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250B1 - Hood for rice cooker container - Google Patents

Hood for rice cooker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250B1
KR100776250B1 KR1020070027721A KR20070027721A KR100776250B1 KR 100776250 B1 KR100776250 B1 KR 100776250B1 KR 1020070027721 A KR1020070027721 A KR 1020070027721A KR 20070027721 A KR20070027721 A KR 20070027721A KR 100776250 B1 KR100776250 B1 KR 100776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unit
hood
cas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호진
유석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to KR102007002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2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2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64Removing cooking fumes illumination for cooking h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A hood of a rice cooker container is provided to prevent a portion of the container from be corroded by vapor discharged from the rice cooker by inhaling the vapor and discharging the vapor to the outside. A hood of a rice cooker container includes a case(20) detachably connected to a rice cooker container in the upper region of a rice cooker provided in the rice cooker container, a hood unit(30) connected to the case. The hood unit includes a suction unit(40) inhaling vapor discharged from the rice cooker, a discharge unit(50)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unit through a duct, a suction driving unit(60)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nd providing suction force to the suction unit so that the vapor is inhaled by the suction unit a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a sensor(70) sens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around the suction unit, a main board(80) having a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suction driving unit on the basis of any one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ed by the sensor, and a display unit(95) electrically coupled to the main board for displaying whether the suction driving unit is operated.

Description

밥통장 후드{Hood for Rice Cooker Container}Hood for Rice Cooker Container {Hood for Rice Cooker Container}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통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ice cook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통장 후드가 설치된 밥통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ice cookbook with a rice cooker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밥통장 후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ood container hood shown in FIG.

도 4는 도 2의 밥통장 후드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ce cage hood of FIG. 2 as viewed from above.

도 5는 도 2의 밥통장 후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eadbasket hood of FIG. 2 as viewed from below. FIG.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밥통장 후드의 평면도이다. FIG. 6 is a plan view of the rice cooker hood shown in FIG. 2.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밥통장 후드와 밭통장이 레일 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bobbin jang hood and the field passbook shown in FIG. 2 are coupled by a rail structur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밥통장 4 : 고정레일1: rice passbook 4: fixed rail

5 : 밥통 10 : 밥통장 후드5: breadbasket 10: breadbasket hood

20 : 케이스 23 : 제1 케이스홀20: case 23: the first case hole

25 : 제2 케이스홀 30 : 후드유닛25: second case hole 30: hood unit

40 : 흡입부 41 : 흡입프레임40: suction part 41: suction frame

45 : 흡입케이스 48 : 발광다이오드45: suction case 48: light emitting diode

50 : 배출부 51 : 배출프레임50: discharge part 51: discharge frame

52 : 그릴 55 : 버튼부52: grille 55: button portion

60 : 흡입구동부 61 : 크로스 플로우 팬60: suction driving unit 61: cross flow fan

70 : 감지부 71 : 온도센서70: sensing unit 71: temperature sensor

75 : 습도센서 80 : 메인보드75: humidity sensor 80: main board

90 : 덕트 95 : 표시부90 duct 95 display part

98 : 작동 표시창98: Operation Display

본 발명은, 밥통장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를 적절한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밥통장 후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cooker h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ce cooker hood capable of discharging water vapor exhausted from a rice cooker in an appropriate direction.

최근 들어, 사회가 고도화됨에 따라 삶의 질 또한 이전에 비해 향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거 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식생활이 이루어지는 주방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주방 환경을 쾌적하면서도 심미적으로 조성하려는 노력이 주방 환경을 인테리어하는 업체는 물론 직접 거주하는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연구, 예를 들면 실내 환경의 온도 또는 습도 등을 가장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연구 등이 실제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society is advanced, the quality of life is also improving, and interest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increasing day by day. In particular, as the interest in the kitchen environment in which food is eaten grows, efforts to create a pleasant and aesthetic kitchen environment have been made by not only the companies that decorate the kitchen environment but also those who live directly. In order to maintain the most suitable state,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indoor environment,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근래의 주방 환경은 종래의 주방 환경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정돈되어 있 을 뿐만 아니라 심미적으로도 향상되었으며, 여러 요소들을 수납할 수납장들이 벽 등에 일체화되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kitchen environment has been improved not only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conventional kitchen environment, but also aesthetically,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torage cabinets for storing various elements are integrated in a wall to maximize the space.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통장 등이 배치되는 주방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에 배치되는 밥통장(101)에는 전자레인지, 밥통, 또는 토스트기 등과 같은 전자제품이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서랍장에는 밥그릇, 접시, 컵 등과 같은 식기가 보관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각각의 서랍장에 자신이 원하는 대로 여러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물품관리를 효율적이면서도 깨끗이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방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심미적으로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kitchen in which a rice cookbook is disposed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rein, the rice cookbook 101 disposed in the kitchen includes a microwave oven, a rice cooker, or a toast. The electronics may be placed, and each drawer may also hold dishes such as rice bowls, plates, cups, and the like. Users can store as many items as they want in each drawer, so that the goods can be managed efficiently and cleanly, thereby making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kitchen aesthetic.

