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801B1 - A round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equipment using it for saperating particle - Google Patents

A round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equipment using it for saperating p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801B1
KR100778801B1 KR1020070034701A KR20070034701A KR100778801B1 KR 100778801 B1 KR100778801 B1 KR 100778801B1 KR 1020070034701 A KR1020070034701 A KR 1020070034701A KR 20070034701 A KR20070034701 A KR 20070034701A KR 100778801 B1 KR100778801 B1 KR 100778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creen
circular screen
frame
cl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현철
박상숙
이용운
이기완
서영철
김종동
성창경
김영준
백형민
백광호
신정임
Original Assignee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죽암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죽암건설(주) filed Critical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8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8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iltering discs transverse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01D33/23Construction of discs or component secto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A round screen and a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les are provided to control a gap between neighboring wings of the round screen easily, by interlocking wings, which are rotatively installed between a pair of fixing frames, with saw-teeth of a pair of operating frames so that the gap is controlled by rotating the operating frames. A round screen comprises a pair of fixing frames(110), a plurality of wings(130)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frames, and a pair of operating frames(120) positioned inside respective fixing frames. Each of the fixing frames has a circle plate with a hollow portion(114), and a plurality of rotating holes(111) formed around the hollow portion. Each of the wings has rotating protrusions(131) formed at both ends thereof, wherein the rotating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rotating holes. Each of the operating frames has a circle plate with a hollow portion(124), and a plurality of saw-teeth(121) formed on an inner periphery of the hollow portion. The saw-teeth of the operating frame are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wing.

Description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입자분리장치{A ROUND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EQUIPMENT USING IT FOR SAPERATING PARTICLE}AROUND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EQUIPMENT USING IT FOR SAPERATING PARTICLE}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의 기본 예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example of the clearance adjusting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g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5a and 5b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cision showing the particle separation device using the clearance control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7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 110 : 고정프레임100: clearance adjustment circular screen 110: fixed frame

120 : 작동프레임 130 : 날개120: operating frame 130: wing

200 : 회류챔버 300 : 여과챔버200: flow chamber 300: filtration chamber

본 발명은 간극조절이 가능한 원형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입자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작동프레임을 구성하고 각각의 고정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날개를 상기 작동프레임의 톱니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동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일체로 복수의 날개가 경사도가 변하면서 간극이 조절될 수 있게 되어 간극조절이 용이하여 공장제작에 의하더라도 지역특성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며 스크린 청소 시 간극을 크게 하여 청소가 용이한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입자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lar screen capable of adjusting the gap and a particle sepa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By interlocking with the teeth of the plurality of wings integrally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frame is able to change the inclination as the inclination changes, the gap is easy to adjust the construction even according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y, easy to clean the screen It relates to a screen that is easy to clean by increasing the time gap and a particle separation devic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되는데 점오염원은 공장, 하수처리장, 건축물 등과 같이 일정한 지점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을 말하는 것이고, 비점오염원은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도시, 도로, 농지, 산지 등을 말한다.Generally, pollutants that cause water pollution are classified into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Point sources refer to facilities that discharge pollutants to certain points, such as factories, sewage treatment plants, and buildings, and nonpoint sources are unspecified in unspecified places. It refers to cities, roads, farmland, and mountainous areas that emit pollutants.

상기와 같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제거방법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바, 화학적 방법, 생물학적 방법, 물리적 방법 등이 있다.The method of removing pollutants emitted from the pollutant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ways, such as chemical methods, biological methods, physical methods.

이중 물리적 방법에 있어서는 부유성 고형물질의 제거가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부유성 고형물질의 제거방법으로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스크린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방법도 자주 사용되는 것이다.In the dual physical method, the main purpose is to remove suspended solids. As a method of removing the suspended solids,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Among them, a method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y a screen is also frequently used.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수 처리용 스크린에는 다수개의 수직막대 를 이용한 바형 스크린과 환상링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드럼형 스크린이 알려져 있는 바 이들 종래의 바형 스크린의 경우에는 복수의 환봉을 일정간격으로 일일이 용접하거나 나사 결합시키는 것으로 각 바 들의 간격을 균일하게 시공하는 작업시간이 장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공장제작에 의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바 간의 간격 즉 간극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used water treatment screens are known as bar-type screens using a plurality of vertical rods and drum-type screens in which annular rings are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case of these conventional bar-screens, a plurality of round rod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welding or screwing process takes a long time to uniformly construct the spacing of each bar,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bars cannot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by the factory manufacturing.

