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696B1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 Google Patents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696B1
KR100767696B1 KR1020060079894A KR20060079894A KR100767696B1 KR 100767696 B1 KR100767696 B1 KR 100767696B1 KR 1020060079894 A KR1020060079894 A KR 1020060079894A KR 20060079894 A KR20060079894 A KR 20060079894A KR 100767696 B1 KR100767696 B1 KR 10076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ryer
dryer
washing
auxilia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호
이팔진
조인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6007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696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7/004004 priority patent/WO2008023925A2/en
Priority to ES07793608.6T priority patent/ES2569337T3/en
Priority to BRPI0715947-1A priority patent/BRPI0715947B1/en
Priority to CN2007800314191A priority patent/CN102016159B/en
Priority to US12/310,350 priority patent/US8091389B2/en
Priority to CA2661213A priority patent/CA2661213C/en
Priority to PL07793608T priority patent/PL2064383T3/en
Priority to AU2007288598A priority patent/AU2007288598B2/en
Priority to EP07793608.6A priority patent/EP20643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A washing apparatus is provid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by installing a supplemental dryer at one end of a washing device. A washing apparatus comprises a washing device(110), a supplemental dryer(120), a control unit(200), and an operation unit(210). The laundry is stored in the washing device and washed or dried. The supplemental drye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shing device.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supplemental dryer is smaller and lower than the washing device respectively. A cloth receiving unit is formed in the supplemental dryer. The control unit is formed at the washing device,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a driving unit of the supplemental dryer. The operation unit is installed at the washing device. The user can control operation of the supplemental dryer.

Description

복합 세탁장치{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도 1은 받침대를 구비한 종래의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having a pedest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lex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조 건조기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dryer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Figure 4 is a simplifi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lex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의 제어 형태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ntrol form of the auxilia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의 제어 형태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trol form of the auxilia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의 제어 형태에 대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control form of the auxilia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복합 세탁장치 110 : 세탁장치 100: complex washing apparatus 110: washing apparatus

120 : 보조 건조기 121 : 의류 수용부(서랍) 120: auxiliary dryer 121: clothing storage unit (drawer)

130 : 결합수단 140 : 공기 공급 장치 130: coupling means 140: air supply device

150 : 스팀 공급 장치 160 : 선반150: steam supply 160: lathe

180 : 센서 200 : 제어부180: sensor 200: control unit

210 : 조작부 220, 225 : 표시부210: control unit 220, 225: display unit

230, 235 : 통신수단230, 235: communication means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세탁장치에 보조 건조기가 결합된 복합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lex laundry machine in which a secondary dryer is coupled to a general laundry machine.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the laundry machin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washing, drying or washing or drying clothes. Here, one washing apparatus may perform only washing or drying functions, or both washing and drying. In addition, recently, a steam supply device is provided, and a washing device having a refresh function such as wrinkle removal, odor removal,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of clothes, etc., has been widely used.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es are classified into a front loading type or a top loading type according to a drawing direction of clothes. In addition, there is a vertical shaft type in which a pulsator or a washing tank is rotated and a horizontal type in which a drum is rotated according to the washing metho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horizontal type are drum washing machines or drum dryers.

이러한 세탁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장치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These washing machine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size in response to user acceptance in recent years. In other words, the external size of the laundry machines used for home use is gradually becoming larger.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 중 세탁기인 경우에는 건조 기능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조 기능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하여야 하거나, 건조 기능을 겸비한 세탁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소비자가 부담하여야 하는 비용이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s may not have a drying function. Therefore, when a user wants a drying fun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dryer or a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must be provided.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both washing and drying, the cost incurred by the consumer was inevitably increased.

또한,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장치들에 있어서 이러한 세탁장치들이 점차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량의 의류 건조를 위해서 대형화된 건조기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드럼 타입의 건조기인 경우에는 신발이나 모자 등의 건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물론, 드럼 내부에 랙(rack)을 설치하여 신발 등이 상기 랙에 안착되고, 드럼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랙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여 신발 등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랙을 필요에 따라 탈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laundry machines having a drying function, as these laundry machines become larger in siz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erms of energy saving because they have to drive a large sized dryer for dry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And in the case of a drum type dry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ry shoes or hats. Of course, by installing a rack (rack) in the drum, such as shoes are seated on the rack, so that the rack is horizontally maintained irrespective of the rotation of the drum may be made to dry shoes or the like. In this case, however, there was a hassle for the user to detach the rack as needed.

도 1은 종래의 세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탁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이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 패널(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세탁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세탁이나 건조 등과 같은 의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10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and a control panel 11 positioned at the front or the top of the main body.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Therefore, the user performs clothing processing such as washing or drying by operating the control panel.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기 겸 건조기일 수 있다.Here, the washing apparatus may be a washing machine,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는 상기 세탁장치(10)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10)는 상기 받침대(20)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may comprise a pedestal 20 for supporting the washing machine 10 against the floor. Here, the washing apparatus 10 is placed on the pedestal 20.

