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265B1 - A mobile phone having with projec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A mobile phone having with projec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265B1
KR100781265B1 KR1020050089974A KR20050089974A KR100781265B1 KR 100781265 B1 KR100781265 B1 KR 100781265B1 KR 1020050089974 A KR1020050089974 A KR 1020050089974A KR 20050089974 A KR20050089974 A KR 20050089974A KR 100781265 B1 KR100781265 B1 KR 100781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obile communication
light sourc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ss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5290A (en
Inventor
신성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265B1/en
Priority to AT06009449T priority patent/ATE474241T1/en
Priority to EP06009449A priority patent/EP1722254B1/en
Priority to DE602006015388T priority patent/DE602006015388D1/en
Priority to JP2006130684A priority patent/JP2006323383A/en
Priority to CN2006100794887A priority patent/CN1862368B/en
Priority to US11/430,173 priority patent/US7695144B2/en
Publication of KR2007003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2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2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키패드가 설치된 단말기 본체와, 디스플레이용 액정 화면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연결된 덮개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광 투과성 부재와, 이 부재의 제 1면 위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부재의 제 1면, 제 2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위에 지지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부재 내부로 반사 및 영상화하여 상기 부재 외부로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로 구성되는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 및 상기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이 내장되는 내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body having a plurality of keypads installed, a cover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and the light on the first surface of the member At least one optical support suppor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member and reflecting and imaging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member; And an internal means for embedding the optical system for the projector and the optical system for the projector.

이동통신 단말기, 프로젝션, 광원, 광학 소자, 광 투과성 부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jection, light source, optical element, light transmitting member

Description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phone having with projection function}A mobile phone having with projec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shown in FIG. 1;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DOE 렌즈를 나타낸 도면,3 to 7 are views each showing a DOE lens usable in an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픈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픈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이 원통형 하우징에 수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housing;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원통형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ylindrical housing shown in FIG. 10;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도 10에 도시된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을 구비한 원통형 하우징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ylindrical housing including an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shown in FIG. 10, respectively, being accommoda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헤드 마운트 형식으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head mounted forma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 사시도,15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shown in FIG. 14;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FIG.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age state of the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shown in FIG. 1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광 투과성 부재 11 : 광원10 light transmitting member 11 light source

11a : 적색 광원 11b : 녹색 광원11a: red light source 11b: green light source

11c : 청색 광원 12a~12f : 광학 소자11c: blue light source 12a-12f: optical element

20 : 이동통신 단말기 30 : 하우징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 housing

32 : 캡 61 : 덮개32: cap 61: cover

62 : 받침 부재 63 : 하우징62: support member 63: housing

64 : 연결부재 64: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은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외부에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프로젝터 모드로 변환시켜서 외부의 스크린에 광을 출사시켜 프로젝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n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inside and out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vert the displa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projector mode as nee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that emits light on a screen of the screen to perform a project function.

근래에 셀룰러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 개인 데이터통신 단말기, 주파수공용 통신 단말기 및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 및 기능 개선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점차로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Recently, as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ersonal data communication terminals,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smart phones has become more common, users' deman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gradually increased.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are provided.

