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942B1 - Rf repeate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for ttd(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using the rf signal detecting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 Google Patents

Rf repeate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for ttd(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using the rf signal detecting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942B1
KR100777942B1 KR1020060052377A KR20060052377A KR100777942B1 KR 100777942 B1 KR100777942 B1 KR 100777942B1 KR 1020060052377 A KR1020060052377 A KR 1020060052377A KR 20060052377 A KR20060052377 A KR 20060052377A KR 100777942 B1 KR100777942 B1 KR 100777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th
time
unit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형수
김정상
이진규
Original Assignee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9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9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1Ground-based stations combining by calculations packets received from different stations before transmitting the combined packets as part of network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A TDD(Time Division Duplex) RF repeater using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nd a relay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imply and exactly perform switching time control according to a switch on/off delay algorithm without the loss of Tx data due to an error in a route switch even though an MS(Mobile Station) is in a shadow area. A TDD RF repeater(10) consists of a donor part(100), a service part(200) and a relay part(300). The relay part(300) comprises a downlink signal detection part(304), an uplink signal detection part(309), and the first delay(303). The downlink signal detection part(304) detects a signal, received to and inputted from the donor part(100), on a downlink signaling route to relay the inputted signal to the service part(200) and executes switching control for a service-side route switch(307) to enable downlink mode. The uplink signal detection part(309) detects a signal, received to and inputted from the service part(200), on an uplink signaling route to relay the inputted signal to the donor part(100) and executes switching control for a donor-side route switch(301) to enable uplink mode. The first delay(303) delays time for an MS signal of a BS area, which is detected at the downlink signal detection part(304), so that the uplink signaling route can be activated prior to the downlink signaling route as the service part(200) detects an MS signal of a service area.

Description

RF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중계기 및 그 중계제어방법 {RF Repeate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for TTD(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using the RF Signal detecting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RF Repeater and Abstract Controlling Method for TTD (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using the RF Signal Detecting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도 1은 종래의 다운/업링크 경로가 일부 공유된 TTD용 RF 중계기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RF repeater for a TTD with some shared downlink / uplink path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종래의 다운/업링크 경로가 분리된 TTD용 RF 중계기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RF repeater for the TTD separated down / uplink path

도 3은 중계기의 기지국 영역 및 서비스영역에서 발생되는 존재신호를 나타낸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istence signal generated in a base station area and a service area of a repeater;

도 4는 종래의 도 1 및 도 2에서 시간에 따라 신호검출부에 검출되는 RF신호 변화 상태도4 is a state diagram of a change in the RF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ime in FI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 블록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n RF repeater block for TDD using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각 경로에서 검출되는 RF 신호의 시간 변화와 그에 따른 경로스위치 상태도 6 is a time change of the RF signal detected in each pat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th switch state diagram accordingly

도 7은 본 발명의 신호검출부에 검출되는 RF 신호의 변화에 따라 동작되는 전체적인 경로스위치의 출력파형도 7 is an output waveform diagram of an overall path switch operated according to a change in an RF signal detected by a signal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의 중계제어방법8 is a relay control method of the RF repeater for TDD using the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 Description of the main drawing codes *

100 : 도너부 101 : 도너 안테나 100 donor part 101: donor antenna

102 : 제 1 BPF 200 : 서비스부102: first BPF 200: service department

201 : 서비스 안테나 202 : 제 2 BPF201: service antenna 202: second BPF

300 : 중계부 301 : 도너측 경로스위치300: relay unit 301: donor side path switch

302 : 제 1 AMP 303 : 제 1 지연기302: first AMP 303: first delay

304 : 다운링크 신호검출부 305 : 제 2 지연기304: Downlink signal detector 305: Second delay

306 : 제 2 AMP 307 :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6: second AMP 307: service side path switch

308 : 제 3 AMP 309 : 업링크 신호검출부308: third AMP 309: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10 : 제 3 지연기 311 : 제 4 AMP310: third delay 311: fourth AMP

본 발명은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 및 그 중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통신망에서 서비스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 통신 불능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운링크 신호경로상에 신호경로를 스위칭 및 제어하는 신호검출부와 지연기를 구비하여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신호보다 업링크 신호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신호가 먼저 동작되도록 그 구조를 단순히 한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 및 그 중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 repeater for TDD using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nd a relay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ability to communicate when a service area is a shadow area in a TDD (Time Division Duplexing) network.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 signal detector and a delay switch are provided on the downlink signal path to control the signal transmitted along the uplink signal path rather than the signal transmitted along the downlink signal pa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 repeater for TDD using only one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nd a relay control method thereof.

종래의 TDD용 RF 중계기는 TDD(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는 바, 상기 TDD 방식은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송수신함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할 경우에는 단말기가 수신상태이고, 단말기가 송신할 경우에는 기지국이 수신상태인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In the conventional TDD RF repeater uses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D) scheme, the TDD scheme transmits and receives the same frequency ban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terminal is in a reception state. When the terminal transmits, the base station must have a condition of receiving.

이와 같이 TDD 방식을 이용한 통신망에서 서비스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 통신 불능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RF 중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기지국 및 단말기 신호의 송신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중계기의 다운링크(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송신) 신호경로, 업링크(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송신) 신호경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F repeater is used to solve the communication failure when the service area is a shaded area in the TDD communication network, the downlink of the repeater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s accurately predicted. Signal path, uplink (terminal to base station) signal path must be active.

따라서, 도 1은 종래의 다운/업링크 경로가 일부 공유된 TTD용 RF 중계기 블록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다운/업링크 경로가 분리된 TTD용 RF 중계기 블록도로서, 상기 도 1 또는 도 2는 모두 도너측과 서비스측의 송수신 안테나를 공유하며 다운링크 경로에는 동기 검파 모듈(Sync Detection Module)을 연결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보내어지는 메시지를 참조하여 기지국 및 단말기 신호의 송신시간을 정확하게 검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기지국과 단말기 송신 시간에 RF 중계기의 다운링크, 업링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다운/업링크 경로상에 장착되어 있는 경로 스위치를 구동시킨 다.Accordingly,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RF repeater for TTD in which a conventional down / uplink path is partially shared,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RF repeater for TTD in which a conventional down / uplink path is separated. Both of them share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of donor side and service side, and connect the sync detection module to the downlink path and refer to the message sent from the base station to accurately detect the transmission time of base station and terminal signals In order to activate the downlink and uplink of the RF repeater at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ransmission time, a path switch mounted on the down / uplink path is driven.

또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믹서는 IF처리 동작에서 신호의 선택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IF처리를 위한 믹서 없이도 구현가능하다.In addition, the mixer shown in FIG. 1 or 2 is required to increase the selectivity of the signal in the IF processing operation, but may be implemented without a mixer for IF processing depending on the situation.

상기한 종래기술인 도1 및 도2의 구성은 경로스위치의 스위칭과 동기 검파 모듈에 의하여 중계기 구현이 가능하나, 상기의 동기 검파 모듈을 사용할 경우에 중계기의 가격이 매우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1 and 2 of the prior art can implement a repeater by switching a path switch and a synchronous detection module. However, when the synchronous detection module is used, the repeater price is very high.

또한, 종래의 기술로서 동기 검파 모듈을 대신하여 다운링크의 시작점에 항상 존재하는 프리앰블(Preamble) 신호를 감지하여 다운링크와 업링크 시간을 결정하는 RF 중계기 구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a conventional technique, an RF repeater for detecting downlink and uplink time by detecting a preamble signal that is always present at the start of the downlink instead of the synchronous detec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그러나, 페이딩 효과에 의하여 프리앰블 신호가 흔들릴 수 있고, 이때 감지 시간이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칭 타임 시작점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eamble signal may be shaken due to the fading effect, and thus, the detection time may be severely shaken.

도 3은 기지국 영역 및 서비스영역에서 발생 가능한 존재신호 설명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과 같이 중계기의 도너 안테나가 설치되는 지역은 기지국 영역이므로 기지국영역에서는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기지국 신호와 기지국 영역 내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단말기 신호가 공존한다. 한편, 음영지역인 서비스 영역은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단말기 신호만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인 도 1 및 도 2와 같은 중계기 구성은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된 시간 동안에는 도너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기지국 신호가 중계기로 입력되며, 업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된 시간 동안에는 서비스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단말기 신호가 중계기로 입력되 는 것을 가정하여 구현된 것이다. 즉,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된 시간 동안에는 서비스 영역에서 기지국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며, 업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된 시간동안에는 기지국 영역에서 단말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설계된 것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xistence signal that can occur in the base station area and the service area.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rea where the donor antenna of the repeater is installed is the base station area. Termin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ame coexist. On the other hand, in the service area that is a shaded area, only the termin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s generated.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repeater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ase st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onor antenna is input to the repeater during the downlink signal path is formed, and received from the service antenna during the uplink signal path is formed. It is implemented assuming that the terminal signal is input to the repeater. That is, it is design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base station signal does not exist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downlink signal path is formed, and the terminal signal does not exist in the base station area during the time when the uplink signal path is formed.

