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484B1 -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484B1
KR100767484B1 KR1020040084565A KR20040084565A KR100767484B1 KR 100767484 B1 KR100767484 B1 KR 100767484B1 KR 1020040084565 A KR1020040084565 A KR 1020040084565A KR 20040084565 A KR20040084565 A KR 20040084565A KR 100767484 B1 KR100767484 B1 KR 100767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dma
gsm
antenna
mobile communication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196A (ko
Inventor
장진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8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4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안테나와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 사이에 연결되는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에 단일 다이오드를 적용하고, 구현하고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다이오드 특성을 구한 후, 다이오드의 온/오프 모델링(Modeling)을 통해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구현하여 SPDT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종래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소자수를 줄일 수 있어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
(W)CDMA, GSM, SPDT 스위치, 스위치플렉서

Description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Phone which were supporting (W)CDMA/GSM}
도 1 은 종래의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
도 3a 는 다이오드가 오프(OFF)일 경우의 SPDT 스위치의 등가회로도
도 3a 는 다이오드가 온(ON)일 경우의 SPDT 스위치의 등가회로도
도 4a 는 다이오드가 오프(OFF)일 경우의 GSM/GPRS 대역의 삽입손실과 반사손실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4b 는 다이오드가 온(ON)일 경우의 UMTS 대역의 삽입손실과 반사손실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W)CDMA용 RF송수신부 130 : GSM용 RF송수신부와
140 : 듀플렉서 150 : 저잡음증폭기
160 : 전력증폭기 170 : 스위치플렉서
180 : SPDT 스위치 190 : 임피던스 정합회로
200a : (W)CDMA용 안테나 200b : GSM용 안테나
본 발명은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와 RF송수신부간에 접속되는 스위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와 미국 등에서 널리 이용되는 (W)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유럽에서 널리 이용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을 동시에 탑재한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어부(110)와, (W)CDMA용 RF송수신부(120)와, GSM용 RF송수신부와(130)와, 듀플렉서(140)와, 저잡음증폭기(150)와, 전력증폭기(160)와, 스위치플렉서(170)와, SPDT 스위치(180)와, 다수의 임피던스 정합회로(190)와, (W)CDMA용 안테나(200a) 및 GSM용 안테나(2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음성 또는 데이타 통신을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 전반 을 제어한다.
상기 (W)CDMA용 RF송수신부(120)는 (W)CDMA 방식으로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GSM용 RF송수신부와(130)는 GSM 방식으로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듀플렉서(Duplexer)(140)는 상기 (W)CDMA용 RF송수신부(120)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동일한 (W)CDMA용 안테나(200a)를 이용해 상호 간섭하지 않고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저잡음증폭기(LNA : Low Noise Amplifier)(15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상기 GSM용 RF송수신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전력증폭기(PAM : Power Amplifier Module)(160)는 상기 GSM용 RF송수신부(130)로부터 출력된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GSM용 안테나(200b)를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170)는 다중 선로로부터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할 선로를 선택하며, 상기 듀플렉서(140), 저잡음증폭기(150) 및 전력증폭기(160)와 연결되는 각 선로상에 각각 다이오드(Diode)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180)는 (W)CDMA 경로와 GSM 중 어느 한 경로를 선택하여 분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SPDT 스위치(180)는 한 신호 경로를 어떤 두 신호 경로로 분기시키는 것 으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분기되는 경로상에 2개의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이 다이오드들을 온/오프 제어함에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전송할 (W)CDMA 경로 또는 GSM 경로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임피던스 정합회로(190)는 상기 상기 듀플렉서(140), 저잡음증폭기(150) 및 전력증폭기(160)와 스위치플렉서(170)간, 상기 스위치플렉서(170)와 SPDT 스위치(180)간, 상기 SPDT 스위치(180)와 (W)CDMA용 안테나(200a) 및 GSM용 안테나(200b)간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 요소간을 접속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 접속점에서 본 양자의 겉보기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최대 전력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SPDT 스위치(180) 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170)의 각 선로마다 스위치(다이오드)를 가져야 했으므로, 부피가 크고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SPDT 스위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좋은 성능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SPDT 스위치에 단일 다이오드를 적용하고, 구현하고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다이오드 특성을 구한 후, 다이오드의 온/오프 모델링(Modeling)을 통해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구현하여 SPDT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종래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저렴한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가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듀플렉서(Duplexer) 사이에는 다이오드가 접속되고,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는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다이오드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W)CDMA 경로와 GSM 경로간을 분기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어부(110)와, (W)CDMA용 RF송수신부(120)와, GSM용 RF송수신부와(130)와, 듀플렉서(140)와, 저잡음증폭기(150)와, 전력증폭기(160)와, 스위치플렉서(170)와, SPDT 스위치(180)와, 다수의 임피던스 정합회로(190)와, (W)CDMA용 안테나(200a) 및 GSM용 안테나(2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음성 또는 데이타 통신을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 전반을 제어한다.