한편, 이러한 밥통장(101)에 배치되는 밥통(105)은, 일반보온밥솥, 압력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으로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이 중 특히 전기압력밥솥은 가스레인지와 같이 직접 가열하는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전력에 의해 밥을 지을 수 있어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고압 하에 밥을 짓기 때문에 양질의 밥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근래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밥통(105)은 도 1의 밥통장(10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밥통장(101)에 대해 밥통(105)이 배치된 선반부(108)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밥을 푸는 등의 소정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On the other hand, the rice bowl 105 disposed in the rice cooker 101, there is a wide variety of types, such as a general warm rice cooker, pressure cooker, electric pressure cooker, etc. Of these, the electric pressure cooker is a device for heating directly, such as a gas range The rice can be cooked by electric power instead of being heated by the user, and it is easily used by the user, and since rice is cooked under high pressure, high quality rice can be made in recent years. The breadbasket 105 may be disposed in the breadbasket 101 of FIG. 1, and if necessary, the user may slide the shelf 108 in which the breadbasket 105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breadbasket 101. Therefo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veniently perform certain tasks such as unwinding rice.

그런데,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통장(101)에 있어서는, 밥을 지을 때 또는 밥통(105)으로부터 밥을 꺼낼 때 밥통(10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가 목재 또는 금속 재질의 밥통장(101)에서 빠져 나가지 못하고 밥통장(101) 구석구석에 파 고들어 또는 밥통장(101)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납장 등에 도달하여 밥통장(101) 및 수납장 등을 부식시키거나 또는 곰팡이 등의 이물질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까지 해칠 수 있는 우려가 있다.By the way, in the rice cooker 101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mbodiment, when the rice is cooked or when the rice is taken out of the rice cooker 105,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rice cooker 105, the rice cooker 101 made of wood or metal Digging in every corner of the rice cooker 101 or reaching the storage cabinet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ice cooker 101 may corrode the rice cooker 101 and the storage cabinet, or inhabit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ld. There is a concern that by damaging the user's health by providing an environment that can be.

따라서, 밥통 등에서 배기되는 수증기 등을 흡입한 후 수증기를 적절한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된다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uch a device is necessary becaus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if a device capable of inhaling water vapor discharged from a rice container or the like and then discharging water vapor in an appropriate direction is develop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를 흡입한 후 다시 공기 중으로 배출함으로써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에 의해 밥통장의 일부 영역이 부식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밥통장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ase of corrosion of some areas of the rice cooker by the steam steam exhausted from the rice cooker by inhaling water vapor exhausted from the rice cooker and then discharging it back into the air. It detects the change and operates automatically, so it provides a convenient bakery h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밥통장에 배치되는 밥통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밥통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후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후드유닛은, 상기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덕트에 의해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는 배출부;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흡입부로 수증기를 유입하여 상기 배출부로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구동부; 상기 흡입부 주위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메인보드(Main Boa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ice cooker in the upper region of the rice cooker disposed in the rice cooker; And a hood unit coupled to the case, wherein the hood unit comprises: a suction unit through which water vapor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is sucked; A discharge part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art by a duct; A suction driv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providing suction power to the suction part so that water vapor i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art and water vapo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rt;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around the suction unit; And a main board having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suction driving uni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ed by the sensing unit.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흡입부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부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to sense a temperature around the suction unit, and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suction driver based on a change in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

또는, 상기 감지부는, 상기 흡입부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부 주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to sense humidity around the su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suction driving unit based on a change in humidity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

상기 흡입구동부는, 상기 덕트 내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판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uction driving unit includes a cross flow fan that is formed in the duc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plate of the case.

상기 흡입부의 배면에는, 인접한 영역으로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를 작동시키는 조명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ember emitting light to an adjacent area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and further includes a button unit having an illumination butt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o operate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ember. desirab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는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이며, 상기 흡입부의 중앙 영역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ember i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preferably disposed to face downward in a central region of the suction unit.

상기 버튼부는,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동부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수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nual butt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o manually operate the suction driver.

상기 흡입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판에 형성된 제1 케이스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1 케이스홀에 맞춤 결합되는 흡입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흡입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케이스홀을 향한 방향 및 상기 덕트를 향한 방향이 개방되어 상기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ction part may include a suction frame that is manufact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se hole formed in the lower plate of the cas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ase hole; And a suction case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uction frame so as to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where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ase hole and a direction toward the duct are opened to form a movement passage of water vapor exhausted from the rice contain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상기 배출부는, 일측이 상기 덕트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판에 형성된 제2 케이스홀에 맞춤 결합되는 배출프레임; 및 상기 배출프레임에 마련되는 복수의 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ar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uct, the discharge frame is coupled to the second case hole formed on the front plate of the case; An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ills provided in the discharge frame.

상기 복수의 그릴은, 배출되는 수증기의 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프레임에 대하여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ills may be rotated about each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fram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ater vapor discharged can be changed.

