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458B1 - Apparatus for emergency traveling of over head cra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mergency traveling of over head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458B1
KR100769458B1 KR1020010036657A KR20010036657A KR100769458B1 KR 100769458 B1 KR100769458 B1 KR 100769458B1 KR 1020010036657 A KR1020010036657 A KR 1020010036657A KR 20010036657 A KR20010036657 A KR 20010036657A KR 100769458 B1 KR100769458 B1 KR 100769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unit
attached
overhead cran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00618A (en
Inventor
최선학
정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36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458B1/en
Publication of KR2003000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6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4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5Control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궤도내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운반하는 천정기중기가 주행장치 이상으로 주행이 되지 않을 경우 이를 정비장소까지 비상주행 시킬 수 있는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capable of emergency driving to a maintenance place when the overhead crane carrying heavy goods while moving along a rail in a predetermined track does not travel beyond the traveling device.

본 발명은 가이더를 구비한 천정기중기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주행브레이크의 조작에 의해 정상가동되는 천정기중기가 비작동하는 다른 천정기중기를 밀어서 비상주행 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 가이더에 설치되고 실린더의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는 결합대부; 상기 타측 가이더에 설치되고 걸이를 통해 상기 결합대부의 걸이홀에 연결된 걸이대부; 상기 주행브레이크의 레버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브레이크를 비상개방시키는 비상개방기부; 상기 결합대부와 비상개방기부를 작동시키는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 및 다수개의 스위치와 램프를 통해 상기 걸이대부와 상기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그 동작이 표시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in which a overhead crane with a guider moves along a rail and in which the overhead crane, in which the overhead crane, which is normally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brake, is driven by emergency driving, is mounted on the one side guider and the cylinder Coupling portion is a linear movement; A hanger unit installed at the other guider and connected to a hanger hole of the coupling unit through a hanger; An emergency open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lever and the plate of the driving brake to emergencyly open the driving brake; A coupling unit and an emergency opening unit operating unit for operating the coupling unit and the emergency opening unit; And an operation pane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unit, the coupling unit, and the emergency opener operation unit through a plurality of switches and lamps,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천정기중기, 주행브레이크, 결합대, 걸이대, 비상개방기Overhead crane, traveling brake, coupling stand, hanger, emergency opener

Description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Apparatus for emergency traveling of over head crane}Apparatus for emergency traveling of over head crane

도 1은 종래 천정기중기의 설치 상태도.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 conventional overhead cran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정기중기의 주행 브레이크의 정면도.FIG. 2 is a front view of the traveling brake of the overhead crane shown in FIG. 1. FIG.

도 3은 종래 천정기중기의 비상주행 상황도.Figure 3 is an emergency driving situation of the conventional overhead cran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의 설치 상태도.Figure 4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결합대부 및 걸이대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in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있어서의 비상개방기부의 주행 브레이크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정면도.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with the traveling brake of the emergency releas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합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걸이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anger bas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걸이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Fig. 8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anger bas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상개방기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open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상개방기부의 구성을 분리 사시도.9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ope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는 본 발명의 천정기중기 비상주행장치의 작용도.Figure 10a is an operation of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run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작 패널을 도시한 정면도. Fig. 10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pane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결합대부 2 : 걸이대부1: combined loan 2: hanger loan

3 : 비상개방기부 4 :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3: emergency opening unit 4: coupling unit and emergency opening unit operation unit

5 : 조작 패널 6 : 천정기중기5: operation panel 6: overhead crane

8 : 주행 브레이크 1-a,3-a : 실린더8: traveling brake 1-a, 3-a: cylinder

1-b : 아암 2-a : 걸이1-b: arm 2-a: hook

3-b-1 : 롤러 4-b : 콤프레서3-b-1: Roller 4-b: Compressor

4-f : 오일러 5-b : 셀렉터 스위치4-f: Euler 5-b: Selector Switch

본 발명은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궤도내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운반하는 천정기중기가 주행장치 이상으로 주행이 되지 않을 경우 이를 정비장소까지 비상주행 시킬 수 있는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and in particular, when the overhead crane carrying heavy loads moving along a rail in a predetermined track does not travel beyond the traveling device,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can be driven to the maintenance place. It relates to a traveling device.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기중기(6)는 공장의 일정한 궤도내에서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운반하는 대형 설비로서, 제철소의 천정기중기는 각 공정에 따라 1개의 라인에 통상 2대 이상 설치되어 용선이나 용강, 슬래브, 코일등을 운반하게 된다.Generally, as shown in FIG. 1, the overhead crane 6 is a large facility that carries heavy materials while moving along a rail 10 within a constant track of a factory. The overhead crane of an ironworks is one line according to each process. Usually, two or more units are installed in the ship to transport molten iron, molten steel, slab, coil, and the like.

이러한 천정기중기는 운반작업 도중 서로 인접하여 작업을 하게 되는데 주행 장치인 모터, 감속기, 주행 브레이크, 전장품등의 이상으로 천정기중기가 주행을 하지 못하면 다른 천정기중기가 이의 간섭을 받아 작업진행을 못하게 되며,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조치로서 정상가동되는 천정기중기(6-A)가 비작동하는 다른 천정기중기(6-B)를 밀어서 간섭되지 않는 곳까지 비상주행을 시켜야 한다.These overhead cranes are to work adjacent to each other during the transportation work. If the overhead crane does not run due to the abnormalities of the traveling device such as a motor, a reducer, a driving brake, and electrical equipment, other overhead cranes will not be able to proceed due to their interferenc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3, as the emergency measures, the overhead crane (6-A) that is normally operated should push the other overhead crane (6-B) that is not operated to make an emergency run to the place where it does not interfere.

