈액 및 검체의 정보를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통해 전산으로 자동 확인하여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donor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at enables the computer to automatically verify and verify the information of the donor, the collected blood, and the sample at a blood collection site through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t relates to a verific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of.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의 경우 대한적십자사에서 주도하여 전국적으로 다수의 헌혈자로부터 혈액을 공급받아 이를 관리하고 있다.In general, the Republic of Korea is led by the Korean Red Cross, and receives blood from a large number of blood donors nationwide.

이러한 혈액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서는 다수의 헌혈자들이 제공하는 혈액을 철저하게 검사하는 것 이외에, 채혈현장에서 각 헌혈자로부터 채혈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For the safe management of such blood, in addition to thoroughly testing the blood provided by a large number of donors, it is essential to accurately check and manage whether blood and samples collected from each donor at the blood collection site are those of the donors.

종래의 채혈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채혈과정을 설명하면, 헌혈자를 선별하기 위한 문진 단계와, 문진에서 적격으로 판정된 헌혈자로부터 채혈하는 채혈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blood collec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conventional blood collection site, it can be divided into a questionnaire step for selecting a donor, and a blood collection step for collecting blood from a donor determined to be eligible for the questionnaire.

즉, 헌혈자가 채혈현장을 방문하면, 관련 담당자가 문진하여 헌혈자가 헌혈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1차적으로 확인하고, 문진 단계에서 헌혈할 수 있는 상태로 판정되면, 헌혈자 정보, 채혈된 혈액의 정보, 채혈된 검체의 정보 등을 단계별로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 진행한다.That is, when a donor visits a blood collection site, the person in charge of the donation will first check whether the donor can donat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onor is ready to donate, the donor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bloo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sample is visually checked step by step and proceeds.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채혈 방법은, 담당자들이 헌혈자 정보, 채혈된 혈액의 정보, 채혈된 검체의 정보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단계에서 헌혈자가 바뀌거나, 검체가 바뀌는 등의 사무적인 오류가 발생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사무적인 오류가 발생되면 혈액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lood colle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clerical error such as changing the donor or changing the sample when the person in charge checks the donor information, the collected blood information, and the collected sample information with the naked ey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isk of blood accidents could increase if such a clerical error occurr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채혈현장에서 담당자들이 각 헌혈자의 정보, 채혈된 혈액 및 검체의 정보를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통해 전산으로 자동 확인하여 검증함으로써, 사무적 오류를 방지하고 혈액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the person in charge at the blood collection site, the information of each blood donor, blood collect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sample automatically verified by computer through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prevent office erro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blood donor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o ensure the stability of bloo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은, (1) 헌혈자 정보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채혈현장에 구비된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와, (2)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헌혈자가 소지한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해당 바코드 정보를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여 헌혈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3) 서버 컴퓨터에서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4) (3) 단계를 통해 채혈 전에 서버 컴퓨터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를 1차 확인한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해당 바코드 정보를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여 헌혈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5) 서버 컴퓨터에서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6)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헌혈자 정보를 토대로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lood donor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1) blood transfer before being transferred from a computer provided at the blood collection site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server computer providing the donor information verification service A step of constructing a database of information on each donor's questionnaire acquired during the questionnaire, and a donation bag for each donor and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a sample; and (2) a donor in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blood collecting officer. Scanning the barcode attached to the blood donation record card possessed by the customer, and transmitting the scanned barcode information to the server computer to request blood donor information, and (3) the bar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t the server computer. Personalized information cluster by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To the donor bag of the donor whose blood was collected from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od collection person who first checked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before the blood was collected through steps (4) and (3). Scanning the provided bar code and the bar code provided in the collected sample, and transmitting the scanned bar code information to the server computer to request donor information, and (5) the bar 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t the server computer. Extracting th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ting it to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6) whether the blood and the sample collected at the site are based on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in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이때, 상술한 (1) 단계의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in step (1) described above, and the donation bag and the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sample for each donor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puter through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so that.