상기 케이스가 상기 밥통장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드유닛이 장착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부에는 레일홈 및 레일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밥통장의 양 측벽에는 상기 레일홈 및 레일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ither one of the rail groove and the rail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e in which the hood unit is mounted so that the case is slidab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rice bowl, and the other side of the rail groove and the rail It is preferably formed.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지아이(EGI) 철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is preferably made of an EGI iron plate to prevent corrosion by water vapor exhausted from the breadbasket.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동부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창을 구비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having an operation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whether the suction driving unit is operated.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 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통장 후드가 설치된 밥통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밥통장 후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밥통장 후드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밥통장 후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밥통장 후드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밥통장 후드와 밭통장이 레일 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ice cooker hood installed with a rice cooker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ice cooker hood shown in FIG. 2,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ce cooker hood of the upper sid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ce cooker hood of FIG. 2 from the lower side, FIG. 6 is a plan view of the rice cooker hood of FIG. 2, and FIG. 7 is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rice passbook hood and the field passbook is coupled by the rail structur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통장 후드(10)는, 밥통(5)이 배치되는 밥통장(1)의 상부 영역에서 밥통장(1)과 결합되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에 결합되는 후드유닛(3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rice cooker hoo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s coupled to the rice cooker 1 in the upper region of the rice cooker 1, where the rice cooker 5 is disposed ( 20 and a hood unit 30 coupled to the case 20.

먼저 케이스(20)는, 도 2 및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밥통(5)의 상부 영역에서 밥통장(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케이스(20) 내측에 결합되는 후드유닛(30)이 밥통(5)의 상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20)에는, 밥통장(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동레일(21)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후드유닛(3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수의 케이스홀들(23, 25)이 형성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detail in FIGS. 2 and 7, the case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ice cooker 1 in the upper region of the rice bowl 5, so that the hood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se 20 ( 30) to be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rice bowl (5). The case 20 is provided with a moving rail 21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ice cage 1 and a plurality of case holes 23 and 25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od unit 30 are formed. It is.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양 측벽부(24)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레일(21)은 밥통장(1)의 상부 양 측벽(2)에 결합된 고정레일(4)에 물림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밥통장 후드(10)는 밥통장(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레일(21)과 고정레일(4) 간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밥통장(1)으로부터 밥통장 후드(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밥통장(1)에 대한 밥통장 후드(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밥통장 후드(10)를 수리해야 할 경우 밥통장(1)으로부터 밥통장 후드(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수리 작업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때, 이동레일(21) 및 고정레일(4)에는 밥통장(1)에 대해 밥통장 후드(20)가 임의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detail in FIG. 7, the movable rails 21 formed on both sidewall portions 24 of the case 20 are fixed rails 4 coupled to the upper both sidewalls 2 of the rice bowl 1. Combined in the bite. Therefore, the rice cooker hood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relatively sliding relative to the rice cooker 1, and also from the rice cooker 1 by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movable rail 21 and the fixed rail (4) The hood 10 can be removed. With this structure,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rice cooker hood 10 with respect to the rice cooker 1 can be controlled, but also the rice cooker hood 10 is removed from the rice cooker 1 when the rice cooker hood 10 needs to be repaired. Since it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venient for repair work. At this time, the moving rail 21 and the fixed rail 4 may be formed with a stopper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rice cage hood 20 from moving relative to the rice basket 1 arbitrarily.

또한, 케이스(20)에는 후드유닛(30)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케이스홀들(23, 25)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20)의 하벽부(22)에는 후술할 후드유닛(30)의 흡입부(40)가 결합되는 제1 케이스홀(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20)의 전벽부(24)에는 후술할 후드유닛(30)의 배출부(50)가 결합되는 제2 케이스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홀(23) 및 제2 케이스홀(25)은 후드유닛(30)의 흡입부(40) 및 배출부(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후드유닛(30)이 케이스(20) 내에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case 20 has a plurality of case holes 23 and 25 for coupling the hood unit 30. In more detail, the lower wall part 22 of the case 20 is formed with a first case hole 23 to which the suction part 40 of the hood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and the front wall of the case 20. The part 24 has a second case hole 25 to which the discharge part 50 of the hood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he first case hole 23 and the second case hole 25 serve to expose a part of the suction part 40 and the discharge part 50 of the hood unit 30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hood unit 30 It is responsible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in the case 20.

이러한 케이스(20)는,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지아이(EGI) 철판으로 도장에 의해 제작되거나, 또는 알루미늄(Aluminium) 등의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이지아이(EGI) 철판으로 케이 스를 제작하는 경우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uch a case 20 may be manufactured by painting with an EGI iron plate to prevent corrosion by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or may be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Can be. At this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when manufacturing the case from the EGI iron plate.

한편, 후드유닛(30)은,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를 흡입하여 공기 중으로 흡입된 수증기(7)를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를 흡입하는 흡입부(40)와, 덕트(90)에 의해 흡입부(40)와 연통되어 흡입부(40)에 의해 흡입된 수증기(7)를 공기 중으로 배출하는 배출부(50)와, 흡입부(40)와 배출부(50)를 연통시키는 덕트(90) 내에 설치되어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61, Cross Flow Fan)을 구비하는 흡입구동부(60)와, 흡입부(40) 주위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부(70)와, 감지부(7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또는 습도에 기초하여 흡입구동부(6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 메인보드(80, Main Board)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ood unit 30 is a portion which sucks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and discharges the steam 7 sucked into the air, and sucks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A suction part 40, a discharge part 5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rt 40 by the duct 90, and discharges water vapor 7 sucked by the suction part 40 into the air, and a suction part ( It is provided in the duct 90 which communicates the 40 and the discharge part 50, and is provided with the cross flow fan 61 which provides the suction force which can suck | suck the steam 7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rice container 5. To operate the suction driver 60 based on the suction driver 60, the detector 70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suction unit 40, and the temperature or humidity sensed by the detector 70. And a main board 80 having a control unit (not shown).

