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483B1 - Call shorten origin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function of call in recent call history - Google Patents

Call shorten origin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function of call in recent call hist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483B1
KR100765483B1 KR1020060075652A KR20060075652A KR100765483B1 KR 100765483 B1 KR100765483 B1 KR 100765483B1 KR 1020060075652 A KR1020060075652 A KR 1020060075652A KR 20060075652 A KR20060075652 A KR 20060075652A KR 100765483 B1 KR100765483 B1 KR 10076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key
phone number
scree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4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4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ethod for shortening call origin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making-a-phone-call function from the latest call list is provided to originate a call to set phone numbers quickly and simply by inputting only a send key and a direction key by displaying multiple phone numbers as a default in the latest call record. After a phone number for a speed call origination is set, a controller checks whether a key is inputted in a standby state(S135). When a key is inputted,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inputted key is a send key(S137). When the inputted key is a send key, the controller displays the set phone number for the speed call origination and the latest call record on a display unit(S139). The controller highlights the set phone number(S140).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ime taken for pressing the send key is longer than a long pressing time(S141). The controller checks an inputted key(S143),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ecked key is a send key(S145). When the key is the send key, the controller originates a call to the phone number of the set speed call origination(S147).

Description

최근통화목록에서 전화걸기 기능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CALL SHORTEN ORIGIN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FUNCTION OF CALL IN RECENT CALL HISTORY}CALL SHORTEN ORIGIN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FUNCTION OF CALL IN RECENT CALL HISTO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단축 발신 방법이 수행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all short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을 위한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tting process for a call shorten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을 위한 설정 화면 예시도,3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screen for a call shorten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ll shorten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최근통화기록화면의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 call shortening call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 단축 발신 방법에서 설정 화면의 다른 예시도, 그리고6 to 8 is another example of a setting screen in the call short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 단축 발신 방법에서 최근통화기록화면의 다른 예시도이다.9 and 10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a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in the call short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발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근통화목록에서 전화걸기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호를 발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origin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call shortening cal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quickly and easily calling a call to a predetermined specific phone number using a call function in a recent call list.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숫자 키의 입력과 통화 키의 입력이 확인되면 호를 발신한다. 이와 같은 호 발신 방법은 대기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적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를 모두 입력하는 일련의 조작 절차를 요구한다. 따라서 이 호 발신 방법은 자주 통화하는 전화번호나 응급 전화번호나 긴급 전화번호 등의 호 발신에는 바람직하지 않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ds a call when the input of a numeric key corresponding to a telephone number and the input of a call key are confirmed. Such a call origination method does not take much time until a call is made in the standby state, and requires a user to input a series of operation procedures in which all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are input. Therefore, this call origination method is not preferable for calling a frequently called phone number, emergency number or emergency number.

좀 더 빠르게 호를 발신하는 방법으로서 단축 키를 이용한 호 발신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축 번호가 입력과 마지막 키 입력의 길게 누름에 의해 호를 발신한다. 단축 번호의 입력만으로 쉽고 빠르게 호를 발신할 수 있다. 그러나 단축 키를 이용한 호 발신 방법은 사용자가 특정 번지에 저장되어 있는 단축 번호를 모르거나 단축 키를 이용한 호 발신 방법을 숙지하고 있지 못한 경우에 이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As a method of making a call faster, a call origination method using a shortcut key is kn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call by pressing and holding the last key input and the speed di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You can easily and quickly make a call by just entering a speed dial number. However, a call origination method using a shortcut key is difficult to use when the user does not know a shortcut number stored at a specific address or is not familiar with the call origination method using a shortcut key.