상기 받침대(20)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 공간은 서랍(21) 형태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세탁장치(10)를 지지함과 아울러 세제, 의류 등을 보관하는 보관함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pedestal 20 generally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drawer 21 to be pulled forward. The pedestal supports the washing apparatus 10 and also functions as a storage box for storing detergent, clothes, and the like.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받침대(20)가 의류 처리를 위한 어떠한 기능을 갖지 못하였다.Therefore, conventionally, the pedestal 20 did not have any function for clothes processing.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보조 건조기를 제공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에너지를 절감시키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dryer capable of treat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and the like without driving a relatively large washing machine, thereby making it easy to use and saving energy.

또한, 세탁 기능만을 구비한 세탁장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건조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lex laundry machine that can easily add a drying function in a laundry machine having only a washing function.

종래의 드럼 타입 방식 건조기를 통해서 건조하기가 어려웠던 신발이나 모자 등과 같은 의류의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lex laundry machine that can easily dry clothes such as shoes or hats, which were difficult to dry through a conventional drum type dryer.

본 발명은 종래 세탁장치의 받침대와 같은 보조 공간을 보조 건조기로 활용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tilize an auxiliary space, such as a pedestal of a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as an auxiliary dryer.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어 세탁 또는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탁장치; 상기 세탁장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체적과 높이가 상기 세탁장치의 체적과 높이보다는 각각 작고 낮으며, 내부에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 보조 건조기; 상기 세탁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 건조기의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여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undry device that the clothes are accommodated therein to wash or dry; An auxiliary dry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e volume and height of which are smaller and lower than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washing machine, respectively, and having a clothes receiving unit therein;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driving unit of the auxiliary dryer; And it is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and provides a complex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user operating unit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는 일반적인 세탁장치이며, 상기 보조 건조기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 건조기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서 세탁장치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보조 건조기는 보조 의류 처리를 위한 장치이므로 일련의 의류 처리 과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의류 처리를 위한 장치들이 한 장소에 집적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간 활용 차원에서도 상기 보조 건조기는 상기 세탁장치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washing machine is a general washing machine, the auxiliary dryer can be installed and used independently. However, the auxiliary dryer is prefer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by the coupling means. Because the auxiliary dryer is a device for processing the secondary cloth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aratus for the clothing processing is integrated in one place so that a series of clothing processing process can be performed smoothly. In addition, the auxiliary dryer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washing machin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물론,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는 주된 장치로서 세탁이나 건조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기 겸 건조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세탁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탈수만을 수행하는 탈수기도 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washing device may be a washing machine,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that performs washing or drying as a main device. However, the laundry machin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dehydrator that performs only dehydration.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은 상기 보조 건조기에 구비된 구동부의 작동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동부의 작동은 상기 보조 건조기에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건조기의 컨트롤 패널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is preferably an operation of the drive unit provided in the auxiliary dryer,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is preferably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auxiliary dryer. Here, the control unit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of the auxiliary dryer.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조 건조기를 통하여 의류 등의 건조를 수행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unit preferably comprises an air supply for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And the air supply device preferably comprises a blower fan for blowing air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This is to perform drying of clothing and the like through the auxiliary dryer.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의류 수용부 내부의 온도나 습도를 각각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나 상기 습도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습도를 이용하여 보다 바람직한 건조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The driving unit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r humidity inside the clothing container. That is, more preferable drying may be performed by using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or the humidity sensed by the humidity sensor.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의류 수용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steam to the clothes receiving unit.

그리고, 전술한 보조 건조기는 바닥에 대하여 상기 세탁장치를 지지하는 받침대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의류 수용부는 상기 보조 건조기 본체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dryer is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washing apparatus with respect to the floor. Here,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drawer that can be pulled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auxiliary dryer body.

상기 보조 건조기의 후벽 상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건조기의 후벽 하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의 후벽 상부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서랍의 후벽 하부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may b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wall of the auxiliary dryer,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may b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ear wall of the auxiliary dryer. The upper rear wall of the drawer communicates with the inlet, and the lower rear wall of the drawer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또한, 상기 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스팀 공급 장치는 상기 서랍의 후벽과 상 기 보조 건조기의 후벽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ir supply device and the steam supply device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rear wall of the drawer and the rear wall of the auxiliary dryer.