또한, 타공판 및 메쉬망을 스크린재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mesh net may be used as the screen material, this also has the same problem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용신안등록 제0138917호 "오,폐수처리용 자동 바스크린 장치"에서는 단면이 사다리 형태인 다수의 스크린바들을 이면의 나봉에 체결된 체결링에 의해 본체의 경사진 개구부 상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서포트봉에 소정간격이 유지되게 끼운 후 서포트봉 양단의 나사부에 너트를 끼워 조이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바가 체결링들이 서포트봉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크린을 구성하는 수단을 제시하고 있는 바, 본 기술에 의하면 와셔 또는 체결링의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이 또한 스크린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스크린바들을 해체하고 와셔 또는 체결링의 폭을 조절하여 다시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38917, "Automatic Bar Screen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shows a plurality of screen bars having a ladder cross section at upper and lower sloped openings of the main body by fastening rings fastened to the bottom bar. After inserting the support ro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installed bar, and then tighten the nut by screwing the ends of the support bar to the screen bar to maintain the state that the fastening rings are fitted to the support bar to propose a means for configuring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technology, the gap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washer or fastening ring, but in order to adjust the gap of the screen, it is necessary to disassemble a plurality of screen bars and to reassemble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washer or fastening ring.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한편, 비점오염원 처리시설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에는 Swirl형태가 대표적인데 Swirl형태는 Hydrocyclone(유체회전운동)과 Vortex(소용돌이)를 이용하여 침전성 부유물질 및 부상성 물질 등의 고형물(이하에서는 "입자"라고 칭함.)을 우수 등에서 분리하는 시설로서, 동력이 필요 없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유체의 흐름특성을 이용하므로 에너지 소비가 전혀 없는 장점을 가진다.In the meantime, a swirl type is a typical device used a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facility. Swirl type is a solid material such as sedimentary suspended matter and flotation material by using hydrocyclone and vortex. It is a facility that separates particles from rainwater, etc., which requires no power and is easy to maintain, and has the advantage of no energy consumption because it uses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fluid.

이러한 Swirl형태의 비점오염원 처리시설로서 특허등록 제10-537798호 "수리동력학적 여과분리 방식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에서는 도 1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유입수를 회전시키는 원통형의 선회류챔버(10), 상기 선회류챔버(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부(20), 상기 선회류챔버(10)의 상부에 상기 선회류챔버(10)와 연장 형성된 필터챔버(30), 상기 필터챔버(30)에 내부에 장착된 필터가트리지(40), 상기 필터가트리지(40)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50), 상기 필터챔버의 일측에 형성되며 처리수가 방류되는 처리수배출부(60), 필터가트리지를 지지하며 기포를 제거하는 중심축(70), 상기 필터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며 처리수 중의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부유물트랩(80), 상기 필터챔버의 상부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유사시 유입수를 월류시키는 월류수배출부(90)로 구성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챔버(30)의 내부에 장착된 필터가트리지(40)에 의하더라도 초기우수중의 비점오염원은 여러 형태의 크기와 비중을 가진 입자를 포함하고 특정지역(골프장, 산지, 농지, 산업단지 등)의 경우에는 일정크기와 비중을 가진 입자를 다량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지역의 특성에 따라 처리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As a swirl-type nonpoint source treatment facility, Patent Registration No. 10-537798, "Non-point source removal apparatus using hydrodynamic filtration separation method," as shown in Figure 1, a cylindrical swirl flow chamber 10 for rotating the influent, The inlet part 20 formed at one side of the swirl flow chamber 10 and the inflow water flows therein, the filter chamber 30 extending from the swirl flow chamber 10 and the filter chamber 30 formed above the swirl flow chamber 10, and the filter. A filter cartridge 40 mounted therein in the chamber 30, a filter 50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rtridge 40, and a treatment water discharge part 60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er chamber to discharge treated water. ), A central axis 70 for supporting the filter cartridge and removing air bubbles, a float trap 8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lter chamber and discharging the suspended matter in the treated water to the outside, and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chamber. Overflow inflow in case of emergency Key suggests a non-point sources removing apparatus consisting of a overflow outlet part 90. The However, even if the filter mounted inside the filter chamber 30 is by the cartridge 40, the non-point source of the initial excellent rain contains particles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specific regions (golf fields, mountainous regions, farmland, Industrial complexes, etc.)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particles having a certain size and specific gravity, so that the size of the treated particles canno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ated area.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의 간극조절이 용이하여 공장제작에 의하더라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유로운 시 공이 가능한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하여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할 수 있는 입자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easy to adjust the gap of the screen, even if the factory manufacturing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freely adjustable gap screen and the treatment of non-point source using the same It is to provide a particle separation device that can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중공을 형성하는 원판형상으로서 중공 주변부에는 복수의 회전홀이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고정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홀에 삽입되는 회전돌기가 양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중공을 형성하는 원판형상으로서 중공 내주연에 상기 날개의 양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작동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learance adjusting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disk-shaped disks forming a hollow, and a hollow frame having a plurality of rotating holes formed around the periphery, and positioned between each of the fixed frames. Rotat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rotating holes are formed on both ends and a plurality of wings, each pai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the disk shape to form a hollow, both ends of the blade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nner circumferenc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working fram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eth.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는 유입수가 회류되는 회류챔버와, 상기 회류챔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관과, 상기 회류챔버의 하면에 형성되는 오염원유출부와, 상기 회류챔버의 상부에 형성되는 여과챔버와, 상기 여과챔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처리수유출관과, 상기 회류챔버와 상기 여과챔버를 구획하는 챔버막과, 상기 챔버막에 형성되어 상기 회류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회류챔버 내에서 회류하는 유입수가 유입되어 상기 여과챔버로 유입수가 여과될 수 있는 상기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article separation device using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low water flows through the circulating chamber, the inlet tu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lating chamber, the source of contamina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irculating chamber An outlet portion, a filtration chamber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irculating chamber, a treated water outlet pip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ration chamber, a chamber membrane partitioning the circulating chamber and the filtration chamber, and formed in the chamber membrane, The gap adjusting circular screen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ng chamber so that the influent flowing in the circulating chamber is introduced to allow the influent to be filtered into the filtration cha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의 기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example of the clearance adjusting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wing of one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5a and 5b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Figure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cle separation device using a clearance control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6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은 고정프레임(110), 작동프레임(120), 날개(130)로 구성되어 작동프레임(120)이 고정프레임(110)에서 회전됨에 따라 고정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복수의 날개(130)가 일체로 회전됨에 의해 날개(130)의 경사도가 변화하면서 간극이 조절되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Gap control circular scre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xed frame 110, the operating frame 120, the wing 130 is fixed frame 110 as the operating frame 120 is rotated in the fixed frame 110 By rotating the plurality of wings (130) fastened so as to rotate integrally relates to a screen in which the clearance is adjusted while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wings (130).

