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003B1 - Bottle Sliding Device For Working Cooler - Google Patents

Bottle Sliding Device For Working Coo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003B1
KR100772003B1 KR1020050091210A KR20050091210A KR100772003B1 KR 100772003 B1 KR100772003 B1 KR 100772003B1 KR 1020050091210 A KR1020050091210 A KR 1020050091210A KR 20050091210 A KR20050091210 A KR 20050091210A KR 100772003 B1 KR100772003 B1 KR 100772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lider bar
pair
cap
sli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6314A (en
Inventor
표성호
Original Assignee
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성호 filed Critical 표성호
Priority to KR102005009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003B1/en
Publication of KR2007003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3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A47F3/0486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for charging, display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 A47F7/285Show stands having fixation means, e.g. hanging means, slidable fixations, frictional retaining means, theft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면이 개방된 형태의 냉장 쇼케이스인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는 워킹 쿨러(100)의 고정 선반(130)의 저면에 설치되어, 보틀(300) 상단부의 뚜껑(301)과 확대부(303)가 삽입되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전방캡(210), 슬라이더 바아(230) 및 후방캡(250)으로 구성된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를 제공한다. 전방캡(210)은 슬라이더 바아(230)의 선단에 연결되며, 슬라이딩 이동된 최전방 보틀(310)을 전방으로 피벗 회전시켜 보틀(310)을 인출할 수 있도록 뚜껑(301)을 인출하기 위한 확대공(220)과 보틀(310)의 확대부(303)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225)을 구비한다. 후방캡(250)은 배면(250c)에 보틀(300)의 뚜껑(301)과 확대부(303)을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 내로 삽입하기 위한 투입구(25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는 보틀의 상단이 보틀 슬라이딩 장치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에 의해 보틀(300)의 상표 부분이 가려지지 않으며, 보틀(300)을 전방으로 피벗 회전시켜 인출하는 구조이므로 워킹 쿨러(100)의 선반(130) 간의 간격을 좁게하여 워킹 쿨러(100) 내에 진열되는 보틀의 수를 크게 늘릴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 sliding device for a working cooler which is a refrigerated showcase having an open rear surface.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shelf 130 of the working cooler 100, the bottle 301 and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upper end of the bottle 30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method from the rear to the front It provides a bottle sliding device 200 composed of a front cap 210, a slider bar 230 and a rear cap 250 configured to move to. The front cap 210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slider bar 230, an enlarged hole for extracting the lid 301 so as to withdraw the bottle 310 by pivoting the forefront bottle 310 moved forward sliding And a drawing hole 225 for drawing out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220 and the bottle 310. The rear cap 250 has an inlet 252 for inserting the lid 301 and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into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on the rear surface 250c. In the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end of the bottle is inserted into the bottle sliding device to be supported and slidingly moved, the trademark portion of the bottle 300 is not covered by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and the bottle 300 is moved forward.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pivots out, the gap between the shelves 130 of the working cooler 100 can be narrowed,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number of bottles displayed in the working cooler 100.

워킹 쿨러, 보틀 슬라이딩 장치, 전방캡, 슬라이더 바아, 슬라이딩홈, 후방캡, 확대공, 인출공, 보틀, 확대부, 길이방향 개구  Working cooler, Bottle sliding device, Front cap, Slider bar, Sliding groove, Rear cap, Magnifier, Drawer, Bottle, Magnifier, Longitudinal opening

Description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 {Bottle Sliding Device For Working Cooler}Bottle Sliding Device For Working Coo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설치한 워킹 쿨러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워킹 쿨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orking cooler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working cooler with a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의 횡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의 후방캡의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ap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의 전방캡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상부벽과 측벽을 부분적으로 파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broken upper wall and side wall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ront cap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의 보틀 인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선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의 평단면도이다.6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for explaining the bottle withdrawal method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의 보틀 인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의 측단면도이다.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ure 3 for explaining the bottle withdrawal method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the symbols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워킹 쿨러 130 : 고정선반100: working cooler 130: fixed shelf

200 : 보틀 슬라이딩 장치 210 : 전방캡200: bottle sliding device 210: front cap

220 : 확대공 225 : 인출공220: enlarged hole 225: withdrawal ball

230 : 슬라이더 바아 250 : 후방캡230: slider bar 250: rear cap

252 : 투입구 300 : 보틀252: inlet 300: bottle

301 : 뚜껑 303 : 확대부301: lid 303: enlarged portion

본 발명은 배면이 개방된 소위 워킹 쿨러(working cooler)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워킹 쿨러의 배면으로 투입된 보틀들이 중력에 의해 워킹 쿨러의 전면으로 이동하는 중력 이동식 보틀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 sliding device for a so-called working cooler having an open rear su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vity movable bottle sliding device in which bottles introduc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working cooler mov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orking cooler by gravity. will be.

상점이나 할인 매장 등에서 음료수 보틀을 진열 및 판매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냉장 쇼케이스(showcase)가 사용되고 있다. 이중 당업계에서 워킹 쿨러라고 부르는 것은 배면이 개방된 형태의 냉장 쇼케이스이다. 워킹 쿨러는 통상의 냉장 쇼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쇼케이스 내에 다수의 선반이 상하로 배열된 형태이나, 배면이 개방된 형태의 냉장 쇼케이스이다. 워킹 쿨러의 전면은 진열상품에 따라 개방되거나 혹은 유리 도어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다.Various types of refrigerated showcases are used to display and sell beverage bottles in stores or discount stores. Of these, what is called a working cooler in the art is a refrigerated showcase with an open back. The working cooler is a refrigerated showcase in which a plurality of shelves are arranged up and down in the showcase, as in a normal refrigerated showcase, but with an open back side. The front side of the working cooler is formed to be opened or opened by a glass door depending on the display goods.

