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608B1 - 연등 - Google Patents

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608B1
KR100763608B1 KR1020060004967A KR20060004967A KR100763608B1 KR 100763608 B1 KR100763608 B1 KR 100763608B1 KR 1020060004967 A KR1020060004967 A KR 1020060004967A KR 20060004967 A KR20060004967 A KR 20060004967A KR 100763608 B1 KR100763608 B1 KR 10076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partitions
central
connecting membe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267A (ko
Inventor
성주용
Original Assignee
성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용 filed Critical 성주용
Publication of KR2006010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체들을 연결끈으로 연결하여 연등을 제작함과 아울러 연등의 제작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한 연등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불교용 연등에 있어서, 폐쇄된 원형 혹은 다각 공간을 형성하여 연등 외형을 이루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할체들; 및 상기 분할체들의 상호간을 연결하여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연등 외형을 이루게 하기 위한 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불교, 연등, 절첩, 모빌, 슬라이딩

Description

연등{LAMP FOR BUDDHISM}
도 1은 종래의 연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분할체들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표시의 분할체들에 연꽃잎 성형물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표시의 분할체들을 연꽃잎 성형물의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도 3표시의 분할체들에 대한 절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분할체들의 제2변형예로서, 그 분할체들에 대한 절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분할체들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분할체들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연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a는 도 1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13b는 도 13a표시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1표시의 연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1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b는 도 16a표시의 연등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표시의 연등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8표시의 연등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9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b는 도 22a표시에 따른 연등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변형예로서, 연결끈 만을 확대하여 나 타낸 도면이고,
도 25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4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8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5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9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6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0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7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8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2는 도 31표시의 연등에 대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3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9변형예로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4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0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는 도 34표시의 연등에 대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1변형예로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7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2변형예로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8은 도 23표시의 연등의 외형에 연꽃잎 성형물을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0은 도 39표시의 연등에 대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1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4변형예로소, 요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2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5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4는 도 43표시의 연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5는 도 43표시의 연등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6은 도 43표시의 연등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등 110 - 분할체들
120 - 연결끈 130 - 연꽃잎 성형물
본 발명은 사찰 등에서 불교 기념일이나 행사 등에 사용되는 연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체들을 연결끈으로 연결하여 연등을 제작함에 의해 연등 제작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교용 연등(燃燈)은 사찰 등에서 불교 기념일 즉, 석가탄신일 등의 기념일이나 행사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촛불이나 조명 등이 구비된 채 원형의 나선형으로 감긴 틀체(1)와 이 틀체(1)에 위요되어 불빛이 투시되는 겉지(2)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연등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틀체(1)에 의해서 납작하게 절첩되어 수납 및 보관된다.
그러나 종래의 연등은 상기 나선형으로 감긴 틀체(1)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른 단가의 상승 및 제작에 있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상기 틀체(1)는 통상 가는 철사를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도록 하여 제작함으로 그 제작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 및 공정의 난이성으로 인해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체들을 연결끈으로 연결하여 연등을 제작함에 의해 연등 제작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한 연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불교용 연등에 있어서, 다수개로 분리되어 상하방향으로 삽입되거나 펼쳐지게 설치됨에 의해 연등의 외형을 이룰 수 있게 한 분할체들로 이루어진 연등본체; 및 상기 분할체에 설치하여 상기 인접한 분할체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다단으로 삽입될 수 있게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각형상의 링 혹은 원형상의 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의 상하단부에는 단턱을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상하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가이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사각형상의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부 측으로 인접한 분할체를 서로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링 형상을 이루고, 상하단부 측으로 인접한 분할체를 서로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삽입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종이, 천으로 된 연꽃잎을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연꽃잎 성형물을 탈착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연꽃잎 성형물 형상을 이루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들에는 서로 맞물리는 돌기들을 형성하여 분할체가 회전되지 않게 하며 연꽃잎 성형물을 보호하면서 분할체들이 삽입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들 중에서 연등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분할체는 동일 크기로 이루어져 연등을 접었을 경우 서로 삽입되지 않고 연등을 펼쳤을 경우에만 연결부재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펼쳐질 수 있게 하고, 상기 연등의 상하측부에 위치하는 분할체는 상호 삽입될 수 있게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상하로 대칭되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하부분할체와 상기 상하부분할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분할체가 펼쳐질 때 그 단부가 걸릴 수 있게 결합된 중심분할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수지재로서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분할체는 연꽃잎 성형물로 형성하고 상기 중심분할체는 외주면에 연꽂잎 성형물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상하로 대칭되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상하부분할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분할체의 서로 대면하는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소정 깊이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에 다른 하나의 단부를 