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698B1 - Slide Type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e Type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698B1
KR100780698B1 KR1020050078655A KR20050078655A KR100780698B1 KR 100780698 B1 KR100780698 B1 KR 100780698B1 KR 1020050078655 A KR1020050078655 A KR 1020050078655A KR 20050078655 A KR20050078655 A KR 20050078655A KR 100780698 B1 KR100780698 B1 KR 100780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hinge
main body
receiv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4098A (en
Inventor
김용재
이을호
이기섭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5007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698B1/en
Publication of KR2007002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0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6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버튼을 구비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힌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접합부에 위치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대응하는 수용부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키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좌우로 돌출된 날개부를 가지며,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편리한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typ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button, a slide portion having a display, and a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slide portion,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A sliding hinge, a pressing portion positioned at the jun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a receiv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ortion, and a key button position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The part has a body portion and a w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provided in the slide portion and to provide a slide type terminal that is convenient to operate.

슬라이드형 단말기, 키버튼, 슬라이드 힌지 Slide type terminal, key button, slide hinge

Description

슬라이드형 단말기{Slide Type Mobile Terminal}Slide typ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결합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id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유격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rance button of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가압부가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formed in the slide unit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키버튼 가압부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ey button pressing portion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레일부와 가이드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결합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rail and a guid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힌지와 본체부가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 hinge and the main body portion coupled by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연결부재와 수용부를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슬라이드부 11: 디스플레이10: slide section 11: display

20: 슬라이드 힌지 21: 제1 힌지부20: slide hinge 21: first hinge portion

23: 제2 힌지부 30: 본체부23: second hinge portion 30: main body portion

31: 버튼 33: 수납홈31: button 33: storage groove

50: 유격버튼 51: 가압부50: play button 51: pressurizing portion

52: 몸통부 53: 날개부52: torso 53: wing

55: 수용부 56: 수용홈55: accommodating part 56: accommodating groove

57: 경사부 59: 키버튼57: inclined portion 59: key button

21': 레일부 23' : 가이드부21 ': rail portion 23': guide portion

71: 연결부재 74: 제1 수용부71: connecting member 74: first receiving portion

75: 제2 수용부75: second receiving par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type terminal.

무선 통신 기술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술이 여러 분야의 제품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여러 방면에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전화기에서도 적용되어 사용자들이 전화기를 휴대할 수 있게 되었고, 어느 장소에서나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라 함은 가정용 무선 전화기에 포함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A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in various fields in various fields and provides convenience in various aspects. This wireless communication has also been applied to telephones, allowing users to carry the telephone and use the telephone anywhere. In general, a portable telephone is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a wireless transceiver included in a home wireless telephone as well as a mobile phone which is widely used recently.

휴대폰들은 외형이나 작동 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형, 폴더형(folder-type) 및 슬라이드형(sliding-type)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슬라이딩 방식 핸드폰은 2개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각각의 슬라이딩 파트에 디스플레이 및 키버튼을 같은 방향을 향하는 방식의 핸드폰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 핸드폰은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위로 밀어 올려 후방의 슬라이딩 파트 전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를 노출 시킬 수 있는 핸드폰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키 입력부가 형성된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아래로 이동시켜 후방의 슬라이딩 파트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핸드폰도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기 편리하다는 점에 의해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다. Mobile phones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flip type, folder type and sliding type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and operation method. A sliding type mobile phone has two sliding parts overlapping each other and each sliding It means a cell phone with the display and key buttons facing the same direction on the part. In general, the sliding type mobile phone may slide the front sliding part relatively to expose the display unit or the key input unit hidden on the rear side. For example, there is a mobile phone that can push up the front sliding part to expose the key input unit formed on the front of the rear sliding part. As another example, there is also a mobile phone that can expose the display formed on the front of the sliding part of the rear by moving the front sliding part formed with the key input portion down. Such a slide type terminal is widely used today because of the convenience of opening the display unit.

그리고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기능이 휴대용 전화기, PDA 또는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됨에 따라 더욱 큰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을 시청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장시간 시청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가 더욱 커지게 되었다. As functions such as a camera and a camcorder are mount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portable telephone, a PDA, or a portable computer, a terminal having a larger display is required. In particular,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atch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has become more demanded because it needs to watch the display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편리한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type terminal which can not only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provided in the slide unit but also easy to opera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버튼을 구비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힌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접합부에 위치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대응하는 수용부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키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좌우로 돌출된 날개부를 가진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typ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button, a slide portion having a display, and a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slide portion,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A sliding hinge, a pressing portion positioned at the jun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a receiv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ortion, and a key button position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The part has a body part and a wing part which protrudes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body part.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하는 제1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며 상기 가압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며 상기 가압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구 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가압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The slide hinge may include a first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slide portion, and a second hinge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may include a slot for open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may move. The press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lide portion, and the first hinge portion may have a slot for open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can move. The press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art, the receiv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slide part, and the first hinge part may have a slot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part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ressing part may move.

