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830B1 -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830B1
KR100763830B1 KR1020060045179A KR20060045179A KR100763830B1 KR 100763830 B1 KR100763830 B1 KR 100763830B1 KR 1020060045179 A KR1020060045179 A KR 1020060045179A KR 20060045179 A KR20060045179 A KR 20060045179A KR 100763830 B1 KR100763830 B1 KR 100763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manual operation
braking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재한
Original Assignee
윤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한 filed Critical 윤재한
Priority to KR102006004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8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8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A rope break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is provid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security of passengers in the elevator by stably holding a rope and maximizing a driving force for breaking the rope. A rope break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includes a pair of linking devices(50), and a driving device(40). The pair of linking devices(50) are composed of more than one pair of 2-joint links(52), has both ends connected to both sides of a fixed plate(10) and a moving plate(20), and has a link hinge member(70) at one end of a connecting bar(60) which connects curved parts in the middle. The driving device(40) transmits or interrupt power to the link hinge member(70) of the linking device(50).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ope elevator for a general elevato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3b,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Figure 3a, 3b, 3c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4b,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 제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Figures 4a, 4b, 4c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rope brak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전체사시도.Figure 5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7 is a front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Figure 8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11b,1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작동 대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11A, 11B, and 11C are front, side and plan views showing an operational standby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12b,1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비상 제동 작동시 완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12A, 12B and 12C are front, side and plan views showing a shock-absorbing state during emergency braking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에 의한 제동 완료 상태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Figure 13a, 13b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braking completion state by a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동수단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Figure 14a, 1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rive means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링크절절첩수단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Figure 15a, 1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ink folding means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1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리미트스위칭 수단을 나타낸 요부개략측면도.16a and 16b are schematic side views showing main limit switching means of a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수동조작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분해사시도.17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ual operation means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1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수동조작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요부 측면도.Figure 18a, 18b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operation of the manual operation means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 로프 2 ; 권상풀리One ; Rope 2; Hoist Pulley

3 ; 엘리베이터 4 ; 균형추3; Elevator 4; Counterweight

5 ; 로프브레이크장치 6 ; 고정프레임5; Rope brake system 6; Fixed frame

10 ; 가동플레이트 11 ; 가동라이닝10; Movable plate 11; Lining

20 ; 고정플레이트 21 ; 고정라이닝20; Fixed plate 21; Fixed Lining

30 ; 제동스프링 31 ; 가이드 축30; Braking spring 31; Guide shaft

40 ; 구동수단 41 ; 유압실린더40; Drive means 41; Hydraulic cylinder

50 ; 링크기구 51 ; 굴절부50; Link mechanism 51; Refraction

52 ; 2절링크 53 ; 회전힌지부52; 2 link 53; Rotating Hinge

54 ; 연결링크 60 ; 연결대54; Link 60; Connecting rod

70 ; 링크절첩수단 71 ; 푸쉬로드70; Link folding means 71; Push Road

81,82 ; 래크기어 90 ; 기어드모터81,82; Rack gear 90; Geared motor

91,92 ; 피니언기어 91a ; 피니언기어 축91,92; Pinion gear 91a; Pinion gear shaft

93 ; 래칫 94 ; 일방향 구동기어93; Ratchet 94; One-way driving gear

95 ; 인장스프링 96 ; 세팅홀95; Tension spring 96; Setting hole

101 ; 솔레노이드 102 ; 로드101; Solenoid 102; road

110 ; 당김레버 120 ; 리미트스위치110; Pull lever 120; Limit switch

130 ; 센싱블럭 131 ; 경사면130; Sensing block 131; incline

140 수동조작장치 141 ; 수동조작고정판140 Manual override 141;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142 ; 수동조작핸들 143 ; 수동조작볼트142; Manual operation handle 143; Manual bolt

144 ; 고정판 145 ; 코일스프링144; Fixing plate 145; Coil spring

146 ; 인장스프링 147 ; 래칫146; Tension spring 147; Ratchet

148 ; 래칫기어 150 완충공간부148; Ratchet Gears 150 Shock Absorbing Space

151 ; 코일스프링151; Coil spring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할 때 작동되는 운행 제동장치와 함께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엘리베이터가 정지 상태에서 로프의 슬립 현상으로 서서히 미끄러지거나 또는, 엘리베이터가 정상 속도보다 빠르게 운행되는 돌발상승 및 돌발하강 등의 비상 상황시에 작동하여 순간적으로 로프를 협지하는데 있어서, 로프를 간접적으로 안정성 있게 협지함과 동시에 로프를 제동하기 위한 구동력은 직접 가압하는 구동력으로 로프를 제동하는 신뢰성을 확보하면서도 순간적인 로프 제동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내의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완충 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생산 원가가 저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he elevator slips slowly due to slippage of the rope in an idle state whil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 driving braking device that is operated when the elevator is operating normally. Is operating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sudden ascent and sudden descent, which is running faster than normal speed, and clamps the rope in an instant. 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for braking the rope is a direct driving force. In addition to ensuring the reliability of braking the rope, it has a buffering effect that can guarantee the safety of passengers in the elevator caused by the impact of instantaneous rope braking, as well as having a low production cost and easy maintenance. Rope brake station for elevator Relate to.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에서 승객을 이동시키는 시스템장치로서, 고출력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견인 로프에 연결되어 승,하강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n elevator is a system device for moving passengers in a high-rise building, and is connected to a traction rope operated by a high-power drive motor to move up and down.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탑승객이 원하는 층에 정지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수단으로서 운행제동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행제동장치의 제동력 저하와 견인로프(1)와 권상풀리(2)의 마찰력 저하 또는 엘리베이터(3)와 균형추(4)의 무게 차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3)가 목적층 에 정지한 후 승객이 타고 내리는 순간 미끄러짐이 발생되거나 규정속도를 초과하여 돌발 급상승 및 돌발 급하강하는 비상시에 로프(1)를 협지하여 제동시키기 위한 로프제동장치(5)가 고정프레임(6)과 고정플레이트(7)에 의해 설치되어 필수적으로 구비됨으로서 엘리베이터(3)의 운행 상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건축법에 의거 설치 의무화를 시행하고 있는 상황이다.The elevator is provided with a driving brake as an essential means for stopping the passengers on the desired floor, as shown in Figure 1 as a supplementary means for reducing the braking force of the driving brake and the traction rope (1) and hoisting pulley ( Due to the decrease in frictional force of 2) or the difference in weight between the elevator 3 and the counterweight 4, slippage occurs at the moment when the passenger stops at the destination floor and when the passenger rides down or exceeds the specified speed The rope braking device 5 for clamping and braking the rope 1 in a descending emergency is provided by the fixed frame 6 and the fixed plate 7 to be essentially provid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3.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nstruction law is mandatory.

상기와 같이 비상시에 사용된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로프를 협지 가압하기 위한 라이닝을 가진 한 쌍의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로프를 가압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고, 평상시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감지하여 비상 운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센서장치를 포함한 콘트롤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described above,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used in an emergency includes a pair of movable plates having linings for clamping and pressing the ropes, and a driving means for pressurizing the ropes by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movable plates. In addition, it is common to be configured as a control device including a sensor device for operating the drive means by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when the emergency driving situation occurs in the usual times.