최근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음악, 인터넷,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등 현저히 다양화된 서비스 적용으로 시장성이 점차 확장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고화질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LCD와 같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digital display device)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 크기에 제한을 받아 왔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증가 시켜야 하지만, 이는 곧바로 이동통신 단말기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 즉, 경박단소(輕薄短小)화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영상 사이즈는 보다 확대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갖고 있다.Recently, the mar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gradually expanding due to the application of services, such as cameras, music, the Internet,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s described above, a digital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is used to provide a high quality display as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nhanced, but such a display method has been limited in display size. That is, in order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ust be increased, but this causes a problem of immediately increasing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weight and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though the miniaturization has to be made, the image size needs to be enlarg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시켜서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프로젝터 모드로 변환시켜서 외부의 스크린에 광을 출사시켜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jection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convert the displa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projector mode as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capable of emitting light to overcome a size limitation of a display window.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키패드가 설치된 단말기 본체와, 디스플레이용 액정 화면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연결된 덮개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광 투과성 부재와, 이 부재의 제 1면 위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부재의 제 1면, 제 2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위에 지지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부재 내부로 반사 및 영상화하여 상기 부재 외부로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로 구성되는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 및 상기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이 내장되는 내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달성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body having a plurality of keypads installed thereon, and a lid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At least one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and a light source that is suppor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member, and reflects and images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member and exits the member; It is achiev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configured to include an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composed of an optical element and built-in means in which the optical system for the projector is incorporated.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은 광 투과성 부재와, 이 부재의 제 1면 위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부재의 제 1면, 제 2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위에 지지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부재 내부로 반사 및 영상화하여 상기 부재 외부로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in this invention is supported on at least one of a light transmissive member,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onto a first side of the member, and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f the member. And at least one optical element that reflects and images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member and exits the member.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투과성 부재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가 공기가 채워지거나 또는 진공인 중공형(hollow type)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s made of glass or plastic,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is a hollow type member filled with air or vacuum.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단면은 원, 반원,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shape of a circle, semi-circle, triangle, polygon.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투과성 부재는 선형적(linear)이고 편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may have a linear and flat surface.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전체 표면 중 광학 소자가 지지되는 영역은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on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on which the optical element is support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protrudes or is concave.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과 제 2 면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face each other.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laser diode, a light emitting diode, an organic EL device.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은 단일 파장 또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빔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 어레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or a light emitting device array for irradiating a beam of a single wavelength or different wavelengths.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은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 위에 지지되거나 또는 제 1 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or locat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first surface.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은 적색 광을 생성하는 적색 광원, 녹색 광을 생성하는 녹색 광원, 청색 광을 생성하는 청색 광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includes a red light source for generating red light, a green light source for generating green light, and a blue light source for generating blue light.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적색 광원, 녹색 광원, 청색 광원은 서로 동일한 면에 일직선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 light source, the green light source, and the blue light sourc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traight line on the same plane.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학 소자는 회절광학소자, 홀로그램 광학 소자, 플레인 미러,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스캔 미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element is at least one of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 plane mirror, a micro display, a scan mirror.

삭제delete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DOE 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로 구성되고,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2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다수의 DOE 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 미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element suppor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is composed of at least one DOE lens and at least one scan mirror, and the optical element support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The DOE lens and at least one plane of the mirror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 제 2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서로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elements suppor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와, 광 투과성 부재의 제 2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소정의 각도만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element suppor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and the optical element support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 위에는 구동 회로를 갖는 광학 소자들을 배치하고, 광 투과성 부재의 제 2 면 위에는 구동 회로를 갖지 않는 광학 소자들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elements having the drive circuit ar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and the optical elements without the drive circuit ar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장수단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하우징 본체와, 외주면에 사용자의 손이 취부되는 주름부가 형성되고, 이 주름부의 일측에서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일단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본체에 일정 깊이 삽입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t-in means has a cylindrical housing body with an open top, and a pleat for mounting the user's h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one end of which protrudes to a smaller diameter from one side of the pleat portion to the housing body.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over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depth.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의 외주 일측에는 상기 스캔 미러의 스캐닝된 광이 출사되는 소정 직경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to which the scanned light from the scan mirror is emitted.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장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납홈을 타고, 전후 슬라이딩 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힌지(hinge)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t-in means is a support member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necting member which slides back and forth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a housing hing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장수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 또는 상기 덮개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ilt-in means in this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or the top of the cover.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일반적으로 투사 표시 시스템(projection display system)은 작은 화면을 확대 투사하여 대형 화면을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근래에는 직진성이 우수하여 반사와 굴절에 의한 경로의 예측이 용이한 레이저광을 광원으로 이용하여 대형 화면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a projection display system is a system for displaying a large screen by enlarging and projecting a small screen. In recent years, a projection display system has a large size using a laser light that is excellent in straightness and easily predicts a path due to reflection and refraction as a light sourc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how to implement the screen is being done.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면 화상의 색상이 선명하고 순색에 가까우며 색을 재현하는 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고 또한 콘트라스트가 높아서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Using a laser as a light source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lor of the image is clear, close to pure color, and has a wide range of color reproduction, and a high contrast allows a clear image to be obtained.

