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717B1 -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717B1
KR100765717B1 KR1020060052935A KR20060052935A KR100765717B1 KR 100765717 B1 KR100765717 B1 KR 100765717B1 KR 1020060052935 A KR1020060052935 A KR 1020060052935A KR 20060052935 A KR20060052935 A KR 20060052935A KR 100765717 B1 KR100765717 B1 KR 100765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isotope
radiation
database
management
pol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김수봉
구자필
신현창
주재선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5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개봉방사성동위원소(Radio Isotope)의 구매에서부터 사용, 폐기, 오염측정기록부 기록, 매분기마다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에 관한 분기보고를 웹상에서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어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투명하고 명확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방사성동위원소의 구매 및 사용 그리고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을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상기 서버 시스템에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의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하는 다수의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 시스템에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서버 시스템의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서버 시스템을 관리하는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로 이루어져, 원자력 관계법규에 따라 개봉방사성동위원소와 관련한 RI 구입 절차 및 기록부 작성 방법이 기존에는 수작업에 의존하여 관련 서류를 작성을 하고 있는 것과를 달리 일체를 웹상에서 작성함으로써 서류관리에 따른 행정적인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고,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관리에 대한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방법{TOTAL MANAGEMENT SYSTEM FOR RADIO ISOTOPE AND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RI 구매요구서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및 오염도 측정 기록부의 예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방사선관리구역의 오염맵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작업종사자 단말기 20: 관리자 단말기
100: 서버시스템 110: 시스템운영모듈
120: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121: 방사성동위원소 DB
122: 방사선작업자 DB 123: 관리자 DB
124: 보안관리 DB 125: 방사선관리구역 DB
130: 오염 맵 관리모듈 140: 통계작성모듈
150: 구매승인모듈
본 발명은 개봉 방사성동위원소(Radio Isotope)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개봉방사성동위원소(Radio Isotope)는 원자력 관련법규에 따라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구매에서부터 사용, 폐기, 오염측정기록부 기록, 매분기마다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에 관한 분기보고를 웹상에서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어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투명하고 명확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사성동위원소란 양성자 수는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원자핵들을 동위원소라고 한다. 양성자수가 같기 때문에 동위원소들의 원자번호는 같다. 그렇지만 중성자 수가 다르므로 원자력에는 차이가 난다. 동위원소는 화학적으로는 같은 성질은 지닌다.
방사성동위원소는 현대 과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없어서는 안되는 물질로서, 앞으로도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사용될 것이다. 의료분야에서 방사성동위원소는 암치료, 질병의 진단, 치료 및 기초 의학에 이용되고 또한 의료용품의 멸균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방사성동위원소는 공업의 기초가 되는 계측, 검사, 합성, 가공 접착 등의 분야에서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정밀도와 처리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예를 들어, 공업계측, 비파괴검사, 트레이서에 의한 공업해석, 고무플라스틱의 가공과 합성, 도장 접착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방사성동위원소는 품종계량, 해충구제, 식품보존, 지질/지하수 조사 등 농업분야에서도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농업기술 발전에 기반이 되는 분야에서 큰 성과가 나타나고 있고, 이를 통해 품종계량, 해충구제 등의 사업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방사선은 연대측정, 환경보존, 유전자공학 등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전자공학, 생명공학, 신소재 개발등 첨단 기술과 연계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많은 연구 기관 또는 대학 연구 기관 등에서 방사선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이를 위하여 방사선을 이용한 실험장치, 방사선 실험실을 구비하고 있고, 방사성동위원소를 구입하고 폐기하기도 한다.
방사능 물질은 인간건강에 치명적이다. 방사능 물질은 환경을 오염시키고, 조금만 노출되어도 인간에게 위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방사성 물질은 화학변화에 의해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원자핵 붕괴로 인해 자연적으로 소멸되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일단 방출되면 장기적인 오염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방사성동위원소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항이다.