또 다른 호 발신 방법으로서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별도로 설치된 긴급 통화 키를 이용하여 호를 발신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긴급 통화 키가 눌리면 긴급 통화 전용의 특정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한다. 사용자는 긴급 상황에서 한 번의 키 입력으로 긴급 통화를 위한 호를 발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호 발신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키 추가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조에 추가 비용이 요구되어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As another call originating method, a method of calling a call using an emergency call key separately instal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known. When the emergency call key is press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ds a call to a specific phone number dedicated to emergency call. The user can place a call for an emergency call with a single keystroke in an emergency. However, such a call originatio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an additional cost is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the addition of a ke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통화목록에서 전화걸기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호를 발신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call shorten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quickly and easily send a call to a predetermined specific phone number by using the dialing function in the recent call list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은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과, 최근통화기록을 요구하는 특정 키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과, 특정 키 입력이 확인되면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활성 선택 상태로 최근통화기록의 전화번호와 함께 최근통화기록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및 상기 최근통화기록화면의 표시 중에 상기 특정 키 입력에 의해 상기 단축 발신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shorten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gistering a speed dialing telephone number, checking a specific key input requesting a recent call record, and checking a specific key input. When the speed dialed phone number is activated and displayed on the recent call log screen together with the phone number of the recent call log, and the specific key is pressed during the display of the recent call log screen. It includes the process of sending ou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은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과, 등록된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편집하는 과정, 그 편집된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과정, 최근통화기록을 요구하는 특정 키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과, 특정 키 입력이 확인되면 저장된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활성 선택 상태로 최근통화기록의 전화번호와 함께 최근통화기록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및 최근통화기록화면 표시 중에 상기 특정 키 입력에 의해 상기 저장된 단축 발신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ll speed dial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registering the speed dialing telephone number, the process of editing the registered speed dial telephone number, the edited speed dial telephone number The process of saving, confirming a specific key input requesting the recent call record, and if the specific key input is confirmed, the stored speed dialing number is displayed on the recent call log screen along with the phone number of the recent call record in the active selection state. And calling the stored speed dialing number by the specific key input during the display of the recent call record scree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소프트 키"는 화면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선택 및 실행 가능하게 제공되는 키이다.Hereinafter, a call shorten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oft key"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ey provided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so as to be selected and executable by a user's key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단축 발신 방법이 수행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call short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 1을 참조하면, 이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본 발명에 따른 호 단축 발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제어부(11), 무선 통신부(13), 오디오 처리부(15), 키 입력부(21), 화면표시부(23) 및 저장부(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부(25)는 통화기록부(27)와 단축발신부(29)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 terminal for executing a call short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control unit 11,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an audio processing unit 15, and a key input unit 21. ), A screen display unit 23 and a storage unit 25. Here, the storage section 25 has a call recording section 27 and the speed dialing section 29.

무선 통신부(13)는 안테나(3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부(11)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converts a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30 into a desired signal, and converts a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unit 11 into a radio signal.

오디오 처리부(15)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마이크(17)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 통신부(1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19)를 통해 음성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15 reproduces the received audio signal or modulate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17 to convert the voice signal into voice data, and demodulates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 into a voice signal to thereby generate the speaker 19. Voice output through.

저장부(25)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들과 그 데이터 및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통화기록부(27)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착신과 발신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기록을 저장한다. 그리고 단축발신부(29)는 특정 전화번호를 단축 발신 전화번호로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5 stores various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ts data,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particular, the call recorder 27 stores a call log including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addition, the speed dialing unit 29 stores a specific telephone number as a speed dialing telephone number.

화면 표시부(2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조작과 동작에 관한 정보나 결과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을 화면 표시한다.The screen display unit 23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result information.

키 입력부(21)는 숫자나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키들을 포함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한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The key input unit 21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various function keys, and generates a command signal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는 통화기록부(27)를 제어하여 최근 통화기록을 추출하고, 화면표시부(23)를 제어하여 추출 결과를 화면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단축발신부(29)와 화면표시부(23)를 제어하여 단축 발신이 설정된 전화번호를 활성 선택하여 최근 통화기록과 함께 화면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1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1 controls the call recorder 27 to extract the latest call record, and the screen display unit 23 to display the extraction result. The control unit 11 controls the speed dialing unit 29 and the screen display unit 23 to actively select a phone number for which speed dialing is set, and displays the screen with the recent call lo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을 위한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tting process for a call shorten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은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은 설정 과정에 의해 전화번호의 등록과 그 전화번호에 대한 단축 발신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는 키 입력부(13)에서 키 입력의 발생을 확인하고(S101),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발생된 키 입력이 설정 모드의 선택인지를 판단한다(S103). 여기서, 설정 모드는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단축 발신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이다.The call shorte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goes a process of registering a phone number and setting a speed dial function for the phone number by a setting process as illustrated in FIG. 2. 1 and 2, the control unit 11 confirms occurrence of key input in the key input unit 13 (S101), and determines whether a key input generated by a user's key operation is a selection of a setting mode. (S103). Here, the setting mode is a setting mode for setting a speed dial function for a specific telephone number.

설정 모드의 선택이 확인되면, 제어부(11)는 설정 화면을 화면 표시부(23)에 표시한다(S105). 설정 화면에서 단축 발신 기능의 설정과 해제의 선택이 제시되고, 단축 발신 기능이 설정될 전화번호의 입력을 위한 전화번호 입력 창이 제시된다.When the selection of the setting mode is confirmed, the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setting screen on the screen display unit 23 (S105). On the setting screen, selection of setting and canceling of the speed dialing function is presented, and a phone number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to which the speed dialing function is to be set is presented.

