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482B1 -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482B1
KR100778482B1 KR1020000077768A KR20000077768A KR100778482B1 KR 100778482 B1 KR100778482 B1 KR 100778482B1 KR 1020000077768 A KR1020000077768 A KR 1020000077768A KR 20000077768 A KR20000077768 A KR 20000077768A KR 100778482 B1 KR100778482 B1 KR 10077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
information
input
sett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568A (ko
Inventor
김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4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간대에 따라 벨 종류와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이동전화 단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단말기의 벨소리를 일정한 시간대에 맞추어 자주 변경해야할 경우 사용자가 항상 단말기를 조작하여 벨의 종류 또는 크기를 바꿔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진동에서 벨로 바꾸지 않아서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나 벨에서 진동으로 변경하지 않아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리는 수단으로 소리와 진동을 지원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벨 설정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미리 설정해 둔 벨 종류 및 크기가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일정 시간에 맞추어 벨 소리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한번의 설정으로 벨 종류 및 크기가 자동으로 변경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벨 소리를 미쳐 바꾸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장치 및 그 방법{AUTOMATIC BELL SETT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A TIME TABLE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이동전화 단말기의 간략한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벨 설정 테이블.
도 3은 본 발명 이동전화 단말기의 간략한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 시간대에 따라 벨 종류와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대폰 제어부 11 : 시계부
12 : 벨/모터부 20 : 휴대폰 제어부
21 : 시계부 22 : 벨 설정 테이블
23 : 벨/모터부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간대에 따라 벨 종류와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이동전화 단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로 인하여 공공장소에서 들리는 단말기의 벨 소리는 소음공해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미리 조작하여 진동으로 벨을 설정해야 한다.
휴대전화를 쓰는 사용자가 학생이나 직장인인 경우, 수업시간이나 회의도중 단말기의 벨소리가 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업시간이나 근무시간에는 단말기를 진동상태에 두고 하교 후나 퇴근 후에는 벨소리 모드로 다시 변경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심야에는 울리는 벨의 크기를 줄여 벨 소리로 인한 소음 문제를 방지하는 것도 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전화 단말기의 간략한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의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폰 제어부(10)와,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시계부(11)와, 착신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벨/모터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폰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착신 벨 종류 및 크기를 지정하고, 착신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벨/모터부(12)에 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착신 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계부(11)는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현재 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휴대폰 제어부(1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착신 알림음 또는 착신 알림 진동이 선택되면 다음 사용자 입력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설정된 상태에 따라서 설정된 크기의 벨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단말기의 벨소리를 일정한 시간대에 맞추어 자주 변경해야할 경우 사용자가 항상 단말기를 조작하여 벨의 종류 또는 벨 소리의 크기를 바꿔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진동에서 벨로 바꾸지 않아서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나 벨에서 진동으로 변경하지 않아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전화 단말기에 벨 설정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대에 맞추어 벨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벨을 수동으로 바꾸어주는 불편을 줄이며 벨소리의 변경을 잊어버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 및 내부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시간에 따른 벨 종류와 벨 소리의 크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메모리 테이블과;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현재 시간 정보와 비교하여 벨의 종류와 벨 소리의 크기를 자동으로 재설정하는 휴대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벨 종류와 상기 벨을 사용할 시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테이블을 이용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벨 설정을 완료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기 설정된 메모리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작시간, 종료시간, 벨 종류의 정보를 선택 입력받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선택 입력된 벨 종류의 정보가 진동이 아닌 경우 벨소리의 크기 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정보들을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들을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하지 않도록 하면 벨 설정을 완료하고,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하도록 하면 상기 정보들을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한 후 벨 설정을 완료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벨 설정을 위한 메모리 테이블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의 종류, 크기, 시작시간, 종료시간을 일정한 형태로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6시에서 9시까지는 착신이 있는 경우 벨 1을 10의 크기로 울리도록 설정되었고, 수업 또는 근무시간인 9시에서 18시 까지는 진동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심야 시간인 24시에서 6시까지는 착신이 있는 경우 벨 1을 5의 크기로 울리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 "벨 설정"은 벨의 종류 및 진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테이블"은 메모리 상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는 정보 군을 의미한다.
이하 설명되겠지만, 상기 본 발명의 벨 설정 테이블은 저장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다음 착신음 변경때 까지 한시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 벨 설정 테이블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폰 제어부(20)와, 현재 시간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시계부(21)와, 착신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벨/모터부(23)와, 시간대에 대한 벨 종류 및 벨 소리의 크기를 가지는 벨 설정 테이블(22)로 이루어진다. 물론, 휴대폰에 기본적으로 부가되는 입력부, 표시부, 통신부, 범용 메모리부, 전원부 등은 생략되었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러한 기능부들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기 휴대폰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일정한 시간대에 사용되는 착신 벨 종류 및 벨 소리의 크기를 입력받아 이를 벨 설정 테이블(22)에 기록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계부(21)의 현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벨 설정 테이블(22)에서 해당 벨 종류 및 크기를 얻고, 이를 통해 벨 종류 및 크기를 설정한 후 그 신호를 상기 벨/모터부(23)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착신 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벨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벨 설정 테이블(22)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실제 벨 종류 및 벨 소리의 크기를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자동으로 변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한가지 예제일 뿐이며, 상기 설명한 방법 외에도 기 설정된 벨 설정 테이블들을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이를 수정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여러가지 테이블을 생성해두고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제, 상기 벨 설정 테이블을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구현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 설정 테이블은, 소정의 단계들로 이루어지는데, 제 1단계는 만일 기 저장된 테이블이 있는 경우 기 저장된 테이블을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벨 설정을 완료하고 상기 기 저장된 벨 설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벨 종류 및 벨 소리의 크기를 시간대 별로 자동 변경한다. 그리고, 제 2단계는 상기 제 1단계에서 기 저장된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시작 시간, 종료시간 그리고 벨 종류를 입력받는다. 물론 상기 순서는 임의로 바뀌어 질 수 있지만, 벨 종류의 선택 다음에는 벨 크기에 관한 처리를 하는 다음의 제 3단계가 실시되어야 한다.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벨이 진동이 아닌경우 벨 크기를 더 입력받고, 진동인 경우는 벨 크기에 관한 설정은 생략한 후 지금까지 만들어진 테이블을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 4단계는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테이블을 저장하지 않도록 하면 벨 설정을 완료하고, 테이블을 저장하도록 하면 테이블을 저장한 후 벨 설정을 완료한다.