상기 비상주행을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브레이크(8)를 공구를 이용하여 릴리스 너트(8-j) 및 스트로크 너트(8-f)를 풀어서 포스트(8-e) 및 슈우(8-b)가 함께 벌어져서 라이닝(8-c)이 브레이크 드럼(8-a)에서 이격되어 강제로 수동 개방을 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주행브레이크(8)는 각 천정기중기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4대씩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가 일일이 공구에 의해서 수동개방을 시켜야 하므로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고 정비 완료후에도 브레이크드럼(8-a)과 라이닝(8-c)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해야 하나, 이 간격 조정이 정밀하게 되지 않을 경우 재조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For the emergency driving, as shown in FIG. 2, the driving brake 8 is unscrewed using a tool to release the release nut 8-j and the stroke nut 8-f, and thus the post 8-e and the shoe 8 -b) spreads together, causing the lining 8-c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rake drum 8-a forcing manual opening. By the way, the traveling brakes 8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verhead crane, but usually four are installed, so that the driver must manually open the tool by the tool, which takes a lot of work time and the brake drum (8-a) The lining (8-c) spacing must be precisely adjusted, but if this spacing is not precise, recalibration is required.

여기서 각각의 브레이크가 동일한 토오크로 조정되지 않을 경우 크레인(crane)이 사행할 위험이 있으며, 브레이크 조정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정상작업이 지연되고, 비상주행시 운전자의 조작미숙 또는 오조작으로 대형 설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f each brake is not adjusted to the same torque, there is a risk that the crane will meander,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adjust the brakes, which delays the normal work, and causes a large accident due to the driver's inexperience or misoperation during emergency driving.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caus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천정기중기가 주행장치 이상으로 주행을 하지 못할 경우, 정상작동하는 타 천정기중 기가 주행불가한 천정기중기를 작업이 방해가 되지 않는 곳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비상주행시킬 수 있는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when the overhead crane does not travel beyond the traveling device, the other overhead crane that is not normally operate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overhead cran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overhead crane emergency driving device that can be quickly and safely emergency driving to the pla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더를 구비한 천정기중기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주행브레이크의 조작에 의해 정상가동되는 천정기중기가 비작동하는 다른 천정기중기를 밀어서 비상주행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들중 일측 가이더에 설치되고 실린더의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는 결합대부; 상기 가이더들중 타측 가이더에 설치되고 걸이를 통해 상기 결합대부의 걸이홀에 연결된 걸이대부; 상기 주행브레이크의 레버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브레이크를 비상개방시키는 비상개방기부; 상기 결합대부와 비상개방기부를 작동시키는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 및 다수개의 스위치와 램프를 통해 상기 걸이대부와 상기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그 동작이 표시되는 조작 패널; 을 포함하는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device for moving the overhead crane with a guider and moving along the rail and the other overhead crane lifted by normal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brake by emergency driving, A coupling unit installed on one of the guiders and configured to linearly move the cylinder; A hanger part installed in the other guider of the guiders and connected to the hanger hole of the coupling part through a hanger; An emergency open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lever and the plate of the driving brake to emergencyly open the driving brake; A coupling unit and an emergency opening unit operating unit for operating the coupling unit and the emergency opening unit; And an operation pane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ok unit, the coupling unit, and the emergency opener operation unit through a plurality of switches and lamps,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thereof. There is provided an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comprising a.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대부는 아암세움감지기 스트라이커에 의해 감지되는 아암세움 감지기를 구비한 제1베이스와, 일단부에 걸이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홀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걸이바 캠이 부착되며 타측면에는 아암이 부착된 연결판과, 후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연결판에 결합되는 제1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암의 일단부에는 상기 걸이홀과 대향되는 위치에 걸이결합 감지기가 부착되고, 상기 제1베이스에는 아안뉘움감지기 스트라이커를 통해 상기 아암의 눕혀짐을 감지하는 아암뉘움 감지기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unit has a first base having an arm upright sensor sensed by an arm upright striker, and a hook hole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hook bar cam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anging up hole. Attached and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arm is attached to the plate, the rear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ylind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and 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one end of the arm is the hook A hook coupling detector is attached to a position opposite to the hole, and the first base is attached to an arm depression detector for detecting lying down of the arm through an armhole detection strik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이대부는 중앙부에 베어링이 내장되고, 하단에는 걸이바가 부착된 걸이와, 일측부가 샤프트를 통해 상기 걸이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제2베이스에 결합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portion has a bearing embedded in the center portion, the hook is attached to the hook at the bottom,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hook through the shaft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support coupled to the second base do.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비상개방기부는 상기 주행브레이크의 플레이트 상면에 부착된 제3베이스와, 하단부가 상기 제3베이스에 결합되고 선단부는 롤러 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된 제2실린더와, 상기 롤러 지지대의 상단부에 연결된 롤러와, 상기 제2실린더의 하부 일측에 부착된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결합된 가동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면 상,하단부에는 상기 주행브레이크가 개방 또는 닫힌 것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개방 및 닫힘 감지기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브레이크 개방 및 닫힘 감지기를 작동시키는 감지기 캠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opening unit has a third bas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brake, a lower end is coupled to the third base and 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ller support and the roller support, A roller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xed plate, and a fixed plate coupled to a connection plate attach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cylinder, and a movable plat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xed plate, on one side of the fixed plate. , The lower end is attached to the brake opening and closing detector for detecting that the driving brake is open or closed, the lower side of the movabl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or cam for operating the brake opening and closing detector is attached.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는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에어를 분출하는 콤프레서와, 상기 콤프레서에 연결된 필터와, 상기 필터에 연결된 레귤레이터 및 압력게이지와, 상기 레귤레이터에 연결된 오일러와, 상기 오일러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배출용 릴리프 밸브 및 에어압력감지용 압력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측의 상기 릴리프 밸브 및 압력게이지에는 제1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 및 속도조절수단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의 상기 릴리프 밸브 및 압력게이지에는 제2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와 주행브레이크를 점검하기 위한 푸시버튼 밸브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unit and the emergency opener operation unit is connected to a drive motor to blow out air, a filter connected to the compressor, a regulator and a pressure gauge connected to the filter, an oiler connected to the regulat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discharge relief valve and an air pressure sensing pressure gauge connected to the oiler, the first relief valve and pressure gauge o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solenoid valve and the speed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first cylinder In addition, the relief valve and the pressure gauge on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olenoid valve for operating the second cylinder and the pushbutton valve for checking the driving brake,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따른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는 크게 일측 가이더에 설치되고 실린더의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는 결합대부; 타측 가이더에 설치되고 걸이를 통해 상기 결합대부의 걸이홀에 연결된 걸이대부; 주행브레이크의 레버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브레이크를 비상개방시키는 비상개방기부; 상기 결합대부와 비상개방기부를 작동시키는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 다수개의 스위치와 램프를 통해 상기 걸이대부와 상기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그 동작이 표시되는 조작 패널로 이루어져 있다.4 to 10 shows an embodiment of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according to this is large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r and the linear coupling of the cylinder is made; A hanger unit installed at the other guider and connected to the hanger hole of the coupling unit through a hanger; An emergency open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lever and the plate of the driving brake to emergencyly open the driving brake; A coupling unit and an emergency opening unit operating unit for operating the coupling unit and the emergency opening unit; It consists of an operation panel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anger unit, the coupling unit and the emergency opener operation unit and displays the operation through a plurality of switches and lamps.