본 발명의 기본 예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고 있는 바, 그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고정프레임(11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중공(114)을 형성하는 원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에는 상기 중공(114) 주변부에 회전홀(111)이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홀(111)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날개(130)의 양단에 구성된 회전돌기(131)가 삽입되어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 사이에서 상기 날개(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다. The basic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s 2 and 3, when explaining the components in detail, first, the fixed frame 110 is composed of a pair of disks to form a hollow 114, respectively, Can be. The fixing frame 110 has a rotating hole 111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hollow 114, the rotating protrusion 111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hole 11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wing 130 to be described below. The wing 130 is fastened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the pair of fixed frames 110.

상기 작동프레임(12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중공(124)을 형성하는 원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작동프레임(120)은 상기 한 쌍의 고정프 레임(110)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바, 이러한 체결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 1지지프레임(140)과 제 2지지프레임(150)에 의해 체결된다.The operating frame 120 may be configured in a pair of disks, each of which forms a hollow shape 124. The pair of operating frames 1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pair of fixed frames 110 and fastened to be rotatable. Such fastening is performed with the first support frame 140 to be described below. It is fastened by the second support frame 150.

상기 중공(124)의 내주연에는 복수의 톱니(121)가 구성되는데 상기 톱니(121)에는 상기 날개(130)의 양단 즉 이하에서 설명할 삽입단(132)의 일측이 삽입된다. 이러한 톱니(121)가 구성됨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회전가능 하도록 체결된 복수의 날개(130)가 작동프레임(120)의 회전에 따라 톱니(121)에 맞물린 복수의 날개(13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A plurality of teeth 121 are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124, and both ends of the blade 130 are inserted into the teeth 121, that is, one side of the insertion end 13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s the teeth 121 are configured, the plurality of wings 130 coupled to the teeth 12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frame 120 are coupled to the fixed frame 110 so as to be rotatable. It will rotate integral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프레임(110) 상에서 상기 작동프레임(120)의 회전동선을 일정하게 하며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동프레임(120)에는 복수의 슬라이드돌기(122)를 구성하고 고정프레임(110)에는 상기 슬라이드돌기(122)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는 슬라이드공(112)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프레임(120)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 작동을 할 수 있게 외주연에 작동레버(125)가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lide protrusions 122 are configured on the operation frame 120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frame 120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frame 120 on the fixed frame 110. In the fixed frame 110, a slide hole 112 into which the slide protrusion 122 may be inserted and slid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frame 120 may be configured with an operating lever 125 on the outer peripher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otate the operation.