R/G/B 레이저를 사용하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는 전범위 컬러 온도(wide color temperature)를 갖고 있어서 대형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컬러가 자연색에 가깝게 표현되며, 픽셀(pixel)화 되지 않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Projection displays using R / G / B lasers have a wide color temperature, so that the color of an image displayed on a large screen can be displayed close to natural colors, and can produce an image that is not pixelated. have.

또한,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는 최근 고도 정보화 사회 및 멀티미디어 산업의 급부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및 고선명화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면서도 자연색에 가까운 색 재현성 및 고 휘도성과 같은 레이저가 갖는 여러 가지 장점때문에 옥외용 광고, 레이저 쇼, 대형 텔레비젼 영상표시등 다양한 분야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In addition, the laser projection display has recently emerged in the high information society and multimedia industry to meet the demand for large display and high definition of display devices.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hows and large-scale television imag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의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광학시스템은 크게 광 투과성 부재(member)(10), 광원(11), 그리고 다수의 광학 소자(12a~12f)로 이루어진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shown in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system is composed of a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a light source 11, and a plurality of optical elements 12a-12f.

상기 광 투과성 부재(10)는 유리, 플라스틱, 내부가 공기 또는 진공인 중공형(hollow type) 부재등일 수 있고, 광이 잘 전달될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며, 광학 설계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된다.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may be a glass, plastic, a hollow type member having an air or a vacuum therein, and any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well, and may have a size according to an optical design. Is determined.

그리고, 경우에 따라 광 투과성 부재(10)의 단면은 원, 반원, 삼각형, 다각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 투과성 부재(10)는 선형적(linear)이고 편평한 표면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may be manufactured as a circle, a semicircle, a triangle, a polygon, or the lik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linear and flat surface.

또한, 설계에 따라, 광 투과성 부재(10)의 전체 표면 중 광학 소자(12a~12f)가 지지되는 영역은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예들 들어, 상기 광 투과성 부재(10)의 단면이, 반원 또는 삼각형으로 제작된 경우, 제 1 면(10a)이 반원 또는 삼각형으로 돌출되고 제 2 면(10b)은 편평한 표면을 갖도록 제작되거나, 또는 제 1 면(10a)이 편평한 표면을 갖고, 제 2 면(10b)이 반원 또는 삼각형으로 돌출하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11)은 광 투과성 부재(10) 내부로 광이 투과하도록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10a) 위로 광을 출사한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esign, a region where the optical elements 12a to 12f are supported among the entire surfaces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may be manufactured to protrude or concave. For example,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is made of a semicircle or a triangle, the first face 10a protrudes into a semicircle or a triangle and the second face 10b has a flat surface, or The first face 10a may have a flat surface, and the second face 10b may be manufactured to protrude in a semicircle or triangle. The light source 11 emits light onto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so that the light is transmitted into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여기서, 광원(11)은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납하는 크기를 더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Here, the light source 11 may be a laser diode, a light emitting diod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or the like. Preferably, the optical system may be configured using a laser diode to further reduce the size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

경우에 따라서는 단일 파장의 빔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나 또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빔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들을 어레이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a light emitting device for irradiating a beam of a single wavelength or a light emitting device for irradiating beams of different wavelengths may be manufactured and used in an array form.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11)으로서, 적색 광을 생성하는 적색 광원 (11a), 녹색 광을 생성하는 녹색 광원(11b), 청색 광을 생성하는 청색 광원(11c)으로 구성하였으며, 적색 광원(11a), 녹색 광원(11b), 청색 광원(11c)은 서로 동일한 면에 일직선으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제작하였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11 includes a red light source 11a for generating red light, a green light source 11b for generating green light, and a blue light source 11c for generating blue light. (11a), the green light source 11b, and the blue light source 11c were manufactured so that they might b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same surface.