이러한 로프제동장치는 로프를 협지 및 가압하여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기 위한 가동판의 배치 구조와 이 가동판에 가해지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직접가압식과 간접가압식으로 구분된다.The rope braking device is largely divided into a direct pressure type and an indirect pressure typ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ovable plate for braking the elevator by clamping and pressing the rope and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plate.

상기 직접가압식은 상기 로프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구동수단으로 부터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직접가압식이 적용된 선행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999-52147호와 특허공개 제2000-21522호가 있다.The direct pressure type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rope is applied directly from the driving means, and the prior arts to which the direct pressure type is applied include Patent Publication Nos. 1999-52147 and Patent Publication Nos. 2000-21522.

이 선행 기술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상기 로프를 협지하기 위해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한 쌍의 가동판과 일체로 연결되는 구동수단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와 가동판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력이 상기 가동판에 가압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가동판 사이에 개재된 상기 로프를 협지 및 가압하여 비상 상황 시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게 되며, 비상 상황 종료 후에는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판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켜 정상 운행을 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 common feature of these prior art is that the drive means, which are integrally connected with a pair of movable plates, which are hel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clamping the rope, for example, the cylinder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movable plate are directly connected. The driving force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pressing force to the movable plate as to clamp and press the rope interposed between the movable plate to brake the elevator in an emergency situation, after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sp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vable plat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operate normally.

그리고, 간접가압식의 경우에는 상기 로프를 협지하기 위한 가동판에 부여되는 가압력을 압축스프링로 대체하여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로프를 제동토록 구성하고, 상기 압축스프링을 상기 구동수단으로서 탄발 대기 상태로 압축시킨 후 록킹 수단으로 그 탄발 상태를 유지시켜 놓도록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이러한 간접가압식이 적용된 선행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995-7002502호와 특허공개 제1998-9084호 및 특허공개 제2003-83873호가 있다.In the case of the indirect pressure typ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plate for holding the rope is replaced with a compression spring to configure the rope to be brak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and the compression spring is used as the driving means in the waiting state. After the compression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shot with a locking means, the prior art to which such an indirect pressure expression is applied, Patent Publication No. 195-7002502, Patent Publication No. 1998-9084 and Patent Publication No. 2003-83873 have.

이러한 간접가압식의 로프제동장치 선행기술들의 특징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최대 압축되어 있는 압축스프링에 탄발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가동판이 상기 록킹 수단의 록킹 해제 동작에 의해 압축시키고 있던 구동 수단의 동력 전달 상태가 해제되면서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가동판이 상기 로프를 협지 및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or art of the indirectly pressurized rope braking device are that a pair of movable plates which are supported to be elastically compressed to the compression spring which is compressed by the driving means is compressed by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locking means. The movable plate is clamped and 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while the transmission state is releas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로프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는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이 단계적으로 가해지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가동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므로서 로프가 순간적으로 협지되어 그 충격으로 인해 급상승 또는 급하강 되는 엘리베이터를 급제동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rope braking device, the direct pressure rope braking device is no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s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eans is applied in stages, bu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vable plate, so that the rope is momentarily clamped and the shock is applied. Due to the sudden braking of the elevator to rise or fall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로프의 급제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이 엘 리베이터 내에 타고 있는 승객에게 그대로 전달되므로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Therefore, the elevator caused a problem that the impact caused by the sudden braking of the rope is transmitted to the passenger in the elevator as it is causing a safety accident.

또한,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기 위해서는 로프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되는 큰 제동력이 로프에 가해져야 하기 때문에 직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장치 등의 구동수단은 고출력의 사양이 요구되며, 그에 따른 주변 제어 장치 및 콘트롤 회로 장치의 사양 또한 고출력 고가의 사양으로 구현 됨으로서 보조적인 로프제동장치의 규모 또한 운행제동장치 규모만큼 커지게 되는 문제로 인하여 생산원가가 매우 높아 비상용으로 사용되는 직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를 널리 보급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brake an elevator having a considerable weight, a large braking force corresponding to a force applied to the rope must be applied to the rope, so that a driving means such as a hydraulic device used in a direct pressure rope braking device requires a high output specification. As a result, the specifications of the peripheral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 circuit device are also implemented as high-power and high-value specifications. As a result, the size of the auxiliary rope braking device is also increased by the size of the driving braking device. There was a limit to the widespread use of braking devices.

한편, 종래의 상기 간접가압식의 로프제동장치는 한 쌍의 가동판이 로프를 탄력적으로 협지 가압 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가동판이 안정적으로 작동을 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indirectly pressurized rope braking device must be operated stably the movable plate in order for the pair of movable plates to elastically clamp the rope.

따라서, 상기 가동판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접히면서 협지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축에 의해 상기 가동판의 가장자리가 안정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압축스프링이 상기 로프를 탄력적으로 협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Thus, the movable plate is configured to be folded and sandwiched in a manner of rotating about a hinge or the edge of the movable plate is stab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guide shafts so that the compression spring elastically supports the rope. It is made to cooperate.

그런데, 이러한 간접가압식에 사용되는 압축스프링은 상기 로프를 제동할만한 탄발력을 가지게 되므로 높은 탄발력을 갖는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데 사용되는 유압장치나 구동모터 및 감속기어 등의 구동수단 사양 또한 상기 직접가압식에 못지 않게 고출력 사양이 요구될 수 밖에 없다.However, since the compression spring used for the indirect pressurization has elasticity enough to brake the rope, the specification of the driving means, such as a hydraulic device, a driving motor, and a reduction gear, used to compress the compression spring having a high elasticity, is also the direct pressure type. No less than high power specifications are required.

따라서, 상기 직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와 같이 로프제동장치의 규모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른 생간 원가상승이 불가피한 구조적인 한계가 내재되어 있었다.Therefore, the scale of the rope braking device is increased, such as the direct pressure rope braking device, and there is an inherent structural limitation that inevitably increases the cost of living.

이를 위해 간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에 있어서, 특히 특허공개 제 2003-83873호의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간접가압식 구성을 가지면서도 상기와 같이 고출력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감속기어에 의한 한 쌍의 구동기어 축에 볼스크류축을 채용함으로서 상기 압축스프링을 저출력의 모터의 힘으로 압축시킨 후 압축시킨 상태를 별도의 록킹 수단으로 록킹하도록 되어 있다.To this end, in the indirect pressure rope braking device, in particular, the elevator safety device of Patent Publication No. 2003-83873 has an indirect pressure type configuration, but does not use a high-power motor as described above, but uses a ball on a pair of drive gear shafts by a reduction gear. By employing a screw shaft, the compression spring is compressed with the power of a low-power motor, and then the compressed state is locked by a separate locking means.

그리고, 그 록킹 상태를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회로적 감지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와 감속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서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가동판이 상기 로프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볼스크류는 역회전 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로프를 제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n,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by the solenoid by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drive gear and the reduction gear by a circuit sensing operation, and the ball screw reversely rotates by the operation plate presses the rope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So as to brake the rope.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안전장치는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으로 가동판이 로프를 협지시키는 동작에 의해 볼스크류 축과 가이드 축을 따라 가동판이 평행 이동하는 동작의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The elevator safety device as described above can be seen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in parallel movement along the ball screw shaft and the guide shaft by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plate is clamp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하지만 볼스크류의 축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판의 협지하는 속도가 협지 동작에 신속성면에서 제대로 대응해 주지 못하는 구성이므로 순간 동작을 요구하는 비상 제동장치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pinching speed of the movable plate moving along the axis of the ball screw does not properly respond to the pinching operation in terms of spe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mergency braking device requiring instantaneous operation cannot be secured.