먼저 흡입부(40)는, 케이스(20)의 하벽부(22)에 형성된 제1 케이스홀(2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제1 케이스홀(23)에 맞춤 결합되는 흡입프레임(41)과, 케이스(20)의 내부를 향하도록 흡입프레임(41)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제1 케이스홀(23) 방향 및 덕트(90)를 향한 방향이 개방된 흡입케이스(45)를 구비한다.First, the suction part 4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se hole 23 formed in the lower wall part 22 of the case 20, and the suction frame 41 is fitted to the first case hole 23. And a suction case 45 having a structure coupled to the suction frame 41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case 20 and having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ase hole 23 and a direction toward the duct 90.

흡입프레임(41)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40)가 케이스(20)에 지지 결합되도록, 케이스(20)의 내부에서 케이스(20)의 하벽부(22)와 접촉되되 중앙 영역이 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프레임판(42)과, 프레임판(42)의 중앙 영역의 테두리 부분에 연장 형성되어 제1 케이스홀(23)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프레임(43)을 구비한다. 이러한 흡입프레임(41)은, 케이스(20)와 마찬가지로 이지 아이(EGI) 철판으로 제작되어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 등에 부식되거나 곰팡이 등과 같은 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uction frame 4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wall portion 22 of the case 20 inside the case 20 such that the suction part 40 is supported and coupled to the case 20, as shown in detail in FIG. 6. The frame plate 42 has a central area penetrating through a rectangular shape, and a protruding frame 43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center area of the frame plate 42 to protrude out of the first case hole 23. do. Like the case 20, the suction frame 41 is made of an EGI iron plate to prevent corrosion of foreign matters such as water vapor 7 discharged from the food container 5 or generation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ld.

흡입케이스(45)는, 흡입프레임(41)의 내측 즉 케이스(20) 내부를 향한 방향을 향하도록 흡입프레임(41)의 돌출프레임(43)에 결합된다. 흡입케이스(45)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며, 밥통(5)으로부터 배기된 수증기(7)가 덕트(90)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홀(23)을 향한 방향과 덕트(90)를 향한 방향이 개구되어 있다. 즉, 흡입케이스(45)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아래면과 덕트(90)를 향한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개방된 아래면을 통해 밥통으로부터 배기된 수증기(7)가 흡입되고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흡입된 수증기(7)가 덕트(90) 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흡입케이스(45)를 통해 배기된 수증기(7)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케이스(45)와 인접한 덕트(90) 내에는 흡입구동부(60)가 배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 suction case 45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frame 43 of the suction frame 41 so as to face toward the inside of the suction frame 41, that is, the case 20. The suction case 45 is made of plastic and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he suction case 45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case hole 23 so that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container 5 can move into the duct 90.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duct 90 is open. That is, the suction case 45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bottom surface and one side toward the duct 90 is open, and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basket through the open bottom surface is sucked and opened. Water vapor 7 sucked through the side is introduced into the duct 90. At this time, the suction driving part 60 is disposed in the duct 90 adjacent to the suction case 45 so as to suck the steam 7 exhausted through the suction case 45.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또한,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40)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발광부재(48)가 이격 배치된다. 복수 개의 발광부재(48)는, 여러 장점을 지닌 발광다이오드(48, LED, Light Emitting Diode)로 마련되며, 밥통(5)이 배치된 하방을 향해 빛을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밝은 환경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광다이오드(48)는, 발광효율, 전력소모, 수명 등의 제반 상황에서 큰 장점이 있어 각종 전자표시부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기존의 전구램프처럼 눈이 부시거나 엘리먼트(Element)가 단락되는 경우 없이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실시 예와 같이 전면 발광시트에 효율적으로 배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짐으로써 그 활용도에 있어서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의 발광부재(48)로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detail in FIG. 6,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48 ar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part 40.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48 are provided as light emitting diodes 48 (LEDs) having various advantages, and emit light toward the bottom where the rice bowl 5 is disposed so that the user can work in a bright environment. To be able.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iode 48 has a great advantage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luminous efficiency, power consumption, and lifespan, and thus has been spotlighted as various electronic display parts.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without being able to be efficiently arranged in the front light emitting shee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also having a semi-permanent life has excellent advantages in its utilization, the light emitting member 48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red.

이러한 장점을 지닌 발광다이오드(48)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배출부(50)의 배출프레임(51)에 설치된 조명버튼(58)에 의해 온/오프(On/Off)될 수 있다. 버튼부(55)에는 조명버튼(58) 외에도 수동버튼(56) 및 전원버튼(57)이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버튼부(55)는 후술할 메인보드(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밥통장 후드(10)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거나, 밥통장 후드(10)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부(40)의 배면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48)를 온/오프(On/Off)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light emitting diode 48 having such an advantage is, as shown in Fig. 5 and 6, the on / off (On / Off) by the illumination button 58 installed on the discharge frame 51 of the discharge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Off). In addition to the light button 58, the button unit 55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nual button 56 and a power button 57, the button unit 5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80 to be described later, the rice cooker hood (10) is operated manually, the power of the rice cooker hood 10 (On / Off) or the light emitting diode 48 disposed on the back of the suction unit 40 as described above is turned on It plays the role of turning on / off.

