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458B1 - 데이터캐스트 서비스 - Google Patents

데이터캐스트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458B1
KR100763458B1 KR1020067009528A KR20067009528A KR100763458B1 KR 100763458 B1 KR100763458 B1 KR 100763458B1 KR 1020067009528 A KR1020067009528 A KR 1020067009528A KR 20067009528 A KR20067009528 A KR 20067009528A KR 100763458 B1 KR100763458 B1 KR 10076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receiver
terminal
element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430A (ko
Inventor
토니 파일라
칼레 린델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8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4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in that additional data relating to the broadcast data are available via a different channel than the broad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3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affect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1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 made of the broadcast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서비스 요소 파일들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퍼레이터들로부터 입력(11)에서 수신된다.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은 버스트에서 순차적으로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요소들(20-23, 도 2 참조)을 구성한다. 버스트에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은 상이한 데이터 유형들의 콘텐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타이밍 데이터 서브시스템(14)은 수신기가 버스트내에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데이터캐스트의 시간들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각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에 의존하는 메타데이터는 요소 분석기(15)에 의해 상기 콘텐트 데이터와 별개로 구성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를 복호화하는 능력을 지닌 수신기의 클래스를 식별할 수 있거나,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을 식별할 수 있거나, 그것은 유일한 식별자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를 식별한다. 상기 서비스 요소들,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타이밍 데이터는 수신기 단말기들에 의한 수신을 위해 송신기 스테이션(13)에 의해 데이터캐스팅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일부로서 데이터캐스팅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헤더에서 또는 상기 서비스 요소들에 대한 상이한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캐스팅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캐스트 서비스{Datacast services}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캐스팅 장치 및 데이터캐스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랩톱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핸드헬드 단말기들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들을 통합하는 것에 대해 많은 검토가 있어 왔다.
복수의 서비스들이 주어진 채널 주파수에서 송신될 수 있도록 하는 시분할 또는 시간 다중 기반으로 데이터 서비스들이 송신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관심대상의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가 방송되고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들의 수신기들에 단지 전력이 공급될 필요가 있고 그들이 단지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복호화하며 처리할 필요가 있으며, 다른 때에는 꺼질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이동 단말기들에 대해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보통 수신기가 정기적인 간격에서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켜져 있는 것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방송 수신기들의 전력 소비가 더 감소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서비스의 복수의 서비스 요소들이 버스트내에서 순차적으로 데이터캐스팅되는 시스템에서 동작하기에 적합한 수신기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요소들 중 어느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탐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 요소들에 대응하는 버스트 기간에 하나 이상의 시간들에 상기 단말기내의 수신기가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버스트 기간의 나머지 기간동안 상기 수신기를 디세이블시키도록 되어 있는 수신기 단말기를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요소들 자체로부터 타이밍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지라도, 상기 단말기는 서비스 요소들의 송신 타이밍을 식별하는 수신된 타이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기를 인에이블 및 디세이블시키도록 구성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기 능력 정보와 수신된 서비스 요소 데이터 유형 정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요소들 중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탐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서비스 요소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요소 데이터 유형 정보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기 분류 정보와 수신된 서비스 요소 분류 정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요소들 중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탐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서비스 요소 분류 정보는 단지 레벨, 예를 들어 높은, 중간, 낮은 능력에 관한 것일 수 있거나, 예를 들어 특정 양 이상의 롬 또는 램 또는 특정 디스플레이 또는 복호화 특성을 요구하는, 수신기 요건에 대해 더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소 분류 정보가 관련되는 것과 상관없이,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서비스 요소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소 분류 정보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수신된 서비스 요소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언급된 정보 중 어떤 정보를 결정하는 것은 단순한 데이터캐스팅을 허용하고, 요구되는 경우에만 복잡성이 상기 수신기 단말기에 내장되도록 허용하는데, 상기와 같이 되어 있지 않은 수신기 단말기들은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소 식별자를 쉽게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 분류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류 설정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 매개 변수들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은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수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상기 수신기 분류 설정의 조정은 위쪽 또는 아래쪽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는 원격 스테이션에 상기 단말기의 특성을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어떤 경우에도, 상기 단말기는 원격 스테이션 또는 상기 원격 스테이션에 소비되고 있는 서비스를 통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신기 단말기는 이동, 핸드헬드 단말기일 수 있지만, 이동 단말기들이 명백하게 어떤 이점들을 가질지라도, 이것은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서비스의 복수의 서비스 요소들이 버스트내에서 순차적으로 데이터캐스팅되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요소들 중 어느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 요소들에 대응하는 버스트 기간에 하나 이상의 시간들에 신호들이 수신되고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버스트 기간에서 상기 시간의 나머지 기간동안 신호 수신 및 처리를 허용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버스트에서 순차적으로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요소들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순서기로서, 버스트내의 상이한 서비스 요소들이 상이한 데이터 유형들의 콘텐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순차기; 상기 콘텐트 데이터와 별개로 각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에 의존하는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메타데이터 처리기; 수신기 단말기가 버스트내의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데이터캐스트의 시간들을 결정할 수 있는 타이밍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타이밍 데이터 처리기; 및 상기 서비스 요소들,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타이밍 데이터를 데이터캐스팅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캐스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수신기의 클래스를 식별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가 이러한 클래스 또는 데이터 유형을 식별할 수 있든 아니든 간에,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수신기 단말기가 다른 데이터 소스, 예를 들어 필요한 경우 데이터캐스트 오퍼레이터의 웹페이지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유형 또는 분류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데이터 유형 또는 분류 정보는 그대신 다른 적합한 정보 소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헤더의 일부로서 데이터캐스팅될 수 있다. 이것은 다른 베어러들을 통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단말기들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하다. 