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396B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396B1
KR100778396B1 KR1020010019266A KR20010019266A KR100778396B1 KR 100778396 B1 KR100778396 B1 KR 100778396B1 KR 1020010019266 A KR1020010019266 A KR 1020010019266A KR 20010019266 A KR20010019266 A KR 20010019266A KR 100778396 B1 KR100778396 B1 KR 100778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panel
curvature
sin
screen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093A (ko
Inventor
유정인
편도훈
박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9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3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94Geometrical arrangements, e.g. curv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면에 변곡점을 갖지 않는 개선된 구조의 페이스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페이스 패널은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내면이 소정의 곡률 형상을 가지며, 내면의 곡률식이 x, y, z축으로 정의되는 3차원 직교 좌표계에 의해 내면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다항식
z(x,y) = a20x2 + a40x4 + a02y2 + a 04y4 + a24x2y4 + a42x4y 2 + a22x2y2 + a44x4y4
(여기서, x, y, z축은 각각 화면의 수평축과 수직축 및 이에 수직한 관축을 의미하고, 모든 계수의 합은 1이다)에 근사할 때, 내면에 변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다항식의 계수들을 선택한다.
Figure 112001008156522-pat00001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02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03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04
/ sin xy < 0.
(여기서, 페이스 패널 내면이 내면 중앙점을 기준으로 각 x, y 좌표에 대한 z축상의 위치가 음의 값을 갖는 경우 sin xy > 0 이고, 양의 값을 갖는 경우 sin xy < 0 이다)
음극선관, 페이스패널, 변곡, 변곡점, 형광막스크린, 섀도우마스크

Description

음극선관 {CATHODE RAY TUB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페이스 패널의 정면도.
도 4a∼도 4c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페이스 패널의 x-x축 단면도, y-y축 단면도 및 w-w축 단면도.
도 5는 페이스 패널의 내면 곡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페이스 패널의 정면도.
도 7은 페이스 패널 1/4 분면의 내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색선별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페이스 패널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페이스 패널의 정면도.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곡점을 갖지 않는 개선된 구조의 페이스 패널을 제공하여 변곡에 의한 화면 왜곡을 방지하면서 페이 스 패널의 성형과 가공을 용이하게 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세줄기 전자빔으로 형광막 스크린을 주사하여 소정의 화면을 구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전자빔은 편향 요크가 발생한 자계에 의해 편향되고, 색선별 장치인 섀도우 마스크에 의해 해당 R, G, B 형광막으로 분리되어 모든 화소를 특정 색으로 발광시키게 된다.
여기서, 페이스 패널은 내면에 형광막 스크린을 형성하고, 펀넬과 함께 브라운관의 몸체를 이루며, 그 내부로 섀도우 마스크를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서 페이스 패널은 외부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하며, 형광막 스크린의 발광을 외부로 투과하여 화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음극선관의 화면 특성은 페이스 패널의 형상 특성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도 9에 공지 구조의 페이스 패널(1)을 도시하였다. 상기 페이스 패널(1)은 3차원 직교 좌표계를 이용하여 중앙점을 기준으로 각 x, y 좌표에서의 z축상 위치로 그 형상을 수식화할 수 있다.
일례로 미국특허 제 4,924,140호 및 미국특허 제 5,495,140호는 페이스 패널의 외면 형상을 x, y축에 대한 다항식으로 표현하고, 각 다항식의 계수를 특정 범위로 한정하여 마스크 도밍에 의한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페이스 패널을 평면화하고, 화면의 왜곡을 방지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가 개시하는 페이스 패널은 외면과 내면이 모두 소정의 곡률로 형성되며, 여기에 장착되는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빔통과용 어퍼쳐가 형성된 다음 공지의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제작된 성형 마스크이다.
상기 성형 마스크는 수평, 수직 방향으로 곡률 설계가 용이하므로 주로 페이스 패널 설계 후, 전자빔 랜딩 특성에 대응하여 곡률 설계가 이루어진다. 이로서 페이스 패널의 문제점은 마스크의 곡률 변경으로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성형 마스크는 전자빔 충돌에 의해 일명 도밍 현상을 일으켜 전자빔의 경로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화면이 대형 및 고해상도화 하면서 성형 마스크로는 안정된 화면 품질을 구현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에 인장력을 부여한 인장 마스크가 고안되었으며, 그 외면을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한 평면형 페이스 패널이 개발되었다.
