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323B1 - 벽걸이 액자 - Google Patents

벽걸이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323B1
KR100776323B1 KR1020060090649A KR20060090649A KR100776323B1 KR 100776323 B1 KR100776323 B1 KR 100776323B1 KR 1020060090649 A KR1020060090649 A KR 1020060090649A KR 20060090649 A KR20060090649 A KR 20060090649A KR 100776323 B1 KR100776323 B1 KR 100776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ver
wall
picture frame
fix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영 filed Critical 김기영
Priority to KR102006009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0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 A47G1/161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and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8Frameless pictur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8Picture frames adjustabl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액자의 사진 또는 그림등을 보관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액자에 보관된 사진 또는 그림등의 교체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가 있으며, 또한 벽에도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벽걸이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한 쌍의 투명한 아크릴판과, 상기 한 쌍의 아크릴판을 밀착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아크릴판의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끼움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와 소정 탈착수단에 의해 탈착되며 벽면에 고정되는 커버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커버의 끼움고정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걸이, 액자, 아크릴, 탈착, 리브

Description

벽걸이 액자{A WALL TYPE PICTURE FR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액자의 탈착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수단의 고정커버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액자의 탈착수단을 다른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액자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액자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일반적인 벽걸이 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일반적인 벽걸이 액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아크릴판 11 : 걸림홈
20 : 고정커버 21 : 끼움고정홀
21a : 안착돌기 22 : 걸림리브
30 : 커버브라켓 31 : 나사못 관통공
32 : 고정리브 40 : 나사못
본 발명은 벽걸이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액자의 사진 또는 그림등을 보관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액자에 보관된 사진 또는 그림등의 교체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가 있으며, 또한 벽에도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벽걸이 액자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일반적인 벽걸이 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일반적인 벽걸이 액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벽걸이 액자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사각형상의 평면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중앙부에 그림이나 사진이 보관되는 본체부(100)가 구성되는데, 본체부(100)는 전면에는 유리(110), 배면에는 고정용 판재(120)가 위치하여 상호 맞닿아 상기 그림이나 사진을 그 사이에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리(110) 및 고정용 판재(120)가 상호 맞닿아 있는 본체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외곽 프레임(200)이 설치되어 액자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벽걸이 액자는 상기 외곽 프레임(200)의 상단에 걸이공(310)이 형성된 고정편(300)을 구비하여 벽에 고정할 수가 있으며, 액자 배면에 횡방향으로 느슨하게 연결고정된 고정끈(400)에 의해 벽에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벽걸이 액자는 보관된 그림이나 사진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 고정된 액자를 벽으로부터 떼어내고, 외곽 프레임으로부터 본체부의 유리 및 고정용 판재를 분리하고 그들을 상호 이격시킨 후, 그림이나 사진을 교체한 다음 역순으로 재결합하여 액자를 벽에 재고정하는 것으로서 그림이나 사진의 교체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그림 및 사진의 교체작업이 다수의 단계로 이루어져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부의 전면이 유리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인이 직접 그림 및 사진을 교체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유리의 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도 갖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걸이 액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액자에 보관된 그림이나 사진의 교체작업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으며,
또한, 벽에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으며, 액자의 외관이 보다 미려하게 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한 쌍의 투명한 아크릴판과, 상기 한 쌍의 아크릴판을 밀착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아크릴판의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끼움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와 소정 탈착수단에 의해 탈착되며 벽면에 고정되는 커버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커버의 끼움고정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고정커버의 후면의 양측 테두리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걸림리브와, 상기 고정커버의 후면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걸림리브에 걸리도록 상기 커버브라켓의 양측 테두리에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판의 테두리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고정커버의 끼움고정홈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도록 돌출형성된 안착돌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액자의 탈착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수단의 고정커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액자의 탈착수단을 다른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액자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액자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수지를 재질로 하여 제조한 투명한 아크릴판(10)을 2개를 준비하되, 동일 형상 및 면적을 갖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직사각형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직사각형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첨가하여 사출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겹쳐진 한 쌍의 아크릴판(10)이 이격되지 않도록 밀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커버(20)가 상기 아크릴판(10)의 테두리에 다수 끼워진다.
