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967B1 -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967B1
KR100762967B1 KR1020060057391A KR20060057391A KR100762967B1 KR 100762967 B1 KR100762967 B1 KR 100762967B1 KR 1020060057391 A KR1020060057391 A KR 1020060057391A KR 20060057391 A KR20060057391 A KR 20060057391A KR 100762967 B1 KR100762967 B1 KR 100762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range wireless
portable terminal
shor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광민
최문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7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46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 인식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들을 조작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그 동작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여러 가지 기능들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동작 인식, 무선 제어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적용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적용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적용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전화번호부, 인터넷, 문자 메시지, 전자 다이어리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들을 가진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의 휴대의 편리함 및 배터리의 소형화 등에 힘입어 많은 부가기능들이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해 놓은 음악이나 학습영어 등의 오디오 파일 및 비디오 파일을 청취할 수 있는 파일 재생 기능, 사물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 움직이는 영상을 추적하며 촬영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의 옵션 장치들을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사용하여 전술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조작된다. 즉, 휴대 단말기에 형성된 입력 수단을 손으로 조작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능들을 이용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거나, 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들을 이용하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여러 기능들을 이용함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게 기능들을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과정; 상기 감지된 동작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신호 전송 과정; 및 상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동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 전송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무선 통신 모듈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적용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의 구성은 휴대 단말기(110)와 그 휴대 단말기(110)의 기능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휴대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카메라를 내장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MP3 플레이어를 내장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30)은 휴대 단말기(110)의 다양한 기능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 예컨대 가속도 센서나 지자기 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30)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입력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1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30) 간 개인 무선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을 위하여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인프라레드(Infrare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기타 근거리에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의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2.4G㎐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ISM 밴드는 별도의 라이센스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ISM 밴드 아래로 2M㎐ 대역과 ISM 밴드 위로 3.5M㎐ 대역의 가드 밴드(Guard Band)를 두어,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기본적으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사용하며, 초당 1600번 호핑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적용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210)는 RF 부(201), 제1 표시부(203), 제1 스피커부(205), 제1 제어부(207), 제1 메모리부(209), 제1 무선 통신 모듈(211), 및 제1 키입력부(215)의 통상적인 구성을 가진다.
RF 부(201)는 휴대 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된 일련의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RF 부(201)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RF 부(20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제1 표시부(203)는 제1 제어부(207)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 다. 여기서, 제1 표시부(203)는 LC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제1 표시부(203)는 LCD 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LCD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1 표시부(203)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을 인식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른 기능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스피커부(205)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 스피커부(205)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을 인식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른 기능들 중 음성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07)는 휴대 단말기(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207)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207)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부로서 동작을 인식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1 메모리부(209)는 휴대 단말기(210)의 원격 제어를 위하여 무선 제어 모듈(230)과의 연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로부터 휴대 단말기(21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모듈, 분석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기(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 로그램 모듈, 및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기(2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모듈(211)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과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신호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제1 무선 통신 모듈(211)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에서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1 제어부(207)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 무선 통신 모듈(211)은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키입력부(215)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제1 키입력부(215)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210)의 동작 인식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은 제2 무선 통신 모듈(231), 제2 표시부(233), 제2 스피커부(235), 제2 제어부(237), 제2 메모리부(239), 마이크부(241), 센서(243), 및 제2 키입력부(245)의 통상적인 구성을 가진다.
제2 무선 통신 모듈(231)은 휴대 단말기(210)와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신호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무선 통신 모듈(231)은 제어 신호 전송부로서, 센서(243)에서 감지되어 제2 제어부(237)로 전송된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제2 표시부(233)는 제2 제어부(237)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2 표시부(233)는 본 발명에 따라 인식된 동작에 따른 설정된 기능을 화면상 에 표시한다.
제2 스피커부(235)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제어부(237)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207)와 마찬가지로 송신기 및 수신기 등을 구비한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37)는 본 발명에 따라 인식되는 동작에 따른 신호를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제2 메모리부(239)는 휴대 단말기(210)와의 연동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모듈, 감지되는 동작을 설정하는 프로그램 모듈, 및 사용자의 동작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243)가 지자기 센서일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기준각을 설정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부(241)는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에서 데이터화하여 입력한다.
