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588B1 -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on of call origination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on of call origination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588B1
KR100779588B1 KR1020060130311A KR20060130311A KR100779588B1 KR 100779588 B1 KR100779588 B1 KR 100779588B1 KR 1020060130311 A KR1020060130311 A KR 1020060130311A KR 20060130311 A KR20060130311 A KR 20060130311A KR 100779588 B1 KR100779588 B1 KR 10077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rest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5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5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call origination restri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vice are provided to limit an origin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as enabling an existing user interface stream to continue without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terminal, and to display an origination restriction icon instead of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thereby notifying that an origination restriction function is in operation. A key input unit(103) has an alphanumeric keypad. A memory(102) stores an operating system pro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ler(101) adds origination restriction and origination restriction cancel function programs to the operating system program according to a random key input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103). An image display(104) outputs a user interface menu related to origination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display set by the controller(101).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ON OF CALL ORIGINATION IN MOBILE TERMINAL}Restriction method and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ON OF CALL ORIGINATION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조도,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방법의 흐름도,2a and 2b is a flow chart of a transmission restri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방법에서 발신제한 모드 실행 과정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a call limit mode in a call limi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방법에서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선택메뉴 출력도,Figure 4 is a selection menu output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in the call restri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 출력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of a restricted call mode notification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기능 실행 중 발신명령이 입력된 경우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절차 없이 발신제한 기능을 실행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limiting transmiss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when a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during execution of a transmission restriction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ransmiss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xecutes a transmission restriction function without a user terminal authentication procedure. Restriction method and apparatus.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 소유자 이외의 제 3자에 의한 음성, 데이터, 문자 등의 발신서비스 도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동통신단말의 송수신 제한 기능, 예를 들어 잠금 설정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In general, a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theft of outgoing services such as voice, data, and text by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own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ransmission / reception restric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lock setting function, is provided.