그리고, (3) 단계를 통해 채혈 전에 서버 컴퓨터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가 헌혈자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5) 단계를 통해 채혈 후에 서버 컴퓨터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가 헌혈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는 헌혈자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f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before blood collection through step (3) does not match the blood donor, or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after blood collection through step (5) does not match the blood donor, The information terminal is preferably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sound indicating that the donors do not matc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장치는,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과, 채혈현장에 구비되어 헌혈자 정보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되며, 문진을 수행하는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컴퓨터와, 채혈 이전에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헌혈자가 소지한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서버 측에 전송하고, 서버 측으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를 토대로 채혈 전에 헌혈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도록 하고, 채혈 이후에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서버 측에 전송하며, 서버 측으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를 토대로 채혈 후에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도록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가 전송되면 채혈 전 헌혈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 전송하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개인 휴 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 정보가 전송되면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od donor information confirmation device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o connect the unspecified multiple communication line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provided in the blood collection site to provide blood donor information confirmation service It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heck-in, information about each donor's questionnaire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and the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donor bag and sample for each donor Scan the barcode attached to the blood donation record card possessed by the don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blood collection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side, and correspond to the bar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ide. Whether blood donors are correct before blood collection based on donor information First check, after scanning the bar code provided on the blood donor bag of the donor who performed the blood coll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blood collection, the bar code provided on the collected sample is sent to the server side, the server side Personal handheld information terminal to make second check whether blood and sample collected on site after blood collection based on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ar 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d blood transfer transferred from computer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he information on each donor's questionnaire and the barcode information on each donor's donation bag and sample are built into the database, and the barcode attached to the donation record car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Once the information has been sent, the first step is to check whether the donor is correct before collecting blood. The blood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ted to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barcode provided on the blood donor bag of the donor who has collected bloo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llected sample. When the provided bar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 server computer for extracting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 code information for confirming whether the blood collected in the field and the sample is a donor of the donor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ting it to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s included. Characterized in that.

이때, 상술한 서버 컴퓨터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전송받으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와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의 수신, 채혈 전 헌혈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기 위한 헌혈자 정보의 전송,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 정보의 수신,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기 위한 헌혈자 정보의 전송을 처리하는 데이터 통신수단과,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어하고,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의 추출 및 추출한 헌혈자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며,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의 추출 및 추출한 헌혈자 정보의 전송을 제어 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며, 제어수단의 요청에 따라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rver computer receive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and the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each donor from the computer connected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 barcode information attached to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blood donation record card through network network, Transmit donor information to first check whether donor is correct before blood collection, Barcode provided on donation bag, Data communication means for processing the reception of the barcod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ample, the blood collected and the transfer of the donor information for the second confirmation whether the sample is the blood donor, and transmitted from a computer input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Information on each donor's questionnaire acquired during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the donation bag for each donor Control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of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sample, and control the extraction of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attached to the blood donation record card provid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and the transmission of the extracted donor information. Extraction of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on the blood donor bag of the donor who performed the blood collection provid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and the transfer of the extracted donor informa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blood pres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blood donors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received from the comput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nd blood donation bags for each donor and a barcode to be attached to the sample Saves the information, and at the request of the control means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extract the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 code information sent from the group comprising a database for outputting to the control means.

그리고 상술한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는,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and the donation bag of each donor and the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sample to the server computer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It is desirable to.

그리고 상술한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는, 채혈 전에 서버 컴퓨터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가 헌혈자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채혈 후에 서버 컴퓨터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가 헌혈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헌혈자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mentioned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forms the donor that the donor information does not match when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before the blood collection does not match the donor or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after the blood collection does not match the blood donor.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o generate an alarm sou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lood donor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헌혈자 정보 확인장치는, 네트워크 통신망(100), 컴퓨터(200),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 서버 컴퓨터(400) 등으로 구 성된다.As shown, the blood donor information ver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a computer 200,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a server computer 400 and the like.

네트워크 통신망(100)은 유/무선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 등의 각종 통신망으로서, 컴퓨터(200)와 서버 컴퓨터(400),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와 서버 컴퓨터(400) 사이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헌혈자 정보확인에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a variety of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ired / wireless Internet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a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computer 200, the server computer 400,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and the server computer 400. In this way, data communication related to donor information confirmation is made.