상기 인장 마스크는 도밍 방지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으나, 이의 형상은 전적으로 프레임 형상에 의해 결정되므로, 마스크의 곡률 변경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로서 인장 마스크를 적용하는 음극선관에서는 페이스 패널의 형상 설계가 더욱 중요해지며, 엄밀한 설계가 요구된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를 포함한 대부분의 페이스 패널 설계 방법은 주로 수평축과 수직축의 곡률 형상을 규정한 것으로서, 상기 조건으로는 대각 방향의 곡률 형상을 규정하지 못한다.
일례로 빔 시그마 특성(형광막 사이의 간격과 전자빔 사이의 간격이 일치하는 정도)을 고려하여 페이스 패널 설계를 하는 경우에는 대각 방향 곡률이 수평 방향 곡률보다 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 끝단 부분의 곡면에서 변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따라 화면의 대각 끝단 혹은 수직 끝단에서 곡률 함수가 역이 되는 부 분이 존재하며, 이 부분에서 변곡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변곡 발생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막 스크린의 발광을 왜곡시켜 화면의 일그러짐을 유발하며, 이러한 문제는 전자빔이 화면의 주변부로 편향될수록 컨버젼스 특성이 저하되는 것과 더불어 화면 대각부에서의 화질 특성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면에 변곡점을 갖지 않는 개선된 구조의 페이스 패널을 제공하여 변곡에 의한 화면 왜곡을 방지하면서 페이스 패널의 성형과 가공을 용이하게 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막 스크린이 형성되는 페이스 패널과, 상기 형광막 스크린을 향하여 세줄기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전자빔 편향을 위한 자계를 생성하는 편향 요크와, 세줄기 전자빔을 지정된 형광막으로 분리시키는 색선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스 패널은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내면이 소정의 곡률 형상을 가지며, 내면의 곡률식이 x, y, z축으로 정의되는 3차원 직교 좌표계에 의해 내면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다항식
z(x,y) = a20x2 + a40x4 + a02y2 + a 04y4 + a24x2y4 + a42x4y 2 + a22x2y2 + a44x4y4
(여기서, x, y, z축은 각각 화면의 수평축과 수직축 및 이에 수직한 관축을 의미하고, 모든 계수의 합은 1이다)
에 근사할 때, 내면에 변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다항식의 계수들이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을 제공한다.
Figure 112001008156522-pat00005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06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07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08
/ sin xy < 0.
(여기서, 페이스 패널 내면이 내면 중앙점을 기준으로 각 x, y 좌표에 대한 z축상의 위치가 음의 값을 갖는 경우 sin xy > 0 이고, 양의 값을 갖는 경우 sin xy < 0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음극선관의 단면도로서, 화면의 수평축을 x축, 화면의 수직축을 y축, 이에 수직한 관축을 z축으로 정 의하였다.
음극선관은 페이스 패널(2)과 펀넬(4) 및 넥크부(6)가 결합되어 진공의 벌브(8)를 구성하며, 상기 페이스 패널(2)은 내면에 다수의 R, G, B 형광막으로 이루어진 형광막 스크린(10)을 형성하고, 형광막 스크린(10)과 마주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수단을 이용하여 색선별 장치(12)를 그 내부에 고정한다. 그리고 넥크부(6) 내부와 펀넬(4) 외부에 각각 전자총(14)과 편향 요크(16)가 일체로 장착된다.
이로서 전자총(14)에서 화면 신호에 대응하는 세줄기 전자빔을 방출하면, 전자빔은 편향 요크(16)가 발생한 자계에 의해 편향되어 라스터(raster)를 형성하면서 색선별 장치(12)에 의해 해당 R, G, B 형광막에 랜딩하여 지정된 형광막을 발광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페이스 패널(2)은 외면을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한 평면형으로서, 그 내면은 소정의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3은 상기 페이스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4a∼도 4c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페이스 패널의 x-x축 단면, y-y축 단면, w-w축 단면도로서, 페이스 패널의 1/4 분면만을 선택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스 패널(2)은 그 내면이 소정의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되는바, 이러한 페이스 패널(2)의 내면 형상은 내면 중앙점(O점)으로 기준으로 각 x, y 좌표에 대한 z축상의 위치, 즉 중앙점과의 높이차(Δh)로 수식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이스 패널(2)의 내면 형상은 아래 수학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x, y축에 대한 4차 다항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z(x,y) = a20x2 + a40x4 + a02y2 + a 04y4 + a24x2y4 + a42x4y 2 + a22x2y2 + a44x4y4
이 때, 모든 계수의 합은 1이며, 모든 지점에서 중앙점과의 높이차(Δh)는 z축상으로 음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내면 중앙점을 기준으로 페이스 패널(2) 수평 끝단의 높이 H와, 수직 끝단의 높이 V 및 대각 끝단의 높이 D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페이스 패널(2)의 내면 형상을 수식화할 때, 상기 다항식의 계수들은 페이스 패널(2) 내면에 변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아래 수학식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범위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1008156522-pat00009
= 2a20 + 12a40x2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10
= 2(a20 + a22 + a24) + 12(a40 + a42 + a44 )x2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11
= 2a02 + 12a04y2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12
= 2(a02 + a22 + a42) + 12(a04 + a24 + a44 )y2 < 0.