또한, 본 고안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110)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작동프레임(120) 사이에 각각 제 1지지프레임(140) 및 제 2지지프레임(150)이 체결되는데,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 1지지프레임(140) 양단에 제 1체결돌기(141)를 구성하고, 고정프레임(110)에는 이에 대향하는 제 1체결홈(113)을 구성하여 상기 제 1체결돌기(141)를 상기 제 1체결홈(113)에 삽입하는 방식에 의해 체결하며, 제 2지지프레임(150)에도 양단에 제 2체결돌기(151)를 구성하고, 작동프레임(120)에 이에 대향하는 제 2체결홈(123)을 구성하 여 상기 제 2체결돌기(151)를 상기 제 2체결홈(123)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제 1지지프레임(140) 및 제 2지지프레임(15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 및 도 3에서는 일 예로 판형상을 예시한다. 또한, 제 1지지프레임(140) 및 제 2지지프레임(150)은 각각 고정프레임(110)과 작동프레임(120)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호 교차하면서 구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 2 및 도 3에서는 제 1지지프레임(140)을 90도 방향마다 4군데 구성하고, 제 2지지프레임(150)을 제 1지지프레임(140)의 사이에 4군데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작동프레임(120)이 회전됨에 따라 일체로 연동하는 제 2지지프레임(150)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제 2지지프레임(150)에 의해 한 쌍의 작동프레임(120)은 견고하게 일체로 연동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frame 14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50 between the pair of fixed frame 110 and the pair of operation frame 120, respectively ), Which is described in more detail, constitutes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141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40, and a first fastening groove 113 opposite to the fixed frame 110.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41 is fastened by the method of inserting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3,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5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50, and the operation frame 120 is provided. ) And a second fastening groove 123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5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3. Shap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4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5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In FIG. 2 and FIG. 3, for example, a plate shape is illustrated.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frame 14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50 may be configured to cross each other to firmly support the fixed frame 110 and the operation frame 120, for example, Figures 2 and 3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four first support frames 140 are configured in every 90 degree direction and four second support frames 150 are arrang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140. In this configuration, as the operating frame 120 is rotate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150 which is integrally interlocked also rotates, and the pair of operating frames 120 are firmly formed by the second supporting frame 150. It can be interlocked integrally.

상기 날개(130)는 평평한 막대형상으로 상기 톱니(121)에 양단이 삽입되는(맞물리는) 구성으로서 상기 날개(1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돌출 리브(133)가 형성되며, 양단에는 평평한 형상의 삽입단(132)이 구성되고, 각각의 삽입단(132)에 돌출되게 회전돌기(131)가 구성된다. 상기 돌출 리브(134)는 도 4,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V"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삽입단(132)과 돌출 리브(133)가 접하는 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절곡함으로서 이러한 형상이 제조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날개(130)의 강도가 보강되는 것인데 특히 유속에 의해 날개(130)의 중간부분에서 벤딩(bending)이 발생되어 날개(130)의 간극조절 작동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간극조절도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날 개(130)의 양단에 평평한 형상의 삽입단(132)이 형성됨으로서 이러한 삽입단(132)이 상기에서 언급한 톱니(121)에 삽입되어 지는 것이다. The wing 130 is a flat rod-like configuration in which both ends are inserted (engaged) in the tooth 121, the wing 130 is formed with a protruding rib 13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Inserts 132 having a flat shape are formed at both ends, and rotation protrusions 131 ar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each insertion end 132. The protruding rib 134 is formed in a shape bent by the letter "V" as shown in FIGS. 4, 5A, and 5B, by partially cutting and bending a portion where the insertion end 132 and the protruding rib 133 contact each other. This shape is to be manufactured. This configuration i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wing 130, in particular the bending (bending) occurs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wing 130 by the flow rate can be prevented that the gap control operation of the wing 130 is prevented, the gap The degree of adjustment is to be finely adjusted as shown in Figures 5a and 5b. In addition, since the insertion end 132 having a flat shap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lade 130, the insertion end 132 is inserted into the tooth 121 mentioned above.

한편,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의 작동상태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a는 작동프레임(120)을 회전하여 각각의 날개(130)가 원심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간극을 크게 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렇게 함으로써 날개와 날개사이 즉 간극을 청소하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earance adjusting circular scre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5a and 5b, Figure 5a by rotating the operating frame 120 so that each wing 130 to face the centrifugal This shows a state where the gap is enlarged, thereby making it easier to clean the gap between the wing and the wing, that is, the gap.

또한, 도 5b는 작동프레임(120)을 회전하여(반시계 방향) 각각의 날개(130)가 경사를 형성하며 누운 상태로서 간극을 가장 작게 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작동프레임(120)의 슬라이드 돌기(122)가 고정프레임(110)의 슬라이드공(112)의 끝단에 위치한 상태이며, 날개(130)의 회전돌기(131)를 축으로 날개의 삽입단(132)의 일면이 작동프레임(120)의 톱니(121)에 맞물린 상태에서 작동프레임(1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날개(1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 이다. 또한, 각각의 날개(130)의 "V"자형 리브(133)에서 산부분이 반시계방향 즉 도 5b에서 물 흐름방향(W)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V"자형 리브(133)의 형상에 기인하여 물에 섞여 있는 입자가 날개 간(간극)을 통과하지 않으며 물의 흐름에 미끄러지게 되어 있고, 이미 침적된 입자도 물의 흐름에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FIG. 5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each wing 130 is laid down and inclined while rotating the operation frame 120 (counterclockwise) to minimize the gap, and thus the slide protrusion of the operation frame 120. 122 is a state located at the end of the slide hole 112 of the fixed frame 110, one side of the insertion end 132 of the blade with the rotation projection 131 of the blade 130 is the operation frame 120 As the working frame 12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teeth 121, the respective blades 130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In addition, in the "V" shaped ribs 133 of each of the wings 130,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mountain portion counterclockwise, that is, fac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direction W in FIG. 5B. "Because of the shape of the rib 133, the particles mixed in the water do not pass between the wings (gap) and slide in the water flow, and the particles already deposited can be easily released from the water flow. .

