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210B1 -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210B1
KR100780210B1 KR1020060068224A KR20060068224A KR100780210B1 KR 100780210 B1 KR100780210 B1 KR 100780210B1 KR 1020060068224 A KR1020060068224 A KR 1020060068224A KR 20060068224 A KR20060068224 A KR 20060068224A KR 100780210 B1 KR100780210 B1 KR 10078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motion
signal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경수
함건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210B1/ko
Priority to US11/780,137 priority patent/US200800223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모션(Three Dimensional Motion)을 이용하여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는,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10);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보안 모드의 시작후에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20);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른 보안 모드의 시작후, 사용자에 의한 3차원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제1 제어부(120)로 모션신호를 출력하는 모션 센서부(130);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140); 및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를 이용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휴대폰, 휴대 단말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보안 인증 시스템

Description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PORTABLE SECURITY TRANSMITTER, AND SECURITY AUTHENTIF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의 (a),(b) 및 (c)는 모션 예시도.
도 3의 (a),(b)는 도 1의 모션 센서부의 구성도.
도 4는 도 2의 모션 센서부의 동작 원리 설명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보안 인증 방법의 제1 예를 보이는 플로우챠트.
도 6는 (a),(b)는 본 발명의 보안 인증 방법의 제2 예를 보이는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유 인증정보 설정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모션 설정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110 : 입력부
120 : 제1 제어부 130 : 모션 센서부
131 : 3축 직진 모션 센서부 132 : 3축 회전 모션 센서부
140 : 무선 송신기 150 : 표시부
200 : 보안 수신 장치 210 : 무선 수신부
220 : 제2 제어부 230 : 보안 구동부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보안 인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차원 모션을 이용하여 보안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디지탈 도어락(digital door lock)과 같은 보안 장치에 대한 보안 인증을 위한 절차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기는 정해진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는 통화기능을 수행하고, PDA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한다.
종래 휴대 전화기는, 키입력을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한 키입력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통화를 수행하는 통화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휴대 전화기는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휴대 전화기의 모션(Motion)을 인식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모션(Motion)에 관련되는 동작, 예를 들면, 모션 게임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3차원 모션을 이용하여 보안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디지탈 도어락(digital door lock)과 같은 보안 장치에 대한 보안 인증을 위한 절차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는,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보안 모드의 시작후에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보안 모드의 시작후, 사용자에 의한 3차원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모션신호를 출력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안 인증 시스템은,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와,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보안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는,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보안 모드의 시작후에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보안 모드의 시작후, 사용자에 의한 3차원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모션신호를 출력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수신 장치는,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의 보안신호에 포함된 모션신호와 기설정된 기준모션 신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보안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보안 유지 및 해제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보안의 유지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보안 구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는,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기설정된 기준모션 신호를 비교하여 보안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 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한 보안 모드 수행에 따라 3축 직진 모션과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센싱한 모션을 상기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안 인증 시스템은,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와,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보안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는,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기설정된 기준모션 신호를 비교하여 보안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 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한 보안 모드 수행에 따라 3축 직진 모션과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센싱한 모션을 상기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수신 장치는,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의 보안신호에 포함된 보안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보안 유지 및 해제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보안의 유지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보안 구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와 보안 인증 시스템에서, 상기 모션 센서부는, 3축 직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직진 모션 센서부; 및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회전 모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부로부터 모션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고유 인증정보 설정이 선택되면, 고유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고유 인증 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고유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고유 인증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준모션 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을 센싱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을 다시 센싱하여 상기 저장된 모션과 비교하여 동일하면 기준모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인증 시스템은,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와,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보안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는 두가지의 구현예를 통해 설명하고, 각 구현예에 대한 보안 수신 장치의 각 구현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1 구현예로서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는,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10)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보안 모드의 시작후에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20)와,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른 보안 모드의 시작후, 사용자에 의한 3차원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제1 제어부(120)로 모션신호를 출력하는 모션 센서부(130)와,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140)와,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와 관련하여, 상기 보안 수신 장치(200)는,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210)와, 상기 무선 수신부(210)로부터의 보안신호에 포함된 모션신호와 기설정된 기준모션 신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보안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보안 유지 및 해제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220)와, 상기 제2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보안의 유지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보안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다음, 제2 구현예로서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는,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10)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기설정된 기준모션 신호를 비교하여 보안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 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20)와, 상기 제1 제어부(120)에 의한 보안 모드 수행에 따라 3축 직진 모션과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센싱한 모션을 상기 제1 제어부(120)에 전송하는 모션 센서부(130)와,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140)와,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와 관련하여, 상기 보안 수신 장치(200)는,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210)와, 상기 무선 수신부(210)로부터의 보안신호에 포함된 보안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보안 유지 및 해제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220)와, 상기 제2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보안의 유지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보안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부(130)로부터 모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의 (a),(b) 및 (c)는 모션의 궤적 예시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모션은 P1,P2,P3,P4,P5 및 P6로의 모션 궤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a)에 보인 모션을 정면에서 보면 도 2의 (b)에 보인 바와 같고, 도 2의 (a)에 보인 모션을 측면에서 보면 도 2의 (c)에 보인 바와 같다.