삽입 설치하여 절첩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분할체가 펼쳐질 때 서로 분리되지 않게 상기 상하부분할체의 대면하는 단부에 절곡 형성한 걸림턱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연결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며 원통형상 혹은 다각통형상을 이루는 비닐이나 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그물망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체는 상하로 대칭되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상하부분할체와 상기 상하부분할체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게 상하부분할체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 중심분할체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중심분할체와 상하부분할체 상호간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분리된 끈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된 끈부재를 분 리 결합할 수 있게 어느 일단에는 고리를 설치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고리가 걸릴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멍이 형성된 끈부재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는 간격조절용 구멍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분리된 사슬 혹은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된 사슬 혹은 체인의 어느 일단에는 고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매직테이프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분리된 끈부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분리된 끈부재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게 한 쌍의 단추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수지 혹은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며 절첩 가능한 주름부를 갖는 통형상의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름부는 상하방향으로 평행을 이루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름부는 나선형을 이루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종이 혹은 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측에 나선형의 철심이 설치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 및 중심분할체와 하부분할체에 각각 대응함과 아울러 상하부분할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연결봉을 삽입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 및 중심분할체와 하부분할체에 각각 대응함과 아울러 상하부분하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단에 숫나선부를 형성하여 상기 숫나선부에 너트를 체결한 연결봉을 삽입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하나의 끈을 이용하여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끈의 소정 부위에는 매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하나의 연결바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바의 소정 부위에 걸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바는 상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사이와 상기 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사이를 각각 분리하여 힌지핀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분할체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을 관통되게 볼트와 너트로서 상기 중심분할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분할체의 내측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각각 장공을 형성한 지지판을 더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의 중심부는 볼트와 너트로서 중심분할체와 결합하며 상기 지지판의 장공에는 볼트와 너트로서 상기 장공을 관통되게 상기 상하부분할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삽입 가능한 안테나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불교용 연등에 있어서, 철선을 절곡 형성하여 절첩 가능한 연등 골조를 이루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할틀체들; 및 상기 분할틀체들이 펼쳐질 때 분리되지 않게 상기 분할틀체들이 상호 연결되는 인접한 분할틀체들의 단부에 절곡 형성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틀체들 중에서 연등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분할틀체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고정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등(미도시)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것으로, 이러한 연등(100)은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체(110)들에 의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연등을 구성한다. 상기 분할체(110)들은 연등의 외형을 이룰 수 있게 형성되며 내부의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지 혹은 후지(厚紙)로 이루어짐이 좋다. 수지로 이루어질 경우 사출에 의해 성형하게 되면 대량생산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체(110)들은 그 내부에 설치된 양초나 조명등에 의해서 보다 화사한 색으로 연출되도록 빨강, 노랑 등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은 필요에 따라 4각 형상, 5각 형상, 6각 형상, 8각 형상 및 원형상 중에 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등(100)은 상기 분할체(110)들을 각각 연결하여 삽입되는 형태로 접을 수 있게 한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연결끈(120)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끈(120)에 의해 연등(100)을 상하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분할체(110)들이 연결끈(120)으로 연결됨에 의해 간단하게 연등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분할체(110)들이 연결끈(120)으로 연결되어 펼쳐짐에 의해 그 펼쳐진 상태에서 연결끈(120)에 의해 매달리게 되어 연등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등(100)을 접을 경우에는 상기 분할체(110)들이 삽입되는 형태로 접혀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면 부호 (10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100)의 상단부에 설치한 손잡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표시의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분할체들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등(10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분할체(110)들의 제1변형예는, 다각형상을 이루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방향으로 삽입되어 절첩될 수 있게 상하방향으로 인접된 연결편들을 연결끈(120)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제1변형예의 분할체(110)들을 연결끈(1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결합하여 연등을 접을 경우에는 상기 분할체(110)들이 삽입되는 형태로 접혀지게 되고, 또 연등을 펼칠 경우에는 연결끈(120)에 의해 매달리는 형태로 하여 펼쳐지게 된다.
도 4a는 도 3표시의 분할체들에 연꽃잎 성형물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위 제1변형예의 분할체(110)들에는 연꽃잎 성형물(13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꽃잎 성형물(130)의 설치로 인해 연등의 미관을 살려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연꽃잎 성형물(130)은 분할체(110)들이 삽입될 때 그 사이로 함께 삽입되게 함에 의해 연등을 용이하게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꽃잎 성형물은 수지로서 사출 성형함이 좋은데, 종이나 천으로 연꽃잎을 만들어 접착할 수도 있다.
도 4b는 도 3표시의 분할체들을 연꽃잎 성형물의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위 제1변형예의 분할체(110)들은 그 형상을 연꽃잎 성형물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할체(110)들을 연꽃잎 성형물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상기 분할체(110)들은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연등을 용이하게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연등의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도 3표시의 분할체들에 대한 절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위 제1변형예에 따른 분할체(110)들이 절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도 5a는 상기 분할체(110)들이 펼쳐져 있는 상태이고, 도 5b는 상기 분할체(110)들이 삽입되어 접혀져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분할체(110)들이 펼쳐져 연등을 구성할 경우에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상기 분할체(110)들이 연결끈(120)에 의해 매달리는 형태로 하여 펼쳐지게 되어 연등으로 사용하고, 또 상기 분할체(110)들이 삽입되게 접혀질 경우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의 분할체(110)가 하부에 위치되는 분할체(110)의 속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하여 접어져 보관을 편리하게 한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분할체들의 제2변형예로서, 그 분할체들에 대한 절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할체들의 제2변형예는 상기 분할체(110)들의 상하단부에 걸림턱(112a,112b)을 형성하도록 절곡한 것으로, 이 걸림턱(112a,112b)에 의해 상기 분할체(110)들이 펼쳐질 경우 상하단부 측으로 인접한 분할체들이 걸려지게 하여 펼쳐진다.
