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587B1 -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587B1
KR100779587B1 KR1020060125924A KR20060125924A KR100779587B1 KR 100779587 B1 KR100779587 B1 KR 100779587B1 KR 1020060125924 A KR1020060125924 A KR 1020060125924A KR 20060125924 A KR20060125924 A KR 20060125924A KR 100779587 B1 KR100779587 B1 KR 100779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external memory
terminal
path information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587B1/ko
Priority to US11/829,416 priority patent/US2008014093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4Details of searching files based on file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장 메모리를 단말에 삽입 시, 최근에 복사 또는 선택된 파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들의 경로 정보들을 검사하는 과정과, 경로 정보들 중에서 최근에 생성된 경로 정보의 파일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 메모리에 복사된 파일 또는 외장 메모리에서 선택된 파일에 대한 최근 접근 경로를 이용하거나, 복사 시간 순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외장 메모리에 최근에 복사된 파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외장 메모리(removable memory), 히든 파일(hidden file), 경로, 시간 정보,복사

Description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FILE IN TERMINAL HAVING REMOVABLE MEMO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과 외장 메모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에 저장된 파일을 외장 메모리로 복사하거나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4a와 도 4b는 도 3의 동작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단말로 복사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동작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단말의 파일(File)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장 메모리를 단말에 삽입 시, 최근에 복사 또는 선택된 파일로 바로 이동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말은 통화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성 된 동작 알고리즘 및 단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있다.
근래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에 따라 단말 사용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 파일을 저장하거나, 자신의 단말에서 무선 인터넷 또는 컴퓨터 접속을 통해 동영상 이미지와 같은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거나, 게임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플래시(flash)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가상 메모리(VM; Virtual Memory)를 통해 실행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단말은 메모리의 교체나 확장이 불가능하거나 제한적이다. 즉, 단말의 메모리 크기는 제품 생산 시에 포함된 내장형 메모리로 제한되어, 단말 생산 후에는 메모리의 확장이 힘들다.
한편, 단말 사용자 간 프로그램 및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PC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가능하다. 그러나, PC를 이용하는 방법은 파일 공유를 위해 항상 PC가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는 파일 공유를 위한 각 단말이 동일한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제안된 것이 외장 메모리를 통해 단말에 프로그램 및 파일을 자유롭게 가감할 수 있고, 다른 단말간에 프로그램 및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단말 사용자의 메모리 확장을 위한 외장 메모리 이용 방법은 먼저, 외장 메모리를 단말에 접속시킨다. 단말에서 외장 메모리로 복사하고자 하는 파일을 찾아 선택한 후, 그 파일을 외장 메모리로 복사시킨다. 다음으로, 외장 메모리를 단말로 부터 분리시킨 뒤, 복사시킨 파일을 옮기고자 하는 단말에 접속시킨다.
외장 메모리가 접속되면, 단말의 메뉴 중에서 외장 메모리에 복사된 파일을 읽어오는 메뉴를 선택하여, 단말로 복사하고자 하는 파일을 검색하고, 그 파일을 선택하여 복사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 메모리를 단말에 접속하여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단말로 복사 시, 복사하고자 하는 파일을 찾기 위해서는 복사된 파일이 위치하는 최종 폴더로 이동하여야 하는데, 복사된 파일이 위치하는 최종 폴더의 상위 폴더가 많다면 이동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최종 폴더에 복사된 파일 이외에 다른 파일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면 일일이 파일 이름을 확인하면서 해당 파일을 찾아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
본 발명의 목적은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외장 메모리에 복사된 파일로 단축 이동할 수 있도록 외장 메모리에 복사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 중 선택된 파일로 단축 이동할 수 있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외장 메모리에 복사된 파일로 단축 이동할 수 있도록 외장 메모리에 복사된 파일의 복사 시간 정보와 복사된 파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접근 경로 정보의 파일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외장 메모리에 파일을 복사하거나,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복사 또는 선택된 파일의 복사 시간 정보와 접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제1 단말에서 상기 외장 메모리에 복사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제2 단말에 상기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파일 표시 기능을 갖는 단말로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접속부와, 파일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외부 장치에 파일 복사 시, 또는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된 파일 선택 시, 상기 복사 시간 정보와 파일의 경로 정보를 히든 파일로 생성하고, 상기 히든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히든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된 파일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히든 파일(hidden file)"은 단말에서 외장 메모리로 복사된 파일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와 파일 복사 시 복사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파일의 접근 경로"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의 저장 위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파일이 내 문서 폴더(Folder)의 하위 폴더인 내 사진 폴더에 저장되어 있다면 내 문서 폴더-내 사진 폴더가 접근 경로가 될 수 있다. 또한, "복사 시간 정보"는 단말에 저장된 파일을 외장 메모리에 복사 시, 외장 메모리에 파일이 복사된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외장 메모리"는 단말에 접속되어, 단말에 저장된 파일을 이동/복사할 수 있고, 저장된 파일을 단말에 이동/복사할 수 있다. 여기서, 외장 메모리는 단순히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일 수도 있고, 그 저장 매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단순히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의 외장 메모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로서,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오디오 기기, MP3 플레이어,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가 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 명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과 외장 메모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일 표시를 위해서 복수 개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0a)과 제2 단말(100b) 그리고 외장 메모리(130)가 구비된다.