종래 이동통신단말의 송수신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통신기능 제한방식으로서 호 발신기능 및 호 수신기능 모두를 제한하는 방식과, 호 발신기능만을 제한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송수신 제한 기능은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또는 이동통신단말의 키패드에 구비되는 기능 버튼 입력을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송수신 제한 기능 선택에 따라 송수신 제한 모드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진다. 송수신 제한 모드로 모드 전환된 이동통신단말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 연결 또는 메뉴 확인을 위한 기능 버튼이 선택되면 잠금 설정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절차, 예를 들어,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비밀번호가 이동통신단말 소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동통신단말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선택된 기능 버튼에 해당되는 기능을 실행한다.As a communication function limiting method for limit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are a method of limiting both a call origination function and a call reception function, and a method of restricting only a call origination func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striction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a user interface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function button input provided in a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striction mod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striction fun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when a function button for call connection or menu confi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unlocking the lock is required, for example, inputting a password, and the entered password is moved.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unction button is executed only when the password matches the mobile terminal password preset by the owner of the terminal.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신제한기능 설정방법은, 잠금 설정 해제를 위한 사용자인증 절차로 인해 기존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흐름이 계속 이루어지지 못하고 끊기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setting the communication restric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existing user interface flow is not continuously made due to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releasing the lock setting.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신제한기능 설정방법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확인을 하는 과정이 있어 사용자가 지인(知人)일 경우,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of setting a communication restric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of confirming a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thereby causing a discomfort when the user is acquaint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인증 절차 없이 기존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흐름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동통신단말의 발신기능을 제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limit the calling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continuing the existing user interface flow without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인증 절차 대신 발신제한 아이콘을 표시하여 발신제한기능이 동작 중임을 알리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기능 제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a calling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notifies a call limiting function by displaying a call limiting icon instead of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또는 이동통신단말의 키 스트링(key string)입력을 통해 발신제한기능이 설정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기능 제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a calling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that a call limiting function is set through a user interface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key string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방법은, 발신제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 중 발신명령 입력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절차 없이 호 발신 조건을 점검하는 과정과, 상기 호 발신조건 점검 후 호 설정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the transmission limi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transmission limi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ransmission limiting func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while executing the transmission limiting function; Checking a call origination condition without a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outputting a call setup failure message after checking the call origination condition.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방법은, 임의의 발신제한기능 설정명령 입력시 발신제한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제한기능이 설정된 경우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 입력시 발신제한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제한모드 실행시 발신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명령 입력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절차 없이 호 발신 조건을 점검하는 과정 과, 상기 호 발신조건 점검 후 발신제한기능 작동 여부를 점검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제한기능 작동시 호 설정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limi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setting the transmission limiting function upon inputting an arbitrary transmission limiting function setting command, and if the transmission limiting function is set Determining whether to input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executing a call restriction mode when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determining whether to input a call command when executing the call restriction mode; The method includes checking a call origination condition without a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checking whether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activated after checking the call origination condition, and outputting a call setup failure message when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activated.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방법은, 발신제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신제한모드 실행 중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명령 입력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절차 없이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조건을 점검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조건 점검 후 기능실행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transmission restriction function, execu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during the execution of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ode. Chec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ndition without a mobile terminal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when inputting a command; and outputting a function execution failure message after check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ndition.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방법은, 임의의 발신제한기능 설정명령 입력시 발신제한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제한기능이 설정된 경우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 입력시 발신제한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제한모드 실행시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실행 명령 입력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절차 없이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조건을 점검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조건 점검 후 기능실행 제한기능 작동 여부를 점검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실행 제한기능 작동시 기능실행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limi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cess of setting the transmission limiting function upon inputting an arbitrary transmission limiting function setting command, and if the transmission limiting function is set Determining whether to input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executing a call restriction mode when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determining whether to input a function command for execu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when executing the call restriction mode; Chec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ndition without a mobile terminal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when inputting an execution command, checking a function execution restriction function operation after checking the mobile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ndition, and operating the function execution restriction function Outputting a function execution failure messag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장치는, 알파뉴머릭 키 패드가 구비된 키 입력부, 이동통신단말의 운영체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임의의 키 입력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운영체제 프로그램에 발신제한 및 발신제한 해제 기능 프로 그램을 추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발신제한기능 실행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출력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limit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key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n alphanumeric keypad, a memory in which an operating system pro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the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 control unit for adding a call limit and call limit release function program to an operating system program of the memory according to an arbitrary key input command, and an imag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user interface menu related to the call limit function execution display set by the controller; d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촬영기능, 이동통신기능, 디지털방송 수신기능 또는 정보처리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otographing function,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function, or an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조도이다. 상기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제어부(101), 메모리(102), 키 입력부(103), 영상표시부(104), RF(Radio Frequency)부(105), 데이터 처리부(106), 오디오 처리부(1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ontrol unit 101, a memory 102, a key input unit 103, an image display unit 104, an RF (radio frequency) unit 105, a data processing unit 106, The audio processing unit 107 is configured.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내부블록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102), 키 입력부(103), 영상표시부(104), 데이터 처리부(106) 및 오디오 처리부(107)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1 execute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ignal flow between internal block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1 controls the flow of signals between the memory 102, the key input unit 103, the image display unit 104, the data processor 106, and the audio processor 10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상기 메모리(102)는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과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은 이동통신단말의 운영체제 프로그램 등을 저정한다.The memory 102 may include a program memory area and a data memory area. The program memory area stores an operating system program and the lik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키 입력 부(103)는 각종 기능 설정 및 제어와 관련한 정보 등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키 입력 부(103)는 알파뉴머릭 키 패드를 이용하여 키 입력을 실행한다.The key input unit 103 is a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function setting and control, and outputs a key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103 executes a key input using an alphanumeric keypad.

상기 영상표시부(104)는 상기 제어부(101)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영상표시부(104)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한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기능을 갖는 경우 영상표시부(104)를 통하여 제어부(101)로 데이터 입력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unit 104 displays image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01. The image display unit 104 may be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LCD). When the LCD has a touch screen function, the image display unit 104 controls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image display unit 104. 101) can execute the data input function.

