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879B1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879B1
KR100763879B1 KR1020060108480A KR20060108480A KR100763879B1 KR 100763879 B1 KR100763879 B1 KR 100763879B1 KR 1020060108480 A KR1020060108480 A KR 1020060108480A KR 20060108480 A KR20060108480 A KR 20060108480A KR 100763879 B1 KR100763879 B1 KR 10076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cam
ring body
horizontal arm
us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덕
강윤규
김병혁
최연
Original Assignee
백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덕 filed Critical 백상덕
Priority to KR102006010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8On a track which is itself moving during exerc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노약자와 같이 관절이 좋지 않은 사람들도 관절을 무리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패턴으로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실증을 느끼지 않고 꾸준히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레일(12)이 소정간격 이격 형성된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의 레일(12)을 따라 이동되며 사용자가 밟을 수 있도록 된 발판(20)과, 이 발판(20)의 일측에 연결되어 발판(20)을 수평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30)은 일단부가 상기 발판(20)의 일측에 결합된 수평아암(40)과, 둘레부의 일측이 상기 수평아암(40)의 타단부에 힌지결합(41)된 링체(50)와, 둘레부가 이 링체(5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수평아암(40)과 직교되는 회전축(61)을 갖는 편심캠(60)과, 이 편심캠(60)의 회전축(61)에 결합되어 편심캠(60)을 구동시키는 모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편심캠(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체(50)의 중심부가 지름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베이스, 발판, 구동수단, 수평아암, 링체

Description

운동기구{A sport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20 : 발판
30 : 구동수단 40 : 수평아암
50 : 링체 60 : 편심캠
70 : 모터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자의 관절에 무리를 가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다양한 패턴으로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웰빙이 강조되면서 예전에 비해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운동을 하고 있으며, 특히, 노약자들의 운동량이 늘고 있다. 이러한 웰빙시대에서 특히, 복부비만이 온갖 질병의 근원으로 알려지면서, 뱃살을 빼거나 복근을 단련하는 운동기구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운동기구 중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밟을 수 있는 발판이 상하로 진동되는 운동기구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운동기구는 상기와 같은 진동에 의해 사용자의 관절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노약자나 관절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사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기는 사용자가 항상 똑같은 자세에서 진행되므로, 운동의 단조로움으로 인해 쉽게 실증을 느끼게 되어, 꾸준하게 사용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노약자들이나 상기와 같이 관절이 좋지 못한 사람들이 꾸준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노약자와 같이 관절이 좋지 않은 사람들도 관절을 무리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패턴으로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실증을 느끼지 않고 꾸준히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한 쌍의 레일(12)이 소정간격 이격 형성된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의 레일(12)을 따라 이동되며 사용자가 밟을 수 있도록 된 발판(20)과, 이 발판(20)의 일측에 연결되어 발판(20)을 수평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30)은 일단부가 상기 발판(20)의 일측에 결합된 수평아암(40)과, 둘레부의 일측이 상기 수평아암(40)의 타단부에 힌지결합(41)된 링체(50)와, 둘레부가 이 링체(5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수평아암(40)과 직교되는 회전축(61)을 갖는 편심캠(60)과, 이 편심캠(60)의 회전축(61)에 결합되어 편심캠(60)을 구동시키는 모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편심캠(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체(50)의 중심부가 지름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10)의 테두리부에는 사용자의 몸을 지지할 수 있는 난간(13)이 구비되며, 이 난간(13)에는 상기 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운동기구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레일(12)이 형성된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의 레일(12)을 따라 수평이동 및 상하이동되는 발판(20)과; 일단부가 상기 발판(20)의 일측에 결합된 수평아암(40)과, 이 수평아암(40)의 타단부에 결합된 링체(50)와, 둘레부가 이 링체(5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편심캠(60)과, 이 편심캠(60)을 구동시키는 모터(70)로 이루어진 구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대략 직사각의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장방향의 각 프레임(11)의 상면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기댈 수 있도록 대략 '∩' 형상으로 난간(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장방향 각 프레임(11)에 내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레일(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20)은 사용자가 밟을 수 있도록 평평한 금속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10)의 레일(12) 위에 배치되어, 레일(12)을 따라 수평이동된다.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발판(20)의 일측에 결합된 수평아암(40)과, 이 수평아암(40)의 타단부에 그 둘레부의 일측이 힌지결합(41)된 링체(50)와, 둘레부가 이 링체(50)의 내주면에 밀착결합되는 편심캠(60)과, 이 편심캠(60)을 회전시키는 모터(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편심캠(60)의 회전축(61)은 상기 수평아암(40)과 직교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61)의 단부에는 풀리(62)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61)과 나란하게 형성된 모터(70)의 구동축(71)에도 풀리(62)가 구비되어, 상기 각 풀리(62)가 벨트(63)로 연결된다. 한편, 이러한 구동수단(30)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의 커버(31)로 은폐되는데, 이 커버(31)에는 상기 수평아암(40)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난간(13)에는 상기 모터(70)와 연결되어 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되어, 상기 편심캠(6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발판(20)의 왕복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운동기구는 상기 모터(70)를 작동시키면 모터(70) 구동축(71)의 회전이 벨트(63)에 의해 편심캠(60)의 회전축(61)을 회전시켜, 편심캠(60)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링체(50)가 수평 왕복이동되어, 발판(20)을 수평 왕복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발판(20)의 진행방향이 전면이 되거나 측면이 되도록 위치할 수 있어, 다양한 패턴의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밟는 발판(20)에 수평 결합된 수평아암(40)이 링체(50)의 둘레부와 힌지결합(41)되며, 수평아암(40)과 직교되는 회전축(61)을 갖는 편심캠(60)을 상기 링체(5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편심캠(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판(20)이 수평으로 왕복이동되므로, 사용자의 관절에는 무리가 가해지지 않으면서도 사용자는 다리근육과 복근을 포함한 몸통 전체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를 상기 발판(20)에서 전후 및 좌우로 수평왕복이동시키게 되어, 종래 상하진동에 의한 방식에 비해 다양한 패턴의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실증을 느끼지 않고 꾸준하게 운동할 수 있어서,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편심캠(6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함으로써, 발판(20)의 왕복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한 쌍의 레일(12)이 소정간격 이격 형성된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의 레일(12)을 따라 이동되며 사용자가 밟을 수 있도록 된 발판(20)과, 이 발판(20)의 일측에 연결되어 발판(20)을 수평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30)은 일단부가 상기 발판(20)의 일측에 결합된 수평아암(40)과, 둘레부의 일측이 상기 수평아암(40)의 타단부에 힌지결합(41)된 링체(50)와, 둘레부가 이 링체(5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수평아암(40)과 직교되는 회전축(61)을 갖는 편심캠(60)과, 이 편심캠(60)의 회전축(61)에 결합되어 편심캠(60)을 구동시키는 모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편심캠(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체(50)의 중심부가 지름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테두리부에는 사용자의 몸을 지지할 수 있는 난간(13)이 구비되며, 이 난간(13)에는 상기 모터(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1020060108480A 2006-11-03 2006-11-03 운동기구 KR10076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480A KR100763879B1 (ko) 2006-11-03 2006-11-03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480A KR100763879B1 (ko) 2006-11-03 2006-11-03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879B1 true KR100763879B1 (ko) 2007-10-05