도 3의 (a),(b)는 도 1의 모션 센서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모션 센서부(130)는, 3축 직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직진 모션 센서부(131)와,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회전 모션 센서부(132)를 포함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3축 직진 모션 센서부(131)는, 임의의 X축을 중심으로 하는 직진 모션을 감지하는 X축 직진 센서(131x)와, 상기 X축에 수직하는 Y축을 중심으로 하는 직진 모션을 감지하는 Y축 직진 센서(131y)와, 상기 X축 및 Y축 각각에 수직하는 Z축을 중심으로 하는 직진 모션을 감지하는 Z축 직진 센서(131z)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3축 회전 모션 센서부(132)는, 임의의 X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션을 감지하는 X축 회전 센서(132x)와, 상기 X축에 수직하는 Y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션을 감지하는 Y축 회전 센서(132y)와, 상기 X축 및 Y축 각각에 수직하는 Z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션을 감지하는 Z축 회전 센서(132z)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3축 직진 모션 센서부(131)는 가속 물리량을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3축 회전 모션 센서부(132)는 회전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등의 관성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가속 물리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로서, 그 변환 형태에 따라 정전용량형, 압전형 및 열감지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정전 용량형 센서는 인가 가속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량을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압전형 센서는 저항체의 저항 변화량을 전압으로 변환하며, 상기 열감지형 센서는 열분포의 변화량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자이로 센서는 회전 각속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로서, 인가 회전 가속도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속도계는 직진방향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용되고, 상기 자이로센서는 회전방향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용되므로, 3축 가속도계와 3축 자이로센서를 활용하여 게임을 수행할 경우 직진 진행, 좌우 이동, 회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3축 회전 모션 센서부의 동작 원리 설명도이다.
도 4에서, 가로축은 X축이고, 세로축은 X축에 수직인 Y축이며, 그리고 상우측에서 하좌측으로의 축은 X축 및 Y축에 각각 수직인 Z축이다. 그리고, g는 X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션을 보이고 있고, h는 Y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션을 보이고 있으며, i는 Z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모션을 보이고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는, 카드승인기의 카드승인, 도어락등의 출입인증 및 인터넷등의 웹사이트 접속 인증에 활용될 수 있다.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보안 인증 방법의 제1 예를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의 (a)에서, S111은 모션 센싱 과정이고, S112는 모션 센싱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고, S113은 고유 인증정보 및 모션신호를 포함하는 보안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이다.