즉, 가동판이 로프를 협지 가압하는 시간적 속도는 비상 상황 시 엘리베이터가 급상승 또는 급하강 되는 속도 및 거리에 대해 비례하기 때문에 비상제동거리가 직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보다는 매우 비효율적이어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급제동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등 심각한 문제가 내재되어 있어서 실제 제동장치에 적용하게 되는 경우 제품 설계 및 제작상 결점이 많은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time speed at which the movable plate clamps the rope is proportional to the speed and distance at which the elevator rises or falls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emergency braking distance is very inefficient than the direct pressure rope braking device, which may cause a safety accident. As a result, serious braking problems such as rapid braking may occur, and thus, when applied to an actual braking device, there are many structural problems in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ing.

한편, 이러한 종래의 직접 및 간접가압식 로프제동장치들은 최초 설치 및 초기모드로 세팅할 때나 비상 동작 된 이후에 다시 초기 복귀 모드로 전환시키려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만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se conventional direct and indirect pressure rope braking devices are designed to be possible only when the power supply is set to the initial installation and initial mode, or to switch back to the initial return mode after the emergency operation.

결국, 전원 공급이 안되는 상황에서 수동으로 조작할 만한 부가적인 구성 이 전혀 구비되지 않았으며, 특히 구동수단을 모터 구동에 의한 감속기어 및 구동기어로 이루어진 로프제동장치의 경우에는 감속기어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구성이어서 그 상태를 수동 조작에 의해 해제하기가 어려워 결국 제동장치를 분해하거나 전원 공급이 재개되는 때까지 기다렸다가 해야 하는 등 초기 설치 및 관리 유지하는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As a result, there was no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manual operation in a situation where power was not suppli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rope braking device consisting of a reduction gear and a driving gear driven by a motor, the reduction gear rotates in only one direction. Since the configuration is difficult to release by manual operation, there is an inefficient problem in initial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such as disassembling the braking device or waiting for the power supply to resu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가 비상 상황 시에 순간적으로 로프를 협지 함에 있어서, 로프를 협지하는 가동판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로프에 가압되는 가압력은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구동력 전달 링크기구를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lift the rope while at the moment of the emergency in the emergency situation,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movable plate for pinching the rope to the rope The pressing force to be pressurized is to provide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configured to have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link mechanism that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로프를 협지하는 순간 동작이 최대한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로프를 제동하는 구동력을 최대한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협지 가압 동작은 다단계적으로 로프에 전달되도록 하여 최대한 안정성 있게 로프를 협지하도록 함으로서 로프의 제동에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순간적인 로프 제동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내의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완충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며, 생산 원가가 저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직접가압식 또는 간접가압식 모두를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driving force for braking the rope as much as possible to make the operation as fast as possible the moment the gripping the rope, as well as the pinching operation to be delivered to the rope in multiple stages to clamp the rope with maximum stability This ensures reliability in braking of the rop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cushioning effect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in the elevator caused by the impact of instantaneous rope braking. Inexpensive production costs and easy maintenance. It is to provide a new type of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both direct pressure or indirect pressure to have a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가동판의 초기 모드로 복귀하는 작업을 전원 공급이 필요 없이 수동 조작으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which can be mad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initial mode of the movable plate as needed, even by manual operation without the need for power supp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마주하는 가동플레이트가 스프링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각 플레이트의 마주하는 면에 설치된 라이닝이 밀착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고정토록 된 것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2절 링크로 되면서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고, 중간의 굴절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대의 일단에 링크절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의 링크절첩수단에 동력을 전달 또는 단락시키도록 된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while the fixing plate fixed to the outer structure and the movable plate facing the fixed plate is pressed by a spring lining install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each plate in close contact therebetween In order to fix the rope of the elevator passing through, at least one pair or more of the two-section link,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plate and the movable plate, respectively, an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termediate bending portion A pair of link mechanisms provided with link folding means; And drive means configured to transmit or short-circuit power to the link folding means of the link mechanism.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 및 이와 연동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절첩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와 연결되는 푸쉬로드가 구비되어서, 상기 실린더로드의 왕복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대가 상기 링크기구를 절첩시킴으로서 상기 가동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간격을 두고 벌어져 있다가 상기 스프링의 압축 작용에 의해 탄발적으로 상기 로프를 협지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means is composed of a hydraulic pump and a hydraulic cylinder interlocked therewith, the link folding means is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connecting ro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The push rod is provided so that the connecting rod folds the link mechanism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cylinder rod, and thus the movable plate is opened at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It is made to clamp the rop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링크절첩수단은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래크기어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그 외측이 상기 래크기어에 각각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맞물려 연동 회전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공지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그 일단부가 어느 한쪽의 상기 피니언기어의 축에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로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당김레버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일방향 구동기어를 가진 기어드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folding means is a pair of rack gear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table, the fixing plate is installed so as to rotate to engage with each other and the outside is installed so as to engage the rack gear, respectively And a pair of pinion gears which mesh with each other to rotate.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known solenoid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one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shaft of one of the pinion gears,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pull lever hinged to the solenoid rod to be rotatable. It is installed, one side is made of a geared motor having a one-way drive gear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pinion gea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피니언기어와 동일 회전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팅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핀을 가진 원반형의 수동조작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수동조작고정판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탄발되게 조립되며 그 외측에 스프링으로 탄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래칫에 걸려 역방 향방지되도록 설치되는 래칫기어를 가진 수동조작핸들과; 상기 수동조작핸들 중앙으로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나사 조립되고 타단은 상기 수동조작핸들의 내부 일단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수동조작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동조작장치가 더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서 상기 수동조작핸들 및 상기 수동조작고정판을 함께 탄력적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 측으로 밀착하여 상기 고정핀과 세팅홀을 일치시켜 상기 피니언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무전원 상태에서도 최초 모드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c-shaped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pins which are located on the same rotation center axis as the pinion gear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tting hole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inion gear; A ratchet gear,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itted in the center of the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and is mounted elastically on the fixing plate by a spring provided therein, and is installed to be prevented from being reversed by being caught by a ratchet provided to be elastically springed on the outside thereof. Manual operation handle with; The manual oper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manual operation device comprising a manual operation fixing bolt which penetrates to the center of the manual operation handle, one end of which is screw-assembled to the fixing plat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ngaged with the internal end of the manual operation handle. The operation handle and the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are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pinion gear side to coincide with the fixing pin and the setting hole to manually rotate the pinion gear so that the initial mode can be set even in a non-powered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어느 한쪽의 상기 플레이트와 라이닝 사이에는 완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 공간부 내에 복수의 완충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로프를 협지 가압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buffer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one of the plates and the lining, and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are provided in the buffer space portion to minimize the braking shock generated by the pinching operation of the rope. It i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a)(b)(c)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 (a)(b)(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 제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b) (c)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state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4B and 4C are front, side and plan views showing a rope brak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3 (a)(b)(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3)가 규정속도를 초과하여 돌발 급상승 및 돌발 급하강하는 비상시에 로프(1)를 협지하여 제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프레임(6)상에 고정플레이트(7)에 의해 설치된다.1 to 3 (a) (b) (c), the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rope (3) in the emergency when the sudden sudden rise and sudden descent above the specified speed ( It is provided by the fixing plate 7 on the fixed frame 6, for clamping and braking 1).