상기 (W)CDMA용 RF송수신부(120)는 (W)CDMA 방식으로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GSM용 RF송수신부와(130)는 GSM 방식으로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듀플렉서(Duplexer)(140)는 상기 (W)CDMA용 RF송수신부(120)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동일한 (W)CDMA용 안테나(200a)를 이용해 상호 간섭하지 않고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저잡음증폭기(LNA : Low Noise Amplifier)(15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상기 GSM용 RF송수신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전력증폭기(PAM : Power Amplifier Module)(160)는 상기 GSM용 RF송수신부(130)로부터 출력된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GSM용 안테나(200b)를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170)는 다중 선로로부터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할 선로를 선택하며, 상기 저잡음증폭기(150) 및 전력증폭기(160)와 연결되는 각 선로상에 각각 다이오드(Diode)가 연결되어 있다.
이 때, 도 1 에 도시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듀플렉서(140)가 연결되는 선로상에는 다이오드(Diode)가 연결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진다.
상기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180)는 (W)CDMA 경로와 GSM 중 어느 한 경로를 선택하여 분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SPDT 스위치(180)는 한 신호 경로를 어떤 두 신호 경로로 분기시키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듀플렉서(Duplexer) 사이에는 다이오드가 접속되고,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는 직접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은 SPDT 스위치(180)에 단일 다이오드를 적용한 것으로, 이 때, 구현하고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다이오드 특성을 구한 후, 다이오드의 온/오프 모델링(Modeling)을 통해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구현하여 SPDT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구현하고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다이오드 특성에 따라 구현되는 임피던스 정합회로가 다양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는 다이오드가 오프(OFF)일 경우의 SPDT 스위치의 등가회로도로, 상기 다이오드가 오프(OFF)일 경우에는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듀플렉서(Duplexer) 사이에 형성된 경로가 오픈(Open)되고,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 사이에 형성된 경로가 쇼트(Short)되어 GSM 경로가 선택되게 된다.
도 3b 는 다이오드가 온(ON)일 경우의 SPDT 스위치의 등가회로도로, 상기 다이오드가 온(ON)일 경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이용해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 사이에 형성된 경로의 최대 출력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듀플렉서(Duplexer) 사이에 형성된 경로가 쇼트(Short)되어 (W)CDMA 경로가 선택되게 된다.