센서(243)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로서, 예컨대, 가속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통상적으로 각속도 센서라고도 불리어지는데, 진동 등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가속도 센서는 동적 가속도의 측정뿐만 아니라 중력에 대한 정적 가속도의 검출도 가능하고, 정적 가속도는 가속도 센서의 축을 지면에 수평 하게 위치시켰을 때, 즉, 중력이 미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시켰을 때를 기준으로 축이 지면으로 어 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가에 대한 값으로 제공되어 지며, 기울기는 정지 상태에서 지면을 향하여 작용하는 각 축의 중력 가속도치를 sin 연산하여 얻어진다.
지자기 센서는 감지된 동작에 따른 지자기 신호를 제2 제어부(237)에 전송한다. 여기서, 지자기는 지구가 지니고 있는 자기로서,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한다. 어떤 지점의 지구 자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3 개의 독립된 성분이 필요한데, 보통 수평 분력과 방위각 및 복각을 사용한다. 여기서, 지구 자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x축 센서와 y축 센서와 z축 센서를 사용한다. 즉, x축 센서와 y축 센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좌, 우 방향을 감지하고, z축 센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상, 하 방향을 감지한다.
제2 키입력부(245)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제2 키입력부(245)는 본 발명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동작 인식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먼저 휴대 단말기(210)와 이 휴대 단말기(21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제어부(207,237)들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301).
그리고 각각의 제어부(207,237)들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과 휴대 단말기(210)가 무선 통신 연결이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03).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207,237)가 제1 무선 통신 모듈(211)과 제2 무선 통신 모듈(231)을 무선 통신 연결한다(S319).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과 휴대 단말기(210)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제2 제어부(237)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이 동작 인식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S305). 동작 인식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2 제어부(237)에 의하여 동작 인식 모드를 설정한다(S321). 여기서, 동작 인식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은, 예컨대 휴대 단말기(21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에서 각각의 키입력부(215,245) 등을 사용하여 각각 설정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장치, 예컨대 무선 통신 모듈(230)에만 설정을 하여 휴대 단말기(210)에는 자동적으로 설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에 구비된 센서(243)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S307). 센서(243)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범위가 정해진다. 즉, 센서(243)는 소정의 범위까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이 동작을 할 때에 그 동작을 인식한다. 여기서, 센서(2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가 지자기 센서일 경우, 전술한 휴대 단말기(21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제어부(207,237)들이 동작 인식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S305)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기준각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각은 예컨대, X축을 기준으로 0ㅀ이고, Y축을 기준으로 90ㅀ로 설정한다.
그 후에, 제2 제어부(237)는 센서(243)에서 감지된 동작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에 설정되어 있는 동작인지 확인한다(S309).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 의 제2 메모리부(239)는 센서(243)에서 감지될 소정의 동작들에 대한 기능을 저장한다. 센서(243)에서 감지된 동작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제2 메모리부(239)에 설정된 동작이 아니라면, 제2 제어부(237)는 그 감지된 동작을 제2 메모리부(239)에 설정할 것인지 판단한다(S323). 감지된 동작을 설정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2 제어부(237)는 그 동작을 제2 메모리부(239)에 설정한다(S325).
여기서, 제2 메모리부(239)는, 예컨대, 좌우 동작, 상하 동작, 제스처(gesture) 동작 등을 저장한다. 좌우 동작과 상하 동작은 휴대 단말기(210)에서 소정 메뉴의 좌우 조작 기능과 상하 조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스처 동작은 숫자와 문자 동작을 포함한다. 숫자 동작을 수행하면 그 숫자의 단축 번호로 전화를 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첨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일정 시간동안 유사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제2 스피커부(235)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2 제어부(237)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에서 감지된 동작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한다(S311).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210)의 제1 제어부(207)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한다(S313). 휴대 단말기(210)의 제1 제어부(207)는 분석된 그 제어 신호가 휴대 단말기(210)의 제1 메모리부(209)에 설정된 기능인지 확인한다(S315). 전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의 제2 메모리부(239)가 소정의 동작들에 대한 기능을 저장할 때, 휴대 단말기(210)의 제1 메모리부(209)도 그 소정의 동작들에 대한 기능을 저장한다. 제1 제어부(207)는 분석된 제어 신호가 제1 메모리부(209)에 설정된 기능이 아니라면, 제1 제어부(207)는 다시 휴대 단말기(21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30)을 대기 상태로 유지한다.