이어서, 제어부(11)는 설정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을 확인하고(S107), 그 키 입력이 기능 설정인지 판단하거나(S109), 기능 해제인지 판단하며(S111), 단축 발신이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의 입력 또는 편집인지 판단한다(S113).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 checks the user's key input to the setting screen (S107), determines whether the key input is a function setting (S109), or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is released (S111), and a specific telephone set up for speed dial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is input or edited (S113).

기능 설정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대한 단축 발신 기능을 설정한다(S115). 기능 해제가 확인되면,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대한 단축 발신 기능을 해제한다(S117).If it is confirmed as the function setting, the control unit 11 sets the speed dial func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115). When the function release is confirmed, the control unit 11 releases the speed dial func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117).

전화번호의 입력과 편집에 관한 키 입력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1)는 그 키 입력에 따른 전화번호의 입력 또는 편집 처리를 진행한다(S119). 이때 입력 또는 편집되는 전화번호가 단축 발신 기능 설정될 때 단축 발신되는 전화번호이다. 제어부(11)는 이 전화번호를 저장부(25)의 단축발신부(29)에 저장한다(S121). 입력 도는 편집에 관한 키 입력이 아니면 제어부(11)는 계속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S105)If it is confirmed by key input related to the input and editing of the telephone number, the control unit 11 proceeds to input or edit the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key input (S119). In this case, the phone number to be input or edited is a phone number to be dialed out when the speed dialing function is set. The control unit 11 stores the telephone number in the speed dialing unit 29 of the storage unit 25 (S121). If it is not a key input related to input or editing, the controller 11 continues to display the setting screen (S10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을 위한 설정 화면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etting screen for a call shorten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예시된 설정 화면(50)은 전술한 설정 과정에서 제공되는 설정 화면의 예로서 설정 창(51)을 포함한다. 설정 창(51)은 단축 발신 기능의 실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설정 소프트 키(53)와 해제 소프트 키(55) 및 전화번호 입력 창(57)을 포함한다. 이 설정 화면(50)은 사용자에게 단축 발신 기능의 설정과 해제 및 단축 발신 기능이 설정될 전화번호의 입력 또는 편집을 제시한다.The setting screen 50 illustrated in FIG. 3 includes a setting window 51 as an example of the setting screen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setting process. The setting window 51 includes a setting soft key 53, a release soft key 55, and a telephone number input window 57 for selecting whether to execute the speed dial function. This setting screen 50 presents the user with input or editing of the telephone number to which the speed dialing function is set and released and the speed dialing function is set.

이 설정 화면(50)에서 설정 소프트 키(53)가 사용자에 의해 실행 선택되면 단축 발신 기능이 설정된다. 설정 화면(50)의 상단에는 단축 발신 기능의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19)이 표시된다. 해제 소프트 키(55)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단축 발신 기능이 해제된다. 입력 또는 편집되는 전화번호는 전화번호 입력 창(57)에 표시된다. 전화번호 입력 창(57)에 표시되는 전화번호가 단축 발신 기능이 지정될 전화번호로 설정된다. 설정 화면(50)이 표시될 때 전화번호 입력 창(57)에는 최근 단축 발신 기능이 설정된 전화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전화번호 입력 창(55)에는 최초 설정 값으로 응급 상황이나 긴급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전화번호, 예를 들어 "119"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setting screen 50, if the setting soft key 53 is selected to be executed by the user, the speed dial function is set. At the top of the setting screen 50, an icon 19 indicating a setting state of the speed dial function is displayed. The speed dialing function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on of the release soft key 55. The telephone number to be input or edited is displayed in the telephone number input window 57. The telephone number displayed on the telephone number input window 57 is set as the telephone number to which the speed dial function is assigned. When the setting screen 50 is displayed, the telephone number input window 57 may display a telephone number for which a recent speed dial function is set. In addition, the telephone number input window 55 may display a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119”, which may request help in an emergency situation or an emergency situation as an initial setting valu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all shorten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설정 과정을 통하여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단축 발신 기능이 설정되면, 제어부(11)는 상기 설정 화면(50)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화면 상단에 단축 발신 기능의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19)을 표시한다. 이 아이콘은 단축 발신 기능의 해제까지 계속 표시된다.1 and 4, when the speed dialing function for a specific telephone number is s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tting process, the controller 11 performs the speed dialing function at the top of the screen as described for the setting screen 50. The icon 19 which displays the setting state of is displayed. This icon continues to be displayed until the speed dial function is turned off.

