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297B1 -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297B1
KR100777297B1 KR1020060040897A KR20060040897A KR100777297B1 KR 100777297 B1 KR100777297 B1 KR 100777297B1 KR 1020060040897 A KR1020060040897 A KR 1020060040897A KR 20060040897 A KR20060040897 A KR 20060040897A KR 100777297 B1 KR100777297 B1 KR 10077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hannel
digital
analog
channel
digit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8626A (ko
Inventor
김인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297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출력 중, 자막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 아날로그 채널 튜너부를 튜닝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튜닝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를,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정상적인 자막 서비스를 디스플레이 시켜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효과가 있다.
PSIP, 자막, 캡션(caption)

Description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The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the caption servi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 6 은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에서 정의된 VCT(Virtual Channel Table)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bit stream syntax)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영상기기(종래) 102:튜너부
103:복조부 104:복호부
105:자막 데이터 파싱부 106:디스플레이부
201:영상기기(본 발명) 202:디지털 채널 튜너부
203:복조부 204:복호부
205:디지털 자막 서비스 판단부 206:자막 데이터 파싱부
207:아날로그 채널 조정부 208:아날로그 채널 튜너부
209:복조부 210:자막 슬라이싱부
211:아날로그 자막 서비스 판단부 212:자막 표시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초 시작된 방송 서비스는, 아날로그(analog) 방송 서비스에 국한되었다. 다만, 지속적인 방송 서비스에 대한 연구로 말미암아, 디지털 방송이란 개념이 도입되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방송 전파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송신하는 방송 방식을 의미한다.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의 디지털화 상황을 보면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녹화기(VTR), 디지털 비디오 효과(DVE) 장치, 디지털 스위치 등 개별적인 기기가 모두 디지털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어서 방송국 내 디지털화가 완성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의 장점으로는, 기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5~6배의 화질과 CD수준의 음질을 구현하는 고품질 방송이라는 점과, 단방향의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쌍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 등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자막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영상기기가 자막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영상기기(101)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상기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DTV 등이 될 수 있다.
튜너부(102)는,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A/V 방송 신호에 대한 복조부(103)의 디모듈레이팅(demodulating) 과정과, 복호부(104)의 디코딩(decoding) 과정을 통해, 상기 A/V 방송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06)에서 출력된다.
다만, 상기 튜너부(102)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 디지털 자막(digital caption)이 존재하는 경우, 자막 데이터 파싱부(105)는 이를 검출하고, 상기 A/V 방송 신호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06)에 출력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 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 째,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자막 서비스(caption service)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A/V 데이터만 출력되고, 상기 A/V 데이터에 대응되는 자막 서비스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 째, 자막 서비스를 전혀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고지해 주는 기능이 없어서, 사용자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자막 서비스(caption service)가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자막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이용해도, 자막 서비스가 불가(不可)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아날로그 방 송 채널로, 아날로그 채널 튜너부를 튜닝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튜닝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를,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은,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과 주파수(frequency)가 동일한 아날로그 방송 채널일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는,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의 VCT(Virtual Channel Table)에서 정의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KBPS(Korea Broadcasting Program Service) 채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튜너부를 구비한 영상기기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채널 튜너부와, 상기 디지털 채널 튜너부로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 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 튜닝시키는 아날로그 채널 튜너부와, 그리고 상기 튜닝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가,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와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은,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과 주파수(frequency)가 동일한 아날로그 방송 채널일 수 있다.
상기 검색부는,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의 VCT(Virtual Channel Table)에서 정의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는, 기설정된 KBPS(Korea Broadcasting Program Service) 채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튜너부를 구비한 영상기기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A/V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시키고,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도,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상적인 자막 서비스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도 제공되지 않는 경우, 자막 서비스가 불가능하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출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UI(User Interface)를 구현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도 3,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내 구성요소들이,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막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201)는 디지털 채널 튜너부(202), 복조부(203), 복호부(204), 디지털 자막 서비스 판단부(205), 자막 데이터 파싱부(206), 아날로그 채널 조정부(207), 아날로그 채널 튜너부(208), 복조부(209), 자막 슬라이싱부(210),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 판단부(211), 그리고 자막 표시부(212)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다만, 참고적으로, 상기 복조부(203)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디모듈레이팅 시키는 반면, 상기 복조부(209)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모듈레이팅 시킨다는 점에서,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영상기기(201)는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을 모두 수신할 수 있는 영상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DTV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기기(201)는 튜너부를 2개 이상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서는 디지털 채널 튜너부(202)와, 아날로그 채널 튜너부(208)라고 명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일반 튜너부와, 서브 튜너부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우선,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지털 채널 튜너부(202)는, 디지털(digital)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복조부(203)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디모듈레이팅(demodulating) 시키고, 상기 복호부(204)는, 상기 디모듈레이팅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호화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등을 통해, 상기 복호화된 디지털 방송 신호는 출력된다.