이러한 방사선 실험장치, 방사선 실험실, 방사성동위원소의 구입과 폐기에 대한 종래의 관리 방법은 방사성동위원소의 구입, 사용 및 폐기에 있어서 다양하게 구분된 서식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기입하여 개별적으로 서명 또는 승인하고 이러한 것을 서류에 기록하고, 기록된 서류를 각기 구분하여 보관하고, 필요시에 보관된 서류를 확인하거나, 보관된 서류를 참조하여 별도의 서식에 필요한 통계치를 계산 하여 재차 기록하여 서류를 작성하였다. 또한 방사성동위원소 사용 중에 발생되는 방사선관리구역에 대한 방사선 측정값을 기간별, 측정종류별 및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 서식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기입하여 서류로 보관하고, 측정치가 기록된 서류를 각기 구분하여 보관하고, 필요시에 보관된 서류를 확인하거나, 보관된 서류를 참조하여 별도의 서식에 필요한 통계치를 계산하여 재차 기록하여 서류를 작성하거나 기간별, 종류별 및 장소에 따라 요구되는 추이 그래프를 보관된 서류를 참조하여 그때그때 작성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기입하거나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서류를 작성하여 누적 관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누적되는 서류의 양이 많고, 다양하게 구분되어 있어,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방사선측정관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업무효율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운영상 필요한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 원활하고 안전한 운영에 많은 불편이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봉방사성동위원소는 원자력 관련법규에 따라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구매에서부터 사용, 폐기, 오염측정기록부 기록, 매분기마다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에 관한 분기보고를 웹상에서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어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투명하고 명확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실험 목적으로 사용되는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구매에서부터 사용, 폐기, 오염측정기록부 기록 등을 관리함에 있어 인터넷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개봉 방사성동위원소를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방사성동위원소의 구매 및 사용 그리고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을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상기 서버 시스템에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의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하는 다수의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 시스템에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서버 시스템의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서버 시스템을 관리하는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로 이루어진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시스템은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구매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구매승인모듈; 개봉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방사성동위원소 데이터베이스; 상기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 그리고 타 모듈로부터 수신 받은 검색 요청 및 검색 조건에 대응하는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현황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로부터 방사선관리구역의 단면도를 불러와 오염맵을 작성하는 오염 맵 관리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로부터 각각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 현황 및 오염 측정기록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내역 등의 상세한 사항이 입력되고 출력되는 보고서작성모듈; 상기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관리자 요청을 수신하고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사선 오염관리,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개폐기 관리 및 보고서 작성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오염 맵 관리모듈, 구매승인모듈 및 보고서작성모듈을 관리하는 시스템운영모듈을 포함한다.
방사선작업관리자 및 방사선작업종사자는 개인전자서명을 사전에 등록하여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구매 요청 및 승인시 구매승인모듈을 통해 자동으로 전자서명이 날인되도록 할 수 있다.
방사선작업관리자가 구매승인모듈을 통해 구매를 승인하는 즉시 사전에 등록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구매요청자의 개인 메일로 승인사항 통보(또는 승인을 하지 않을 경우에도 의견란에 승인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기록을 하면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구매요청자의 개인메일로 자동 발송됨).
개봉방사성동위원소 반입(들어옴)시 방사선작업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을 통하여 RI핵종 코드번호를 부여한 후 반입 일자를 기록하면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Sheet)가 방사선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는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매번 사용시마다 개인에게 부여된 ID/PW를 통하여 접속 후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하고 오염 맵 관리모듈을 통하여 오염측정기록부를 작성한다(동일 소속(학부 또는 대학, 연구소)내의 동일 실험실 방사선작업종사자는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동일 소속의 동일 실험실내에서 누가 구매를 하든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를 누구나 기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가 오염 맵 관리모듈을 통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오염기록부를 작성시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의 단면도로 작성하고, 오염맵으로 구현한 사용 장소를 불러와서 오염측정 지점을 선택한 후 오염도를 기록할 수 있다(오염측정 장소의 기록값은 마우스를 대면 측정 포인트, 측정일시, 측정자, 핵종, 측정값 정보를 서로 공유(확인)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매 분기 경과후 그간 작성되어 데이터베이스 저장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고서작성모듈이 분기보고를 작성한다(이때, 해당분기에 반입된 개봉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계속사용" 또는 "폐기요함"여부에 대한 선택(답변)을 하지 않으면 메시지 창(예를 들어, "계속사용 또는 폐기에 관한 선택을 하시오!")이 뜰 수 있도록 구현함).