하지만,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그대신 상기 서비스 요소들에 대한 상이한 베어러들을 통해 데이터캐스팅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상기 메타데이터는 PSI/SI 테이블의 일부로서 데이터캐스팅될 수 있거나, 그것은 어떤 적합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순서기는 인지된 우선 순위에 의존하는 순서로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요소들을 배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높은 우선 순위를 지닌 서비스 요소들은 함께 그룹화될 수 있고, 낮은 우선 순위를 지닌 서비스들은 높은 우선 순위를 지닌 서비스 요소들 이전 및/또는 이후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서비스 요소들은 올림차순 또는 내림차순 우선 순위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는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의 특성을 식별하는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요소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버스트내에서 순차적으로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요소들을 데이터캐스팅하는 단계로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은 상이한 데이터 유형들의 콘텐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 데이터와 별개로, 각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에 의존하는 메타데이터를 데이터캐스팅하는 단계; 및 수신기 단말기가 버스트내에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데이터캐스트의 시간들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캐스팅'이라는 용어는 데이터의 방송 또는 멀티캐스팅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고, '데이터캐스트'라는 용어는 그에 따라 해석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단지 예로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떤 태양들에 의한 데이터 방송 스테이션의 요소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테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어떤 태양들에 의한 이동 수신기들의 개략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캐스트 장치(10)가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된다. 본 예에서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10)는 지상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T) 또는 헨드헬드 DVB(DVB-H) 링크를 통한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에 적합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10)는 대안적으로 어떤 다른 유형의 데이터캐스팅 시스템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10)는 일반적으로 입력(11)으로서, 상기 입력(11)을 통해 서비스 요소 파일들이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오퍼레이터들로부터 수신되는 입력(11), 캡슐화 및 다중화 장치(12) 및 방송 송신기(13)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방송 송신기(13)는 동일한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는데, 즉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과 동일한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요소들(12 및 13)은 서로에 대해 로컬이거나 서로로부터 원거리에 있을 수 있는, 개별 하드웨어 장치들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는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과 양방향 통신하도록 연결되는, 타이밍 데이터 서브시스템(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캐스트 송신기(13)는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련된 DVB 표준들에 따라 송신하기 전에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 반송파에 변조시킨다.
단순히 설명하면,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는 복수의 서비스들에 관한 서비스 요소 파일들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데이터 스트림에서 순차적으로 주어진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요소들을 배열하도록 되어 있으며, 헤더가 이미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소들 각각에 적합한 헤더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고, 상이한 서비스들을 함께 다중화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들 및 서비스 요소들에 적합한 타이밍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송신기 스테이션(13)의 범위내에서 수신기 단말기들에 의한 수신을 위해 결과로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캐스팅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을 달성하는 다수의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몇몇 방법들이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의 장치에 의해 데이터캐스팅되는 신호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수평축은 선이고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다. 제1 서비스('서비스 1'로 표시됨)에 관해 제1 내지 제4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이 순차적으로 송신된다. 상기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은 본 예에서 중요하지 않을지라도, 다양한 길이의 송신 기간들을 지닌다. 상기 제1 서비스 요소(20)는 시간 T(c,t)에서 송신을 시작하고 상기 제4 서비스 요소(23)는 시간 T(c+3,t)에서 송신을 시작하며, 상기 제2 및 제3 서비스 요소들(21 및 22)은 각각 T(c+1,t) 및 T(c+2,t)의 송신 시작 시간을 갖는다. 상기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 각각은 콘텐트 페이로드 및 헤더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에 대한 헤더 섹션들은 각각 25 내지 28로 표시되고, 상기 페이로드 섹션들은 각각 29 내지 32로 표시된다. 본 예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요소(20)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비스 요소(21)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서비스 요소(22)는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서비스 요소(23)는 향상된 비디오 계층을 구성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2 서비스('서비스 2'로 표시됨)에 관해, 제1 내지 제4 서비스 요소들(34 내지 37)이 도시된다. 도시되지 않을지라도, 상기 서비스 요소들(34 내지 37) 각각은 또한 헤더 섹션 및 콘텐트 페이로드 섹션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비스 요소들(34 및 35)은 각각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서비스 요소들이고, 상기 제3 서비스 요소(36)는 JPEG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서비스 요소(37)는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파일의 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비스의 제1 내지 제4 서비스 요소들(34 내지 37) 다음에, 제1 서 비스 요소(38)가 제2 버스트에 관해 그리고 상기 제1 서비스와 관련하여 송신되는 시간 T(c,t+1) 이전에 하나 이상의 추가 서비스들(미도시)에 관해 서비스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스트의 제1 서비스의 제1 서비스 요소가 송신되기 시작하는 시간 T(c,t)와 다음 버스트에서의 대응하는 시간 T(c,t+1)간의 간격은 버스트 기간으로 알려져 있다. DVB-T 또는 DVB-H에 대한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캐스팅(IPDC: Internet Protocol datacasting)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기간은 비록 이것이 다른 데이터캐스팅 시스템들에 대한 경우가 아닐지라도,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더욱이, 상기 제1 서비스의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의 송신 길이는 상기 버스트 각각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송신 지속 시간은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버스트들간에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더들(25 내지 28) 각각은 상기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의 대응하는 페이로드 콘텐트 섹션(29 내지 32)에서 데이터의 유형을 기술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캐스트는 상기 IPDC 서비스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 및 34 내지 37) 각각의 시작 시간을 식별하는 타이밍 데이터이다. 상기 타이밍 데이터는 어떤 적합한 방법으로 송신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헤더에서 또는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페이로드에서, 또는 상기 서비스 요소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IPDC 송신들과 관련된 PSI/SI 데이터 테이블의 일부로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데이터는 상기 시스템에서 어떤 레벨로 헤더에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버스트 헤더, 패킷 헤더 또는 설 명된 서비스 요소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데이터는 어떤 적합한 형태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한 버스트에서 서비스 요소의 송신 시작 시간을 절대적으로 식별할 수 있고 버스트간 간격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것은 연속적인 버스트들에서의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들의 시작 시간들이 모호하지 않게 계산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서비스 요소들에 대응하는 송신 데이터의 시작 시간은 송신기 스테이션(13)에 알려져 있고 수신기 스테이션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어떤 시간과 관련하여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송신 시작 시간들이 수신기 스테이션에 의해 계산되는 정확한 방법은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아서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상기 타이밍 데이터는 도 3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요구되는 서비스 요소들이 입력되는 경우 버스트 기간에 단지 때때로 수신 단말기의 수신기를 스위치 온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 버스트 기간의 나머지 기간동안 상기 수신기를 디세이블시키기 위하여 수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헤더들(25 내지 28)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와 함께 사용된다.