컴퓨터(200)는 채혈현장에 구비되어 헌혈자 정보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400)와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되며, 문진을 수행하는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한다.The computer 200 is connected to the server computer 400 which is provided at the blood collection site and provides the blood donor information confirmation service and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is acquired in the check-in process before blood coll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medical examination. Information on each donor's questionnaire, and the blood donor bag for each donor and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sampl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puter 40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는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바코드 스캐너가 구비되어 있고, 채혈 이전에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헌혈자가 소지한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고,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채혈 담당자가 채혈 전에 헌혈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도록 한다.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is provided with a barcode scanner for scanning a barcode, and scans a barcode attached to a blood donation record card possessed by a donor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blood donor prior to blood collection to scan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The blood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40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puter 400, and the blood collecting person first checks whether the blood donor is correct before collecting the blood.

그리고, 채혈 이후에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고, 서버 컴퓨터(400)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채혈 담당자 가 채혈 후에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도록 한다.After the blood collection, a barcode provided on the blood donor bag of the donor who performed the blood coll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od collection person and a barcode provided on the collected blood sample are scanned to the server computer 40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The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 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4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blood collection person can check whether the blood and the sample collected at the site after the blood collection are the second donor.

이때, 상술한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는,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채혈현장에 구비된 컴퓨터(2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he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blood donor bag and the sampl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process before blood collection Or to the server computer 400. That is, it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role of the computer 200 provided in the blood collection site.

또한, 상술한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는, 채혈 전에 서버 컴퓨터(400)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가 헌혈자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채혈 후에 서버 컴퓨터(400)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가 헌혈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헌혈자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켜 채혈 담당자가 이를 즉시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described above does not match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400 before the blood collection, or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400 after the blood collection does not match the blood donor. If not, an alarm will sound to indicate that the donor does not match so the collection staff can immediately identify and take action.

서버 컴퓨터(400)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된 채혈현장에 구비되어 있는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부터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가 전송되면 채혈 전 헌혈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 전송하며,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부터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 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 정보가 전송되면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400)로 전송한다.The server computer 400 is a blood donation for each donor and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200 provided in the blood collection sit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bag and the sample to build a database, and when the barcode information attached on the blood donation record card is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donor before blood collection is correct 1 The blood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car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ted to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and the blood donor of the corresponding donor who has performed blood collection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When the barcode provided on the bag and the barcod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collected sample are transmitted, the blood and the blood collected on site The donor and transm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whether or not the donor of the bar code information to identify the secondary extract from the database to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 (400).

도 2는 상술한 도 1의 서버 컴퓨터(4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computer 400 of FIG. 1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컴퓨터(400)는, 데이터 통신수단(410), 제어수단(420), 데이터베이스(43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the server computer 400 includes a data communication means 410, a control means 420, a database 430, and the like.

데이터 통신수단(410)은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된 컴퓨터(200)로부터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전송받아 제어수단(420)으로 출력한다.The data communication means 410 i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blood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from the computer 20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he barcode to attach to the blood donor bag and sample for each donor Th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output to the control means 420.

그리고, 제어수단(42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된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와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의 수신, 채혈 전 헌혈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기 위한 헌혈자 정보의 전송,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 정보의 수신,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기 위한 헌혈자 정보의 전송을 처리한다.The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420, the reception of the barcode information attached on the blood donation record card and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whether the blood donor before blood collection is correct 1 The transfer of donor information to confirm the difference, the receipt of a barcode provided on the blood donor bag, the receipt of the barcod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collected blood sample, and the donor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the collected blood and the sample are of the donor. Handle the transfer.

제어수단(420)은 데이터 통신수단(410)을 통해 입력되는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된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데이터 통신수단(410)을 통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되는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하도록 제어하며,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한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 통신수단(410)을 통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means 420 is attached to the blood donor bags and samples for each dono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process before blood collec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200 input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410. Control the barcod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database 430, and the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attached to the blood donation record card provid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410 database 430 Control to extract from, and transmits the donor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atabase 430 to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410.

그리고, 데이터 통신수단(410)을 통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하도록 제어하며,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한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 통신수단(410)을 통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Then, the blood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 cod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blood donor bag of the donor and the blood sample provided to perform the blood collection provid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410 Control to extract from the database 430, and transmits the blood donor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atabase 430 to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410.