단축 발신을 위한 전화번호가 설정된 후에, 제어부(11)는 대기 과정(133)에서 키 입력부(21)의 키 입력을 확인한다(S135).After the telephone number for the speed dial is set, the controller 11 checks the key input of the key input unit 21 in the waiting process 133 (S135).

키 입력의 발생이 확인되면, 제어부(11)는 그 키 입력이 통화 키인지 판단한다(S137). 통화 키가 아닌 다른 키 입력 시 제어부(11)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138).When the occurrence of the key input is confirmed,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the key input is a call key (S137). When a key other than the call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1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S138).

통화 키로 확인되면, 제어부(11)는 설정된 호 단축 발신을 위한 전화번호와 최근 통화기록을 포함하는 최근통화기록화면을 화면표시부(23)에 표시한다(S139). 최근 통화기록은 제어부(11)에 의해 통화기록부(27)에 저장된 통화기록에서 추출된다. 호 단축 발신 기능이 설정된 전화번호는 단축발신부(29)에 저장된 전화번호이다.When it is confirmed with the call key, the controller 11 displays the latest call record screen including the set phone number and the recent call record on the screen display unit 23 (S139). The recent call log is extracted from the call log stored in the call log 27 by the controller 11. The phone number in which the call speed dialing function is set is a phone number stored in the speed dialing unit 29.

제어부(11)는 설정된 전화번호를 최근통화기록화면에서 최근 통화기록의 상부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1)는 설정된 전화번호를 가장 최근통화기록으로 관리한다.The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set phone number on the top of the recent call log on the recent call log screen. That is, the controller 11 manages the set phone number as the most recent call record.

그리고 제어부(11)는 설정된 전화번호에 하이라이트를 위치시킨다(S140). 여기서, 하이라이트는 실행을 위한 선택 상태인 활성 선택을 의미한다. 제어부(11)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호 단축 발신용 전화번호에 하이라이트를 위치시킨다. 이 과정은 제어부(11)에 의해 최근통화기록화면의 표시 과정(S139)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1 places the highlight on the set phone number (S140). Here, the highlight means active selection which is a selection state for execution. The control unit 11 places the highlight on the call speed dialing telephone number set as a default.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1 at the same time as the display process (S139) of 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이어서, 제어부(11)는 키 입력을 확인하고(S143), 확인된 키 입력에 대하여 통화 키인지 판단한다(S145).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 checks the key input (S143), and determines whether the call key is the checked key input (S145).

통화 키로 확인되면, 제어부(11)는 설정된 호 단축 발신용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한다(S147). 단축 발신 기능이 설정되면 설정된 전화번호가 최근통화기록화면에 하이라이트로 선택된 상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최근통화기록화면에서 최초 키 입력이 통화 키이면 설정된 호 단축 발신용 전화번호로 호가 발신된다.When the call key is confirmed, the control unit 11 transmits the call to the set call speed dialing number (S147). When the speed dial function is set, the set phone number is provided as a highlight on the recent call log screen. Therefore, if the first key input is a call key in 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the call is sent to the set call speed dialing number.

한편, 제어부(11)는 최근통화기록화면의 표시 과정(S139) 후에 통화 키 눌림 시간이 길게 눌림 시간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141). 즉, 통화 키 입력이 긴 누름인지 판단한다. 통화 키의 긴 누름이 확인되면, 제어부(11)는 최근통화기록화면의 표시 과정(S139) 후의 키 입력 확인 과정(S143)과 통화 키 판단 과정(S145)을 건너뛴다. 그리고 곧바로 설정된 호 단축 발신용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을 진행한다(S147). 통화 키가 아닌 다른 키 입력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146).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the call key press time is longer than the press time after the display process (S139) of 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S141).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l key input is a long press. When the long press of the call key is confirmed, the control unit 11 skips the key input confirmation process (S143) and the call key determination process (S145) after the display process (S139) of 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Then proceeds with the process of sending a call to the call shortening phone number set immediately (S14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ey input other than the call key, the control unit 11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S146).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은 사용자가 통화 키를 2회 짧게 누를 때 미리 설정된 호 단축 발신용 특정 전화번호로 호가 발신된다. 또 는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 키를 길게 누름으로써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로 호가 발신된다. 한편, 통화 키는 최근통화기록을 보여주게 설정된 다른 키로 대체될 수 있다.As in this embodiment, in the call shorte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resses a call key twice shortly, a call is sent to a predetermined call shortening specific telephone number. Alternatively, in a waiting state, a call is sent to a specific phone number set by the user pressing and holding the call key. On the other hand, the call key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key set to show the recent call record.