이러한 제2변형예에 따른 상기 분할체(110)들은 띠 형상을 이루게 형성됨이 좋고, 이와 같이 띠 형상을 이루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분할체(110)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끈은 필요 없어도 된다. 즉, 상기 분할체(110)들이 띠 형상을 이루어 상단은 내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턱(112a)을 형성하고 하단은 외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턱(112b)을 형성함에 의해 상하측으로 인접 설치되어 삽입되는 분할체(110)들의 걸림턱(112a,112b)에 걸려 빠지지 않는 형태로 펼쳐진다.
이와 같은 제2변형예에 따른 분할체(110)들의 그 직경이 서로 다른 다단의 구조를 이루어 절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2변형예에 따르면 도 6a에 나타 낸 바와 같이 상기 분할체(110)들이 펼쳐지고,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할체(110)들이 삽입되게 접혀진 것이다. 이때, 상기 분할체(110)들은 상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12a,112)이 맞물려 빠지지 않게 되며, 이러한 걸림턱(112a,112b)들이 형성된 분할체(110)들의 결합은 강제적으로 한다. 즉, 상기 분할체(110)들을 수지로서 재작하게 되면 수지 특성상 소정의 텐션을 갖게 됨에 의해 강제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분할체들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변형예에서는 상기 분할체(110)들이 다각형상을 이루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분할체(110)들에 가이드돌기(114)를 형성하여 서로 삽입되게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제3변형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한 분할체(110)들은 상기 가이드돌기(114)에 의해 삽입 결합되어 펼쳐질 때 가이드돌기(114)에 안내되면서 펼쳐지게 한다. 이때, 상기 분할체(110)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해 가이드돌기(114)는 소정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함이 좋다. 상기 경사면은 상부는 폭이 좁고 하부는 폭이 넓은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됨이 좋다.
또한, 제3변형예에 따른 분할체(110)들은 연결끈으로 연결하여 결합하여도 되고, 도면 표시와 같이 연결끈을 사용하지 않고 결합하여도 된다. 이때, 상기 연결끈으로 분할체들을 연결한 경우에는 상기 분할체(110)들이 펼쳐질 때에는 가이드돌기(114)에 안내되면서 펼쳐지게 되며 그 펼쳐진 상태에서 연결끈에 의해 매달리 게 되므로 펼쳐진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을 제작하기 위한 분할체들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변형예는 상기 분할체(110)들을 사각형상의 장방형상으로 형성하여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부 측으로 인접한 분할체(110)들을 띠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끈(120a)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단부 측으로 인접한 분할체(110)들을 연결끈(120)으로 연결하여 상하부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분할체의 형상은 사각형상의 장방형상이 아닌, 연꽃잎 성형물 형상으로 형성하여 연결끈으로 연결하여도 되는데, 이러한 연꽃잎 성형물 형상의 분할체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도 21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이러한 제4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변형예와 동일한 작동에 의해 접혀지거나 혹은 펼쳐지는 것으로, 상기 분할체의 제4변형예에 따르면 인접한 분할체(110)들이 모두 연결끈(120,120a)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의해 접혀졌을 경우 임의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어 보관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연등(100)은, 위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의 연등(1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표시함으로서 동일부재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러한 제2실시예서는 상기 연등(100)을 접기 위해 구성한 분할체 (110)들을 연등의 전 길이에 걸쳐 분리 형성하지 않고 연등(100)의 중간부분만을 분리 형성함에 의해 절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등(100)이 접혀졌을 경우 완전하게 접혀지지는 않지만 상기 분할체(110)들을 갖는 연등(100)의 제작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분할체(110)들을 연등(100)의 상하방향으로 수직한 부위에만 형성하고 경사진 부위에는 단일체로 형성함에 의해 연등의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 외 구성과 작용 효과는 위에서 설명한 연등과 동일함으로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연등(100)은, 상기 연등의 상하방향에 대해 다수개로 분할되는 분할체(110a,110b...)들을 연결끈(120)으로서 연결하여 절첩 가능하게 하되, 상기 연등(100)의 중간부분을 이루는 분할체(110c~110e)들은 크기는 동일하여 형성하여 연등을 접었을 경우 상기 분할체들이 상호 삽입되지 않고, 상기 분할체(110a~110e)들의 상하측으로 위치되는 분할체(110a,110b)들만이 삽입될 수 있게 크기를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하측으로 위치하는 분할체(110a,110b)는 크기가 달라서 연등을 접을 경우 삽입되고 연등의 중간에 위치하는 분할체(110c~110e)는 크기가 동일하여 연등을 접었을 경우 삽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제3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펼쳤을 경우에는 연등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분할체(110a,110b)들이 펼쳐짐은 물론 연등의 중간에 위치하는 분할체(110c~110e)들도 연결끈(320)에 의해 그 간격이 벌어지는 형태로 펼쳐진다. 즉, 연등의 중간에 위치하는 분할체(110c~110e)들은 연등을 접었을 경우에는 연결끈(120)만이 처지는 형태로 되고, 연등을 펼쳤을 경우에는 연결끈(120)에 의해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펼쳐지는 형태로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연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a는 도 1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13b는 도 13a표시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1표시의 연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연등(100)은, 상기 연등(100)의 외형을 구(球)형으로 형성하고 상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부분할체(100a,100b)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상하부분할체(100a,100b)를 다시 2등분으로 분할하여 절첩될 수 있게 결합한 것이다. 즉, 구형상의 연등을 상하방향으로 4등분 되게 분할하여 절첩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등(100)의 외주면에는 연꽃잎 성형물(13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부분할체(100a,100b)로 분할된 연등이 회전되지 않게 하기 위해 돌기들(101a,101b)을 형성함이 좋다. 