한편, 종래의 워킹 쿨러를 포함하는 냉장 쇼케이스의 상품 진열방식은 평평한 선반 위에 상품을 진열하는 방식과 최전방에 진열된 상품이 인출되면 그 뒤의 상품들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선반을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선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격벽과 바닥면을 가진 다수의 컬럼을 형성하고 각 컬럼의 바닥면이 경사지도록 형성한 경사 컬럼들 구비한 디스플레이랙을 설치하는 방법들 이 공개되어 있다.Meanwhile, the merchandise display method of a refrigerated showcase including a conventional working cooler displays a product on a flat shelf and inclines the shelf so that the goods behind it are automatically moved forward by gravity when the product displayed at the forefront is withdrawn. Methods for installing a display rack having a plurality of columns having partitions and bottom surfaces along the length of the shelf and having the inclined columns formed to incline the bottom surfaces of the columns are disclosed.

그러나, 기존의 중력 이동식 진열 방식은 판매되어 부족해진 상품의 보충시 쇼케이스의 상품 진열 공간 사이의 비좁은 공간이나 통로를 통해 진열된 상품의 후방에 부족한 상품을 보급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있다.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existing gravity mobile display system is inconvenient in distributing the insufficient product to the rear of the displayed product through a narrow space or a passage between the product display spaces of the showcase when the product that is sold and insufficient is supplemented.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10-2004-0063883 호(2004. 8. 13. 출원)를 통해 각각의 상품을 수용하는 서랍을 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한 음료수 진열형 인출서랍을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has proposed a beverage display drawer which is configured to be able to withdraw the drawer for accommodating each product forward through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63883 (filed on August 13, 2004). There is a bar.

냉장 쇼케이스의 전면과 배면이 폐쇄되는 냉장고형 냉장 쇼케이스의 경우에는 본 출원인이 제안한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인출서랍을 구비한 음료수 진열형 인출서랍으로 부족한 상품을 투입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refrigerator-type refrigerated showcase in which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refrigerated showcase are clos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inputting a product that is insufficient as the beverage display drawer having a drawer withdrawable forward.

그러나, 배면이 개방된 형태의 워킹 쿨러의 경우에는 전방으로 인출되는 복잡한 구조의 인출서랍을 채용하지 않고도 개방된 워킹 쿨러의 배면을 통해 부족한 상품을 투입함으로써 중력 이동식 보틀 진열 및 판매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in the case of a working cooler having an open back sid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gravity mobile bottle display and sales device by inputting a scarce product through the back of an open working cooler without adopting a complicated drawer having a forward structure. It is possible.

다만, 종래의 냉장 쇼케이스의 중력 이동식 선반이나 디스플레이랙(display rack)은 대부분 냉장 쇼케이스의 선반 위에 설치되고, 그 디스플레이랙 상의 트레이 형태의 상품 수용부에 상품들을 진열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품이 중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랙 전면에 상품의 이탈방지부재를 형성해야 하므로, 진열된 상품의 상표 등 상품들을 식별하기 위한 상품의 주요 부분이 가려지게 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However, the gravity movable shelves or display racks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ted showcases are mostly installed on the shelves of the refrigerated showcases, and ar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goods are displayed in the tray-shaped goods storage unit on the display racks. It is pointed out that the main part of the product for identifying the goods, such as the trademark of the displayed product, is hidden because it is necessary to form a departure prevention member of the product on the front of the display rack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front by gravity.

또한, 선반상의 상품 혹은 트레이속에 진열된 상품을 인출하려할 경우 선반간의 간격이 좁을 경우 상품을 인출하기도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 결과 상품의 인출을 고려하여 선반간의 간격을 상품의 인출에 적당한 간격을 확보해야 하므로 단일 냉장 쇼케이스 내에 진열할 수 있는 상품의 수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In addition, when trying to withdraw goods on the shelf or goods displayed in the tra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withdraw goods if the gap between the shelves is narrow. As a result, the space between shelves should be secured in consideration of the withdrawal of goods, which is a factor limiting the number of products that can be displayed in a single refrigerated showcas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진열된 상품을 주요부분을 가리지 않고, 선반간의 간격도 크게 줄일 수 있는 워킹 쿨러에 특히 적합한 형태의 상부 레일식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pper rail bottle sliding device of a type particularly suited to a working cooler which does not cover the main part of the displayed product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can also greatly reduce the gap between shelv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워킹 쿨러의 선반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벽, 폐쇄된 전면벽, 개방된 배면, 개방된 배면으로부터 투입되는 보틀의 뚜껑과 확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 각각의 측벽의 하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 폭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연장되어 그 사이에 보틀의 네크부의 직경보다 크고 두껑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진 길이방향 개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직립부, 길이방향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보틀의 확대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며 보틀의 두껑부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며 보틀의 네크부와 접하는 선단부를 가지는 확대공을 형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부, 확대공의 선단부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에 확대공의 폭방향으로 측벽을 향하여 선형으로 연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부를 절개 하여 보틀의 확대부의 두께보다 큰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인출공을 구비하는 단일부재형태의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groove in which a lid and an enlarged portion of a bottle inserted from a top wall, a closed front wall, an open rear surface, and an open rear surface are slidably inserted into a bottom surface of a shelf of a working cooler. A pair of side wall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each side wall and extending vertically to face each other inwar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rebetween the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of the bottle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d therebetween. A pair of uprights forming a longitudinal opening with a width, formed forwardly from the longitudinal opening and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and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d portion of the bottle and having a tip contacting the neck portion of the bottle A pair of guide parts facing each other forming a ball, the width direction of the expansion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ar from the tip of the expansion hole Cutting parts of the pair of the guide so as to extend linearly toward the side wall as to provide a single member in the form of a sliding device for working the bottle cooler having a take-off hole formed to have a larger gap than the thickness of the enlarged portion the bottle.