외장 메모리(130)는 이동 가능하여, 제1 및 제2 단말(100a,100b)에 탈착 되거나 연결되어, 파일을 이동 및 복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매체이다. 외장 메모리(130)는 SD(Security Digital) 메모리 카드, CF(Compact Flash) 메모리 카드, 멀티 미디어(Multi Media)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의 메모리 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이동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메모리 카드를 포함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예컨대 단말(100)은 키입력부(103), 표시부(105), 제어부(107), 메모리부(109), 및 접속부(111)의 통상적인 구성을 가진다.
키입력부(103)는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키입력부(103)는 본 실시예에 따라 파일 표시 기능 설정, 외장 메모리(130)로 파일을 복사하기 위한 조작,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 또 는 복사하기 위한 조작 기능 등을 수행한다.
표시부(105)는 제어부(107)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05)는 LC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런 경우 표시부(105)는 LCD 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05)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파일 표시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외장 메모리(130)가 접속되면, 히든 파일에 저장된 접근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을 표시할 것인 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을 표시한다. 그리고 접근 경로 정보의 파일 표시가 선택되면, 표시부(105)는 그 경로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05)는 외장 메모리(130)가 접속되면, 히든 파일에 저장된 복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외장 메모리(130)에 복사된 파일들을 복사 시간 순서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07)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본 실시예에 따라 파일 표시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07)는 파일 표시 기능의 제어를 위하여, 접근 경로 정보 또는 복사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그 생성된 정보들을 히든 파일로 저장한다. 제어부(107)는 외장 메모리(130)로 파일 복사 시, 접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히든 파일로 저장하고, 그 히든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또는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된 특정 파일 선택 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그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히든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외장 메모리(130)가 단말(100)에 접속되면, 히든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여, 히든 파일이 있으면, 접근 경로로의 이동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을 표시부(105)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파일 복사 시간 정보를 생성하도록 그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파일 복사 시간 정보는 단말(100)에 저장된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로 복사 시, 파일이 복사된 시간에 대한 정보이다. 제어부(107)는 외장 메모리(130)로 파일 복사 시, 복사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파일 복사 시간 정보를 히든 파일로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외장 메모리(130)가 단말(100)에 접속되면, 히든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여, 히든 파일이 있으면, 파일 복사 시간 정보가 표시부(205)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접근 경로 정보와 복사 시간 정보를 모두 생성하여 히든 파일로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고, 이들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히든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09)는 프로그램 메모리, 파일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단말(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실시예에 따라 파일 표시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파일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 중에 발생되는 파일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09)에는 외장 메모리(130)로 복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종류의 파일들, 예컨대 사진 파일, 음악 파일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메모리부(I09)에는 외장 메모리(130) 로부터 복사된 여러 종류의 파일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접속부(111)는 외장 메모리(130)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이다. 단말(100) 내의 회로 기판에 메모리 소켓이 고정되고, 그 메모리 소켓과 대응되는 삽입구를 통해 외장 메모리(130)가 삽입 및 이탈된다. 삽입된 외장 메모리(130)는 단말(100)과 접속되어, 단말(100)의 파일이 외장 메모리(130)에 이동/복사되거나, 외장 메모리(130)의 파일이 단말(100)에 이동/복사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에 저장된 파일을 외장 메모리로 복사하거나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3의 동작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말(100a)에 저장된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로 복사하거나,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된 파일을 제1 단말(100a)에서 선택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0a)의 대기 상태(S301)에서 제어부(107)는 외장 메모리(13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3). 예컨대, 제어부(107)는 접속부(111)를 통해 외장 메모리(13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30)의 접속을 확인하지 못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313).