이 돌기들(101a,101b)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분할체(100a,100b)에서 분리된 각각의 부재들에 서로 맞물리게 형성하여 상하부분할체가 어느 일측으로 회전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돌기들(101a,101b)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한쪽에 2개를 돌기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다른 돌기가 끼워지게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부분할체(100a,100b)로 분리되어 다시 2등분된 부분이 접혀지게 되고, 또 펼쳐졌을 경우에는 각 단부가 걸려지게 하여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연등을 펼쳤을 때 걸리는 단부에는 걸림턱을 갖도록 절곡 형성하여 다단으로 삽입 결합됨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실시예의 연등(100)은, 상기 상하부분할체(100a,100b)의 결합을 훅크(104a)와 결합구멍(104b)을 이용하여 결합하거나(도 14참조), 혹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1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연등(100)은, 구(球)형의 연등을 중심분할체(100c)와 그 중심분할체(100c)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부분할체(100a,100b)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상하부분할체(100a,100b)를 다시 2등분으로 분할하여 절첩될 수 있게 결합한 것이다. 즉, 상기 변형예는 구형상의 연등을 상하방향으로 5등분되게 분할하야 절첩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1변형예는, 상기 중심분할체(100c)를 기준으로 상하부분할체(100a,100b) 및 상하부분할체(100a,100b)에서 다시 2등분된 부분이 접혀지게 되고, 또 펼쳐졌을 경우에는 각 단부가 걸려지게 하여 빠지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걸리는 단부를 절곡하여 걸림턱을 갖도록 함이 좋다.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b는 도 16a표시의 연등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연등(100)은, 구(球)형의 연 등을 중심분할체(100c)와 그 중심분할체(100c)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부분할체(100a,100b)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상하부분할체(100a,100b)를 연결끈(120)으로서 연결한 것이다. 즉, 상기 제5실시예는 구형상의 연등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되게 분할하여 절첩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5실시예는, 상기 중심분할체(100c)를 기준으로 상하부분할체(100a,100b)를 연결끈(120)의 양단부(121a,121b)에 연결함에 의해 연등을 펼쳐졌을 경우 연결끈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중심분할체(100c)는 단순한 커버 역할만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끈(120)의 중간부(121c)를 상기 중심분할체(100c)에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서 상기 중심분할체(100c)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제4~제5실시예들은, 상기 연등(100)의 외형을 구(球)형으로 제작한 것으로, 8각등으로 이루어진 제1~제3실시예와 차이점이며 또 상하부 방향으로 분할되는 각 분할체들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한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분할하여 다단으로 결합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분할된 각 부분들이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은 그 단부에 걸림턱과 걸림홈을 갖도록 절곡 형성하여 빠지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이들의 결합은 수지재의 특성상 강제적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등을 강제적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결합하는 방식중의 또 다른 하나로는 도 17과 같이 분할된 각 부분들이 결합되 는 어느 일측으로 삽입부(106)를 형성하고 이 삽입부(106)의 내부로 다른 일측이 삽입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삽입부(106)와 이 삽입부(106)로 삽입되는 다른 일측에 각각 걸림턱들(108a,108b)을 형성하여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6실시예는 구형상의 연등을 상하방향으로 2등분되게 분할하여 절첩되게 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표시의 연등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8표시의 연등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연등(200)은, 상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할체(210)들을 연꽃잎 성형물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분할체(210)들 중에서 최상단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분할체는 연꽃잎 성형물 형상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그 사이에 위치하는 분할체는 상호 분리된 낱개의 연꽃잎 성형물(230)을 구비하여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분리된 낱개의 연꽃잎 성형물(230)을 분할체(2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훅크(204a)와 결합구멍(204b)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도 20참조) 또한, 상하부로 분리된 분할체(210)들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등을 접을 수 있게 연결끈(220)으로 결합함이 좋은데, 이러한 연결끈(220)으로서의 결합으로 접을 수 있게 하는 구조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의해 이미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8실시예는 상기 분할체(210)들을 연꽃잎 성형물(230)의 형상 모양으로 형성하여 상하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연꽃잎 성형물(230)들 끼리 연결끈(220,220a)으로 연결함에 의해 전체적으로 연등 외형을 이루게 한 것이다. 이러한 연등의 경우 상기 연등을 접으면 연꽃잎 성형물(230)들을 연결하는 연결끈(220,220a)이 처지는 형태로 하여 특정한 형상을 유지하지 않으면서 연꽃잎 성형물들이 접히게 된다.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9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예의 연등은, 위에서 도 18 ~도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8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끈을 사용하는 대신에 통형상의 연결부재로 상하로 분할된 분할체(210)들을 연결한 것이다. 즉, 상기 연결부재로써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비닐지(222)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상하로 분할된 분할체(210)들을 연결한 것이다. 이러한 변형예는 통형상의 비닐지(222)를 이용함에 따라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닐지(222)와 분할체(210)의 결합은 고정핀(224)을 이용하거나 혹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닐지(222) 대신에 헝겊과 갚은 재질의 천을 통형상으로 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도 22b는 도 22a표시에 따른 연등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9실시예의 연등에서 상기 비닐지 대신에 그물망체(222a)를 이용하여 분할체(210)들을 연결한 것이다. 