물론, 상기 보조 건조기의 후벽이나 상기 서랍의 후벽은 각각 보조 건조기의 측벽이나 상기 서랍의 측벽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보조 건조기 의 후방이 아닌 측방에서 공기의 유출입이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후방이나 측방이라는 것은 기준의 차이에 불과하므로 보조 건조기의 측방에서 공기의 유출입이 일어나는 것은 상기 보조 건조기의 후방에서 공기의 유출입이 일어나는 것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Of course, the rear wall of the auxiliary dryer or the rear wall of the drawer may be a side wall of the auxiliary dryer or a side wall of the drawer,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will occur on the side rather than the rear of the auxiliary dryer. Therefore, the rear side or the side side is only a difference of the standard, so that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from the side of the auxiliary dryer is included in the outflow and outflow of air from the rear of the auxiliary dryer.

상기 보조 건조기는 세탁물이 안착되는 선반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반은 또한 상기 서랍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상기 구획된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반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The auxiliary dryer may further include a shelf on which laundry is seated. The shelf also preferably partitions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up and down while allowing the partitioned spac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shelf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and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shelf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in which air is introduced.

그리고, 상기 서랍의 후벽 상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공기를 상기 서랍의 상부로 안내하는 공기 가이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서랍의 상부에 전체적으로 공기가 골고루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아울러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 간에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wall of the draw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ir guide extending inward to guide the ai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This is to ensure that the air is evenly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awer as well a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incoming air and the discharged ai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여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여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는 상기 보조 건조기가 아닌 상기 세탁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 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는 상기 보조 건조기가 아닌 상기 세탁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세탁장치에 구비된 조작부를 통하여 보조 건조기의 작동 여부를 조작하고, 상기 세탁장치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하여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세탁장치에는 상기 세탁장치의 작동 여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는 별도로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여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에는 상기 세탁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는 별도로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표시부를 통하여 세탁장치와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apparatus may be made by a user including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That is,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auxiliary dryer may be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instead of the auxiliary dryer. In addition, the washing apparatus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That is,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may be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instead of the auxiliary dryer. Therefore, the user can operate whether or not the auxiliary dryer is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and can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through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In other words, the laundry machine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auxiliary dryer separately from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laundry device. In addition, the wash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apparatus. Of course, it will be possible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auxiliary dryer through one display unit.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건조기에는 사용자가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여부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에는 사용자가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dryer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for the user to operate the auxiliary dryer. In addition, the auxiliary dryer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the user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전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와 상기 보조 건조기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어 신호가 송수신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machine and the auxiliary dryer may comprise a communication means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t will be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signals via such communication mean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세탁장치를 통하여 의류를 세탁하거나 많은 양의 의류를 건조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건조기를 통하여 소량의 의류를 건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신발이나 모자 등 과 같이 기존의 드럼 타입의 건조기를 통하여 건조가 어려웠던 의류 등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도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wash clothes or dry a large amount of clothes through a washing machine, and can dry a small amount of clothes through the auxiliary dryer, thereby making it easy to use and save energ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ry clothes, such as shoes or hats that were difficult to dry through a conventional drum type dry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세탁장치는 일반적인 세탁기, 건조기 또는 세탁기 겸 건조기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machine may be a general washing machine, a dryer or a washing machine and dryer,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mplex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100)는 세탁장치(110)과 보조 건조기(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mposite laundry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undry machine 110 and an auxiliary dryer 120.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0)가 구비된 형태의 세탁장치(10)와 동일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가 단순히 받침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가 상기 세탁장치(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130)이 포함된 것이 다르다.The complex laundry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outer shape as the laundry machine 10 having a pedestal 20 as shown in FIG. 1.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3, the pedestal differs not only as a pedestal but also performs a drying function. And it is different that the coupling means 130 is included so that the auxiliary dryer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washing apparatus 1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조 건조기(120)는 세탁장치(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탁장치(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세탁장치의 제어부, 특히 컨트롤 패널(111)은 상기 세탁장치(110)의 전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dry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And it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of the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the control panel 111 will be preferabl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110).

또한, 상기 보조 건조기(120)는 상기 세탁장치(110)의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공간 활용 측면이나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면 상기 보조 건조기는 상기 세탁장치 본체(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dryer 120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space utilization side or design side, the auxiliary dryer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washing machine body (110).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120)는 내부에 의류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건조기(120)와 상기 세탁장치(110)는 결합수단(130)을 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건조기(120)는 상기 세탁장치(110)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to 3, the auxiliary dry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lothing receiving portion therein, the auxiliary dryer 120 and the washing device 110 is a coupling means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Here, the auxiliary dryer 120 supports the washing apparatus 110 with respect to the floor.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탁장치의 하부 레그(leg)들(116, 117)의 측면을 지지하는 레그 서포터(12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dryer 120 may include leg supporters 125 supporting side surfaces of the lower legs 116 and 117 of the washing apparatus.