단말기(39)는 결합된 이동 전화 핸드셋 및 DVB-T 수신기의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단말기(39)는 수신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그것은 수신기 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기 단말기(39)는 각각 DVB-T 수신기(42)와 이동 전화 송수신기(43)에 연결된, 제1 및 제2 안테나들(40, 41)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42) 및 상기 송수신기(43)는 각각 수신된 신호들을 증폭하고 복조하기 위한 RF 신호 처리 회로들(미도시) 및 채널 복호화 및 역다중화를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 단말기(39)는 또한 제어기(44), 사용자 인터페이스(45),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46), 부호기/복호기(코덱)(49), 대응하는 증폭기(51)를 지닌 스피커(50) 및 대응하는 전치-증폭기(53)를 지닌 마이크로폰(52)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42) 및 상기 송수신기(43)는 상기 제어기(44)의 제어하에서 동작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45)는 디스플레이(53) 및 키패드(55)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53)는 예를 들어 관용적인 이동 전화의 디스플레이보다 더 넓은 그리고/또는 더 높은 해상도를 지님으로써 그리고 컬러 이미지들을 나타낼 수 있음으로써 이미지들 및 비디오를 표시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수신기 단말기(39)는 또한 예를 들어 DC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재충전가능한 배터리(56)의 형태인 전원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44)는 상기 메모리들(46) 중 하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미도시)의 지시하에 상기 수신기 단말기(39)의 동작을 관리한다. 상기 제어기(44)는 상기 디스플레이(53)에 출력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키패드(55)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기 단말기(39)는 상기 DVB-T 네트워크 및 이동 전화 네트워크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에 적합한 단일 수신기 및 상기 이동 전화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기에 적합한 송신기를 제공함으로써 변경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양 네트워크들을 통해 양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 일 송수신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기(44)는 상기 헤더(25 내지 28)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소 데이터 유형을 식별하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에 논의된, 상기 타이밍 데이터를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44)는 상기 이동 단말기(39)의 능력 및 구성에 관한 지식을 사용하여 상기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 중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것은 어떤 적합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53)의 해상도가 보통의 비디오 표시보다 현저하게 더 나은 고해상도 비디오 표시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는 상기 제어기(44)는 향상된 비디오 계층 서비스 요소(23)가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다중-언어 서브타이틀을 운반하는 제3 서비스 요소(22)가 수신될 필요가 없다는 결정을 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기 단말기(39)에 다중-언어 서브타이틀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지식을 상기 제어기(44)가 또한 사용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39)가 상기 콘텐트 페이로드들(29 및 30)로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할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기(44)는 상기 제1 및 제2 서비스 요소들(20 및 21)이 수신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서비스 요소들 중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한 후, 상기 제어기(44)는 상기 DVB-T 수신기(42)를 스위치 온되도록 제어하여 시간들 T(c,t)와 T(c+2,t) 사이에 그리고 또한 연속적인 버스트 기간들에서 대응하는 시점들 동안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기(44)는 상기 버스트 기간들에서 다른 시간 들동안 상기 DVB-T 수신기를 스위치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 버퍼링 또는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DVB-T 수신기(42)는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 요소들에 관한 데이터가 안테나(40)로부터 입력되는 경우에만 스위치 온되고, 모든 다른 시간에는 디세이블된다. 이것은 상기 재충전가능한 배터리(56)로부터의 전력이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 요소들(20, 21)을 수신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되고, 요구되지 않는 서비스 요소들(22 및 23)을 수신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기 단말기(39)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의 형태로 제공되고, 이제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키패드(55)가 터치 스크린 및 스타일러스 입력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을지라도, 상기 PDA(39)는 도 3의 이동 단말기의 모든 요소들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53)는 상기 이동 전화의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보다 훨씬 더 큰 크기를 지닌다.
도 2에 도시된 신호의 수신시, 상기 PDA(39)는 상기 제1 및 제2 서비스 요소들(20 및 21)이 상술된 이동 전화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신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하지만, 상기 PDA(39)는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53)가 향상된 비디오 계층 서비스 요소(23)의 페이로드 콘텐트(32)를 사용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결정한다. 상기 제어기(44)는 상기 PDA(39)가 상기 제3 서비스 요소(22)의 보조 데이터 페이로드 콘텐트(31)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결정한다.