이러한 그물망체(222a)와 분할체(210)들의 결합은 고정핀(224)을 이용하거나 혹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체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연결끈 혹은 비닐지 및 그물망체 이외에도 매직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직테이프를 이용할 경우 분할체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할체들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0실시예의 연등(300)은, 구(球)형의 연등을 중심분할체(310c)와 그 중심분할체(310c)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상하부분할체(310a,310b)를 연결부재(320)로서 상기 중심분할체(310c)와 연결한 것이다. 즉, 상기 제10실시예는 구형상의 연등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되게 분할하여 절첩되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방법인 연결부재(320)는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한 끈부재(321)로 구성된다. 상기 끈부재(321)는 서로 분리된 어느 일단부에는 고리(321a)를 설치하고, 다른 일단부에는 구멍(321b)을 형성하여 고리(321a)를 구멍(321b)에 끼워 거는 형태로 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끈부재(321)를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성함에 의해 연등을 보관시 더욱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즉, 연등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고리(321a)를 구멍(321b)으로부터 탈착하여 분리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다.
도 24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변형예로서, 연결끈 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20)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연등(300)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로 분히한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1변형예에 따른 연결부재(320)는 위 제10실시예의 연결부재에서 단부에 구멍(321b)이 형성된 끈부재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다수개의 간격조절용 구멍(321b')들을 더 형성한 것으로, 이는 연결부재(320)에 의해 연결되는 분할체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고리(321a)를 구멍(321b) 혹은 간격조절용 구멍(321b')들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끈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5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20)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연등(300)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로 분히한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2변형예에 따른 연결부재(320)는 위 제10실시예의 연결부재를 사슬 혹은 체인(321c)으로 설치한 것에 차이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사슬 혹은 체인(321c)으로 연결부재를 구성하게 되면 위 제2변형예와 동일하게 연결부재(320)에 의해 연결되는 분할체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고리(321a)를 체인(321c)의 임의 위치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20)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연등(300)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로 분히한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3변형예에 따른 연결부재(320)는 위 제10실시예의 연결부재를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매직테이프(322)로 구성한 것에 차이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매직테이프(322)로 구성할 경우 위 변형예들 보다 더욱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즉, 매직테이프(322)는 임의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재(320)에 의해 연결되는 분할체들의 간격 조절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27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4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4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20)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연등(300)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로 분히한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4변형예에 따른 연결부재(320)는 위 제10실시예의 연결부재를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단추(322a)로 구성한 것에 차이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단추(322a)로서 구성할 경우에도 분할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즉, 끈부재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단추를 설치하여 임의의 단추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연결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28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5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5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20)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연등(300)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로 분히한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5변형예에 따른 연결부재(320)는 위 제10실시예의 연결부재를 끈부재가 아닌 주름관(323)으로 설치한 구성에 차이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주름관(323)을 설치할 경우 위 변형예들과 같이 분리는 되지 않지만 연등의 외관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변형예에 따른 상기 주름관(323)은 수지 혹은 비닐지 등을 이용하여 절곡 가능한 주름부를 갖도록 성형한는 것으로, 이때, 상기 주름부는 상하 방향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형성함이 좋다.
도 29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6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6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5변형예에서 상기 주름관(323)을 나선형으로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제6변형예에서는 상기 주름관(323)을 형성하기 위한 주름부를 상하 방향에 대하여 나선을 이루게 형성한 것이 위 제5변형예와 상이하다. 이러한 제6변형예에 의한 주름관(323) 역시 수지 혹은 비닐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도 30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7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7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5~제6변형예에서 상기 주름관(323)의 내부에 철심(323a)을 더 설치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상기 주름관(323)을 수지가 아닌 종이 혹은 천으로 구성하고 상기 종이 혹은 천의 내부에 나선형 혹은 수평을 이루게 철심(323a)을 설치하여 절첩되게 한 것이다.