상기 RF부(105)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6)는 상기 RF부(105)를 통하여 송수신 되는 임의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부(101)로 전달하고, 제어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임의의 데이터, 예를 들어 제어명령을 RF부(105)로 전달한다.The RF unit 105 executes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data processor 106 processes and transmits arbitrary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F unit 105 to the controller 101, and transmits arbitrary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1, for example, a control command, to the RF unit. Forward to 105.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는 음성 또는 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01)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107 converts the voice or sound data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1,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such as the voice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do.

도 2a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방법의 흐름도이다.       2A and 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transmission restri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및 도 2b를 참고하면, S 201 과정에서 이동통신단말은 전원이 켜진(poewr-ON) 대기상태이다. S 203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발신제한 기능 설정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발신제한 기능 설정 명령은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또는 이동통신단말의 키 스트링(key string)을 통해 입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부(103)의 임의의 키 패드 입력을 통하여 상기 발신제한 기능 설정 모드가 실행되고, 이어서 임의의 키 스트링(key string) 입력 및 이동통신단말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비밀번호 입력에 의하여 발신제한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된 발신제한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서 발신제한 기능 설정시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설정하면 이동통신단말이 제 3자에게 도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설정된 발신제한 기능을 해제할 수 없다. 또한,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영상표시부(104)를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에 따라 발신제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발신제한 기능설정 명령이 입력된 경우, S 205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발신제한기능을 설정한다. Referring to FIGS. 2A and 2B, in step S 20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poewr-on standby state. In step S203, the controller 101 determines whether a call limit function setting command is input. The call limit function setting command is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key str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the call limit function setting mode is executed through an arbitrary keypad input of the key input unit 103, followed by an arbitrary key string input and a password input arbitrarily set by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can be set. In addition, if the password is set when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function is set in order to cancel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function,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function cannot be released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len by a third party. In addition, a call restriction command may be input through the image display unit 104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 to a user interface menu. When the transmission limit function setting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101 sets the transmission limit function in step S205.

S 207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은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통하여 입력된다.In step S207, the controller 101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execution limit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The execution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이 입력된 경우, S 209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발신제한 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S 205 과정에서 발신제한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도 S 207 과정에 따른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이 입력되어야 발신제한모드가 실행된다.When the transmission limit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in step S209, the controller 101 executes the transmission limit mode. Even when the transmission limit function is set in step S 205, the transmission limit mode is executed only when the execution limit function execution command according to step S 207 is input.

도 3은 상기 S 209 과정에서 발신제한 모드 실행 과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은, S 207 과정의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 입력시 발신제한 기능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할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이동통신단말 사용자의 선택을 권유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3 is a flowchart of a call restriction mode execution process in step S209. FIG. 3 illustrates a process of inviting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elect whether to output the call limit mode notification icon indicating that the call limit function is being executed when the call limit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in step S207. .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이 입력된 경우(S 207), 제어부(101)는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이 입력되면, 발신제한기능 실행 중 임의의 키 패드 입력이 있는 경우 발 신제한 기능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선택메뉴를 영상표시부(104)로 출력한다(S 301). When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S207), when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101 indicates that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being executed when there is any keypad input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A selection menu on whether to output the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is output to the image display unit 104 (S 30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 방법에서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선택메뉴 출력도이고, 도 5는 상기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 출력도이다. 도 5의 상부에 전화기 아이콘 표시를 발신제한모드임을 표시한다.4 is a view showing an output of a selection menu on whether to output a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in a call restri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o be. In the upper part of Fig. 5, the phone icon display indicates that the call is restricted.