상기 PDA(39)가 이동 전화로서 동작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송수신기(43) 및 상기 안테나(41)는 상기 마이크로폰(52)과 상기 증폭기(53)와 함께 생략될 수 있다. 상기 PDA에 그대신 헤드폰 잭이 제공되는 경우 라우드스피커(50)가 또한 생략될 수 있는데, 이 실시예는 설명되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된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TFT 디스플레이 또는 어떤 다른 유형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61) 각각에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60),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63), 키보드(64), 램(65), 롬(66) 및 하드 드라이브(67)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랩톱 컴퓨터(59)가 도시된다. 상기 랩톱 컴퓨터(59)는 안테나(69)를 통해 DVB 데이터캐스트 송신들을 수신하는, DVB-T 또는 DVB-H 수신기(68)가 제공된다는 것을 제외하곤, 대부분 관용적이다. 또한, 상기 롬(66)에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가 상기 DVB-T 수신기(68)의 적합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키보드(64) 및 상기 디스플레이(61)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1)와 상기 스피커(63)를 사용하여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를 나타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도 3의 제어기(44)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특히,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상기 헤더들(25 내지 28)에 포함된 메타데이터 및 그것의 능력과 구성으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4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 각각이 상기 랩톱 컴퓨터(60)에 의해 수신되고 사용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고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상기 DVB-T 수신기(68)를 제어하여 상기 시간들 T(c,t)와 T(d,t) 사이 및 연속적인 버스트 기간들에서의 대응하는 시간들 사이에 수신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처리한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 각각으로부터의 페이로드 콘텐트 데이터(29 내지 32)가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61) 및 상기 스피커(들)(63)에서 출력을 제공시 이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전화 또는 PDA(39) 및 상기 랩톱 컴퓨터(59)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능력에 기반하여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요소가 MPEG4 파일인 콘텐트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MPEG4 복호화 소프트웨어가 상기 이동 단말기(39, 59)에서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39, 59)가 MPEG4 복호화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가 요구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어서 상기 수신기(42, 68)는 그 서비스 요소의 송신동안 스위치 온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기(44, 60)에 의해 제어될 것이다. 유사하게, MP3 파일을 복호화하기 위하여 MP3 복호화 소프트웨어가 요구되고, JPEG 파일들을 복호화하기 위하여 JPEG 복호화 소프트웨어가 요구된다.
서비스 요소가 데이터 파일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 그 서비스 요소의 대응하는 헤더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파일의 전체 크기를 식별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수신기 단말기(39, 59)는 그것이 (일련의 버스트들을 통해 송신되는) 전체 파일을 저장하기에 충분한 메모리를 구비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충분한 메모리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데이터 파일에 관한 서비스 요소들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은 상기 파일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파일, 예를 들어, 게임 또는 PDF 파일과 같은 문서 파일 또는 스프레드시트 또는 워드 프 로세서 파일인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파일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인 경우, 일정한 양의 램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요구될 것 같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램의 양은 상기 파일의 크기 뿐만 아니라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어서, 상기 수신기는 그것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대응하는 페이로드 콘텐트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을 직접 식별하지 않는다. 그대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를 소비하는데 요구되는 수신기 단말기의 클래스를 식별할 수 있다. 단순한 예에서, 3가지 클래스의 수신기 단말기 능력들이 존재할 수 있는데, 즉 제한된 수신기, 중간 수신기 및 하이-엔드(high-end) 수신기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각 수신기(39, 59)에는 그것이 속한 클래스를 식별하는 데이터가 공급될 수 있다. 중간 레벨 수신기로서 분류되기 위하여, 수신기는 상기 IPDC 오퍼레이터에 의해 중간 클래스로 분류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능력들 모두를 포함해야 한다. 대응하는 요건들은 하이-엔드 및 제한된 수신기 클래스들에 적용된다. 수신된 서비스 요소의 헤더로부터 클래스 정보를 복호화할 때, 상기 수신기 단말기(39, 59)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가 수신되고 처리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결정에 도달하기 위하여 이것을 상기 수신기 분류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가 제한된 수신기로서 분류되는 경우, 그것은 제한된 수신기 클래스가 적합하다고 상기 헤더가 식별하는 서비스 요소들을 단지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중간 클래스 수신기는 중간 및 제한된 클래스 수신기들에 대한 서비스 요소들을 수신하 고 처리하도록 되어 있고 나머지도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상기 분류들 중 하나를 만족시키는데 요구되는 상기 수신기 능력은 어떤 적합한 방법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39, 59)에 이용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류는 판매 이전에 상기 수신기 단말기(39, 59)에 사전-프로그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정보는 상기 송신된 콘텐트와 함께 데이터캐스팅될 수 있거나, 다른 채널을 통해 데이터캐스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정보는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운영되는 웹페이지상에서 이용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오퍼레이터에 의해 지정된 전화 번호에 대한 MMS 또는 SMS 요구에 대한 SMS 또는 MMS 응답과 같이, 다른 적합한 방법으로 다른 소스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39, 59)에 그것의 분류 또는 분류를 가지도록 충족되는데 필요한 요건을 통지하는 정확한 모드는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다.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신기 단말기의 분류는 사용자에 이용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메뉴 옵션을 통해 이용가능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상기 수신기 분류가 상기 제어기(44, 60)에 의해 결정된 경우 그것은 상기 디스플레이(53, 61)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39, 59)의 분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분류는 상기 수신기(39, 59)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분류는 상기 제어기(44, 6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39, 59)의 잔여 전력 자원들이 낮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44, 6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분류를 자동으로 강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분류를 강등하는 것은 소수의 서비스 요소들이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초래하고, 따라서 소수의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되고 처리된다. 이것은 감소된 전력 소비를 초래해서, 잔여 전력이 불충분하기 전에 시간의 양을 증가시켜 상기 이동 수신기 단말기(39, 59)가 스위치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신기 단말기(39, 59)의 분류는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수신기 단말기(39, 59)가 이전에 경험된 것보다 낮은 분류에 들어가지는 것을 초래하는, 이용가능한 롬 또는 램의 양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변경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기 단말기(39, 59)는 상기 분류가 업그레이드될 수 있도록 동작가능하다. 