상기 결합대부(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더(guider)(9-A)의 좌,우 양측에 2대(1-A, 1-B)가 설치되어지되,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제1베이스(1-c)가 상기 가이더(9-A)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1베이스(1-c)의 상면 일측에 반타원 형상의 브라켓트(1-l)가 1쌍 부착되어 있으며, 직선운동을 하는 제1실린더(cylinder)(1-a)의 후단부가 상기 브라켓트(1-l) 사이에서 핀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wo coupling units 1-A and 1 -B are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er 9 -A. As shown in FIG. 7, a first base 1-c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a 'c' shaped cross section is attached to the guider 9-A, and the first base 1-c as viewed from the side. A pair of semi-elliptic brackets (1-l)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1-a), which has a linear motion. Are combined.

또한, 상기 브라켓트(1-l)의 일측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후술하는 아암(arm)(1-b)의 직립상태를 감지하는 레버식 리미트 스위치(lever type limit switch)인 아암세움 감지기(1-i)가 상기 베이스(1-c)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핀에는 상기 아암세움 감지기(1-i)를 작동시키는 아암세움감지기 스트라이커(1-j)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n arm sensor (1) is a lever type limit switch that detects an upright state of an arm (1-b) to be described lat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bracket (1-l). -i) is attached to the base 1-c, and the pin is attached to the arm sensor detector striker 1-j for actuating the arm sensor 1-i.

또한, 상기 제1실린더(1-a)의 실린더 로드(1-k) 선단부는 연결판(1-b-1)의 일측면 중앙부에 부착된 브라켓트(1-n)에 핀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a)의 직선운동에 의해서 눕혀지거나 세워지는 아암(1-b)에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판(1-b-1)은 사각 형태로서 일단부에 타원 형상의 걸이홀(1-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홀(1-e)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반원형상의 걸이바 캠(1-d)이 부착되어 있으며, 연결판(1-b-1)의 타측면에는 사각 형상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아암(1-b)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cylinder rod (1-k) of the first cylinder (1-a) is pin-coupled to the bracket (1-n)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1-b-1) to the cylinder ( It is connected to the arm (1-b) lying down or standing by the linear motion of 1-a,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1-b-1) is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n elliptical hook hole (1-e) at one end thereof. ) Is formed, a semi-circular hook bar cam 1-d is attached to the hook hole 1-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quare shap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1-b-1. As an arm, an arm 1-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attached.

또한, 상기 아암(1-b)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1-c)의 상면 타측에서 부착된 1쌍의 브라켓트(1-m) 사이에서 핀결합되어 있고, 아암(1-b)의 타단부에는 상기 걸이홀(1-e)과 대향되는 위치에 후술하는 걸이(2-a)의 결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레버식 리미트 스위치인 걸이결합 감지기(1-f)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arm (1-b) is pin-bonded between a pair of brackets (1-m) attach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c), the other end of the arm (1-b) The hook coupling detector 1-f, which is a lever-type limit switch for detecting whether the hook 2-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hook hole 1-e, is attached.

또한, 상기 브라켓트(1-m)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아암(arm)(1-b)의 눕혀짐을 감지하는 레버식 리미트 스위치인 아암뉘움 감지기(1-g)가 상기 베이스(1-c)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아암(1-b)이 결합된 핀에는 상기 아암뉘움 감지기(1-g)를 작동시키는 아암뉘움감지기 스트라이커(1-h)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n arm sedentary detector (1-g), which is a lever-type limit switch that detects lying down of the arm (1-b)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racket (1-m), is connected to the base (1-c). Is attached to the arm (1-b) is attached to the arm snooping striker (1-h) for operating the arm snag detector (1-g).