여기서, 통화 키의 길게 누름에 의한 특정 전화번호로의 호 발신은 통화 키의 2회 짧게 누름에 비하여 대기 상태에서 호 발신까지의 시간이 더 길다. 그 이유는 통화 키 눌림이 발생될 때 긴 눌림을 인지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번의 통화 키 누름에 의해 호가 발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Here, the call origination to a specific telephone number by pressing and holding the call key has a longer time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call origination as compared to the two short presses of the call key. The reason is that it takes time to recognize long presses when a call key press occurs. Howe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ll can be originated by one call key press.

한편, 사용자는 방향 키의 입력에 의해 하이라이트를 이동시켜 통화를 희망하는 통화기록을 선택하고 통화 키를 눌러 통화기록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move the highlight by input of the direction key to select the call record that you want to call and press the call key to send a call to the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all recor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에 따라 표시되는 최근통화기록화면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 call shortening call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발신 방법에서 제어부(11)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최근통화기록화면(60)을 표시한다. 이 최근통화기록화면(60)은 단축 발신 전화번호 표시줄(61)과 통화기록 표시줄(65)을 포함한다. 단축 발신 전화번호 표시줄(61)에는 설정된 호 단축 발신용 전화번호, 예를 들어 "119"가 표시된다.In the call origin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60 as illustrated in FIG. The recent call log screen 60 includes a speed dialing phone number bar 61 and a call log bar 65. The speed dialing telephone number bar 61 displays a set call speed dialing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119".

전화번호의 앞부분에는 단축 발신 기능이 설정된 전화번호임을 알리는 아이콘(62)이 표시된다. 이 아이콘(62)에 의해 사용자는 단축 발신 기능이 설정된 전화 번호를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최근통화기록화면(60)의 상단 부분에는 단축 발신 기능의 설정 상태임을 알리는 아이콘(59)이 표시된다. 이 아이콘(59)에 의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대한 단축 발신 기능의 설정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In front of the telephone number, an icon 62 indicating that the speed dialing function is set is a telephone number. By this icon 62, the user can easily know the telephone number to which the speed dial function is se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60, an icon 59 indicating that the speed dialing function is set is displayed. The icon 59 makes it easy for the user to know the setting state of the speed dial func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축 발신 전화번호 표시줄(61)은 통화기록 표시줄 위쪽에 배치된다. 단축 발신 전화번호 표시줄(61)은 최근통화기록화면(60)의 표시될 때 디폴트로 하이라이트(63)에 의해 선택된다. 통화 키가 입력되면 하이라이트(63)에 의해 선택된 통화기록 또는 설정된 전화번호로 호가 발신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peed dialing telephone number bar 61 is disposed above the call log bar. The speed dial telephone number bar 61 is selected by the highlight 63 by default when the recent call log screen 60 is displayed. When the call key is input, the call is sent to the call log selected by the highlight 63 or the set phone number.

통화기록 표시줄(65)은 단축 발신 전화번호 표시줄(61) 아래에 배치된다. 통화기록 표시줄(65)에는 최근 통화 순서대로 통화기록이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방향 키를 조작하여 통화기록을 선택하고 통화 키를 입력하여 그 통화기록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할 수 있다.The call log bar 65 is disposed below the speed dialing phone number bar 61. In the call log bar 65, call log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order of recent calls. The user may select a call log by operating a direction key and input a call key to send a call to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all lo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은 단축 발신을 위한 전화번호로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복수의 응급 전화번호 또는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단축 발신의 전화번호로 등록하고 최근 통화기록화면에 표시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호를 발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ll shorten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gister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as a phone number for the short call. Multiple emergency numbers or frequently used telephone numbers can be registered as a phone number for speed dialing and displayed on the recent call log screen to quickly and easily call out.