또한, 본 발명은 워킹 쿨러의 선반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벽, 개방된 전면과 배면, 개방된 배면으로부터 투입되는 보틀의 뚜껑과 확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 각각의 측벽의 하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 폭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연장되어 그 사이에 보틀의 네크부의 직경보다 크고 두껑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진 길이방향 개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직립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바아; 및 배면에 형성되어 슬라이더 바아의 선단이 삽입되는 개구, 개구와 마주보는 폐쇄된 전면벽, 슬라이더 바아의 길이방향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의 길이방향 개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 직립부, 각각의 결합 직립부로부터 슬라이더 바아의 직립부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상승되어 개구를 통해 삽입된 슬라이더 바아의 선단과 접촉하는 단차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 전방으로 연장하여 그 선단에 보틀의 네크부와 접하는 선단부를 구비하며 보틀 두껑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확대공을 형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부, 확대공의 선단부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에 확대공의 폭방향으로 측벽을 향하여 선형으로 연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부와 결합 직립부를 절개하여 보틀의 확대부의 두께보다 큰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인출공을 구비하는 전방캡을 포함하는, 전방캡과 슬라이더 바아로 구성되는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side walls to form a top wall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elf of the working cooler, the open front and back, the lid of the bottle introduced from the open back and a sliding groove in which the enlarged portion is slidably inserted, Extending longitudinally at the lower end of each side wall, extending vertically to face each other inwar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rebetween a longitudinal opening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neck of the bottle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d; A slider bar having a pair of uprights to form; And a pair of engaging uprights formed in the back to form an opening into which the tip of the slider bar is inserted, a closed front wall facing the opening, and a longitudinal opening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opening of the slider bar, each engagement It is formed to have a stepped portion that rises from the upright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upright portion of the slider bar and contacts the tip of the slider bar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tip portion in contact with the neck portion of the bottle at the tip. A pair of guide portions facing each other forming an enlarged hole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le lid, a pair of guide portions so as to extend linearly toward the side w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larged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of the enlarged hole And a drawing hole formed to have a gap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by cutting the upright portion of the coupling. Provides a sliding device for a bottle, the working cooler consisting of a front cap and a slider bar including a front cap.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 바아의 종단이 삽입되는 전면 개구, 개구와 길이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배면벽, 슬라이더 바아의 길이방향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의 길이방향 개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 직립부, 각각의 결합 직립부로부터 슬라이더 바아의 직립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승되어 개구를 통해 삽입된 슬라이더 바아의 종단과 접촉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후방캡을 추가로 포함하여, 전방캡과 슬라이더 바아 및 후방캡으로 구성되는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한다.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pair of front openings into which the ends of the slider bars are inserted, back walls having openings and inlets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longitudinal openings having sizes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openings of the slider bars. A front cap further comprising a engaging upright, a rear cap having a step from each engaging upright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pright portion of the slider bar and contacting the end of the slider bar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 bottle sliding device for a working cooler comprising a slider bar and a rear cap is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부재, 전방캡과 슬라이더 바아로 구성되는 한 쌍의 부재 또는 전방캡과 슬라이더 바아 및 후방캡의 3 개의 부재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워킹 쿨러의 경사진 선반에 설치하거나 워킹 쿨러의 수평한 선반에 경사지게 본 발명의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워킹 쿨러의 배면에서 투입한 보틀을 전면으로 슬라이딩시켜 워킹 쿨러의 전면에서 보틀의 하부을 잡고 앞으로 당기면 보틀이 보틀 슬라이딩 장치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single member, a pair of members consisting of the front cap and the slider bar, or three members of the front cap, the slider bar, and the rear cap is installed on the inclined shelf of the working cooler. Or by installing the bottle sli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ined on the horizontal shelf of the working cooler, the bottle injected from the back of the working cooler is slid to the front and the front of the working cooler is pulled forward and the bottle is moved forward from the bottle slid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ttle sliding device for a working cooler having a simple structure that can be drawn out.

또한, 본 발명은 전방캡의 가이드부 상에 보틀의 확대부의 직경 보다 큰 폭을 갖도록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보틀의 확대부의 두께 이상의 높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전방으로 연장하여 그 선단이 보틀의 확대부와 접하는 선단부로 연결된 한 쌍의 상승턱이 형성되고, 결합 직립부와 가이드부와 상승턱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인출공은 한 쌍의 마주보는 인출면을 구비하며, 가이드부의 전방측 인출면의 상단에는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며, 전방측 인출면과 마주보는 가이드부의 후방측 인출면의 상단에는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여 전방캡 내에 위치하는 보틀의 확 대부의 후단부가 인출공 내로 경사지게 유입되도록 구성된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on the guide portion of the front cap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end and the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A pair of rising jaws connected to the leading end portion is formed, the extraction hol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upling upright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and the rising jaw has a pair of opposing extraction surfaces, the front of the extraction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A working cooler configured to form a convex curved surface at the top and a concave curved surface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side drawing surface facing the front side drawing surface so that the rear end of the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located in the front cap is inclined into the drawing hole. It provides a bottle sliding device for.

이와 같은 곡선형의 인출면들을 가진 인출공에 의해 전방캡 내에 위치하는 보틀의 확대부는 곡면의 인출면들을 통해 인출공 내로 유입되어, 보틀의 원할한 인출을 돕게 된다.An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located in the front cap by the drawing hole having the curved drawing surfaces is introduced into the drawing hole through the drawing surfaces of the curved surface to help the bottle withdraw smoothly.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 바아의 직립부가 직립부의 선단부에서 슬라이딩홈 내측을 향하여 수직하게 돌출된 가이드 레일를 구비하며, 전방캡과 후방캡의 결합직립부상에 형성되는 단차부는 슬라이더 바아의 직립부와 가이드 레일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여, 슬라이더 바아의 슬라이딩홈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보틀의 확대부와 슬라이더 바아의 직립부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rail in which the upright portion of the slider bar protrudes vertically toward the inside of the sliding groove from the tip of the upright portion, and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combined upright portion of the front cap and the rear cap is the upright portion of the slider bar and the guide rail. By providing a bottle sliding device for a working cooler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sliding in the sliding groove of the slider bar and the upright portion of the slider bar.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 바아 측벽의 상단부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폭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선형홈과 양 측벽의 선단부와 종단부에 각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구멍을 구비하고; 전방캡과 후방캡은 그 내측벽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더 바아의 선형홈과 결합하기 위한 각기 한 쌍의 선형 돌출부를 구비하며, 전방캡은 종단부의 양 내측벽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슬라이더 바아의 선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과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후방캡은 선단부의 양 내측벽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더 바아의 종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과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여, 슬 라이더 바아가 전방캡 및 후방캡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linear groove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slider bar, and a pair of holes facing each other at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both side walls; The front and rear caps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thereof and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nd have a pair of linear protrusions for engaging with the linear grooves of the slider bar.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protru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engaged with a pair of holes formed in the tip of the slider bar, and the rear cap protrud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both inner walls of the tip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r bar. By providing a bottle sliding device for a working cooler having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engaged with a pair of holes formed, the slider bar can be firmly fixed to the front cap and the rear cap.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suitable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를 설치한 워킹 쿨러(100)의 전체적인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 쿨러(100)는 배면(120)이 개방된 형태의 냉장 쇼케이스이다. 도시의 편의상 전면(110)의 유리 도어는 도시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는 워킹 쿨러(100)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고정 선반들(130)의 저면에 고정 선반(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음료수 등을 포장한 진열 판매 상품인 보틀(300)들은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에 보틀의 두껑을 포함하는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워킹 쿨러(100)의 배면(120)측에서 투입되어 전면(110)을 향해 중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working cooler 100 in which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shown, the working cooler 100 is a refrigerated showcase in which the rear surface 120 is open.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glass door of the front surface 110 is not shown.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helf 130 on the bottom of the fixed shelves 130 which are inclined to the working cooler 100. Bottles 300, which are display sales items packed with beverages, are injected from the rear side 120 of the working cooler 100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including the lid of the bottle is inserted into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and the front side 110 ) Will move forward by gravity.