상기 광원(11)은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1 면(10a) 위에 지지되거나 또는 제 1 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다른 부재에 지지될 수도 있다.The light source 11 may be supported on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or supported by another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광학 소자(12a~12f)는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1 면(10a), 제 2 면(10b)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위에 지지되고, 광원(11)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광 투과성 부재(10) 내부로 반사 및 영상화하여 광 투과성 부재(10) 외부로 출사한다.The optical elements 12a to 12f are suppor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10a and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and transmit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11 to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It is reflected and imaged inside to exit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1 면(10a)과 제 2 면(10b)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광학 소자(12a~12f)는 회절광학소자(DOE : Diffraction Optical Element), 홀로그램 광학 소자(Hologram Optical Element), 플레인 미러(plane mirror), 마이크로 디스플레이(micro display), 스캔 미러(scan mirro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rface 10a and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The optical elements 12a to 12f may include a diffraction optical element (DOE), a hologram optical element, a plane mirror, a micro display, and a scan mirror. Any one can be u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1 면(10a)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DOE(Diffraction Optical Element) 렌즈(12d)와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12f)로 구성되고,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2 면(10b)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다수의 DOE 렌즈(12a~12c)와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 미러(12e)로 구성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element supported on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consists of at least one diffraction optical element (DOE) lens 12d and at least one scan mirror 12f. The optical element supported on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OE lenses 12a-12c and at least one plane mirror 12e.

여기서,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1 면(10a), 제 2 면(10b)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서로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1 면(10a)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12d, 12f)와, 제 2 면(10b)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12a, 12b, 12c, 12e)는 소정의 각도만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광의 전달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optical elements suppor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rface 10a and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are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a line with each other in a line with each other. The optical elements 12d and 12f supported on the first surface 10a and the optical elements 12a, 12b, 12c and 12e supported on the second surface 10b may be dispos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This is because the light transmission path can be minimized.

그리고, 본 발명의 광학 시스템의 구성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1 면(10a) 위에는 구동 회로를 갖는 광학 소자들을 배치하고,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2 면(10b) 위에는 구동 회로를 갖지 않는 광학 소자들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회로 구성이 필요한 소자들을 일 측으로 구성하면, 공간적 활용이 유용하여 광학 시스템의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In order to optimize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ptical elements having a driving circuit ar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and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is dispose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optical elements having no driving circuit on the upper side), because the configuration of the elements that require the circuit configuration to one side, it is useful to use the space can further reduce the size of the optical system.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DOE 렌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광학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DOE 렌즈들을 사용할 수 있다.3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DOE lenses usable in an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DOE lense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optical system.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픈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픈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프로젝터용 광학시스템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20)의 단말기 본체(21) 내부 일측에 폭방향으로 고정설치하되, 이때, 상기 스캔 미러(12f)를 통해 외부의 스크린(도시되지 않음)에 광을 투사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20)의 상부(안테나 돌출부) 일측에 광 투사용 홀(hole)(20a)을 형성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having a configuration is fixed to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21 of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n a width direction, and at this time, an external screen (not shown) through the scan mirror 12f. A light projection hole 20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antenna protru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so as to project the light.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의 디스플레 이(display) 모드를 프로젝터 모드로 변환하면, 도 1, 도 2,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광원(11a), 녹색 광원(11b), 청색 광원(11c)은 외부의 영상 신호에 따라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1 면(10a)으로 광을 출사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converted to the projector mod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 red light source as shown in FIGS. 1, 2, 8, and 9. 11a), the green light source 11b, and the blue light source 11c emit light to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video signal.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된 광들은 광 투과성 부재(10)를 투과하여 광 투과성 부재(10)의 반대 면인 제 2 면(10b)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12a, 12b, 12c)인 DOE 렌즈로 각각 입사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 is a DOE lens, which is an optical element 12a, 12b, 12c,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and supported on the second surface 10b,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respectively. Incident.