상기 걸이대부(2)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더(9-B)의 좌,우 양측에 2대(2-A, 2-B) 설치되어지되, 도 5,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갈고리 형상으로서 그 중앙부에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bearing)(2-k)이 내장되고, 하단에는 상기 걸이바 캠(1-d)과 접촉되는 걸이바(2-b)가 부착된 걸이(2-a)가 지지대(2-c)의 일측부에서 샤프트(shaft)(2-d)를 통해 연결지지되어지되, 상기 지지대(2-c)의 타측부는, 'ㄴ'자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더(9-B)에 부착된 제2베이스(2-e)에 볼트 및 너트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hanger unit 2 is also provided with two units 2-A and 2-B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er 9 -B, but shown in FIGS. 5, 8A and 8B. As shown in the drawing, a bearing (2-k) is built in the center of the hook to facilitate rotation, and a hook bar (2-b) contacting the hook bar cam (1-d) is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The attached hook 2-a is supported by the shaft 2-d at one side of the support 2-c, but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2-c is 'b'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2-e having a shape of a magnet and attached to the guider 9-B by bolts and nuts.

상기 비상개방기부(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주행브레이크(8)의 레버(8-h)와 플레이트(8-m)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브레이크(8)의 플레이트(8-m) 상면에 반원 형상의 제3베이스(3-g)가 소정의 간격으로서 1쌍 부착되어 있고, 제2실린더(3-a)의 하단부가 상기 제3베이스(3-g) 사이에서 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실린더(3-a)의 실린더로드(3-k) 선단부는 대략 'ㅜ'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롤러 지지대(3-b)의 하부에 핀결합되어 있다.The emergency opening unit 3 is installed between the lever 8-h and the plate 8-m of the above-described driving brake 8, as shown in FIG. 6, but shown in FIGS. 9A and 9B.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semicircular third bases 3-g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8-m of the traveling brake 8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ylinder 3-a The roller support (3-k) is pin-coupled between the third base (3-g), and the tip of the cylinder rod (3-k) of the second cylinder (3-a) has an approximately 'TT' shape cross section. It is pinned to the bottom of b).

또한, 상기 주행브레이크(8)의 레버(8-h)에 형성된 가이드홀(8-k)에 베어링(미도시)이 내장된 롤러(roller)(3-b-1)가 삽입된 후, 상기 롤러 지지대(3-b)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의 하부 일측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연결 플레이트(3-l)가 부착되어 있다.Further, after the roller (3-b-1) having a bearing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8-k formed in the lever 8-h of the driving brake 8,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roller support (3-b), a square connecting plate (3-l) having a bolt hole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또한, 직육면체 형상의 고정 플레이트(3-c)의 하부가 상기 연결 플레이트(3-l)의 볼트구멍에 볼트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3-c)의 일측면 상,하단부에는 주행브레이크(8)가 개방 또는 닫힌 것을 감지하는 레버식 리미트 스위치인 브레이크 개방 및 닫힘 감지기(3-e, 3-f)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fixing plate 3-c is bolted to the bolt hole of the connecting plate 3-l, and a driving brak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3-c on the lower side. Brake open and close detectors 3-e and 3-f, which are lever limit switches that detect 8) open or closed, are attached.

또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면에는 타원 형상의 유도홀(3-i)이 형성된 가동 플레이트(3-d)가 연결볼트(3-j)를 통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3-c)의 상부측 볼트구멍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동 플레이트(3-d)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브레이크 개방 및 닫힘 감지기(3-e, 3-f)를 작동시키는 감지기 캠(3-h)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movable plate 3-d having an elliptical induction hole 3-i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s connected to the upper bolt hole of the fixing plate 3-c through a connecting bolt 3-j. It is coupled, the lower side of the movable plate (3-d) is attached to the detector cam (3-h) for operating the brake open and close detectors (3-e, 3-f).

상기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4)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4-a)에 에어를 분출하는 콤프레서(compressor)(4-b)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콤프레서(4-b)에 물과 수증기를 제거하는 필터(filter)(4-c)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4-c)에 압력 조절 수단 즉, 레귤레이터(regulator)(4-d)와 압력게이지(pressure gauge)(4-e)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A, the coupling table and the emergency opening unit operating unit 4 are connected to a compressor 4-b for blowing air to a driving motor 4-a for generating power. In addition, a filter (4-c) for removing water and steam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4-b), and a pressure adjusting means, that is, a regulator (4-d), for the filter (4-c). ) And pressure gauge (4-e) are connect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4-d)에는 상기 실린더(1-a, 3-a)를 보호하는 오일러(oiller)(4-f)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일러(4-f)에는 에어를 배출하고 그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 즉, 에어를 배출하는 릴리프 밸브(relief valve)(4-g-1, 4-g-2)와, 에어압력을 감지하는 접점붙이 압력게이지(4-h-1, 4-h-2)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릴리프 밸브(4-g-1)와 압력게이지(4-h-1)에는 상기 결합대부(1)의 제1실린더(1-a)를 작동시키고, 실린더 로드(1-k)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5포트(pot)형 제1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4-i)와, 스피드 컨트롤러(speed controller)(4-j-1, 4-j-2)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gulator 4-d is connected with an oiler 4-f that protects the cylinders 1-a and 3-a, and the oiler 4-f discharges air. Means for sensing the pressure, that is, relief valves (4-g-1, 4-g-2) for discharging air, and pressure gauges with contacts (4-h-1, for sensing air pressure) 4-h-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ne-side relief valve 4-g-1 and the pressure gauge 4-h-1 connect the first cylinder 1-a of the coupling part 1 to each other. To operate and to regulate the speed of the cylinder rod (1-k), the first 5 solenoid valve (4-i) and the speed controller (4-j-1, 4-j-2) are connect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타측 릴리프 밸브(4-g-2)와 압력게이지(4-h-2)에는 상기 비상개방기부(3)의 제2실린더(3-a)를 작동시키는 3포트형 제2솔레노이드 밸브(4-k)와, 상기 주행브레이크(8)의 점검시 사용하기 위한 푸시버튼(push button) 밸브(4-l)가 연결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lief valve (4-g-2) and the pressure gauge (4-h-2) is a three-port type second solenoid valve for operating the second cylinder (3-a) of the emergency opening unit (3) (4-k) and a push button valve 4-l for use in the inspection of the traveling brake 8 are connected.