이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최전방으로 이동한 보틀(310)은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의 전방캡(210)의 내부 구조에 의해 소비자가 보틀(310)의 하부를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 용이하게 인출되게 된다. 또한, 보틀(310)을 전방으로 당기면 보틀(300)의 상단부를 축으로 하여 보틀(310)이 피벗 회전되면서 인출되므로, 선반(130) 간의 간격은 보틀(310)의 길이 보다 약간만 더 크면 충분하게 되어 선반(130)들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bottle 310 moved to the forefront is easily pulled out when the consumer grabs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le 310 and pulls it forward b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ront cap 210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In addition, when the bottle 310 is pulled forward, the bottle 310 is pulled out while pivoting about the upper end of the bottle 30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helves 130 is only slightly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bottle 310 is sufficient.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shelves (130).

도 2와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의 분해 사시도 및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 (200)는 전방캡(210), 슬라이더 바아(230) 및 후방 캡(2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캡(210)은 상부벽(210a)과 한 쌍의 측벽(210b)을 구비하며, 길이방향 전면이 막히고, 길이방향 배면에는 슬라이더 바아(230)가 삽입 고정되는 개구(211)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더 바아(230)는 상부벽(230a)과 한 쌍의 측벽(230b)을 구비하고 바닥이 개방된 형태의 약 ㄷ자형의 부재이다. 슬라이더 바아(230)의 상부벽(230a)과 한 쌍의 측벽(230b)은 그 내부에 보틀(30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홈(231)을 형성하며, 각각의 측벽(230b)의 외측 상단에는 전방캡(210) 및 후방캡(250)과 결합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선형홈(233)을 구비하고, 각각의 측벽(230b)의 길이방향 선단부와 종단부에는 각기 구멍들(234, 235)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캡(250)은 상부벽(250a)과 양 측벽(250b)을 구비하며, 길이방향 전면에 슬라이더 바아(230)가 삽입 고정되는 개구(251)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배면(250c)에는 보틀(300)의 상단부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52)를 구비한다. 슬라이더 바아(230) 저면의 길이방향 개구(236)는 보틀(300)의 네크부(302)가 통과하도록 슬라이더 바이(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선형 개구로, 길이방향 개구(236)의 폭은 보틀(300)의 네크부(302)의 직경보다는 크고, 보틀(300)의 두껑(301)의 직경 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된다. 슬라이더 바아(230)의 길이방향 개구(236)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직립부(237)에는 보틀(300)의 확대부(303)와 접촉하여 보틀(300)을 안내하며 보틀(300)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237a)을 직립부(237)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서 슬라이더 바아(230)의 측벽(230b)의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선형돌기(239)는 슬라이더 바아(230)의 측벽(230b)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돌기이다.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hown,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ront cap 210, a slider bar 230 and a rear cap 250. The front cap 210 has an upper wall 210a and a pair of side walls 210b, and is formed to have an opening 211 through which a longitudinal front is blocked and a slider bar 23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ongitudinal rear. do. The slider bar 230 is an approximately C-shaped member having an upper wall 230a and a pair of side walls 230b and an open bottom. The upper wall 230a of the slider bar 230 and the pair of side walls 230b ar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bottle 300 to form a slidable sliding groove 231. The outer upper end is provided with a linear groove 233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gage the front cap 210 and the rear cap 250, and the holes in the longitudinal leading end and the end of each side wall 230b, respectively. 234 and 235 are formed. The rear cap 250 has an upper wall 250a and both side walls 250b, and has an opening 251 into which the slider bar 23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front, and the bottle on the longitudinal rear 250c. An inlet 252 for injecting the upper end of the 300 is provided. The longitudinal opening 236 of the bottom of the slider bar 230 is a straight opening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r by 230 so that the neck portion 302 of the bottle 300 passes, and the width of the longitudinal opening 236 is wid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302 of the bottle 300, is formed somewha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d 301 of the bottle 300. The pair of upright portions 237 facing the longitudinal openings 236 of the slider bar 230 are in contact with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to guide the bottle 300 and guide the bottle 30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guide rail 237a for supporting)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tip of the upright portion 237. 2 and 3, the linear protrusion 239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230 b of the slider bar 230 and protrud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is the side wall 230 b of the slider bar 230. Reinforcement protrusion to reinforce the stiffnes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음료수 보틀(300)은 상방으로 좁아지는 네크부(302)를 구비하며, 네크부(302)의 상단에는 뚜껑(301)이 체결되어 있다. 또한, 네크부(302)의 상단에는 뚜껑(301)이 체결되는 나사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하방으로 약간 이격되어 확대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이후 상세히 설명할 후방캡(250)의 투입구(252)로 투입되는 보틀(300)의 두껑(301)과 확대부(303)는 슬라이더 바아(230)의 슬라이딩홈(231) 내에 수용되며, 보틀(300)의 확대부(303)는 길이방향 개구(236)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직립부(237)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37a) 상에 놓여 전방캡(210)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a typical beverage bottle 300 includes a neck portion 302 narrowing upward, and a lid 301 is fastened to an upper end of the neck portion 302. In addition, an enlarged portion 303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neck portion 302 to be slightly spaced downward from a screw portion (not shown) to which the lid 301 is fastened. The lid 301 and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252 of the rear cap 250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s accommodated in the sliding groove 231 of the slider bar 230, the bottle ( An enlarged portion 303 of 300 is placed on a guide rail 237a formed in a pair of upright portions 237 facing each other with a longitudinal opening 236 therebetween and sliding by gravity toward the front cap 210. The way you go.