한편, 아날로그 채널 튜너부(208)는, 아날로그(analog)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복조부(209)는,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모듈레이 팅(demodulating) 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등을 통해, 상기 디모듈레이팅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는 출력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는 영상기기(201)가 디지털 자막 서비스 또는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를 구현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디지털 채널 튜너부(202)는, 특정 주파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출력시킨다.
다만,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출력시키기에 앞서, 상기 디지털 자막 서비스 판단부(205)는,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자막 데이터 파싱부(206)는 자막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상기 자막 표시부(212)가 파싱된 자막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막 데이터 파싱부(206)는, MPEG 디지털 신호의 헤더(header) 부분에 존재하는 정보를 파싱하여, 원하는 자막 관련 데이터를 추출한다.
반면,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 채널 조정부(207)는, 상기 디지털 채널 튜너부(202)를 통해 수신되고 있는 특정 주파수의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한다.
상기 특정 주파수의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은, 예 를 들어 동일한 주파수에서 송출되는 방송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주파수의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이유는,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는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지만,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에서는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적지 않음을 고려한 이유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특정 주파수의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째,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의 VCT(Virtual Channel Table)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의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PSIP는, 디지털 TV에서 전송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TV 수신에 필요한 여러 정보를 기술하기 위해 만든 규격을 의미한다.
상기 VCT는, PSIP 내에서 정의되며, 가상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테이블로서, TVCT(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 CVCT(Cable Virtual Channel Table) 등이 있다.
다만, 상기 VCT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둘 째, KBPS(Korea Broadcasting Program Service)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비스 용도로 사용되는 지상파 방송국 채널 설정을 통한 아날로그 방송 채널 번호 참조 방법이 있다.
상기 KBPS는, 방송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에 별도의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여, 프로그램의 예약이나, 문자 다중 방송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방송 방식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메뉴에서, KBPS EPG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KBS 디지털 채널 번호는 몇 번, KBS 아날로그 채널 번호는 몇 번, 그리고 MBC 디지털 채널 번호는 몇 번, MBC 디지털 채널 번호는 몇 번 식으로, 매칭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기기(201)는 상기 매칭된 채널 번호들을 이용하여, 현재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 번호를 검색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날로그 채널 조정부(207)는, 상기 검색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 튜닝되도록, 상기 아날로그 채널 튜너부(208)를 조정한다. 물론, 상기 디지털 채널 튜너부(202)를 제어할 필요는 없다.
상기 자막 슬라이싱부(21)는, 상기 튜닝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의 TS(Transport Stream)의 헤더 부분에 존재하는 캡션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 판단부(211)는, 상기 자막 슬라이싱부(210)의 추출 결과, 아날로그 자막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자막 표시부(212)를 제어하여, 디지털 A/V 방송 신호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자막을 출력시킨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A/V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채널 튜 너부(202)를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진 것이고, 출력되는 자막 데이터는 상기 아날로그 채널 튜너부(208)를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 판단부(211)의 판단 결과,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등을 제어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내문구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서는 디지털 방송 채널 및 아날로그 방송 채널 어디에서도 자막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6은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에서 정의된 VCT(Virtual Channel Table)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bit stream syntax)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기기의 채널을 조정하면서, 디지털 방송 채널을 튜닝시킨다(S501).
이 때, 상기 영상기기는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캡션 디스크립터(caption descriptor) 부분을 파싱(parsing)한다(S502).
상기 캡션 디스크립터(caption descriptor)를 이용하여, 디지털 자 막(digital caption)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3).
상기 판단 결과(S503),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아날로그 방송 채널 번호가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4).
상기 S504 단계를, 강학상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국 설정 기능" 이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상기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국 설정 기능"은, 자동 채널 검색(channel search) 기능을 실행시킨 후, 사용자 등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입력 받아서, 지상파 방송국의 아날로그 방송 채널 등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의미하기도 한다.
상기 판단 결과(S504),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 번호가 모두 설정되어 있는 경우, 현재 튜닝중인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 번호를 추출한다(S505).
상기 추출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 튜닝시킨다(S506). 물론, 디지털 방송 채널에는 특별한 변함이 없다 할 것이다.
상기 튜닝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통해, 아날로그 자막(analog caption)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7).
상기 판단 결과(S507),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자막 데이터(caption data)를 슬라이싱(slicing) 한다(S508).
그리고, 슬라이싱된 아날로그 자막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막 서비스를 제공한다(S509).
한편, 상기 판단 결과(S503),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디지털 자막 데이터(Picture User Data)를 파싱(parsing) 한다(S510).
그리고, 파싱된 디지털 자막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막 서비스를 제공한다(S511).
한편, 상기 판단 결과(S504),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 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PSIP 데이터를 파싱한다(S512).
상기 PSIP에서 정의된 여러 데이터 중에서, 특히 VCT(Virtual Channel Table)를 다시 파싱한다(S513).