도 6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호 단축 발신 방법에서 설정 화면의 다른 예시도이고,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 단축 발신 방법에서 최근통화기록화면의 다른 예시도이다.6 to 8 are other exemplary diagrams of a setting screen in the call short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other exemplary diagrams of a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in the call short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호 단축 발신 방법에서 제어부(11)는 단축 발신을 위하여 2개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설정 화면(70)을 제공할 수 있다. 설정 화면(70)은 2개의 전화번호 항목(71)(72)을 포함하며, 각각의 전화번호 항목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단축 발신을 위한 전화번호의 등록 절차를 밟을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화면(70)에 표시된 전화번호 항목에 대한 선택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전화번호 항목에 대한 단축 발신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1 and 6, for example, in the call short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 may provide a setting screen 70 for registering two telephone numbers for speed dialing. The setting screen 70 includes two phone number items 71 and 72, and may register a phone number for speed dialing according to a user selection of each phone number item. The user may set a speed dial function for one or two phone number item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phone number item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70.

이 설정 화면(70)이 표시될 때, 제어부(11)는 키 입력을 해당 항목의 번호나 방향 키 및 확인 키의 입력으로 제한할 수 있다. 설정에 불필요한 키 입력의 발생이 무시 또는 차단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설정이 가능하다. 단, 특정 기능 키나 종료 키 등의 입력은 제한되지 않는다.When the setting screen 70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11 may limit the key input to the input of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item or the direction key and the confirmation key.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set up by ignoring or blocking occurrence of key input unnecessary for setting. However, input of a specific function key or an end key is not limited.

한편, 제어부(11)는 각각의 전화번호 항목(71,72)의 뒤 부분에 선택 마크(73)를 표시하여 단축 발신 기능이 설정된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 마크(73)를 보고 단축 발신 기능의 설정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1 may display a selection mark 73 on the rear part of each phone number item 71, 72 to inform that the speed dialing function is se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etting state of the speed dial function by looking at the selection mark 73.

사용자가 설정 화면(70)에서 제1 전화번호(71)를 선택하고 확인 키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1)는 도 7에서와 같은 제1 전화번호 항목(71)에 대한 설정 창(81a)을 설정 화면(70)에 표시한다. 설정 화면(70)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2 전화번호 항목(72)이 선택되고 확인 키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는 도 8에서와 같은 제2 전화번호 항목(72)에 대한 설정 창(81b)을 설정 화면(70)에 표시한다. 각각의 설정 창(81a)(81b)은 설정 소프트 키(83)와 해제 소프트 키(85) 및 전화번호 입력 창(87)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 설장 창(81a)(81b)에서 전화번호 입력 창(87)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설정 소프트 키(83)를 선택 및 확인 키를 입력함으로써 2개의 전화번호 "119"와 "012-345-6789"에 단축 발신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first phone number 71 on the setting screen 70 and inputs a confirmation key, the control unit 11 sets the setting window 81a for the first phone number item 71 as shown in FIG. Is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70. When the second telephone number item 72 is selected by the user's selection on the setting screen 70 and a confirmation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1 sets the second telephone number item 72 as shown in FIG. 8. The window 81b is displayed on the setting screen 70. Each setting window 81a, 81b includes a setting soft key 83, a release soft key 85, and a phone number input window 87. The user enters a telephone number in the telephone number input window 87 in this setting window 81a and 81b, selects the setting soft key 83 and enters a confirmation key to enter two telephone numbers "119" and "012-. You can set the speed dialing function to "345-6789".

제1 전화번호 항목(71)과 제2 전화번호 항목(72) 중에서 어느 하나만 단축 발신이 설정되면 제어부(11)는 그 단축 발신이 설정된 전화번호 항목만을 최근통화기록화면(90)에 표시한다.If only one of the first phone number item 71 and the second phone number item 72 is set up to speed dial, the control unit 11 displays only the phone number item to which the speed dial is set on the recent call record screen 90.

모든 전화번호 항목들(71,72)에 대한 단축 발신이 설정되면, 제어부(11)는 각각의 전화번호 항목들(71)(72)에서 설정된 전화번호 "119"와 "012-345-6789"를 도 9에서와 같이 최근통화기록화면(90)에 표시한다. 최근통화기록화면(90)에서 단축 발신 전화번호 표시줄(91)이 두 줄이 되며, 그 아래에 최근 통화기록 표시줄(95)이 위치한다. 단축 발신 설정된 전화번호들의 앞 부분에는 단축 발신 설정된 전화번호임을 알리는 아이콘(92)이 표시되어 통화기록과 쉽게 구분될 수 있다.When speed dialing is set for all the phone number items 71 and 72, the control unit 11 sets the phone numbers " 119 " and " 012-345-6789 " set in the respective phone number items 71 and 72, respectively. 9 is displayed on 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90 as shown in FIG. In the recent call log screen 90, the speed dialing call number bar 91 becomes two lines, and the recent call log bar 95 is located below it. An icon 92 indicating that the speed dialing is set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set speed dialing number so that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call log.