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후방캡(25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캡(250)은 보틀(300)의 두껑(301)과 확대부(303)가 통과할 수 있는 투입구(252)와 슬라이더 바아(230)의 측면 외측 상단에 형성된 선형홈(233)과 결합하기 위해 내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폭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선형 돌출부(253)와 슬라이더 바아(230)의 후단부의 구멍(235)과 결합하기 위해 내측벽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원주형의 결합돌기(25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후방캡(250)의 바닥에는 슬라이더 바아(230)의 길이방향 개구(236)와 동일한 폭을 가진 길이방향 개구(256)가 형성되며, 후방캡(250)의 측벽 하단에서 폭방향 내측으로 수직하여 연장형성되며 길이방향 개구(256)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결합 직립부(257)는 슬라이더 바아(230)의 직립부(237)와 가이드 레일(237a)의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 단차부(258)를 구비한다. 그 결과, 후방캡(250)의 전방 개구(251)를 통하여 삽입되는 슬라이더 바아(230)의 직립부(237)는 결합 직립부(257) 상에서 단차부(258)와 접촉하여 삽입이 제한되게 된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후방캡(250)의 한 쌍의 결합돌기(255)가 슬라이더 바아(230)의 후단부의 구멍(235)과 결합되고, 한 쌍의 선형 돌출부(253)가 슬라이더 바아(230)의 선형홈(233)과 결합하여 슬라이더 바아(230)와 후방캡(250)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cap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rear cap 250 is a linear groove formed in the top of the side of the inlet 252 and the slider bar 230 through which the lid 301 and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can pass. 233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all for engagement with the widthwise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to engage with the pair of linear protrusions 253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holes 235 of the rear end of the slider bar 230. 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circumferential coupling projections 255 facing each other protruding into the.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rear cap 250 is formed with a longitudinal opening 256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longitudinal opening 236 of the slider bar 230, the width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rear cap 250 A pair of engaging uprights 257 extending vertically and facing each other with the longitudinal opening 256 interposed therebetween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prights 237 of the slider bar 230 and the guide rails 237a. It has a step portion 258 having a. As a result, the upright portion 237 of the slider bar 230 inserted through the front opening 251 of the rear cap 250 is in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258 on the engagement upright portion 257, thereby restricting the insertion. . In this position, the pair of engaging protrusions 255 of the rear cap 250 are engaged with the holes 235 of the rear end of the slider bar 230, and the pair of linear protrusions 253 are the slider bars 230. In combination with the linear groove 233 of the slider bar 230 and the rear cap 250 is firmly fixed.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전방캡(210)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캡(210)은 길이방향 개구(216)의 선단부에 형성된 확대공(220)의 구성을 제외하면 후방캡(250)의 구성과 유사하다. 즉, 전방캡(210)은 슬라이더 바아(230)의 선형홈(233)과 결합하는 한 쌍의 선형 돌출부(213)와 슬라이더 바아(230)의 선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234)과 결합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원주형 결합돌기(2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방캡(210)의 바닥 후단부에는 슬라이더 바아(230)의 길이방향 개구(236)와 동일한 폭의 길이방향 개구(216)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개구(216)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결합 직립부(217)는 슬라이더 바아(230)의 직립부(237)와 가이드 레일(237a)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 단차부(218)를 구비한다. 그 결과, 전방캡(210)의 후방 개구(211)를 통하여 삽입되는 슬라이더 바아(230)의 직립부(237)는 결합 직립부(217) 상에서 단차부(218)와 접촉하여 삽입이 제한되게 된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전방캡(210)의 한 쌍의 결합돌기(215)가 슬라이더 바아(230)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멍(234)과 결합되고, 한 쌍의 선형 돌출부(213)가 슬라이더 바아(230)의 선형홈(233)과 결합하여 슬라이더 바아(230)와 전방캡(210)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5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ront cap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front cap 210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cap 250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enlarged hole 220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longitudinal opening 216. That is, the front cap 210 is coupled to a pair of linear protrusions 213 coupled to the linear groove 233 of the slider bar 230 and a pair of holes 234 formed at the tip of the slider bar 230. A pair of columnar coupling protrusions 215 facing each other is provided. In addition, the bottom rear end of the front cap 210 is formed with a longitudinal opening 216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longitudinal opening 236 of the slider bar 230, facing the longitudinal opening 216 therebetween. The pair of engagement uprights 217 has a stepped portion 218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prights 237 and the guide rails 237a of the slider bar 230. As a result, the upright portion 237 of the slider bar 230 inserted through the rear opening 211 of the front cap 210 is in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218 on the engagement upright portion 217 to restrict the insertion. . In this position, the pair of engaging protrusions 215 of the front cap 210 are engaged with the holes 234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slider bar 230, and the pair of linear protrusions 213 are slider bars 230. The slider bar 230 and the front cap 210 are firmly fixed by combining with the linear groove 233 of the).