제어부(101)는 상기 선택메뉴에 대하여 선택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303). 상기 도 4에 도시된 선택메뉴에서 '예'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01)는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 입력시 발신제한 기능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설정한다(S 305). 또한, 상기 도 4에 도시된 선택메뉴에서 '아니오'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01)는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이 입력되어도 발신제한 기능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한다(S 307). 제어부(101)는 상기 선택메뉴 선택에 따라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 출력 여부를 설정하고 이어서 발신정지모드를 실행한다(S 309).The controller 101 determines whether a selection command is input to the selection menu (S 303). When the 'yes' menu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menu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101 sets to output the 'send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indicating that the restriction is executing when the execution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S). 305). In addition, when the 'No' menu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menu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101 does not output the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indicating that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being executed even when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S307). The control unit 101 sets whether to output the 'restricting call mode notification ic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menu and then executes the call stop mode (S309).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의의 키 입력명령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입력에 따라 발신제한 기능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발신제한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도 발신제한 모드 실행명령을 입력함으로써 비로소 발신제한 기능이 실행된다. 상기 발신제한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음성 콜 수신, 데이터 콜 수신 및 SMS 수신 등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limit function may be set according to an arbitrary key input command or a user interface menu input, and the call limit mode execution command is input even when the call limit function is set. By doing so, the calling restriction function is executed. Even if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executed, there is no effect on voice call reception, data call reception, SMS reception,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신제한 모드 실행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 출력 여부가 설정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call restriction mode is executed, whether or not to output the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is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211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키 입력부(103)의 키 패드단자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S 211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음성통화, 데이터 송신, 단문문자메시지 전송 등을 위한 키 패드단자 입력 또는 임의의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한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키 패드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101)는 상기 S 209 과정에 따른 발신제한모드를 유지한다.In step S 211, the controller 101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keypad input of the key input unit 103. That is, in step S 211, the controller 101 determines whether a keypad terminal input for a voice call, data transmission, short text message transmission, or the like,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mmand through an arbitrary user interface is input. If there is no keypad input, the controller 101 maintains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ode according to step S209.

S 213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키 패드 입력시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상기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 출력 여부는 상기 S 209 과정에서 설정된 바에 따른다. 상기 S 209 과정에서 발신제한기능 실행 중 임의의 키 패드 입력이 있는 경우 발신제한 기능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01)는 임의의 키 패드 입력시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을 영상표시부(104)에 출력한다(S 215 과정). 그러나 상기 S 209 과정에서 발신제한 기능이 실행 중임을 알리는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이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발신제한기능 실행 중 임의의 키 패드 입력이 있더라도 이동통신단말 사용자인증을 위한 어떠한 메시지도 출력되지 않으며, 또한 발신제한모드가 실행 중임을 알리는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도 출력되지 않는다.In step S213, the controller 101 checks whether the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is set to be output when the keypad is input. Whether or not the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is output depends on the setting in step S209. If there is an arbitrary keypad input during execution of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n step S 209, when the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indicating that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being executed is outputted, the controller 101 displays a ' The transmission limit mode notification icon 'is output to the image display unit 104 (step S215). However, if the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indicating that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being executed in step S 209 is not output, any message for mobile terminal user authentication even if any keypad input is executed during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In addition, the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notifying that the call restriction mode is running is not output.

S 217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키 패드 입력 정보에 대한 발신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키 패드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 문자 등에 대 하여 호 설정을 위한 발신명령 입력(즉, send 키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발신명령 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101)는 상기 S 209 과정에 따른 발신제한 모드를 유지한다.In step S 217, the controller 101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all command for the keypad input information.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all command input (that is, a send key input) for call setup with respect to a phone number or a text input by the keypad. If there is no transmission command input, the controller 101 maintains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ode according to step S209.

상기 S 217 과정의 발신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01)는 S 219 과정에서, 콜 커맨드 버퍼링(call command buffering)을 초기화한다. 상기 콜 커맨드 버퍼링 초기화는 숫자 키 또는 문자 키 입력시 상기 입력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부(101)의 임시 메모리 영역을 정리하는 과정이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riginating command of step S 217 is input, the controller 101 initializes call command buffering in step S 219. The call command buffering initialization is a process of arranging a temporary memory area of the controller 101 to temporarily store the input number or character when a numeric key or a character key is input.

S 221 과정 내지 S 227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발신명령 입력시 호 발신 조건을 점검한다. S 221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다이얼 버퍼링이 정상인지 여부(dialed buffer check), 즉 발신번호 정상 여부를 점검한다. In step S 221 to step S 227 the control unit 101 checks the call originating conditions when the call command input. In step S221, the controller 101 checks whether the dial buffering is normal (dialed buffer check), that is, whether the calling number is normal.