상기 분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상기 수신기 단말기(39, 59)로 하여금 높은 분류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DA(39)는 하이-엔드 수신기로서 분류될 필요가 있는 많은 상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능력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의 필수적인 능력들을 빠뜨릴 수 있어서 하이-엔드 수신기로서 분류될 수 없다. 하지만, 이것은 상기 PDA(39)가 하이-엔드 수신기들에 의해 사용가능한 것으로 분류되는 모든 서비스 요소들의 콘텐트를 수신하고 소비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데, 단지 이러한 것이 보장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수신기 단말기(39, 59)의 분류를 수동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상기 PDA(39)가 소비할 수 있지만 상기 PDA에게 자격이 주어진 것보다 더 높은 분류로 분류되는 콘텐트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어떤 수신되고 처리된 서비스 요소들도 상기 PDA(39)에 소비하도록 구비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DA(39)는 상기 데이터를 소비할 수 없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PDA(39)는 사용자에게 이것을 알릴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이것은 사용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신기 단말기(39, 59)의 분류가 가장 기본적인 분류 위에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는 원하는 분류를 선택하는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게 하는 것은 그것이 사용자로 하여금 전력 소비율에 영향을 미치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유리한데, 이것은 그 또는 그녀로 하여금 풍부한 콘텐트와 연장된 배터리 수명 간에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3개 이상의 분류 옵션들 간에 선택하는 옵션을 지니는 경우, 이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연장된 배터리 수명 및 콘텐트의 풍부함 간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하나 이상의 절충안들 간에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서비스 요소의 콘텐트를 소비하는데 요구되는 수신기의 분류를 식별하는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요소내의 데이터의 유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 뿐만 아니라 또는 그 대신에, 각 서비스 요소는 요소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는 상기 서비스 요소를 분류 정보 또는 데이터 유형 메타데이터가 제공되지 않는 다른 서비스 요소들로부터 유일하게 식별할 필요가 있다. 수신기 단말기(39, 59)는 상기 요소 식별자를 사용하여 오퍼레이터의 웹페이지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정보 소스로부터,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를 소비하는데 요구되는 수신기의 분류 또는 데이터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는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상기 수신기 단말기들의 실제 또는 가정된 특성들에 의존하는 서비스에 관한 타임슬롯내에 상기 서비스 요소들에 대한 순서(order)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입력(11)으로부터 서비스 요소 파일들을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에 병렬로 연결된 것은 요소 분석기(15)이다. 상기 요소 분석기(15)는 상기 입력(11)에서 수신된 서비스 요소들 각각의 부분을 형성하는 데이터를 검사하고 그것으로부터 그것의 데이터 유형을 결정한다. 이것은 어떤 적합한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극단적인 경우, 상기 요소 분석기(15)는 수신된 데이터를 복수의 소프트웨어 에뮬레이터들에 인가할 수 있는데, 상기 소프트웨어 에뮬레이터들 중 하나가 그것의 출력으로서 사용가능한 콘텐트를 생성하는 것이 발견될 때까지, 각 소프트웨어 에뮬레이터는 상이한 데이터 소비 프로그램을 에뮬레이션한다. 어떤 에뮬레이터가 만족할만한 출력을 지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가 어떤 데이터 유형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극단적인 경우, 상기 요소 분석기(15)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에서 상기 데이터의 유형을 명백하게 식별하는 서비스 요소 파일들에 첨부되거나 상기 서비스 요소 파일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이터를 단순히 읽을 수 있다. 어떤 다른 방식도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의 입력(11)에서 수신된 상기 서비스 요소 파일들이 상기 서비스 요소들이 관련된 데이터 유형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요소 분석기(15)는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데이터 유형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제공하 도록 되어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을 식별하는 헤더를 상기 서비스 요소들 각각에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에 의해 사용된다. 물론, 이것은 상기 데이터캐스트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에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을 특히 식별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경우에만 수행되는데, 모든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요소 분류기(16)는 상기 요소 분석기(1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요소 분류기(16)는 상기 요소 분석기(15)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에 기반하여 어떤 클래스의 수신기 단말기가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콘텐트를 소비하는데 필요한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서비스 요소 데이터 유형을 식별하는 메타데이터와 함께 상기 정보는 상기 요소 분류기(16)로부터 수신기 구성 분류 및 분석 모듈(18)로 전달된다.
수신기 구성 데이터베이스(17)는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에 의해 데이터캐스팅된 서비스를 소비하고 있고 수신기 단말기들의 구성들을 상기 장치에 알리도록 선택하는 상기 수신기 단말기들 모두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7)는 다수의 섹션들(미도시)로 분할되는데, 한 섹션은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에 의해 처리되는 서비스들 각각에 대한 것이다. 상기 수신기 구성 데이터의 정확한 형태는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다. 일 예에서, 그것은 상기 수신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능력들을 식별하는 정보 및 상기 대응하는 수신기 단말기가 소비하고 있는 서비스(또는 서비스들)의 유형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다. 상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능력들에 관해 제공되는 상세의 레벨은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데 요구되는 분석 처리량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상세의 양은 상기 수신기 단말기(39, 59)로부터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로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양을 결정한다. 이것은 사용된 통신 채널이 이동 전화 네트워크인 경우 특히 중요하다. GPRS는 그것이 SMS, MMS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대신 전달될 수 있을지라도, 상기 정보의 전달을 위한 특히 편리한 채널로 알려져 있다. 전달된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기 구성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7)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그다음 그들이 소비하고 있는 서비스(들) 및 그들의 아이덴티티에 대해 수신기 단말기에 의해 통지가 행해진다. 수신기 구성의 변경이 또한 통지될 수 있다.
상기 수신기 구성 분류 및 분석 모듈(18)은 상기 요소 분류기(16) 및 상기 수신기 구성 데이터베이스(17)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서비스 요소들에 대한 가장 적합한 순서를 결정한다. 이것은 상기 서비스들 각각에 대해 수행된다. 가장 적합한 서비스 요소 순서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정확한 알고리즘은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다. 결과로서 생성되는 순서는 상기 서비스 요소들을 적합한 순서로 배열하는,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으로 전달된다.
상기 데이터 유형 정보가 상기 데이터캐스트에서 제공될 필요가 있고 상기 정보에 상기 입력(11)에서 수신된 상기 서비스 요소 파일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유형 정보는 상기 요소 분류기(16)에 의해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에 직접 제공되는데, 유형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캐스트 송신기(13)에 공급 된 전송 스트림들에 적합하게 포함된다.