한편, 전방캡(210)의 길이방향 개구(216)와 연속적으로 전방캡(210)의 선단부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방캡(210)의 측벽(210b)을 향하여 확대된 확대공(220)이 형성되며, 전방캡(210)의 전면이 전면벽(212)으로 폐쇄되어 있다는 점이 후방캡(250)과 상이하다. 전방캡(210)의 전면벽(212)에는 진열된 상품의 상표 및/또는 가격 등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상품 정보를 표기한 스티커나 패널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독립된 패널(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할 경우 패널의 부착에 적합하도록 전면벽(212)에 다양한 형태의 패널 체결수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패널이 전면벽(212)과 평평하게 배치되도록 전면벽(212)에 패널의 규격에 대응하는 오목한 요부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end of the front cap 210 and the longitudinal opening 216 of the front cap 210, the enlarged hole 220 toward the side wall 210b of the front cap 210 ) Is formed, and that the front of the front cap 210 is closed by the front wall (212) is different from the rear cap (250). The front wall 212 of the front cap 210 may be attached with a sticker or a panel indicating the produc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duct information, such as the brand and / or price of the displayed goods. When attaching an independent panel (not shown), various types of panel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on the front wall 212 to be suitable for attaching the panel, and the front wall (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recessed recess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panel in 212).

확대공(221)은 결합 직립부(217)로부터 전면벽(212)을 향하여 길이방향 전방으로 연속되며, 슬라이더 바아(230)의 직립부(217)와 가이드레일(217a)의 두께에 대응하는 단차부(218)를 갖도록 결합 직립부(217)의 선단에서 상승되어 길이방향 전방으로 연장하여 그 선단이 반원형으로 연결되어 보틀(300)의 네크부(302)와 접하는 선단부(228)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부(221)에 의해 그 폭이 보틀(300)의 뚜껑(301)의 직경보다 크고, 보틀(300)의 확대부(30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221) 상에는 보틀(300)의 확대부(303)의 직경 보다 약간 큰 폭을 가지며, 확대부(303)의 두께에 대응하거나 그 보다 큰 높 이를 가진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승턱(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승턱(222)은 전방캡(210)의 몰딩후 분리가 용이하도록 전방캡(210)의 전면벽(212)까지 연장하도록 형성한다. 상승턱(222)의 선단에는 보틀(300)의 확대부(303)의 반경에 대응하거나 다소 큰 반경을 가진 반원형의 선단부(222a)를 형성하여 한 쌍의 상승턱(222)은 반원형의 선단부(222a)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nlarged hole 221 is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wall 212 from the coupling upright 217, the ste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pright portion 217 and the guide rail 217a of the slider bar 230 It is formed to have a tip portion 228 which is raised from the tip of the engaging upright portion 217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a portion 218 so that the tip is connected in a semicircular shape to contact the neck portion 302 of the bottle 300. The pair of guide portions 221 facing each other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d 301 of the bottle 300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In addition, on the guide portion 221 has a width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a pair of rising to face each other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nlarged portion 303 The jaw 222 is formed. The rising jaw 222 is formed to extend to the front wall 212 of the front cap 210 to facilitate separation after molding the front cap 210. The tip of the rising jaw 222 forms a semi-circular tip portion 222a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or having a somewhat larger radius so that the pair of rising jaws 222 is a semi-circular tip portion ( 222a) is preferably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전방캡(210)의 확대공(22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의 선단부에서 소비자가 보틀(300)을 당겨 보틀(300)을 인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확대공(220)은 보틀(300)의 뚜껑(301)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며, 확대공(221)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측벽(210b: 도 2)을 향하여 연장된 직선형의 인출공(225)을 구비한다. 인출공(225)은 확대공(220)의 반원형 선단부(228)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으로 보틀(300)의 확대부(303)의 직경 보다 다소 짧은 거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인출공(225)을 형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인출면들은 보틀(300)의 확대부(303)의 두께보다 다소 큰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며, 인출공(225)의 인출면을 형성하는 가이드부(221)의 전방측 인출면의 상단에는 볼록곡면부(226)가 형성되고, 전방측 인출면과 마주보는 가이드부(221)의 후방측 인출면의 상단에는 오목 곡면부(227)를 갖도록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300)이 전방캡(210) 내에 위치할 때 보틀(300)의 확대부(303)의 후단부는 인출공(225)의 볼록곡면부(226)에 의해 뒤쪽으로 약간 더 기울어지게 되며 보틀(300)의 확대부(303)가 볼록 곡면부(226)와 오목 곡면부(227) 사이에서 인출공(225)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The enlarged hole 220 of the front cap 210 is a configuration for the consumer to pull out the bottle 300 by pulling the bottle 300 at the tip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enlarged hole 220 is formed to be somewha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d 301 of the bottle 300, the straight outgoing hole 225 extending toward the side wall 210b (Fig. 2)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enlarged hole 221 It is provided. The outlet hole 225 is formed to be located at a distance slightly short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semi-circular tip portion 228 of the enlarged hole 220, the lead hole 225 The draw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to have a gap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and the front drawing surface of the guide part 221 forming the drawing surface of the drawing hole 225. A convex curved portion 226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nvex curved portion 226, and a concave curved portion 227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a rear drawing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221 facing the front side drawing surface. 6 and 7, when the bottle 300 is located in the front cap 210, the rear end portion of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is a convex curved portion 226 of the outlet hole 225. Slightly inclined backward by the expansion portion 303 of the bottle 300 is position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let hole 225 between the convex curved portion 226 and the concave curved portion 227.

본 발명의 전방캡(210)내에서 보틀(300)의 인출구조에 대해 도 6과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xtraction structure of the bottle 300 in the front cap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s follows.