도 4는 종래의 도 1 및 도 2에서 시간에 따라 신호검출부에 검출되는 RF신호 변화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통신 규약에 의하여 TTD용 RF 중계기의 시간 프레임 구조는 다운/업링크의 송신시간이 분리되며, 스위칭이 절환되는 동안인 송신에서 수신으로 또는 수신에서 송신으로 절환되는 스위칭 동작을 위하여 일정 시간만큼 TTG(Tx/Rx Transition Gap) 및 RTG(Rx/Tx Transition Gap) 시간이 할당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과 같이 다운/업링크 RF 신호 레벨에 의존한 중계기의 스위칭 동작에 따르면 실제의 상황하에서 서비스 영역은 음영지역이므로 기지국 신호는 발생되지 않지만, 기지국 영역은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가 모두 공존하게 된다. 만약, 업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된 시간 동안에 기지국 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단말기 신호가 안테나로부터 수신되어 중계기로 입력된 후 검출되면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되어 활성화될 것이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두 단말기 신호간에 충돌이 발생되어 중계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 즉, 도 4와 같이 중계기에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와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동시에 입력될 경우에는 스위칭 오류가 발생되어 정상적인으로 신호를 중계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서비스 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는 TTG 및 RTG 시간 구간 동안 신호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지 않고 끊김현상이 발생되어 경로 스위 치의 스위칭 동작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신호 데이터가 유실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였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change of an RF signal detected by a signal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ime in FIGS. 1 and 2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shown in the figure, the time frame structure of the TTD RF repeater is a downlink / uplink The transmission time is separated, and TTG (Tx / Rx Transition Gap) and RTG (RTx / Tx Transition Gap) time are alloc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the switching operation from transmission to reception or reception to transmission while switching is switched. It is. However,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repeater depending on the down / uplink RF signal level as in the prior art, since the service area is a shaded area under actual conditions, no base station signal is generated, but the base station area coexists with both the base station signal and the terminal signal. Done. If a terminal signal, which can be generated in the base station region during the uplink signal path, is received from the antenna and input to the repeater, the downlink signal path will be formed and activated. A collision has occurred and the repeater cannot perform normal operation. That is, when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and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area are simultaneously input to the repeater as shown in FIG. 4, a switching error occurs and thus a problem in that the relay cannot be normally transmitted is generated. In addition, when the service area is a shaded area, the signal is not normally detected during the TTG and RTG time intervals, and a disconnection occurs. Therefore, an error occurs in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ath switch, so that the signal data is frequently los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 기술의 스위치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별도의 동기 검파 모듈과 같은 복잡한 구성 대신에 경제적이면서도 정확한 시간에 스위칭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운링크 경로상에서 신호경로를 스위칭 및 제어하는 신호검출부(304, 309)와 신호의 전송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기(303)를 구비하여 RF 중계기의 다운링크 신호경로 및 업링크 신호경로를 안정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도 통신 불능상태를 해소하여 신호가 유실되지 않고 또한 신호간에 시간적 충돌로 인한 스위칭 동작의 오류가 발생되지 않고서도 원활하게 중계 전송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 및 그 중계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stead of a complicated configuration such as a separate synchronous detec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switch time of the prior art, a downlink path can be performed to perform a switching control operation at an economical and accurate time.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for switching and controlling the signal paths on the network and the delayers 303 for delaying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ignals can be stably activated in the downlink signal path and the uplink signal path of the RF repeater. In the communication system, even if the service area is in the shadow area, RF signal of simple structure can be relayed smoothly without resolving the incommunication status without losing the signal and without switching error due to temporal collision between signals. RF repeater for TDD using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It aim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는, 기지국 영역에 설치되며 기지국 영역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서비스 영역의 신호를 기지국 영역으로 송신하는 도너부(100)와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며 서비스 영역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지국 영역의 신호를 서비스 영역으로 송신하는 서비스부(200) 및 상기 도너부(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서비스부(200)로 중계 전송 또는 상기 서비스 부(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도너부(100)로 중계 전송하는 중계부(300)로 이루어진 중계기(10)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300)는 상기 도너부(100)에서 수신하여 입력된 신호를 상기 서비스부(200)로 중계 전송하는 다운링크 신호경로상에 상기 입력된 신호를 검출하여 다운링크가 설정되도록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스위칭 제어하는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와, 상기 서비스부(200)에서 수신하여 입력된 신호를 상기 도너부(100)로 중계 전송하는 업링크 신호경로상에 상기 입력된 신호를 검출하여 업링크가 설정되도록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를 스위칭 제어하는 업링크 신호검출부(309) 및 상기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입력된 단말기 신호가 검출되어 업링크 신호경로가 먼저 활성화되도록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 검출되는 상기 기지국 영역에서 입력된 단말기 신호에 대한 시간을 지연하는 제 1 지연기(30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F repeater for TDD using the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the base station area and receives a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or the signal of the service area base station The donor unit 100 transmitting the signal from the donor unit 100 and the donor unit 100 installed in the service area and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ervice area or transmitting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to the service area. In the repeater 10 consisting of a relay unit 300 for relay transmission to the service unit 200 or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ce unit 200 to the donor unit 100, the relay unit 300 ) Detects the input signal on the downlink signal path for relaying and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received by the donor unit 100 to the service unit 200 to establish a downlink. The downlink signal detection unit 304 for switching and controlling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and the uplink signal path for relaying and transmitt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rvice unit 200 to the donor unit 100.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and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for switching control of a donor side path switch 301 so that the uplink is set by detecting the input signal are detected by the terminal signal input from the service area. And a first position of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so as to activate the uplink signal path first and delaying a time for a terminal signal input from the base station area detected by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The retarder 30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동작시키는 소요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도너부(100)의 신호가 상기 다운링크 경로를 통하여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까지 도달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도너부(100) 신호의 시간을 지연하는 제 2 지연기(305) 및 상기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를 동작시키는 소요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부(200)의 신호가 상기 업링크를 통하여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까 지 도달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부(200) 신호의 시간을 지연하는 제 3 지연기(3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in the required time to operate the service-side path switch 307 by the signal detected by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Correspondingly, a second delayer 305 for delaying the time of the donor part 100 signal in order to secure the time when the signal of the donor part 100 reaches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through the downlink path. And the service unit corresponding to the time required to operate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according to a signal detected by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at the rear end of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A third delayer 310 for delaying the time of the signal of the service unit 200 is further included in order to secure a time for the signal of 200 to reach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through the uplink.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의 신호검출부(304, 309)가 신호를 검출하면 도너측 또는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1, 307)를 활성화하는 동작이 즉시 수행되며, 스위칭 동작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신호가 없는 무신호인 경우에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동안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or 309 of the downlink or uplink detects a signal, an operation of activating the donor side or service side path switches 301 and 307 is immediately performed, and switching is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is activated, the switching opera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in the absence of a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의 중계제어방법은, 중계기(10)의 안테나(101, 20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입력측 경로스위치(301, 307)는 온상태로 설정하며 중계부(30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는 오프상태로 설정하는 대기모드 단계와, 상기 중계부(300)에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제 1 신호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하여 신호경로를 활성화하는 경로활성화 단계와, 상기 경로활성화 단계 이후에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가 온상태로 지속되는 동안에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 의하여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신호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제 2 신호판단 단계와,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검출 부(304, 309)의 오프지연 타이머를 구동하여 오프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지연시간 카운트 단계와, 상기 오프지연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동안에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제 3 신호판단 단계와,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과 카운트된 오프지연시간을 비교하는 시간비교 단계와, 상기 시간비교 단계의 시간비교결과,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에 비하여 카운트된 오프지연시간이 크면 오프지연타이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타이머리셋 단계 및 상기 타이머리셋 단계를 수행한 후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를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절환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대기모드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lay control method of the RF repeater for TDD using the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101, 201) of the repeater 10 is relay unit 300 Input side path switch (301, 307) input to the state is set to the on state and the output side path switch (307, 301) outputs a signal from the relay unit 300 is set to the off state, and the relay unit A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of detecting a signal input to the signal 300 by the signal detection units 304 and 309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detected signal; and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of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When a signal is detected in step 309, a path activation step of activating the signal path by switching the output path switches 307 and 301 from which the signal is output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and after the path activation step, an output side path switch ( 307, 301 came A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ignal is present by perform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a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while the signal is continued in a state; and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A delay time counting step of driving an off delay timer of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to count an off delay time if no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nd the off delay timer. A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of detecting a signal from the signal detection units 304 and 309 for the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while driving the signal,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ignal; and the signal determination result of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When a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 tim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a preset off delay time and a counted off delay time, a time comparison result of the time comparison step, and a preset If the counted off delay time is larger than the p delay time, the timer reset step of resetting the off delay timer to an initial value and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7 and 301 outputting a signal after performing the timer reset step are turned off.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stat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the standby mode step.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상기 제 1 신호판단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오프지연타이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타이머리셋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시간비교 단계의 시간비교결과,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에 비하여 카운트된 오프지연시간이 적으면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of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until a signal is detected. When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of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until no signal is detected, and the signal of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after performing the timer reset step of resetting the off delay timer to an initial value, and comparing the time of the time comparison step. As a result, when the counted off delay time is less than the preset off delay time,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TD용 RF 중계기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중계기(10)는 도너부(100)와 서비스부(200) 및 중계부(300)으로 구성된다. 5 is a block diagram of an RF repeater block for TTD using the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peater 10 includes a donor unit 100, a service unit 200, and a relay unit 300. It consists of.

상기 도너부(100)는 도너 안테나(101)와 제 1 BPF(102)로 구성되며, 상기 서비스부(200)는 서비스 안테나(201)와 제 2 BPF(202)로 구성되며, 상기 중계부(300)는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 1 AMP(302), 제 1 지연기(303),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 제 2 지연기(305) 및 제 2 AMP(306)를 구비하며, 또한 업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 3 AMP(308), 업링크 신호검출부(309), 제 3 지연기(310) 및 제 4 AMP(311)를 구비하며, 또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신호경로가 설정되도록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도너측 경로스위치(301)와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구비한다.The donor unit 100 includes a donor antenna 101 and a first BPF 102, and the service unit 200 includes a service antenna 201 and a second BPF 202, and the relay unit ( 300 includes a first AMP 302, a first delayer 303, a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a second delayer 305, and a second AMP 306 to form a downlink signal path. And a third AMP 308, an uplink signal detector 309, a third retarder 310, and a fourth AMP 311 that allow uplink signal paths to be formed, and further downlink and uplink. And a donor side path switch 301 and a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for switching the signal path so that the signal path of the signal path is set.

따라서, 상기한 구성요소에 의한 본 발명 RF 중계기(10)의 다운링크 신호경로는 순차적으로 도너 안테나(101), 제 1 BPF(102), 도너측 경로스위치(301), 제 1 AMP(302), 제 1 지연기(303),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 제 2 지연기(305), 제 2 AMP(306),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 제 2 BPF(202) 및 서비스 안테나(201)로 이루어져 형성되고, 업링크 신호경로는 순차적으로 서비스 안테나(201), 제 2 BPF(202),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 제 3 AMP(308), 업링크 신호검출부(309), 제 3 지연기(310), 제 4 AMP(311), 도너측 경로스위치(301), 제 1 BPF(102) 및 도너 안테나(101)로 이루어져 형성된다.Therefore, the downlink signal paths of the RF repea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mponents are sequentially the donor antenna 101, the first BPF 102,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the first AMP 302. A first delay 303, a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a second delay 305, a second AMP 306, a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a second BPF 202 and a service antenna 201), the uplink signal path is sequentially provided with the service antenna 201, the second BPF 202,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the third AMP 308, the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9, The third retarder 310, the fourth AMP 311,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the first BPF 102, and the donor antenna 101 are formed.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도너부(100)는 기지국 영역의 기지국 신호 및 단말기 신호를 수신하여 중계부(300)로 입력 전송하거나 또는 중계부(300)로부터 중계 전송된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를 기지국 영역으로 송신하는 도너 안테나(101)와, 상기 도너 안테나(101)의 후단부에는 상기 도너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기지국 영역의 기지국 신호 및 단말기 신호 또는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중계 전송되어진 단말기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제 1 BPF(102)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BPF(102)에는 다운링크 신호경로 또는 업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중계부(300)의 도너측 경로스위치(301)와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기 도너 안테나(101)는 기지국 영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 영역에서 발생되는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 모두를 수신한다. 그러나 이때 상기 단말기 신호는 기지국 영역에서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In more detail, the donor unit 100 receives the base station signal and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and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relay unit 300 or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area relayed from the relay unit 300 to the base station area. And a specific frequency band of a base st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onor antenna 101 and a terminal signal relayed from a terminal signal or a service area at the rear end of the donor antenna 101. A donor side path switch 301 of the relay unit 300 that operates to switch so that a first BPF 102 is filtered so that only a passage is passed, and a downlink signal path or an uplink signal path is formed at the first BPF 102. ). In this case, since the donor antenna 101 is installed in the base station area, both the base station signal and the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the base station area are received. However, the terminal signal is not always present in the base station area.