상기 고정커버(20)에는 상기 한 쌍의 아크릴판(10)의 테두리 일부가 끼워지는 끼움고정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고정홈(21)은 상기 한 쌍의 아크릴판(10)이 비스듬히 끼워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한편으로는, 상기 한 쌍의 아크릴판(10)의 테두리에 소정 깊이의 걸림홈(1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커버(20)의 끼움고정홈(21)의 내부 저면에는 상기 아크릴판(10)의 걸림홈(11)에 안착되는 안착돌기(21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20)의 후면에는 벽면에 소정 나사못(40)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브라켓(30)이 소정 탈착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탈찰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커버브라켓(30)의 양측 테두리에는 다수의 고정리브(32)가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커버(20) 후면의 내측면 양측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리브(32)와 걸리도록 다수의 걸림리브(22)가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브라켓(30)상에는 상기 나사못(40)이 관통되는 나사못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도 상기 아크릴판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색상을 첨가하여 사출성형제작할 수가 있으며, 또한 수작업에 의한 페인팅, 또는 도금 처리에 의해 다양한 색상을 넣어 액자의 미관을 화려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능 및 작용을 살펴보면,
보관하고자 하는 그림이나 사진을 상기 한 쌍의 아크릴판(10)의 사이에 넣어 고정시킨 다음, 고정커버(20)를 상기 한 쌍의 아크릴판(10)의 테두리에 끼워 상기 한 쌍의 아크릴판(10)이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커버(20)의 끼움고정홈(21) 저면에 형성된 안착돌기(21a)가 상기 아크릴판(10)의 걸림홈(11)에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커버(20)를 상기 아크릴판(10)에 끼우게 되는데, 이는 상기 아크릴판(10)이 상기 고정커버(20)상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20)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용 커버브라켓(30)을 소정 위치의 벽면에 고정한다. 상기 커버브라켓(30)의 고정은 나사못(40)을 상기 커버브라켓(30)의 나사못 관통홀(31)에 관통시켜 벽면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벽면에 고정되는 상기 커버브라켓(30)의 사잇거리는 상기 아크릴판(10)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고정커버(20)의 사잇거리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브라켓(30)이 벽면에 고정되면 상기 고정커버(20)를 상기 커버브라켓(30)에 결합한다. 그 결합은 상기 탈착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도 7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브라켓(30)의 양측에 돌출된 고정리브(32)가 상기 고정커버(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커버(20)를 상기 커버브라켓(30)에 밀어넣은 다음, 상기 고정커버(20)를 상/하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고정리브(32)가 걸림리브(22)에 걸리도록 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해체는 상기 고정커버(20)를 상/하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고정리브(32)와 걸림리브(22)를 분리시킨 다음, 상기 고정커버(20)를 상기 커버브라켓(30)으로부터 빼내면 된다.
한편, 상기 아크릴판(10)이 상기 고정커버(20)의 끼움고정홈(21)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끼움고정홈(21)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아크릴판(10)은 양측이 경사진 상기 끼움고정홈(21)에 끼워져 완만하게 휘어지게 되며 중앙부는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아크릴판(10)이 중앙부가 볼록하게 휘어지게 되면, 재질이 아크릴 수지이며 직육면체로 사출성형된 아크릴판(10)은 자체의 소정 탄성 복원력이 발생되어 상기 고정커버(20)를 상/하방향으로 미는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커버(20)를 상기 커버브라켓(30)에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판(10)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휘어 액자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크릴판(10)에 보관된 그림이나 사진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아크릴판(10)의 양측을 상기 고정커버(20)의 끼움고정홈(21)으로부터 간단히 이탈시킨 후, 상기 아크릴판(10)의 사이에 보관된 그림이나 사진을 교체한 다음, 상기 고정커버(20)의 끼움고정홈(21)에 상기 아크릴판(10)을 재결합하여 상기 고정커버(20)를 상기 커버브라켓(30)에 결속시키면된다.
이와 같이, 그림이나 사진의 교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아크릴판(10)의 재질상 파손되어도 유리와는 달리 위험의 소지가 적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자에 보관되는 그림이나 사진등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가 있으며, 또한 교체작업시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크릴판을 다양한 색상으로 사출성형할 수가 있으며, 고정커버 또한 사출성형작업 및 수작업에 의한 페인팅, 또는 도금 처리에 의해 다양한 색상을 넣을 수가 있고, 액자의 외관이 중앙부가 볼록한 만곡형상을 이루어 통상의 평평한 액자에 비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한 쌍의 투명한 아크릴판(10)과, 상기 한 쌍의 아크릴판(10)을 밀착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아크릴판(10)의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끼움고정홈(21)이 형성된 고정커버(20)와, 상기 고정커버(20)와 소정 탈착수단에 의해 탈착되며 벽면에 고정되는 커버브라켓(30)으로 구성되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고정커버(20)의 후면의 양측 테두리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걸림리브(22)와, 상기 고정커버(20)의 후면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걸림리브(22)에 걸리도록 상기 커버브라켓(30)의 양측 테두리에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리브(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액자.
  2. 한 쌍의 투명한 아크릴판(10)과, 상기 한 쌍의 아크릴판(10)을 밀착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아크릴판(10)의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끼움고정홈(21)이 형성된 고정커버(20)와, 상기 고정커버(20)와 소정 탈착수단에 의해 탈착되며 벽면에 고정되는 커버브라켓(30)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커버(20)의 끼움고정홈(21)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20)의 끼움고정홈(21)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액자.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판(10)의 테두리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걸림홈(11)과, 상기 고정커버(20)의 끼움고정홈(21)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홈(11)에 안착되도록 돌출형성된 안착돌기(21a)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액자.
KR1020060090649A 2006-09-19 2006-09-19 벽걸이 액자 KR100776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649A KR100776323B1 (ko) 2006-09-19 2006-09-19 벽걸이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649A KR100776323B1 (ko) 2006-09-19 2006-09-19 벽걸이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323B1 true KR100776323B1 (ko) 2007-11-15