이 때, 광학 소자(12a, 12b, 12c)인 DOE 렌즈는 광원(11)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되므로, 광원(11)은 광들을 소정 각도로 기울여 출사시킨다.At this time, the DOE lenses, which are the optical elements 12a, 12b, and 12c, are arranged to deviate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light source 11, so that the light source 11 tilts the l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emits the light.

이어, 광학 소자(12a, 12b, 12c)인 DOE 렌즈들은 각각 입사된 광들을 회절시켜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1 면(10a) 위에 지지되는 다른 광학 소자(12d)인 DOE 렌즈로 출사한다.The DOE lenses, which are optical elements 12a, 12b, and 12c, respectively, diffract incident light and exit to DOE lenses, which are other optical elements 12d supported on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

그리고, 다른 광학 소자(12d)인 DOE 렌즈는 광학 소자(12a, 12b, 12c)로부터 회절된 광들을 합성하고,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2 면(10b) 위에 형성된 또 다른 광학 소자인 플레인 미러(12e)로 출사한다.The DOE lens, which is another optical element 12d, synthesizes the light diffracted from the optical elements 12a, 12b, and 12c, and is another optical element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It exits to the mirror 12e.

상기 플레인 미러(12e)는 광학 소자(12d)로부터 합성된 광을 광 투과성 부재(10)의 제 1 면(10a) 위에 형성되는 다른 광학 소자인 스캔 미러(12f)로 반사시킨다.The plane mirror 12e reflects the light synthesized from the optical element 12d to the scan mirror 12f, which is another optical element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0a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상기 스캔 미러(12f)는 플레인 미러(12e)로부터 반사된 광을 스캐닝하여 광 투과성 부재(10)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홀(20a)을 통해 광 투과성 부재(10) 외부의 스크린으로 출사한다.The scan mirror 12f scan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lane mirror 12e and transmits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through the hole 20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side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Exit to the outside scree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이 원통형 하우징에 수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원통형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도 10에 도시된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을 구비한 원통형 하우징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하우징 본체(31)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이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31)와 동일한 형태로서 외주면에 사용자의 손이 취부되는 주름부(32a)가 형성되고, 이 주름부(32a)의 일측에서 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된 일단부(32b) 외주를 통해 상기 하우징 본체(31)에 일정 깊이로 끼워지는 커버(32)가 구비된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in a cylindrical housing,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ylindrical housing shown in FIG. 10, and FIGS. 12 and 13 respectively show the projector shown in FIG. 10.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ylindrical housing having an optical system for rece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s illustrated in FIGS. 10 and 11, a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a cylindrical housing main body 31 having an open top. A built-in optical system, and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housing main body 31, and a wrinkle portion 32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ser, and protrudes to a smaller diameter from one side of the wrinkle portion 32a. A cover 32 is fitted to the housing main body 31 with a predetermined depth through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rtion 32b.

상기 커버(32)의 외주 일측에는 상기 스캔 미러(12f)의 스캐닝된 광이 출사되는 소정 직경의 홀(32c)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30)이 폴더(folder)형 이동통신 단말기(40)나, 바(bar)형 이동통신 단말기(50)의 단말기 본체(41)(51) 내부 일측에 각각 설치된 후, 이동통신 단말기(40)(50)의 디스플레이(display) 모드를 프로젝터 모드로 변환시키고, 상기 주름부(32a)를 통해 커버(32)를 회전시켜서 홀(32b)이 상기 스캔 미러(12f)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스캔 미러(12f)를 통해 광을 광 투과성 부재(10) 외부의 스크린으로 출사하며, 도 8, 도 9와 달리 이동통신 단말기(40)(50)의 후방에서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over 32 is formed with a hole 32c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rough which the scanned light of the scan mirror 12f is emitted, as shown in FIGS. 12 and 13. 30 is installed in one of the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or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41 and 51 of the ba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and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 Converts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50 to the projector mode, rotates the cover 32 through the pleats 32a so that the hole 32b is positioned above the scan mirror 12f, and then The light is emitted to the screen outside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through the scan mirror 12f, and unlike FIG. 8 and FIG. 9, the projec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behi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40 and 50.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헤드 마운트 형식의 외장형 타입으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 에 도시된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로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60)의 덮개(61) 상면에 받침부재(63)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지되, 상기 받침부재(63)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의 수납홈(6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홈(63a)에 육면체 형상을 갖는 연결부재(65)가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된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n external type of a head mounted typ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G. 1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optical system for a projector shown in FIG. 14. FIG.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optical system for the projector shown in FIG. 14, wherein the supporting member 63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61 of the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However, a receiving groove 63a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63, and the connecting member 65 having a hexahedron shape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groove 63a so as to be slidable back and forth. .