도 31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8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2는 도 31표시의 연등에 대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8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20)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연등(300)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로 분리한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8변형예에 따른 연결부재(320)는 위 제10실시예의 연결부재를 연결봉(324)을 설치한 구성이 차이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연결봉(324)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에 상기 연결봉(324)이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312)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312)을 통해 상기 연결봉(324)을 결합하여 분할체들이 절첩되게 한다. 이때, 상기 상부분할체(310a)와 중심분할체(310c)에 설치되는 연결봉(324)의 위치와 하부분할체(310b)와 중심분할체(310c)에 설치되는 연결봉(324)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야 연결봉들이 서로 걸리지 않은 상태로 분할체들이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봉(324)들의 상하단부에는 상기 관통공(312)으로 부터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절곡부(324a)를 더 형성한다. 이 절곡부(324a)의 형성에 의해 연결봉(324)들이 관통공(312)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도 33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9변형예로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9변형예는 위 제8변형예에서 상기 연결봉(324)의 상하단부에 숫나선부를 형성하고 이 숫나선부에 너트(324b)를 체결하여 상기 관통공(312)으로부터 연결봉(324)이 빠지지 않게 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또한, 이와 같이 너트(324b)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너트(324b)의 체결 위치에 따라 연들의 펼쳐지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4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0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는 도 34표시의 연등에 대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20)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연등(300)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로 분히한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10변형예에 따른 연결부재(320)는 하나의 끈(325)으로 상기 분할체들(310a,310b,310c) 전체를 연결한 것이다. 또한, 상기 끈(325)의 중간부분에 매듭(325a)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312)에 걸리게 한다. 이때, 상기 매듭(325a)의 형성 위치에 따라 분할체들이 펼쳐지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6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1변형예로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1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0변형예에와 같이 끈으로 연결하지 않고 하나의 연결바(326)를 이용하여 분할체들 전체를 연결 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또한, 상기 연결바(326)가 관통공(312)에 걸릴 수 있게 하기 위해 연결바(326)의 임의 위치에 걸림부(326a)를 형성한다. 이러한 걸림부(326a)의 형성 위치에 따라 펼쳐지는 분할체들의 간격을 결정한다.
도 37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2변형예로서,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1변형예에서 상기 연결바(326)를 분리하여 회동될 수 있게 힌지핀(326b)으로 결합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연등을 접을 경우 상기 연결바(326)가 힌지핀(326b)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접혀지면서 연등이 접혀진다.
도 38은 도 23표시의 연등의 외형에 연꽃잎 성형물을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연등의 외형에 연꽃잎 성형물(330)을 더 설치할 수 있는데, 이 연꽃잎 성형물은 수지로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고, 또 종이 혹은 천으로 연꽃잎을 만들어 접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꽃잎 성형물(330)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9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0은 도 39표시의 연등에 대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3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20)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연등(300)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 할체(310c)로 분히한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13변형예에 따른 연결부재(320)의 구성은 상기 상하부분할체(310a,310b)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314)을 각각 형성하고, 이 장공(314)을 통해 볼트(327a)와 너트(327b)로서 상기 중심분할체(310c)와 상하부분할체(310a,310b)를 결합함에 의해 상기 장공(314)에 볼트(327a)가 가이드되면서 분할체들이 절첩되게 한 것이다.
도 41은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4변형예로소, 요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4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3변형예에서 상기 볼트(327a)와 너트(327b)를 결합하기 위한 장공(314)을 갖는 지지판(316)을 더 설치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상기 중심분할체(310c)의 내측으로 장공(314)이 형성된 지지판(316)을 설치하고 이 지지판(316)의 중심에 상기 중심분할체(310c)를 볼트(327a)와 너트(327b)로서 결합하고, 또 상기 지지판(316)에 형성된 장공(314)에 상하부분할체(310a,310b)를 각각 볼트(327a)와 너트(327b)로서 결합함에 의해 절첩되게 한 것이다.