외장 메모리(130)의 접속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에 의해 제1 단말(100a)의 메모리부(109)에 저장된 특정 파일이 선택되어 외장 메모리(130)로 복 사되는지 확인한다(S305). 외장 메모리(130)로 복사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한 화면이 도 4a에 도시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단말(100a)의 내 앨범(my album) 메뉴의 갤러리(gallery) 폴더에서 달(moon) 사진을 외장 메모리(130)로 복사하기 위해, 그 파일을 선택한다. 제어부(107)는 키입력부(103)를 통한 파일의 선택을 인지하고, 리스트 상태에서 선택된 모습을 표시부(105)에 표시하거나, 선택된 파일의 내용을 표시부(105)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선택된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로 복사한다. 복사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 후, 외장 메모리(130)의 원하는 폴더에 복사하는 화면이 도 4b에 도시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0a)의 메모리부(109)에 저장되어 있던 달(moon) 사진을 외장 메모리(130)의 내 문서(my documents) 메뉴의 갤러리(gallery) 폴더의 하위 폴더인 자연(nature) 폴더에 복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S305과정에서 제1 단말(100a)의 메모리부(109)에 저장된 특정 파일이 외장 메모리(130)로 복사되지 않으면, 제어부(107)는 사용자에 의해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된 특정 파일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S315).
전술한 S315과정에서 외장 메모리(130)의 특정 파일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07)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313).
이어서, 제어부(107)는 전술한 S305과정에서 제1 단말(100a)의 메모리부(109)에 저장된 특정 파일이 외장 메모리(130)에 복사되거나, 전술한 S315과정에서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된 특정 파일이 선택되면 파일 표시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7). 여기서, 이 기능이 설정되어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313).
파일 표시 기능의 설정으로부터, 제어부(107)는 히든 파일을 생성한다(S309). 여기서, 히든 파일은 외장 메모리(130)에 복사된 파일에 대한 접근 경로 정보, 예컨대 최근에 복사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저장하거나,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된 특정 파일 선택 시 그 선택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저장한다. 즉, 전술한 S305 과정에서 파일 복사 또는 S315 과정에서 파일 선택으로 인한 접근 경로 정보를 히든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으로 설명된 바에 의하면, 외장 메모리(130)에 복사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히든 파일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moon) 사진이 복사된 경로로서, 외장 메모리(130)의 내 문서(my documents) 메뉴의 갤러리(gallery) 폴더에서 자연(nature) 폴더의 접근 경로를 저장한다. 그리고 외장 메모리(130)에서 선택된 특정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로서의 히든 파일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된 해(sun) 사진을 선택하는 경우, 해 사진이 선택된 경로로서, 외장 메모리(130)의 내 문서 메뉴의 갤러리 폴더에서 자연 폴더의 경로를 저장한다.
그 후에, 제어부(107)는 히든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311). 제어부(107)는 전술한 S305 과정에서 선택된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에 복사하고, 이와 동시에 전술한 S309 과정에서 생성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의 히든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또는 제어부(107)는 전술한 S315 과정에서 선택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의 히든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한편, 전술한 S307 과정에서 파일 표시 기능의 설정으로부터, 제어부(107)는 파일 복사 시간 정보를 또한 생성하여 히든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S309). 여기서, 파일 복사 시간 정보는 외장 메모리(130)에 복사된 파일의 복사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파일 복사 시간 정보가 저장된 히든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311). 제어부(107)는 전술한 S305 과정에서 복사를 위해 선택된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에 복사하고, 이와 동시에 전술한 S309 과정에서 생성된 파일 복사 시간 정보를 히든 파일로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107)는 전술한 S305 과정에서 선택된 파일을 외장 메모리(130)에 복사하고, 전술한 S309 과정에서 생성된 최근 접근 경로 또는 파일 복사 시간 정보를 외장 메모리(130)에 히든 파일로 모두 저장하거나, 최근 접근 경로와 파일 복사 시간 정보 중 어느 하나만을 생성하여 히든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에서 외장 메모리의 파일을 단말로 복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단말로 복사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동작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5와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된 파일을 제2 단말(100b)로 복사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100b)의 대기 상태(S501)에서 제어부(107)는 외장 메모리(13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3). 외장 메모리(130)의 접속을 확인하지 못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515).