또한, 상기 연결부재(65)의 일단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이 내장되는 하우징(64)이 힌지(hinge)연결되어 있어서, 프로젝터 모드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덮개(61)를 열고 연결부재(65)를 당긴 후, 받침부재(63)를 덮개(61)와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킨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65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64 in which the optical system for the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so that the cover 61 is used when the projector is to be used in the projector mode. After opening and pulling the connecting member 65, the supporting member 63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over 61.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프로젝터 모드로 변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1)에서 출사된 광이 광학 소자(12a, 12b, 12c)와 또 다른 광학 소자(12d)를 거쳐서 플레인 미러(12e) 및 스캔 미러(12f)를 거쳐 광 투과성 부재(10) 외부의 스크린으로 출사되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2는 단말기 본체이다.Subsequently, when the displa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is converted into the projector mode,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 is converted to the optical elements 12a, 12b, 12c and another optical element 12d. The light exits through the plane mirror 12e and the scan mirror 12f to the screen outside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10, and reference numeral 62 in the figure denotes the terminal bod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단말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 mobile phone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is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프로젝션 기능을 겸비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면서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프로젝터 모드로 변환시켜서 외부의 스크린에 광을 출사시켜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jection function, the displa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verted into the projector mode as needed to meet the trend of light weight and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is can be useful to overcome the size limitation of the display window.

Claims (22)