Family

ID=3906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649A KR100776323B1 (ko) 2006-09-19 2006-09-19 벽걸이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48Y1 (ko) 2015-07-22 2016-12-12 황덕형 벽걸이 액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242A (ko) * 2000-01-13 2001-08-01 정덕현 장식용 사진 액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242A (ko) * 2000-01-13 2001-08-01 정덕현 장식용 사진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48Y1 (ko) 2015-07-22 2016-12-12 황덕형 벽걸이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198B2 (en) Auto darkening filter adapter frame assembly for a welding helmet
US7922320B1 (en) Eyegear with a mountable frame
KR100776323B1 (ko) 벽걸이 액자
KR200453604Y1 (ko) 배면 덮개부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액자
KR20100026520A (ko) 물기의 유입이 방지된 슬림형 라이트 박스
KR200475280Y1 (ko) 슬라이딩 결합식 백보드를 갖는 장식용 액자
JP3872732B2 (ja) ガスこんろのトッププレートの取り付け構造
CN109107264A (zh) 净水机壳体及具有其的净水机
KR101506879B1 (ko) 2단 옷걸이 봉 고정대
CN201115557Y (zh) 数码相框
CN209511894U (zh) 一种led灯具扩散膜隐形便捷更换结构
KR101127041B1 (ko) 거울 선반
KR101609045B1 (ko) 정수기케이스용 전면커버
KR20130022006A (ko) 아크릴 액자
KR20090068999A (ko) 학생책상용 명찰꽂이 겸용 가방걸이구
KR101034821B1 (ko) 현수용 양면액자
KR20090037627A (ko) 용이한 개폐 구조를 갖는 안경케이스
KR200439263Y1 (ko) 액자형 틀체
CN219556845U (zh) 一种便于拆装相片的相框
KR20110007180U (ko) 전면 개방형 사진액자틀
KR200412654Y1 (ko) 이중 액자
KR20110097259A (ko) 조명등의 등커버 지지장치
CN209803490U (zh) 显示器
CN209926616U (zh) 一种防脱落盖体及热水器
KR200342251Y1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