분기보고서 상에 "폐기요함"라는 란에 체크를 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는 다시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이에 대한 오염측정기록부 역시 다시 작성할 수 없도록 구현한다. 방사선작업종사자가 해당 교수에게 분기보고를 요청하면 사전에 등록된 해당 교수의 전자서명이 생성되어 분기보고서 상에 표시한다. 관리자 메뉴에서 분기보고를 클릭하면 분기보고 진행상황에 "진행중", "보고중","완료"의 메뉴가 생성되도록 한다.
관리자 오염측정기록부 작성은 방사선작업관리자가 방사선관리구역에 대한 오염상황을 직접 측정하여 작성하는 시트이다(사전에 구현된 각 방사선관리구역의 오염 Map을 불러서 최대 7 포인트(7개 측정지점)까지 측정이 가능토록 구현할 수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 이력카드 관리는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건강진단결과 교육훈련사항, 방사선피폭선량결과 값을 웹상에서 접속하여 본인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각각의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용어"폐기요함"이란 구매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고 난 후 사용이 종료된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반납한다는 의미로 프로그램상에서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의 작성을 종료한다는 의미이다. 용어"계속사용"이란 구매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해당분기 이후에도 계속하여 사용한다는 의미로써 분기보고 진행이후에도 프로그램상에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를 계속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용어 "진행중"이란 방사선작업종사자가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를 계속 작성 중에 있자는 의미이다. 용어"보고중"이란 분기보고 시점이 되어 방사선작업종사자가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 작성을 중지하고 해당 교수에게 분기보고를 요청한 상태를 의미한다. 용어 "완료"란 분기보고 시점이 되어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 작성을 중지하고 해당 교수에게 분기보고를 요청한 사항을 해당 교수가 확인후 승인이 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은 인터넷망 또는 통신망(30)을 통해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서버 시스템(100), 상기 서버 시스템(100)에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10) 및 상기 서버 시스템(100)에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서버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2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서버 시스템(100)은 사용되는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방사성동위원소 데이터베이스(121), 방사선작업종사자에 대한 방사선작업종사자 데이터베이스(122), 각각의 방사선작업관리자에 대한 관리자 데이터베이스(123) 및 ID/PW 및 보안관리에 대한 보안관리 데이터베이스(124),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의 오염기록부를 방사선관리구역의 단면도로 작성하여 오염 맵으로 기록한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125)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120)과 함께,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에 대한 오염도를 기록 관리하는 오염 맵 관리 모듈(130),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의 구매여부를 결정하고 구매결정시 해당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기본 데이터 및 오염측정기록부를 생성하는 구매승인모듈(150),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사용 현황 및 방사선관리구역에 대한 오염도에 대한 보고서를 출력하는 보고서작성모듈(1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 시스템(1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20), 오염 맵 관리모듈(130), 보고서작성모듈(140) 및 구매승인모듈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시스템운영모듈(110)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방사성동위원소 현황 데이터베이스(121), 방사선작업종사자 데이터베이스(122), 관리자 데이터베이스(123), 보안관리 데이터베이스(124) 및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125) 등과 같이 여러 종류의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한다.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현황 데이터베이스(121)는 각각의 방사선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를 식별 및 검색하기 위한 분류 코드, 예를 들어, RI핵종 코드, 반입일자, 사용일자, 화학적 상태, 판매회사, 수량에 대한 실제적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122)는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실험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들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관내의 전체 시스템의 인사관리 프로그램의 데이터와 연동될 수 있다. 관리자 데이터베이스(123)는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사용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며, 이 경우 역시 기관내의 전체 시스템의 인사관리 프로그램의 데이터와 연동될 수 있다. 보안관리 데이터베이스(124)는 이용자들을 인증 및 관리하고 또한 기기 관리자들을 인증하고 해당하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정보를 관리한다.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125)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의 오염기록부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이 맵 형태로 작성되어 맵 내의 오염측정 지점의 오염도가 기록되어 있고, 각각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측정일시, 측정자, 핵종, 측정값 등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20)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121, 122, 123, 124, 125)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작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로부터 정보 제공 요청이 접수되면, 시스템운영모듈(110)로부터 수신 받은 검색 요청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베이스(121, 122, 123, 124, 125)에서 해당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하고 이를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로 전달하는데, 필요한 경우에는 검색 및 추출된 데이터를 보고서작성모듈(140) 또는 오염 맵관리모듈(150)로 보낸다.