상기 수용부는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몸통부에 대응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양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키버튼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키버튼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키버튼은 상기 경사부 또는 상기 수용홈에 배열될 수도 있다.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partially open and formed at both end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and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wing portion. The key button may be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key button may be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g. The key button may be arranged in the inclined portion or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lide hinge may include a rail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part and a guide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inserted into the rail part. The slide hinge may include a rail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guid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rail portion.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pressing par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part, the receiving par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or the pressing par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receiving par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par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드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는 슬라이드 힌지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힌지를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하 및 좌우 운동에 의해 유격이 가능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유격할 수 있는 공 간을 제공하며 상기 연결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개재되는 키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날개부를 구비한다. A slide unit having a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 hinge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and the slide unit to enable the slide unit to slide relative to the main body unit, and the main body unit or the slide unit And a connection member which connects the slide hinge and is spaced apart by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unit,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can be spaced by receiving the connection member. And a key button interposed between the receiving member and the receiving member,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w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통부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통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날개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된 한 쌍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통부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4개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통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날개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된 두 쌍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wing portion has two symmetrical sides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irs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ody portion, a pair of second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wing portion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t may include, the wing portion is provided with four symmetrical to the body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a firs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ody portion, two pairs receiving the wing portion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t may also include a second receiving portion of.

상기 제2 수용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키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The key button may be position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g por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2nd accommodating part inclin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main body par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d there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를 구비한 슬라이드부(10)와, 버튼 (31)을 구비한 본체부(30), 상기 슬라이드부(10)와 상기 본체부(30)를 각각 연결하는 슬라이드 힌지(20) 및 상기 슬라이드부(10)와 상기 본체부(30)의 접합부분에 위치하는 유격버튼(50)을 포함한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2,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unit 10 having a display 11, and the main body unit 30 having a button 31 , A slide hinge 20 connecting the slide unit 10 and the main body unit 30, and a play button 50 positioned at a joint portion of the slide unit 10 and the main body unit 30. do.

상기 슬라이드부(10)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 키버튼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10)는 상기 슬라이드힌지(20)의 제1 힌지부(21)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30)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슬라이드 힌지(20)는 상기 슬라이드부(10)에 소정의 유격을 제공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개방되거나 폐쇄된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슬라이드 힌지(20)의 유격으로 인해 미세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으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개방되거나 폐쇄된 경우,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힌지(20)의 유격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The slide unit 10 may include a display 11 and a speaker on which a screen is displayed, and may further include key buttons as necessary. The slide unit 1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21 of the slide hinge 20 to slide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0, wherein the slide hinge 20 Provides a predetermined clearance to the slide unit 10. That is, when the slide part 10 is opened or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30, when the slide part 10 is pressed in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s, the slide part 10 is the slide hinge 20. Due to the clearance of the fine movement is possible. When the slide part 10 is opened or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30, when the slide part 10 is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lide hinge 20 may cause The slide unit 10 can be rotated.

상기 본체부(30)는 버튼(31)과 상기 슬라이드 힌지(20)를 수용하는 수납홈(33)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30)의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20)의 제2 힌지부(23)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0)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 기능 버튼, 이어폰 잭, 영상 모듈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30)의 일면에 상기 슬라이드 힌지(20)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홈(33)을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납홈(33)을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main body 30 has a receiving groove 33 for receiving the button 31 and the slide hinge 20. The second hinge portion 23 of the slide hinge 2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0. In addition, an additional function button, an earphone jack, an image module, and the like may be added to the main body 30 as necessary.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receiving groove 33 for accommodating the slide hinge 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3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ceiving groove 33 is required. May be omitted.

상기 슬라이드 힌지(20)는 상기 슬라이드부(10)와 결합하는 제1 힌지부(21) 및 상기 본체부(30)와 결합하는 제2 힌지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힌지(20)는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좌우 및 상하 방향 그리고 시계 및 반 시계 방향으로 일정 정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The slide hinge 20 includes a first hinge portion 21 coupled to the slide portion 10 and a second hinge portion 23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30. The slide hinge 20 not only serves to slidably couple the slide portion 10 to the main body portion 30, but also has a predetermined clearance so that the slide portion 10 has the main body portion.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3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힌지부(21)가 상기 슬라이드부(10)에 결합하고 상기 제2 힌지부(23)가 상기 본체부(30)에 결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힌지부(21)가 상기 본체부(30)에 결합하고 상기 제2 힌지부(23)가 상기 슬라이드부(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inge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slide portion 10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23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hinge portion 21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30,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23 may be coupled to the slide portion 10.