상기 수신기 단말기들(39, 59)은 그들의 구성 및/또는 그들이 소비하고 있는 서비스들을 어떤 적합한 방법으로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에 통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통지하기 위한 명령의 데이터캐스트 신호에의 포함에 의해 시작될 수 있거나, 그것은 주기적으로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기준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수신기 특성 및 서비스 소비 데이터의 통지는 사용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하지만, 통지가 예를 들어 비용이 부담될 수 있는 이동 전화 채널의 사용을 통해 사용자에게 비용 부담을 야기하는 경우, 상기 수신기 단말기(39, 59)는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에 수신기 특성의 통지를 제공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의 긍정 응답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 단말기들(39, 59)은 또한 이동 전화 네트워크(미도시)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WAP 또는 SMS 또는 MMS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방식을 사용하여 서비스들 또는 서비스들 그룹들에 가입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가 서비스를 소비하고 있는 수신기 단말기들의 특성들 및 능력들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상기 정보의 부재시, 상기 장치(10)는 각 서비스 요소가 관련된 수신기 단말기에 의해 사용가능할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이것은 어떤 적합한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데이터캐스팅 장치(10)는 소수의 수신기 단말기들(39, 59)에 의해 소비가능한 서비스 요소들이 양단은 아닌, 순서의 시작 또는 끝에 배치되도록 하는 순서로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요소들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수신기가 각 버스트 기간동안 단지 한번만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될 필요가 있을 확률을 최대화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특히, 기본적인 수신기는 도 2에 도시된 제1 서비스에 관한 상기 제1 및 제2 서비스 요소들(20 및 21)만을 소비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소들(20 및 21)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상기 기본적인 수신기 단말기는 버스트 기간동안 그것의 수신기를 단지 스위치 온시킬 필요만 있다. 이 경우 제4 서비스 요소(23)보다 더 소비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제3 서비스 요소(23)의 포함은 상기 제2 서비스 요소(2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PDA(39)와 같은, 중간 분류 수신기 단말기는 상기 버스트 간격내에서 한번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2)을 수신할 수 있고 다른 서비스 요소들은 수신할 수 없다. 수신기 단말기(39, 59)에 의해 가장 적게 소비될 것 같은 것으로 여겨지는, 상기 제4 서비스 요소(23)는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의 그룹 주변에 포함된다.
상기 서비스 요소들(20 내지 23)의 순서가 역전될 수 있는 것이 동등하게 가능하기 때문에 수신기 단말기에 의해 가장 소비될 것 같은 서비스 요소들이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서 상기 순서의 시작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수신기들이 동일한 서비스 요소의 끝에서 스위치 오프될지라도,기본적인 수신기는 하이-엔드 수신기의 스위치-온 시간보다 더 나중에 스위치 온될 것이다. 다른 대안은 주어진 서비스에 할당된 타임슬롯의 중간에 가장 소비될 것 같은 서비스 요소들을 포함시키고 더 인기있는 서비스 요소들 이전 및 이후에 수신기 단말기에 의해 덜 소비될 것 같은 서비스들을 배열하는 것일 것이다. 본 실시예 는 상이한 수신기 분류들과 반드시 관련되지 않지만 그들의 소비를 위해 상이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 요소들이 존재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서비스내의 상기 서비스 요소들은 상기 설명된 방법 중 어떤 방법에 따라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에 의해 순서화된다.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은 또한 상기 데이터캐스트 송신기(13)로 송신된 전송 스트림들에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송신 시간들을 식별하는 메타데이터 뿐만 아니라, 상기 서비스 요소들 각각의 분류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데이터 유형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데이터는 상기 타이밍 데이터 서브시스템(14)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서브시스템(14)은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콘텐트 페이로드들을 구성하는 상기 데이터 파일들의 크기들을 식별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관한 타임 슬롯내의 서비스 요소들의 순서화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으로부터 수신하고, 그것에 대한 타이밍 데이터를 계산한다. 데이터는 상기 메타데이터 및 타이밍 데이터 서브시스템(14) 및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 간에 양방향으로 전달된다. 결과로서 생성된 전송 스트림들은 상기 캡슐화 및 다중화 시스템(12)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송신기(13)로 전달된다.
주어진 서비스에 관한 타임슬롯내에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순서화는 또한 상기 서비스 요소의 크기에 의존할 수 있는데, 즉 상기 서비스 요소들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의 양에 의존할 수 있다. 특히, 더 큰 서비스 요소들은 그들이 타임슬롯에서 나중보다 타임슬롯에서 더 일찍 송신될 것 같도록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수신 할 수 있다. 하지만, 버스트내에서 송신의 순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상기 요소들의 크기 뿐만 아니라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데이터 유형이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기 단말기(39, 59)에 의한 수신의 용이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순서는 연속적인 버스트들내에서 동일하다. 하지만,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순서는 어떤 경우 버스트들 간에 변경될 수 있다.
모든 수신기들이 아닌 몇몇 수신기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서비스 요소의 다른 예는 순방향 에러 정정(FEC)이 사용되는 경우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제1 서비스의 비디오 및 오디오 서비스 요소들(20 및 21)을 포함하는 데이터는 다중프로토콜 캡슐화-FEC(MPE-FEC) 및 도시된 향상된 비디오 계층 서비스 요소 대신에 상기 제4 서비스 요소(23)로서 제공된 결과로서 생성된 패리티 데이터에 종속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에러 정정이 적합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리드-솔로몬(Reed-Solomon) 복호기와 같은 특정 복호기가 상기 수신기 단말기들(39, 59)에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FEC 패리티 데이터 서비스 요소(23)는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고 복호화하는 모두는 아닌 몇몇 수신기 단말기들(39, 59)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FEC 복호화 능력은 이것이 필수적이지 않다고 이해될지라도, 수신기 단말기(39, 59)가 하이-엔드 수신기로서 분류되는데 필요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공된 보호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들이 DVB-T 방송/데이터캐스트 네트워크에 관한 것일지라도,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대신 본 발명은 통합 서비스 디 지털 방송-지상(ISDB-T) 또는 미국 차세대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US ATSC) 시스템 또는 어떤 다른 유형의 방송 데이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서비스 요소들이 각 서비스에 대해 도시될지라도, 이것은 단지 예이고, 그 대신 어떤 수의 서비스 요소들도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서비스들은 또한 상이한 수의 서비스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술된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서비스 요소들 및 타이밍 데이터의 송신의 상대적인 순서는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헤더에 포함되어서, 베어러의 시그널링과 대역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PSI/SI 테이블에 적합한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방법으로, 대역 바깥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적합한 정보가 서비스를 요구하는 수신기 단말기들에 이용가능해진다는 것이 보장될 필요가 있을지라도, 상술된 방법으로 헤더들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대안적으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상대적인 순서는 개별적으로 송신된 상기 타이밍 데이터 및 상기 헤더(들)에서 송신될 수 있거나, 그 반대도 성립한다.