상기 서비스부(200)는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를 수신하여 중계부(300)로 입력 전송하거나 또는 중계부(300)로부터 중계 전송된 기지국 영역의 기지국 신호 및 단말기 신호를 서비스 영역으로 송신하는 서비스 안테나(201)와, 상기 서비스 안테나(101)의 후단부에는 상기 서비스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 또는 기지국 영역으로부터 중계 전송되어진 기지국 신호 및 단말기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만이 통과되도록 필터링하는 제 2 BPF(202)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BPF(202)에는 다운링크 신호경로 또는 업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중계부(300)의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1)와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기 서비스 안테나(201)는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발생되는 단말기 신호만을 수신한다.The service unit 200 receives a terminal signal of a service area and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relay unit 300 or the base station signal and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relayed and transmitted from the relay unit 300 to the service area. 201 and the rear end of the service antenna 101 are filtered so that only a specific frequency band of the terminal signal and the termin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rea or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area received by the service antenna 201 is passed. The second BPF 202 is connected, and the second BPF 202 is connected to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1 of the relay unit 300 which switches to form a downlink signal path or an uplink signal path. In this case, since the service antenna 201 is installed in the service area, only the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the service area is receiv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도 5와 같은 중계기(10) 구성에 의하여 신호가 중계 전송되는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기지국 영역에는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가 모두 존재하며 서비스 영역에는 단말기 신호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지국 신호를 중계 전송할 경우에는 도너 안테나(101)에서 서비스 안테나(201)로 기지국 신호를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만 발생하기 때문에 즉, 서비스 영역에는 기지국 신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 영역의 기지국 신호를 중계부(300)를 통하여 서비스영역으로 신호의 충돌없이 정상적으로 중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 신호를 중계 전송할 경우에는 도너 안테나(101)에서 서비스 안테나(201)로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를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중계 전송하는 경우와, 서비스 안테나(201)에서 도너 안테나(101)로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를 업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중계 전송하는 경우 즉, 두 가지 경우가 발생되며, 이 경우에 모두 동시에 발생되어 중계부(300)로 입력되면, 시간적으로 상기 두 경로상의 신호가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신호를 정상적으로 중계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신호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계부(300)의 다운링크 신호경로상에 제 1 지연기(303)를 구비하므로써 다운링크 신호경로의 단말기 신호가 시간적으로 지연되기 때문에 업링크 신호경로를 통하는 서비스측의 단말기 신호가 중계부(300)를 통하여 기지국의 도너 안테나(101)에 우선적으로 중계 전송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signal is relayed by the repeater 10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the base station signal and the terminal signal is present in the base station area, only the terminal signal in the service area, In the case of relay transmission of the base station signal, since the base station signal is transmitted only from the donor antenna 101 to the service antenna 201 through the downlink signal path, that is, the base station signal does not exist in the service area. The base station signal may be normally relay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ice area through the relay unit 300 without collision of the signal. However, when the terminal signal is relayed, the donor antenna 101 relays the terminal signal in the base station area to the service antenna 201 through the downlink signal path, and the service antenna 201 performs the donor antenna 101. In the case of relay transmission of a terminal signal of a low service area through an uplink signal path, that is, two cases occur. In this case, when both signals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nd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he signals on the two paths are temporally transmitted. When a collision occurs with each other, a signal cannot be relayed normally. Therefore, since the first delay unit 303 is provided on the downlink signal path of the relay unit 300 in order to prevent such a signal collision, the uplink signal is delayed because the terminal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ath is delayed in time.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side via the path is relayed preferentially to the donor antenna 101 of the base station via the relay unit 300.

상기 중계부(30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으로서, 도너측 경로스위치(301)와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 사이에 위치하며, 다운링크 신호경로일 경우에는 상기 도너측 경로스위치(301) 후단부에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중계부(300)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AMP(302)가 연결되어 스위칭 되고, 업링크 신호경로일 경우에는 상기 도너측 경로스위치(301) 전단부에 업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 4 AMP(311)가 연결되어 스위칭 된다.The relay unit 300 is a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located between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and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and in the case of a downlink signal path,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A first AMP 302 for amplifying a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n the case of an uplink signal path. The fourth AMP (311) for amplifying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uplink signal path is connected to and switched.

따라서, 상기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는 상기 제 1 AMP(302)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AMP(302)는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전송되어지는 신호를 지연하는 제 1 지연기(303)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지연기(303)는 제 2 지연기(305)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지연기(305)는 제 2 AMP(306)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AMP(306)는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와 연결되어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제 1 지연기(303)와 제 2 지연기(305)의 사이에는 상기 기지국 영역에서 중계부(300)로 입력되어 서비스 영역으로 중계 전송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가 위치한다.Accordingly,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connected to the first AMP 302, and the first AMP 302 is a first delayer 303 for delay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downlink signal path. Is connected to the second delayer 305, and the second delayer 305 is connected to the second AMP 306, and the second AMP 306 is connected to the second AMP 306. Is connected to the service-side path switch 307 to form a downlink signal path, and is input between the first delayer 303 and the second delayer 305 to the relay unit 300 in the base station area. And a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for detecting a signal relayed to the service area is located.

또한, 상기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는 제 3AMP(308)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AMP(308)는 제 3 지연기(310)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지연기(310)는 제 4 AMP(311)와 연결되며, 상기 제 4 AMP(311)는 도너측 경로스위치(301)와 연결되어 업링크 신호경로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제 3 AMP(308)과 상기 제 3 지연기(310)의 사이에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서 중계부(300)로 입력되어 기지국 영역으로 중계 전 송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업링크 신호검출부(309)가 위치한다.In addition, the service-side path switch 307 is connected to the third AMP 308, the third AMP 308 is connected to the third delayer 310, the third delayer 310 is the fourth The fourth AMP 311 is connected to a donor side path switch 301 to form an uplink signal path, and the third AMP 308 and the third retarder 310. ) Is an uplink signal detector 309 for detecting a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from the service area and relayed to the base station area.

상기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9)는 다운/업링크 신호경로 상에서 입력된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신호에 의하여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9)에는 스위칭 제어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되어 저장된 마이컴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스위치 오프지연 타이머를 동작시켜 도너측/서비스측의 경로스위치(301, 307)를 순차적으로 시간 제어하므로써 안정적인 스위칭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The down / uplink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monitor and detect signals input on the down / uplink signal paths, and the switching control program is provided to the down / uplink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s.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is pre-input and stored, and performs a stable switching control operation by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path switches 301 and 307 of the donor side / service side by operating a switch-off delay timer by the switching control program. .

다운링크 신호경로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면,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는 도너부(100)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기 서비스부(200)로 중계 전송하는 다운링크 신호경로상의 상기 제 1 지연기(303)와 제 2 지연기(305)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지국 영역의 신호가 상기 중계부(300)로 입력되면, 입력되어 중계 전송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한 후, 검출된 신호에 의하여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설정되도록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되도록 스위칭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는 스위칭 제어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되어 저장된 마이컴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스위치 오프지연 타이머를 동작시킴으로써 전송되는 신호가 유실되지 않고 또한 업링크 신호경로를 따라 중계 전송되어지는 신호와 서로 충돌함이 없이 순차적으로 시간 제어하므로써 안정적인 스위칭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In the case of the downlink signal path, the downlink signal detection unit 304 relay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onor unit 100 to the service unit 200 to relay the first delay on the downlink signal path. It is located between the device 303 and the second delay unit 305, when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is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he signal is detected by monitoring the relayed and transmitted, and then the detected signal Switching control so that the service-side path switch 307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so that the downlink signal path is set by. More specifically, the downlink signal detection unit 304 is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controller in which a switching control program is pre-input and stored, so that a signal transmitted by operating a switch-off delay timer by the switching control program is not lost and also an uplink signal. Stable switching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by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time without colliding with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relay along the path.

업링크 신호경로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면, 상기 업링크 신호검출부(309)는 서비스부(200)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기 도너부(100)로 전송하는 업링크 신호경로상 의 상기 제 3 AMP(308)과 상기 제 3 지연기(31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서비스 영역의 신호가 상기 중계부(300)로 입력되면, 입력되어 중계 전송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한 후, 검출된 신호에 의하여 업링크 신호경로가 설정되도록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되도록 스위칭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도 스위칭 제어프로그램이 미리 입력되어 저장된 마이컴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스위치 오프지연 타이머를 동작시킴으로써 전송되는 신호가 유실되지 않고 또한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따라 중계 전송되어지는 신호와 서로 충돌함이 없이 순차적으로 시간 제어하므로써 서비스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스위칭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In the case of an uplink signal path, the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9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ce unit 200 to the donor unit 100 and transmits the third AMP on the uplink signal path. Located between the 308 and the third delayer 310, when the signal of the service area is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he signal is detected by monitoring the relayed and transmitted, and then detected Switching control so that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so that the uplink signal path is set. More specifically, the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9 is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in which a switching control program is pre-input and stored so that a signal transmitted by operating the switch-off delay timer by the switching control program is not lost and the downlink signal is also lost. By controlling the time sequentially without colliding with the relayed signal along the path, the switching control is stably performed even when the service area is a shaded area.

특히, 상기한 제 1 지연기(303)는 다운/업링크 신호경로상에 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각각의 단말기 신호를 순차적으로 검출되어 중계 전송되도록 다운링크 경로상에 구비된 본 발명의 핵심구성으로서, 상기 제 1 지연기(303)는 바람직하기로는 탄성 표면파 필터이며, 또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구성 모두가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의 전단부에 위치하여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상기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검출되어 업링크 신호 경로가 먼저 활성화되도록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 검출되는 상기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delay unit 303 is a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on the downlink path to sequentially detect and relay each terminal signal that can be generated simultaneously on the down / uplink signal path. The first retarder 303 is preferably a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and may be any known configur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The first retarder 303 may be located at a front end of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to delay the time of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detected by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so that the uplink signal path is activated first.

또한, 상기 제 2 지연기(305)는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의 제 1 지연기(303)와 동일한 탄성 표면파 필터이며, 또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구성 모두가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동작시킨 후에 상기 도너부(100)에서 상기 중계부(300)로 입력된 신호 즉, 기지국 및 단말기 신호가 상기 다운링크 경로를 통하여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까지 전송될 수 있도록 중계 전송중인 신호의 시간을 지연시킨다.In addition, the second retarder 305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preferably the same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as the first retarder 303, and performs the same function. All known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nd after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is operated by a signal detected by the downlink signal detection unit 304, the donor unit 100 is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he signal, that is,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signal, delays the time of the relay transmission signal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through the downlink path.

또한, 상기 제 3 지연기(310)는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의 제 1 지연기(303)와 동일한 탄성 표면파 필터이며, 또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구성 모두가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를 동작시킨 후에 상기 서비스부(200)에서 상기 중계부(300)로 입력된 신호 즉, 단말기 신호가 상기 업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까지 전송될 수 있도록 중계 전송중인 신호의 시간을 지연시킨다.In addition, the third retarder 310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preferably the same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as the first retarder 303, and performs the same function. All known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nd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operated by the signal detected by the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9 and then input from the service unit 200 to the relay unit 300. The signal, ie, the terminal signal, delays the time of the relay transmission signal so that the terminal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through the uplink signal path.