상기 제1 힌지부(21)는 상기 제2 힌지부(23)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상기 제1 힌지부(21)의 상면은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하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힌지부(23)의 하면은,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 힌지부(23)의 일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24)은,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55)의 형상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55)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슬롯(24)은 상기 수용부(55)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상기 슬롯(24)의 일단부는 개방되어 상기 슬리이드부(10)의 상승 시 상기 가압부(5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Both ends of the first hinge portion 21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portion 23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portion 21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10.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inge portion 23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0,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second hinge portion 23 is formed with a slot 2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ot 24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55, as shown in FIG. Thus, as shown in FIG. 3, the slot 24 located above the accommodating part 55 allows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55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e end of the slot 24 is opened to allow movement of the pressing part 51 when the slide part 10 is raised.

상기 제1 힌지부(21) 및 상기 제2 힌지부(23)는 일반적으로 가벼운 금속이나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 제작되며, 이러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가 가진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힌지부(21)가 상기 제2 힌지부(23)에 대해 일정 간격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힌지부(21)와 상기 제2 힌지부(23)의 결합부에는 소정의 유격(2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유격(27)은 상기 제1 힌지부(21)와 제2 힌지부(23)의 운동 시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hinge portion 2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23 are generally made of a light metal or plastic resin, etc., and the first hinge portion 21 is form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etal or plastic resin. It is to be able to move a predetermined interval relative to the second hinge portion (23). In addition, a predetermined gap 27 is formed at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hinge portion 2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23, and the clearance 27 is formed by the first hinge portion 21 and the second portion. The hinge portion 23 serves to reduce the noise during the movement.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힌지부(21)와 상기 제2 힌지부(23) 사이에는 마찰음을 줄이고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된 성형물이 개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성형물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유격을 더욱 크게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molding formed of a plastic resi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inge portion 2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23 to reduce friction noise and smooth sliding. The play of the slide portion is made larger.

상기 유격버튼(50)은,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힌지부(21)와 결합하는 가압부(51)와, 상기 가압부(5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수용부(55), 그리고 상기 가압부(51)와 상기 수용부(55) 사이에 형성된 키버튼(59)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2, the clearance button 50 includes a pressing part 51 coupled to the first hinge part 21, and a receiving part 55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art 51. And a key button 59 formed between the pressing part 51 and the receiving part 55.

도 2에서는 상기 가압부(51)가 상기 제1 힌지부(21)에 결합되어 있지만,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제2 힌지부(23)에서 상기 제1 힌지부(21)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폐쇄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수용부(55)에 일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유격에 의해서 좌우 및 하방으 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면서 상기 키버튼(59)을 가압한다. In FIG. 2, the pressing portion 51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21, but the pressing portion 51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0. It may protrude and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lide unit 10. In addition, the pressing unit 51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portion 21 from the second hinge portion 23. When the slide part 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part 10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30, the pressing part 51 is accommodated at one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55, and at the play of the slide part 10. Press the key button 59 while moving or rotating left and right and downward b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유격버튼(50)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2에서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에 폐쇄되어 있을 때 상기 슬라이드부(10) 및 상기 제1 힌지부(21)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rance button 50 of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e 10 is closed in the main body 30 in Figure 2 the slide The part 10 and the first hinge part 21 are shown in a separated state.

상기 가압부(51)는 반쪽의 실린더 형상을 갖는 몸통부(52)와, 상기 몸통부(52)의 외주면에서 좌우 대칭으로 돌출된 날개부(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51)의 외주면은 상기 수용부(55)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51)와 상기 수용부(55) 사이에는 상기 키버튼(59)이 구비되어 있다. The pressing portion 51 includes a body portion 52 having a half cylinder shape, and a wing portion 53 protruding symmetric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51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5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key button 59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unit 51 and the receiving unit 55. .