도 5의 (b)에서, S211은 수신받은 고유 인증정보와 기설정된 고유 인증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이고, S212는 수신받은 모션과 기준모션을 비교하는 과정이고, S213은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보안 유지 및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도 6은 (a),(b)는 본 발명의 보안 인증 방법의 제2 예를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의 (a)에서, S121은 모션 센싱 과정이고, S122는 모션 센싱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고, S123은 센싱한 모션과 기준모션을 비교하는 과정이고, S124는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보안 유지 또는 해제정보와 고유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이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S221은 수신받은 고유 인증정보와 기설정된 고유 인증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이고, S222는 보안 유지 또는 보안 해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이고, S223은 상기 보안 유지 또는 보안 해제에 따라 보안 유지 또는 보안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고유 인증정보 설정이 선택되면, 고유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고유 인증 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고유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고유 인증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유 인증정보 설정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에서, S310은 고유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고, S320은 고유 인증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지를 판단하는 과정이고, S330은 고유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이고, S340은 고유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고, S350은 고유 인증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지를 판단하는 과정이고, S360은 상기 저장된 고유 인증정보와 입력받은 고유 인증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이다. S370은 고유 인증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기준모션 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모션 센서부(130)를 통해 모션을 센싱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모션 센서부(130)를 통해 모션을 다시 센싱하여 상기 저장된 모션과 비교하여 동일하면 기준모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모션 설정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에서, S410은 기준모션을 센싱하는 단계이고, S420은 기준모션의 센싱이 완료되었지를 판단하는 과정이고, S430은 기준모션을 저장하는 과정이고, S440은 기준모션을 입력하는 단계이고, S450은 기준모션의 입력이 완료되었지를 판단하는 과정이고, S460은 상기 저장된 기준모션과 입력받은 기준모션을 비교하는 과정이다. S470은 기준모션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인증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인증 시스템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는 모션에 기초한 보안신호를 보안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여, 본 발명의 보안 수신 장치에서, 모션이 기준모션과 동일할 경우에는 보안을 해제시킨다.
본 발명의 모션은 3차원 움직임에 해당되는 3차원 궤도에 해당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모션은 너무나 다양하게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의 일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모션은 P1,P2,P3,P4,P5 및 P6로의 모션 궤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의 (a)에 보인 모션을 정면에서 보면 도 2의 (b)에 보인 바와 같고, 도 2의 (a)에 보인 모션을 측면에서 보면 도 2의 (c)에 보인 바와 같다.
상기 휴대형 보인 송신 장치(100)는, 입력부(110),제1 제어부(120),모션 센서부(130),무선 송신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 센서부(130)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모션 센서부(130)에 대한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모션 센서부(130)는, 3축 직진 모션 센서부(131)와 3축 회전 모션 센서부(132)를 포함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3축 직진 모션 센서부(131)는, X축 직진 센서(131x), Y축 직진 센서(131y) 및 Z축 직진 센서(131z)를 포함하고, 상기 3축 회전 모션 센서부(132)는, X축 회전 센서(132x), Y축 회전 센서(132y) 및 Z축 회전 센서(132z)를 포함한다.
상기 3축 직진 모션 센서부(131)의 X축 직진 센서(131x)는, 임의의 X축을 중심으로 하는 직진 모션을 감지하고, 상기 Y축 직진 센서(131y)는, 상기 X축에 수직하는 Y축을 중심으로 하는 직진 모션을 감지하며, 상기 Z축 직진 센서(131z)는, 상기 X축 및 Y축 각각에 수직하는 Z축을 중심으로 하는 직진 모션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3축 직진 모션 센서부(131)는, X축,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직진 모션을 감지하여 3축 직진 모션에 대한 감지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140)로 전송한다.