데이터베이스(430)는 제어수단(4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통신수단(410)을 통해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받은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며, 제어수단(420)의 요청에 따라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채혈 전 헌혈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기 위한 헌혈자 정보와,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기 위한 헌혈자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수단(420)으로 출력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420, the database 430,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process before blood collection received from the computer 2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410, and blood donation for each donor Bar 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bag and the sample, and the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 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 means 420 (primary check whether the blood donor before blood collection is correct Blood donor information, and blood donor information for second-time checking whether the collected blood and the sample are the blood donors) are extracted and output to the control means 420.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a donor information confirmation method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의 일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헌혈자가 채혈현장을 방문하면 문진 담당자가 해당 헌혈자의 문진을 수행하여 헌혈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0).First, when a blood donor visits a blood collection site, an interviewer checks whether the blood donor is appropriate for blood donation (S10).

이때 문진 담당자는 문진을 수행하는 정보를 채혈현장에 구비된 컴퓨터(200)를 통해 입력하게 되는데, 컴퓨터(200)는 문진 담당자가 입력하는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접속된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한다(S20).At this time, the person in charge of the questionnaire inputs the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questionnaire through the computer 200 provided at the blood collection site, and the computer 200 receive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blood donors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process before blood collection inputted by the person in questionnaire. And, the blood donation bag for each donor and the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sampl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puter 40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S20).

또한, 상술한 S20 단계의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는, 문진 담당자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 상에서 직접 입력하고,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process before the blood collection in step S20 described above, and the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donor bag and sample for each donor, the person in charge of the questionnaire directly on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And send it to the server computer 400.

서버 컴퓨터(400)에서는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통신 접속된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한다(S30).In the server computer 400,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blood donors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20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attached to the blood donor bags and samples for each donor Bar cod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430 (S30).

상술한 S10 단계의 문진을 통해 특정 헌혈자가 헌혈에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헌혈자는 혈액을 채혈하게 되는데, 채혈이 이루어지기 전에 채혈 담당자는 문진 과정에서 작성된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를 토대로 해당 헌혈자 를 1차 확인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blood donor is suitable for blood dona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questionnaire of step S10, the blood donor will collect blood. Primary donors will be identified.

즉,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에서 헌혈자가 소지한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해당 바코드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0)을 통해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여 해당 헌혈자 정보를 요청한다(S40).That is, the barcode is attached on the blood donation record card possessed by the donor in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od collection person, and the scanned bar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the server computer 400. Request the donor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o (S40).

서버 컴퓨터(400)에서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부터 바코드 정보가 전송되면, 채혈 전 헌혈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하여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 전송한다(S50).When the bar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the server computer 400 extracts donor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430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for first checking whether the donor before blood collection is correct. It transmits to the information terminal 300 (S50).

이처럼 S50 단계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에서 전송되는 헌혈자 정보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에서는 채혈을 수행하고자 하는 헌혈자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60).As such,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400 through the S50 step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and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determines whether the blood donor is identical to the blood donor to perform blood collection ( S60).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에서는 경보음을 발생하여 채혈 담당자가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S70).If the determination result does not match,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generates an alarm so that the blood collection person can take immediate action (S70).

S60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헌혈자가 맞는 경우, 헌혈자 정보를 1차 확인한 채혈 담당자는 헌혈자의 혈액 및 검체의 채혈을 수행한다(S8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0, if the donor is correct, the blood collection person who first checks the donor information performs blood collection of the donor's blood and samples (S80).

혈액 및 검체의 채혈을 수행한 이후, 채혈 담당자는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기 위하여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고,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에서는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 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해당 바코드 정보를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하여 헌혈자 정보를 요청한다(S90).After performing blood and sample blood collection, the blood collection person performs an operation to scan a barcode provided on the blood donor bag and a barcode provided on the sample to secondaryly confirm whether the blood and the sample are blood donors. In addition,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scans the bar code provided on the blood donor bag of the don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od donor and the barcode provided on the collected blood sample, and scans the corresponding barcode information on the server computer. Request for donor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o 400 (S90).

서버 컴퓨터(400)에서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부터 바코드 정보가 전송되면,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하여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로 전송한다(S100).When the bar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the server computer 400 stores the blood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for secondary checking whether the blood collected in the field and the sample are those of the donor. Extracted from 430 and transmitted to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S100).