즉, 페이스 패널(2)의 내면 형상이 4차 다항식에 근사하고, H, V, D 각각의 높이가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 x 및 y축에 대한 이차미분값이 음이 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계수들을 한정하여야 수평, 수직, 대각을 포함한 모든 방향에서 역곡률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러한 결과로서 페이스 패널 내면에 변곡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페이스 패널(2)의 내면 형상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 중앙점을 기준으로 각 x, y 좌표에서의 높이차(Δh)가 양의 값을 갖도록 도식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페이스 패널(2)의 내면 형상이 전술한 수학식 1의 다항식으로 표현될 때, 상기 다항식의 계수들은 페이스 패널(2) 내면에 변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아래 수학식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범위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1008156522-pat00013
= 2a20 + 12a40x2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14
= 2(a20 + a22 + a24) + 12(a40 + a42 + a44 )x2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15
= 2a02 + 12a04y2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16
= 2(a02 + a22 + a42) + 12(a04 + a24 + a44 )y2 > 0.
즉, H, V, D 각각의 높이가 양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x 및 y축에 대한 이차미분값이 양이 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계수들을 한정하여야 페이스 패널(2) 내면의 모든 방향에서 역곡률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러한 결과로서 변곡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 패널(2) 내면의 곡률 형상을 전술한 수학식 1로 표현할 때, 그 내면 형상이 음의 높이차(Δh)를 갖도록 표현되는 경우와 양의 높이차(Δh)를 갖도록 표현되는 경우 모두에 해당하는 조건을 아래 수학식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1008156522-pat00017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18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19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20
/ sin xy < 0.
즉, 페이스 패널(2)의 내면 형상이 음의 높이차(Δh)를 갖는 경우에는 x>0, y>0 일 때 x 및 y축에 대한 이차 미분값이 음이 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이며, 페이스 패널(2)의 내면 형상이 양의 높이차(Δh)를 갖는 경우에는 x>0, y<0 일 때 x 및 y축에 대한 이차 미분값이 양이 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페이스 패널(2)의 내면이 음의 높이차(Δh)를 갖는 경우 sin xy > 0 이며, 양의 높이차(Δh)를 갖는 경우 sin xy < 0 이 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각 다항식의 계수들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그 범위를 한정하여 내면에 변곡점을 갖지 않는 페이스 패널(2)을 제공한다. 이로서 페이스 패널(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곡에 의한 화면 왜곡을 방지하며, 특히 화면 대각 끝단에서의 화면 왜곡을 방지하여 화면의 품위를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이 때, 상기 페이스 패널(2)은 보다 구체적으로 내면에 변곡이 없는 조건을 만족하면서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페이스 패널의 내면 중앙점을 기준으로 페이스 패널 1/4 분면에서의 내면 형상을 도식화한 것으로서, 내면의 수평 방향 곡률 반경을 Rh, 수직 방향의 곡률 반경을 Rv, 대각 방향의 곡률 반경을 Rd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페이스 패널(2)은 상기 Rh와 Rv 및 Rd가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짐에 따라 그 내면이 일종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페이스 패널(2) 내면이 단일의 곡률 반경을 갖게 되면, 대각 끝단에서의 변곡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이스 패널의 성형과 가공에 유리하며, 형광막 스크린의 제조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 설계를 위해서는 먼저 수평 방향의 곡률 반경 Rh를 결정하고, 이에 기준하여 Rv와 Rd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 전술한 수학식 1에 근거하여 수평축상의 곡률 형상 z(x)를 아래의 수학식에 나타내었다.
z(x) = a20x2 + a40x4
이와 같이 페이스 패널(2) 내면의 x축 곡률 형상은 a20과 a40 계수에 의해 결정되는바, x축으로 완만한 곡률값을 가져야 Rh를 Rv와 Rd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대각 끝단에서의 변곡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a20 및 a40 계수는 x축으로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도록 아래 수학식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그 값이 선택된다.