전술한 상기 3축 직진 모션 센서부(131)의 활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의 진동/기울임의 감지 방향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좌우 및 전후로 각각 구분하고, 각 방향 벡터를 x, y 및 z(여기서, x. y 및 z는 1이상의 자연수이다)로 설정하고, 상하, 좌우 및 전후의 각 감지 방향별로 각 감지된 진동/기울임 횟수를 a,b 및 c라고 할 때, 상기 x, y 및 z 방향 값과 크기를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m X = ax, ~Y = by, ~Z = cz
상기 수학식 1에서, X, Y 및 Z는 목적 대상물의 모션(Motion) 량과 방향을 나타내므로, X, Y, Z의 조합은 간단하게는 게임시 모션(Motion)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락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3차원 모션을 이용하여 보안을 해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축 회전 모션 센서부(132)는, X축,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회전 모션을 감지하여 3축 회전 모션에 대한 감지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기(14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회전 각속도를 인식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3축 회전 모션 센서부(132)를 활용하면, 상기 회전에 대한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각 회전 방향을 g, h 및 i로 정의하고 각 방향별로 감지된 회전량을 d, e 및 f라고 할 때, 방향 값과 크기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m X = ax, ~Y = by, ~Z = cz, ~G = dg, ~H = eh, ~I = fi
상기 수학식 2와 같은 조합은 가속도계만을 활용할 경우와 동일하게 게임시, 모션(Motion)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에 대한 두가지의 구현예에 대해 설명하고, 각 구현예에 대한 보안 수신 장치의 각 구현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에 대한 제1 구현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에서,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모션 센서부(130)는,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른 보안 모드의 시작후,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3차원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제1 제어부(120)로 모션신호를 출력한다(S111,S112).
이때,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보안 모드의 시작후에 입력되는 모션 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에 대한 송신을 무선 송신기(140)에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부(130)로부터 모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 송신기(140)는,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S113).
그리고,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한다.
도 5의 (b)를 참조하여,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와 관련하여, 상기 보안 수신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보안 수신 장치(200)의 무선 수신부(210)는,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여 제2 제어부(22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상기 무선 수신부(210)로부터의 보안신호에 포함된 고유 인증정보와 기설정된 고유 인증정보를 비교한다(S211). 이때 고유 인증정보가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상기 무선 수신부(210)로부터의 보안신호에 포함된 모션 신호와 기설정된 기준모션 신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보안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하고(S212),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보안 유지 및 해제를 보안 구동부(230)에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안 구동부(230)는, 상기 제2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보안의 유지 또는 해제를 수행한다(S213).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에 대한 제2 구현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의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모션 센서부(130)는, 상기 제1 제어부(120)에 의한 보안 모드 수행에 따라 3축 직진 모션과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센싱한 모션을 상기 제1 제어부(120)에 전송한다(S121,S122).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모션 센서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모션 신호와 기설정된 기준모션 신호를 비교하여 보안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 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무선 송신부(140)에 제어한다(S124).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부(130)로부터 모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신부(140)는,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상기 제1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한다.
도 6의 (b)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와 관련하여, 상기 보안 수신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보안 수신 장치(200)의 무선 수신부(210)는,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여 제2 제어부(22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상기 무선 수신부(210)로부터의 보안신호에 포함된 고유 인증정보와 기설정된 고유 인증정보를 비교한다(S221). 이때 고유 인증정보가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상기 무선 수신부(210)로부터의 보안신호에 포함된 보안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보안 유지 및 해제를 제어한다(S222).
이때, 상기 보안 수신 장치(200)의 보안 구동부(230)는, 상기 제2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보안의 유지 또는 해제를 수행한다(S223).
전술한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인증 시스템은, 카드승인기의 카드승인, 도어락등의 출입인증 및 인터넷등의 웹사이트 접속 인증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본 발명의 보안 인증 시스템은, 상기 고유 인증정보 및 기준모션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고유 인증정보 및 기준모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100)에서,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서 고유 인증정보 설정을 선택한 후, 고유 인증정보를 입력하면(S310),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고유 인증정보 입력된 후 고유 인증정보의 입력 완료가 선택되면(S320),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고유 인증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S330).
이후, 고유 인증정보를 재입력 받아 확인하는 과정으로,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고유 인증정보를 다시 입력받아(S340),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고유 인증정보의 입력 완료가 선택되면(S350),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된 고유 인증정보와 입력받은 고유 인증정보를 비교하여(S360), 동일하면 고유 인증정보를 설정한다(S370).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형 송신 장치(100)에서,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기준모션 설정을 선택한 후, 사용자가 휴대형 송신 장치(100)를 움직이면, 상기 휴대형 송신 장치(100)의 움직임에 해당되는 모션을 모션 센서부(130)가 센싱하여 상기 제1 제어부(120)로 출력한다(S410).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기준모션 입력 완료가 선택되면(S420), 상기 모션 센서부(130)에 의해 센싱된 모션을 기준모션으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S430).