끝으로, 분석된 제어 신호가 제1 메모리부(209)에 설정된 기능이 맞으면, 제1 제어부(207)는 그 신호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기(210)의 기능을 수행한다(S317).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동작과 휴대 단말기의 동작으로 나누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적용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대기 상태로 유지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S401)은 제어부가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한 뒤(S403), 동작 인식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S405).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형성된 센서가 동작을 감지하면(S407), 제어부는 그 동작이 설정된 동작인지 확인한 후(S409), 설정된 동작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S411).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대기 상태로 유지된 휴대 단말기(S501)는 제어부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한 뒤(S503), 동작 인식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S505). 그리고 근거리 무 선 통신 모듈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S507), 제어부가 그 신호를 분석하고(S509), 그 신호가 설정된 신호인지 확인한 후(S511),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S513).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여러 가지 기능들을 근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휴대 단말기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그 동작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그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여러 가지 기능들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과정;
    상기 감지된 동작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신호 전송 과정; 및
    상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대기하는 대기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무선 통신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과정;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휴대 단말기의 동작 인식 모드의 설정을 확인하는 설정 확인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과정에서,
    상기 감지된 동작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설정된 동작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전송 과정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를 분석하는 분석 과정과;
    상기 분석된 제어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확인 과정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기준각을 설정하는 기준각 설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에서,
    상기 감지된 동작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설정된 동작이 아니면, 상기 감지된 동작을 설정할 것인지 판단하는 판단 과정과,
    상기 감지된 동작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설정하는 설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에서,
    좌우 동작, 상하 동작, 또는 제스처(gesture) 동작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확인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확인 과정에서 상기 좌우 동작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 메뉴의 좌우 조작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확인 과정에서 상기 상하 동작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 메뉴의 상하 조작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확인 과정에서 상기 제스처 동작시,
    상기 기능 수행 과정은 숫자 또는 문자 동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와, 상기 동작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신호 전송부를 구비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어 신호 전송부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장치.
KR1020060057391A 2006-06-26 2006-06-26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62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391A KR100762967B1 (ko) 2006-06-26 2006-06-26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391A KR100762967B1 (ko) 2006-06-26 2006-06-26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967B1 true KR100762967B1 (ko) 2007-10-02

Family

ID=3941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391A KR100762967B1 (ko) 2006-06-26 2006-06-26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9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942B1 (ko) 2009-11-06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셋 및 그와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US10503266B2 (en) 2016-10-17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ens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883A (ko) * 2002-06-28 2002-07-31 주식회사 웨이브컴 블루투스를 이용한 호출/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65228A (ko) * 2001-02-06 2002-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 장치 및 방법
KR20020081788A (ko) * 2001-04-19 2002-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온도보상장치
KR200367832Y1 (ko) * 2004-08-26 2004-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00128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통신기기에서의 전력 절감 장치및 방법
KR20060031774A (ko) * 2004-10-09 2006-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홈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28A (ko) * 2001-02-06 2002-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 장치 및 방법
KR20020081788A (ko) * 2001-04-19 2002-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온도보상장치
KR20020062883A (ko) * 2002-06-28 2002-07-31 주식회사 웨이브컴 블루투스를 이용한 호출/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00128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통신기기에서의 전력 절감 장치및 방법
KR200367832Y1 (ko) * 2004-08-26 2004-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1774A (ko) * 2004-10-09 2006-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홈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942B1 (ko) 2009-11-06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셋 및 그와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US10503266B2 (en) 2016-10-17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9957B (zh) 可穿戴设备的通信方法、装置及系统
US773502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motion-recognition capability and motion recognition method therefor
KR100800859B1 (ko) Hmd 정보 단말기에서 키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37191B1 (ko) 스마트 단말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4104769B (zh) 多个音频设备中音频的动态选路
KR10059779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인식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제공하기 방법
KR10077836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이벤트 처리 방법
CN106664656A (zh) 具有静电场传感器的电子装置和相关方法
KR20140118060A (ko) 휴대 단말 및 보청기와 휴대 단말에서 음원의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CN111475072B (zh) 一种支付信息显示方法及电子设备
EP2202610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1176764B (zh) 显示控制方法和终端设备
CN107846518B (zh) 一种导航状态切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958593B (zh) 一种确定通讯对象的方法及移动终端
CN108062194B (zh) 一种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21098676A1 (zh) 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08762613B (zh) 一种状态图标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11443815A (zh) 一种振动提醒方法及电子设备
CN110944056A (zh) 交互方法、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6886019A (zh) 距离探测方法及装置
KR10076296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의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826115B (zh) 一种管理方法、穿戴设备及电子设备
CN109743634B (zh)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及终端
CN109165489B (zh) 一种终端、指纹验证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677705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