0.9 ≤ p(x) ≤ 1.0
여기서, p(x) = a20x2 / (a20x2 + a40x4)
즉, 상기 조건은 x축 곡률 형상을 결정하는 a20 계수와 a40 계수에 있어서, x의 4차식 계수인 a40 보다 x의 2차식 계수인 a20 값을 지배적으로 하여 x축 곡률 형상을 완만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4차식 계수인 a40 값이 커지면 페이스 패널(2) 내면이 급격한 곡률을 형성하게 되어 단일의 곡률 반경을 실현하기 어려우며, 반대로 4차식 계수인 a40 값이 너무 작은 값을 가지면, 곡률이 역행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위의 조건을 설정한 것이다.
즉, 상기 p(x)가 0.9 보다 작은 경우에는 a40 계수가 a20 계수보가 커지게 되 어 단일의 곡률 반경을 형성하기 어렵고, p(x)가 1.0 보다 큰 경우에는 페이스 패널(2)의 내면 곡률이 꺽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페이스 패널(2)은 다른 실시예로서 내면에 변곡이 없는 조건을 만족하면서 인장 마스크 특성에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음극선관이 구비하는 색선별 장치(12)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빔통과용 어퍼쳐(18a)를 형성하는 인장 마스크(18)와, 이 마스크(18)를 지지하는 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18)는 주로 y축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프레임(20)의 지지부재(22)에 고정되므로, 마스크(18)는 수직 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면서 수평 방향의 곡률 반경만을 가진다.
이로서 상기 페이스 패널(2)은 인장 마스크(18)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 방향의 곡률 반경 Rv가 수평 방향의 곡률 반경 Rh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체적 실시예로서 상기 페이스 패널(2)은 수평 끝단의 웨지율(Wh)이 130% 이상이 되고, 수직 끝단의 웨지율(Wv)이 110% 이내 범위를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즉, 웨지율은 페이스 패널의 중앙과 주변부의 두께비를 의미하는데, 수평 끝단의 웨지율(Wh)과 수직 끝단의 웨지율(Wv)은 각각 다음의 수학식 7∼8로 표현할 수 있다.
Wh = (수평 끝단의 유효부 두께 / 중앙부 두께) × 100
Wv = (수직 끝단의 유효부 두께 / 중앙부 두께) × 100
또한 상기 페이스 패널은 휘도 특성을 고려하여 전체 투과율이 50% 이상이어야 하며, 아래 수학식으로 표현되는 B/U(대각 투과율/중앙 투과율) 특성이 75% 이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Figure 112001008156522-pat00021
B/U = ≥ 75%
여기서, k는 흡수 계수이고, t0는 페이스 패널의 중앙부 두께이며, t1은 페이스 패널의 주변부 두께를 의미한다.
일례로 중앙부 두께가 17 mm인 29인치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술한 형상 특성을 만족하는 페이스 패널의 형상 특성을 아래의 표에 나타내었다.
내면 곡률 끝단의 유효부 두께 웨지율 B/U
수평 (H) 6,416 (5.4R) 22.61 mm 133% 76%
수직 (V) 20,564 (17R) 17.85 mm 105%
대각 (D) 10,024 (8.4R) 22.61 mm 133%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페이스 패널은 내면에 변곡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만족하면서 인장 마스크의 형상 특성에 대응하여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서 변곡에 의한 화면 왜곡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인장 마스크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페이스 패널의 내면 형상이 4차 다항식에 근사할 때, 각 다항식의 계수를 전술한 조건으로 한정하여 수평, 수직, 대각을 포함하는 모든 방향에서 변곡이 생기지 않는 페이스 패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변곡에 의한 화면 왜곡을 방지하여 화면의 품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며, 페이스 패널의 성형과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7)

  1. 내면에 형광막 스크린이 형성되는 페이스 패널과;
    상기 형광막 스크린을 향하여 세줄기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전자빔 편향을 위한 자계를 생성하는 편향 요크; 및
    세줄기 전자빔을 지정된 형광막으로 분리시키는 색선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스 패널은 외면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내면이 소정의 곡률 형상을 가지며, 내면의 곡률식이 x, y, z축으로 정의되는 3차원 직교 좌표계에 의해 내면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다항식
    z(x,y) = a20x2 + a40x4 + a02y2 + a 04y4 + a24x2y4 + a42x4y 2 + a22x2y2 + a44x4y4
    (여기서, x, y, z축은 각각 화면의 수평축과 수직축 및 이에 수직한 관축을 의미하고, 모든 계수의 합은 1이다)
    에 근사할 때, 내면에 변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다항식의 계수들이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Figure 112001008156522-pat00022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23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24
    / sin xy < 0,
    Figure 112001008156522-pat00025
    / sin xy < 0.