한편, 배출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90)에 의해 흡입부(40)와 연통되어 흡입부(40)로부터 흡입되는 수증기(7)를 실내 공기 중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케이스(20)의 전벽부(24)에 관통 형성된 제2 케이스홀(25)에 맞춤 결합되는 배출프레임(51)과, 배출프레임(51)의 일 영역에 마련되는 복수의 그릴(52, Grill)을 구비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discharge part 50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rt 40 by the duct 90 and discharges water vapor 7 sucked from the suction part 40 into the indoor air. The discharge frame 51 is fitted to the second case hole 25 formed through the front wall portion 24 of the case 20 and a plurality of grills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discharge frame 51. 52, Grill.

배출프레임(51)은, 배출부(50)가 케이스(20)에 대해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케이스홀(25)에 지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버튼부(55) 및 후술할 표시부(95) 등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프레임(51)은 케이스(20)와 마찬가지로 이지아이(EGI) 철판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복수의 그릴(52)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7)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scharge frame 51 is a part which is suppo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ase hole 25 so that the discharge part 50 can maintain it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ase 20. The button part 55 and the display part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later. 95 and the like are provided. Like the case 20, the discharge frame 51 may be formed of an EGI iron plate or aluminum to prevent corrosion of the water vapor 7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grills 52.

복수의 그릴(52, Grill)은 배출프레임(51)에 대하여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 로 회전 가능하여 덕트(90)를 통해 이동된 수증기(7)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릴(52)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7)가 사람 또는 부식되기 쉬운 물품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grills (52) is rotatable about the respective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frame 51 can adjust the direction of the steam (7) moved through the duct (90).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vapor 7 discharged through the grill 52 from reaching a person or an article that is susceptible to corrosion.

흡입구동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40)와 배출부(50)를 연통시키는 덕트(90)의 내부에서 케이스(20)의 전벽부(24)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61, Cross Flow Fan)을 구비한다. 크로스 플로우 팬(61)은 흡입케이스(45)에 소정 크기의 흡입력을 제공하여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를 적절히 흡입할 수 있으며, 또한 흡입된 수증기(7)가 덕트(90)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부(50)의 그릴(5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the suction driving unit 60 is elong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wall portion 24 of the case 20 in the duct 90 which communicates the suction unit 40 and the discharge unit 50. A cross flow fan 61 is formed. The cross flow fan 61 provides a suction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to the suction case 45 to properly suck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and the suctioned steam 7 is duct 90. After moving along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grill 52 of the discharge unit (50).

크로스 플로우 팬(61)은, 덕트(90) 내에서 적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밥통장 후드(10)의 전체 크기를 슬림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증기(7)가 흡입되어 바로 배출되는 덕트(90) 내에 설치가 될 수 있어 다른 종류의 팬에 비하여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충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밥통(5) 주위의 밥통장(1)이 수증기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cross flow fan 61 occupies a small space in the duct 9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rice cooker hood 10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steam 7 may be installed in the duct 90 where the steam 7 is sucked and discharged immediately, thereby generating a sufficient suction force to sufficiently suck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as compared to other types of pans. I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corroded by the steam of the rice cooker (1) around the rice bowl (5).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밥통장 후드(10)는,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의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부(70)와, 감지부(7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또는 습도에 기초하여 흡입구동부(60)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는 메인보드(80, Main Board)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rice cooker hood 1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7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and the sensing unit 70 It includes a main board (80) having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automatically operating the suction drive unit 60 based on temperature or humidity.

감지부(70)는, 흡입케이스(45)의 배면에 설치되는데, 흡입부(40) 주위의 온 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1)와, 흡입부(40) 주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75)를 구비한다. 온도센서(71) 및 습도센서(75)는 흡입부(40) 주위의 온도 및 습도를 계속적으로 감지한 후 이를 제어부에 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detection unit 7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case 45, a temperature sensor 71 for detecting a temperature around the suction unit 40, and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humidity around the suction unit 40. And (75). The temperature sensor 71 and the humidity sensor 75 serve to continuously detec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suction unit 40 and then send the same to the control unit.

제어부는, 온도센서(71) 및 습도센서(75)로부터 수신된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흡입구동부(60)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실내의 대기 온도에 비해 흡입부(40) 주위의 온도 및 습도가 급하게 바뀌는 경우 등에 한해서만 흡입구동부(60)를 작동시킨다.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uction driving unit 60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1 and the humidity sensor 7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around the suction unit 40 as compared with the indoor air temperature. Only operate the suction drive unit 60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changed suddenly.