상기 몸통부(52)는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갖는 반쪽 형상의 실린더이고,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폐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용부(55)의 수용홈(56)에 위치한다. 상기 몸통부(52)의 외주면에는 좌우 대칭으로 상기 날개부(5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52)의 외주면에는 상기 키버튼(59)이 위치할 수도 있다. The body portion 52 is a half-shaped cylinder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receiving groove 56 of the receiving portion 55 when the slide portion 10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30. Locat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 is provided with the wing portion 53 in the symmetrical direction. The key button 59 may be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

상기 날개부(53)는 상기 몸통부(5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수용부(55)의 경사부(57)를 가압한다. 상기 날개부(53)는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할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부(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날개부(53)의 일면에는 상기 키버튼(59)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wing portion 53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 and presses the inclined portion 57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55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lide portion 10. The wing portion 53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30 as shown in FIG. 3, but may als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30. One surface of the wing portion 53 may be provided with the key button 59.

상기 수용부(55)는 상기 본체부(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수용홈(56) 및 경사부(57)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55)는 상기 가압부(51)의 일부를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55)의 일부는 상기 제2 힌지부(23)의 슬롯(24)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56) 및 상기 경사부(57)는,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24)의 일단부와 일치한다. The receiving portion 55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0 and has an accommodation groove 56 and an inclined portion 57 at one end, as shown in FIG. 3. The receiving portion 55 accommodates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51. A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55 has the same shape as the slot 24 of the second hinge portion 23. Therefore, the receiving groove 56 and the inclined portion 57, as shown in Figure 3, coincides with one end of the slot (24).

상기 수용홈(56)은 상기 몸통부(52)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데, 도 3에서는 상기 몸통부(52)와 대응하는 반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수용홈(56)은 상기 가압부(51)의 회전 시 상기 몸통부(5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56)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버튼(5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59)의 내주면에 구비된 상기 키버튼(59)은 상기 가압부(51)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수용홈(56)의 양단부에는 상기 경사부(57)가 연장된다. The receiving groove 56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portion 52, and has a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52 in FIG. 3. The receiving groove 56 should be shaped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52 when the pressing portion 51 is rotated. The key button 59 may be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56. The key button 59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59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51. The inclined portion 57 extends at both ends of the receiving groove 56.

상기 경사부(57)는 상기 수용홈(56)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날개부(53)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날개부(53)가 상기 본체부(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경우 상기 경사부(57) 또한 상기 본체부(30)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57)에는 상기 키버튼(59)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키버튼(59)은 상기 날개부(5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The inclined portion 57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receiving groove 56 and has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wing portion 53. Therefore, when the wing portion 53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30, the inclined portion 57 is also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30. The key button 59 may be located at the extension 57, and the key button 59 may be pressed by the wing 53.

상기 키버튼(59)은 상기 가압부(5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가 폐쇄된 경우 상기 가압부(51)에 의해 가압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키버튼(59)은 동영상의 재생, 정지, 빨리 감기/되감기, 또는 볼륨 상승/축소, 또는 TV 방송의 수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key button 59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51 and is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51 when the slide unit 10 is clos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the key button 59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playing, stopping, fast forwarding / rewinding, increasing / decreasing a volume, or receiving a TV broadcas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힌지의 유격버튼(50)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의 전면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도면이다.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3 will be described fo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learance button 50 of the slide-type h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views in which the slide unit 10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30.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좌측으로 가압한 후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슬라이드부(10) 및 이에 결합된 상기 제1 힌지부(21)가 좌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유격된다. 이는 상기 슬라이드부(1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힌지부(21) 및 상기 제2 힌지부(23)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수용부(55)의 내부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버튼(59b)을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52)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2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기 수용부(55)의 중앙으로 원상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우측으로 가압한 후 힘을 제거할 경우에도 상기 몸통부(52)는 상기 키버튼(59c)을 가압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키버튼(59)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51)의 원상 복귀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가압부(51)의 외주면 또는 상기 수용부(55)의 내주면에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slide unit 10 is pushed to the left side and the force is removed, the slide unit 10 and the first hinge unit 21 coupled thereto are left to the lef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free. This is because the first hinge portion 2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23 are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lide portion 10. At this time, the pressing unit 51 presses the key button 59b while moving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unit 55 to the left side. The body portion 52 returns to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ortion 55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lide hinge 20. In addition, even when the force is removed after pressing the slide portion 10 to the right side, the body portion 52 presses the key button 59c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ressing portion 51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key button 59,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r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51 in order to more secure the original return of the pressing portion 51 An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t 55.

상기 슬라이드부(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힘을 제거하면,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5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키버튼(59d)을 가압한 후 원상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30)를 반 시계 방향을 회전시킨 후 힘을 제거하면, 상기 날개부(53)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키버튼(59a)을 가압한 후 원상 복귀한다. When the slide unit 3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remove the force, as shown in FIG. 3, the wing unit 53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presses the key button 59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do. When the slide unit 3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remove the force, the wing unit 53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presses the key button 59a to return to normal.