상기 각 레그 서포터(125)는, 세탁기 레그(116)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안착홀(126), 그리고 건조기 레그(117)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안착홀(127)이 형성된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상면에 스크루 등을 통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기와 건조기는 세탁장치의 일 형태이며, 세탁기의 외형이 건조기의 외형 보다는 큰 것을 예로 하였다.Each leg supporter 125 includes a panel in which a first seating hole 126 is formed to allow the washing machine leg 116 to be seated, and a second seating hole 127 formed to be seated to the dryer leg 117. It is made of, and is fixed through a screw or the lik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dryer (120). Here,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er are one type of washing apparatus, and the outer shape of the washing machine is larger than that of the dryer.

상기 레그 서포터(125)들은, 상기 보조 건조기(120) 상부의 각 모서리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 건조기(120) 전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두 개의 레그 서포터에 형성되는 상기 제1안착홀(126)과 제2안착홀(127)은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건조기 후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두 개의 레그 서포터에 형성되는 상기 제1안착홀(126)과 제2안착홀(127)은 서로 구획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세탁기 레그(116)의 안착을 용이하기 하기 위함이다.The leg supporters 125 are fixed to each corner of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dryer 120, and the first seating holes 126 and the first support holes 126 are formed in two leg supporters fixed to the front edge of the auxiliary dryer 120. The two seating holes 12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eating hole 126 and the second seating hole 127 formed at two leg supporters fixed to the rear edge of the auxiliary dryer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is is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washing machine leg 116.

따라서, 상기 레그 서포터(125)들이 상기 제1안착홀(126) 또는 제2안착홀(127)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 건조기(120)에 대한 상기 세탁장치(110)의 위치가 자동 결정된다. Therefore, while the leg supporters 125 are seated in the first seating hole 126 or the second seating hole 127, the posi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dryer 120 is automatically determined.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110) 하면의 대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안착홀(126)은 상기 제2안착홀(127)보다 바깥 측에 위치된다. 그 이유는 세탁기가 의류 건조기보다 통상 크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The first seating hole 126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seating hole 127 based on a diagonal li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110. This is because washing machines are usually made larger than clothes dryers.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측면 하부와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38),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측면과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upling means 130, the coupling member 138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machine or dryer and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dryer 120, and the coupling member on th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or dryer and the auxiliary dryer ( It comprises a fixing member 135 for fixing to the side of the 120.

상기 결합부재(130)는 도 3에서와 같이, 육면체 현상의 보조 건조기(120)와 육면체 형상의 세탁장치(110)의 경계의 양측 면을 상호 고정시키는 두 개 이상의 결합부재(138)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upling member 130 includes two or more coupling members 138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boundary of the auxiliary dryer 120 having a hexahedral phenomenon and the washing machine 110 having a hexahedron shape. It may be.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보조 건조기(120)와 세탁장치(110)의 후면을 상호 고정시키는 제3의 결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upling member may further comprise a third coupling member (not shown) for fixing the back of the auxiliary dryer 120 and the washing apparatus 110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130)은 상기 세탁기 레그(116) 또는 건조기 레그(117)의 높이 변화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coupling means 130 may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height change of the washing machine leg 116 or dryer leg 117.

상기 고정부재(135)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를 상기 세탁기 또는 상기 의류 건조기의 측면 하부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136),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 를 상기 받침대 측면 상부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137)로 이루어진다. The fixing member 135, the first fixing member 136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to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machine or the clothes dryer, and the seco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to the upper side of the pedestal It consists of a fixing member (137).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136) 또는 제2고정부재(137) 중 적어도 하나는 양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된 것,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member 136 or the second fixing member 137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both surfaces, for example, a double-sided tape.

상기와 달리, 상기 제1고정부재(136) 또는 제2고정부재(137) 중 적어도 하나는, 스크루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는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공을 가지는 것이 좋다.Unlike the abov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member 136 or the second fixing member 137 may be made of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In this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may have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세탁장치(110)와 보조 건조기(120)의 결합을 위한 수단은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coupling the washing apparatus 110 and the auxiliary dryer 120 may be variously modified.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건조기(120)의 체적은 상기 보조 건조기가 결합되는 세탁장치(110)의 체적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의 높이는 상기 세탁장치의 높이보다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조 건조기는 세탁장치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auxiliary dryer 12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to which the auxiliary dryer is coupled. And, the height of the auxiliary dryer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washing apparatus. This is because the auxiliary dry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erform an auxiliary func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그리고, 복합 세탁장치(100)의 안정성 측면이나 외관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면, 상기 보조 건조기가 세탁장치의 받침대 기능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세탁장치(110)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보다는 같거나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보조 건조기가 세탁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건조기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세탁장치(110)의 좌우 폭이나 전후 폭 보다는 같거나 짧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stability side or the exterior design side of the combined laundry apparatus 100, when the auxiliary dryer functions as a pedestal of the washing machine,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and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auxiliary dryer 120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washing device 110 is the same or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r front and rear widths. However, when the auxiliary dryer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machine,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and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auxiliary dryers may be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r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washing machine 11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조 건조기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dryer i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조 건조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120)는 세탁장치(110)와 결합되어 하나의 복합 세탁장치(100)를 형성한다. 이 경우 세탁장치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어 세탁 또는 건조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세탁장치는 일반적인 세탁기이거나 건조기 또는 세탁 겸 건조기일 수 있다. The auxiliary dry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washing apparatus 110 to form one composite washing apparatus 100. In this case, the laundry machine accommodates clothes therein, and thus washing or drying is performed. That is, the washing apparatus may be a general washing machine or a dryer or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그리고 상기 복합 세탁장치(100)는 상기 세탁장치(110)의 일측에 상기 보조 건조기(12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는 상기 결합수단(130)이 미도시되어 있다.And the combined laundry apparatus 100 comprises a coupling means 130 for coupling the auxiliary dryer 120 to one side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4, the coupling means 130 is not shown.