S 223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통신시스템 서비스타입(예를 들어, CDMA방식, WCDMA방식, GSM방식)이 정상인지 여부를 점검(system service type check) 한다. In step S223, the controller 101 checks whether the communication system service type (for example, the CDMA method, the WCDMA method, or the GSM method) is normal (system service type check).

S 225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콜 파라미터(즉, 음성 또는 영상 전송을 위한 circuit switched service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packet switched service)가 정상인지 여부를 점검(call parameter check)한다.In step S225, the controller 101 checks whether the call parameters (that is, a circuit switched service for voice or video transmission and a packet switched service for data transmission) are normal.

S 227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콜 ID가 정상인지 여부를 점검(call ID check) 한다. 상기 콜 ID는 단말기 ID와 기지국 ID를 포함한다.In step S 227, the controller 101 checks whether the call ID is normal (call ID check). The call ID includes a terminal ID and a base station ID.

상기 S 221 과정 내지 S 227 과정은 그 점검 순서가 바뀔 수 있으며, 하나의 과정이라도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01)는 영상표시부(104)화면에 콜 설정 실패 메시지를 출력한다.In the process of S 221 to S 227, the inspection order may be changed. If even one process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controller 101 outputs a call setup failure message to the image display unit 104 screen.

S 229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발신제한 모드가 실행 중인지 여부를 점검한다. 상기 점검 결과 발신제한 모드가 실행 중인 경우에는, 상기 S 221 과정 내지 S 227 과정이 정상인 경우에도, 제어부(101)는 비밀번호 입력 요구메시지 등 어떠한 사용자 인증 요구 메시지도 출력하지 않으며, 일정시간(1초~3초) 경과 후 영상표시부(104)화면에 콜 설정 실패 메시지를 출력한다(S 231 과정). In step S229, the controller 101 checks whether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ode is running. When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ode is executed as a result of the check, even if the steps S 221 to S 227 are normal, the controller 101 does not output any user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such as a password input request message, and for a predetermined time (1 second). After the elapse of 3 seconds), a call setting failure message is output on the image display unit 104 screen (step S231).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인증 절차 없이 기존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흐름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동통신단말의 발신기능을 제한할 수 있으며, 발신제한 아이콘이 출력되지 않는 한 발신제한기능이 실행 중이라는 것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existing user interface (User Interface) flow can continue without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limit the call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restriction icon is not output It may not indicate that on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running.

상기 S 221 과정 내지 S 227 과정이 정상이고, 상기 S 229 과정의 점검결과 발신제한 모드가 실행되지 않고 있다면, 제어부(101)는 상기 S 217 과정에서 입력된 발신명령을 수신받는다(S 233 과정). 이어서 제어부(101)는 상기 수신받은 발신명령에 따라 콜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S 235 과정).If the step S221 to step S227 is normal and the check result of step S229 is not executed, the control unit 101 receives the call command input in step S217 (step S233). .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01 performs a call setup procedure according to the received outgoing command (S235).

한편, S 237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발신제한 모드 해제를 위한 키 스트링(key string)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상기 발신제한 모드 해제를 위한 키 스트링(key string) 입력방법은 상기 S 203 과정에서의 발신제한 기능 설정 명령입력과정과 동일하다. 즉, 상기 발신제한 기능 해제 명령은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또는 이동통신단말의 키 스트링(key string)을 통해 입력된다. 제어부(101)는 상기한 발신제한 모드 해제명령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설정된 발신 제한 기능을 해제한다(S 239 과정).Meanwhile, in step S 237, the controller 101 checks whether there is a key string input for canceling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ode. The key string input method for releasing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ode is the same as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function setting command input process in step S203. That is, the command to release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key str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101 releases the set transmission restriction function when it detects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ode release command input (S239).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특허 청구항 및 청구항의 균등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and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인증 절차 없이 기존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흐름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동통신단말의 발신기능을 제한할 수 있고, 사용자 인증절차 대신 발신제한 아이콘을 표시하여 발신제한기능이 동작 중임을 알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imit the call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continuing the existing user interface flow without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display the call restriction icon instead of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inform that the limiting function is active.