상기 슬라이드부(10)를 도 3의 하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몸통부(52)가 상기 제1 힌지부(21)와 상기 제2 힌지부(23)의 탄성력에 의해 2개의 상기 키버튼(55a, 55d)을 동시에 가압한 후 상기 수용부(53)의 중심으로 원상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상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슬롯(24) 및 상기 수용부(55)의 상부로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본체부(30)의 전면이 개방된다. When the slide portion 10 is pressed downward in FIG. 3, the body portion 52 is drive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hinge portion 2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23. , 55d) is simultaneously pressed and returned to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ortion 53. When the slide portion 10 is pressed upward, the pressing portion 51 mov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ot 24 and the receiving portion 55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by the main body portion. The front side of 30 is opened.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11)와 함께 슬라이드부(10)의 전면에 배치된 키버튼을 슬라이드부(10)와 본체부(30)의 접합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전면에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1)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폐쇄 시 슬라이드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좌우 또는 아래 쪽 그리고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간단하게 유격시키면 상기 가압부(51)가 상기 키버튼(59)을 가압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In the slide 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slide unit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display 11 at a joint portion of the slide unit 10 and the main body unit 30 by placing a key button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lide unit 10. Since a wider space can be secured in front of 10, the size of the display 11 can be made larger. In addition, when the slide unit 10 is held in the state in which the slide terminal is closed when the slide unit 10 is closed, the pressing unit 51 causes the key button to be simply spaced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is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can press 59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가압부(51)가 상기 슬라이드부(10)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unit 51 is formed on the slide unit 10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제1 힌지부(21)에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지만, 상기 슬라이드부(10)와 결합되어 상기 슬롯(24)을 관통한 후 상기 수용부(55)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와 함께 유격하면 서 상기 키버튼(59)을 가압한다. The pressing portion 5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21 to protrude, but may be coupled to the slide portion 10 to penetrate the slot 24 and then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55. Can be located. At this time, the pressing unit 51 presses the key button 59 while being spaced apart with the slide unit 10.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본체부(30) 및 상기 제2 힌지부(23)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수용부(53)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롯(24)은 상기 제1 힌지부(21)에 형성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pressing part 5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30 and the second hinge part 23. In this case, the accommodating part 53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part 10, and the slot 24 is formed on the first hinge part 21.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키버튼(59)이 상기 가압부(51)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button 59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51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키버튼(59)은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53)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가압부(51)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key button 59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53 as shown in FIG. 3, but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51.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 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상기 슬라이드 힌지(20')가 레일부(21')와 상기 레일부(21')에 삽입되는 가이드부(23')를 포함한다. The slide 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ncludes a rail hinge 21 'and a guide portion 23' inserted into the rail portion 21 '.

상기 레일부(21')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좌우 한 쌍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으로서, 상기 가이드부(23')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23')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한다. 상기 레일부(21')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이동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부(21')는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rail portion 21 'is a groove in which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s ar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0, and the guide portion 23' is inserted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uide portion 23 '. . The length of the rail portion 21 'is preferab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moving length of the slide portion 10. The rail portion 2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21'.

상기 가이드부(23')는 상기 레일부(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을 하며, 상기 슬라이드부(10)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부(23')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 응하여 상기 레일부(2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상면에 위치한다. The guide part 23 ′ is inserted into the rail part 21 ′ to perform a sliding motion. The guide part 23 ′ is coupled to the slide part 10 to enable the sliding motion of the slide part 10. The guide part 23 ′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30, and the rail part 21 ′ is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lide part 10.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하면에서 상기 수용부(55)에 일단부가 삽입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면에서 상기 슬라이드부(10)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5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55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sing portion 51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lide portion 1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0.

상기 레일부(21') 및 상기 가이드부(23')는 일반적으로 가벼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금속 및 플라스틱 수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유격이 가능하게 된다. The rail portion 21 'and the guide portion 23' are generally formed of a light metal or plastic resin, and the play of the slide portion 10 is possib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etal and plastic resin.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51)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일면 또는 상기 본체부(3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용부(55)는 상기 가압부(51)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부(30)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10)에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pressing portion 5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10 or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0,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55 faces the pressing portion 51.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30 or the slide portion 10.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연결부재(71)에 의해 제2 힌지부(23)와 본체부(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 한 단면도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inge portion 23 and the main body portion 30 are coupled by the connecting member 71 in the slide 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 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힌지부(23)와 상기 본체부(30)가 연결부재(7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힌지부(21)와 상기 슬라이드부(10)는 상호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71)는 상기 제1 힌지부(21)와 상기 슬라이드부(10)를 결합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second hinge portion 23 and the main body portion 30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71, wherein the first hinge portion 21 and the slide portion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Are fix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member 71 may combine the first hinge portion 21 and the slide portion 10.