상기 보조 건조기(120)는 의류 처리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인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의류 수용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121)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의류 수용부는 서랍(121)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서랍(121)이 의류 수용부(121)인 것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The auxiliary dryer 120 has a clothing receiving portion which is a space in which clothing is accommodated in order to perform an auxiliary function of clothing processing.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but preferably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rawer 121 that can be pulled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auxiliary dryer (120). However,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rawer 121. Therefore, hereinafter, the drawer 121 will be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12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120)에는 상기 의류 수용부에 수용된 의류나 신발 등을 건조 또는 리프레쉬시키기 위하여 구동되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dryer 120 is provided with a drive unit of various forms that are driven to dry or refresh the clothes or shoes accommodated in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의류 수용부(121)로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riving unit includes an air supply device 140 for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의류 수용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팀 공급 장치(150)는 분사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상부 또는 후방을 통하여 상기 의류 수용부(121)로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steam supply device 150 for supplying steam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In addition, the steam supply device 150 may include a spray port (not shown) to inject steam to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through the upper or rear of the auxiliary dryer (120).

상기 공기 공급 장치(140)는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172)과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1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송풍팬(172)이 구동됨으로 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서랍(121)의 내부로 유입되어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히터(171)를 통하여 가열된 후 상기 의류 수용부(121)의 내부로 유입된다.The air supply device 140 includes a blowing fan 172 for blowing air and a heater 171 for heating the air. That is, the blowing fan 172 is driven so that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drawer 121 and is discharged again to the outside. The outside air is heated through the heater 171 and then flows into the clothes receiving part 121.

여기서, 상기 히터(171)는 전기식, 가스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보조 건조기의 특성 상 설치 공간을 고려하면 전기식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the heater 171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electric, gas, etc.,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auxiliary dryer,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따라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14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120)는 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171)는 상기 히터를 통해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용량 조절이 가능한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특정 의류인 경우에는 열에 약한 경우가 있고, 또한 신발 등의 고무 재질 등은 특히 열에 약하기 때문이다. Therefore, the auxiliary dry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ir supply device 140 may perform a drying function. Here, the heater 171 is preferably a heater capable of adjusting the capacity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heated through the heater is variable. This is because there is a case where the specific clothing is weak to heat, and rubber materials such as shoes are particularly weak to heat.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의류 수용부(12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의류 수용부(121)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의류 수용부(121) 내부의 온도나 습도를 감지함으로써 건조 시간이나 제공되는 공기의 온도 등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and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inside the clothing receiving unit 121. That is, by sens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inside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121, it will be possible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drying time or the temperature of the provided air.

상기 스팀 공급 장치(150)는 스팀을 상기 의류 수용부(121) 내부로 제공한다. 이러한 스팀은 상기 의류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에 닿게 되어 살균, 구김 제거, 또는 냄새 제거 등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 공급 장치(150)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120)는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리프레쉬 기능과 아울러 전술한 건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The steam supply device 150 provides steam into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The steam is in contact with the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clothing receiving portion to perform sterilization, wrinkle removal, or odor removal. Therefore, the auxiliary dry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refresh function through the steam supply device 150. Of course, the above-described drying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refresh function.

한편,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후벽 상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71)이 형성되고, 후벽 하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7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의류 수용부(121)의 후벽 상부는 상기 유입구(171)와 연통되며, 상기 의류 수용부(121)의 후벽 하부는 상기 배출구(172)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후벽 상부와 상기 의류 수용부(121)의 상부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의류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의류 수용부의 하부와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후벽 하부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17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s formed in the upper rear wall of the auxiliary dryer 120, and the outlet 172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lower rear wall.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wall of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121 communicates with the inlet 17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wall of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121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172. Accordingly, outside air flows into the clothes receiving unit through the upper rear wall of the auxiliary dryer 120 and the upper part of the garment receiving unit 121, and the lower part of the garment receiving unit and the rear wall of the auxiliary dryer 120. Air is exhausted through.