이러한 로프제동장치는 상기 로프(1)를 협지하는 가압력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면서 종래의 직접가압식에서와 같은 충격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간접가압식의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진다.This rope braking device is made to have a configuration of the indirect pressure type to operate stably by preventing the impact as in the conventional direct pressure type while the pressing force for holding the rope 1 is sufficiently made.

즉, 본 발명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종래와 같이 로프를 협지 가압하기 위한 각각의 라이닝을 가진 한 쌍의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로프를 가압하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플레이트에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제동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동스프링을 압착하여 탄발 대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That is, as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plates having respective linings for clamping and pressing the ropes is provided as in the prior art, and a plurality of plates for imparting driving force to pressurize the ropes are provided. It is provided with a braking spring, and is configured as a driving means for holding the braking spring by pressing the braking spring.

그리고, 평상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 운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수단을 동작 및 정지시키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포함한 콘트롤 장치(미도시)가 부가적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a control device (not shown) including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an elevator and detecting an emergency driving situation and operating and stopping the driving means is additionally configur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고정플레이트(10)와 가동플레이트(20)로 구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하단부에는 고정브라켓(B)이 구비되어서 상기 고정프레임(6)에 상기 로프(1)와 일직선상으로 위치되어 상기 로프(1)를 평행하게 협지하도록 각도 조절하여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is composed of a fixed plate 10 and a movable plate 20 so as to face each other in parallel, and the lower end of the fixed plate 10 is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B) to the fixed frame ( 6) is installed in a line with the rope (1) to adjust the angle so as to sandwich the rope (1) in parallel.

또한, 상기 가동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에는 두 쌍의 가이드축(31)이 나란하게 조립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그 타단부에 소정 탄성력을 갖는 복수의 상기 제동스프링(30)이 각각 끼워져 탄발되게 조립되어 있다.In addition, two pairs of guide shafts 31 are assembled side by side at the edge of the movable plate 10 so that the plurality of braking springs 30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rough the fixed plate 20 and the other end thereof. They are fitted together and are assembled to be elastic.

따라서, 가동플레이트(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해 가이드축(31)을 따라 평행하게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동스프링(30)이 압축 상태가 되면 그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0)가 일정 간격으로 벌어져 있다가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 측으로 밀착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movable plate 10 is movable in parallel with the guide shaft 31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20, and when the braking spring 30 is in a compressed state, the movable plate ( 10) and the fixed plate 20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movable plate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raking spring (30).

또한,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고정플레이트(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하기 위한 가동라이닝(11)과 고정라이닝(21),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상기 고정라이닝(21)은 장기간 사용 후 에 교체 가능하도록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된다.In addition, a movable lining 11 and a fixed lining 21 for clamping and pressing the rope 1 are attached to surfaces of the movable plate 10 and the fixed plate 20 that face each other. (11) and the fixing lining 21 is assembled to be detachable, attachable so that after a long time use.

이와 같은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 로프제동장치는 상기 로프(1)를 협지하는 방식이 간접가압식을 따르는 구성이므로 상기 로프(1)가 소정 간격으로 벌어진 상태의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고정플레이트(20) 사이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으로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하도록 구성되므로서 초기에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고정플레이트(20)를 소정 간격으로 벌리기 위한 구동수단(40)과 링크기구(5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rope braking device having a basic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follow the indirect pressure type in which the rope 1 is clamped, so that the movable plate 10 and the fixed plate 20 in a state where the rope 1 is ope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Drive means for initially opening the movable plate 10 and the fixed plate 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being configured to pinch the rope 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raking spring 30 in a state located between ( 40 and a link mechanism 50 ar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링크기구(50)는 중간 부분이 힌지 조립되어 굴절부(51)를 갖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2절 링크(52)로 구성되며, 그 양단부는 각각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양측에 회전힌지부(53)에 의한 결합으로 각각 연결 설치되고, 그 끝단부는 다시 연결링크(54)로 힌지 조립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굴절부(51)의 굴절되는 동작에 의해 한 쌍의 상기 2절 링크(52)가 서로 동시에 연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link mechanism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t least one pair of two-piece links 52 having a refraction portion 51 hing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d both ends thereof are the movable plate 10 and the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by the rotary hinge 53, the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hinge assembly by the connecting link 54 again by the refracting operation of the refracting portion 51 A pair of the two-section link 52 is configured to work together at the same time.

또한, 각각의 상기 2절링크(52)의 굴절부(51)에는 연결대(60)가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2절 링크(52)가 동시에 절첩되도록 구성되는데, 이 연결대(60)의 일측에는 상기 2절링크(52)를 절첩시키기 위한 링크절첩수단(7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fraction section 51 of each of the two links 5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table 60 is configured to be folded at the same time the two pairs of two links 52, one side of the connecting table 60 Link folding means (70) for folding the two-way link 52 is provided.

또한, 상기 구동수단(40)은 그 일실시예로서 공지의 유압펌프(미도시) 및 유압실린더(41)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절첩수단(70)은 상기 연결대(60)에 그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41)의 실린더로드(42)와 연결되는 푸쉬로드(71)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40 is composed of a known hydraulic pump (not shown) and the hydraulic cylinder 41 as an embodiment thereof, the link folding means 70 is both ends of the connecting table 60, respectively It is composed of a push rod 71 connected to the cylinder rod 42 of the hydraulic cylinder (41).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71)가 상기 유압실린더(41)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면 상기 연결대(60)가 동시에 승강 동작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링크기구(50)의 상기 2절링크(52)가 절첩하는 동작을 하게 되어 상기 굴절부(51)에 의해 절첩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push rod 71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41, the connecting rod 60 is moved up and down simultaneously, so that the two-section link 52 of the link mechanism 50 ) Is to be folded to be folded by the refracting portion (51).

여기서, 상기 2절링크(52)의 한쪽은 상기 고정플레이크(20)에 회전힌지부(53)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은 상기 가동플레이트(10)에 회전힌지부(53)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대(60)가 당김 동작을 하게 되면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Here, one of the two-piece link 52 is connected to the fixed flakes 20 by the rotary hinge portion 53,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late 10 by the rotary hinge portion 53 When the connecting table 60 is pulled, the movable plate 10 is pulled toward the fixed plate 20.

그리고, 반대로 상기 연결대(60)가 상기 유압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42)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상기 2절링크(52)가 펼쳐지면서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로부터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On the contrary, when the connecting table 60 is raised by the cylinder rod 42 of the hydraulic cylinder 41, the two-piece link 52 is unfolded and the movable plate 10 is removed from the fixed plate 20. It will happen.

이러한 절첩 동작을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50)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고정플레이트(20)는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The movable plate 10 and the fixed plate 20 are clamped and pressurized by the rope 1 by the link mechanism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ing such a folding opera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는 링크의 조합 구성 방식 및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저출력의 구동 수단이 힘으로도 상기 제동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압축시킬 수 있고 그 동작에 대한 신뢰성 또한 상당히 높아 로프제동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를 적용하면 생산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른 유지 관리도 용이해지는 등 매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로프제동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Such a link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link bar, the low-power drive means can stably compress the braking spring even by force and the operation Reliability is also very high, if the link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ope braking devic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lower the production cos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ery economical and efficient rope braking device, such as easy maintenanc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는 먼저, 상기 링크기구(50)를 활용한 초기 모드 상태가 간접가압식 형태로 설정되어야 한다.Therefore, in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mode state utilizing the link mechanism 50 should be set in an indirect pressure type.