상기 연결부재(71)는, 도 7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실린더 형상의 몸통부(73), 상기 몸통부(73)의 양단에서 외향 돌출된 헤드부(72a, 72b) 및 상기 몸통부(7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날개부(77)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71)는 상기 제2 힌지부(23)와 상기 본체부(30)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키버튼(59)을 가압하는 역할 을 한다. As illustrated in FIG. 7, the connecting member 71 includes a cylindrical body portion 73, head portions 72a and 72b protruding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73, and the body portion 73. Wing portion 77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connecting member 71 connects the second hinge portion 23 and the main body portion 30 and simultaneously presses the key button 59.

상기 몸통부(73)는 제1 수용부(74)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키버튼(59)을 가압한다. 상기 몸통부(73)는 원형 뿐만 아니라 사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키버튼(59)은 상기 몸통부(73)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body portion 73 is locat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74 and presses the key button 59 in association with movement of the slide portion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dy portion 73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s, such as rectangular or oval, as well as circular. In addition, the key button 59 may be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3).

상기 헤드부(72a)는 상기 몸통부(73)에 비해 큰 직경을 갖고 상기 몸통부(73)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72)는 상기 제2 힌지부(23)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0)와 함께 운동한다. 상기 헤드부(72a)는 원형 뿐만 아니라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횡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The head portion 72a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body portion 73 an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73. The head portion 72 is fix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23 to move together with the slide portion 10. The head portion 72a may have a cross section of various shapes such as polygons or ellipses as well as a circle.

상기 헤드부(72b)는 상기 몸통부(73)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수용부(75)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헤드부(72b)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횡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72b)는 상기 제2 힌지부(23)와 상기 본체부(3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The head portion 72b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73 and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75. The head portion 72b may have a cross section of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or a polygon. The head portion 72b serves to interconnect the second hinge portion 23 and the main body portion 30.

상기 날개부(77)는 상기 몸통부(73)의 외주면에서 180ㅀ의 각도로 좌우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73)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키버튼(59)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날개부(77)의 외주면에는 상기 키버튼(59)이 위치할 수 있다. The wing portion 77 protrudes from side to side at an angle of 180 degre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3, and serves to press the key button 59 while rotating by the body portion 73. The key button 59 may be position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g portion 77.

상기 수용부(73)는 상기 본체부(30)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일면에 형성된 홈으로서 상기 몸통부(73)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74)와, 상기 제1 수용부(74)와 연결되며 상기 날개부(77)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 수용부(75) 그리고 상기 제1 수용부(74)의 일단에서 확경된 제3 수용부(76)를 구비한다. The accommodating part 73 is a first accommodating part 74 accommodating the body part 73 as a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30 or the slide part 10,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 It is connected to 74 and has a second receiving portion 75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ing portion 77 and the third receiving portion 76 is expanded at one end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74).

상기 제1 수용부(74)는 상기 몸통부(73)를 수용하며, 상기 몸통부(73)와 상기 제1 수용부(74)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10)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이동 또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몸통부(73)가 상기 제1 수용부(74)의 내부에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수용부(74)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버튼(59)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74)는 상기 몸통부(73)를 수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지만, 상기 몸통부(73)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4 accommodates the body part 73,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between the body part 73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4. Therefore, the body portion 73 may move or rotate insid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74 by the movement or rotational movement of the slide portion 10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 key button 59 may be position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4.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4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body part 73, but preferably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at of the body part 73.

상기 제2 수용부(75)는, 도 8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부(74)의 일측에서 좌우로 돌출되어 형성된 홈으로서 상기 날개부(77)를 수용한다. 상기 제2 수용부(75)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버튼(59)이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77)의 회전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75)는 상기 제1 수용부(74)와 연통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5 accommodates the wing part 77 as a groove formed by protruding left and right from on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4. The key button 59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5 to be 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wing part 77.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75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74.

상기 제3 수용부(76)는 상기 제1 수용부(74)의 일단부에서 외향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72b)를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72b)의 상면은 상기 제3 수용부(76)에 걸림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71)와 상기 본체부(30)가 결합되는 것이다.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76 protrudes out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74 and accommodates the head part 72b.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72b is caught by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76, the connection member 71 and the main body portion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7.