여기서, 상기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팬(141)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42)는 상기 의류 수용부(121)의 후벽과 상기 본체의 후벽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공기가 유입되고 유출되는 유로 상 어느 곳에 이러한 송풍팬(141)과 히터(142)와 같은 공기 공급 장치(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송풍팬(141)과 상기 히터(142)가 구비된 공간은 서로 구획됨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the blowing fan 141 causing the flow of air and the heater 142 for heating the ai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ar wall of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ir supply device 140 such as the blower fan 141 and the heater 142 may be provided at any place on the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space provided with the blowing fan 141 and the heater 142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도 4에는 공기가 의류 수용부(121)의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의류 수용부(121)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4 illustrates a form in which air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121 and is discharged downward. However, on the contrary, it may be possible to flow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garment receiving portion 121 and be discharged upward.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수용부(121) 내부에는 세탁물(162)이 안착되며, 상기 의류 수용부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상기 구획된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선반(1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은 상기 세탁물(162)로 공급된 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laundry 162 is seated in the clothes receiving unit 121, and the shelf 160 divides the space inside the clothes receiving unit up and down while allowing the divided spac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This shelf is to allow the air supplied to the laundry 162 to be discharged smoothly.

여기서, 상기 선반(160)에는 복수 개의 통공(16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공들을 통해서 의류 수용부 상부의 공기가 의류 수용부 하부로 유입된다.Here, the shelf 16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0a). That is, the air in the upper part of the clothing receiving part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clothing receiving part through the through holes.

또한, 상기 선반은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반은 공기가 유입되는 곳을 향하여 하방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선반 위에 안착되는 세탁물에 골고루 공기가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helf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In this case, the shelf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place where air is introduced. This will allow air to be evenly supplied to the laundry seated on the shelf.

그리고, 상기 의류 수용부(121)의 후벽 상부에는 공기 가이드(16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가이드(161)는 의류 수용부의 전방까지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건조 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guide 161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rear wall of the garment accommodating part 121. The air guide 161 may perform a function of smoothly supplying air to the front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and at the same time dividing a flow path between the inflowed air and the discharged ai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llision between the incoming air and the discharged ai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ry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건조기(120)에는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 널(111)과는 별도로 컨트롤 패널(123)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보조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보조 건조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세탁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123)은 생략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4, the auxiliary dry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123 separately from the control panel 111 of the washing apparatus.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and communication means f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apparatus. Of course, only one of these may be included.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panel 123 may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e laundry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forms of operation.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100), 특히 보조 건조기의 작동 제어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100)에서 세탁장치(110)는 종래의 제어 형태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5 to 7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control form of the combined laundry apparatus 100, in particular the auxilia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plex laundry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apparatus 110 may be controlled in a conventional control form,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100)에 있어서, 보조 건조기(120)의 작동 제어 형태에 대한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 5, a first embodiment of an operation control form of the auxiliary dryer 120 in the complex laundr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 건조기(120)의 작동은 상기 세탁장치(110)에 구비된 제어부(20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세탁장치(110)의 컨트롤 패널(111)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120 is made through the control unit 200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110.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111 of the laundry machine 110.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보조 건조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210)는 세탁장치(110)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210)도 상기 세탁장치(110)의 컨트롤 패널(111)에 구비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210 for the user to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is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110.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210 may also be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111 of the laundry machine 110.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장치(110)에 구비된 상기 조작부(210)을 통하여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을 조작하며, 상기 조작부(210)에서 조작된 신호에 따라 상기 세탁장치(110)에 구비된 제어부(200)가 보조 건조기(120)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Therefore, a user manipulates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0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110, and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110 according to the signal operated by the operation unit 210 ( 200 i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120 drive unit.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120)의 작동 제어 형태에 대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A second embodiment of an operation control form of the auxiliary dry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20)는 상기 세탁장치(110)에 구비된다. 즉, 사용자는 세탁장치(110)에 구비된 조작부(210)를 조작하여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모드 등을 선택하고, 상기 조작부(210)에서 조작된 조작 신호는 세탁장치(110)에 구비된 제어부(200)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세탁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보조 건조기(120)의 구동부의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는 세탁장치(110)에 구비된 표시부(220)에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6,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 display unit 220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is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110. That is, the user manipulates the operation unit 210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110 to select an operation mode of the auxiliary dryer, and the operation signal operated by the operation unit 210 is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110. Is passed to 200. The control unit 200 may b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machi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of the auxiliary dryer 120 is controlled. In addition, an operation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20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1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210), 제어부(200), 그리고 표시부(220)는 모두 세탁장치(110)의 컨트롤 패널(111)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장치(110)의 컨트롤 패널(111)을 통해서 세탁장치뿐만 아니라 보조 건조기의 작동을 조작하고,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 210,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display unit 220 may all be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111 of the laundry machine 110. Therefore,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as well as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control panel 111 of the washing machine 1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건조기(120)의 작동 제어 형태에 대한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A third embodiment of an operation control form of the auxiliary dry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보조 건조기(12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25)가 상기 보조 건조기(120)에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225)를 통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보조 건조기의 작동 여부나 잔여 건조 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보조 건조기(120)의 컨트롤 패널(123)에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However, the display unit 225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120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dryer 120. Through the display unit 225,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auxiliary dryer operates or the remaining drying time. The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123 of the auxiliary dryer 120.