보고서작성모듈(140)은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사용현황 및 방사선관리구역의 오염 현황을 산출하여 보고하기 위한 모듈이다. 보고서작성모듈(140)은 관리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시스템운영모듈(110)로부터 수신 받은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20) 및 오염 맵 관리 모듈(130)로부터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의 핵종코드, 도입기간, 사용기간, 사용 장소, 사용량, 오염 측정 포인트, 오염측정값, 측정자 등과 같은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사용 및 오염도 정보를 전송받아,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사용 내역 및 오염도 등에 대한 통계 정보 및 보고서를 작성하여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상기 보고서작성모듈(140)은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사용내역 및 오염도에 대하여, 일별, 월별, 분기별, 연도별로 작성하며, 작성된 내용을 엑셀 자료로 변환시키고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하여, 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시스템운영모듈(110)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고 실행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이 목적하는바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들(10) 및 관리자 단말기들(20)로부터 입력된 방사선작업종 사자 및 관리자 요청을 수신하고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오염 관리 및 보고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구매승인모듈, 오염 맵관리모듈 및 보고서작성모듈을 관리하고 이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시스템운영모듈(110)은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20)을 통하여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현황 데이터베이스(121), 방사선작업종사자 데이터베이스(122), 관리자 데이터베이스(123), 보안관리 데이터베이스(124) 및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125)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검색, 추출하고, 이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계속사용여부, 폐기여부, 방사선 오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각각의 모듈들을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내장하고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가 방사성동위원소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 작업종사자 단말기(10)를 이용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구매 요청을 하게 되면 이러한 정보는 구매승인모듈(150)로 전달되고 이 정보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다시 방사선작업관리자에게 전달된다. 방사선작업관리자가 구매승인모듈을 통해 구매를 승인하는 즉시 사전에 등록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구매요청자의 개인 메일로 승인사항이 통보된다. 만약 방사선작업관리자가 구매 승인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의견란에 승인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기록과 함께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구매요청자의 개인메일로 자동 발송된다. 도 3은 RI 구매요구서의 일예를 도시한다.
승인이 완료되어 개봉방사성동위원소가 반입될 때, 방사선작업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20)을 통하여 RI핵종 코드번호를 부여한 후 반입 일자를 기록하면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Sheet)가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125)에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는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매번 사용시마다 개인에게 부여된 ID/PW를 통하여 접속 후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하고 오염 맵관리모듈(130)을 통하여 오염측정기록부를 작성한다. 방사선작업종사자가 오염 맵관리모듈(130)을 통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오염기록부를 작성시,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의 단면도를 맵으로 작성한 오염 맵을 불러와서 오염측정 지점을 선택한 후 오염도를 기록할 수 있다(오염측정 장소의 기록값은 마우스를 대면 측정 포인트, 측정일시, 측정자, 핵종, 측정값 정보를 서로 공유(확인)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매 분기 경과후 그간 작성되어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저장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고서작성모듈(140)이 분기보고서를 작성한다. 이때, 해당분기에 반입된 개봉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계속사용" 또는 "폐기요함"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만약 이에 대한 선택(답변)을 하지 않으면 메시지 창(예를 들어, "계속사용 또는 폐기에 관한 선택을 하시오!")이 뜰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관리자 오염측정기록부 작성은 방사선작업관리자가 방사선관리구역에 대한 오염상황을 직접 측정하여 작성하는 시트이다. 상기와 같은 오염도 측정 기록부에 대한 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사전에 구현된 각 방사선관리구역의 오염 맵을 불러서 최대 7 포인트(7개 측정지점)까지 측정이 가능토록 구현할 수 있다. 오염 맵에 대한 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125)에서는 방사선관리구역을 여러 개의 섹터로 나누어 구분하고, 오염 맵관리모듈(130)을 통해 각각의 섹터를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번호를 입력하고 나누어진 각각의 섹터중 측정을 원하거나 검사를 요하는 섹터에 마우스를 대면 측정지점, 측정자, 측정일자, 사용핵종, 측정값 등이 나타나 오염도를 알 수 있고, 또한 이 데이터는 서로 공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가 필요할 경우, RI 사용기록부, RI 오염측정기록부, 오염맵 등을 프린터(200)를 통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 2를 참조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방사선작업종사자는 방사성동위원소를 구매 또는 이용하기 위하여 인터넷망(30)을 통하여 서버 시스템(100)에 접속한다. 서버 시스템(100)에 접속한 방사선작업종사자는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매승인모듈(150)을 통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구매 요청서를 작성한다(단계 100).