또한, 도 5b는 간극을 최대한 작게 한 상태를 도시한 것일 뿐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작동프레임(120)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날개 간의 간극을 조절하여 물로부터 걸러야할 입자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FIG. 5B shows only a state in which the gap is made as small as possible, and by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frame 120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ize of particles to be filtered out of the water can be freely adjusted b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wings. Will be.

한편,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수가 회류되는 회류챔버(200)와, 상기 회류챔버(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관(220)과, 상기 회류챔버의 하면에 형성되는 오염원유출부(230)와, 상기 회류챔버(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여과챔버(300)와, 상기 여과챔버(3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처리수유출관(310)과, 상기 회류챔버(200)와 상기 여과챔버(300)를 구획하는 챔버막(400)과, 상기 챔버막(400)에 형성되어 상기 회류챔버(200)와 연통되어 상기 회류챔버(200) 내에서 회류하는 유입수가 유입되어 상기 여과챔버(300)로 유입수가 여과될 수 있는 상기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article separation device using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inflow water flow back flow chamber 200, the inflow pipe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w chamber 200, Pollutant source outlet 23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low chamber, the filtration chamber 300 formed on the top of the flow chamber 200, and the treated water outlet pipe 310 formed on one side of the filtration chamber 300 ), A chamber film 400 that divides the flow chamber 200 and the filtration chamber 300, and a chamber film 400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chamber 200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chamber 200. The inflow water flowing in the inflo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rance adjustment circular screen 100 is configured to filter the inflow water into the filtration chamber (300).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류챔버(200)는 원통형으로서 그 내부에서 유입수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류하게 된다. 상기 유입관(220)은 상기 회류챔버(200)의 일측에 형성되는데 상기 회류챔버(200)의 접선방향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유입관(220)으로의 유입수가 회류챔버(200) 내에서 회류하게 됨으로써 유체회전운동(hydrocyclon)과 소용돌이(vortex)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the components of the particle separation device using the clearance control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flow chamber 200 i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influent flows as shown in FIG. The inlet pipe 2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w chamber 200, it will be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flow chamber 200. In this way, the inflow water into the inlet pipe 220 is circulated in the circulating chamber 200, whereby hydrocyclon and vortex are generated.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류챔버(200)의 하면(210)은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구배를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류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류챔버 측벽 쪽에서 하강하는 입자(도 8에서 S1)가 이하에서 설명할 오염원 유출부(230) 방향으로 용이하게 미끄러지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그 유속이 커짐을 이용하여 회류챔버(200)의 하방향으로 갈수록 소용돌이 속 도를 크게 하여 입자(도 8에서 S2)가 오염원유출부(230)로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lower surface 210 of the flow chamber 200 is preferably formed to form an inclined gradient such that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center, which is a particle descending from the side of the flow chamber side by centrifugal force by the flow (Fig. 8, S1) not only slides easily toward the contaminant outlet 2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but also as the diameter decreases, the flow velocity increases as the diameter decreases. This is to increase the particle size (S2 in FIG. 8) so that the particle can easily flow out to the source outlet 230.

상기 오염원유출부(230)는 회류챔버(200)의 하면(2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 또한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역원추형의 형상으로서 여과된 입자를 유출하는 오염원포집관(240)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오염원유출부(230) 상부에는 상기 회류챔버(200)의 하면(210)에서 돌출되는 원추형의 유도부(250)가 구성되는데, 상기 유도부(250)의 하면은 상기 오염원유출부(230)와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며 상면은 개구된 유도공(252)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유도공(252)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용돌이의 중앙의 코어(C)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원추형의 유도부(250) 형상에 의해 입자가 역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부(25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251)이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관통공(251)은 상기 유도부(250)가 상기 회류챔버(200)의 하면(210)과 접하는 부분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유도부(250)에 관통공(251)을 구성함으로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류챔버(200)의 하면(210)을 타고 이동하는 입자(S1)가 오염원유출부(230)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며, 유도부(250)의 원주방향으로 관통공(251)이 구성됨에 따라 관통공(251)으로 유입되는 물 및 입자의 흐름에 의해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바, 이러한 유도부(250) 및 오염원유출부(230) 내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의해 코아(C)에 발생하는 하강하는 힘이 더욱 강해지며 이러한 힘에 의해 입자(S2)를 더욱 강하게 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ollutant source outlet 2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210 of the flow chamber 200 and is also a conical source collector tube 240 that flows out the filtered particles as a shape of an inverted cone that decreases in diameter downward. ). In addition, a conical induction part 250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210 of the circulating chamber 20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ource discharge part 230, and a lower surface of the induction part 250 is the source discharge part 230. It is composed of the same diameter and the upper surface is configured to open the induction hole 252, the induction hole 252 serves to hold the core (C) of the center of the vortex as shown in Figure 8, the conical induction portion 2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rticles from flowing back by the shap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through hole 251 is formed in the induction part 250. The through hole 251 is circumferentially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induction part 25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210 of the flow chamber 200. It is reasonable to be formed in the direction. By forming the through hole 251 in the induction part 250 as shown in FIG. 8, the passages in which the particles S1 moving on the lower surface 210 of the circulating chamber 200 move to the source discharge part 230 are formed. As the through hole 251 is configur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duction part 250, the vortex is generated by the flow of water and particles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251, and the induction part 250 and the pollutant source outlet part ( The descending force generated in the core (C) is stronger by the vortex generated in the 230,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particles (S2) more strongly from the water by this force.