가령, 실내의 대기 온도가 18℃로 유지되다가 밥을 지을 경우나 또는 밥을 식기에 풀 때 발생되는 수증기(7)에 의해 흡입부(40) 주위의 온도가 현재 측정된 대기 온도인 18℃에 비해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높아지는 경우, 예를 들면 2~3℃만큼 높아지는 경우 온도센서(71)에서 감지된 온도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는 온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에 한해서만 흡입구동부(60)를 온(On)시켜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를 흡입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18 ° C. and cooked or when the rice is uncooked, the temperature around the suction unit 40 is increased to 18 ° C., which is the currently measured atmospheric temperature. In contrast,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by 2 to 3 ° C.,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uction driver 60 only when the temperature change deviates from the preset standard. It turns on and sucks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container 5.

밥통(5)으로부터 습기가 배출되는 경우 흡입부(40) 주위의 습도가 올라갈 수밖에 없는데, 습도센서(75)로부터 감지된 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습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흡입구동부(60)를 온(On)시켜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를 흡입케이스(45)를 통해 흡입하는 것이다.When moisture is discharged from the rice bowl 5, the humidity around the suction unit 40 is inevitably increased. Based on the humidit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75,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uction driving unit when the humidity change is out of a predetermined standard. 60 is turned on to suck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through the suction case 45.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흡입케이스(45)의 배면에 온도센서(71) 및 습도센서(75)를 모두 장착하여 흡입케이스(45) 주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값들에 기초하여 흡입구동부(6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을 갖지만, 온도센서(71) 및 습도센서(75) 중 하나의 센서만 흡입부(40)에 장착되고 이에 기초하여 흡입구동부(6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both the temperature sensor 71 and the humidity sensor 75 ar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case 45 to detect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suction case 45 and based on the detected values. Although it has a configura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astern part 60, only one sensor of the temperature sensor 71 and the humidity sensor 75 is mounted to the suction unit 40 and based on this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drive unit 60. Could b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흡입부(40)의 배면에 감지부(70)가 장착되고 감지부(70)가 온도 또는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제어부에 보낸 후 제어부가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흡입구동부(60)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밥통(5)으로부터 수증기(7)가 배기될 때마다 밥통장 후드(10)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ensing unit 7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40, the sensing unit 70 detects the temperature or humidity, and sends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uction driving unit 60 based on the inform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liminate the trouble of manually operating the rice cooker hood 10 whenever the steam 7 is exhausted from the rice cooker 5.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밥통장 후드(10)는, 배출부(50)의 일측에 버튼부(55)의 수동버튼(56)을 마련함으로써, 감지부(7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밥통장 후드(10)의 흡입구동부(60)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rice cooker hood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viding a manual button 56 of the button unit 55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unit 50, a failure occurs in the detection unit 70 In such a case, the suction driving unit 60 of the rice cooker hood 10 can be manually operated.

또한, 본 실시 예의 밥통장 후드(10)는, 배출부(50)의 일 영역에 표시부(95)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95)는, 버튼부(55)의 전원버튼(57)의 누름 동작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전원 표시창(96)과, 조명버튼(58)의 누름 동작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조명 표시창(94)과, 흡입구동부(60)의 동작여부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창(98)을 구비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밥통장 후드(10)의 동작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rice cooker hood 10 of this embodiment, the display part 95 is provided in one area | region of the discharge part 50. As shown in FIG. The display unit 95 is turned on / off by the power operation window 96 which is turned on / off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ower button 57 of the button unit 55 and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button 58. An on / off lighting display window 94 and an operation display window 98 indicating whether the suction driving unit 60 is operated are provided, thereby allowing a user to easily operate the rice cooker hood 10. You can see the effect.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밥통장 후드(10)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ice cooker hood 10 which has such a structure is demonstrated.

먼저, 본 실시 예의 밥통장 후드(10)의 평상시 상태 즉 밥통(5)으로부터 수 증기(7)가 배기되지 않는 상태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밥통장 후드(10)의 흡입부(40)에 장착된 감지부(70) 즉 온도센서(71) 또는 습도센서(75)는 흡입부(40) 주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지만 급격한 온도 변화나 습도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에 한해서 흡입구동부(6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는 온도 변화나 습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흡입구동부(6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 때에도 물론 흡입부(40) 주위 영역을 비추는 등의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부(55)의 조명버튼(58)을 누름으로써 밥통(5) 주위 영역을 밝게 비출 수 있다. 이때 표시부(95)의 조명 표시창(97)이 켜짐으로써 발광다이오드(48)의 온/오프(On/Off) 여부를 확인시켜준다.First, the ordinary state of the rice cooker hood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vapor 7 is not exhausted from the rice cooker 5 will be described first, and is attached to the suction part 40 of the rice cooker hood 10. The sensing unit 70, that is, the temperature sensor 71 or the humidity sensor 75 detect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suction unit 40, but only when the sudden temperature change or humidity change occurs. The operating control unit does not operate the suction driver 60 when the temperature change or the humidity change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standard. At this time, of course, if you want to light the area around the suction unit 40, such as by pressing the illumination button 58 of the button unit 55 can brighten the area around the rice bowl (5). At this time, the illumination display window 97 of the display unit 95 is turned on to check whether the light emitting diode 48 is on / off.

한편, 밥을 짓는다거나 또는 밥통(5)을 개방하여 밥을 푸는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즉 밥통(5)으로부터 수증기(7)가 배기되는 경우에, 본 실시 예의 밥통장 후드(10)가 작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ork such as cooking rice or opening the rice bowl 5 to loosen the rice, that is, when the steam (7) is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the rice cooker hood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operated How to do this will be described.