이후, 기준 모션을 재입력 받아 확인하는 과정으로, 상기 제1 제어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션을 다시 센싱하여(S440),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기준모션 입력 완료가 선택되면(S450), 상기 모션 센서부(130)에 의해 센싱된 모션과 상기 저장된 기준모션을 비교하여(S460), 동일하면 기준모션을 설정한다(S47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모션을 이용하여 보안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무선 디지탈 도어락(digital door lock)과 같은 보안 장치에 대한 보안 인증을 위한 절차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보안 모드의 시작후에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보안 모드의 시작후, 사용자에 의한 3차원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모션신호를 출력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부로부터 모션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부는,
    3축 직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직진 모션 센서부; 및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회전 모션 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고유 인증정보 설정이 선택되면, 고유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고유 인증 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고유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고유 인증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준모션 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을 센싱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을 다시 센싱하여 상기 저장된 모션과 비교하여 동일하면 기준모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6.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와,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보안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는,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보안 모드의 시작후에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보안 모드의 시작후, 사용자에 의한 3차원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제1 제어부로 모션신호를 출력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수신 장치는,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의 보안신호에 포함된 모션신호와 기설정된 기준모션 신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보안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보안 유지 및 해제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보안의 유지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보안 구동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부는,
    3축 직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직진 모션 센서부; 및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회전 모션 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부로부터 모션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고유 인증정보 설정이 선택되면, 고유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고유 인증 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고유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고유 인증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준모션 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을 센싱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을 다시 센싱하여 상기 저장된 모션과 비교하여 동일하면 기준모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
  11.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기설정된 기준모션 신호를 비교하여 보안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 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한 보안 모드 수행에 따라 3축 직진 모션과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센싱한 모션을 상기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부는,
    3축 직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직진 모션 센서부; 및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회전 모션 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부로부터 모션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고유 인증정보 설정이 선택되면, 고유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고유 인증 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고유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고유 인증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준모션 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을 센싱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을 다시 센싱하여 상기 저장된 모션과 비교하여 동일하면 기준모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16.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와,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보안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는,
    보안 모드의 시작,종료 및 보안모드에 관련되는 동작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이 입력되면 보안 모드의 수행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모션신호와 기설정된 기준모션 신호를 비교하여 보안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 신호와 고유인증정보를 포함하는 보안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한 보안 모드 수행에 따라 3축 직진 모션과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여 상기 센싱한 모션을 상기 제1 제어부에 전송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보안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수신 장치는,
    상기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로부터의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의 보안신호에 포함된 보안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보안 유지 및 해제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보안의 유지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보안 구동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부는,
    3축 직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직진 모션 센서부; 및
    3축 회전 모션을 센싱하는 3축 회전 모션 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안 모드의 시작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상기 모션 센서부로부터 모션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고유 인증정보 설정이 선택되면, 고유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고유 인증 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고유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고유 인증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준모션 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을 센싱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모션 센서부를 통해 모션을 다시 센싱하여 상기 저장된 모션과 비교하여 동일하면 기준모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증 시스템.