상기 여과챔버(300)는 원통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회류챔버(200) 상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별도의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도 6에서는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이하에서 설명할 챔버막(400)에 의해 분할되는 것이다. 상기 여과챔버(300) 내부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이 구성되어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에 의해 여과된 처리수가 저장되는 공간이다.The filtration chamber 300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may be configured in a separate space by being configured on the circulating chamber 200, but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in FIG. 6 by the chamber membrane 400 to be described below. It will be divided. The filtration chamber 300 is a space for stor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100 is configured by the above-described gap control circular screen 100.

상기 여과챔버(300)와 상기 회류챔버(200)를 구획하는 것으로서 챔버막(400)이 구성되는데, 상기 챔버막(400)의 중심부에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이 구성되어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에서 하면에 위치하는 고정프레임(110)의 중공(114)과 작동프레임(120)의 중공(124)에 의해 상기 회류챔버(200)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챔버막(400)은 중심방향 즉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이 구성된 방향으로 상향경사구배가 형성되는 원추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을 통과한 처리수가 상기 챔버막(400)을 타고 처리수 유출관(310)으로 유출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며, 회류챔부(200)에서는 원추형의 챔버막(400)에 의해 상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회류의 속도가 빨라져서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 내에서 회류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유입수의 처리속도도 빨라지는 것이다.A chamber membrane 400 is formed by partitioning the filtration chamber 300 and the flow chamber 200. A gap control circular screen 100 is configur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hamber membrane 400 so that a gap control circular screen (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chamber 200 by the hollow 114 of the fixed frame 110 and the hollow 124 of the operating frame 120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in 100. The chamber film 400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upward inclination gradient is formed in the center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earance adjusting circular screen 100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clearance control circular screen 100 is easily discharged to the treated water outlet pipe 310 by the chamber membrane 400, and in the flow chamber 200, the conical chamber membrane 400 is formed. As the diameter increases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speed of the return flows due to this shape,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influent becomes faster as the speed of return flows in the clearance control circular screen 100.

또한, 상기 챔버막(400)에는 상기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을 일정간격을 두고 감싸는 원통형상의 웨어(410)가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웨어(410)의 구성으로 인해 처리수가 상기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으로 역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mber membrane 400 is configured with a cylindrical weir 410 wrapping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verse flow into the screen 100.

상기 처리수 유출관(310)은 상기 여과쳄버(300)의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을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챔버막(400)의 끝단과 처리수유출관(310)의 하면이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처리수가 챔버막(400)의 경사면을 타고 용이하게 처리수유출관(31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treatment water outlet pipe 310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iltration chamber 300, and the treatment water filtered through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end of the chamber membrane 400 is treated.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pipe 310 may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reated water may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eated water outlet pipe 310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hamber membrane 400.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7 and 8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ng state of the particle separation device using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관(220)은 회류챔버(200)의 접선방향으로 구성됨에 의해 유입관(220)을 통해 입수된 물은 어떠한 동력도 없이 자연스럽게 회류를 형성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회류에 의해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S1)의 이동경로는 원심력에 의해 회류챔버(200)의 측벽으로 이동하여 회류챔버(200)의 하면(210)을 타고 오염원유출부(230)로 유출되는데 오염원유출부(230)로 유출되는 경로는 유도부(250)의 관통공(251) 또는 코어(C)의 흡입력에 의해 유도공(252)으로 유출되어 오염원포집관(240)으로 이동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7, the inflow pipe 220 is configur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flow chamber 200, so that the water obtained through the inflow pipe 220 naturally forms a flow without any power. As shown in FIG. 8, the movement path of the particles S1 having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water due to such a flow is moved to the side wall of the flow chamber 200 by centrifugal force and flows through the lower surface 210 of the flow chamber 200. Outflow to the portion 230, but the path to the pollution source outlet 230 is discharged to the induction hole 252 by the suction force of the through-hole 251 or the core (C) of the induction unit 250 is polluted source collection tube 240 To go to.

