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100B1 -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 Google Patents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100B1
KR100774100B1 KR1020070076609A KR20070076609A KR100774100B1 KR 100774100 B1 KR100774100 B1 KR 100774100B1 KR 1020070076609 A KR1020070076609 A KR 1020070076609A KR 20070076609 A KR20070076609 A KR 20070076609A KR 100774100 B1 KR100774100 B1 KR 10077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actor
load
resis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철
박병주
Original Assignee
전력품질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력품질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력품질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38Electrical filters or coupl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7Structural details of sub-circuits of 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7/1741Comprising typical LC combinations, irrespective of presence and location of additional resistors

Landscapes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등록특허인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10-0383791)를 개선한 발명으로써, 기존의 발명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가 고정된 값을 갖는 밸런스리액터와 커패시터만을 가짐으로써 경부하 및 무부하시 패런티효과에 의한 부하단 전압 상승을 제한하여 부하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필터 커패시터 그룹을 다단계로 분리하여, 부하상태에 따라, 사이리스터를 온, 오프하여 무효전력 제어와 동시에 5차 고조파 이상의 고조파 전류를 효율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장치에 에 관한 것으로서, 3상 전원의 선로전압과, 전류량을 검출하여 제어부에서 각 상의 무효전력량 및 고조파 전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무효전력량 및 고조파 전류량에 맞춰 사이리스터를 이용 콘덴서를 투입, 보상함으로써, 무효전력 보상이 가능하며, 계통과 직렬로 전원단 보정리액터를 설치하고, 병렬로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설치하며, 다시 계통과 직렬로 부하단 보정리액터를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5차이상의 고조파를 저감 시키며,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커패시터 비율을 일정 배수로 맞춤으로써,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보상이 가능한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에 관한 것이다.
고조파, 사이리스터, 무효전력, 필터

Description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Advanced Hybrid Harmonics Filter}
전력전자, 전기계통
본 발명은 3상 배전 계통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 및 고조파 전류를 보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말하자면, 3상 계통의 전원을 사용하는 수용가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 및 고조파 전류를 보상하는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에서, 사이리스터를 이용하여 커패시터를 투입하여 무효전력을 보상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부하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전류를 저감시키는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에 관한 것이다.
리액턴스 성분을 가진 부하들이 운전을 시작하면, 전류파형이 전압파형보다 뒤지게 되어 부하들이 운전하는데 쓰이는 유효전력 외에 불필요한 전력이 발생하면서 계통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를 무효전력이라고 한다.
다이오드나 GTO등의 전력소자를 사용한 부하들의 경우, 기본파인 60Hz이외의 전류파형이 발생하여 계통으로 역으로 유입되는데, 이를 고조파 전류라 한다.
계통에 무효전력 및 고조파 전류가 발생하면 케이블 및 변압기등의 열손실을 발생시키며, 변압기의 설비용량을 증대 및 케이블 소손, 효율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미 등록된 특허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10-038379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통에 전원단 리액터와, 부하단 리액터; 상기의 전원측 보정 리액터와 부하측 보정 리액터 사이에 병렬로 밸런스 리액터와, 상기 밸런스 리액터와 직렬로 밸런스 콘덴서를 설치하고, 전원측 보정리액터 입력단과, 밸런스 콘덴서 사이에 전원측 파형 보정저항과 부하측 보정리액터 출력단과, 밸런스 콘덴서 사이에 부하측 파형 보정 저항을 설치하여, 계통에 흐르는 고조파 전류를 저감하는 방식이다.