도 6은 본 발명의 각 경로에서 검출되는 RF 신호의 시간 변화와 그에 따른 경로스위치 상태도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도 5에서 중계부(300)의 제 1 지연기(303)와 신호검출부(304, 309)의 마이컴 제어부에 내장된 경로 스위칭 온/오프 지연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기(10)에 단말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다운/업링크 신호경로별로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도달되어 검출되는 신호의 시간변화 및 그에 따른 경로스위치(301, 307)의 스위칭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change of an RF signal detected in each pat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th switch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 5 illustrates a first delay unit 303 and a signal detector of the relay unit 300 in FIG. When the terminal signal is input to the repeater 10 using a path switching on / off delay algorithm built in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of 304 and 309,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and 309 is reached for each down / uplink signal path. The time change of the detected signal and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ath switches 301 and 307 accordingly are shown.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중계기(10)는 도너 안테나(101)로부터 서비스 안테나(201)에 업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신호가 중계 전송되는 과정에서 도 3 및 도 4와 같은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와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어 중계부(300)로 입력되면 다운링크 신호경로와 업링크 신호경로상에 단말기 신호가 모두 동시에 존재하여 상기 두 단말기 신호간에 충돌을 일으켜 중계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중계부(300)의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서비스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먼저 검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중계기(10)는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있으면 다운링크 신호경로의 신호를 지연시켜 업링크 신호경로의 신호가 먼저 검출될 수 있도록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와 제 1 AMP(302) 사이에 제 1 지연기(303)를 구비한다. 즉, 다운링크 신호경로상의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 전단부에 구비된 제 1 지연기(303)를 구비하므로써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서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따라 중계 전송되는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에 대한 감지 시간이 업링크 신호경로상의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감지되는 서비스영역인 음영지역의 단말기 신호가 감지되는 시간에 비하여 제 1 지연기(303)를 통과하는 시간만큼 지연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서비스 영역인 음영지역에서 발생되는 단말기 신호를 우선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업링크 신호경로가 활성화된다.In the repeater 10 using the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is relayed from the donor antenna 101 to the service antenna 201 through the uplink signal path. In the conventional ca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and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area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nd input to the relay unit 300, both terminal signals are simultaneously present on the downlink signal path and the uplink signal path. Since the repeater 10 does not operate normally due to a collision between the terminal signal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region delays the time for reaching the downlink signal detection unit 304 of the relay unit 300 and thus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region. Is detected first by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That is, if there is a terminal signal in the base station area, the repeater 10 delays the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ath so that the signal of the uplink signal path can be detected first and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and the first AMP 302. The first retarder 303 is provided in between. That is, the terminal of the base station area that is relayed along the downlink signal path by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by having a first delay unit 303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on the downlink signal path. Since the detection time for the signal is delayed by the time passing through the first delay unit 303 as compared with the time when the terminal signal of the shadow area, which is the service area detected by the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9 on the uplink signal path, is detected. As a result, an uplink signal path that can preferentially transmit a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a shadow area, which is a service area, is activated.

결과적으로 상기 중계기(10)의 중계부(300)에 기지국 영역의 기지국 신호가 입력되어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된 후에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입력되어 업링크 신호경로로 변화되는 경우에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7)에서 검출되는 입력신호의 시간변화와 그에 따른 다운/업링크 경로스위치(301, 307)의 스위칭 동작 과정에 의하여 신호의 충돌없이 정상적으로 중계기(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base station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is input to the relay unit 300 of the repeater 10 and the downlink signal path is formed,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area is input to change the uplink signal path. By the time change of the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7 and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down / uplink path switches 301 and 307, the relay 10 may be normally operated without a signal collision. have.

또한, 기지국 영역의 기지국 신호가 입력되어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신호가 중계 전송한 후에 서비스 영역의 단말가 신호가 입력되어 다운링크 신호경로에서 업링크 신호경로로 그 신호경로가 절환되는 경우 또는 서비스영역의 단말가 신호가 입력되어 업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신호가 중계 전송한 후에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입력되어 업링크 신호경로에서 다운링크 신호경로로 그 신호경로가 절환되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종래의 중계기인 경우에는 서비스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 TTG(Tx/Rx Transition Gap) 시간 및 RTG(Rx/Tx Transition Gap) 시간이 발생되어 경로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데이터가 유실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스위칭 동작의 오류나 데이터가 유실됨이 없이 정상적으로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when the base station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is input and the signal is relay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downlink signal path, the terminal of the service area receives the signal and the signal path is switched from the downlink signal path to the uplink signal path. When the signal of the terminal is input and the signal is relayed through the uplink signal path,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is input and the signal path is switched from the uplink signal path to the downlink signal path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a repeater, when the service area is a shaded area, TTG (Tx / Rx Transition Gap) time and RTG (Rx / Tx Transition Gap) time are generated, which causes errors in switching operation of the path switch, resulting in data loss. Although frequently occur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rror of the switch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normal without loss of data. Serves as a repeater.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 5와 같은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TD용 RF 중계기를 참고로 하여 도 6을 설명하면 즉, 중계부(300)에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과 다운/업링크 신호경로별로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도달되어 검출되는 신호의 시간변화 및 그에 따른 경로스위칭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6 with reference to the TTD RF repeater using the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signal to the relay unit 300 and the down / The time variation of the signal reached and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ccording to the uplink signal paths and the path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plink signal paths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도너측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중계부(300)에 입력되면,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는 온상태이며,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되도록 출력측인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는 초기 설정의 오프상태에서 즉시 온상태로 절환되며 즉, 도면 에서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활성화되는 시간은 t1 이다. 이 때 업링크 신호경로의 입장에서 보면 업링크 신호경로의 입력측 경로스위칭인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는 오프상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위칭 절환에 의하여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활성화된다.First, when a signal received from the donor side antenna is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on, and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on the output side is initially set so that the downlink signal path is formed.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immediately, i.e., the time when the downlink signal path is activated in the figure is t1. At this time, from the standpoint of the uplink signal path,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which is the input side path switching of the uplink signal path is in an off state. Therefore, the downlink signal path is activated by the above switching switching.

도 6에서와 같이 t1~t2 시간 동안은 다운링크의 출력측인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가 온상태를 유지하는 구간이다. As shown in FIG. 6,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which is the output side of the downlink, is maintained in the on state for the time t1 to t2.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t2~t3 구간은 기지국 신호가 모두 중계 전송된 후에 어떠한 신호도 검출되지 않는 다운링크 스위치 오프 시간지연 구간으로서 스위치는 계속하여 온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상기와 같이 t2~t3 구간 동안 활성화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다운/업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신호를 중계 전송하는 짧은 구간에서 발생하는 무신호 구간, 예를 들면 신호경로가 절환되는 다운링크에서 업링크로, 업링크에서 다운링크로 절환될시 또는 신호를 중계 전송하는 도중에 서비스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 빈번히 발생되는 신호가 끊기는 경우라도 스위치는 활성화 동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스위칭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period t2 to t3 is a downlink switch-off time delay period in which no signal is detected after all of the base station signals are relayed and transmitted, and the switch must remain on. That is,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activation state for the period t2 to t3 as described above is a no-signal period that occurs in a short period for relaying the signal through the down / uplink signal path, for example, a downlink for which the signal path is switched. Even when the signal is frequently cut off when switching from uplink to uplink, downlink or during signal transmission, if the service area is in the shadow area, the switch keeps activating operation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is stable. To be perform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위치가 활성화 상태에서 차단상태로 변하는 시간인 다운링크 스위치오프 지연 시간을 너무 길게 지연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는 상기 스위칭이 활성화 상태에서 차단상태로 변하는 과정에서 업링크 스위칭이 완료되면 즉시 다운링크 및 업링크가 최초 설정된 상태로 복귀하여 다운링크 경로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일정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일정시 간 모니터링 하는 시간을 대기구간이라 하며, 이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t3~t4 구간 동안에 신호를 모니터링 하여 검출한다. However, there is a limit to delay the downlink switchoff delay time, which is the time when the switch is changed from the active state to the disconnected stat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uplink switching is completed in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active state to the disconnected state, a certain time is required for monitoring the signals of the downlink path by directly returning the downlink and the uplink to the initially set state. to be. Such a time monitoring time is called a waiting period, which is detected by monitoring the signal during the period t3 ~ t4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위칭이 활성화 상태에서 차단상태로 변하는 시간을 과도하게 지연하면 다운링크 입력신호 입력시간 전에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를 동작시킬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의 스위칭 시간은 신호가 송/수신으로 절환되는 지연갭으로 인해 발생되는 시간인 RTG(Rx/Tx Transition Gap) 시간보다 작게 설정하여 스위칭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f the above switching time is excessively delayed from the activation state to the blocking state, the downlink signal detection unit 304 cannot be operated before the downlink input signal input time, so that the switching time of the service-side path switch 307 is reduced. Is set smaller than RTG (Rx / Tx Transition Gap) time, which is a time generated due to a delay gap in which a signal is switched to transmit / receive, so that switching operation can be stably performed.

한편, 상기와 같이 다운링크 출력측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되면 즉시 다운링크 및 업링크가 최초 설정된 상태로 복귀하여 중계부(300)로 입력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일정시간인 대기구간 t3~t4 시간 동안에 모니터링 하는 동안에 업링크 신호경로를 따라 서비스 영역에서 단말기 신호가 발생되어 중계부(300)에 입력되고 동시에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되면, 기지국 영역에서 발생되는 단말기 신호는 제 1 지연기(303)에 의하여 제 1 지연기(303) 삽입 지연구간인 t4~t5 시간만큼 지연되어 t5 시간에 검출되고, 반면에 서비스 영역에서 발생되는 단말기 신호는 지연 시간이 없기 때문에 t4 시간에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 도달되어 검출된다. 따라서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서 신호가 검출되는 시간보다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먼저 우선적으로 검출되기 때문에, 다운링크 신호경로는 시간 t3에서 차단되는 반면에 업링크 신호경로는 시간 t4에서 온상태로 되어 활성화도록 도너측 및 서비스측의 경로스위치(301, 307)는 절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wnlink output side switch is turned off as described above, the downlink and uplink are immediately returned to the initially set state and are monitored during the waiting period t3 to t4 time which is a predetermined time for monitoring the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While the terminal signal is generated in the service area along the uplink signal path while being input to the relay unit 300 and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is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hrough the downlink signal path, the terminal signal is generated in the base station area. The terminal signal is delayed by the first delayer 303 by t4 to t5 time, which is the insertion delay period of the first delayer 303, and is detected at t5 time, while the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the service area has a delay time. Since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is reached at time t4, it is detected. Therefore, since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is preferentially detected before the time at which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the downlink signal path is blocked at time t3 while the uplink signal path is blocked at time t4. The path switches 301 and 307 on the donor side and the service side are switched to be turned on and activated.

상기와 같이 업링크의 출력측인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가 온상태로 활성화 되면 업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되어 일정시간 구간 동안인 t4~t6 시간 동안에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가 온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다운링크에서 업링크 신호경로로 또는 업링크에서 다운링크로 신로경로가 절환되는 경우 및 신호를 중계 전송하는 도중에 서비스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 빈번하게 신호가 끊기는 경우가 발생되어 신호가 없는 무신호 시간인 경우에는 상기의 t2~t3 구간과 동일하게 스위치 오프 지연시간(Switch Off Delay)구간을 설정하여 스위칭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which is the output side of the uplink, is activated in the on state, the uplink signal path is formed, and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continues in the on state for a period of time t4 to t6. Keep it. However, even in this case, when the signal path is switched from the downlink to the uplink signal path or from the uplink to the downlink, and the signal is frequently disconnected when the service area is in the shadow area during the relay transmission of the signal. In the case where the signal is generated and there is no signal time, the switch off delay period is set in the same manner as the t2 to t3 section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can be stably performed.