한편, 제어부(11)는 설정 화면(70)에서 배열된 순서대로 전화번호 항목들(71,72)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그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전화번호 항목에 설정된 전화번호를 최근통화기록화면(90)에 표시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telephone number items 71 and 72 in the order arranged on the setting screen 70, and records the telephone number set in each telephone number item according to the priority.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90.

그리고, 제어부(11)는 복수의 전화번호가 표시될 때,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전화번호 "119"에 디폴트로 하이라이트(93)를 위치시킨다. 최근통화기록화면(90)의 표시 후 최초 키 입력이 통화 키이면 하이라이트(93)가 위치하는 전화번호 "119"로 호가 발신된다. 대기 상태에서 통화 키의 2회 짧은 누름 입력에 의해 전화번호 "119"로 호가 발신된다. 또는 대기 상태에서 통화 키의 긴 누름 입력에 의해 전화번호 "119"로 호가 발신된다. When the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are displayed, the controller 11 places the highlight 93 at the telephone number "119" having the highest priority by default. If the initial key input after the display of 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90 is the call key, the call is sent to the telephone number "119" in which the highlight 93 is located. The call is sent to the telephone number "119" by two short presses of the call key in the standby state. Or in a waiting state, a call is sent to the telephone number "119" by a long press of a call key.

우선 순위가 낮은 전화번호 "012-345-6789"의 경우, 최근통화기록화면(90)에서 방향 키에 의해 하이라이트(93)로 선택되어 도 10에서와 같이 활성 선택됨으로써 호가 발신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통화 키 입력 후 한 번의 방향 키 입력과 통화 키 입력에 의해 호를 발신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low priority telephone number " 012-345-6789 ", a call can be made by being selected as the highlight 93 by the direction key on 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90 and being activated as shown in FIG. After the call key is input in the standby state, the call can be originated by one direction key input and call key inpu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은 통화 키 입력만으로 신속하게 특정 전화번호로 호의 발신이 이루어진다. 별도의 키 추가 없이 신속한 호의 발신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단축 번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복수의 전화번호를 최근통화기록에 디폴트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통화 키 입력과 방향 키의 입력만으로 설정된 전화번호들에 호의 발신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In the method for shortening a cal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call is quickly made to a specific phone number by only a call key input. Quick call origination is possible without additional key. The user does not need to remember the speed dial number. By display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by default in the recent call record, a call is quickly and easily made to the telephone numbers set by only the call key input and the direction key input. Therefore,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Claims (16)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call shorten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과,Registering the speed dialing number; 최근통화기록을 요구하는 특정 키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과,Identifying specific keystrokes that require a recent call record; 상기 특정 키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활성 선택 상태로 최근통화기록의 전화번호와 함께 최근통화기록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및If the specific key input is confirmed, displaying the speed dialing phone number on the recent call log screen together with the phone number of the recent call record in an active selection state, and 상기 최근통화기록화면의 표시 중에 상기 특정 키 입력에 의해 상기 단축 발신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sending a call to the speed dial telephone number by the specific key input during the display of 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특정 키는 통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The specific key is a call shorten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ing process is performed. 상기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상기 최근통화기록화면에서 최근통화기록의 상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displaying the abbreviated outgoing telephone number above the recent call record on the recent call record scree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ing process is performed. 상기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하이라이트로 활성 선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short-calling the active call number of the shortened call nu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ing process is performed. 최초 최근통화기록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단축 발신 전화번호가 디폴트로 활성 선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displaying the active dialing number by default when displaying the first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gistration process 전화번호와 그에 대한 설정 소프트 키와 해제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설정 화면을 화면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setting screen including a phone number and a setting soft key and a release soft key thereof; 상기 설정 화면의 화면 표시 중에 상기 설정 소프트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를 단축 발신 전화번호로 등록하고 호 단축 발신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when the setting soft key is input during the screen display of the setting screen, registering the phone number as a speed dialing phone number and setting a call speed dialing function. 제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설정 화면은 전화번호 입력 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The setting screen further comprises a phone number input window call shorten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최근통화기록화면은 상기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최근통화기록과 구분하는 구분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The recent call recording screen is a call shorten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vision display for distinguishing the speed dialing telephone number from the recent call history. 제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구분 표시는 상기 단축 발신 전화번호 앞에 표시되는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the division display is an icon displayed in front of the speed dial telephone numb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gistration process is 상기 단축 발신 전화번호에 대한 상기 호 단축 발신 기능의 설정 상태를 아이콘으로 화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displaying the setting state of the call speed dialing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speed dialing phone number as an icon on the scree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riginating process 상기 표시 과정의 수행을 위한 통화 키 입력의 지속 시간을 감시하여 긴 누름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a long press input by monitoring a duration of a call key input for performing the display process; 상기 통화 키의 긴 누름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단축 발신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if the long press input of the call key is confirmed, calling a call to the speed dialing telephone number.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등록 과정은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복수의 전화번호항목들을 화면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항목들 모두에 대하여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전화번호 항목 중 어느 하나에서 설정된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활성 선택하여 화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The registration process includes display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 items for setting a speed dialed phone number, and registering speed dialed phone numbers for all the phone number items, and the displaying process includes the phone number. Call shortening call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screen by selecting the active speed dialing number set in any one of the items.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isplaying process is performed. 상기 전화번호항목들의 배열 순서대로 단축 발신 전화번호들을 표시하고, 첫 번째 전화번호항목에서 단축 발신 설정된 전화번호를 활성 선택하여 화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displaying the dialed outgoing telephone numbe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telephone numbered items, and displaying the screen by actively selecting the set up outgoing telephone number from the first telephone numbered item.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호 단축 발신 기능의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 설정의 해제 후 상기 표시 과정에서 최근통화기록만을 화면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releasing the setting of the call shortening function, and displaying only a recent call record in the display process after releasing the function setting.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call shorten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과,Registering the speed dialing number; 상기 등록된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편집하는 과정,Editing the registered speed dialing phone number; 상기 편집된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과정,Storing the edited speed dialed telephone number; 최근통화기록을 요구하는 특정 키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과,Identifying specific keystrokes that require a recent call record; 상기 특정 키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저장된 단축 발신 전화번호를 활성 선택 상태로 최근통화기록의 전화번호와 함께 최근통화기록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및If the specific key input is confirmed, displaying the stored speed dialing number on the recent call log screen together with the phone number of the recent call record in an active selection state, and 상기 최근통화기록화면 표시 중에 상기 특정 키 입력에 의해 상기 저장된 단축 발신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단축 발신 방법.And calling the stored speed dialing number by the specific key input during the display of the recent call record screen.
KR1020060075652A 2006-08-10 2006-08-10 Call shorten origin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function of call in recent call history KR100765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652A KR100765483B1 (en) 2006-08-10 2006-08-10 Call shorten origin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function of call in recent call hist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652A KR100765483B1 (en) 2006-08-10 2006-08-10 Call shorten origin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function of call in recent call histo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483B1 true KR100765483B1 (en) 2007-10-09