상기 조작 패널(5)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4-a)를 가동시키는 푸시버튼 스위치(5-a)와, 상기 결합대부(1)와 비상개방기부(3)의 선택스위치인 셀렉터(selletor) 스위치(5-b)와, 결합대부(1)와 걸이대부(2)의 결합여부를 확인시켜주는 걸이결합 확인램프(lamp)(5-c)와, 상기 아암(1-b)의 뉘움 및 세움을 확인하는 아암뉘움 확인램프(5-d) 및 아암세움 확인램프(5-e)와, 상기 주행브레이크(8)의 비상개방 확인램프(5-f)와, 주행브레이크(8)의 닫힘확인 램프(5-g)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0B, the operation panel 5 includes a pushbutton switch 5-a for operating the drive motor 4-a, a coupling unit 1 and an emergency opening unit 3. A selector switch (5-b) which is a selection switch, a hook coupling confirmation lamp (5-c) for confirming whether the coupling base (1) and the hook base (2) are coupled, and the arm ( Arm-aware confirmation lamp (5-d) and arm-righteousness confirmation lamp (5-e) for confirming the position and standing of 1-b), the emergency opening confirmation lamp (5-f) of the driving brake (8), A closing confirmation lamp (5-g) of the travel brake (8).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천정기중기를 통해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주행장치의 이상으로 천정기중기가 주행을 하지 못하게 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가동하는 천정기중기가 가동하지 못하는 천정기중기에 접근한 다음, 먼저 정상 가동하는 천정기중기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패널(5)의 푸시버튼 스위치(5-a)을 "ON"시키면 구동모터(4-a)가 가동되면서 상기 콤프레서(4-b)가 작동하면서 에어를 생산하게 된다.When the overhead crane does not travel due to the abnormality of the traveling device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heavy goods through the overhead crane, as shown in FIG. When the pushbutton switch 5-a of the operation panel 5 installed in the moving overhead crane is “ON”, the drive motor 4-a is operated to operate the compressor 4-b to produce air. Done.

이후, 운전자가 셀렉터 스위치(5-b)를 결합대 쪽으로 선택하면 제1솔레노이드 밸브(4-i)가 개방되어 에어가 제1실린더(1-a)에 공급되면서 실린더 로드(1-k)가 전진하고, 직립 상태에 있던 아암(1-b)이 눕혀지며, 아암뉘움 감지기 스트라이커(1-h)가 아암뉘움 감지기(1-g)를 작동시켜서 아암뉘움 확인램프(5-d)가 점등되면서 운전자는 아암(1-b)이 완전히 눕혀진 것을 인지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driver selects the selector switch 5-b toward the engaging table, the first solenoid valve 4-i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first cylinder 1-a and the cylinder rod 1-k. The arm (1-b), which is in the upright position, is laid down, and the arm sedentary striker (1-h) activates the arm sedentary detector (1-g) so that the arm segregation confirmation lamp (5-d) lights up. The driver notices that the arm 1-b is completely laid down.

이후, 정상가동하는 천정기중기를 가동하지 못하는 천정기중기에 서서히 접근하여 상기 걸이대부(2)의 걸이바(2-b)를 걸이바캠(1-d)이 밀면, 걸이(2-a)가 회전하면서 결합대부(1)의 걸이홀(1-e)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걸이(2-a)가 걸이결합 감지기(1-f)와 접촉하면 걸이결합 확인램프(5-c)가 점등하면서 운전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대부(1)와 걸이대부(2)가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hook bar cam 1-d pushes the hook bar 2-b of the hook base 2, the hook bar 2-a rotates. While being coupled to the hook hole (1-e) of the coupling portion (1), when the hook (2-a) is in contact with the hook coupling detector (1-f), the hook coupling confirmation lamp (5-c) is turned on The driver can confirm that the coupling unit 1 and the hook unit 2 are coupled as shown in FIG. 5.

이후, 정상 가동하는 천정기중기의 운전자가 가동하지 못하는 운전자에게 연락하면 운전자는 가동하지 못하는 천정기중기에 설치되어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5-a)를 "ON"시키고, 이에 따라 콤프레서(4-b)가 작동하면서 에어를 생산하며, 운전자가 셀렉터스위치(5-b)를 수동개방기 쪽으로 선택하면 제2솔레노이드 밸브(4-k)가 개방되어 에어가 제2실린더(3-a)에 공급되면서 실린더 로드(3-k)가 상승하고, 주행브레이크(8)의 레버(8-h)를 밀면 상기 롤러(3-b-1)가 가이드 홀(8-k)을 따라 상승하여 레버(8-h)가 브레이크 스프링(8-g)를 밀면 포스트(8-e)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이와 함께 슈우(8-b)도 벌어지면서 라이닝(8-c)이 브레이크 드럼(8-a)에서 이격된다.Thereafter, when the driver of the overhead crane who is operating normally contacts the driver who cannot operate, the driver “ON” the pushbutton switch 5-a installed in the crane that cannot operate, and accordingly the compressor 4-b. Produces air while the operator selects the selector switch 5-b to the manual opener, opening the second solenoid valve 4-k and supplying air to the second cylinder 3-a. When the rod 3-k rises and the lever 8-h of the traveling brake 8 is pushed, the roller 3-b-1 rises along the guide hole 8-k and the lever 8-h ) Pushes the brake spring 8-g, the post 8-e opens outwards, and the shoe 8-b opens with the lining 8-c spaced apart from the brake drum 8-a. .