다만, 상기 VCT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VCT의 여러 필드(field)들 중에서, "modulation_mode"의 필드값이 '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14).
상기 판단 결과(S514), 상기 "modulation_mode"의 필드값이 '1'인 경우, "carrier_frequency"를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 선택한다(S515).
왜냐하면, PSIP 정보 중, VCT(Virtual Channel Table)에는, "modulation_mode" 별로 채널 정보를 보내 주게 되어 있는데, 정상적인 VCT의 경우, "modulation_mode"에 '1(analog)'을 넘겨 주면서, "carrier_frequency"를 보내 주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carrier_frequency"를 참고로, 해당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515 단계 이후, S506, S507, S508, 그리고 S509 단계를 수행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수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자막 서비스(caption service)가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자막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 째, 본 발명은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이용해도, 자막 서비스가 불가(不可)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 아날로그 채널 튜너부를 튜닝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튜닝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를,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은,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과 주파수(frequency)가 동일한 아날로그 방송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는,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의 VCT(Virtual Channel Table)에서 정의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KBPS(Korea Broadcasting Program Service) 채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5. 복수개의 튜너부를 구비한 영상기기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채널 튜너부;
    상기 디지털 채널 튜너부로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중,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디지털 자막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 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 튜닝시키는 아날로그 채널 튜너부; 그리고
    상기 튜닝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가,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와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은,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과 주파수(frequency)가 동일한 아날로그 방송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의 VCT(Virtual Channel Table)에서 정의된 아날로그 방송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기설정된 KBPS(Korea Broadcasting Program Service) 채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전송되는 A/V 데이터와 함께 그에 대응되는 상기 아날로그 방송 채널의 아날로그 자막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KR1020060040897A 2006-05-08 2006-05-08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7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897A KR100777297B1 (ko) 2006-05-08 2006-05-08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897A KR100777297B1 (ko) 2006-05-08 2006-05-08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626A KR20070108626A (ko) 2007-11-13
KR100777297B1 true KR100777297B1 (ko) 2007-11-20

Family

ID=3906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897A KR100777297B1 (ko) 2006-05-08 2006-05-08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2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177A (ko) * 1998-04-02 1999-11-05 윤종용 아날로그신호에 대한 캡션처리가 가능한 디지탈tv수상기
KR20000074839A (ko) * 1999-05-26 2000-12-15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캡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2044616A (ja) * 2001-03-19 2002-02-08 Tbs Service Inc リアルタイムデジタル放送/アナログ放送字幕データ変換送出システム
WO2005057920A1 (en) * 2003-12-08 2005-06-23 Thomson Licensing Digital/analog closed caption display system in a television signal receiver
KR20050076137A (ko) * 2004-01-19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션정보의 확인 및 변경이 용이한 영상신호처리장치
KR20050077867A (ko) * 2004-01-28 2005-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캡션 선택 및 변경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177A (ko) * 1998-04-02 1999-11-05 윤종용 아날로그신호에 대한 캡션처리가 가능한 디지탈tv수상기
KR20000074839A (ko) * 1999-05-26 2000-12-15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캡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2044616A (ja) * 2001-03-19 2002-02-08 Tbs Service Inc リアルタイムデジタル放送/アナログ放送字幕データ変換送出システム
WO2005057920A1 (en) * 2003-12-08 2005-06-23 Thomson Licensing Digital/analog closed caption display system in a television signal receiver
KR20050076137A (ko) * 2004-01-19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션정보의 확인 및 변경이 용이한 영상신호처리장치
KR20050077867A (ko) * 2004-01-28 2005-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캡션 선택 및 변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626A (ko) 200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8132B1 (en) Method for diplaying the thread of program in a broadcasting receiver
KR100647201B1 (ko) 다수의 방송 소스로부터 도출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타이밍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2154881B1 (en) Broadcast receiver and reproducing method
JP2006115228A (ja) 番組表搭載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777297B1 (ko) 자막 서비스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3338B1 (ko) 녹화된 ts파일의 epg 인지 방법 및 장치
KR20080054181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방법
KR100999096B1 (ko) 디지털 tv에서의 epg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62555B1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 장치 및 방법
JP434584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20080037819A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탐색 제어 장치 및 방법.
US88248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617190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프로그램 방송 예정시간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JP20090051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録画予約処理方法、なら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8294870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774188B1 (ko) Tv 수신장치 및 이를 위한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6760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예약녹화 방법
KR101227497B1 (ko)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A256837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ummy event i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KR100818299B1 (ko) 사용자가 채널 설정이 가능한 모자이크 이피지 제공장치 및방법
KR20080067230A (ko) 디지탈 tv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KR20060080015A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9990081177A (ko) 위성방송 프로그램 예약 시청 방법
EP10704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program
KR20080003548A (ko) A/v와 채널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