Family

ID=3941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652A KR100765483B1 (en) 2006-08-10 2006-08-10 Call shorten origin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function of call in recent call hist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48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76A (en)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dialing simply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050068921A (en) * 2003-12-30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Latest telephone call list sor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04858A (en) * 2004-07-10 2006-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phone book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37677A (en) * 2004-10-28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hone number selec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76A (en)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dialing simply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050068921A (en) * 2003-12-30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Latest telephone call list sor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04858A (en) * 2004-07-10 2006-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phone book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37677A (en) * 2004-10-28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hone number selec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77158A1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JP2002262362A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100731810B1 (en) Method of setting speed dial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662527A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application program of mobile phone
KR100664112B1 (en) Method for execution hot ke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65483B1 (en) Call shorten origina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function of call in recent call history
KR100808989B1 (en) Processing method of inputted information while call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8093146A (en) Mobile terminal loudness control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06311434A (en) Abbreviated call device, abbreviated call method and abbreviated call control program
JP2012209683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US20080032683A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expediently editing telephone number
JP2014138270A (en) Telephone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US8218749B2 (en) Enabling multi-party call in telephone system
KR20050058820A (en) Phone number storing method under calling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21181B1 (en) The method of urgent calling service in mobile phone
JP2008010962A (en) Telephone
KR100987878B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being set at auto-dial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27260B1 (en) A mobile having dual time multi frequency signal generating function and call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2147123A (en) Portable terminal
KR100585787B1 (en) Calling method using shorten button
KR100656620B1 (en) method for offering service called number
JP2000341393A (en) Telephone set with telephone directory function
US20180131795A1 (en) Telephone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KR100865278B1 (en) A method of input caller id at short message service for mobile phone
KR20110007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rty c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