방사선작업종사자가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구매를 요청하면, 방사선작업관리자는 구매요청서를 검토하여 구매승인여부를 결정한다(단계 210). 방사선작업관리자가 구매승인모듈(150)을 통해 RI구매를 승인하는 즉시 사전에 등록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구매요청자의 개인 메일로 승인사항이 통보된다. 만약 승인을 하지 않을 경우 경우에 의견란에 승인을 하지 않은 이유를 기록하고 다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구매요청자의 개인메일로 자동 발송한다.
개봉방사성동위원소 반입시 방사선작업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20)을 통하여 RI핵종 코드번호를 부여한다(단계220). 다음에 RI 반입 일자를 기록하면 RI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Sheet)가 방사성동위원소 데이터베이스(121) 및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125)에 자동으로 생성된다(단계230).
이후부터 방사선작업종사자는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매번 사용시마다 개인에게 부여된 ID/PW를 통하여 접속 후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하게 되고 RI사용 현황은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20)을 통하여 RI사용기록부에 기록하고 그리고 오염 맵 관리모듈(130)을 통하여 오염측정기록부를 작성한다(단계 240). 방사선작업종사자가 오염 맵 관리모듈(130)을 통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오염기록부를 작성시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의 단면도를 오염맵으로 구현한 사용 장소 불러와서 오염측정 지점을 선택한 후 오염도를 기록할 수 있다. 오염측정 장소의 기록값은 마우스를 대면 측정 포인트, 측정일시, 측정자, 핵종, 측정값 정보를 서로 공유(확인)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매 분기 경과후 방사선작업종사자가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에 분기보고서 작성을 요청하면, 그간 작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데이터 및 오염측정기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고서작성모듈(140)이 분기보고서를 작성한다(단계 250).
방사선작업종사자가 해당 교수에게 분기보고 승인을 요청하면 사전에 등록된 해당 교수의 전자서명이 생성되어 분기보고서 상에 표시하며, 담당 교수는 분기보고의 승인여부를 결정한다(단계 260). 이러한 분기 보고 과정은 관리자 메뉴에서 분기보고를 클릭하면 분기보고 진행상황에 "진행중", "보고중","완료"의 메뉴가 생성되도록 한다.
담당 교수로부터 승인이 되면 분기보고 완료가 된다(단계 270). 분기보고완료후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폐기여부가 결정되게 된다(단계 280). 만약 구매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고 난 후 사용이 종료되면, 폐기 결정후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반납하고, 프로그램상에서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의 작성을 종료한다. 만약, 폐기하지 않고 계속사용으로 결정한 경우, 구매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해당분기 이후에도 계속하여 사용하고, 분기보고 진행이후에도 프로그램상에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를 계속적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단계 240으로 진행하다.
다음에 관리자는 분기보고서를 작성하고, RI 사용기록부 및 오염측정기록부를 출력한다(단계 290). 다음에 폐기 결정된 RI의 경우 사용측정기록부 및 오염측정기록부에 폐기요함이라고 체크한다(단계 300). 이와 같이 관리자에 의하여 기록된 보고서 및 기록부는 엑셀로 데이터베이스화한 후에 분기보고를 종료하게 된다.