이처럼 S100 단계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에서 전송되는 헌혈자 정보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에서는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10).As such,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400 through the step S1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the blood and samples collected in the field in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matches the corresponding donor It is determined whether (S110).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300)에서는 경보음을 발생하여 채혈 담당자가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S120).If the determination result does not match,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300 generates an alarm so that the blood collection person can take immediate action (S120).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으로 판단되면, 채혈 담당자는 채혈 작업을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0 that the blood and the sample collected at the site are the donors of the blood donor, the blood collection person ends the blood collection opera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채혈현장에서 담당자들이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통해 각 헌혈자들의 정보 및 채혈된 혈액과 검체를 전산으로 자동 확인함으로써, 사무적인 오류를 예방하여 채혈된 혈액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의 육안 확인 및 구술 확인 등의 과정을 전산으로 자동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blood donor information using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 in charge at the blood collection site automatically checks the information of each donor and the collected blood and samples through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by comput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collected blood by preventing clerical errors, an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verify and verify the processes of the conventional visual check and oral check by computerization,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8)

(1) 헌혈자 정보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채혈현장에 구비된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1) Blood donor bags and samples for each dono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each donor's questionnaire acquired during the pre-collection questionnaire sent from a computer equipped with a blood collection site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t a server computer providing donor information verification service Constructing a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database; (2)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헌혈자가 소지한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해당 바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여 헌혈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2) scanning a barcode attached to a blood donation record card held by a donor in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blood collecting person, and transmitting the scanned barcode information to the server computer to request donor information; (3)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3) extracting, from the databas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ar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t the server computer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user information to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4) 상기 (3) 단계를 통해 채혈 전에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를 1차 확인한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해당 바코드 정보를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여 헌혈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4) a barcode provided on the donor bag of the donor whose blood was collected by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blood collecting person who first checked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before collecting blood through step (3); And scanning a bar code provided in the collected sample, and requesting donor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scanned bar code information to the server computer. (5)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5) extracting, from the databas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ar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t the server computer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user information to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6)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헌혈자 정보를 토대로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6)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secondly checking whether blood and a sample collected in the field are blood donors based on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in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Blood donor information confirmation method 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in step (1), and the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donor bag and sample for each donor,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Blood donor information confirmation method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server computer via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를 통해 채혈 전에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가 헌혈자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5) 단계를 통해 채혈 후에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가 헌혈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before the blood collection through the step (3) does not match the blood donor, or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after the blood collection through the step (5) is a blood donor. Does not match,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는 헌혈자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방법.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indicating that the donor does not match.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which connects a plurality of unspecified communication line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채혈현장에 구비되어 헌혈자 정보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되며, 문진을 수행하는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컴퓨터;And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blood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process before blood coll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heck-in and the server side providing the blood donor information confirmation service and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 computer for transmitting a blood donation bag and a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each sample to a server through the network; 채혈 이전에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헌혈자가 소지한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서버 측에 전송하고, 서버 측으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를 토대로 채혈 전에 헌혈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도록 하고, 채혈 이후에 채혈 담당자의 조작에 따라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서버 측에 전송하며, 서버 측으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를 토대로 채혈 후에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도록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 및Before collecting blood, the barcode on the blood donation record card of the donor is scanned and sent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blood collection. After checking the first, after scanning the bar code provided on the blood donor bag of the donor who performed the blood coll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blood collection, the bar code provided on the collected sample is sent to the server side, the server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for secondly confirming whether blood and a sample collected at a site after blood collection are blood donors based on blood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ar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ide; And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가 전송되면 채혈 전 헌혈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기 위한 상기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 정보가 전송되면 현장에서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기 위한 상기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헌혈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장치.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about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process before blood collec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and blood donation bags for each donor and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sample are built into the database, an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barcode information attached to the blood donation record card is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e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for first checking whether the donor is correct before blood collection is extracted from a database to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hen the barcode is provided on the blood donor bag of the donor who performed blood collection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bar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llected sample is transmitted, the blood and the sample collected at the site are applied. Second check whether or not you are a donor The bar code information Donor Information Donor device to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atabase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mprising a server computer that is transmitted to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f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rver computer,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접속된 상기 컴퓨터로부터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와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의 수신, 채혈 전 헌혈 자가 정확한지의 여부를 1차 확인하기 위한 헌혈자 정보의 전송,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 정보의 수신, 채혈된 혈액 및 검체가 해당 헌혈자의 것인지의 여부를 2차 확인하기 위한 헌혈자 정보의 전송을 처리하는 데이터 통신수단;Receive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and the barcode information for each donor and the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sample from the computer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 barcode information attached to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and blood donation record card, transfer donor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blood donor is correct before blood collection, barcode provided on donation bag, and blood sample Data communication means for processing the receipt of barcode information and the transfer of donor information for secondary confirmation whether the collected blood and the sample are of the donor;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헌혈기록카드 상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의 추출 및 추출한 헌혈자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채혈을 수행한 해당 헌혈자의 헌혈백 상에 구비된 바코드와, 채혈된 검체에 구비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의 추출 및 추출한 헌혈자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Controlling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of information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before blood collec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input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a donation bag for each donor, and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a sample; Controls the extraction of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attached on the blood donation record card provid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of the extracted donor information through data communication means, an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extraction of the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provided on the donor bag of the donor who performed the blood collection provided from the blood donor and the extraction of the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collected blood sample; And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바코드 정보에 해당하는 헌혈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장치.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store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blood donors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process before blood collection received from the comput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means, and the donation bag for each donor and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sample And a database for extracting don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ar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the blood donor information to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control means.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는,The portabl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of claim 5, wherein: 채혈 이전의 문진과정에서 취득하는 각 헌혈자들의 문진에 따른 정보와, 각 헌혈자별 헌혈백 및 검체에 부착할 바코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장치.Personal handheld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of each donor acquired in the questionnaire process before blood collection and the blood donation bag for each donor and barcode information to be attached to the sampl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puter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Blood donor information confirmation device us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는,The portabl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of claim 5, wherein: 채혈 전에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가 헌혈자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채혈 후에 상기 서버 컴퓨터에서 전송된 헌혈자 정보가 헌혈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헌혈자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헌혈자 정보 확인장치.If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before the blood collection does not match the donor, or if the don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puter after the blood collection does not match the donor, an alarm sound is generated to indicate that the donor does not match. Blood donor information verification device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20060098860A 2006-10-11 2006-10-11 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pparatus thereof KR100781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860A KR100781356B1 (en) 2006-10-11 2006-10-11 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860A KR100781356B1 (en) 2006-10-11 2006-10-11 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356B1 true KR100781356B1 (en) 2007-11-30