상기 다수의 임피던스 정합회로(190)는 상기 상기 듀플렉서(140), 저잡음증폭기(150) 및 전력증폭기(160)와 스위치플렉서(170)간, 상기 스위치플렉서(170)와 SPDT 스위치(180)간, 상기 SPDT 스위치(180)와 (W)CDMA용 안테나(200a) 및 GSM용 안테나(200b)간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 요소간을 접속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 접속점에서 본 양자의 겉보기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최대 전력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SPDT 스위치에 단일 다이오드를 적용하고, 구현하고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다이오드 특성을 구한 후, 다이오드의 온/오프 모델링(Modeling)을 통해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구현하여 SPDT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종래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저렴한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는 다이오드가 오프(OFF)일 경우의 GSM/GPRS 대역의 삽입손실과 반사손실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 는 다이오드가 온(ON)일 경우의 UMTS 대역의 삽입손실과 반사손실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매우 양호한 삽입손실 특성과 반사손실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SPDT 스위치에 단일 다이오드를 적용하고, 구현하고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다이오드 특성을 구한 후, 다이오드의 온/오프 모델링(Modeling)을 통해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구현하여 SPDT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종래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소자수를 줄일 수 있어 소형화 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이 저렴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W)CDMA 방식으로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하는 (W)CDMA용 RF송수신부와; (W)CDMA 방식으로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하는 GSM용 RF송수신부와; 상기 (W)CDMA용 RF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동일한 (W)CDMA용 안테나를 이용해 상호 간섭하지 않고 전송하기 위한 듀플렉서(Duplexer)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상기 GSM용 RF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저잡음증폭기(LNA)와; 상기 GSM용 RF송수신부로부터 출력된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GSM용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전력증폭기(PAM)와; 다중 선로로부터 음성 또는 데이타 신호를 송수신할 선로를 선택하는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와; (W)CDMA 경로와 GSM 중 어느 한 경로를 선택하여 분기시키는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와; 상기 구성 요소간을 접속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 접속점에서 본 양자의 겉보기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최대 전력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임피던스 정합회로(Matching Network)를 포함하는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가: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듀플렉서(Duplexer) 사이에는 다이오드가 접속되고,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 사이는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가 오프(OFF)일 경우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듀플렉서(Duplexer) 사이에 형성된 경로가 오픈(Open)되고,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 사이에 형성된 경로가 쇼트(Shor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가 온(ON)일 경우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이용해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 사이에 형성된 경로의 최대 출력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W)CDMA용 안테나와 GSM용 안테나를 연결한 접속단과 상기 듀플렉서(Duplexer) 사이에 형성된 경로가 쇼트(Short)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84565A 2004-10-21 2004-10-21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67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565A KR100767484B1 (ko) 2004-10-21 2004-10-21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565A KR100767484B1 (ko) 2004-10-21 2004-10-21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196A KR20060035196A (ko) 2006-04-26
KR100767484B1 true KR100767484B1 (ko) 2007-10-17

Family

ID=3714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565A KR100767484B1 (ko) 2004-10-21 2004-10-21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4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443A (ko) * 1999-09-15 2001-06-15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다중밴드 무선 통신 장치용으로 적합한 무선 주파수결합기 장치
KR20040062649A (ko) * 2001-11-27 2004-07-0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Spdt mems 스위치 및 단일 공유 안테나를사용하는 gps 장착 셀룰러 전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443A (ko) * 1999-09-15 2001-06-15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다중밴드 무선 통신 장치용으로 적합한 무선 주파수결합기 장치
KR20040062649A (ko) * 2001-11-27 2004-07-07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Spdt mems 스위치 및 단일 공유 안테나를사용하는 gps 장착 셀룰러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196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997B1 (ko) 전송 무선 주파수 신호와 수신 무선 주파수 신호 간의 개선된 격리에 관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23456A1 (en) Techniques for partitioning radio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680510B2 (en) Diversity-switched front end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CN102404022A (zh) 功率放大模块、射频前端模块和多模终端
CN102510297A (zh) 功率放大模块、多模射频收发器、双工器和多模终端
KR20100044038A (ko) 액티브 안테나를 이용한 안테나 다이버시티 시스템
CN114553250B (zh) 射频系统和通信设备
JP2012114899A (ja) デュアルモードモバイル端末システム
CN102404020A (zh) 功率放大模块、多模射频收发器和多模终端
CN102420632A (zh) 射频前端模块、多模终端和多模终端发送信号的方法
US2008010276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hybrid antenna switching system
CN111669199A (zh) 功率检测电路及电子设备
CN102404881A (zh) 双模射频收发装置、滤波装置和双模终端
TW201328174A (zh) 功率放大電路及具該功率放大電路的無線通訊裝置
CN102098069A (zh) 调频天线实现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2425082B (zh) 一种可调天线及通信终端
JP2005094714A (ja) デュアルバンド送受信装置
KR100767484B1 (ko) (w)cdma/gsm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N103516379A (zh) 无线通讯模组
KR101034621B1 (ko) 다중밴드 이동통신 단말기
TW200824318A (en) Switchable transceiver for relay station
CN114124141B (zh) 射频系统和通信设备
WO2007018803A2 (en) Antenna diversity arrangement, rf transceiver arrangement and method of operation
CN218734301U (zh) 射频系统及通信设备
CN114614851B (zh) 信号收发电路、射频系统以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