상기 설명한 방법은 벨 설정 테이블에서 한개의 데이터 세트(시간대, 벨 종류, 벨 크기)를 기록하고, 상기 벨 설정 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순서도를 반복 함으로써 다양한 벨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단계에 있어서, 만들어진 테이블을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기 전에 벨 설정 입력이 완전히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벨 설정 입력이 완전히 완료되었으면 본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입력이 완전히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2단계부터 다시 실시하는 제 2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벨 설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벨 설정은 하루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주일 단위로, 또는 월 단위로 정해진 날자와 시간에 벨 소리와 설정이 바뀌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를 예로들어 설명했지만, 착신음과 진동을 지원하 는 어떠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들어 IMT2000, TRS, PDA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리는 수단으로 소리와 진동을 지원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벨 설정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미리 설정해 둔 벨 종류 및 크기가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일정 시간에 맞추어 벨 소리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한번의 설정으로 벨 종류 및 벨 소리의 크기가 자동으로 변경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벨 소리를 미쳐 바꾸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 및 내부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시간에 따른 벨 종류와 그 벨 소리의 크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시간에 따른 벨 종류와 벨 소리의 크기에 따라 시간대별로 상기 벨의 종류와 벨 소리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는 휴대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장치.
  2. 벨 종류와 상기 벨을 사용할 시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이용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벨 설정을 완료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기 설정된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작시간, 종료시간, 벨 종류의 정보를 선택 입력받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선택 입력된 벨 종류의 정보가 진동이 아닌 경우 벨 소리의 크기 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정보들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입력된 정보들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도록 하면 벨 설정을 완료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하면 상기 정보들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벨 설정을 완료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선택 입력된 정보들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것인지 판단하기 전에 벨 설정 입력이 완전히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벨 설정 입력이 완전히 완료되었으면 본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입력이 완전히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2단계부터 다시 실시하는 제 2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시간대별 벨 설정은 24시간을 기준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방법.
KR1020000077768A 2000-12-18 2000-12-18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768A KR100778482B1 (ko) 2000-12-18 2000-12-18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768A KR100778482B1 (ko) 2000-12-18 2000-12-18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568A KR20020048568A (ko) 2002-06-24
KR100778482B1 true KR100778482B1 (ko) 2007-11-21

Family

ID=2768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768A KR100778482B1 (ko) 2000-12-18 2000-12-18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698B1 (ko) * 2001-03-15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정관리 기능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조절방법
KR20030077756A (ko) * 2002-03-27 2003-10-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에서의 착신모드 자동전환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폰
KR20040023425A (ko) * 2002-09-11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음 출력 방법
KR100487615B1 (ko) * 2002-09-30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수신 알림 제어방법
KR100498935B1 (ko) * 2002-11-11 2005-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제어방법
KR20040041852A (ko) * 2002-11-12 2004-05-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전화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634A (ko) * 1998-10-14 1999-01-25 서주철 휴대폰의 다양한 벨소리 제어방법
KR19990057979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시간대에 따른 다중 경보 발생방법
KR20010039054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 종류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7979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시간대에 따른 다중 경보 발생방법
KR19990007634A (ko) * 1998-10-14 1999-01-25 서주철 휴대폰의 다양한 벨소리 제어방법
KR20010039054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 종류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568A (ko) 200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185A1 (en) Method for giving notice of an incoming call through a specific vibration patter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020249A1 (en) Automatically response system using a schedule and method thereof
US6763105B1 (en) Telephone with call-incoming-operation limiting function and method of limiting call-incoming operation of telephone
KR100520664B1 (ko) 이동통신단말에서 사용자 세팅 메뉴의 세팅 변경방법
KR100778482B1 (ko) 시간대별 자동 벨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264062B1 (ko) 이동전화기의 멜로디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408563B1 (ko) 휴대전화기에서 선택적 착신알림을 위한 방법 및 그방법을 채택한 휴대전화기
KR100269767B1 (ko) 전화기의 단축다이얼링 방법
KR20030076937A (ko) 발신전화 그룹별 호착신 선별 출력기능을 갖는 휴대폰 및그 제어방법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100827084B1 (ko)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0524746B1 (ko)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KR200200715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기능설정방법
KR20000018597A (ko) 전화기에서 시간대에 따라 구별되는 착신 링 발생 장치 및 그방법
KR1005847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 종류 설정방법
KR10080066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환경 설정 변경 장치 및 방법
JP2006217284A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KR20000011552U (ko) 진동 모드에서 전화벨 모드로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통신기기
KR200380077Y1 (ko) 시간대에 따라 진동이나 무음 상태로 변경되는 전화기
KR20080021376A (ko) 스케줄에 따라 자동으로 모드를 변경하는 단말기 장치제어방법
KR100697704B1 (ko) 모닝콜 발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0596890B1 (ko) 수신 레벨 지정을 이용한 선택적 수신방법
KR2004002342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음 출력 방법
KR101024906B1 (ko) 이동 단말기의 착신알림신호 자동 변경 방법
JP2004023344A (ja) 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