Family

ID=3908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860A KR100781356B1 (en) 2006-10-11 2006-10-11 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35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34B1 (en) * 2004-08-23 2004-12-16 주식회사 신보람 Blood donation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34B1 (en) * 2004-08-23 2004-12-16 주식회사 신보람 Blood donation management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6153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4831A (en) Remote interrogation system
CN105095645A (en) Method and system for querying health report under O2O mode
CN108320118A (en) A kind of clinical waste collection transport reception processing on-line monitoring system
CN105915343A (en) Registered user off line activation method and system
CN109784738A (en) The measures an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and approval and examination & approval device
WO2018106018A1 (en) Smart document input system linked to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and method thereof
Dell et al. Integrating ODK Scan into the community health worker supply chain in Mozambique
US20170255748A1 (en) Medical record output management method and medical record output system
CN103593547A (en) Medical imaging system
CN105844315A (en) Sample source dat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0781356B1 (en) Method for identifying blood donor's information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pparatus thereof
CN109065108A (en) The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of basic medical unit offer blood examination service
CN104699968A (en) Intelligent medical guide system and method
CN107680658A (en) The information interacting method and system of medical system
CN115101184A (en) Digit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examination laboratory samples
KR102349164B1 (en) System for appointment transaction of insurance planner
JP5348903B2 (en)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N113284605B (en) Medical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cloud
CN110689950A (en) Resident health card handling method and system
CN112887373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client device and server device
JP4248799B2 (en) Receipt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JP2006011738A (e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personal information data convertion device, leakage detection device, leakag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CN108198592A (en) POCT equipment, POCT data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
CN109413650A (en) A kind of identity identifying method and system
CN108389035A (en) Laboratory inspec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