밥통(5)으로부터 수증기(7)가 발생되는 경우, 밥통(5)의 상부에 위치하는 흡입부(40) 주위의 온도 및 습도는 급격히 상승한다. 감지부(70)의 온도센서(71) 및 습도센서(75)는 이때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한 후 이에 대한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온도센서(71) 및 습도센서(75)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 습도의 변화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즉 온도 및 습도가 단시간 내에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흡입구동부(60)의 크로스 플로우 팬(61)이 작동되도록 한다. When steam 7 is generated from the breadbasket 5,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suction part 40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breadbasket 5 rise rapidly. The temperature sensor 71 and the humidity sensor 75 of the sensing unit 70 detect temperature and humidity at this time and then transmit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thereof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uction drive unit 60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71 and the humidity sensor 75 exceed a predetermined standard, that is,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rapidly rise within a short time. Allow the cross flow fan 61 to operate.

크로스 플로우 팬(61)이 작동하게 되면 소정의 흡입력이 발생되어 밥통(5)으 로부터 배기된 수증기(7)가 흡입케이스(45) 내로 빨려 들어온다. 크로스 플로우 팬(61)은, 흡입된 수증기(7)를 덕트(90) 내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수증기(7)는 덕트(90)를 통과한 후 배출부(50)의 복수의 그릴(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복수의 그릴(52)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수증기(7)의 배출 방향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어 수증기(7)가 공기 중으로 적절히 분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흡입구동부(60)가 작동하고 있을 경우 표시부(95)의 작동 표시창(98)이 온(On)되어 사용자는 흡입구동부(6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cross flow fan 61 is operated, a predetermined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water vapor 7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is sucked into the suction case 45. The cross flow fan 61 introduces inhaled water vapor 7 into the duct 90, and the inflow water vapor 7 passes through the duct 9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grills 52 of the discharge part 50. Through the outside. The plurality of grills 52 may be rotated about each rotation axis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team 7 to some extent so that the steam 7 may be properly dispersed in the air. At this time, when the suction driving unit 60 is operating, the operation display window 98 of the display unit 95 is turned on and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suction driving unit 60 is operated.

흡입구동부(60)는,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의 흡입이 완료되면,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그 동작이 정지되며, 흡입구동부(60)의 작동이 종료됨과 동시에 표시부(95)의 작동 표시창(98) 또한 오프(Off)된다.The suction driving unit 60 stops its operation by the command of the controller when the suction of the steam 7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is completed, and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driving unit 60 is termin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unit 95 The operation display window 98 of is also Off.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를 흡입한 후 다시 공기 중으로 배출함으로써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에 의해 밥통장(1)의 일부 영역이 부식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am vapor 7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5 is sucked into the air and then discharged back into the air. Thi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rroded, and also detects a change in temperature or humidity and automatically operates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it.

또한, 흡입부(40)의 배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48)로 인해 필요에 따라 인근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으며, 수동버튼(56)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시에 사용자가 직접 크로스 플로우 팬(61)을 작동시켜 밥통(5)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7)를 다른 곳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동 메커니즘의 고장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48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40 may emit light in a nearby area as needed, and the manual button 56 provides a user with a cross flow fan (if needed). By operating 61)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steam (7) discharged from the breadbasket (5) to another place, which also has the effect of compensating for the failure of the automatic mechanism.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후드유닛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밥통장의 양 측벽이 레일구조에 의해 결합된다고 상술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레일구조에 의한 결합이 아닌 스크루 결합 등의 다른 결합이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hood unit is mounted and both side walls of the rice bowl are coupled by the rail structure, but in some cases, other coupling such as screw coupling may be used instead of the rail structure.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를 흡입한 후 다시 공기 중으로 배출함으로써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에 의해 밥통장의 일부 영역이 부식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a part of the rice bowl is corroded by the water vapor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by inhaling water vapor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and then discharged back into the air. It detects the change in humidity and operates automatically, so it is convenient for users.

Claims (13)

