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225B1 -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225B1
KR100760225B1 KR1020057019574A KR20057019574A KR100760225B1 KR 100760225 B1 KR100760225 B1 KR 100760225B1 KR 1020057019574 A KR1020057019574 A KR 1020057019574A KR 20057019574 A KR20057019574 A KR 20057019574A KR 100760225 B1 KR100760225 B1 KR 10076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unit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209A (ko
Inventor
요스케 곤아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1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22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Abstract

복수의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노트북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의 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복수의 통신부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일부의 통신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복수의 안테나(6, 7)와, 이들 안테나(6, 7)를 각각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부(4, 5)와, 안테나(6, 7)와 통신부(4, 5)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8)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8)가 통신부(4, 5) 모두를 이용하여 동시에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통신부(6, 7)와 안테나(4, 5)를 각각 접속하는 한편, 통신부(5)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그 통신부(5)의 통신 방식에 따른 수의 안테나(6, 7)를 상기 통신부(5)에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TENNA SWITCHING 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ANTENNA SWITCHING CONTROL DEVICE, ANTENNA SWITCHING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본 발명은 복수의 무선 통신 기능[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와 무선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을 갖는 노트북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 등에 있어서, 통신 방식이 다른 복수의 통신부를 구비하는 경우, 통신부마다 안테나를 구비하고, 복수의 통신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복수의 통신부에 의해 1세트의 안테나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하나의 통신부만을 안테나에 접속하도록 구성되게 된다(예컨대 하기 특허 문헌 1 및 하기 특허 문헌 2 참조). 후자의 방법에서는 복수의 통신부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송수신할 수는 없다.
또한, 최근, 휴대형 정보 처리 장치, 예컨대 노트북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 이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서는 무선 통신 기능으로서, 2개의 안테나의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2.4 GHz대)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무선 LAN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양호한 방사 특성을 얻도록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안테나(101, 102)가 장치로부터의 가시 거리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는 위치, 구체적으로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의 디스플레이부[LCD(Liquid Crystal Panel) 패널; 100a] 상부의 좌우 양측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는 2개의 케이스[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00a) 및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본체(100b)]를 가지며, 이들 케이스를 힌지(도시생략)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힌지에 의해 접이식(foldable)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최근,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무선 LAN 통신 기능에 부가하여 무선 통신 기능으로서 블루투스(2.4 GHz대)를 구비하는 것도 요구되고 있다. 2개의 안테나의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 통신 기능과,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선 LAN용 안테나와 블루투스용 안테나를 따로따로 구비할 필요가 있다. 즉, 3개의 안테나를 독립적으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내에 구비할 필요가 있다.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에 있어서, 무선 LAN용 안테나(101, 102) 이외에 블루투스용 안테나(103)를 추가하여 구비하는 경우, 안테나(103)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100)의 디스플레이부(100a)의 상부에 있어서 안테나(101, 102) 사이의 중앙 위치에 내장 및 배치하는 방법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테 나(103)를 퍼스널 컴퓨터(100)의 본체(100b)측에 내장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3 및 하기 특허 문헌 4에는 휴대형 정보 처리 장치가 아닌, 기지국 등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다이버시티 통신 기능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다이버시티 기능에 의한 효과를 유효하게 얻기 위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용 안테나(101, 102)는 수신 효율이 좋은 영역에 거리를 두고 배치될 필요가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안테나(101, 102)간의 거리가 L2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블루투스용 안테나(103)의 탑재 가능한 장소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의 케이스 내부에 있어서 한정되어 있고, 수신 효율이 좋고 양호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장치로부터의 가시 거리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00a)의 상부가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블루투스와 무선 LAN은 동일 주파수대(2.4 GHz대)를 사용하고 있어 동시에 통신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안테나(101∼103) 상호간의 물리적인 거리(L1)가 짧은 경우, 블루투스용 안테나(103)로부터 방사된 전파가 무선 LAN용 안테나(101, 102)에 의해 강하게 수신되어 버린다. 이 경우, 안테나(103)로부터 방사된 전파는 무선 LAN 통신 장치에 있어서는 잡음이 되며, 무선 LAN 통신 장치가 원래 수신해야 할 신호에 대한 신호/잡음비가 악화되어 통신 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통신 성능이 현저한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선 LAN용 안테나 (101, 102)와 블루투스용 안테나(103) 사이에는 최저 20 ㎝ 정도의 물리적인 거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의 폭은 디스플레이부(100a)에 있어서의 LCD 패널의 폭에 의존하고 있고, 25 cm 정도의 폭밖에 없다.
따라서, 이 정해진 폭 중에서 신호/잡음비의 악화를 방지하면서 2종류의 무선 장치를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에 구비하기 위해서는 안테나는 LCD 패널 상부에 2개밖에 내장할 수 없다.
이 2개의 안테나를 2종류의 무선 장치의 각각에 점유시킨 경우, 무선 LAN 통신 장치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수신 환경에 의해 무선 LAN 통신 장치의 통신 성능은 현저히 저하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용 안테나(103)를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의 본체(100b)측에 내장한 경우, 이 안테나(103)와 무선 LAN용 안테나(102) 사이에는 통신 성능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물리적인 거리(L1)를 확보할 수 있지만, 블루투스용 안테나(103)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를 책상 위에 두었을 때, 책상 재질의 영향을 크게 받아 충분한 통신 성능(통신 거리)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다양한 장소에 운반하여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타입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는 장치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본체(100b)는 얇게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안테나(103)를 본체(100b)에 내장하면 이 영향이 현저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본체(100b)에 안테나(103)를 실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도 8에서는, 안테나(103)와 책상 사이의 거리가 h1로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신부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통신부마다 독립된 안테나를 구비할 필요가 있고, 예컨대 블루투스와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을 구비한 장치에서는, 적어도 3개의 안테나가 필요하게 된다. 즉,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장치가 갖고 있는 통신부(통신 방식)의 수보다도 안테나의 수쪽이 많아지게 된다.