도 6와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에서 중력에의해 전방으로 이동한 최전방의 보틀(310)은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의 선단부인 전방캡(21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후방의 보틀(320)에 전방으로 밀려지는 최전방 보틀(310)의 네크부(302)의 선단은 전방캡(210)의 확대공(220)의 반원형 선단부(228)에 접하고, 및/또는 보틀(310)의 확대부(303)의 선단은 상승턱(222)의 선단부(222a)에 접하여 지지되며, 확대부(303)의 종단으로부터 길이방향 전방측으로 형성된 인출공(225)에 확대부(303)의 후단부가 경사진 상태로 인입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보틀(300)의 하부를 전방측으로 당기면 보틀(310)은 피벗 회전하게 되고, 보틀(310)의 확대부(303)가 인출공(225)을 통하여 전방캡(210)의 하방으로 이탈되게 되며, 보틀(310)의 뚜껑(301)은 확대공(220)의 가이드부(221) 사이로 회전하여 이탈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6 and 7, in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most bottle 310 moved forward by gravity is located in the front cap 210,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Done. 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neck portion 302 of the foremost bottle 310 pushed forward to the rear bottle 320 is in contact with the semi-circular tip portion 228 of the enlarged hole 220 of the front cap 210, and / Alternatively, the tip of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1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distal end portion 222a of the rising jaw 222, and the enlarged portion is formed in the outlet hole 225 formed in the longitudinal front side from the end of the enlarged portion 303. The rear end of 303 is drawn in inclined state. Therefore, when the consumer pulls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le 300 toward the front side, the bottle 310 pivots, and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bottle 310 moves downward through the outlet hole 225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cap 210. The cover 301 of the bottle 310 is to be separated by rotating between the guide portion 221 of the enlarged hole 220.

최전방의 보틀(310)이 인출되게 되면, 후방의 보틀(320)의 확대부(303)가 슬라이더 바아(230)의 가이드레일(237a)로부터 확대공(220)의 가이드부(221)로 안내되어 최전방의 보틀(310)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인출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When the foremost bottle 310 is pulled out, the enlarged portion 303 of the rear bottle 320 is guided from the guide rail 237a of the slider bar 230 to the guide portion 221 of the enlarged hole 220. The foremost bottle 310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pulled out.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전방캡(210)과 후방캡(250) 및 슬라이더 바아(230)의 세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조립되어 사용되는 형태의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for a working coo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ree parts of the front cap 210, the rear cap 250, and the slider bar 2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에서 후방캡(250)은 슬라이더 바아(230)에 보틀(300)의 상단부를 투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채용된 것으로 이를 사용하지 않고 전방캡(210)과 슬라이더 바아(230)만으로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를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bottle sl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ap 250 is adopted for the safety of an operator who puts the upper end of the bottle 300 into the slider bar 230 and does not use the front cap 210 and the slider bar (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only by the 230.

또한, 전방캡(210)과 슬라이더 바아(230)를 분리하지 않고 슬라이더 바아(230)의 선단부에 전방캡(210)을 일체로 형성하여 단일 부재의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front cap 210 and the slider bar 2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cap 210 at the distal end of the slider bar 230 to form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of a single member. .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는 종래의 선반식 보틀 진열 및 판매 장치와는 달리 선반의 저면에 설치되어 보틀(300)의 바닥이 아닌 보틀(300)의 상단부인 뚜껑(301)과 확대부(303)가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를 따라 중력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상표 등이 부착되는 보틀(300)의 몸체가 선반(130)이나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에 의해 가려지지 않으므로 진열된 상품의 식별 효과가 우수하게 된다.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helf unlike a conventional shelf-type bottle display and sales device and is a lid that is an upper end of the bottle 300 instead of the bottom of the bottle 300. Since the 301 and the enlarged portion 303 are mov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by gravity along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the body of the bottle 300 to which a trademark or the like is attached is typically a shelf 130 or a bottle sliding. Since it is not covered by the device 200, the effect of identifying the displayed goods is excellent.