즉, 상기 가동플레이트(10)와 고정플레이트(20)가 평상시 서로 간격을 두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에 따른 상기 로프(1)를 가압하기 위해 제동스프링(30)은 반대로 압축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movable plate 10 and the fixed plate 20 are normally maintained at a spaced apart stat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braking spring 30 to maintain the compression state in order to press the rope (1) accordingly It is configured by setting.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로프제동장치는 상기 제동스프링(30)를 상기 링크기구(50)의 절첩 동작으로 압축하기 위한 구동수단(40)으로서 유압실린더(41)를 채용한 것이며, 그 실린더로드(42)에 연결된 상기 링크절첩수단의 푸쉬로드(71)에 상기 연결대(60)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To this end,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hydraulic cylinder 41 as a driving means 40 for compressing the braking spring 30 by a folding action of the link mechanism 50. The connecting rod 60 is connected to the push rod 71 of the link folding means connected to the cylinder rod 4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로프 제동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rope braking operation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초기 모드 상태는 도 3a,도3b,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기구(50)가 펼쳐진 상태가 되어야 한다.First, the initial mode state should be a state in which the link mechanism 50 is unfolded as shown in FIGS. 3A, 3B, and 3C.

즉, 유압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42)가 상승하면 상기 연결대(60)가 상승 하게 되므로 접혀져 있던 링크기구(50)의 2절링크(52)는 펼쳐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cylinder rod 42 of the hydraulic cylinder 41 is raised, the connecting table 60 is raised, so that the two-section link 52 of the folded link mechanism 50 is unfolded.

이때, 상기 가동플레이트(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로부터 점차적으로 간격을 벌리며 상기 가이드 축(31)을 따라 평행하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축(31)에 끼워져 있는 제동스프링(30)은 점차적으로 압축된다.At this time, the movable plate 10 is gradually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late 20 to move in parallel along the guide shaft 31, the braking spring 30 is fitted to the guide shaft 31 is Compress gradually.

상기 제동스프링(30)의 압축 완료 상태에서는 상기 유압실린더(41)의 유압회로가 폐쇠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링크기구(50)가 접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In the compression completion state of the braking spring 30, the hydraulic circuit of the hydraulic cylinder 41 is kept closed, so that the link mechanism 50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그리고, 상기 제동스프링(30)의 최대 압축 상태는 유압회로의 제어 및 상기 유압실린더(41)의 승강 행정에 의한 이동 거리에 의해 결정되므로 별도의 부가적인 감지장치 등이 불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the maximum compression state of the braking spring 30 is determined by the movement distance by the control of the hydraulic circuit and the lifting stroke of the hydraulic cylinder 41, an additional additional sensing device is not required.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3)의 운행 중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도 4a, 4b,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 콘트롤제어부(미도시)의 신호 동작에 의해 유압펌프의 유압회로가 폐쇄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실린더로드(42), 상기 링크절첩수단(70)의 푸쉬로드(71) 및 연결대(60)는 하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동플레이트(1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측으로 평행하게 이동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3, the hydraulic circuit of the hydraulic pump is closed by the signal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not shown) as shown in FIGS. 4A, 4B, and 4C. The cylinder rod 42, the push rod 71 of the link folding means 70, and the connecting table 60, which are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raking spring 30, are lowered as they are switched to the open state at At the same time, the movable plate 10 is moved in parallel to the fixed plate 20 side.

따라서, 상기 연결대(60)에 의해 상기 링크기구(50)의 2절링크(52)는 펼쳐진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접히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고정라이닝(21) 및 상기 가동플레이트(10)의 가동라이닝(11)이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하게 되므로서 엘리베이터(3)를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wo-segment link 52 of the link mechanism 50 is instantaneously folded in the unfolded state by the connecting table 60, so that the fixing lining 21 and the movable plate 10 of the fixing plate 20 are folded. Since the movable lining 11 clamps the rope 1, the elevator 3 is stably and reliably brak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수단의 구성이 기구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구성을 갖는 로프제동장치가 제공되는 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ope braking device having a more stable configuration mechanic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mean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좌측면도,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a,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구동수단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5a, 1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링크절첩수단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is a front view, a left side view, a plan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a, 1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drive means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a, 15b i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link folding means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yabu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는 대부분의 기본 구성 및 링크기구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대부분 따르므로 그에 대한 상술한 구성 설명에 의해 생략하기로 하며, 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ost of the basic configur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link mechanism follows mo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by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th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is Let's do it.

상기 링크절첩수단(70) 및 구동수단(40)은 유압식 구성보다 더 로프 제동에 대한 동작 신뢰성이 높은 기구 구성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link folding means 70 and the driving means 40 are configured to have a mechanism configuration with higher operational reliability for rope braking than a hydraulic configuration.

즉,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링크절첩수단(70)은 상기 연결대(60)의 일측에 한 쌍의 래크기어(81),(8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래크기어(81)(82)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의 전면에 나란히 맞물리도록 한 쌍의 피니언 기어(91)(92)가 맞물려 연동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folding means 70 is provided with a pair of rack gears 81 and 82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table 60, respectively, the rack gear 81 The pair of pinion gears 91 and 92 meshes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0 so as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따라서, 어느 일측의 상기 피니언기어(92)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다른쪽의 상기 피니언기어(91)가 맞물려 회전됨으로서 상기 래크기어(81)(82)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2절 링크(52)를 절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inion gear 92 of one side, the other pinion gear 91 is engaged and rotated so that the rack gears 81 and 82 make linear movement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two-section link 52 will be able to be folded.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91)(9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구동수단(40)으로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공지의 솔레노이드(10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일단부가 어느 한쪽의 상기 피니언 기어(91)의 축(91a)에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솔레노이드(101) 로드부(102)에 힌지 결합되는 당김레버(110)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92)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래칫(93)에 의한 일방향 구동기어(94)를 가진 기어드모터(90)로 이루어진다.And, as the drive means 40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pinion gears (91) and (92) includes a known solenoid (101)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20), one end of which It is installed on the shaft (91a) of the pinion gear 91 of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ull lever 110, which is hinged to the rod portion 102, the solenoid 101 is installed rotatably, one side the pinion It consists of a geared motor 90 having a one-way drive gear 94 by a ratchet 93 which meshes with the gear 92 to rotate.

또한, 상기 기어드모터(90)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고정된 인장스프링(95)에 의해 회동되는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geared motor 90 is installed in a state that one end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rotated by the tension spring 95 fixed to the fixed plate (20).