이때, 운전자는 브레이크 개방감지기(3-e)를 감지기 캠(3-h)을 통해 작동시키면 비상개방 확인램프(5-f)가 점등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가 개방된 것을 확인하게 되고 가동하지 못하는 천정기중기 운전자는 정상 가동하는 천정기중기 운전자에게 연락하여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곳까지 비상주행하여 정비 및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brake open detector 3-e through the detector cam 3-h, the emergency opening confirmation lamp 5-f lights up to confirm that the brake is opened as shown in FIG. The overhead crane operator, who is not able to operate, will contact the normally operating overhead crane operator to make an emergency run to the place where the operation is not disturbed and maintenance and inspection can be performed.

이때, 상기 콤프레서(4-b)는 계속 에어를 생산하고 있으므로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실린더(1-a, 3-a)를 보호하기 위해 접점붙이 압력게이지(4-h-1, 4-h-2)는 적정 압력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릴리프밸브(4-g-1, 4-g-2)를 통해 에어를 대기로 배출시킨다.At this time, since the compressor (4-b) continues to produce air, when the pressure exceeds a certain pressure, the pressure gauges with contact (4-h-1, 4-h-) to protect the cylinders (1-a, 3-a) 2) detects when the pressure exceeds the appropriate pressure and discharges air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relief valves (4-g-1, 4-g-2).

한편, 작업방해가 되지 않는 곳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비상주행이 된 후, 작동하지 못하는 천정기중기 운전자가 셀렉터 스위치(5-b)를 중립에 위치시키면 제2솔레노이드 밸브(4-k)의 배출구를 통해 에어가 대기로 배출되면서 실린더 로드(3-k)가 하강하고, 주행브레이크(8)의 레버(8-h)와 브레이크 로드(8-i)도 함께 하강하여 주행브레이크(8)가 원상태로 닫히게 되는데 운전자는 브레이크 닫힘 감지기(3-f)에 감지기캠(3-h)이 접촉하여 작동시키면 주행브레이크 닫힘 확인램프(5-g)가 점등되므로써 주행 브레이크(8)가 닫힌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후 상기 구동모터(4-a)용 전원 푸시버튼(5-a)을 "OFF"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emergency driving to the place where the work is not interrupted quickly and safely, if the overhead crane driver who cannot operate places the selector switch (5-b) in the neutral position, the outlet of the second solenoid valve (4-k) As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e cylinder rod (3-k) is lowered, and the lever (8-h) and the brake rod (8-i) of the driving brake (8) are also lowered together to close the driving brake (8). The driver can know that the driving brake 8 is closed by turning on the driving brake closing check lamp 5-g when the sensor cam 3-h contacts the brake closing detector 3-f. After that, the power pushbutton 5-a for the driving motor 4-a may be " OFF ".

아울러, 정상 가동하는 천정기중기 운전자는 천정기중기를 작동하지 못하는 천정기중기의 반대쪽으로 서서히 운전하면 걸이바캠(1-d)이 걸이바(2-b)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때 걸이(2-a)도 회전하면서 걸이결합 감지기(1-f)에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걸이결합 확인램프(5-c)가 소등되면 운전자는 결합이 해체된 것을 알게 되며, 셀렉터 스위치(5-b)를 중립에 놓으면 제1솔레노이드 밸브(4-i)가 닫히고 제1실린더(1-a)내로의 에어공급이 중단되므로 실린더 로드(1-k)가 원래대로 복귀한다.In addition, when the overhead crane driver is operating normally, the hanger bar cam 1-d falls off the hanger bar 2-b when the overhead crane is slowly drive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lifter that does not operate the crane. While rotating, it is separated from the hook coupling detector 1-f. At this time, when the hook coupling confirmation lamp 5-c goes out, the driver knows that the coupling is disassembled, and when the selector switch 5-b is put in neutral, the first Since the solenoid valve 4-i is closed and the air supply to the first cylinder 1-a is stopped, the cylinder rod 1-k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또한, 상기 아암(1-b)은 세워지게 되고 아암세움 감지기(1-i)를 아암세움감지기 스트라이커(1-j)가 작동시키면 아암세움 확인램프(5-e)가 점등되므로써 운전자는 아암(1-b)이 세워진 것을 확인하게 되고 구동모터(4-a)의 푸시버튼 스위치(5-a)를 "OFF"하고 계속하여 정상작업을 수행하면 된다.In addition, the arm (1-b) is erected and when the arm sensor detector striker (1-j) operates the arm upright detector (1-i), the arm up confirmation lamp (5-e) is turned on so that the driver It is confirmed that 1-b) is erected, and the pushbutton switch 5-a of the drive motor 4-a is "OFF" and the normal operation is continued.

그리고 상기 비상개방기부(3)는 평상시에도 주행브레이크(8)의 브레이크 드럼(8-a)과 라이닝(8-c)간격을 조정 또는 라이닝(8-c) 교환등에 사용할수가 있는데 조작 방법은 주행브레이크(8) 비상개방 방법과 같고 단, 운전자 혼자서 비상개방기부(3) 옆에 부착된 푸시버튼 밸브(4-1)를 이용하는데, 푸시버튼 밸브(4-1)를 누르 면 에어가 차단되어 실린더 로드(3-k)가 하강하고 반대로 푸시버튼 밸브(4-1)를 떼면 에어가 다시 공급되어 실린더 로드(3-k)가 상승하기 때문에 운전자 단독으로도 주행브레이크(8)를 점검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opening unit (3) can be us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brake drum (8-a) and the lining (8-c) of the driving brake (8), or to replace the lining (8-c) in normal times, the operation method The brake 8 is the same as the emergency opening method, except that the driver uses the pushbutton valve 4-1 attached to the emergency opening unit 3 by himself, and when the pushbutton valve 4-1 is pressed, the air is cut off. When the cylinder rod (3-k) is lowered and the pushbutton valve (4-1) is released, air is supplied again and the cylinder rod (3-k) is raised. Therefore, the driving brake (8) can be checked by the driver alone. hav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 가동하는 천정기중기와 가동하지 못하는 천정기중기를 하나로 결합시켜서 비가동 천정기중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비상주행시킬 수 있고, 여러 대의 주행 브레이크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으므로 주행 브레이크를 비상개방 시키는 데 있어 시간이 절약되며,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돌아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operating overhead crane can be safely and quickly driven by combining the normally-operating overhead crane with the non-operating overhead crane, and the driving brakes can be opened simultaneously. It saves time in emergency opening of the brake,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since the operator does not have to move around for work.