또한, 종래의 선반상에서 인출되는 방식과 달리 보틀 슬라이딩 장치(200)의 전방으로 당겨 최전방 보틀(310)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보틀(300)의 인출을 위한 공간을 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일한 규격의 워킹 쿨러(100)에 대해 기존의 선반 상부 진열 판매 방식보다 많은 보틀(300)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경제적 효과도 가진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drawing out on the shelf, since the front bottle 310 can be easily pulled out of the bottle sliding device 200, the space for pulling out the bottle 300 does not need to be increased. There is also an economic effect that can accommodate more bottles 300 for the working cooler 100 of the same size than the conventional shelf upper shelves.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예시되거나 제시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illustrated or present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의 보틀 슬라이딩 장치는 음료수 보틀 외에도 슬라이딩 홈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상단부의 구성을 가지는 어떠한 상품의 진열 및 판매에 전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용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ottle sli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dicated to the display and sale of any product having a configuration of the upper end that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in addition to the beverage bottle and slidable, such a dedicated also belongs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삭제delete 워킹 쿨러의 선반의 저면에 부착되는 상부벽, 개방된 전면과 배면, 개방된 배면으로부터 투입되는 보틀의 뚜껑과 확대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 각각의 측벽의 하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 폭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연장되어 그 사이에 보틀의 네크부의 직경보다 크고 두껑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진 길이방향 개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직립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바아; 및A top wall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elf of the working cooler, an open front and back, a pair of side walls forming a sliding groove into which the lid and enlargement of the bottle fed from the open back are slidably inserted, and the bottom of each side wall A pair of longitudinal opening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vertically to face each other inwar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rebetween forming a longitudinal opening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of the bottle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d therebetween. A slider bar having an upright portion; And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 바아의 선단이 삽입되는 개구, 상기 개구와 마주보는 폐쇄된 전면벽, 상기 슬라이더 바아의 길이방향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의 길이방향 개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 직립부, 각각의 결합 직립부로부터 슬라이더 바아의 직립부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상승되어 개구를 통해 삽입된 슬라이더 바아의 선단과 접촉하는 단차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 전방으로 연장하여 그 선단에 보틀의 네크부와 접하는 선단부를 구비하며 보틀의 두껑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확대공을 형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부, 확대공의 선단부로부터 길이방향 후방에 확대공의 폭방향으로 측벽을 향하여 선형으로 연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부와 결합 직립부를 절개하여 보틀의 확대부의 두께보다 큰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인출공을 구비하는 전방캡을 포함하며;A pair of engaging uprights formed on a rear side to form an opening into which the tip of the slider bar is inserted, a closed front wall facing the opening, and a longitudinal opening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opening of the slider bar, respectively Is formed to have a stepped portion that is raised from the engagement upright portion of the slider bar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upright portion of the slider bar and is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slider bar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tact the neck portion of the bottle at the tip. A pair of guide portions that face each other, forming an enlarged hole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d of the bottle, and a pair extending linearly from the distal end of the enlarged hole toward the side w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larged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arward; Incision formed by the guide portion of the joint and the incision formed to have a gap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Comprises a front cap having a hole and; 상기 전방캡의 가이드부 상에 보틀의 확대부의 직경 보다 큰 폭을 갖도록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며 보틀의 확대부의 두께 이상의 높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전방으로 연장하여 그 선단이 보틀의 확대부와 접하는 선단부로 연결된 한 쌍의 상승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직립부와 가이드부와 상승턱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인출공은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인출면을 구비하며, 가이드부의 전방측 인출면의 상단은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며, 전방측 인출면과 마주보는 가이드부의 후방측 인출면의 상단은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전방캡 내에 위치하는 보틀의 확대부의 후단부가 인출공 내로 경사지게 유입되도록 구성된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The front cap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and faces each other, has a h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xpanded portion of the bottle,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ip thereof is connected to the tip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xpanded portion of the bottle. A pair of rising jaws are formed, the outlet hol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upling upright portion, the guide portion and the rising jaw has a pair of fac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upper end of the front side withdrawal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For a working cooler configured to form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side drawing surface facing the front drawing surface and the guide portion forming a concave curved surface, such that the rear end of the enlarged portion of the bottle located in the front cap is inclined into the drawing hole. Bottle sliding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슬라이더 바아의 종단이 삽입되는 전면 개구, 상기 개구와 길이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배면벽, 상기 슬라이더 바아의 길이방향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의 길이방향 개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 직립부, 각각의 결합 직립부로부터 슬라이버 바아의 직립부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상승되어 개구를 통해 삽입된 슬라이더 바아의 종단과 접촉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후방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A pair of uprights forming a front opening into which the end of the slider bar is inserted, a back wall having an opening facing the ope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opening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opening of the slider bar. And a rear cap having a stepped portion that rises from each engaging upright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upright portion of the sliver bar and contacts the end of the slider bar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삭제delete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슬라이더 바아의 직립부가 직립부의 선단부에서 슬라이딩홈 내측을 향하여 수직하게 돌출된 가이드 레일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캡과 후방캡의 결합 직립부상에 형성되는 단차부는 슬라이더 바아의 직립부와 가이드레일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The upright part of the slider bar has a guide rail which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tip of the upright part toward the inside of the sliding groove, and the step portion formed on the upright part of the front cap and the rear cap is formed at the height of the upright part of the slider bar and the guide rail. A bottle sliding device for a working cooler formed to have a corresponding height.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슬라이더 바아 측벽의 상단부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선형홈과 양 측벽의 선단부와 종단부에 각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구멍을 구비하고; A pair of linear groove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sidewall of the slider bar, and a pair of holes facing each other at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both side walls; 상기 전방캡과 후방캡은 그 내측벽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 바아의 선형홈과 결합하기 위한 각기 한 쌍의 선형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캡은 종단부의 양 내측벽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더 바아의 선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과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캡은 선단부의 양 내측벽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슬라이더 바아의 종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과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워킹 쿨러용 보틀 슬라이딩 장치.The front cap and the rear cap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thereof and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each have a pair of linear protrusions for engaging with the linear grooves of the slider bar, wherein the front cap has both ends of the end cap.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ner wall in the width direction and engaged with a pair of holes formed in the tip portion of the slider bar, and the rear cap protrud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both inner walls of the tip portion and the slider A bottle sliding device for a working cooler having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engaged with a pair of holes formed at an end of a bar.
KR1020050091210A 2005-09-29 2005-09-29 Bottle Sliding Device For Working Cooler KR100772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10A KR100772003B1 (en) 2005-09-29 2005-09-29 Bottle Sliding Device For Working Coo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10A KR100772003B1 (en) 2005-09-29 2005-09-29 Bottle Sliding Device For Working Coo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314A KR20070036314A (en) 2007-04-03
KR100772003B1 true KR100772003B1 (en) 2007-11-01

Family

ID=3815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210A KR100772003B1 (en) 2005-09-29 2005-09-29 Bottle Sliding Device For Working Coo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00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5074A (en) 1995-10-10 1997-12-09 Henschel-Steinau, Inc. Gravity feed bottle display and dispensing rack
JP2001128817A (en) 1999-08-24 2001-05-15 Cosmo Chemical Kk Container display shel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5074A (en) 1995-10-10 1997-12-09 Henschel-Steinau, Inc. Gravity feed bottle display and dispensing rack
JP2001128817A (en) 1999-08-24 2001-05-15 Cosmo Chemical Kk Container display shel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314A (en)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6275B2 (en) Channel glide assemblies
US9392882B2 (en) Merchandising system with pusher assembly
KR100635336B1 (en) Beverage Display Drawer
US6615995B2 (en) Merchandising display track device
US6779670B2 (en) Merchandising display track device
US7690519B2 (en) Extendable product shelving
US20080245813A1 (en) Multi-chute gravity feed dispenser display
US20100252519A1 (en) Glide system with adjustable dividers and modular floor members
MX2007006024A (en) Trackless retail pusher system.
US20140034590A1 (en) Sliding and pivoting retainer
JPH11313737A (en) Commodity partition plate for displaying shelf
US20210289953A1 (en) Multi-chute gravity feed dispenser display
EP0658327B1 (en) Display cabinet or rack
JP3141313U (en) Product display case structure and its mounting structure
KR100772003B1 (en) Bottle Sliding Device For Working Cooler
CN218484186U (en) Cigarette retail cabinet
JP2986411B2 (en) Rack of canned drinks for showcases
JPH05115344A (en) Rack apparatus for showcase
JP4225439B2 (en) Product advancement tool
CN217137354U (en) Showcase
KR20130007202U (en) Shelf for showcase
JP2009119002A (en) Commodity displaying neck hanger
KR200298761Y1 (en) A lathe for cool display case
KR200400726Y1 (en) A drink vessel showcase for refrigerator
KR920001028Y1 (en) A bottle keeper of the show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