즉,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중계기의 제 1 지연기(303)가 구비된 중계기(10)에 의하여 두 개의 신호검출부(304, 309)가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도너측 또는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1, 307)가 업링크 신호경로로 스위칭 동작이 활성화된 상태로 진행되는 동안에 비록 신호가 없는 무신호인 경우에도 스위칭 동작은 일정시간 동안 즉, 스위치 오프 지연시간동안인 t6~t7 구간 동안에도 현재 체결되어 있는 스위치는 지속적으로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That is, the donor side or the service side route switch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signal input by the two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by the repeater 10 equipped with the first delayer 303 of the repeater of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301 and 307 are in the state where the switching operation is activated in the uplink signal path, even if there is no signal, the switching operation is still present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during the t6 to t7 interval during the switch-off delay time. Engaged switches remain active.

또한, 상기의 스위칭 동작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다운링크 신호경로인 경우에 상기 중계부(300)의 제 2 지연기(305)는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동작시킨 후에 상기 도너부(100)의 단말기 신호가 상기 다운링크 경로를 통하여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로 전송되도록 즉,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가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다운링크 신호경로로 활성화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서비스측 경로 스위치(307)가 다운링크 신호경로로 활성화되기 이전에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서비스 안테나(201)로 전송되면 다운링크 신호경로의 단말기 신호는 소멸되기 때문에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가 다운링크 신호경로로 스위칭된 후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활성화되도록 시간을 지연시킨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downlink signal path, the second delay unit 305 of the relay unit 300 may provide the service by a signal detected by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After operating the side path switch 307, the terminal signal of the donor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through the downlink path, that is, the downlink signal detection unit 304 is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is transmitted to the downlink signal path to transmit a switch control signal so that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antenna 201 before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is activated to the downlink signal path. Since the terminal signal of the signal path is extinguished, delay the time so that the downlink signal path is activated after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is switched to the downlink signal path. Kinda.

또한 업링크 신호경로인 경우에 중계부(300)의 제 3 지연기(306)는 상기 제 2 지연기(305)와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동작한다.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를 동작시킨 후에 상기 서비스부(200)의 단말기 신호가 상기 업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로 전송되도록 한다. 즉, 업링크 신호검출부(309)가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로 업링크 신호경로를 활성화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가 업링크 신호경로로 활성화되기 이전에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도너 안테나(101)로 전송되면 업링크 신호경로의 단말기 신호는 소멸되기 때문에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가 업링크 신호경로로 스위칭된 후 업링크 신호경로가 활성화되도록 시간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RF 중계기에 구비된 제 1 지연기(303)에 의하여 두 개의 단말기 신호가 존재할 경우에도 두 신호간에 충돌이 발생되지 않게 순차적으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 2 지연기(305) 또는 제 3 지연기(310)에 의하여 신호 데이터의 유실없이 스위칭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uplink signal path, the third delay unit 306 of the relay unit 300 operates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second delay unit 305. After operating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9,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unit 200 is transferred to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through the uplink signal path. To be transmitted. That is, the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9 transmits a switch control signal to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to activate the uplink signal path so that the service area before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activated as the uplink signal path. Since the terminal signal of the uplink signal path is lost when the terminal signal of the uplink signal path is transmitted to the donor antenna 101, the time delay is delayed so that the uplink signal path is activated after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switched to the uplink signal path. . Accordingly, even when two terminal signals are present by the first delay unit 303 provided in the RF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operation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so that a collision does not occur between the two signals. 305 or the third delayer 310 can stably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without loss of signal data.

도 7은 본 발명의 신호검출부에 검출되는 RF 신호의 변화에 따라 동작되는 전체적인 경로스위치의 출력파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되도록 다운링크의 출력측 경로스위치(301)가 온상태에서 활성화 되는 동안에 NS(No Signal)와 같은 짧은 무신호 구간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짧은 무신호 구간인 TNS가 기 설정된 기준 설정시간인 TDeley 에 비하여 적으면 현재의 스위치 온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어떠한 스위칭 절환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서비스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도 전송되는 신호가 유실없이 성공적으로 중계 전송되도록 한다.FIG. 7 illustrates an output waveform diagram of an overall path switch operated according to a change in an RF signal detected by a signal det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n output side path switch 301 of a downlink is formed such that a downlink signal path is formed. There is a short no-signal interval such as NS (No Signal) while it is active in the ON state. If the short no-signal section T NS is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set time T Deley , the current switch-on state is maintained to prevent any switching switching operation from occurring. Ensure that the signal is successfully relayed without loss.

또한, 신호의 경로가 전환되는 구간 즉, 예를 들면 다운링크 신호경로에서 업링크 신호경로로 절환될 경우에는 도너 안테나(101)는 신호의 송신에서 수신으로 전환되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TTG(Tx/Rx Transition Gap)의 구간이 발생되고, 반면에 서비스 안테나(201)는 업링크 신호가 수신에서 송신으로 전환될 경우에는 RTG(Rx/Tx Transition Gap)의 구간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업링크인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발생되며, 따라서 이와 같이 안테나(101, 201)의 동작이 송신에서 수신 또는 수신에서 송신으로 전환되는 구간 동안에 경로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경로스위치의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절환시의 스위치 오프 지연시간은 RTG 시간 구간에 비하여 작다. 즉, TDeley < TRTG 이다. Further, when the path of the signal is switched, i.e., when switching from the downlink signal path to the uplink signal path, the donor antenna 101 switches from the transmission of the signal to the reception, in which case TTG (Tx / A section of Rx Transition Gap is generated, while the service antenna 201 generates a section of Rx / Tx Transition Gap when the uplink signal is switched from reception to transmission. This phenomenon is generated by the same principle even in the uplink, and thu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ath switch occurs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antennas 101 and 201 is switched from transmission to reception or reception to transmission. Therefore, in such a case, the switch-off delay time when the path switch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RTG time interval. That is, T Deley <T RTG .

상기와 같이 스위칭 절환시 스위칭 온오프 지연시간인 TDeley 을 제한하는 이유는, 임의의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시간 이전에 우선적으로 신호검출부(304, 309)를 동작시켜 새로이 입력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하기 위한 최 소한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limiting the switching on / off delay time T Deley at the time of switching switching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re newly inputted prior to the time when an arbitrary signal is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his is because a minimum amount of time is required to monitor and detect the signal.

따라서, 서비스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도 스위칭 절환시 스위치 온/오프 지연시간의 과도한 할당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스위칭동작의 오류나 데이터의 유실없이 정상적으로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Therefore, even if the service area is a shadow area, the relay normally functions as a repeater without an error in switching operation or loss of data caused by excessive allocation of a switch on / off delay time during switching.

도 8은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의 중계제어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중계부(300)에서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9)에 내장된 마이컴 제어부의 스위칭 온/오프 지연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로 스위칭 제어동작에 따른 TDD용 RF 중계기의 중계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한다.8 illustrates a relay control method of an RF repeater for TDD using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The relay control method of the TDD RF repeater according to the path switching control operation using the switching on / off delay algorithm of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built in the down / uplink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in the relay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Perform the same steps as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10)의 안테나(101, 20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입력측 경로스위치(301, 307)는 온상태로 설정하며 중계부(30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는 오프상태로 설정하는 대기모드 단계(S110)와, 상기 중계부(300)에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제1 신호판단 단계(S120)와, 상기 제 1 신호판단 단계(S120)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하여 신호경로를 활성화하는 경로활성화 단계(S130)와, 상기 제1 신호판단 단계(S120)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상기 신호검출 단계(S120)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S131)와, 상기 경로활성화 단계(S130) 이후에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가 온상태로 지속되는 동안에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 의하여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신호의 존재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와,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검출부(304, 309)의 오프지연 타이머를 구동하여 오프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지연시간 카운트 단계(S150)와,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를 수행하는 단계(S151)와, 상기 오프지연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동안에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의 존재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3 신호판단 단계(S160)와,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S160)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과 카운트된 오프지연시간을 비교하는 시간비교 단계(S170)와,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S160)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오프지연 타이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타이머리셋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를 수행하는 단계(S171)와, 상기 시간비교 단계(S170)의 시간비교결과,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에 비하여 카운트된 오프지연시간이 크면 오프지연타이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타이머리셋 단계(S180)와, 상기 시간비교 단계(S170)의 시간비교결과,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에 비하여 카운트된 오프지연시간이 적으면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S160)를 수행하는 단계(S181)와, 상기 타이머리셋 단계(S180)를 수행한 후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를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절환하는 단계(S190)를 수행한 후, 상기 대기모드 단계(S110)를 수행한다.Input side path switches 301 and 307, in which signals received from the antennas 101 and 201 of the repea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put to the relay unit 300, are set to ON and signals from the relay unit 300 are turned on.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7 and 301 to be output are in the standby mode step S110 of being set to the off state, and the signal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re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s a result of the first signal judging step S120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ignal and the signal judging result of the first signal judging step S120, when signals are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n output side path switch for outputting the signal ( A path activation step (S130) for activating the signal path by switching the 307, 301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in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S120),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309). If not detected, the signal detection step S120 is repeated until a signal is detected.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or 309 receives a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while the output step path switch 307 or 301 is kept on after the step S131 and the path activation step S130 are continued. The second signal judging step (S140) and the second signal judging step (S140) to continuousl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al by performing the operation to detect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309) If is not detected, the delay time count step (S150) of driving the off delay timers of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to count the off delay time, and the signal determination result and signal detector of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40). When a signal is detected at 304 and 309, performing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40 until no signal is detected (S151) and sending the signal to the relay unit 300 while driving the off delay timer.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When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or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step S160 of detecting the signal and continuousl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ignal and the signal determination result of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60, The time comparison step (S170) of comparing the preset off delay time and the counted off delay time, and the signal detection result of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60), when the signal is detected in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309) is turned off After performing the timer reset step of resetting the delay timer to an initial value, performing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40) (S171), the time comparison result of the time comparison step (S170), and a preset off delay If the counted off delay time is greater than the time, the timer reset step (S180) of resetting the off delay timer to an initial value and the time comparison result of the time comparison step (S170), and the counted off compared to the preset off delay time If the time period is short, the step S181 of performing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60 and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7 and 301 for outputting a signal after performing the timer reset step S180 are turned on.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off state (S190), the standby mode step (S110) is performed.

이상과 같은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9)에 내장된 마이컴 제어부의 스위칭 온/오프 지연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로 스위칭 제어동작에 따른 TDD용 RF 중계기의 중계제어방법의 각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ach step of the relay control method of the TDD RF repeater according to the path switching control operation using the switching on / off delay algorithm of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built in the down /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4, 309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Is as follows.

첫 번째 단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10)의 안테나(101, 20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입력측 경로스위치(301, 307)는 온상태로 설정하며 중계부(30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는 오프상태로 설정되는 대기모드 단계(S1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first step, the input side path switches 301 and 307 through which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antennas 101 and 201 of the repea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put to the relay unit 300 are set to the ON state and the relay unit ( The standby mode step S110 in which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7 and 301 in which the signal is output from 300 is set to the off state will now be described.