또한, 주행 브레이크를 원상복귀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작업자 1인이 주행 브레이크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return the traveling brake to the original, and one worker can easily check the traveling brake.

Claims (5)

가이더(9A, 9B)들을 구비한 천정기중기(6A, 6B)가 레일(10)을 따라 이동하고 주행브레이크(8A~8D)의 조작에 의해 정상가동되는 천정기중기가 비작동하는 다른 천정기중기를 밀어서 비상주행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The overhead cranes 6A, 6B with guiders 9A, 9B move along the rails 10 and push the other overhead cranes in which the overhead cranes, which are normally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brakes 8A-8D, are deactivated. In the emergency driving apparatus, 상기 가이더들중 일측 가이더(9A)에 설치되고 제1실린더(1-a)의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는 결합대부(1);A coupling unit (1)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guiders (9A) and performing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cylinder (1-a); 상기 가이더들중 타측 가이더(9B)에 설치되고 걸이(2-a)를 통해 상기 결합대부(1)의 걸이홀(1-e)에 연결된 걸이대부(2);A hanger part (2) installed in the other guider (9B) of the guiders and connected to the hanger hole (1-e) of the coupling part (1) through a hanger (2-a); 상기 주행브레이크의 레버(8-h)와 플레이트(8-m)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브레이크를 비상개방시키는 비상개방기부(3); An emergency opening unit (3) installed between the lever (8-h) and the plate (8-m) of the driving brake to emergencyly open the driving brake; 상기 결합대부(1)와 비상개방기부(3)를 작동시키는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4); 및 A coupling table and an emergency opening unit operating unit 4 for operating the coupling unit 1 and the emergency opening unit 3; And 다수개의 스위치(5-a, 5-b)와 램프(5-c, 5-g)를 통해 상기 걸이대부(2)와 상기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4)의 작동을 제어하고 그 동작이 표시되는 조작 패널(5);A plurality of switches (5-a, 5-b) and lamps (5-c, 5-g)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anger unit (2), the coupler and the emergency release unit operating unit (4). An operation panel 5 in which an operation is displayed;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 Ceiling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대부(1)는 아암세움감지기 스트라이커(1-j)에 의해 감지되는 아암세움 감지기(1-i)를 구비한 제1베이스(1-c)와, 일단부에 걸이홀(1-e)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홀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걸이바 캠(1-d)이 부착되며 타측면에는 아암(1-b)이 부착된 연결판(1-b-1)과, 후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1-c)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선단부가 상기 연결판(1-b-1)에 결합되는 제1실린더(1-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The coupling unit 1 includes a first base 1-c having an arm seum detector 1-i detected by the arm seismic striker 1-j, and a hook hole 1-e at one end thereof. Is formed, the hook bar cam 1-d is attached to the hook ho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nnecting plate 1-b-1 having the arm 1-b attached to the other side thereof, and the rear end thereof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ylinder (1-a)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1-c) and 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1-b-1), 상기 아암(1-b)의 일단부에는 상기 걸이홀(1-e)과 대향되는 위치에 걸이결합 감지기(1-f)가 부착되고, 상기 제1베이스(1-c)에는 아암뉘움감지기 스트라이커(1-h)를 통해 상기 아암(1-b)의 눕혀짐을 감지하는 아암뉘움 감지기(1-g)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 A hook coupling detector 1-f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arm 1-b opposite to the hook hole 1-e, and an arm separation detector striker is attached to the first base 1-c.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arm lie detector (1-g) for detecting the lying down of the arm (1-b) through (1-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걸이대부(2)는 중앙부에 베어링(2-k)이 내장되고, 하단에는 걸이바(2-b)가 부착된 걸이(2-a)와, 일측부가 샤프트(2-d)를 통해 상기 걸이(2-a)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제2베이스(2-e)에 결합된 지지대(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 The hook portion 2 has a bearing (2-k) in the center portion, a hook (2-a) attached to the hook bar (2-b) at the lower end, and one side through the shaft (2-d)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hook (2-a)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support (2-c) coupled to the second base (2-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상개방기부(3)는 상기 주행브레이크의 플레이트(8-m) 상면에 부착된 제3베이스(3-g)와, 하단부가 상기 제3베이스(3-g)에 결합되고 선단부는 롤러 지지대(3-b)의 하부에 결합된 제2실린더(3-a)와, 상기 롤러 지지대(3-b)의 상단부에 연결된 롤러(3-b-1)와, 상기 제2실린더(3-a)의 하부 일측에 부착된 연결 플레이트(3-l)에 결합된 고정 플레이트(3-c)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3-c)의 상부측에 결합된 가동 플레이트(3-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The emergency opening unit 3 has a third base (3-g)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8-m) of the driving brake,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third base (3-g) and the front end is a roller support A second cylinder 3-a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3-3-b, a roller 3-b-1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roller support 3-b, and the second cylinder 3-a; Including a fixing plate (3-c)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3-l) attached to the lower one side of the), and a movable plate (3-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late (3-c) Composed, 상기 고정 플레이트(3-c)의 일측면 상,하단부에는 상기 주행브레이크가 개방 또는 닫힌 것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개방 및 닫힘 감지기(3-e, 3-f)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가동 플레이트(3-d)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브레이크 개방 및 닫힘 감지기(3-e, 3-f)를 작동시키는 감지기 캠(3-h)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 Brake open and close detectors 3-e and 3-f are attach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3-c to detect that the driving brake is open or closed. On the lower side of d)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or cam (3-h) for operating the brake open and close detectors (3-e, 3-f) is attach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대 및 비상개방기 작동부(4)는 구동모터(4-a)에 연결되어 에어를 분출하는 콤프레서(4-b)와, 상기 콤프레서(4-b)에 연결된 필터(4-c)와, 상기 필터(4-c)에 연결된 레귤레이터(4-d) 및 압력게이지(4-e)와, 상기 레귤레이터(4-d)에 연결된 오일러(4-f)와, 상기 오일러(4-f)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배출용 릴리프 밸브(4-g-1, 4-g-2) 및 에어압력감지용 압력게이지(4-h-1, 4-h-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coupling table and the emergency opener operating part 4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4-a, and the compressor 4-b ejects air, and the filter 4-c connected to the compressor 4-b. And a regulator 4-d and a pressure gauge 4-e connected to the filter 4-c, an oiler 4-f connected to the regulator 4-d, and an oiler 4-f. Air relief valve (4-g-1, 4-g-2) and air pressure sensing pressure gauge (4-h-1, 4-h-2) connected to the 일측의 상기 릴리프 밸브(4-g-1) 및 압력게이지(4-h-1)에는 제1실린더(1-a)를 작동시키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4-i) 및 실린더 로드(1-k)의 속도를 조절하는 스피드 컨트롤러(4-j-1, 4-j-2)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의 상기 릴리프 밸브(4-g-2) 및 압력게이지(4-h-2)에는 제2실린더(3-a)를 작동시키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4-k)와 주행브레이크(8)를 점검하기 위한 푸시버튼 밸브(4-l)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 비상 주행장치. One side of the relief valve 4-g-1 and the pressure gauge 4-h-1 has a first solenoid valve 4-i for operating the first cylinder 1-a and a cylinder rod 1-k. Speed controllers (4-j-1, 4-j-2) for adjusting the speed of) are connected, and the relief valve (4-g-2) and the pressure gauge (4-h-2) on the other side are connected. 2. The overhead crane emergency trave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second solenoid valve 4-k for operating two cylinders 3-a and a pushbutton valve 4-l for checking the driving brake 8 are respectively connected.
KR1020010036657A 2001-06-26 2001-06-26 Apparatus for emergency traveling of over head crane KR1007694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657A KR100769458B1 (en) 2001-06-26 2001-06-26 Apparatus for emergency traveling of over head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657A KR100769458B1 (en) 2001-06-26 2001-06-26 Apparatus for emergency traveling of over head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618A KR20030000618A (en) 2003-01-06
KR100769458B1 true KR100769458B1 (en) 2007-10-22