관리자 오염측정기록부 작성은 방사선작업관리자가 방사선관리구역에 대한 오염상황을 직접 측정하여 작성하는 시트이다(사전에 구현된 각 방사선관리구역의 오염 Map을 불러서 최대 7 포인트(7개 측정지점)까지 측정이 가능토록 구현할 수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 이력카드 관리는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건강진단결과 교육훈련사항, 방사선피폭선량결과 값을 웹상에서 접속하여 본인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은 원자력 관계법규에 따라 개봉방사성동위원소와 관련한 RI 구입 절차 및 기록부 작성 방법이 기존에는 수작업에 의존하여 관련 서류를 작성을 하고 있는 것과를 달리 일체를 웹상에서 작성함으로써 서류관리에 따른 행정적인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고,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관리에 대한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구매(생성)서부터 폐기단계까지의 일련의 절차를 자동화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선원 추적이 용이하고,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분기보고시 사용 및 재고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방사성동위원소의 구매 및 사용 그리고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을 관리하는 서버 시스템, 상기 서버 시스템에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의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하는 다수의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 시스템에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방사선 안전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 시스템의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서버 시스템을 관리하는 다수의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개봉 방사성동위원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시스템은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구매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구매승인모듈; 개봉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사용 현황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방사성동위원소 데이터베이스; 상기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 그리고 타 모듈로부터 수신 받은 검색 요청 및 검색 조건에 대응하는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현황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로부터 방사선관리구역의 단면도를 불러와 오염맵을 작성하는 오염 맵 관리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로부터 각각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 현황 및 오염측정기록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내역 등의 상세한 사항이 입력되고 출력되는 보고서작성모듈; 상기 방사선작업종사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방사선작업관리자 요청을 수신하고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사선 오염관리,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개폐기 관리 및 보고서 작성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오염 맵 관리모듈, 구매승인모듈 및 보고서작성모듈을 관리하는 시스템운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는 방사성동위원소 현황 데이터베이스(121), 방사선작업종사자 데이터베이스(122), 관리자 데이터베이스(123), 보안관리 데이터베이스(124) 및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현황 데이터베이스(121)는 각각의 방사선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를 식별 및 검색하기 위한 분류 코드, RI핵종 코드, 반입일자, 사용일자, 화학적 상태, 판매회사, 수량에 대한 실제적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125)에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의 오염기록부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이 맵 형태로 작성되어 맵 내의 오염측정 지점의 오염도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운영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을 통하여 각각의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현황 데이터베이스, 방사선작업종사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데이터베이스, 보안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검색, 추출하고, 이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개봉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계속사용여부, 폐기여부, 방사선 오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각각의 모듈들을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작업관리자는 개봉방사성동위원소가 반입될 때,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을 통하여 RI핵종 코드번호를 부여한 후 반입 일자를 기록하면 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가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작업종사자는 오염 맵 관리모듈을 통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오염기록부를 작성할 때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의 단면도로 작성하고, 오염맵으로 구현한 사용 장소를 불러와서 오염측정 지점을 선택한 후 오염도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9. 방사선작업종사자는 방사성동위원소를 구매 또는 이용하기 위하여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여 구매승인모듈을 통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 구매 요청서를 작성하는 단계;
    방사선작업관리자가 구매요청서를 검토하여 구매승인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개봉방사성동위원소 반입시 방사선작업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을 통하여 RI핵종 코드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RI 반입 일자를 기록하면 RI사용 및 오염측정기록부가 방사성동위원소 데이터베이스 및 방사선관리구역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생성되는 단계;
    방사선작업종사자가 개봉방사성동위원소를 매번 사용시마다 RI사용 현황이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을 통하여 RI사용기록부에 기록되고 오염 맵 관리모듈을 통하여 오염측정기록부가 작성되는 단계;
    방사선작업종사자가 분기보고서 작성을 요청하면, 그간 작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사용 데이터 및 오염측정기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고서작성모듈이 보고서를 작성하는 단계;
    방사선작업종사자가 해당 교수에게 보고 승인을 요청하면 사전에 등록된 해당 교수의 전자서명이 생성되어 보고서 상에 표시되며, 담당 교수는 보고의 승인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분기보고완료후 방사성동위원소에 대한 폐기여부가 결정되는 단계;
    방사선작업관리자가 보고서를 작성하고, RI 사용기록부 및 오염측정기록부를 출력하는 단계; 및
    폐기 결정된 RI의 경우 사용측정기록부 및 오염측정기록부에 폐기요함이라고 체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작업종사자는 오염 맵 관리모듈을 통하여 개봉방사성동위원소의 오염기록부를 작성할 때 각각의 방사선관리구역의 단면도를 오염맵으로 구현한 사용 장소를 불러와서 오염측정 지점을 선택한 후 오염도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방법.