따라서, 엘레베이터(3)의 비상 상황 시 콘트롤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101)가 동작을 하면 상기 당김레버(110)가 반대로 상승되면서 상기 기어드모터(90)가 상기 피니언기어(91) 축(91a)을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반대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일방향 구동기어(94)가 상기 피니언 기어(92)로부터 해제되므로서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 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고정라이닝(21) 사이에 있는 상기 로프(1)를 협지하여 가압하여 제동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solenoid 101 is operated by a signa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i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elevator 3, the pull lever 110 is lif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geared motor 90 is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91. As the shaft 91a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center point, the one-way drive gear 94 is released from the pinion gear 92 so that the movable plate 10 is drive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raking spring 30. The fixed plate 20 is moved in parallel to sandwich the rope 1 between the movable lining 11 and the fixed lining 21 to press and brake.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는 도 16a,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해 간격을 벌리는 행정과, 이와 동시에 제동스프링(30)이 압축되는 최대 압축 행정 거리를 제한하여 센싱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축(31)에 선단부에 구비된 브라켓(32)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20)의 프로브(121)가 접촉되어 상기 제동스프링(30)의 압축 완료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경사면(131)을 가진 센싱블럭(13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xed plate 20 has a stroke in which the movable plate 10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late 20 as shown in FIGS. 16A and 16B, and at the same time, the maximum compression of the brake spring 30 is compressed. A limit switch 120 is provided for limiting the stroke distance, and the bracket 121 of the tip portion of the guide shaft 31 is in contact with the probe 121 of the limit switch 120 to brake the brake. A sensing block 130 having an inclined surface 131 for sensing a compression completion position of the spring 30 is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로프제동장치의 로프 제동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rope braking operation of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초기 모드 상태는 도 11a,11b,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기구(50)가 펼쳐진 상태가 되어야 한다.First, the initial mode state should be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link mechanism 50 as shown in Figs. 11A, 11B, and 11C.

즉, 상기 솔레노이드(101)의 당김레버(102)에 의해 상기 기어드모터(90)가 상기 피니언기어(91)의 축(91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92)에 밀착되면 일방향 구동기어(94)와 상기 피니언 기어(92)가 맞물려 회전되며, 이에 인접된 또 다른 피니언 기어(9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geared motor 90 is rotated about the shaft 91a of the pinion gear 91 by the pull lever 102 of the solenoid 10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inion gear 92, one-way drive gear 94 and the pinion gear 92 rotate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and another pinion gear 91 adjacent thereto also rotates.

상기 피니언 기어(91)(92)가 맞물려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한 쌍의 래크기어(81)(82)가 동시에 상승되므로서 상기 연결대(60)가 함께 상승된다. When the pinion gears 91 and 92 are rotated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the pair of rack gears 81 and 82 connected to the pinion gears 91 and 92 are simultaneously raised to raise the connecting rod 60 together.

상기 연결대(60)의 상승 동작에 의해 상기 링크기구(50)의 한 쌍의 2절링크(52)는 동시에 펼쳐지게 되므로서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해 간격을 벌리면서 평행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동스프링(30)이 점차적으로 압축된다.As the pair of two-piece link 52 of the link mechanism 50 is unfolded at the same time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onnecting table 60, the movable plate 10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late 20. The braking spring 30 is gradually compressed while being moved in parallel.

여기서, 상기 가동플레이트(10)의 이동 거리는 상기 제동스프링(30)의 압축 완료 위치까지를 의미하므로 상기 리미트스위치(120)의 프로브(121)가 상기 센싱블럭(130)의 수평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상기 경사면(131)에 위치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12)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기어드모터(90)를 멈추게 한다.He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able plate 10 means the compression completion position of the braking spring 30, so that the probe 121 of the limit switch 120 i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lane of the sensing block 130. When the movement is located on the inclined surface 131, the limit switch 12 detects this and stops the geared motor 90.

상기 기어드모터(90)가 멈춘 후에는 상기 일방향 구동기어(94)가 래칫(93)에 걸려 역회전 되지 않으므로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0)는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상기 고정라이닝(21) 사이에 상기 로프(1)가 위치된 상태에서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제동스프링(30)의 압축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는 초기 모드 상태가 되는 것이다.After the geared motor 90 is stopped, the one-way drive gear 94 is caught by the ratchet 93 and thus does not reversely rotate. Thus, the movable plate 10 and the fixed plate 20 are the movable lining 11 and the The gap between the fixed lining 21 is maintained in the state in which the rope 1 is positioned, and the compression state of the braking spring 30 is in an initial mode state which is maintained as it is.

이와 같이 초기 모드 상태 즉 엘리베이터(3)의 정상운행 상태로 유지되다가 엘리베이터(3)가 돌발적으로 급상승하거나 급하강하는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도 12a,12b,12c 및 도 13a,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3) 자체의 콘트롤부에 동작에 의해 그 감지 신호가 상기 솔레노이드(101)에 인가되므로서 상기 솔레노이드(101)의 로드(102)에 연결되어 당겨지고 있던 힘이 해제가 된다.12A, 12B, 12C, and 13A, 13B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such that the elevator 3 suddenly rises or falls while maintaining the initial mode state, that is, the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elevator 3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signal is applied to the solenoid 101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elevator 3 itself, thereby releasing the force connected to the rod 102 of the solenoid 101.

따라서, 상기 기어드모터(90)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이에 연결된 인장스프링(95)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91) 축(91a)을 중심으로 반대로 일정 각도 회전되므로서 상기 일방향 구동기어(94)가 상기 피니언기어(92)와 맞물림 상태가 해제된다.Therefore, the geared motor 90 is free and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pinion gear 91 shaft 91a by the tension spring 95 connected thereto, so that the one-way drive gear 94 is The engagement state with the pinion gear 92 is released.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92)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최대로 압축되어 있던 상기 제동스프링(30)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해 지지된 상태에서 탄발하게 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10)는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20) 측으로 평행 이동하게 되어 각 내측에 있는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상기 고정라이닝(21)이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함으로서 엘리베이터(3)를 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engagement state of the pinion gear 92 is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braking spring 30 that has been compressed to the maximum is elastic in a state supported by the fixed plate 20 by its elastic force, and the movable plate 10 is moved in parallel to the fixed plate 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raking spring 30 so that the movable lining 11 and the fixed lining 21 inside each of the ropes 1 By pressing the clamping force, the elevator 3 is braked.

상기와 같은 일련의 제동 동작은 상기 솔레노이드(102)에 신호가 인가된 시점으로 부터 동시적으로 순간 동작을 하게 되어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하여 제동시킨다.The series of braking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simultaneously perform instantaneous operation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solenoid 102 to clamp and press the rope 1.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로프제동장치의 최초 설치를 할때나 엘리베이터 비상 상황 조치 후에 전원공급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기어드모터(90)가 상기 피니언기어(92)에 동력을 전달하지 못한 상황 등 수동 조작으로 초기 모드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수동조작장치(14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ared motor 90 transmits power to the pinion gear 92 when the power is not supplied at the time of the initial installation of the rope braking device or after the elevator emergency situation measures The manual operation device 140 is provided to be able to return to the initial mode state by a manual operation such as a situation in which it is not possible.

이러한 상기 수동조작장치(140)는 도 17 내지 도 18a,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조작 고정판(141)과, 수동조작핸들(142), 수동조작고정볼트(143)로 이루어져 있다.The manual operation device 140 is composed of a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141, a manual operation handle 142, a manual operation fixing bolt 143, as shown in Figures 17 to 18a, 18b.

상기 수동조작고정판(141)은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92)와 동일 회전 중심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피니언기어(92)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팅홀(96)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핀(144)을 가진 구성이다.The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141 is formed in a disc shape, is positioned on the same rotational center axis as the pinion gear 92, and selectively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tting holes 96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inion gear 92. It is a configuration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pins 144 connected.