즉, 중계기(10)가 리셋 또는 최초 시작될 때 상기 중계기(10)의 안테나(101, 20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되도록 입력측 경로스위치(301, 307)는 온상태로 설정하며, 중계부(30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는 오프상태로 설정한다. 즉, 다운링크 신호경로인 경우를 설명하면 입력측인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가 온상태로 되며 출력측인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는 오프상태이다. 반면에 업링크 신호경로인 경우를 설명하면 입력측인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는 온상태로 설정되는 것이며, 출력측인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는 오프상태이다. 이와 같이 입력측 경로 스위치(301, 307)가 체결된 상태로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대기하는 초기 리셋 단계가 자동 설정되는 과정이다. 또한, 중계기(10)가 입력된 신호를 원활하게 모두 전송하여 중계를 완료하면 상기와 같은 초기 상태로 자동 전환된다.That is, when the repeater 10 is reset or initially started, the input side path switches 301 and 307 are set to the on state so tha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s 101 and 201 of the repeater 10 is input to the repeater 300.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7 and 301 for outputting signals from the relay unit 300 are set to the off state. That is, in the case of the downlink signal path,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on the input side is turned on and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on the output side is off.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uplink signal path,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on the input side is set to the on state, and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on the output side is off. As described above, the initial reset step of waiting for the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while the input side path switches 301 and 307 are engaged is automatically set. In addition, when the repeater 10 transmits all the input signals smoothly and completes the relay, the repeater 10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initial state as described above.

두 번째 단계로서, 상기 중계부(300)에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제 1 신호판단 단계(S12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second step,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S12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detected signal by detecting the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will be described below. .

즉, 다운링크 신호경로인 경우에 상기 도너 안테나(101)가 기지국 영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지국 영역에서 발생되는 기지국 신호와 단말기 신호 모두가 수신되며, 반면에 업링크 신호경로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안테나(201)가 서비스 영역(또는 음영지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서비스 영역에서 발생되는 단말기 신호만을 수신한다. That is, since the donor antenna 101 is installed in the base station area in the case of the downlink signal path, both the base station signal and the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the base station area are received, whereas in the case of the uplink signal path, the service antenna is received. Since 201 is installed in the service area (or the shaded area), only the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the service area is recei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중계기(10)에서는 세가지 종류의 신호가 발생하며, 각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도너 안테나(101)로부터 서비스 안테나(201)에 기지국 영역에서 발생하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 신호를 전송할 경우에는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가 다운링크 신호경로로 설정되고, 중계부(300)로 입력되어 중계되는 신호가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서 모니터링되어 검출되며, 검출된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의 스위칭 제어 동작에 의하여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가 오프 상태에서 온상태로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활성화되도록 절환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repea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types of signals are generated, and in each case, first, the base station or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the base station area from the donor antenna 101 to the service antenna 201 will be described. In case of transmission,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set as the downlink signal path, and the signal input and relayed to the relay 300 is monitored and detected by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and the detected signal exists. In response,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by the switching control operation of the downlink signal detection unit 304 so that the downlink signal path is activated.

또한 상기 서비스 안테나(201)에서 단말기 신호가 수신되면,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는 상기 대기모드 단계(S110)에서와 같이 최초 설정한 그대로 온상태로 유지된 채 업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되도록 서비스 안테나(201)에서 도너 안테나(101)로 신호를 중계 전송되는 단말기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되어 업링크 신 호검출부(309)에서 모니터링되어 검출되므로써 검출된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의 스위칭 제어 동작에 의하여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가 오프 상태에서 온상태로 즉, 다운링크 신호경로에서 업링크 신호경로로 절환되어 활성화되도록 입력되어 중계 전송되어지는 단말기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한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antenna 201, the service-side path switch 307 services the uplink signal path to be formed while being kept in the ON state as initially set as in the standby mode step S110. The terminal signal, which relays the signal from the antenna 201 to the donor antenna 101, is input to the relay unit 300 and monitored and detected by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to determine that the detected signal is present.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turned on from the off state, that is, switched from the downlink signal path to the uplink signal path and activated by the switching control operation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309. Monitor and detect.

그러나 상기 설명한 경우와 같이 기지국 신호 또는 하나의 단말기 신호만이 발생할 경우에는 중계기(10) 동작에 있어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서비스 안테나(201)에서 도너 안테나(101)로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를 중계 전송하는 도중에 동시에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도너 안테나(101)에서도 검출되면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와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 즉, 두 개의 신호가 서로 충돌하여 중계기가 정상동작 하지 않는다. 즉, 두 개의 신호 중 어느 한 신호는 지연되어야 원활한 중계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신호가 동시에 중계부(300)에 입력될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다운링크 경로상에 구비된 제 1 지연기(303)에 의해서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시간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제1 지연기(303)에 의해서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따라 중계 전송되는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지연되기 때문에 서비스 영역에서 발생되는 단말기 신호가 먼저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모니터링되어 검출되며, 검출된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의 스위칭 제어동작에 의하여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가 최초 설정된 다운링크 신호경로에서 업링크 신호경로로 절환되어 서비스측 단말기 신호를 먼저 중계 전송한 후에 초기 상태로 리셋되는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가 업링크에서 다운링크 신호경로로 절환되어 비로소 기지국 영역에서 발생된 단말기 신호를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서비스측으로 중계 전송된다.However, when only the base station signal or one terminal signal occurs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repeater 10 does not cause a big problem. However, the service signal of the terminal in the service area is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antenna 201 to the donor antenna 101. If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is also detected by the donor antenna 101 during the relay transmission,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and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area, that is, two signals collide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repeater does not operate normally. That is, any one of the two signals must be delayed to achieve a smooth relay proces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wo signals are simultaneously input to the relay unit 300 as shown in FIG. Delaying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downlink signal path by the first delay unit 303 provided on the downlink path. Therefore, since the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relayed along the downlink signal path by the first delayer 303 is delayed, the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the service area is first monitored and detected by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detected signal exists,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switched from the initially set downlink signal path to the uplink signal path by the switching control operation of the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9, so that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side is first transferred.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which is reset to the initial state after the relay transmission, is switched from the uplink to the downlink signal path and relays the terminal signal generated in the base station area to the service side through the downlink signal path.

또한, 본 발명의 중계기(10)의 안테나(101, 201)에서 수신되어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스위칭 제어동작을 수행하지만, 반면에 안테나(101, 207)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무신호인 경우에는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어떠한 신호도 검출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스위칭 제어동작도 수행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101, 201 of the repea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he down / uplink signal detector 304, 309 detects the signal and the signal is Although it determines that there is a switching control ope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s 101 and 207, that is, no signal, the down / uplink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detect any signal. It does not perform any switching control operation.

세 번째 단계로서, 상기 제 1 신호판단 단계(S120)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하여 신호경로를 활성화하는 경로활성화 단계(S13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third step, when a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in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S120,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7 and 301 for outputting the signal are turned on. Referring to the path activation step (S130) to switch to the state to activate the signal path as follows.

즉, 상기 안테나(101, 201)에서 신호가 수신되어 중계부(300)로 입력된 경우이므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신호경로상에 구비된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9)가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모니터링하는 도중에 중계부(300)로 입력되어 중계 전송되는 신호를 검출하면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로 판단하여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9)에 구비된 마이컴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동작에 의하여 다운링크 신호경로인 경우에는 출력측인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하여 다운링크 신호경로를 활성화시키고, 반면에 업링크 신호경로인 경우에는 출력측인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시켜 활성화시킨다. 상기 두가지 경우 모두는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9)의 출력측 경로스위치(301, 307)를 동작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다운/업링크 신호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신호를 제 2 또는 제3 지연기(305, 306)에 의하여 지연시킨다. That is, since the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antennas 101 and 201 and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he down / uplink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provided on the downlink or uplink signal paths detect the signals. In order to detect a signal input to the relay 300 and relayed during monitoring, it is determined that a signal exists and is determined by the switching control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controller provided in the down / uplink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In the case of the downlink signal path,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on the output side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o activate the downlink signal path, while in the case of the uplink signal path,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on the output side. ) Is activated by switching from off state to on state. In both cases, the second or third delay delays a signal transmitted along the down / uplink signal path by the time required to operate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1 and 307 of the down / uplink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Delayed by the groups 305 and 306.

즉, 다운링크 신호경로인 경우에는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가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업링크에서 다운링크 신호경로로 활성화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가 다운링크 신호경로로 활성화되기 이전에 기지국 영역의 기지국(또는 단말기) 신호가 서비스 안테나(201)로 전송되면 다운링크 신호경로의 지지국(또는 단말기) 신호는 소멸되기 때문에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가 다운링크 신호경로로 스위칭되어 절환된 후 다운링크 신호경로가 활성화되어 신호의 유실없이 기지국 영역의 신호가 서비스영역으로 중계 전송되도록 다운링크 경로상에 구비된 제 2 지연기(305)에 의하여 전송 신호의 시간이 지연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downlink signal path,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transmits a switch control signal to activate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from the uplink to the downlink signal path so that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is down. If the base station (or terminal)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antenna 201 before being activated by the link signal path,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is down because the support station (or terminal)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ath is lost. After switching and switching to the link signal path, the downlink signal path is activated so that the signal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by a second delayer 305 provided on the downlink path to relay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to the service area without loss of the signal. The time is delayed.

또한, 업링크 신호경로인 경우에는 업링크 신호검출부(304)가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를 다운링크에서 업링크 신호경로로 활성화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가 업링크 신호경로로 활성화되기 이전에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도너 안테나(101)로 전송되면 업링크 신호경로의 단말기 신호는 소멸되기 때문에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가 업링크 신호경로로 스위칭되어 절환된 후 업링크 신호경로가 활성화되므로써 신호의 유실없이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기지국 영역으로 중계 전송되도록 업링크 경로상에 구비된 제 3 지연기(310)에 의하여 전송 신호의 시간이 지연된다.In the case of the uplink signal path,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4 transmits a switch control signal to activate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from the downlink to the uplink signal path so that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up. If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area is transmitted to the donor antenna 101 before being activated by the link signal path, the terminal signal of the uplink signal path is extinguished and thus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switched to the uplink signal path and switched. After the uplink signal path is activated, the time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delayed by the third delayer 310 provided on the uplink path so that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area is relayed to the base station area without loss of the signal.

반면에, 상기 제 1 신호판단 단계(S120)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상기 신호검출 단계(S120)를 수행하는 단계(S131)는, 이 경우는 어떠한 신호도 상기 안테나(101, 201)에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이므로 즉,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무신호인 경우이기 때문에 중계부(300)로 입력된 신호를 중계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를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초기에 설정된 출력측의 경로스위치(301, 307)를 절환하지 않고 초기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신호가 검출되어 신호경로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수행할 때까지 상기 신호검출 단계(S120)를 반복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a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of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S120, performing the signal detection step S120 until the signal is detected (S131). In this case, since no signal is received by the antennas 101 and 201, that is, the signal is a non-signalless signal, the downlink for relaying the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is transmitted. Alternatively, since the uplink does not need to be set, the signal detection step is performed until the signal is detected and the signal path is activated while maintaining the initial state without switching the path switches 301 and 307 on the output side initially set ( S120) is repeated.

네 번째 단계로서, 상기 경로활성화 단계(S130) 이후에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가 온상태로 지속되는 동안에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 의하여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신호의 존재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fourth step,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309 detects a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while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7 and 301 remain on after the path activation step S130. Referring to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40) to continuously determine the presence of the signal by performing the operation as follows.

즉, 다운링크인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경로활성화 단계(S130) 이후에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가 온상태로 지속되는 동안에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를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 의하여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신호의 존재 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downlink, the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is transmitted to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while the service-side path switch 307 is kept on after the path activation step (S130). It performs the operation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signal to continuously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e signal.

반면에, 업링크인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경로활성화 단계(S130) 이후에 도너측 경로스위치(301)가 온상태로 지속되는 동안에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를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 의하여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신호의 존재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uplink,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receives a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while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is maintained in the on state after the path activation step (S130). It performs the operation of detecting by to continuously determine the presence of a signal.