도 8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용부(75)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버튼(59)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부(10)가 상기 본체부(30)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 상기 날개부(77)는 상기 제2 수용부(75)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좌측 방향으로 밀면 상기 날개부(77)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버튼(59b, 59d)을 동시에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키버튼(59b, 59d)에 해당하는 기능(예를 들면, 동영상의 재생)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우측 방향으로 밀면 상기 날개부(77)가 이동하면서 상기 키버튼(59a, 59c)을 동시에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키버튼(59a, 59c)에 해당하는 기능(예를 들면, 동영상의 재생 정지)이 수행된다. As shown in FIG. 8, the key button 59 is positio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5, and the wing part when the slide part 10 closes the main body part 30. 77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75. At this time, when the slide unit 10 is pushed in the left direction, the wing unit 77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presses the key buttons 59b and 59d, which is applied to the key buttons 59b and 59d. The corresponding function (for example, playback of a video)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slide unit 10 is push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wing unit 77 moves and simultaneously presses the key buttons 59a and 59c, and thus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s 59a and 59c ( For example, the playback stop of the moving picture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날개부(77)가 회전하면서 상기 키버튼(59a, 59d)을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키버튼(59a, 59d)에 해당하는 기능(예를 들면, 볼륨 상승)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날개부(77)가 회전하면서 상기 키버튼(59b, 59c)을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키버튼(59b, 59c)에 해당하는 기능(예를 들면, 볼륨 축소)이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lide unit 1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wing unit 77 rotates to press the key buttons 59a and 59d. As a result,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s 59a and 59d ( For example, volume up) may be performed. When the slide unit 1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wing unit 77 rotates and presses the key buttons 59b and 59c, which i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s 59b and 59c. (Eg, volume reduction) can be perform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연결부재(71)와 수용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71 and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71)의 몸통부(73)는 외주면에 4개의 날개부(77)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수용부(75)는 상기 제1 수용부(74)에서 90ㅀ의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용부(75)는 상기 본체부(3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키버튼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을 다양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용부 (75)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버튼(59a 내지 59h)이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body portion 73 of the connecting member 71 has four wing portions 77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correspondingly,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75 has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The portion 74 extends at an angle of 90 degrees.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5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30, in order to vary a function implemented by a key button as described below. The key buttons 59a to 59h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75.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좌측으로 밀면, 상기 날개부(77)도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버튼(59a, 59c, 59f, 59h)을 동시에 가압하고, 이로 인해 기능 A가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우측으로 밀면 상기 날개부(77)가 상기 키버튼(59b, 59d, 59e, 59g)을 가압하고, 이에 의해 기능 B가 구현될 수 있다. When the slide unit 10 is pushed to the left side, the wing unit 77 is also moved to the left side and simultaneously presses the key buttons 59a, 59c, 59f, and 59h, thereby implementing the function A. When the slide unit 10 is pushed to the right, the wing unit 77 presses the key buttons 59b, 59d, 59e, and 59g, whereby function B may be implemented.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상향으로 밀면, 상기 날개부(77)도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버튼(59b, 59c, 59h, 59e)을 동시에 가압하고, 이로 인해 기능 C가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하향으로 밀면, 상기 날개부(77)도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버튼(59a, 59d, 59f, 59g)을 동시에 가압하고, 이로 인해 기능 D가 구현된다.When the slide unit 10 is pushed upward, the wing unit 77 is also moved upward while simultaneously pressing the key buttons 59b, 59c, 59h, and 59e, thereby implementing a function C. When the slide unit 10 is pushed downward, the wing unit 77 is also moved downward while simultaneously pressing the key buttons 59a, 59d, 59f, and 59g, thereby implementing the function D.

상기 슬라이드부(10)를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날개부(77)가 회전하면서 상기 키버튼(59a, 59c, 59e, 59g)을 동시에 가압하고, 이로 인해 기능 E가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날개부(77)가 회전하면서 상기 키버튼(59b, 59d, 59f, 59h)을 동시에 가압하고, 이로 인해 기능 F가 구현된다.When the slide unit 10 is turned counterclockwise, the wing unit 77 rotates and simultaneously presses the key buttons 59a, 59c, 59e, and 59g, thereby implementing the function E. When the slide unit 10 is turned clockwise, the wing unit 77 rotates to simultaneously press the key buttons 59b, 59d, 59f, and 59h, thereby implementing the function F.

상기 기능 A 내지 기능 F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슬라이드부 상면에서 디스플레이와 함께 구비된 기능 키의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의 재상, 정지, 빨리감기, 돼감기 또는 사진 촬영, 저장, 볼륨 상승/축소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unctions A to F may be functions of function keys provided with a displa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part of the conventional slide type terminal. For example, the video may be various functions such as replaying, stopping, fast forwarding, rewinding or taking a picture, storing, increasing / decreasing a volum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슬라이드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편리한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in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provided in the slide unit, but also provide a slide type terminal that is convenient to operate.