KR1020060052935A 2006-06-13 2006-06-13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방법 KR100765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935A KR100765717B1 (ko) 2006-06-13 2006-06-13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935A KR100765717B1 (ko) 2006-06-13 2006-06-13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717B1 true KR100765717B1 (ko) 2007-10-11

Family

ID=3941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935A KR100765717B1 (ko) 2006-06-13 2006-06-13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7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286A (ko) 2014-10-27 2016-05-09 주식회사 레니븐테크놀로지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 작업종사자 통합안전관리 시스템
CN109416821A (zh) * 2016-04-26 2019-03-01 株式会社雷尼文科技 放射性同位素以及放射线工作人员综合安全管理系统
KR20200039200A (ko) * 2018-10-05 2020-04-16 한국과학기술원 허가형 블록체인을 이용한 핵물질 추적 및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612472B1 (ko) * 2023-05-11 2023-12-11 세안에너텍 주식회사 밀봉 방사성동위원소 선원의 재활용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281A (ko) * 2003-05-14 2004-11-20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통신망을 통한 방사성물질 위치추적 관리시스템
US20050086227A1 (en) 2002-02-27 2005-04-21 Andrew Sullivan Risk mapping system
KR20050109441A (ko) * 2005-11-04 2005-11-21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방사성 물질 위치 추적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6227A1 (en) 2002-02-27 2005-04-21 Andrew Sullivan Risk mapping system
KR20040098281A (ko) * 2003-05-14 2004-11-20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통신망을 통한 방사성물질 위치추적 관리시스템
KR20050109441A (ko) * 2005-11-04 2005-11-21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방사성 물질 위치 추적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추적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286A (ko) 2014-10-27 2016-05-09 주식회사 레니븐테크놀로지 방사성동위원소 및 방사선 작업종사자 통합안전관리 시스템
CN109416821A (zh) * 2016-04-26 2019-03-01 株式会社雷尼文科技 放射性同位素以及放射线工作人员综合安全管理系统
EP3451277A4 (en) * 2016-04-26 2019-09-18 Leniven Co., Ltd INTEGRATED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RADIOISOTOPES AND EMPLOYEES WITH RADIATION
KR20200039200A (ko) * 2018-10-05 2020-04-16 한국과학기술원 허가형 블록체인을 이용한 핵물질 추적 및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83282B1 (ko) * 2018-10-05 2020-11-26 한국과학기술원 허가형 블록체인을 이용한 핵물질 추적 및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612472B1 (ko) * 2023-05-11 2023-12-11 세안에너텍 주식회사 밀봉 방사성동위원소 선원의 재활용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ozus The data book: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research data
KR100765717B1 (ko) 개봉 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봉방사성동위원소 통합관리 방법
Del Guerra et al. Curriculum for education and training of medical physicists in nuclear medicine: recommendations from the EANM Physics Committee, the EANM Dosimetry Committee and EFOMP
Nasution et al. The Web-Based Inventory Data Processing Information System At The Regional Development Planning Agency (Bappeda) North Sumatra Province
CN108734442B (zh) 用于管理放射性监测实验室的实验室管理系统
Fantuzzi et al. Implementation of standards for individual monitoring in Europe
Westphal et al. A Tool Kit for Generating Simulated Radiation Measurements for Advanced Reactor Safeguards and Security
Ridwan et al. Developing Radioactive Medical Waste Management System of Nuclear Medicine Units Using Open-Sourc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Case Study in Indonesian Public Hospital
Tessaro et al. An algorithmic software mode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radioactive waste
Fournier et al. Federal Radiological Monitoring and Assessment Center (FRMAC) Laboratory Analysis Workshop.
Martín et al.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the CIEMAT radiation dosimetry service
Chidambaram et al. Good laboratory practice
Gaddam Ms Sales and Stock Management System
Pate et al. Lessons Learned from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Database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Bowen et al. Nondestructive Assay Technical Infrastructure Program Mission and Vision
Mseke Web-based personal dose management system for data recording on dosimeter usage: a case of Tanzania atomic energy commission
Karyono et al.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in Increasing Organizational Stability (Case Study on Ar-Ruhama Organized Foundation)
Bagaskara Information System For Collecting Inventory And Sharing Resource For Student Organization
Shanks et al. Summary Report for the Evaluation of Current QA Processes Within the FRMAC FAL and EPA MERL.
Scofield et al. Oak ridge reserv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rad Neshaps radionuclide inventory web database and rad Neshaps source and dose database
Kumanayak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Masha Office Automation
Little et al. Radiological survey activities: uranium mill tailings remedial action project procedures manual
Jaech Control charts for MUF's
Alves et al. The importance of a document management policy to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KR20230103101A (ko) 원전해체 방사성폐기물의 핵종분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아카이브 허브 통합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