따라서, 상기 (S140)단계는 경로스위치(301, 307)가 체결되어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경로가 체결된 상태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더 이상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신호경로를 활성화할 필요가 없이 상기 출력측 경로스위치(301, 307)를 초기 상태로 다시 재설정하므로써 다음에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그 신호에 적합한 신호경로를 체결하기 신호검출부(304, 309)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신호를 검출하므로써 신호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refore, in the step (S140), if the signal is not detected while the path switches 301 and 307 are fastened and the downlink or uplink path is fastened, there is no need to activate the downlink or uplink signal path any more. By resetting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1 and 307 back to the initial state to detect the next received signal and fastening the signal path suitable for the signal.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continuously monitor and detect the signal. Performs an operation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e.

다섯 번째 단계로서,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검출부(304, 309)의 오프지연 타이머를 구동하여 스위치 오프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지연시간 카운트 단계(S15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fifth step, if a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in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40, the switch delay is driven by driving the off delay timers of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The delay time counting step (S150) for counting time is described as follows.

즉, 상기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무신호로 판단하여 더 이상은 신호경로를 활성화할 필요가 없이 초기 설정상태로 절환하기 위하여 신호검출부(304, 309)의 마이컴 제어부에 저장된 오프지연 타이머 프로그램를 구동하여 스위치 오프지연시간인 TTimer를 카운트 한다.In other words, if a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re determined to be no signal and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re switched to the initial set state without the need to activate the signal path any more. ) of the driving-off delay timer Programs stored in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which counts the T timer switch-off delay time.

상기와 같이 오프지연 타이머를 구동하는 이유는 종래의 중계기인 경우에 TTG(Tx/Rx Transition Gap)가 발생되거나, RTG(Rx/Tx Transition Gap)이 발생되어 경로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데이터가 유실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록 신호가 없는 무신호 구간인 경우에도 스위칭 동작은 현 상태를 유지 즉, 스위치오프 지연시간인 TTimer을 카운트하여 기준 설정시간인 TD 시간 동안 현재의 스위칭 동작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신호경로 상태 를 활성화하여 스위칭을 안정화하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for driving the off delay timer as described above is tha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peater, TTG (Tx / Rx Transition Gap) is generated or RTG (Rx / Tx Transition Gap) is generated and an error occurs in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ath switch. In order to prevent the data loss, the switching operation is maintained even in the no-signal period without a signal. That is, the T- timer , which is a switch-off delay time, is counted for the reference time T D time. This is to stabilize the switching by activating the signal path state by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current switching operation stat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위치가 활성화상태에서 차단상태로 절환되는 시간을 지연시키기에는 도 6 및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계가 있다. However, there is a limi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o delay the time that the switch is switched from the activated state to the disconnected state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면, 만약에 업링크 신호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동안에 어떠한 신호도 검출되지 않아 신호가 없는 구간인 경우에는 더 이상 현재의 신호경로를 유지할 필요가 없이 스위칭 절환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의 신호경로를 수행한 후 신호 중계과정이 완료되면 스위칭 동작이 활성화상태에서 차단상태로 절환되며 즉시 최초 설정된 스위칭상태로 복귀하는 대기모드 단계 및 다음에 발생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하기 위한 신호검출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위칭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절환하는 시간을 과도하게 지연시키면, 안테나(101, 201)로부터 수신된 또 다른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될 수 없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한 기준 설정시간인 TDeley은 오프지연시간은 RTG(Rx/Tx Transition Gap) 시간인 TRTG보다 작게 설정하여 되어야 한다. For example, if no signal is detected while the uplink signal path is formed and there is no signal, the switching switching operation should be performed without maintaining the current signal path. Alternatively, when the signal relaying process is completed after performing the uplink signal path, the switching operation is switched from the active state to the disconnected state and immediately returns to the initially set switching state. In order to perform the signal detection step, excessively delaying the switching time from the activated state to the cutoff state, since another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s 101 and 201 cannot be input to the relay unit 300. wherein a reference setting time T is Deley-off delay time is smaller than the T RTG RTG (Rx / Tx Transition Gap) time It should be appointed.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때까지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S161)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of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40, when a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s 304 and 309,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40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no signal is detected (S161). ) Is as follows.

즉, 상기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지속적으로 검출되어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이므로 이 경우에는 현재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신호가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무신호일때까지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을 수행하 여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비로소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오프 지연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스위칭 동작을 초기상태로 설정한다.That is, since the signal is continuously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so that the signal exists, in this case, the second signal is maintained until the signal is no signal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switching state. If the signal is not detected by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step (S14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ignal and counts the off delay time and sets the switching operation to the initial state when the set time is exceeded.

여섯 번째 단계로서, 상기 오프지연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동안에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의 존재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3 신호판단 단계(S16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sixth step, a third signal determining step of continuously detecting whether a signal is present by detecting a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while driving the off delay timer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 S160) will be described below.

즉, 상기 오프지연 타이머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시간 동안에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또 다른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검출하여 신호의 존재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안테나(101, 201)에서 수신된 또 다른 신호가 입력되어 검출되면 지금까지 카운트한 오프지연시간 타이머를 종료하며, 오프지연 타이머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동안에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무신호인 경우에는 오프지연 타이머 구동시간과 기 설정된 지연시간을 비교하는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That is,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309 detects another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during the time for driving the off delay timer program, and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a signal is present. If the other signal received in step 201 is input and detected, the off delay time timer counted so far is terminated. If the signal is not detected while the off delay timer program is being driven, the off delay timer driving time and The following operation compares the set delay time.

일곱 번째 단계로서,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S160)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지연시간과 카운트된 오프지연시간을 비교하는 시간비교 단계(S17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seventh step, a tim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a preset delay time and a counted off delay time when a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s 304 and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in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60 (S170). ) Is as follows.

즉,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무신호인 경우이므로 상기 지연시간 카운트 단계(S150)에서 오프지연 타이머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카운트된 스위치 오프지연시간과 기 설정된 지연시간을 비교한다. That is, if the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the signal is a non-signal-free signal. Therefore, the off delay timer program is driven in the delay time counting step S150, and the switch off delay time and the preset delay counted. Compare the time.

반면에,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S160)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오프지연타이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타이머리셋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를 수행하는 단계(S171)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a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in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60, the second signal is performed after performing a timer reset step of resetting the off delay timer to an initial value. The step S171 of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step S140 will now be described.

즉, 상기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이는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이므로 안테나(101, 20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되어 현재 진행중인 신호경로 상태인 스위칭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여 입력된 신호를 중계 전송하기 위하여 어떠한 스위칭 절환이 필요없기 때문에 상기 오프지연타이머 프로그램을 초기값으로 리셋하여 종료하므로써 더 이상은 오프지연시간을 카운트하지 않고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S140)를 수행한다.That is, when a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this is a case in which a signal is present. Thus, a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s 101 and 201 is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o switch the switching state which is a signal path state currently in progress. Since there is no need for any switching switching in order to continuously transmit and relay the input signal,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40) is performed without counting the off delay time by resetting the off delay timer program to an initial value and ending. ).

여덞 번째 단계로서, 상기 시간비교 단계(S170)의 시간비교결과,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에 비하여 카운트된 스위치오프 지연시간이 크면 오프지연 타이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타이머리셋 단계(S18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fourth step, a timer reset step (S180) of resetting the off delay timer to an initial value when the switchoff delay time counted compared to the preset off delay time as a result of the time comparison of the time comparison step (S170) will be described. Is as follows.

즉, 신호가 없는 무신호 구간인 경우에도 스위칭 동작은 현 상태를 유지 즉, 스위치오프 지연시간인 TTimer을 카운트하여 기준 설정시간인 TDeley를 비교하여, TTimer > TDeley와 같은 조건시에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의 신호경로를 통하여 신호 중계과정이 완료된 것이므로 스위칭 동작이 활성화상태에서 차단상태로 절환되며 즉시 최초 설정된 스위칭상태로 복귀하는 대기모드 단계 및 다음에 발생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검출하기 위한 신호검출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위칭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절환하는 시간을 과도하게 지연시키면, 안테나(101, 201)로부터 수신된 또 다른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될 수 없기 때문에 따라서, 스위치 오프 지연시간인 TTimer는 RTG(Rx/Tx Transition Gap) 시간인 TRTG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기준 설정시간인 TDeley 시간 보다는 작다.That is, when the signal is non-signal interval no switching operation in the other words maintaining the status quo, and to count the switch-off delay time T Timer Compare Based on the set time of T Deley, T Timer> when conditions, such as T Deley has Since the signal relaying process is completed through the downlink or uplink signal path, the switching operation is switched from the active state to the disconnected state, and the standby mode step for immediately returning to the initially set switching state and for monitoring and detecting the next generated signal In order to perform the signal detection step, excessively delaying the switching time from the activated state to the cutoff state, since another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s 101 and 201 cannot be input to the relay unit 300. and the switch-off delay time of T Timer is based on set time that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T RTG RTG (Rx / Tx Transition Gap) time T is less than Deley time.

반면에, 상기 시간비교 단계(S170)의 시간비교결과,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에 비하여 카운트된 오프지연시간이 적으면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S160)를 수행하는 단계(S181)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ime comparison result of the time comparison step (S170), the off delay time is less than the preset off delay time is described in the step (S181) to perform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S160) As follows.

즉, 상기와 같이 TTimer > TDeley와 같은 조건이 아니면 이는 일시적으로 신호가 검출이 되지 않는 경우라 판단하여 상기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다음에 입력되어 중계되어지는 신호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That is, if it is not a condition such as T Timer > T Deley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temporarily not detec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signal that is next inputted and relay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Perform the process.

아홉 번째 단계로서, 상기 타이머 리셋 단계(S180)를 수행한 후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를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절환하는 단계(S190)를 수행한 후에 상기 대기모드 단계(S110)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ninth step, after performing the timer reset step (S180), the standby mode step (S190) is performed after switching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7 and 301 from which signals are output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S190). Referring to the process of performing (S110) as follows.

즉, 상기 오프지연 타이머 프로그램을 리셋하여 종료한 이후에는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1, 307)를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대기모드 단계(S110)와 같이 초기상태로 자동 전환되어 상기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대기모드 단계를 수행한 후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 1 신호판단 단계를 수행한다.That is, after resetting the off delay timer program and ending,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1 and 307 for outputting a signal are controlled to be switched from an on state to an off state, thereby automatically resetting to an initial state as in the standby mode step (S110). After performing the standby mode step of switching the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signal is performed by detecting the signal.