다수의 키패드가 설치된 단말기 본체와, 디스플레이용 액정 화면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연결된 덮개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body having a plurality of keypads installed, and a co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 광 투과성 부재와, 이 부재의 제 1면 위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부재의 제 1면, 제 2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위에 지지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부재 내부로 반사 및 영상화하여 상기 부재 외부로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로 구성되는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 및A light transmissive member,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onto the first surface of the member, and suppor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member, and reflecting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member And at least one optical element configured to image and exit to the outside of the member. And 상기 프로젝터용 광학 시스템이 내장되는 내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built-in means in which the optical system for the projector is built-i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 투과성 부재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가 공기가 채워지거나 또는 진공인 중공형(hollow type)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is made of glass or plastic,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is a hollow (hollow type) member filled with air or vacuu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단면은 원, 반원,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cross section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shape of a circle, semi-circle, triangle, polyg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전체 표면 중 광학 소자가 지지되는 영역은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region in which the optical element is supported among the entire surfaces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is protruded or concav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과 제 2 면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facing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원은 레이저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light sour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laser diode, a light emitting diode, an organic E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원은 단일 파장 또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빔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소자 어레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light sour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or a light emitting device array for irradiating a beam of a single wavelength or different wavelength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원은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 위에 지지되거나 또는 제 1 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light source is suppor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or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원은 적색 광을 생성하는 적색 광원, 녹색 광을 생성하는 녹색 광원, 청색 광을 생성하는 청색 광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light source includes a red light source for generating red light, a green light source for generating green light, and a blue light source for generating blue light.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적색 광원, 녹색 광원, 청색 광원은 서로 동일한 면에 일직선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red light source, the green light source, and the blue light source a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parallel on the same side of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학 소자는 회절광학소자, 홀로그램 광학 소자, 플레인 미러,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스캔 미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optical element is at least one of a diffraction optical element, a hologram optical element, a plane mirror, a micro display, and a scan mirro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DOE 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로 구성되고,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2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다수의 DOE 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 미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optical element supported on the first sid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consists of at least one DOE lens and at least one scan mirror, and the optical element suppor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comprises at least one DOE lens and at least on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ane mirr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 제 2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서로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optical elements suppor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are arranged in a line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와, 광 투과성 부재의 제 2 면 위에 지지되는 광학 소자는 소정의 각도만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n optical element suppor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and an optical element support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 투과성 부재의 제 1 면 위에는 구동 회로를 갖는 광학 소자들을 배치하고, 광 투과성 부재의 제 2 면 위에는 구동 회로를 갖지 않는 광학 소자들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rranging optical elements having a driving circuit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and arranging optical elements having no driving circuit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장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납홈을 타고, 전후 슬라이딩 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힌지(hinge)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built-in means is a support member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necting member which slides back and forth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nged housing. 삭제delete
KR1020050089974A 2005-05-09 2005-09-27 A mobile phone having with projection function KR1007812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974A KR100781265B1 (en) 2005-09-27 2005-09-27 A mobile phone having with projection function
AT06009449T ATE474241T1 (en) 2005-05-09 2006-05-08 OPTICAL SYSTEM OF A PORTABLE PROJECTOR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THEREOF
EP06009449A EP1722254B1 (en) 2005-05-09 2006-05-08 Optical system of portable projec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DE602006015388T DE602006015388D1 (en) 2005-05-09 2006-05-08 Optical system of a portable projec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t
JP2006130684A JP2006323383A (en) 2005-05-09 2006-05-09 Optical system of portable projec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CN2006100794887A CN1862368B (en) 2005-05-09 2006-05-09 Optical system of portable projector
US11/430,173 US7695144B2 (en) 2005-05-09 2006-05-09 Optical system of portable projec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974A KR100781265B1 (en) 2005-09-27 2005-09-27 A mobile phone having with projec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290A KR20070035290A (en) 2007-03-30
KR100781265B1 true KR100781265B1 (en) 2007-11-30

Family

ID=4163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974A KR100781265B1 (en) 2005-05-09 2005-09-27 A mobile phone having with projec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2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04B1 (en) * 2007-11-06 201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projector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41309B1 (en) * 2008-01-28 2014-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system
KR100945136B1 (en) * 2008-04-04 2010-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ojec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with
KR101709529B1 (en) * 2016-01-26 201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screen using portable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301A (en) * 2003-07-30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Projector display device of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301A (en) * 2003-07-30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Projector display device of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290A (en) 200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877B2 (en) Optical modulators including incorporated into mobile terminal projector
EP1722254B1 (en) Optical system of portable projec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EP1785769B1 (en) Projector/Projection type switchable display apparatus
US7542783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05554B1 (en) Mobile unit using the projector of optical modulator
US6452577B1 (en) Microdisplay viewer
JP4535508B2 (en) Mobile phone
CN102109675B (en) Image displayer, mobile phone, information processor, and imager
JP2004032507A (en) Optical information reading adapter for mobile terminal with built-in camera
KR100781265B1 (en) A mobile phone having with projection function
US20030012532A1 (en)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suitable for such an apparatus
JPH10123969A (en) Portable power supply having visual image display
TWI459119B (en) Mini-color image projector
CN101071256A (en) Image offset adjustment apparatus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TWI398719B (en) Color-wheel free projection display module
KR100810260B1 (en) Portable terminal with projector
CN217508811U (en) Electronic device
ES2586620T3 (en) Device to record, transmit and remotely reproduce three-dimensional images
KR100644218B1 (en) Micro display device
JP4789796B2 (en) Mobile phone
CN115220324B (en) Imaging device and vehicle
TW200904201A (en) Miniature laser projector
JP3537716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JP2009134147A (en) Portable terminal
KR100272375B1 (en) Head mounted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