상기 수동조작핸들(142)은 그 일단이 상기 수동조작고정판(141)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45)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해 탄발되게 조립되며, 그 외측에 인장스프링(146)으로 탄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래칫(147)에 걸려 역방향 회전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래칫기어(148)를 가진 구성이다.One end of the manual operation handle 142 is rotatably fitted to the center of the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141, and is elastically assembl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20 by a coil spring 145 provided therein. It is a configuration having a ratchet gear 148 is installed to catch the ratchet 147, which is provided to be shot with a tension spring 146 on the outside thereof to prevent reverse rotation.

그리고, 상기 수동조작볼트(143)는 상기 수동조작핸들(142) 중앙으로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나사 조립되고, 타단은 상기 수동조작핸들(142)의 내부 일단에 걸려 조여지게 함으로서 상기 수동조작고정판(141)이 상기 피니언기어(92)와 일체로 체결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anual operation bolt 143 penetrates to the center of the manual operation handle 142, one end of which is screw-assembled to the fixing plate 20,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inner end of the manual operation handle 142 by tightening. The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141 is integrally fastened with the pinion gear 92 so as to be fixed.

이러한 수동조작장치(140)는 수동 조작을 하는 경우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조작 하기 전 상태에서 상기 수동조작핸들(142) 및 상기 수동조작고정판(141)을 밀어 상기 고정핀(144)과 상기 피니언기어(92)의 세팅홀(96)을 일치시켜 끼워 연결한 뒤 상기 수동조작고정볼트(143)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나사 조립시키면 상기 수동조작핸들(142) 및 상기 수동조작고정판(141)이 상기 피니언 기어(92)와 일체로 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When the manual operation device 140 performs manual operation, the manual operation handle 142 and the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141 are pushed in the state before the manual operation as shown in FIG. 18B and the fixing pin 144. When the pinion gear 92 of the setting hole 96 is matched and connected, the manual operation fixing bolt 143 is screwed to the fixing plate 20 using a separate tool, and the manual operation handle 142 is connected. ) And the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14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92 to be rotatably connected.

이 상태에서 상기 수동조작핸들(142)의 너트부(142a)에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상기 피니언 기어(91)(92)가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상기 래크기어(81)(82) 및 2절링크(52)를 동작시켜 상기 링크기구(50)의 절첩 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1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와 벌어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 축(31)에 끼워진 상기 제동스프링(30)을 압축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nut unit 142a of the manual operation handle 14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using a separate tool, the pair of pinion gears 91 and 9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rotate the rack gear 81. 82 and the two-way link 52 are operated to fold the movable plate 10 against the fixed plate 20 by folding the link mechanism 50, and at the same time to the guide shaft 31. The braking spring 30 is compressed.

그리고, 상기 수동조작핸들(142)이 회전되면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반대로 회전되려고 하지만 상기 래칫기어(148)가 상기 래칫(147)에 의해 걸리게 되어 상기 피니언기어(92)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로프제동장치를 최초의 초기 모드 상태 즉, 상기 로프(10)를 협지 가압하기 위한 탄발 대기 상태로 전원 공급 없이도 작업자가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manual operation handle 142 is rotated, the ratchet gear 148 is caught by the ratchet 147 because the ratchet gear 148 is rotated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so that the pinion gear 92 can be stably rotated. In the initial initial mode state, that is, the standoff state for clamping and pressurizing the rope 10,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return using a simple tool without power supply.

복귀된 이후에는 전원 공급을 재개하여 정상적인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return, the power supply can be resumed to operate the normal elevator.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로프제동장치에는 비상시 급제동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성의 보조적인 제동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braking means of a stable configuration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aboard the elevator due to the impact of sudden braking in an emergency.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플레이트(20)와 고정라이닝(21)는 사이에는 완충공간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부(150) 내에는완충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로프(1)를 협지 가압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late 20 and the fixing lining 21 is formed between the buffer space 150, the buffer space 150 is provided with a buffer member in the The rope 1 is made to minimize the braking impact caused by the pinching operation.

상기 완충부재는 복수의 코일스프링(151)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일스프링(151) 외에도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il springs 151, and may be replaced with other means capable of acting as a buffer in addition to the coil spring 151.

이러한 상기 코일스프링(151)은 상기 고정라이닝(21)의 전면에 걸쳐에 고르게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분산시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상기 로프(1)를 급제동하면서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상기 고정라이닝(21)이 안정적으로 협지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The coil spring 151 is configured to be distributed and distributed evenl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fixed lining 21, while braking the rope 1, the movable lining 11 and the fixed lining (21) can stably pressurize.

결국, 엘리베이터(3)의 비상 상황에 따른 급제동시 상기와 같이 상기 가동플레이트(11)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동스프링(30)의 탄발력이 상기 로프(1)에 한번에 전달되면 급제동이 될 수 밖에 없다.As a result, when the braking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elevator 3, the movable plate 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21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force of the braking spring 30 is transmitted to the rope 1 at once If there is a sudden braking.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동라이닝(11) 및 고정라이닝(21)에 상기 로프(1)가 닿는 순간 상기 완충공간부(150)에 있는 코일스프링(151)이 일차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상기 로프(1)를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협지 가압하게 되어 빠른 속도로 진행하는 상기 로프의 속도를 순간적으로 늦춰주게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spring 151 in the buffer space 150 absorbs the shock generated primarily by the moment the rope 1 contacts the movable lining 11 and the fixed lining 21. The rope 1 is pressed quickly and stably, thereby slowing down the speed of the rope that proceeds at a high speed.

그리고, 이차적으로 지속적으로 가압되는 상기 가동플레이트(10) 및 고정플레이트(20)의 가압 작용에 의해 양측의 라이닝(11)(21)이 상기 로프(1)를 추가적으로 더 밀착시키는 일련의 다단계 완충 제동 작용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movable plate 10 and the fixed plate 20, which are continuously pressurized in a secondary manner, a series of multi-stage damping brakes in which the linings 11 and 21 on both sides further close the rope 1. The action is instantaneous.

이러한 동작은 로프(1)를 급격하게 순간적으로 제동하는 로프제동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치명적인 인명 사고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이다. This opera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occurrence of fatal human accidents in the emergency braking process of the elevator in the rope braking device for braking the rope 1 suddenl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프를 협지하는 가동판에 전달되는 구동력은 최소한으로 하면서도 로프에 가압되는 가압력은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구동력 전달 링크기구를 활용하여 상기 로프를 협지하는 순간 동작은 최대한 빠르게 하고 로프를 제동하는 구동력을 최대한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협지 가압 동작은 다단계적으로 로프에 전달되도록 하여 최대한 안정성 있게 로프를 협지하도록 함으로 서 로프를 제동 작동에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순간적인 로프 제동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내의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완충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며, 생산 원가가 저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직, 간접가압 방식 모두를 수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link mechanism that can minimize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movable plate for holding the rope while maximizing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rope to maximize the instantaneous movement of the rope. The driving force for braking the ropes can be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clamping press oper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ropes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ropes can be clamped with maximum stability. A new form that accommodates both direct and indirect pressurization methods that provide a shock absorbing effect that can guarantee the safety of passengers in the elevator caused by the impact of the impact, and have a low production cost and easy maintenance. Providing rope braking devices for elevators The.