따라서, 다운/업링크 신호검출부(304, 309)에 내장된 마이컴 제어부의 스위칭 온/오프 지연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로 스위칭 제어동작에 따른 TDD용 RF 중계기의 중계제어방법에 의하여 서비스 영역이 비록 음영지역이라 할지라도 경로스위치의 오류로 인한 전송 데이터의 유실없이 스위칭 시간 제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시간에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although the service area is a shaded area by the relay control method of the TDD RF repeater according to the path switching control operation using the switching on / off delay algorithm of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built in the down / uplink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However, switching time control can be performed at a simple and accurate time without losing transmission data due to a path switch error.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so far, 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s mentioned in the process are on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in the components that can be coped evenly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중계부로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신호경로를 스위칭 및 제어하는 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검출부 전단부에 신호의 전송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기를 구비하기 때문에 스위치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별도의 동기 검파 모듈과 같은 복잡한 구성이 불필요하여 경제적으로 저렴하며, 또한 서비스영역이 음영지역인 경우에 본 벌명에 따른 스위치 온/오프 지연알고리즘 제어방법에 의하여 스위칭 시간 제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시간에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단말기 신호가 존재할 경우에도 두 신호간에 충돌이 발생되지 않게 순차적 으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므로써 신호 데이터의 유실없이 스위칭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ignal received from an antenna is input to a relay unit, a sign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input signal and switching and controlling a signal path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and a transmission time of the signal at the front end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Since it has a delay to delay the time, it is economically inexpensive because a complicated configuration such as a separate synchronous detec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switch time is unnecessary, and the switch on / off delay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ice area is a shadow area The switching method can control switching time at a simple and accurate time, and switching is performed without loss of signal data by sequentially performing switching operations so that no collision occurs between two signals even when two terminal signals exist. Stable operation And it is.

Claims (5)

기지국 영역에 설치되며 기지국 영역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서비스영역의 신호를 기지국 영역으로 송신하는 도너부(100)와,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며 서비스 영역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지국 영역의 신호를 서비스 영역으로 송신하는 서비스부(200) 및 상기 도너부(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서비스부(200)로 중계 전송 또는 상기 서비스부(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도너부(100)로 중계 전송하는 중계부(300)로 이루어진 중계기(10)에 있어서,A donor unit 100 installed in the base station area and receiving a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or transmitting a signal of the service area to the base station area, and a service area installed in the service area and receiving a signal of the service area or transmitting a signal of the base station area to the service area. Relay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ce unit 200 and the donor unit 100 to the service unit 200 or relay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ce unit 200 to the donor unit 100. In the repeater 10 consisting of a repeating unit 300, 상기 중계부(300)는 상기 도너부(100)에서 수신하여 입력된 신호를 상기 서비스부(200)로 중계 전송하는 다운링크 신호경로상에 상기 입력된 신호를 검출하여 다운링크가 설정되도록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스위칭 제어하는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와;The relay unit 300 detects the input signal on the downlink signal path for relaying and transmitt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donor unit 100 to the service unit 200 so that the downlink is set up. A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the path switch 307; 상기 서비스부(200)에서 수신하여 입력된 신호를 상기 도너부(100)로 중계 전송하는 업링크 신호경로상에 상기 입력된 신호를 검출하여 업링크가 설정되도록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를 스위칭 제어하는 업링크 신호검출부(309); 및Switching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so that the uplink is set by detecting the input signal on the uplink signal path for relaying and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ce unit 200 to the donor unit 100. An uplink signal detector 309 for controlling; And 상기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상기 서비스 영역의 단말기 신호가 검출되어 업링크 신호경로가 먼저 활성화되도록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의 전단부에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서 검출되는 상기 기지국 영역의 단말기 신호에 대한 시간을 지연하는 제 1 지연기(30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detects the terminal signal of the service area by the uplink signal detector 309 and detects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at the front end of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so that the uplink signal path is activated first. An RF repeater for TDD using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delayer (303) for delaying the time for the terminal signal in the base station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다운링크 신호검출부(304)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를 동작시킨 후에 상기 도너부(100)의 신호가 상기 다운링크 경로를 통하여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7)로 전송되도록 상기 도너부(100) 신호의 시간을 지연하는 제 2 지연기(305) 및 상기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업링크 신호검출부(309)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도너측 경로스위치(301)를 동작시킨 후에 상기 서비스부(200)의 신호가 상기 업링크 신호경로를 통하여 도너측의 경로스위치(301)로 전송되도록 상기 서비스부(200) 신호의 시간을 지연하는 제 3 지연기(3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The donor unit 100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onor unit 100 located at a rear end of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and operating the service-side path switch 307 by a signal detected by the downlink signal detector 304. After the second delayer 305 and the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9 delaying the time of the donor unit 100 signal so that the signal of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ide path switch 307 through the downlink path. Located at the end and operating the donor side path switch 301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uplink signal detection unit 309, the signal of the service unit 200 passes through the donor side path through the uplink signal path. TDD RF relay using the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further comprises a third delayer 310 for delaying the time of the service unit 200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witch 301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의 신호검출부(304, 309)가 신호를 검출하면 도너측 또는 서비스측 경로스위치(301, 307)를 활성화하는 동작이 즉시 수행되며, 스위칭 동작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신호가 없는 무신호인 경우에도 스위칭 동작이 일정시간 동안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309 of the downlink or uplink detects a signal, an operation of activating the donor side or service side path switches 301, 307 is immediately performed, and a switching operation. The RF repeater for TDD using the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signal is no signal when the signal is activated. 중계기(10)의 안테나(101, 20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입력측 경로스위치(301, 307)는 온상태로 설정하며 중계부(30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는 오프상태로 설정하는 대기모드 단계와;Input side path switches 301 and 307, in which signals received from the antennas 101 and 201 of the repeater 10 are input to the relay unit 300, are set to ON and output side paths from which the signal is output from the relay unit 300. The switches 307 and 301 are set in an idle mode; 상기 중계부(300)에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제 1 신호판단 단계와;A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of detecting a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ed signal; 상기 제 1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하여 신호경로를 활성화하는 경로활성화 단계와;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in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when a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the output path switches 307 and 301 outputting the signal are switched from off to on to activate the signal path. A path activation step; 상기 경로활성화 단계 이후에 출력측 경로스위치(307, 301)가 온상태로 지속되는 동안에 중계부(300)로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 의하여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신호의 존재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2 신호판단 단계와;After the path activation step, while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7 and 301 are kept in the on state,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or 309 detects a signal input to the relay unit 300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al is present. Determining a second signal continuously;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검출부의 오프지연 타이머를 구동하여 오프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지연시간 카운트 단계와;A delay time counting step of driving an off delay timer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to count an off delay time if a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or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in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상기 오프지연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동안에 중계부로 입력되는 신호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의 존재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제 3 신호판단 단계와;A third signal judging step of continuously detecting whether a signal is present by detecting a signal at a signal detection unit (304, 309) that is input to the relay unit while driving the off delay timer;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과 카운트된 오프지연시간을 비교하는 시간비교 단계와;A tim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a preset off delay time and a counted off delay time when a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304 or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in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상기 시간비교 단계의 시간비교결과,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에 비하여 카운트된 오프지연시간이 크면 오프지연타이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타이머리셋 단계; 및A timer reset step of resetting the off delay timer to an initial value if the counted off delay time is greater than a preset off delay time as a result of the time comparison in the time comparison step; And 상기 타이머리셋 단계를 수행한 후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측 경로스위치(301, 307)를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절환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대기모드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의 중계제어방법.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fter performing the timer reset step and performing the standby mode step after switching the output side path switches 301 and 307 from which signals are output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And a relay control method of the RF repeater for TDD using switching time contro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 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상기 제 1 신호판단 단계를 수행하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f a signal is not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in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the first signal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until a signal is detected.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를 수행하며,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of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if a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s 304 and 309,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until no signal is detected.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의 신호판단결과, 신호검출부(304, 309)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오프지연타이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타이머리셋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제 2 신호판단 단계를 수행하며, As a result of the signal determination in the third signal determination step, if a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s 304 and 309, the second signal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after performing a timer reset step of resetting the off delay timer to an initial value. , 상기 시간비교 단계의 시간비교결과, 기 설정된 오프지연시간에 비하여 카운 트된 오프지연시간이 적으면 상기 제 3 신호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검출 시간제어 및 스위칭 시간제어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의 중계제어방법.The RF signal detection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re further performed if the counted off delay time is less than the preset off delay time as a result of the time comparison. Relay control method of using TDD RF repeater.
KR1020060052377A 2006-06-12 2006-06-12 Rf repeate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for ttd(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using the rf signal detecting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KR100777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377A KR100777942B1 (en) 2006-06-12 2006-06-12 Rf repeate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for ttd(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using the rf signal detecting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377A KR100777942B1 (en) 2006-06-12 2006-06-12 Rf repeate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for ttd(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using the rf signal detecting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942B1 true KR100777942B1 (en) 2007-11-21

Family

ID=3908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377A KR100777942B1 (en) 2006-06-12 2006-06-12 Rf repeate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for ttd(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using the rf signal detecting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94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69B1 (en) 2007-05-28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Time division duplexed remote unit
KR102329394B1 (en) * 2021-06-29 2021-11-23 주식회사 휴미디어 A detection system for inout-output signal in 5g milimeter wave bandwidth
KR102372870B1 (en) * 2021-04-14 2022-03-10 주식회사 유큐브이 Relay device obtaining synchronization based on aritifical intelligen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relay device
CN114567392A (en) * 2022-03-10 2022-05-31 四川恒湾科技有限公司 Radio remote unit uplink self-detection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407A (en) 2003-11-25 2005-05-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frequency signal detection rf repeater in time division duple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407A (en) 2003-11-25 2005-05-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frequency signal detection rf repeater in time division duplex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69B1 (en) 2007-05-28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Time division duplexed remote unit
KR102372870B1 (en) * 2021-04-14 2022-03-10 주식회사 유큐브이 Relay device obtaining synchronization based on aritifical intelligen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relay device
WO2022220499A1 (en) * 2021-04-14 2022-10-20 주식회사 유큐브이 Relay device for acquiring synchronization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peration method of same
KR102329394B1 (en) * 2021-06-29 2021-11-23 주식회사 휴미디어 A detection system for inout-output signal in 5g milimeter wave bandwidth
CN114567392A (en) * 2022-03-10 2022-05-31 四川恒湾科技有限公司 Radio remote unit uplink self-detection method
CN114567392B (en) * 2022-03-10 2023-07-28 四川恒湾科技有限公司 Uplink self-detection method for remote radio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78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ctivation of an amplifier arrangement in a repeater device dispose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777942B1 (en) Rf repeater and thereof controlling method for ttd(time division duplexing) communication using the rf signal detecting time control and switching time control
JPH09130342A (en) Oscillation detector for radio repeater and radio repeater applied with the same
RU2659801C2 (en) Surface device for compensation for the attenuation in the antenna conductor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ntenna
RU2191480C2 (en) Transceiver and method for overcoming fading
JP5171529B2 (en) Relay transceiver
KR20060123023A (en) Wireless repeating apparatus for time division duplexing system which reduce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extend life time
KR101237655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4010372B2 (en) Wireless repeater amplifier
JPH07131401A (en) Radio repeating installation
KR20050087611A (en) A repeater with the controlling flow for time division duplex(tdd)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44827A (en) Signal-Sensed Path-Switching Optical Repeater Systems for Relaying CDMA/TDD Signals
JP2993291B2 (en) Burst signal relay method for multi-way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US20120263161A1 (en) Multiple satellite modem system using a single antenna
KR101589387B1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repeater based on time division
JP2735511B2 (en) Hot standby line switching method
KR101066223B1 (en) Microwave repeater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 symbol interference in the same
US6115590A (en) Radiotelephone unit
CN219611789U (en) Relay amplifier for use in a time division multiplexed mobile network
KR20060019477A (en) Time division duplexing re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693440B1 (en) Dual Hop Relay Station and the Resource Allocating Method thereof
JP2001144664A (en) Wireless relay system
KR101202293B1 (en) Noise reduction system f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EP2788964B1 (en) Automation system for a movable barrier
JP3107486B2 (en) Bidirectional signal rep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