Family

ID=3941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480A KR100763879B1 (ko) 2006-11-03 2006-11-03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8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94B1 (ko) 2010-07-16 2010-11-22 백상덕 수평이동을 활용한 운동 및 재활기구
KR200482561Y1 (ko) * 2015-12-11 2017-02-07 서동일 빨래건조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398A (ko) * 1999-03-15 2000-10-16 홍계현 하체 운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398A (ko) * 1999-03-15 2000-10-16 홍계현 하체 운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94B1 (ko) 2010-07-16 2010-11-22 백상덕 수평이동을 활용한 운동 및 재활기구
KR200482561Y1 (ko) * 2015-12-11 2017-02-07 서동일 빨래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22559A1 (ja) 運動補助装置
KR101219419B1 (ko) 타동 운동 기기
WO2006098052A1 (ja) バランス健康機
KR101541356B1 (ko) 발끝치기 운동기구
JP2003126191A (ja) 訓練装置
CN113081690A (zh) 一种踝关节训练角度要求的肢体运动康复机
KR100763879B1 (ko) 운동기구
KR101086265B1 (ko) 헬스기구
JP2007268140A (ja) 歩行訓練器
CN2596978Y (zh) 肢体运动康复机
JP2016131797A (ja) 膝関節刺激装置
JP2009195591A (ja) 振動マシン
KR100850885B1 (ko) 운동기구용 바이브레이타
JP6902799B2 (ja) 膝関節痛み改善装置
KR101604913B1 (ko) 하체 기능회복을 위한 재활훈련 장치
CN113081687A (zh) 一种脚踝训练装置
JP2003116940A (ja) 足筋肉関節トレーニング装置
KR100549296B1 (ko) 근력강화용 전신운동 장치
JP2000093550A (ja) オート・フィットネスマシーン
RU2308307C1 (ru) Трен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вигательной активности ног
KR200416326Y1 (ko) 트위스트발판을 구비한 하체 마사지기
KR200434780Y1 (ko) 벨트안마기
CN215652393U (zh) 一种踝关节训练角度要求的肢体运动康复机
KR200417053Y1 (ko) 발판진동용 운동기구
KR100771563B1 (ko) 복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