또한, 이동통신단말의 발신기능 제한 설정시 이동통신단말의 모뎀(modem)에 대한 재부팅(rebooting)이 필요없이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또는 이동통신단말의 키 스트링(key string)입력을 통해 발신제한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etting the calling function restri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make the call through the user interfac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key string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the need for rebooting of the mod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dvantage is that the limit function can be set.

Claims (17)

발신제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의 발신제한방법에 있어서,In the call restri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restriction function,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 중 발신명령 입력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절차 없이 호 발신 조건을 점검하는 과정과,       Checking a call origination condition without a mobile terminal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when an outgoing command is input while executing the outgoing restriction function; 상기 호 발신조건 점검 후 호 설정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And a method for outputting a call setup failure message after checking the call origination condition. 발신제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call restri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ll restriction function,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 입력시 발신제한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Executing a call restriction mode when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상기 발신제한모드 실행시 발신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call command is input when the call restriction mode is executed; 상기 발신명령 입력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절차 없이 호 발신 조건을 점검하는 과정과, Checking a call origination condition without a mobile terminal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when the originating command is input; 상기 호 발신조건 점검 후 발신제한기능 작동 여부를 점검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operates after checking the call origination condition; 상기 발신제한기능 작동시 호 설정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And a step of outputting a call setup failure message when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activat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호 발신조건이 정상이고 발신제한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호 설정을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 And executing the call setup when the call originating condition is normal and the call limiting function does not work.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발신제한기능 해제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발신제한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And a step of releasing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function by inputting a transmission restriction function release comman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명령은,According to claim 2,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command,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메뉴 입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Calling restri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the user interface menu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제한기능 해제명령은,According to claim 4,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release command,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메뉴 입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 Calling restri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the user interface menu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제한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executing the transmission restriction mode, 발신제한기능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선택메뉴 표시 과정과,Displaying a selection menu for whether or not to outpu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being executed; 상기 선택메뉴에서 발신제한기능 실행 메시지 출력 항목 선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o select an output limit function execution message output item in the selection menu; 상기 선택메뉴에서 발신제한기능 실행 메시지 출력 항목이 선택된 경우 발신제한기능 실행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message to be output if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message output item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menu; 상기 선택메뉴에서 발신제한기능 실행 메시지 출력 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발신제한기능 실행 메시지가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And if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message output item is not selected in the selection menu, setting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message not to be outpu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 발신 조건을 점검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hecking of the call origination condition comprises: 상기 발신명령 입력시 콜 커맨드 버퍼링을 초기화하는 과정과,Initializing a call command buffering when the call command is input; 상기 콜 커맨드 버퍼링을 초기화한 경우 다이얼 버퍼링이 정상상태인지 점검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dial buffering is in a normal state when the call command buffering is initialized; 상기 다이얼 버퍼링이 정상상태인 경우 통신시스템 서비스상태가 정상상태인지 점검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communication system service state is normal when the dial buffering is normal; 상기 통신시스템 서비스상태가 정상상태인 경우 콜 파라미터가 정상상태인지 점검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a call parameter is normal when the communication system service state is normal; 상기 콜 파라미터가 정상상태인 경우 콜 ID가 정상상태인지 점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And checking whether the call ID is in a normal state when the call parameter is in a normal state. 발신제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call restri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ll restriction function, 상기 발신제한모드 실행 중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명령 입력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절차 없이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조건을 점검하는 과정과, Chec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ndition without a mobile terminal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when a mobile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during execution of the calling restriction mode; 상기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조건 점검 후 기능실행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And a step of outputting a function execution failure message after checking the function execution cond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발신제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call restri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ll restriction function, 상기 발신제한모드 실행시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o inpu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mmand when the calling restriction mode is executed; 상기 기능실행 명령 입력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절차 없이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조건을 점검하는 과정과, Check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ndition without inputting the mobile terminal user authentication procedure when the func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상기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조건 점검 후 발신제한기능 작동 여부를 점검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calling restriction function operates after checking the mobile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ndition; 상기 발신제한기능 작동시 기능실행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And a step of outputting a function execution failure message when the originating restriction function is activat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 기능실행 명령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execution command comprises: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 메뉴 입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방법. Calling restri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the user interface menu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장치에 있어서,In the call limit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알파뉴머릭 키 패드가 구비된 키 입력부,Key input unit with alphanumeric keypad, 이동통신단말의 운영체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A memory in which an operating system pro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임의의 키 입력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운영체제 프로그램에 발신제한 및 발신제한 해제 기능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제 어부,A control unit for adding a transmission limit and a transmission limit release function program to an operating system program of the memory according to an arbitrary key input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발신제한기능 실행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출력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장치.And an imag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user interface menu related to the execution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display set by the control uni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시 상기 키 입력부의 키 패드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 요구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장치.And a mobile terminal user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when the keypad input function has a keypad input when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execute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발신명령 입력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 인증절차 없이 호 발신 조건을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장치.An outgoing call limit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call originating condition is checked without a user communication procedure when a call command is inpu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임의의 키 입력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운영체제 프로그램에 발신제한기능 해제프로그램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장치.And a transmission limiting function canceling program added to an operating system program of the memory according to an arbitrary key input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메뉴에서 발신제한기능 실행 메시지 출력 항목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선택메뉴에서 발신제한기능 실행 메시지 출력 항목이 선택된 경우 발신제한기능 실행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선택메뉴에서 발신제한기능 실행 메시지 출력 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발신제한기능 실행 메시지가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하여 상기 발신제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장치.Displaying a selection menu on whether to outpu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being executed; determining whether to select a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message output item in the selection menu; and displaying a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message output item in the selection menu. Set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message to be output if is selected, and if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message output item is not selected in the selection menu is set to not output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message to execute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Transmission limit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mage display unit,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로서, 상기 발신제한기능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선택메뉴와 발신제한모드 알림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발신 제한 장치.Calling restri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user interface menu related to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execution display, outputting a selection menu and a call restriction mode notification icon for outpu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restriction function is being executed. Device.
KR1020060130311A 2006-12-19 2006-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on of call origination in mobile terminal KR1007795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311A KR100779588B1 (en) 2006-12-19 2006-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on of call origination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311A KR100779588B1 (en) 2006-12-19 2006-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on of call origination in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588B1 true KR100779588B1 (en) 2007-11-28