특허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10-0383791)의 발명의 목적은 계통전원공급부와 비선형 부하 사이에 고조파 전류를 흡수하는 하나의 수동형 필터를 설치하여 3조파 이하에서 공진점을 하나로 제한하고, 대역에서 안정된 저 임피던스로 인해 가장 효율적으로 고조파를 억제하고자 하는 데 있다. 특허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10-0383791)의 다른 목적은 고조파 제한 규정을 다룬 IEEE Std. 519-1992(후술참조)의 고조파 전압 왜형률을 만족함은 물론이고, 고조파 전류 왜형률 규제치 또한 5%이내로 만족시킴과 동시에 고조파 찌그러짐(THD)을 감소하게 하여 고조파의 크기를 줄여 고조파로 인한 장애현상을 방지하여 전력 설비의 손실 절감 및 전력 품질 개선에 의한 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있고, 사용범위가 한정되어 쓰이던 기존 필터에 비하여 광범위의 고조파를 흡수함으로써 그 사용범위를 확장화시키고, 간단한 시설로 인해 제품의 경제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하지만, 상기의 등록된 특허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10-0383791)는 고조 파 전류 및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스 리액터와 밸런스 콘덴서가 1기 설치가 되어 있고, 스위칭 소자가 없기 때문에, 부하에서 무효전력 및 고조파 전류량이 변화하더라도, 고정된 보상전력량만을 내보내기 때문에, 경부하시에는 과보상이 되며, 콘덴서 투입시, 콘덴서 측의 돌입전류에 의하여, 계통의 전력품질을 순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는 무효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역률개선용 커패시터 뱅크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일정량의 무효전력만 보상가능하기 때문에 무효전력량이 수시로 변화하는 부하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기 때문에 Relay나 전력소자를 이용하여 변화하는 무효전력량을 능동적으로 보상하여주는 능동형 무효전력 보상장치가 개발되었다.
그중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무효전력 보상장치는 보상의 속도가 빠르며, 릴레이를 사용하여 스위치 온, 오프할 때 발생하는 돌입전류가 발생하지 않고, 가격도 저렴하여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무효전력 보상장치들은 리액터와 커패시터간의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계통에 흐르는 특정 고조파 전류를 저감시키도록 할 수 있으나, 고정 차수의 고조파 전류만 저감시킬 수 있어, 고조파 필터로서의 효율은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무효전력 보상장치가 1개의 고정차수의 고조파 전류만 저감 할 수 있어 계통의 고조파 전류 감소율이 적은 단점을 보완하고,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에 있어서, 무부하나 경부하시, 콘덴서 고정 투입으로 인한 과보상 및 패런티 효과를 저감 시키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다차수의 고조파 필터기능을 갖는 무효전력 보상장치에 관한 고조파 저감율이나, 저감 방식은 본 출원인의 기등록된 특허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10-0383791)와 선형응답특성을 갖는 3상 4선식 무효전력 보상장치(10-0435620)을 참조하면 좀 더 확실히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인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에서 밸런스 리액터(60) 및 콘덴서를 최대 발생할 수 있는 무효전력 및 고조파 전류량을 이용하여, 콘덴서의 최대 보상량을 구하고, 적절한 비율로 분등하여, 사이리스터를 이용하여, 무효전력 발생량에 따라 분등한 콘덴서를 온, 오프 시켜주어 무효전력 및 고조파 전류를 보상해 주도록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기존의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가 갖는 단점인 무부하 또는 경부하시 발생하는, 부하단의 전압상승현상인 패런티 효과로 인한 부하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하단의 빠른 무효전력의 변화에 맞춰 빠르게 (6~15ms) 무효전력을 보상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3상의 전원(11)를 통해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부하(12)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무효전력을 일정 용량의 커패시터 뱅크로 이루어진 커패시터 부(50)를 이용하여 보상하며, 커패시터부(50)와 3상 리액터(60)와 전원단 보정리액터(61)과, 부하단 보정리액터(62)를 이용하여 고조파 전류를 저감하는 다차수의 고조파 필터기능을 갖는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에 있어서, 배전 계통의 전원(1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선로전압과, 전류량을 검출하는 계기용 변압기(21)와 계기용 변류기(22)을 이용하여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선로에 흐르는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무효전력 측정부(33)와, 상기 선로에 흐르는 전압의 영점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ZERO CROSSING부(32)와, 상기 무효전력 측정부(33)와 ZERO CROSSING부(3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선로 전압의 파형이 영점이 되는 시점의 무효전력을 보상하도록 보상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4)와, 상기 제어부(34)로부터 출력되는 보상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커패시터를 선로에 접속하여 전류로를 형성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브(35)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브(35)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선로와 해당 커패시터의 전류로를 형성하는 사이리스터 스위칭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비선형 부하측(12)에서 본 계통전원부(11) 측의 임피던스를 높이기 위해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 및 저항을 상기 계통전원공급부측과 직렬연결시킨 전원측 보정리액터(61)와 상기 비선형 부하(12)로부터의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 및 저항을 상기 전원측 보정리액터(61)의 말단과 상기 비선형 부하(12)의 입력단에 직렬 연결된 부하측 보정리액터(62)와, 상기 전원측 보정리액터(61)와 부하측 보정리액터(62)의 중간단에 접속되어 특정차수의 임피던스를 낮추기 위해 인덕터및 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된 밸런스 리액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 T필터부와;상기 전원측 보정리액터(61)와 상기 밸런스 리액터(60)에 저항을 연결시켜 상기 계통전원공급부(11)의 임계 임피던스를 낮추기 위한 전원측 파형보정저항(71)과, 상기 부하측 보정리액터(62)와 상기 밸런스 리액터부(60)에 저항을 연결시켜 과부하 방지 및 노칭 전압완화를 위한 부하측 파형보정저항(72)을 포함하여 구성된 파형보정저항부와(70); 상기 밸런스 리액터(60)의 말단에 직렬로 연결된 방전저항부(80)와;상기 방전저항부에 연결된 콘덴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이다.