외장 메모리(130)의 접속으로부터, 제어부(107)는 파일 표시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5). 여기서, 이 기능이 설정되어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515).
파일 표시 기능의 설정으로부터, 제어부(107)는 히든 파일을 이용하여 접근 경로 정보 또는 복사 시간 정보로 파일 표시 선택창을 표시한다(S507). 히든 파일을 이용한 접근 경로 정보로 파일 표시(Access path) 또는 시간 정보 순서로 파일 표시(Time order)를 선택하기 위한 팝업창이 표시된 화면이 도 6a에 도시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메모리(130)가 접속되면,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된 파일을 보는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팝업창이 표시부(105)에 표시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접근 경로 정보로 파일 표시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S509), 도 6a와 같이, 접근 경로 정보를 이용한 파일 표시가 선택되면, 제어부(107)는 히든 파일에 저장된 접근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이 저장된 외장 메모리(130)의 최종 폴더로 이동한다(S511). 접근 경로 정보로 파일 표시가 선택되어 외장 메모리(130)의 최종 폴더로 이동한 화면이 도 6b에 도시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S509 과정에서 접근 경로 정보를 이용한 파일 표시가 선택되면, 전술한 S305 과정으로 인해 외장 메모리(130)에 복사된 파일이 표시되거나, 전술한 S315 과정에서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던 파일들 중 선택되었던 파일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107)는 표시된 파일을 선택하여, 그 파일을 복사할 수 있다(S513). 표시부(105)에 표시된 파일을 키입력부(103)를 통해 선택하고, 그 파일을 제2 단말(100b)에 복사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S509 과정에서 최근 경로 정보로 파일 표시의 선택이 아닌, 시간 정보 순서로 파일 표시가 선택되면(S517), 제어부(107)는 저장된 파일 목록과 각 파일의 복사 시간 정보를 표시한다(S519).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복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외장 메모리(130)에 저장된 각 파일들이 최근 복사된 시간 순서로 표시부(105)에 배열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전술한 S517과정에서 시간 정보 순서로 파일보기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07)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515).
이어서, 제어부(107)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복사하고자 하는 파일이 선택됨을 인지하여, 그 파일을 제2 단말(100b)에 복사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S513).
한편, 전술한 S309와 S311 과정에서, 복사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만을 생성하여 히든 파일로 저장한 경우, 전술한 S507 과정에서 접근 경로로의 이동을 선택하는 선택창이 표시되어 S511과 S513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S309와 S311 과정에서, 복사 시간 정보만을 생성하여 히든 파일로 저장한 경우, 전술한 S507 과정에서 파일 복사 시간 정보로 파일 표시를 선택하는 선택창이 표시되어 S519와 S513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는 파일이 복사된 외장 메모리를 단말에 삽입 시, 최근에 복사 또는 선택된 파일로 바로 이동할 수 있거나, 최근 복사된 시간 순서로 파일들이 배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장 메모리에 최근에 복사 또는 선택된 파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 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저장 기능만을 갖는 외장 메모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고, 외장 메모리에 파일 복사 시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 선택 시, 그 파일의 경로 정보 또는 파일의 복사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히든 파일로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외장 메모리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제어부에 제어하였던 경로 정보와 복사 시간 정보의 생성 및 생성된 정보를 히든 파일로 만드는 과정을 외장 메모리의 제어부에서 제어하여, 본 실시예와 유사하게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실시할 수 있다.