Claims (42)

  1. 서비스의 복수의 서비스 요소들이 버스트내에서 순차적으로 데이터캐스팅되는 시스템에서 동작하기에 적합한 수신기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요소들 중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탐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 요소들에 대응하는 버스트 기간에 하나 이상의 시간들에 상기 단말기내의 수신기가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버스트 기간의 나머지 기간동안 상기 수신기를 디세이블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서비스 요소들의 송신 타이밍을 식별하는 수신된 타이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기를 인에이블 및 디세이블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기 능력 정보와 수신된 서비스 요소 데이터 유형 정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요소들 중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탐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서비스 요소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소 데이터 유형 정보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기 분류 정보와 수신된 서비스 요소 분류 정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요소들 중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탐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서비스 요소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소 분류 정보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분류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설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설정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 매개 변수들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단말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원격 스테이션에 상기 단말기의 특성을 통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단말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원격 스테이션 또는 상기 원격 스테이션에 소비되고 있는 서비스를 통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단말기.
  11. 서비스의 복수의 서비스 요소들이 버스트내에서 순차적으로 데이터캐스팅되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요소들 중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 요소들에 대응하는 버스트 기간에 하나 이상의 시간들에 신호들이 수신되고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실질적으로 상기 버스트 기간에서 상기 시간의 나머지 기간동안 신호 수신 및 처리를 허용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서비스 요소들의 송신 타이밍을 식별하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 수신 및 처리를 허용하고 허용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신기 능력 정보와 수신된 서비스 요소 데이터 유형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요소들 중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서비스 요소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소 데이터 유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신기 분류 정보와 수신된 서비스 요소 분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요소들 중 어떤 서비스 요소들이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서비스 요소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소 분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분류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설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단말기 매개 변수들의 변경의 감지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상기 분류 설정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원격 위치에 상기 단말기의 특성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원격 위치 또는 상기 원격 위치에 소비되고 있는 서비스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버스트에서 순차적으로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요소들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순서기로서, 버스트내의 상이한 서비스 요소들이 상이한 데이터 유형들의 콘텐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순서기;
    상기 콘텐트 데이터와 별개로, 각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에 의존하는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메타데이터 처리기;
    수신기 단말기가 버스트내의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데이터캐스트의 시간들을 결정할 수 있는 타이밍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타이밍 데이터 처리기; 및
    상기 서비스 요소들, 상기 메타데이터 및 상기 타이밍 데이터를 데이터캐스팅하도록 되어 있는 데이터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수신기의 클래스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일부로서 데이터캐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헤더의 일부로서 데이터캐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27.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요소들에 대한 상이한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캐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기는 인지된 우선 순위에 의존하는 순서로 서비스에 관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을 배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높은 우선 순위를 지닌 서비스 요소들은 함께 그룹화되고, 낮은 우선 순위를 지닌 서비스들은 높은 우선 순위를 지닌 서비스 요소들 이전 및/또는 이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서비스 요소들은 올림차순 또는 내림차순 우선 순위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31.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관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트 장치.
  32.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버스트내에서 순차적으로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요소들을 데이터캐스팅하는 단계로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은 상이한 데이터 유형들의 콘텐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상기 콘텐트 데이터와 별개로, 각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에 의존하는 메타데이터를 데이터캐스팅하는 단계; 및
    수신기 단말기가 버스트내에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데이터캐스트의 시간들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데이터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수신기의 클래스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데이터 유형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일부로서 상기 메타데이터를 데이터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 요소의 헤더의 일부로서 상기 메타데이터를 데이터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38.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상기 서비스 요소들에 대한 상이한 베어러를 통해 상기 메타데이터를 데이터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39.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인지된 우선 순위에 의존하는 순서로 서비스에 관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높은 우선 순위를 지닌 서비스 요소들을 함께 그룹화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낮은 우선 순위를 지닌 서비스들을 높은 우선 순위를 지닌 서비스 요소들 이전 및/또는 이후에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서비스 요소들을 올림차순 또는 내림차순 우선 순위 순서로 순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42.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캐스트 장치가 서비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관한 상기 서비스 요소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캐스팅 방법.