도1은 출원인의 기등록 된 특허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의 세부회로도
도2는 본 발명인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의 세부 회로도

Claims (2)

  1. 배전 계통의 전원(1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선로전압과, 전류량을 검출하는 계기용 변압기(21)와 계기용 변류기(22)을 이용하여, 무효전력 및 고조파 전류를 측정, 계산하여 계산된 값에 의하여, 사이리스터 스위칭(40)부를 온, 오프 할 수 있는 디지털 컨트롤러부(30)와, 상기 디지털 컨트롤러부(30)에서 나온 신호로, 선로와 해당 커패시터의 전류로를 형성하는 사이리스터 스위칭부(40)와, 상기 비선형 부하측(12)에서 본 계통전원부(11) 측의 임피던스를 높이기 위해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 및 저항을 상기 계통전원공급부측과 직렬연결시킨 전원측 보정리액터(61)와 상기 비선형 부하(12)로부터의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 및 저항을 상기 전원측 보정리액터(61)의 말단과 상기 비선형 부하(12)의 입력단에 직렬 연결된 부하측 보정리액터(62)와, 상기 전원측 보정리액터(61)와 부하측 보정리액터(62)의 중간단에 접속되어 특정차수의 임피던스를 낮추기 위해 인덕터및 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된 밸런스 리액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 T필터부(63)와;상기 전원측 보정리액터(61)와 상기 밸런스 리액터(60)에 저항을 연결시켜 상기 계통전원공급부(11)의 임계 임피던스를 낮추기 위한 전원측 파형보정저항(71)과, 상기 부하측 보정리액터(62)와 상기 밸런스 리액터부(60)에 저항을 연결시켜 과부하 방지 및 노칭 전압완화를 위한 부하측 파형보정저항(72)을 포함하여 구성된 파형보정저항부와(70); 상기 밸런스 리액터(60)의 말단에 직렬로 연결된 방전저항부(80)와; 상기 방전저항부에 연결된 콘덴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 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2. 청구항 1항 에서,
    디지털 컨트롤러부라 함은, 배전 계통의 전원(1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선로전압과, 전류량을 검출하는 계기용 변압기(21)와 계기용 변류기(22)을 이용하여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선로에 흐르는 무효전력 및 고조파 전류를 산출하는 무효전력 측정부(33)와, 상기 선로에 흐르는 전압의 영점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ZERO CROSSING부(32)와, 상기 무효전력 측정부(33)와 ZERO CROSSING부(3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선로 전압의 파형이 영점이 되는 시점의 무효전력을 보상하도록 보상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4)와, 상기 제어부(34)로부터 출력되는 보상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커패시터를 선로에 접속하여 전류로를 형성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브(35)를 포함한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KR1020070076609A 2007-07-31 2007-07-31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KR100774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609A KR100774100B1 (ko) 2007-07-31 2007-07-31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609A KR100774100B1 (ko) 2007-07-31 2007-07-31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100B1 true KR100774100B1 (ko) 2007-11-06

Family

ID=3906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609A KR100774100B1 (ko) 2007-07-31 2007-07-31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10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174A3 (ko) * 2008-09-02 2010-07-15 Lee Sung Go 자동 고조파 제어 장치
KR101083867B1 (ko) 2009-03-11 2011-11-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선형 부하를 고려한 배전용 정지형 보상기의 전류 제어 장치
KR101174819B1 (ko) 2012-01-12 2012-08-23 주식회사 애니홈스 전력품질 향상 기능을 갖는 절전 장치 및 그 절전 방법
KR101877883B1 (ko) * 2016-12-30 2018-07-13 이효윤 고장 예측 기능을 구비한 노이즈제거필터
EP3422547A1 (en) * 2017-06-29 2019-01-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wer converter system
KR102036580B1 (ko) * 2018-11-19 2019-10-25 전력품질기술(주) 개선된 3상 비선형부하 입력측 수동형 고조파 필터
CN113708383A (zh) * 2021-09-16 2021-11-26 安徽海螺建材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电能损耗和电能质量综合处理方法及系统
KR102420702B1 (ko) * 2021-12-02 2022-07-15 (주)파워닉스 고압 전력 계통 직결 방식의 판넬형 무효 전력 보상 장치