이러한 회류는 소용돌이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소용돌이의 중앙에는 접선유속보다 2배 이상의 속도로 회전하는 코어(C)부분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러한 코어(C)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고정프레임(110)의 중공(114)으로부터 오염원유출부(230)까지 연결되는 공동구로서 하방향으로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되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비중이 물보다 작은 입자(S2)의 이동경로의 경우에는 비중이 물보다 큰 입자(S1)의 이동경로와 반대로 구심력에 의해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수면을 향하게 되는데 결국 코어(C)에 도달하여 하방향 흡입력에 의해 오염원유출부(230)로 유출되는 것이다.This flow generates a vortex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vortex is generated at the center of the vortex, which rotates at a speed more than twice the tangential velocity. The core (C)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rance adjusting circular screen 100. The cavity is connected to the contaminant outlet portion 230 from the hollow 114 of the fixed frame 110 is a portion that generates a strong suction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movement path of the particles S2 whose specific gravity is smaller than the water, the particles move toward the water surface by moving to the center by the centripetal force as opposed to the movement path of the particles S1 having the specific gravity larger than the water. It is to be discharged to the source discharge portion 230 by the direction suction force.

또한, 비중이 물과 비슷한 입자(S3)의 이동경로는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부유하다가 복수의 날개(130) 사이 즉 간극에 걸러지게 되고 이러한 입자는 결국 코어(C)에 도달하여 오염원유출부(230)로 유출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ovement path of the particles (S3) having a specific gravity similar to water is moved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which flows into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100 and floats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that is,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wings 130. The particles eventually reach the core C and flow out to the source outlet 230.

상기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은 상기 작동프레임(120)을 회전시킴으로써 날개(130)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간극조절에 의해 걸러낼 수 있는 입자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간극조절에 의해 날개(130)의 간극을 크게 하여 청소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clearance adjustment circular screen 100 can adjust the clearance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wing 130 by rotating the operation frame 120 is to freely adjust the size of particles that can be filtered by the clearance adjustment.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leaning by increasing the gap of the wing 130 by adjusting the gap.

또한, 상기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100)을 통과한 물은 최종 처리수로서 웨어(410)를 월류하여 여과챔버(300)에 형성된 처리수유출관(31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100 is the final treatment water flows out through the weir 410 through the treated water outlet pipe 310 formed in the filtration chamber 300 to the outside.

상기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는 무동력의 회류를 통해 입자의 비중이 물보다 큰 경우 유체회전운동(hydrocyclon)에 의한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입자를 물로부터 분리하고, 비중이 물보다 작은 경우에는 구심력과 소용돌이(vortex)에 의한 하방향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입자를 물로부터 분리하며, 비중이 물과 비슷하여 물과 함께 이동하는 입자의 경우에는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에 의해 입자를 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article separation device using the clearance adjusting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particles from the water by centrifugal force and gravity by hydrocyclon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particles is greater than water through the non-powered flow, If the specific gravity is smaller than water, the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water by using centripetal force and downward suction force by vortex.In the case of particles moving with water because the specific gravity is similar to water, the gap can be adjusted. The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water by a controlled circular screen.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 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은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간극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of freely adjusting the gap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o be installed.

또한, 청소시에 있어서 간극을 크게 함으로써 간극(날개 간) 사이의 청소가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leaning between the gaps (wing spaces) is facilitated by increasing the gap in cleaning.

한편, 본 발명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는 유체회전운동(hydrocyclon) 및 소용돌이(vortex)를 이용하여 입자를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극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스크린에 의해 입자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입자의 비중 및 크기에 따라 물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rticle separation device using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separate the particles by using hydrocyclon and vortex, but also separate the particles by the screen that can freely control the gap. Since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water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and size of the particles,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9)

