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868B1 -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868B1
KR100770868B1 KR1020060024895A KR20060024895A KR100770868B1 KR 100770868 B1 KR100770868 B1 KR 100770868B1 KR 1020060024895 A KR1020060024895 A KR 1020060024895A KR 20060024895 A KR20060024895 A KR 20060024895A KR 100770868 B1 KR100770868 B1 KR 100770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using
portable terminal
suppor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4337A (ko
Inventor
이규복
박성선
정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8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94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면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스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결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의 일면에 지지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단부는 상기 제1, 제2 케이스 중 다른 한 케이스에 결속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를 관통하고, 그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케이스에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는 체결 부재로서 후크를 활용하여 소형화된 단말기에서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스크류 등을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용이하다.
단말기, 하우징, 체결, 후크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HOUSING COUPLING ELEMENT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제2 하우징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1a : 제1 케이스 101b : 제2 케이스
103 : 체결 부재 131 : 지지체
133 : 후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케이스들을 결속, 고정시키는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 단문 메시지 전송으로부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키패드, 송화부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 또는 송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수화부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해 저장된 정보 또는 수신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통신 회로, 정보 처리 회로 등 각종 회로 장치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들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수용되는 회로 장치들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은 한 쌍의 케이스를 결합시켜 구성된다. 단말기의 무게와 성형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각 케이스들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고, 케이스들을 서로 대면하게 한 상태에서 스크류 등으로 체결하여 하우징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을 위해서는 나사산이 형성된 금속성 재질의 체결 요소를 금형에 장착하여 케이스 성형과 동시에 체결부를 구성하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단말기의 소형화에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체결 요소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체결 요소를 케이스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 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케이스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인서트 사 출 공정을 통해 케이스에 체결 요소를 설치하기 어려움을 격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면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스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결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의 일면에 지지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단부는 상기 제1, 제2 케이스 중 다른 한 케이스에 결속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를 관통하고, 그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케이스에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10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160도 정도까지 개방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는 키패드(111)와 마이크 장치(113)가 설치되어 상대방 전화번호 호출, 문자 정보 입력, 사용자 음성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스피커 장치(123)가 설치되어 입력된 정보 등의 화면 및 수신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타면에는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127)와 카메라 렌즈(129)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사이드 힌지 암(115)들과,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단에 형성된 센터 힌지 암(125)을 구비한다.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은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 사이에 위치되면서 그의 양단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의 내측 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1 하우징(101)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을 구성하는 케이스(101a, 101b)들을 결속시키는 하우징 결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 장치는 후크(133)가 형성된 체결 부재(103)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을 구성하는 케이스(101a, 101b)들을 결속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이 형성된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101a)에 대면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스(10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1a)의 내측면에는 체결홈(119a)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케이스(101b)에는 상기 체결홈(119a)들에 상응하는 결속홀(119b)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부재(103)는 상기 결속홀(119b)들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119a)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체결 부재(103)는 지지체(131)와, 상기 지지체(131)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단부가 절곡된 형상의 후크(13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131)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31)는 상기 제2 케이스(101b)의 일면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체(131)로부터 연장된 상기 후크(133)가 상기 결속홀(119b)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제2 케이스(101b)가 상기 제1 케이스(101a)에 대면하게 결합되면, 상기 결속홀(119a)을 관통한 상기 후크(133)는 상기 체결홈(119a)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지지체(131)가 상기 제2 케이스(101b)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후크(133)가 상기 결속홀(119b)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119a)에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2 케이스(101b)는 상기 제1 케이스(101a)에 대면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소형화, 슬림화된 단말기에 적용시키기 위한 체결 요소에 나사산 등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금속성 재질로 제작하게 되면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형화될수록 고도의 정밀 가공이 요구되어 제작 비용이 상승된다.
상기 체결 부재(103)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합성 수지로 제작하여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체결 부재의 지지체가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면에 지지되고 후크는 상기 제1 케이스에 결속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품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제2 케이스에 결속되는 구조를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는 합성 수지로 성형할 수 있는 체결 부재로서 후크를 활용하여 소형화된 단말기에서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스크류 등을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면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스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결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의 일면에 지지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단부는 상기 제1, 제2 케이스 중 다른 한 케이스에 결속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지지체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를 관통하고, 그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케이스에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케이스는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체결 부재들에 의해 결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3. 삭제
KR1020060024895A 2006-03-17 2006-03-17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KR100770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895A KR100770868B1 (ko) 2006-03-17 2006-03-17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895A KR100770868B1 (ko) 2006-03-17 2006-03-17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337A KR20070094337A (ko) 2007-09-20
KR100770868B1 true KR100770868B1 (ko) 2007-10-26

Family

ID=3868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895A KR100770868B1 (ko) 2006-03-17 2006-03-17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8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270A (ko) * 1998-05-14 1999-12-27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휴대용무선전화기용하우징조립체
KR20000008844U (ko) * 1998-10-28 2000-05-25 서평원 휴대폰 하우징의 체결구조
KR20020004628A (ko) * 2000-07-06 2002-01-16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커버 구조
KR20040003343A (ko) * 2002-07-02 200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폴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8270A (ko) * 1998-05-14 1999-12-27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휴대용무선전화기용하우징조립체
KR20000008844U (ko) * 1998-10-28 2000-05-25 서평원 휴대폰 하우징의 체결구조
KR20020004628A (ko) * 2000-07-06 2002-01-16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커버 구조
KR20040003343A (ko) * 2002-07-02 200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337A (ko)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477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8606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US8046026B2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US8054378B2 (en) Webcam module having a clamping device
US20050261041A1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8077860B2 (en) Accessory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64039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및 그의 장착 메카니즘
CN101321200B (zh) 便携式电子设备
IL132457A (en)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US20080188269A1 (en) Portable terminal with rotatable display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CN1942014A (zh) 用于便携式终端的扬声器装置及实现其的便携式终端
US20080047102A1 (en) Free stop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859907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77086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US20050079900A1 (en) Structure of a folder-style mobile phone
KR1007033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JP2007311981A (ja) 携帯電話機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1007034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1891972B1 (ko) 마이크로 폰 홀더용 장착 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4431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US7930005B2 (en) Housing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06186639A (ja) 電子機器
KR100724873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