CN113708383B (zh) * 2021-09-16 2024-05-17 安徽海螺建材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电能损耗和电能质量综合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081B1 (ko) 1999-03-17 2001-06-15 차동해 하이브리드 병렬형 능동 전력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081B1 (ko) 1999-03-17 2001-06-15 차동해 하이브리드 병렬형 능동 전력 필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174A3 (ko) * 2008-09-02 2010-07-15 Lee Sung Go 자동 고조파 제어 장치
KR101083867B1 (ko) 2009-03-11 2011-11-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선형 부하를 고려한 배전용 정지형 보상기의 전류 제어 장치
KR101174819B1 (ko) 2012-01-12 2012-08-23 주식회사 애니홈스 전력품질 향상 기능을 갖는 절전 장치 및 그 절전 방법
WO2013105808A1 (ko) * 2012-01-12 2013-07-18 주식회사 애니홈스 전력품질 향상 기능을 갖는 절전 장치 및 그 절전 방법
CN104054244A (zh) * 2012-01-12 2014-09-17 艾尼宏斯股份有限公司 具有提高电力质量功能的节能装置以及其节能方法
KR101877883B1 (ko) * 2016-12-30 2018-07-13 이효윤 고장 예측 기능을 구비한 노이즈제거필터
EP3422547A1 (en) * 2017-06-29 2019-01-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wer converter system
KR102036580B1 (ko) * 2018-11-19 2019-10-25 전력품질기술(주) 개선된 3상 비선형부하 입력측 수동형 고조파 필터
CN113708383A (zh) * 2021-09-16 2021-11-26 安徽海螺建材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电能损耗和电能质量综合处理方法及系统
CN113708383B (zh) * 2021-09-16 2024-05-17 安徽海螺建材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电能损耗和电能质量综合处理方法及系统
KR102420702B1 (ko) * 2021-12-02 2022-07-15 (주)파워닉스 고압 전력 계통 직결 방식의 판넬형 무효 전력 보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100B1 (ko) 개선된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Hafner et al. A shunt active power filter applied to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s
US7183751B2 (en) Reactive power compensator device
Iman-Eini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power electronic transformer for medium voltage levels
KR102485699B1 (ko) 컨버터 시스템의 댐핑 장치 및 방법
Gerçek et al. Design,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a new C-type 2nd harmonic filter for electric arc and ladle furnaces
TW200408180A (en) Hybrid virtual work compensating system (1)
CN104617580A (zh) 谐振式限流系统及控制方法
JP4779777B2 (ja) フリッカ抑制装置
CN103607133A (zh) 三相桥式pwm变流器及其构成的有源电力滤波器
KR102262515B1 (ko) 하이브리드 전력품질 보상 장치
Ko et al. Analysis of harmonic distortion in non-linear loads
KR102339935B1 (ko) 입력 전류의 고조파 저감을 위한 정류기 제어기가 구비된 무정전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Huang et al. Digital-controlled single-phase transformer-based inverter for non-linear load applications
KR20230040003A (ko) 전압 안정화를 위한 2조 병렬 인버터의 협조 제어 구조를 갖는 단상 독립형 인버터
Hosseini et al. A novel hybrid active filter for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neutral current cancellation
JP6921631B2 (ja) 電源システム
CN106253296B (zh) 用于中频供电系统的终端补偿控制方法
JenoPaul et al. Power quality improvement for matrix converter using unified power quality conditioner
Contractor et al. Harmonic mitigation for power quality improvement
Chavan et al. Active Power Filters to Reduce Harmonics and Improve Power Quality.
Chen et al. Analysis and comparison of passive & active harmonic suppression filters in distribution systems
Mudaheranwa et al. Reduction of harmonics using Active Power Filters in Electric Power System
RU272714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енсации реактивной мощности в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сетях
JPS61125628A (ja) 無効電力補償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