여기서, 상기 세탁장치(110)과 상기 보조 건조기(120)은 통신수단(230, 23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신수단은 통신용 IC로 구현될 수 있고,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 등을 통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washing apparatus 110 and the auxiliary dryer 120 is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230,235. Such communication means may be implemented as an IC for communication, and may be implemented wirelessly as well as wired. Si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세탁장치(110)와 보조 건조기(120) 사이에 유선으로 제어선이 연결되거나, 제어를 위한 유선 통신선이 연결된 경우에 이들 제어선이나 연결선은 각각 하네스(harness)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하네스는 커넥터(connector)를 통하여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en the control line is connected by wire between the washing apparatus 110 and the auxiliary dryer 120, or when the wired communication line for control is connected, the control line or the connection line is in the form of a harness. It is preferably made of. And each harness may be easi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세탁장치(100), 특히 보조 건조기(12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보조 건조기(120)은 세탁장치(110)의 작동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세탁장치(120)와 보조 건조기(120)의 작동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combined laundry apparatus 100, in particular the auxiliary dry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dryer 12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ade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110,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120 and the auxiliary dryer 120 may be made separately.

먼저, 사용자는 의류 수용부(121)를 인출하여 선반(160)에 소량의 옷감이나 신발 또는 모자 등과 같은 세탁물(162)을 안착시킨다. 여기서 옷감인 경우에는 선반 위에 펼쳐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user pulls out the garment receiving unit 121 and seats a small amount of laundry 162 such as cloth or shoes or a hat on the shelf 160. In the case of cloth, it is preferable to spread it on a shelf.

그리고, 사용자는 조작부(210)를 통하여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서 원하는 작동 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작동 모드는 다양한 형태의 건조 모드와 리프레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laundry through the operation unit 210. The operating mod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rying modes and refresh modes.

상기 다양한 형태의 건조 모드는 건조 시간이나 건조 온도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고, 이는 건조를 원하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면으로 이루어진 소량의 옷감의 건조를 위해서는 건조 시간이 짧고 건조 온도가 높게 건조 모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신발과 같은 경우에는 건조 시간이 길고 건조 온도가 낮게 건조 모드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modes of drying may be divided into drying time, drying temperature, and the like, which will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laundry to be dried. For example, for drying a small amount of cotton cloth, the drying mode may be set to a short drying time and a high drying temperature. In the case of shoes, a drying mode may be set to have a long drying time and a low drying temperature. .

즉, 사용자가 선택한 작동 모드에 따라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강제적으로 공기가 공급되되, 상기 공기의 온도 또는 공기 공급 시간이 달라지게 된다.That is, the air is forcibly supplied to the space where the laundry is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but the temperature or the air supply time of the air is changed.

또한, 상기 작동 모드가 리프레쉬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세탁물에 고온의 스팀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에 의해 의류의 리프레쉬가 이루어진다. 즉, 세탁물의 냄새 제거, 구김 제거 또는 살균 등이 이루어진다. 이 후 필요에 따라 건조를 위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refresh mode, hot steam is supplied to the laundry. Therefore, the steam is refreshed by the steam. That is, odor removal, wrinkle removal or sterilization of laundry is made. Thereafter, air supply for drying may be made as necessary.

즉, 사용자가 선택한 작동 모드에 따라 제어부(200)는 보조 건조기(120)의 구동부를 적절히 구동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는 표시부(220, 225)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o appropriately drive the driving unit of the auxiliary dryer 1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220, 225).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보조 건조기를 제공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에너지 를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econdary dryer that can process a small amount of clothes and the like without driving a relatively large washing machine to facilitate the use and save energy.

또한, 세탁 기능만을 구비한 세탁장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건조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washing apparatus provided only with the washing function, a drying function can be added easily.

그리고, 종래의 드럼 타입 방식 건조기를 통해서 건조하기가 어려웠던 신발이나 모자 등과 같은 의류 등의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종래 세탁장치의 받침대와 같은 보조 공간을 보조 건조기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rying of clothes, such as shoes or hats that were difficult to dry through the conventional drum type dry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utilize the auxiliary space, such as a pedestal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as an auxiliary dry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과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켜 사용이 편리한 복합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lex laundry machine that is convenient to use by maximizing low cost and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복합 세탁장치를 통하여 세탁 및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성질 등에 따라서 두 가지 건조 방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간 절약 및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hing and drying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rough one complex washing machine. In addition, since two drying methods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lothes, there is an effect of saving time and convenience of use.