한 쌍으로 구성되며 중공을 형성하는 원판형상으로서 중공 주변부에는 복수의 회전홀이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A fixed frame composed of a pair and having a circular disk shape having a plurality of rotating holes in the periphery of the hollow; 상기 각각의 고정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홀에 삽입되는 회전돌기가 양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와;A plurality of wings positioned between each fixed frame and having rotary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rotary holes at both ends thereof;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중공을 형성하는 원판형상으로서 중공 내주연에 상기 날개의 양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작동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Gap control circular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ir of working fram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disk shape to form a hollow, both ends of the blade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nner peripheral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날개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리브가 형성되며, 양단에는 평평한 형상의 삽입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The wing is formed with a protruding ri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circular clearance adjusting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end of the flat shape is configur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각의 고정프레임 사이에는 복수의 제 1지지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작동프레임 사이에는 복수의 제 2지지프레임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frame is configured between each of the fixed frame,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rame is configured between each of the operation frame is a circular clearance adjusting scree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각의 고정프레임에는 복수의 슬라이드공이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작동프레임에는 상기 슬라이드공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돌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A plurality of slide holes are configured in each of the fixed frames, each of the operation frame is a circular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rojections that slide in the slide hole is configured. 유입수가 회류되는 회류챔버와;A circulating chamber through which the influent flows; 상기 회류챔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관과;An inlet pipe formed on one side of the flow chamber; 상기 회류챔버의 하면에 형성되는 오염원유출부와;A source discharge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 chamber; 상기 회류챔버의 상부에 형성되는 여과챔버와;A filtration chamber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w chamber; 상기 여과챔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처리수유출관과;A treated water outlet pip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ration chamber; 상기 회류챔버와 상기 여과챔버를 구획하는 챔버막과;A chamber membrane partitioning the flow chamber and the filtration chamber; 상기 챔버막에 형성되어 상기 회류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회류챔버 내에서 회류하는 유입수가 유입되어 상기 여과챔버로 유입수가 여과될 수 있는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The clearance adjusting scree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inflow water flowing in the circulating chamber is formed in the chamber film and communicates with the circulating chamber, and the inflow water can be filtered into the filtration chamber. Particle separation apparatus using a clearance-controlled circular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오염원유출부에는 상기 회류챔버의 하면에 돌출되는 원추형의 유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Particle separation apparatus using a clearance control circular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minated induction portion protrud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 chamber is formed in the pollutant outlet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유도부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Particle separator using the clearance control circular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uction portion is formed with one or more through-holes.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챔버막은 중심방향으로 상향경사구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The chamber membrane is a particle separation device using a clearance control circular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ward gradient is formed in the center direction.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챔버막에는 상기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일정간격을 두고 감싸는 웨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을 이용한 입자분리장치.Particle separation apparatus using a gap control circular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ber membrane is configured to wear a wrap around the gap control circular scree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KR1020070034701A 2007-04-09 2007-04-09 A round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equipment using it for saperating particle KR1007788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01A KR100778801B1 (en) 2007-04-09 2007-04-09 A round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equipment using it for saperating part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01A KR100778801B1 (en) 2007-04-09 2007-04-09 A round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equipment using it for saperating p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801B1 true KR100778801B1 (en) 2007-11-28

Family

ID=3908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701A KR100778801B1 (en) 2007-04-09 2007-04-09 A round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equipment using it for saperating part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80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415A (en) 1985-01-22 1986-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Filter device
KR100537798B1 (en) 2005-06-07 2005-12-19 신강하이텍(주) Apparatus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using a hydrodynamic filter separator
JP2006026573A (en) 2004-07-20 2006-02-02 Sanyo Electric Co Ltd Filter and air conditioner
JP2006159157A (en) 2004-12-10 2006-06-22 Toyota Boshoku Corp Production method of filter medium for filt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415A (en) 1985-01-22 1986-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Filter device
JP2006026573A (en) 2004-07-20 2006-02-02 Sanyo Electric Co Ltd Filter and air conditioner
JP2006159157A (en) 2004-12-10 2006-06-22 Toyota Boshoku Corp Production method of filter medium for filters
KR100537798B1 (en) 2005-06-07 2005-12-19 신강하이텍(주) Apparatus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using a hydrodynamic filter sepa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5185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ng solids from flowing liquids or gases
JP5476601B2 (en) Hydrodynamic separator
KR101577348B1 (en) Multi 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07022450A1 (en) Hydroclone based fluid filtration system
US20070108122A1 (en) Hydrodynamic treatment device
EP2825276A1 (en) Cross-flow filtration system including particulate settling zone
KR101435327B1 (en) Rainwater purification system of bridge and building
WO2013028475A1 (en) Fluid stream hydrodynamic separator with high flow bypass
EP0566792A1 (en) Separator
AU690930B2 (en) Separator
KR100906453B1 (en) Storm runoff treatment apparatus with auto back washing for filter
KR100814063B1 (en)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KR100778801B1 (en) A round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equipment using it for saperating particle
KR101867483B1 (en) Rainwater purify apparatus using rotating type trommel
KR101036018B1 (en) Filter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filter set using it
KR100952998B1 (en) Hydrodynamic separator for remov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having filter material
KR101221687B1 (en) Energy self - sufficient and non-point source removal apparatus for the first-flush stormwater
KR101846404B1 (en) Apparatus for decreacing contaminant having intelligent separating device
KR100783048B1 (en) A equipment for nonpoint pollution source
CN103252165B (en) Water purifier with hollow microfiltration membranes
EP2452734B1 (en) Dirt separation device for thermal fluids
KR100746203B1 (en) A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manhole having it
KR101300784B1 (en) Sewage disposal facilities for river
KR100900054B1 (en) Treatment apparatus for nonpoint source pollutants
RU207906U1 (en) INERTIAL-GRAVITATIONAL MUD FILTER WITH TANGENTIAL WAT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