KR1020067009528A 2003-11-18 2004-11-10 데이터캐스트 서비스 KR100763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26835A GB2408433A (en) 2003-11-18 2003-11-18 Datacasting service components sequentially within a burst
GB0326835.6 2003-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430A KR20060086430A (ko) 2006-07-31
KR100763458B1 true KR100763458B1 (ko) 2007-10-04

Family

ID=2976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528A KR100763458B1 (ko) 2003-11-18 2004-11-10 데이터캐스트 서비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25945B2 (ko)
EP (1) EP1685667B1 (ko)
KR (1) KR100763458B1 (ko)
CN (1) CN1883143B (ko)
AT (1) ATE492952T1 (ko)
DE (1) DE602004030710D1 (ko)
GB (1) GB2408433A (ko)
PL (1) PL1685667T3 (ko)
WO (1) WO2005050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9431B2 (en) * 2005-01-28 2012-07-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selection by a mobile node of a network portion to communicate to effectuate a selected communication service
FR2891973B1 (fr) * 2005-10-10 2007-12-07 Sagem Comm Procede et dispositif de changement de groupes de datagrammes achemines par des paquets d'un flux de transport recu par un dispositif de reception radiofrequence
KR100746291B1 (ko) * 2006-06-29 200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채널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과 그 장치
US8218559B2 (en) * 2007-05-15 2012-07-10 Nokia Corporation Providing best effort services via a digital broadcast network using data encapsulation
CN101247204B (zh) * 2007-11-23 2011-05-11 清华大学 全球数字广播系统中的鲁棒性模式检测实现方法
FR2925816B1 (fr) * 2007-12-21 2011-04-15 Dibcom Procede de decodage d'un service dvb, procede de gestion du decodage, ensemble d'un recepteur dvb-h et d'une memoire et terminal
US9628205B2 (en) 2008-01-28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data in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figuring the broadcast service data, and frame including the broadcast service data
KR101407196B1 (ko) * 2008-01-28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 구성 방법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US7899944B2 (en) 2008-02-14 2011-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en exchange limiting in an I/O processing system
US9026095B2 (en) 2008-06-30 2015-05-05 Nokia Corporation Delivery of assistance data for signal reception
US7848328B2 (en) 2008-07-03 2010-12-07 Nokia Corporation Broadcast content encapsulation
GB2473258A (en) * 2009-09-08 2011-03-09 Nds Ltd Dynamically multiplexing a broadcast stream with metadata-based event inclusion decisions and priority assignment in case of conflict
US20110103300A1 (en) * 2009-10-30 2011-05-05 Nokia Corporation Data encapsulation and service discovery over a broadcast or multicast system
CN104737514B (zh) * 2012-10-23 2018-08-1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分布媒体内容服务的方法和设备
KR101760445B1 (ko) * 2014-11-13 2017-07-21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US20170041430A1 (en) * 2015-08-05 2017-02-09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Prioritizing network traffic based on relative imminence of usage
US10999792B2 (en) * 2017-03-15 2021-05-04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Low power high definition wireless media transpo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625A (ko) * 2000-08-10 2002-06-10 추후보정 방송 이용 방법, 수신기, 휴대 단말, 및 서비스 제공 장치
KR20030082579A (ko) * 2001-01-31 2003-10-22 요하네스 마이어 송신-수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04638D0 (en) * 1993-03-06 1993-04-21 Ncr Int Inc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KR100566040B1 (ko) * 1998-03-19 2006-03-30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방송 정보 공급 시스템
US6865609B1 (en) * 1999-08-17 2005-03-08 Sharewave, Inc. Multimedia extension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20059624A1 (en) * 2000-08-03 2002-05-16 Kazuhiro Machida Server based broadcas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nd software program relating to this system
US7343487B2 (en) * 2001-10-10 2008-03-11 Nokia Corporation Datacast distribution system
CN101959293B (zh) * 2001-10-19 2013-07-24 英特尔公司 用于下行链路的全非连续传输操作模式中改良省电功能的用户设备
US7130313B2 (en) * 2002-02-14 2006-10-31 Nokia Corporation Time-slice signaling for broadband digital broadcasting
US7844214B2 (en) * 2002-03-02 2010-11-3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roadband digital broadcasting
BR0318015A (pt) 2003-01-21 2005-11-29 Nokia Corp Método, sistema e aparelho para receber e transmitir uma transmissão de banda larga digital para armazenar energia no receptor, sistema de processamento de dados, e, programa de computador
WO2004079982A1 (en) * 2003-03-05 2004-09-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orward error correction
US7508781B2 (en) * 2003-03-25 2009-03-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saving mechanism for wireless LANs via schedule information v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625A (ko) * 2000-08-10 2002-06-10 추후보정 방송 이용 방법, 수신기, 휴대 단말, 및 서비스 제공 장치
KR20030082579A (ko) * 2001-01-31 2003-10-22 요하네스 마이어 송신-수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25945B2 (en) 2012-02-28
ATE492952T1 (de) 2011-01-15
CN1883143A (zh) 2006-12-20
US20070072579A1 (en) 2007-03-29
KR20060086430A (ko) 2006-07-31
GB2408433A (en) 2005-05-25
PL1685667T3 (pl) 2011-05-31
WO2005050880A1 (en) 2005-06-02
DE602004030710D1 (de) 2011-02-03
EP1685667A1 (en) 2006-08-02
CN1883143B (zh) 2012-01-25
GB0326835D0 (en) 2003-12-24
EP1685667B1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458B1 (ko) 데이터캐스트 서비스
EP1955475B1 (en) Broadcast content request for mobile devices
JP4806451B2 (ja) 高速チャンネル変更を備えた携帯テレビシステム及び方法
JP4838315B2 (ja) 携帯用電子装置においてオーディオ/ビデオ番組を再生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444086B (zh) 用于提供快速服务访问的方法和系统
US7778216B2 (en) Broadcasting terminal for updating pilot channel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93736B1 (ko) 다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US20050129042A1 (en) System and associated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memory for storage of content
US200701748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brief information on data broadcasting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CN101843006A (zh) 无线电接收器中的分集接收
CN1647394A (zh) 终端
US20070200948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broadcasting service
JP2007528166A (ja) 移動体テレビ受信器における伝送規格の自動選択
KR2010013215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방송 채널 미리 보기 방법 및 장치
KR10075464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전송 방법
JP2011244268A (ja) 放送装置、放送受信装置、放送方法、放送受信方法
KR10075163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있어서의 선택적 부가 서비스처리 방법
US20070214479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service provider data
CN1893662B (zh) 接收数字广播的设备和方法
KR20080046252A (ko) 브로드캐스트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단말, 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WO2009033383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u nombre d'actualisations de la liste d'informations du réseau et terminal mobile
WO2009033384A1 (fr) Dispositif permettant de renouveler l'indication de préparation du numéro d'ordre de la liste d'informations de commande et terminal mobile
KR20110017817A (ko)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에서 채널정보 전송 방법 및 채널정보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