    (여기서, 페이스 패널 내면이 내면 중앙점을 기준으로 각 x, y 좌표에 대한 z축상의 위치가 음의 값을 갖는 경우 sin xy > 0 이고, 양의 값을 갖는 경우 sin xy < 0 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패널 내면의 수평 방향 곡률 반경을 Rh, 수직 방향의 곡률 반경을 Rv, 대각 방향의 곡률 반경을 Rd라고 할 때, 상기 Rh와 Rv 및 Rd가 동일한 값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패널 내면의 수평축 곡률 형상이 아래 다항식에 근사하며,
    z(x) = a20x2 + a40x4
    상기 a20 및 a40 계수가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9 ≤ p(x) ≤ 1.0
    여기서, p(x) = a20x2 / (a20x2 + a40x4)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선별 장치가 다수의 빔통과용 어퍼쳐를 형성하며 화면의 수직축 방향으로 인장된 인장 마스크와, 이 인장 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패널 내면의 수평 방향 곡률 반경을 Rh, 수직 방향의 곡률 반경을 Rv라고 할 때, 상기 Rh와 Rv가 아래 조건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Rv > Rh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패널은 B/U(대각 투과율/중앙 투과율) 값이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
    75% ≤ B/U < 100%
KR1020010019266A 2001-04-11 2001-04-11 음극선관 KR100778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266A KR100778396B1 (ko) 2001-04-11 2001-04-11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266A KR100778396B1 (ko) 2001-04-11 2001-04-11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093A KR20020080093A (ko) 2002-10-23
KR100778396B1 true KR100778396B1 (ko) 2007-11-21

Family

ID=2770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266A KR100778396B1 (ko) 2001-04-11 2001-04-11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501B1 (ko) * 2002-02-06 2004-01-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패널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7553A (ko) * 1986-01-30 1987-08-20 후지모도 카즈오 컬러 수상관
JPH03272550A (ja) * 1990-03-22 1991-12-04 Matsushita Electron Corp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受像管
US5274303A (en) * 1991-05-29 1993-12-28 U.S. Philip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comprising a display window
JPH11195393A (ja) * 1997-10-31 1999-07-21 Matsushita Electron Corp 陰極線管装置
KR100258051B1 (ko) * 1992-04-06 2000-06-01 요트.게.아. 롤페즈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7553A (ko) * 1986-01-30 1987-08-20 후지모도 카즈오 컬러 수상관
JPH03272550A (ja) * 1990-03-22 1991-12-04 Matsushita Electron Corp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受像管
US5274303A (en) * 1991-05-29 1993-12-28 U.S. Philip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comprising a display window
KR100258051B1 (ko) * 1992-04-06 2000-06-01 요트.게.아. 롤페즈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H11195393A (ja) * 1997-10-31 1999-07-21 Matsushita Electron Corp 陰極線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093A (ko) 200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11880B2 (ja) 陰極線管
EP0612094B1 (en) Color cathode-ray tube
US633359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particular effective inner panel surface and shadow mask effective surface shapes
EP1091381A2 (en) Color cathode ray tube
EP0655762A1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778396B1 (ko) 음극선관
KR100464199B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383213B1 (ko) 칼라 음극선관
JPH08250043A (ja) フェースプレートパネル改良形カラー受像管
US6326722B1 (en) Color cathode-ray tube
KR950012697B1 (ko) 섀도마스크형 컬러브라운관
US6437495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curved shadow mask having central recessed portions
US6225735B1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771030B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6621206B2 (en) Color cathode ray tube
US7105993B2 (en)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aperture area in which a curvature of radii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atisfy a particular condition
JPH10199436A (ja) カラー受像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46371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high-resolution electron gun
JP2006504237A (ja) 平らな表示パネルを有する表示装置
KR10033471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US6930444B2 (en) Color selection apparatus including frame supporting tension mask for cathode ray tube
KR100805148B1 (ko) 외부 자기장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부재를 구비한음극선관
US6906454B2 (en)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
KR100823187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US6707241B2 (en) Color cathode-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