도 42는 도 23표시의 연등에 대한 제15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5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20)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즉, 연등(300)을 상하방향으로 3등분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로 분히한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제15변형예에 따른 연결부재(320)는 안테나봉(328)을 이용하여 상하부분할체(310a,310b) 및 중심분할체(310c)를 연결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봉(328)의 슬라이딩 삽입에 의해 분할체들이 절첩되게 한 것이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4는 도 43표시의 연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5는 도 43표시의 연등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1실시예의 연등(400)은, 상기 연등(400)의 골조를 이루는 틀체(410)만을 이용하여 절첩될 수 있는 분할체를 구성한 것으로, 이 틀체(410)로 이루어지는 분할체는 연등의 상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부분할체(412,414)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상하부분할체(412,414)를 다시 2등분으로 분할(412a,412b,414a,414b)하여 절첩될 수 있게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연등(400)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절첩되는 것으로, 위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으로는 틀체(410)만을 이용하여 연등(400)의 외형을 이루도록 한 것에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절첩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펼쳐졌을 경우에 각 분할된 단부가 걸려지게 하여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연등(400)의 골조를 이루는 틀체(410)는 철선 등을 이용하여 절곡 형성하면 되고, 이와 같은 연등(400)의 상하부 분할체(412,414)에 대한 결합은 고정클립(420)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6은 도 43표시의 연등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는, 위에서 설명한 틀체(410)만으로 이루어지는 연등(400)의 외형상을 구(球)형이 아닌 팔각 형상을 갖는 연등으로 구성한 것에 차이점이 있을 뿐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 역시 그 분할되는 개수는 도면에 도시한 개수보다 많은 개수로 분할하여도 된다. 그 외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등에 의하면,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체들을 연결끈으로 연결하여 연등을 제작함에 의해 연등의 제작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삭제
  2.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불교용 연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각형상의 링 혹은 원형상의 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며, 상호 분리되어 상하방향으로 삽입되게 결합됨에 의해 연등의 외형을 이룰 수 있게 한, 다수개의 분할체들로 이루어진 연등본체; 및
    상기 분할체를 각각 연결하여 펼쳐지도록 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연등.
  3.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불교용 연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각형상의 링 혹은 원형상의 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며, 상호 분리되어 상하방향으로 삽입되거나 펼쳐지게 결합됨에 의해 연등의 외형을 이룰 수 있게 한, 다수개의 분할체들로 이루어진 연등본체; 및
    상기 분할체의 상하단부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분할체들이 걸리게 하기 위한 단턱을 포함하는 연등.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는 일체로 링 형태를 이루게 형성하거나 다수개의 장방형상의 부재들을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링 형태를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는 그 분할체의 둘레를 따라 종이, 천으로 된 연꽃잎을 탈착되게 설치한 성형물이거나 상기 분할체를 연꽃잎 성형물로 이루게 형성한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7. 제 2항에 있어서, 원형상의 링으로 형성되는 상기 분할체들에는 서로 맞물리는 돌기들을 형성하여 분할체가 회전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들 중 일부는 서로 직경이 동일 크기로 형성하여 연등을 접었을 경우에는 삽입되지 않고 연등을 펼쳤을 경우에만 연결부재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펼쳐질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9.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불교용 연등에 있어서,
    상하로 대칭되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상하부분할체와 상기 상하부분할체의 단부가 걸릴 수 있게 상하부분할체의 사이에 설치된 중심분할체로 이루어져 연등의 외형을 이룰 수 있게 한 연등본체; 및
    상기 중심분할체의 내부에서 상기 상하부분할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연등.
  10.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불교용 연등에 있어서,
    수지재질로서 사출 성형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연꽃잎 성형물을 이루게 한 상하부분할체와 상기 상하부분할체들의 사이에 설치되며 그 둘레를 따라서는 연꽃잎을 탈착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중심분할체들로 이루어진 연등본체; 및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들을 각각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연등.
  11.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불교용 연등에 있어서,
    상하로 대칭되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상하부분할체로 이루어진 연등본체; 및
    상기 상하부분할체 중 어느 하나의 분할체의 단부에는 소정 깊이의 삽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부에 다른 하나의 분할체의 단부를 삽입 설치하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하부분할체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상기 상하부분할체의 서로 대면하는 단부를 절곡 형성한 걸림턱들을 포함하는 연등.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연결끈, 유연성을 가지며 원통형상 혹은 다각통형상을 이루는 비닐이나 천 및 유연성을 가지는 그물망체 중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3.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불교용 연등에 있어서,
    상하로 대칭되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상하부분할체와 상기 상하부분할체가 삽입되게 상하부분할체의 사이에 설치된 중심분할체로 이루어져 연등의 외형을 이룰 수 있게 한 연등본체; 및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를 연결하도록 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연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된 끈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끈부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끈부재에는 고리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의 끈부재에는 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구멍이 형성된 끈부재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는 간격조절용 구멍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된 사슬 혹은 체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슬 혹은 체인의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고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된 암수 한 쌍의 매직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된 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끈부재의 단부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게 한 쌍의 단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연질의 수지재질 혹은 비닐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평행을 이루게 형성된 주름부 혹은 나선형을 이루게 형성된 주름부 중 어느 하나의 주름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종이 혹은 천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내주면에 나선형의 철심이 설치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 및 중심분할체와 하부분할체에는 각각 대응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분할체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들과, 상기 관통공들에 슬라이딩 되게 삽입되어 상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 및 중심분할체와 하부분할체를 각각 연결하며 상하단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된 연결봉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 및 중심분할체와 하부분할체에는 각각 대응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부분할체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들과, 상기 관통공들에 슬라이딩 되게 삽입되어 상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 및 중심분할체와 하부분할체를 각각 연결하며 상하단부에는 숫나선부를 형성하여 상기 숫나선부에 너트를 체결한 연결봉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들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들에 삽입되게 하나의 끈을 설치하여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를 연결하며, 상기 끈의 소정 부위에는 매듭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들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들에 삽입되게 하나의 연결바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바의 소정 부위에는 걸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상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사이와 상기 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의 사이를 각각 분리하여 힌지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하부분할체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을 관통되게 볼트와 너트로서 상기 상하부분할체를 중심분할체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각각 장공을 형성한 지지판을 상기 중심분할체의 내측으로 더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는 볼트와 너트로서 상기 중심분할체와 결합하며, 상기 지지판의 장공을 관통되게 볼트와 너트로서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삽입 가능한 안테나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하부분할체와 중심분할체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연등.