또한, 필요에 따라 가동판의 초기 모드로 복귀하는 작업을 전원 공급이 필요 없이 수동 조작으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that can be mad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initial mode of the movable plate as needed, even by manual operation without the need for power supply.

Claims (5)

외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마주하는 가동플레이트가 스프링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각 플레이트의 마주하는 면에 설치된 라이닝이 밀착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고정토록 된 것에 있어서,In the fixed plate is fixed to the outer structure and the movable plate facing the fixed plate is pressed by a spring so that the lining install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each plate is in close contact to fix the rope of the elevator passing between them , 적어도 한 쌍 이상의 2절 링크로 되면서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고, 중간의 굴절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대의 일단에 링크절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링크기구와;A pair of link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pair of two-links, both ends of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plate and the movable plate, and provided with link folding means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intermediate bending portion; ; 상기 링크기구의 링크절첩수단에 동력을 전달 또는 단락시키도록 된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comprising drive means configured to transmit or short-circuit power to the link folding means of the link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 및 이와 연동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The driving means is composed of a hydraulic pump and a hydraulic cylinder linked thereto, 상기 링크절첩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와 연결되는 푸쉬로드가 구비되어서, 상기 실린더로드의 왕복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대가 상기 링크기구를 절첩시킴으로서 상기 가동플레이트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간격을 두고 벌어져 있다가 상기 스프링의 압축 작용에 의해 탄발적으로 상기 로프를 협지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One end of the link folding means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push rod connected to the cylinder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connecting rod folds the link mechanism by a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cylinder rod. And the movable plate is spaced apart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and then clamps the rope elastically by the compression action of the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링크절첩수단은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래크기어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그 외측이 상기 래크기어에 각각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연동 회전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지고;The link folding means is a pair of rack gear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a pair of pinions are installed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on the fixed plate and the outer side is installed so as to engage the rack gears respectively. Gears;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공지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그 일단부가 어느 한쪽의 상기 피니언기어의 축에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로드부에 힌지 결합되는 당김레버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일방향 구동기어를 가진 기어드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The driving means includes a known solenoid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one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shaft of one of the pinion gears,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pull lever hinged to the solenoid rod to be rotatable. It is installed,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ed motor having a one-way drive gear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pinion gear.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피니언기어와 동일 회전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팅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고정핀을 가진 원반형의 수동조작고정판과;A disk-shaped manual fix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pins positioned on the same central axis of rotation as the pinion gear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tting hole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inion gear; 일단이 상기 수동조작고정판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탄발되게 조립되며 그 외측에 스프링으로 탄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래칫에 걸려 역방향방지되도록 설치되는 래칫기어를 가진 수동조작핸들과;A ratchet gear is installed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reversed by being caught by a ratchet which is rotatably fitted to the fixing plate by a spring provided at one end thereof and rotatably fitted at the center of the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With a manual operation handle; 상기 수동조작핸들 중앙으로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나사 조립되고 타단은 상기 수동조작핸들의 내부 일단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수동조작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동조작장치가 더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서 상기 수동조작핸들 및 상기 수동조작고정판을 함께 탄력적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 측으로 밀착하여 상기 고정핀과 세팅홀을 일치시켜 상기 피니언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무전원 상태에서도 최초 모드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The manual oper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manual operation device comprising a manual operation fixing bolt which penetrates to the center of the manual operation handle, one end of which is screw-assembled to the fixing plat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ngaged with the internal end of the manual operation handle. The elevator steering wheel and the manual operation fixing plate together elastically close to the pinion gear side to match the fixing pin and the setting hole to rotate the pinion gear manually so as to be set in the initial mode even in a non-powered state. Rope Brak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어느 한쪽의 상기 플레이트와 라이닝 사이에는 완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부 내에 복수의 완충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로프를 협지 가압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제동장치.An elevator rope is formed between one of the plates and the lining, and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are provided in the buffer space to minimize braking impact caused by the clamping operation of the rope. Braking system.
KR1020060045179A 2006-05-19 2006-05-19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KR1007638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179A KR100763830B1 (en) 2006-05-19 2006-05-19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179A KR100763830B1 (en) 2006-05-19 2006-05-19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502U Division KR200423194Y1 (en) 2006-05-19 2006-05-19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830B1 true KR100763830B1 (en) 2007-10-23

Family

ID=3881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179A KR100763830B1 (en) 2006-05-19 2006-05-19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8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38540A (en) * 2020-03-09 2021-09-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Elevator braking device and elevator
CN117430048A (en) * 2023-10-13 2024-01-23 江苏锐金钢丝绳索具有限公司 Steel wire rope for cra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630A (en) 1997-09-29 2000-07-25 Inventio Ag Arresting brake device for elevators
KR20040014647A (en) * 2004-01-29 2004-02-14 오인수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KR20040082375A (en) * 2002-12-04 2004-09-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Braking device for elevator
KR20050004212A (en) * 2003-03-24 2005-01-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mergency brake apparatus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630A (en) 1997-09-29 2000-07-25 Inventio Ag Arresting brake device for elevators
KR20040082375A (en) * 2002-12-04 2004-09-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Braking device for elevator
KR20050004212A (en) * 2003-03-24 2005-01-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mergency brake apparatus of elevator
KR20040014647A (en) * 2004-01-29 2004-02-14 오인수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38540A (en) * 2020-03-09 2021-09-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Elevator braking device and elevator
CN117430048A (en) * 2023-10-13 2024-01-23 江苏锐金钢丝绳索具有限公司 Steel wire rope for crane
CN117430048B (en) * 2023-10-13 2024-03-29 江苏锐金钢丝绳索具有限公司 Steel wire rope for cra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81175A (en) Lift with a safety brake
CN108408530B (en) Two-way overspeed protection device for linear motor direct-drive elevator
EP2112115B1 (en) 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coupled to gear drive assembly
CN102303802B (en) Broken rope protective device of upright lift gate
CN101759076B (en) Elevator buffer
CN105000446B (en) Device for preventing elevator car from moving accidentally
CN102196986A (en) Velocity limiter for an elevator
KR20010096316A (en) Brake apparatus for elevator
CN105819310B (en) A kind of double tracking-driven elevators with slow drop function of saving oneself manually
CN103434912A (en) Steel wire rope clamping device of elevator
CN1789102B (en) Elevator overspeed protecting device
CN100460307C (en) Bidirection overspeed protective device of elevator
KR100763830B1 (en)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CN107473045A (en) Novel inorganic room bidirectional speed limiter
KR200423194Y1 (en) A rope brake device for elevator
CN105197717B (en) The two-way automatic anti-running vehicle speed limiting system of single brake press plate equipped with speed monitoring component
CN116946838A (en) Elevator safety protection device based on machine vision
CN110092315B (en) Cargo lifting device with safety alarm function
CN206798897U (en) Machine room bidirectional speed limiter
TWM550730U (en) Elevator movement protection device
WO2014200122A1 (en) Constant operation type safety brake device for elevator
KR100682039B1 (en) Two direction of rope brake for elevator
KR200403531Y1 (en) Two Direction of Rope brake for Elevator
CN108928707A (en) Cargo lift assembly
CN204111240U (en) A kind of brake equipment of elevator traction shea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