Claims (17)

버튼을 구비한 본체부와;A main body having a button;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드부와;A slide unit having a display;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본체부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힌지와;A slide hinge coupled to each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to enable slid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slide portion;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접합부에 위치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대응하는 수용부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키버튼을 포함하며,A pressing part positioned at the junction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slide part, a receiv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art, and a key button positioned between the press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상기 가압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좌우로 돌출된 날개부를 가지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The pressurizing portion is a slide-type terminal having a body portion and a wing portion protruding left and righ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하는 제1 힌지부와, 상기 제1 힌지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본체부와 결합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The slide hinge includes a first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slide portion, and a second hinge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며 상기 가압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The press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the second hinge portion having a slot for open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providing a space for the pressing portion to mov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가압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The press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lide portion, the first hinge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lide-type terminal having a slot for providing a space for the pressing portion to mov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가압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The pressing unit is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lide portion, the first hinge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lide-type terminal having a slot for providing a space for the pressing portion to mo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부는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몸통부에 대응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양단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형 단말기.The accommodating part is a slide type terminal having a portion open and formed in both end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and the receiving groove having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wing.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키버튼은 상기 경사부 또는 상기 수용홈에 배열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The key button is a slide type terminal arranged in the inclined portion or the receiv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The slide hinge is a slide-type terminal comprising a rail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and a guid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rai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드 힌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The slide hinge is a slide-type terminal comprising a rail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guid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rail portion.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9,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The pressing uni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a slide-type termina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9,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The pressing uni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a slide-type termina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본체부와;A main body;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드부와;A slide unit having a display; 상기 본체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힌지와;A slide hinge coupled to each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to enable the slide portion to slide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힌지를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하 및 좌우 운동에 의해 유격이 가능한 연결부재와;A connection member which connects the main body or the slide unit and the slide hinge and is free to play by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unit;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유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연결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 수용부와;An accommodation part provided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member by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freed by receiving the connection member;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개재되는 키버튼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key button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연결부재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날개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The connecting member is a slide type terminal having a body portion and a w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통부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2개가 구비되고, The w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wo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통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날개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된 한 쌍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body part, and a pair of second accommodating parts accommodating the wing part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통부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되고, The wing portion is provided with four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통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날개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된 두 쌍의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body part and a pair of second accommodating parts accommodating the wing part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상기 제2 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버튼이 위치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The key terminal is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slide type terminal.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키버튼이 위치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 Slide-type terminal that the key button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g.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슬라이드형 단말기.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s a slide type terminal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KR1020050078655A 2005-08-26 2005-08-26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07806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655A KR100780698B1 (en) 2005-08-26 2005-08-26 Slide Typ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655A KR100780698B1 (en) 2005-08-26 2005-08-26 Slide Type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098A KR20070024098A (en) 2007-03-02
KR100780698B1 true KR100780698B1 (en) 2007-11-30

Family

ID=3809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655A KR100780698B1 (en) 2005-08-26 2005-08-26 Slide Type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69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308A (en) * 2003-11-01 2005-05-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crolling menu according to moving of slide and mobile phone realizing the same
KR20050082336A (en) * 2004-02-18 2005-08-23 디지아나 주식회사 A user interface system using sliding panel
KR20060042196A (en) * 2004-10-13 2006-05-12 주식회사 테우스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up down snd left right direction sliding type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308A (en) * 2003-11-01 2005-05-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crolling menu according to moving of slide and mobile phone realizing the same
KR20050082336A (en) * 2004-02-18 2005-08-23 디지아나 주식회사 A user interface system using sliding panel
KR20060042196A (en) * 2004-10-13 2006-05-12 주식회사 테우스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up down snd left right direction sliding type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098A (en)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6222B2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7877119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qwerty keypad
KR100709808B1 (en) Rotatio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0076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US2010026742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96044B1 (en) Stopper device for sliding sw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9237212B2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swing type mobile terminal
KR10064045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873396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KR20070028038A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JP4210288B2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800711B1 (en) Free stop hinge unit for mobile phone
KR100575746B1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US8594749B2 (en) Portable terminal
KR100780698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065083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8643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0648649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0715811B1 (en) Sliding type portable phone
KR100724919B1 (en) Portable terminal
KR100726469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0794301B1 (en) A mobile terminal having four way sliding function
KR100881579B1 (en) Multi mode structure
KR101049764B1 (en) Swing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KR100523893B1 (en) Triple-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