Claims (11)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어 세탁 또는 건조가 이루어지는 세탁장치;A laundry devi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washed or dried therein; 상기 세탁장치의 일측에 구비되고, 체적과 높이가 상기 세탁장치의 체적과 높이보다는 각각 작고 낮으며, 내부에 의류 수용부가 형성된 보조 건조기; An auxiliary dry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e volume and height of which are smaller and lower than the volume and height of the washing machine, respectively, and having a clothes receiving unit therein; 상기 세탁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 건조기의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driving unit of the auxiliary dryer; And 상기 세탁장치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여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세탁장치.The laundry machine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the user to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ry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의류 수용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drive unit comprises a complex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n air supply for forcibly supplying air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공기 공급 장치는, The air supply device,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Composite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blower fan for blowing air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구동부는, The driving unit, 상기 의류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의류 수용부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Composite laundry machin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lothing receiving unit and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clothing receiving unit.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구동부는,The driving unit, 상기 의류 수용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Composite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steam 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탁장치의 일측에 상기 보조 건조기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Composite laundry machine comprising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auxiliary dryer to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제 1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보조 건조기는 상기 세탁장치의 하부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auxiliary dryer is a complex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washing machine against the floo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의류 수용부는 전면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is a complex laundry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drawer that can be pulled forward from the fro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탁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laundry machine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 건조기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 건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laundry machine provided in the auxiliary dry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xiliary dryer. 제 1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9 or 10, 상기 세탁장치와 상기 보조 건조기에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세탁장치.The laundry machine and the auxiliary dryer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by wire or wireless.
KR1020060079894A 2006-08-23 2006-08-23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767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894A KR100767696B1 (en) 2006-08-23 2006-08-23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S07793608.6T ES2569337T3 (en) 2006-08-23 2007-08-22 Multiple washing machine
BRPI0715947-1A BRPI0715947B1 (en) 2006-08-23 2007-08-22 Multiple washing machine
CN2007800314191A CN102016159B (en) 2006-08-23 2007-08-22 Multiple laundry machine
PCT/KR2007/004004 WO2008023925A2 (en) 2006-08-23 2007-08-22 Multiple laundry machine
US12/310,350 US8091389B2 (en) 2006-08-23 2007-08-22 Multiple laundry machine
CA2661213A CA2661213C (en) 2006-08-23 2007-08-22 Multiple laundry machine
PL07793608T PL2064383T3 (en) 2006-08-23 2007-08-22 Multiple laundry machine
AU2007288598A AU2007288598B2 (en) 2006-08-23 2007-08-22 Multiple laundry machine
EP07793608.6A EP2064383B1 (en) 2006-08-23 2007-08-22 Multiple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894A KR100767696B1 (en) 2006-08-23 2006-08-23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696B1 true KR100767696B1 (en) 2007-10-17

Family

ID=3881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894A KR100767696B1 (en) 2006-08-23 2006-08-23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69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2225A (en) 1983-05-04 1984-07-31 The Maytag Company Appliance leveling and locating structure
JPH05305197A (en) * 1991-04-24 1993-11-19 Tajima Yukio Washing cage of shoes and washing machine using same
JP2001046799A (en) * 1999-08-06 2001-02-20 Osaka Gas Co Ltd Clothes dryer with auxiliary drying chamber
KR20050115968A (en)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Stan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tion
KR20060064821A (en) * 2004-12-09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wash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2225A (en) 1983-05-04 1984-07-31 The Maytag Company Appliance leveling and locating structure
JPH05305197A (en) * 1991-04-24 1993-11-19 Tajima Yukio Washing cage of shoes and washing machine using same
JP2001046799A (en) * 1999-08-06 2001-02-20 Osaka Gas Co Ltd Clothes dryer with auxiliary drying chamber
KR20050115968A (en)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Stan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tion
KR20060064821A (en) * 2004-12-09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wash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815B1 (en) Pedestal Drying Machine
KR100710315B1 (en)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1221903B1 (en) Combined Laundry Machine Having Pedestal Drying Machines
KR101276811B1 (en) Auxiliary dryer and multiple laund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1265623B1 (en) Pedestal Drying Machine Using PTC Heater
KR101265622B1 (en) Pedestal Drying Machine
KR101276818B1 (en) Auxiliary dryer and multiple laund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9745682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CA2661213C (en) Multiple laundry machine
CA2659186C (en)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080010813A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065705B1 (en) Complex washing machine
KR100774213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774212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774211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767696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755865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