밥통장에 배치되는 밥통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밥통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및A case detachably coupled to the rice cooker in an upper region of the rice cooker disposed in the rice cooker; And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후드유닛을 포함하며, Includes a hood unit coupled to the case, 상기 후드유닛은,The hood unit, 상기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가 흡입되는 흡입부;An intake unit through which water vapor exhausted from the rice container is sucked; 덕트에 의해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는 배출부; A discharge part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art by a duct;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흡입부로 수증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부로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구동부; A suction driv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providing suction power to the suction part so as to suck water vapor into the suction part and discharge water vapor into the discharge part; 상기 흡입부 주위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around the suction unit;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메인보드(Main Board): 및A main boar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suction driving unit based on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sensed by the detecting unit; and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동부의 작동 여부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창을 구비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And a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he display unit having an operation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whether the suction drive unit is operat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부는,The detection unit, 상기 흡입부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부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 서를 포함하며,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to sense a temperature around the suc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 The control unit is a food container hood,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suction drive based on the change in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부는, The detection unit, 상기 흡입부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부 주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며, A humidity senso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and sensing a humidity around the suc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습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The control unit is a food container hood,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suction drive based on the change in humidity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구동부는, 상기 덕트 내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판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Wherein the suction drive unit, the rice jang ho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ross flow fan (Cross Flow Fan) formed lo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plate of the case in the du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부의 배면에는, 인접한 영역으로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가 설치되며,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ember for emitting light to an adjacent region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uction unit,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를 작동 시키는 조명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 And a button unit having a lighting butt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o operate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는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이며, 상기 흡입부의 중앙 영역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ember i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 Light Emitting Diodes) are arrang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ice jangjang hood,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to face downwar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uction unit.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버튼부는,The button unit,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동부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수동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And a manual butt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o manually operate the suction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부는,The suction unit, 상기 케이스의 하판에 형성된 제1 케이스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1 케이스홀에 맞춤 결합되는 흡입프레임; 및A suction frame manufact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se hole formed in the lower plate of the case and fitted to the first case hole; And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흡입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케이스홀을 향한 방향 및 상기 덕트를 향한 방향이 개방되어 상기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흡입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밥통장 후드.A suction case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uction frame so as to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ase hole and a direction toward the duct to be opened to form a movement passage of water vapor exhausted from the rice container; Cookbook hood,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배출부는, The discharge portion, 일측이 상기 덕트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판에 형성된 제2 케이스홀에 맞춤 결합되는 배출프레임; 및A discharge fram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duct and fitted to a second case hole formed in the front plate of the case; And 상기 배출프레임에 마련되는 복수의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 Bobbin ho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grills provided in the discharge fram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복수의 그릴은, 배출되는 수증기의 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프레임에 대하여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The plurality of grills, the hood is a h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fram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ater vapor can be chang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가 상기 밥통장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후드유닛이 장착된 상기 케이스의 양 측부에는 레일홈 및 레일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밥통장의 양 측벽에는 상기 레일홈 및 레일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Either one of the rail groove and the rail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e in which the hood unit is mounted so that the case is slidab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rice bowl, and the other side of the rail groove and the rail Cookbook ho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밥통으로부터 배기되는 수증기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지아이(EGI) 철판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통장 후드.Wherein the case is a rice cooker ho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EGI iron plate to prevent corrosion by water vapor exhausted from the rice bowl. 삭제delete
KR1020070027721A 2007-03-21 2007-03-21 Hood for rice cooker container KR1007762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21A KR100776250B1 (en) 2007-03-21 2007-03-21 Hood for rice cooker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21A KR100776250B1 (en) 2007-03-21 2007-03-21 Hood for rice cooker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250B1 true KR100776250B1 (en) 2007-11-13

Family

ID=3906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721A KR100776250B1 (en) 2007-03-21 2007-03-21 Hood for rice cooker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2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02Y1 (en) 2010-04-09 2012-12-06 윤성환 Diffuser of air handling duc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0720A (en) * 1989-06-28 1991-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binet with steam exhauster
KR970060758A (en) * 1996-01-16 1997-08-12 김광호 Combined Rice Bowl
JPH10115445A (en) 1996-10-11 1998-05-06 Yamaha Living Tec Kk Vapor exhausting apparatus
KR200369729Y1 (en) 2004-09-23 2004-12-09 박재훈 Exhaust hood
KR100595973B1 (en) 2004-04-26 2006-07-03 임영재 Hood apparatus for kitch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0720A (en) * 1989-06-28 1991-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binet with steam exhauster
KR970060758A (en) * 1996-01-16 1997-08-12 김광호 Combined Rice Bowl
JPH10115445A (en) 1996-10-11 1998-05-06 Yamaha Living Tec Kk Vapor exhausting apparatus
KR100595973B1 (en) 2004-04-26 2006-07-03 임영재 Hood apparatus for kitchen
KR200369729Y1 (en) 2004-09-23 2004-12-09 박재훈 Exhaust ho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02Y1 (en) 2010-04-09 2012-12-06 윤성환 Diffuser of air handling 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80178A1 (en) Kitchen Appliance
KR101809178B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Divider Storage
JP2008070079A5 (en)
KR20180114405A (en) Kitchen utensils sterilizer
KR100776250B1 (en) Hood for rice cooker container
JP4522903B2 (en) Built-in cooking device
TWM593516U (en) Range hood with intelligent lift plate
JP7447267B2 (en) Multilayer lid of vacuum extraction equipment
CN1280588C (en) Heating cooking device
JP2009285208A (en) Cabinet hood housing rice cooker
CN215937094U (en) Illumination structure of visual air fryer
KR100866501B1 (en) Exhaustion structure of hood with inner cooking space
KR20130037885A (en) Prevention apparatus for moisture of storage cabinet
JP5035905B2 (en) Electrical product storage
JP6497622B2 (en) Storage device
CN110925802A (en) Multifunctional combined integrated stove
KR101507812B1 (en) air conditioner
TWI297600B (en) Food cleaning mchine
JP2004039356A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stove
CN211739174U (en) Multifunctional combined integrated stove
CN219693632U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JP698719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0771214B1 (en) Electric range and method thereof
JP4918722B2 (en) Pull-out kitchenware dryer
US20150138765A1 (en) Popcorn machines with lighting effec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