KR1020060068224A 2006-07-20 2006-07-20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 KR100780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224A KR100780210B1 (ko) 2006-07-20 2006-07-20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
US11/780,137 US20080022365A1 (en) 2006-07-20 2007-07-19 Portable security transmitter and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224A KR100780210B1 (ko) 2006-07-20 2006-07-20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210B1 true KR100780210B1 (ko) 2007-11-27

Family

ID=3897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224A KR100780210B1 (ko) 2006-07-20 2006-07-20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22365A1 (ko)
KR (1) KR100780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2557A1 (en) * 2006-09-29 2008-04-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Business car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7971156B2 (en) * 2007-01-12 2011-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resource access based on user gesturing in a 3D captured image stream of the user
US8588464B2 (en) 2007-01-12 2013-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sisting a vision-impaired user with navigation based on a 3D captured image stream
US8295542B2 (en) 2007-01-12 2012-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justing a consumer experience based on a 3D captured image stream of a consumer response
US7877706B2 (en) * 2007-01-12 2011-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a document based on user behavioral signals detected from a 3D captured image stream
US7840031B2 (en) * 2007-01-12 2010-1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cking a range of body movement based on 3D captured image streams of a user
US8269834B2 (en) 2007-01-12 2012-09-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arning a user about adverse behaviors of others within an environment based on a 3D captured image stream
WO2011088579A1 (en) * 2010-01-21 2011-07-28 Paramjit Gill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security and privacy on hand held devices
WO2012017384A1 (en) * 2010-08-02 2012-02-09 3Fish Limited Identity assessment method and system
US8769669B2 (en) 2012-02-03 2014-07-01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uthenticate a user to a mobile device using mnemonic based digital signatures
US9196219B1 (en) 2012-07-18 2015-11-24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 color spectrum for skin detection
US9697649B1 (en) * 2012-09-04 2017-07-04 Amazon Technologies, Inc. Controlling access to a device
US9218114B1 (en) 2012-09-04 2015-12-22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time-dependent items
US9167404B1 (en) 2012-09-25 2015-10-20 Amazon Technologies, Inc. Anticipating data use in a wireless device
CN107920784B (zh) * 2015-08-28 2021-02-26 金泰克斯公司 车辆安全性附件和身份认证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754A (ko) * 2000-05-23 2001-12-07 이종운 전자펜을 이용한 온라인 서명확인 시스템
KR20040035266A (ko) * 2002-10-19 2004-04-29 블루솔텍(주)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8895A1 (en) * 2000-10-20 2002-05-16 Blue Soltech Co., Ltd Control system for door and indoor appliances by using radio communication
US7394346B2 (en) * 2002-01-15 2008-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ree-space gesture recognition for transaction security and command processing
WO2004079388A1 (ja) * 2003-03-04 2004-09-1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位置情報推定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180500B2 (en) * 2004-03-23 2007-02-20 Fujitsu Limited User definable gestures for motion controlled handheld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754A (ko) * 2000-05-23 2001-12-07 이종운 전자펜을 이용한 온라인 서명확인 시스템
KR20040035266A (ko) * 2002-10-19 2004-04-29 블루솔텍(주)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22365A1 (en)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210B1 (ko) 휴대형 보안 송신 장치 및 보안 인증 시스템
KR100744902B1 (ko) 휴대 무선 조작기
US11327577B2 (en) Multi-function stylus with sensor controller
US9357043B2 (en) Sensor-based user interface control
JP5882220B2 (ja) 人間の動きに関連するキャラクタおよびコマンドを認識するためのハンドヘルド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技術
EP1728142B1 (en) Distinguishing tilt and translation motion components in handheld devices
EP2749985B1 (en) Unlocking a screen of a portable device
CN106447855A (zh) 一种基于摇一摇开锁的方法及终端设备
CN102129291B (zh) 带有运动控制光标的手持式电子装置
JP4671055B2 (ja) 叩きコマンド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の操作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CN104850220B (zh) 基于动作侦测的作业启始方法及系统
KR102187946B1 (ko) 차량 스마트키
KR20160088158A (ko)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CN105103090A (zh) 用于在定点设备中提供方向补偿的系统和方法
CN110727355B (zh) 基于运动传感器操作虚拟钥匙的用户终端
US20140184495A1 (en) Portable Device Input by Configurable Patterns of Motion
KR100998404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기기의 감성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79044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비행체를 제어하는 원격제어방법
TW200935274A (en) Method for determining input mode by motion sensing and an input apparatus for the same
TW201518983A (zh) 使用空中簽名的驗證方法及其電腦程式
KR101171858B1 (ko) 단말기의 잠금설정 해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3998A (ko) 원격조종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503500B (zh) 终端及其解锁方法和装置
KR101583820B1 (ko) 원격조종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889B1 (ko)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