Family

ID=2771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657A KR100769458B1 (en) 2001-06-26 2001-06-26 Apparatus for emergency traveling of over head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4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828B1 (en) * 2001-07-25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An apparatus for moving cokes oven car for emergency
KR100708007B1 (en) * 2005-05-04 2007-04-16 이종훈 Steel reinforcing coupler
KR100753622B1 (en) * 2005-07-13 2007-08-30 문인술 Jar type's double kett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147A (en) * 1993-08-20 1995-02-28 Hiroshi Ishizuka Method and apparatus for slicing stone material
JPH07252088A (en) * 1994-03-16 1995-10-03 Hitachi Zosen Corp Crane equipment
KR20000041666A (en) * 1998-12-23 2000-07-15 이구택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of unmanned automatic cra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147A (en) * 1993-08-20 1995-02-28 Hiroshi Ishizuka Method and apparatus for slicing stone material
JPH07252088A (en) * 1994-03-16 1995-10-03 Hitachi Zosen Corp Crane equipment
KR20000041666A (en) * 1998-12-23 2000-07-15 이구택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of unmanned automatic c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618A (en)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3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retaining core plugs in paper rolls
CN103261075B (en) The operation of falling protector
CN101238621B (en) Repacking device and power module therefor
CN106609894A (en) A power plant boiler pipeline detection robot
US4238169A (en) Handling device for vehicle frames
CN203394330U (en) Flood-preventive and sealing-preventive gate control system applicable to track traffic
CN105059905A (en) Circuit breaker assembling device
KR100769458B1 (en) Apparatus for emergency traveling of over head crane
US4714393A (en) Panel laying machine
CN108429174A (en) Handcart inspection platform
CN103276998A (en) Control system applicable to flood-preventive and sealing-preventive gate for rail transit and method for operating control system
CN110634344A (en) Hoisting operation experience device of large-scale shipbuilding factory
CN110905404A (en) Omnibearing electric control drill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T1828506E (en) Elevator platform for motor vehicles and materials, and operating installation
RU2539442C2 (en) Small-sized electric lift truck
CN104692206B (en) The maintenance overhaul arrester control device of elevator
JPH06191796A (en) High lift work vehicle
US2948421A (en) Interlock and control system for the elevator of a mechanical parking garage
CN105151702B (en) Calcium carbide production Intelligent transport cooling system
CN113292005A (en) Car body and bogie alignment combined lifting and falling device
CN215973637U (en) Safety device of conveying line
KR960002232Y1 (en) A manually moving device for overhead crane
CN205642849U (en) A safety device for vehicle drum test
CN219387237U (en) High-altitude unloading platform
CN116793690B (en) Automatic overturning water pouring equipment for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