  28.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으로부터 불빛이 투시되게 한 불교용 연등에 있어서,
    철선을 절곡 형성하여 절첩 가능한 연등 골조를 이루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할틀체들; 및
    상기 분할틀체들이 펼쳐질 때 분리되지 않게 상기 분할틀체들이 상호 연결되는 인접한 분할틀체들의 단부에 절곡 형성한 걸림턱을 포함하는 연등.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틀체들 중에서 연등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분할틀체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고정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KR1020060004967A 2005-03-22 2006-01-17 연등 KR100763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729 2005-03-22
KR20050023729 2005-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267A KR20060102267A (ko) 2006-09-27
KR100763608B1 true KR100763608B1 (ko) 2007-10-04

Family

ID=3763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967A KR100763608B1 (ko) 2005-03-22 2006-01-17 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6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20B1 (ko) 2008-05-28 2011-01-12 성주용 연등
KR101033646B1 (ko) * 2010-08-12 2011-05-12 성주용 연등의 제조장치
KR101102599B1 (ko) * 2009-07-13 2012-01-03 성주용 라텍스 재질을 이용한 연등
KR101282311B1 (ko) 2012-12-21 2013-07-10 성주용 연등의 제조를 위한 금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900B1 (ko) 2007-10-31 2011-11-04 주식회사 케이티 선택스위치 장치,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스위칭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5089U (ko) * 1977-08-12 1979-03-07
JPS58144706U (ja) * 1982-03-24 1983-09-29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KR920002887Y1 (ko) * 1989-09-28 1992-05-08 한국프뢰벨 주식회사 조립블럭완구
KR20010002220U (ko) * 2001-05-11 2001-08-20 김기찬 절첩등
US20040027830A1 (en) * 2002-08-07 2004-02-12 Er-Shiang Chen Lampshade formed by a plurality of rings
KR20050012683A (ko) * 2003-07-25 2005-02-02 성주용 연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5089U (ko) * 1977-08-12 1979-03-07
JPS58144706U (ja) * 1982-03-24 1983-09-29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KR920002887Y1 (ko) * 1989-09-28 1992-05-08 한국프뢰벨 주식회사 조립블럭완구
KR20010002220U (ko) * 2001-05-11 2001-08-20 김기찬 절첩등
US20040027830A1 (en) * 2002-08-07 2004-02-12 Er-Shiang Chen Lampshade formed by a plurality of rings
KR20050012683A (ko) * 2003-07-25 2005-02-02 성주용 연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20B1 (ko) 2008-05-28 2011-01-12 성주용 연등
KR101102599B1 (ko) * 2009-07-13 2012-01-03 성주용 라텍스 재질을 이용한 연등
KR101033646B1 (ko) * 2010-08-12 2011-05-12 성주용 연등의 제조장치
KR101282311B1 (ko) 2012-12-21 2013-07-10 성주용 연등의 제조를 위한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267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608B1 (ko) 연등
US7055981B2 (en) Stretchable and shrinkable tree light strings
US8418434B1 (en) Fashion accessory of integrated continuous unit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8764234B1 (en) Decorative sphere
US8931811B1 (en) Monster tail loom for forming Brunnian links
US8171639B2 (en) Decorative bracelet and method of fabrication
US5426788A (en) Ring-like headwear ornament
US8899631B2 (en) Brunnian link making device and kit
US7007507B2 (en) Necklaces and bracelets with keepers
US7802448B2 (en) Jewelry clasp
JP2015503407A (ja) ブルニアンリンク作成装置及びキット
US6773134B2 (en) Illuminated artificial tree
US6769793B2 (en) Expandable decoration
US20230421944A1 (en) Ear-fitting headphone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US2759096A (en) Illuminated display rosary
US20130322061A1 (en) Artificial tree- chandelier combination
US20160175730A1 (en) Beads Connecting Toy and Beads Connecting Method
US3549465A (en) Ornaments
GB2482131A (en) Magnetic Hair Accessory Device
CA2452147C (en) Lamp shade assembly
US6398390B1 (en) Decorative lampshad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40233221A1 (en) Single Maneuver Setup Standalone Unit Umbrella Artificial Tree
CN108674080A (zh) 一种装饰单体及立体装饰物
KR200316772Y1 (ko) 연등
WO2020037590A1 (zh) 一种装饰单体及立体装饰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