Family

ID=3908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311A KR100779588B1 (en) 2006-12-19 2006-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on of call origination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58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735A (en) 2004-12-31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restrict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735A (en) 2004-12-31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restrict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286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for telephone calling emergency call
KR20140095712A (en) Method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0713455B1 (en) Method for receiving called call and rejecting it selectively in portable radio telephone
KR100605651B1 (en) Selective mute method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US20100022230A1 (en) Method for receiving incom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uring user absence
KR1007795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on of call origination in mobile terminal
JP2006211377A (en) Wireless terminal device
KR100610894B1 (en) Mobile phone including a function of screen saver auto lock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294688A (en) Cellular phone
JP200133950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k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US838583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ound volume control method
JPH10242901A (en) Power compulsory cut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R101196379B1 (en) Method for alarm in portable terminal
KR1005466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 Message of Phone with External Device
JP5445654B2 (en) Mobile phone and function setting method thereof
KR20120034189A (en) The operation method of smart phone
JP2003070074A (en) Telephone device including monitoring means
KR100643440B1 (en) Method for setting alarm using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1005499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jecting Call-Receiving And Setting Up Alarm
KR20030048196A (en) Mobile phone with phone lock using short message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302577B1 (en) Antitheft Mobile Phone having Compulsive Call and the Method for Compulsive Call thereof
JP3963469B2 (en) Mobile radio
KR20130036795A (en) Method for compulsive voip call processing by mobile phone for antitheft function
KR101032107B1 (en) Video saving and searching system to accommodate multi mobile terminals using video call protocol
KR20000056730A (en) Method For Protecting a Private Information in Portab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