이는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에 접속된 외장 메모리로부터 파일을 복사하거나,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그 외장 메모리를 타 단말에 접속하였을 때, 최근에 외장 메모리에 복사 또는 선택된 파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거나, 복사된 시간 순서로 파일들이 배열되어, 사용자가 외장 메모리에 최근에 복사 또는 선택된 파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4)

  1.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접근 경로 정보의 파일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에 파일을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의 복사 시간 정보와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외장 메모리에 상기 복사 시간 정보와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외장 메모리에 상기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경로 정보에 포함된 파일의 이름과 목록을 표시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복사 시간 순서로 상기 파일들을 배열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하는 과정은,
    상기 히든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최근에 생성된 경로 정보의 파일을 표시하거나, 상기 복사 시간 순서로 상기 파일들이 배열되도록 선택하는 팝업(pop-up)창이 표시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7.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에 파일을 복사하거나,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복사 또는 선택된 파일의 복사 시간 정보와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8.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제1 단말에서 상기 외장 메모리에 파일 복사 및 상기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제2 단말에 상기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근 경로 정보의 파일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외장 메모리 접속 시, 제1 단말에서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파일의 접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에 파일 복사 시, 상기 복사 시간 정보 및 파일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히든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경로 정보를 히든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12.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접속부와,
    파일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된 외부 장치에 파일 복사 시, 또는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된 파일 선택 시, 상기 복사 또는 선택 시간 정보와 파일의 경로 정보를 히든 파일로 생성하고, 상기 히든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히든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된 파일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표시 기능을 갖는 단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사 시간 순서로 상기 파일들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표시 기능을 갖는 단말.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외장 메모리 또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표시 기능을 갖는 단말.
KR1020060125924A 2006-12-12 2006-12-12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779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924A KR100779587B1 (ko) 2006-12-12 2006-12-12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
US11/829,416 US20080140933A1 (en) 2006-12-12 2007-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file in terminal having removable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924A KR100779587B1 (ko) 2006-12-12 2006-12-12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587B1 true KR100779587B1 (ko) 2007-11-28

Family

ID=3908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924A KR100779587B1 (ko) 2006-12-12 2006-12-12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40933A1 (ko)
KR (1) KR100779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3734B2 (en) * 2009-06-29 2013-04-30 Sandisk Technologies Inc. Selecting a file path of a removable storage device based on a root directory size comparison with a hos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219A (ko) 2003-08-11 2005-02-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다운로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5838A3 (en) * 2000-11-07 2007-10-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rryable memory medi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aging files therein
US7386530B2 (en) * 2002-12-19 2008-06-10 Math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including addressability features
US7683942B2 (en) * 2004-05-18 2010-03-23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026350A1 (en) * 2004-07-28 2006-02-02 Lee Kyoung-Jae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switch memory cards in a multi-functional device, and method of configuring a removable disc dri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219A (ko) 2003-08-11 2005-02-2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메모리 다운로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0933A1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604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by using the same
KR101569776B1 (ko)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RU2600106C2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приложений
US8542110B2 (en) Mobile terminal and object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US9223785B2 (en) Mobile terminal displaying page of e-book and background imag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29935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141768B2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529602B (zh) 具有動態拼圖介面的電子裝置及更新方法與系統
US20130147849A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method thereof
US20090158214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Presentation of Content Items of a Media Collection
BR112014003009B1 (pt) Método, dispositivo e meio de armazenamento
US20120210201A1 (en)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070090914A (ko) 파일 및 폴더 관리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20085023A (ko) 복수의 클립보드 저장 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기능을 가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CN102193764A (zh) 显示和处理多个文档的电子系统及方法
KR2011000110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49707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
KR100779587B1 (ko)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의 파일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4282494A (zh) 信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26458A (ko) 데이터 관리 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10127894A (ko) 웹 이미지 다이렉트 삽입을 통한 문서 작성 방법 및 웹 이미지 다이렉트 삽입을 통한 문서 작성 장치, 그리고 웹 이미지 다이렉트 삽입을 통한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061892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24109220A1 (zh) 显示卡片的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05223576A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画像管理方法
JP2006293552A (ja) ファイル処理装置、電子機器、ファイル処理方法およびファイル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