그러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의 양호한 방사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장치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 안테나를 설치 및 탑재 가능한 장소는 매우 한정되어 있고, 안테나의 수가 증가하는 것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의 소형화에 대하여 매우 단점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예컨대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통신부 이외에 다른 통신 방식의 통신부를 구비한 경우에, 안테나의 수를 증대시키지 않고(예컨대, 통신부의 수와 안테나의 수를 같은 수로 하면서), 복수의 통신부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일부의 통신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서는, 복수의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1839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11645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229359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91970호 공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가 상기 복수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동시에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각각 접속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통신부 중 일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의 통신 방식에 따른 수의 안테나를 상기 통신부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전환 제어부가 상기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통신부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를 상기 통신부 이외의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가 상기 복수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동시에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각각 접속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통신부 중 일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의 통신 방식에 따른 수의 안테나를 상기 통신부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전환 제어부가 상기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통신부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를 상기 통신부 이외의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에 이용되고,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동시에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각각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통신부 중 일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의 통신 방식에 따른 수의 안테나를 상기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에 이용되고,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통신부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를 상기 통신부 이외의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은 복수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C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복수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동시에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각각 접속하도록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환부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통신부 중 일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의 통신 방식에 따른 수의 안테나를 상기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환부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은 복수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복수의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에서,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통신부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를 상기 통신부 이외의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환부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전술한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동시에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통신부와 복수의 안테나를 각각 접속하는 한편, 복수의 통신부 중 일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부의 통신 방식(예컨대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에 따른 수의 안테나를 그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통신부 이외에 다른 통신 방식(예컨대 블루투스)의 통신부를 구비한 경우, 통신부의 수와 안테나의 수를 같은 수로 하여 안테나의 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복수의 통신부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일부의 통신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예컨대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한층 더한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환 제어부(컴퓨터가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얻어지는 기능)를 이용함으로써 안테나 전환 상태를 자동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 이외에 조작자에 의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전환 지시 정보에 따른 안테나 전환(수동 전환)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조작자가 전환 지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안테나 사용중인 통신부에 대한 전파의 수신 상태를 조작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중인 안테나를 잘못 전환하게 되어 통신 단절 상태를 초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통신부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를 그 통신부 이외의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통신부(예컨대 무선 LAN)에 있어서 항상 안테나의 양호한 방사 특성을 확보하여 통신 품질의 열화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 그 이외의 통신부(예컨대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을 예컨대 가동측 케이스인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고정측 케이스인 키보드를 포함하는 본체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이식으로 구성된 노트북 타입의 컴퓨터에 적용한 경우, 복수의 안테나를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내장함으로써,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안테나가 가시 거리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통신 방식으로서 예컨대 블루투스와 2개의 안테나의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을 채용한 경우에는, 충분한 물리적인 거리를 두면서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내장된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고, 신호/잡음비의 악화를 방지하면서 특히 블루투스 이용시에는 책상 재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충분한 통신 성능(통신 거리)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의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안테나)의 전환·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안테나 전환 제어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안테나 전환 제어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일반적인 노트북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테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모두 일반적인 노트북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의 안테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제1 실시예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의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이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정보 처리 장치, 통신 장치; 100A)는 적어도 CPU(1), 입력 장치(2), 표시부 (3), Bluetoooth 무선 통신 장치(4), 무선 LAN 통신 장치(5), 안테나(6, 7) 및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도 도 6에 도시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와 마찬가지로 2개의 케이스[가동측 케이스인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00a) 및 고정측 케이스인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본체(100b)]를 가지며, 이들 케이스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힌지에 의해 접이식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에 있어서도 2개의 안테나(6, 7)는 도 6에 도시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와 마찬가지로 장치로부터의 가시 거리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는 위치, 구체적으로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의 디스플레이부[100a; 표시 장치(3)] 상부의 좌우 양측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4), 무선 LAN 통신 장치(5), 안테나 전환 스위치(8)는 본체(100b) 내에 배치된다. 또한, 안테나 전환 스위치(8)에 접속되는 안테나선(16) 및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내장되는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에 접속되는 무선 LAN용 제2 RF 신호선(안테나선; 15)은 디스플레이부(100a)에 배치되어, 각각 이 디스플레이부(100a)에 배치된 2개의 안테나(6, 7)에 접속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 처리 장치)(1)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를 통괄 및 관리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특징적인 기능인 후술하는 전환 제어부 및 수신 상태 제공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입력 장치(입력부; 2)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고, 후술하는 전환 지시 정보 를 CPU(1)에 입력하는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3)는 CPU(1)에 의해 표시 상태가 제어되어 각종 화면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서 후술하는 전환·설정 화면(3A)을 표시하는 것 이외에 CPU(1)의 수신 상태 제공 수단으로서의 기능과 협동하여 전파의 수신 상태를 상기 조작자에게 제공하도록 그 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의해 구성된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통신부; 4)는 제어 신호선(11A)을 통해 CPU(1)에 접속되는 동시에 블루투스용 RF 신호선(13), 안테나 전환 스위치(8) 및 안테나선(16)을 통해 안테나(6)에 접속/단절 가능하게 접속되고, CPU(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안테나(6)를 이용하여 블루투스에 의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 신호선(11A)은 2선 평행 전송로 방식의 범용 직렬 버스인 USB(Universal Serial Bus)로서, 블루투스용 RF 신호선(13) 및 안테나선(16)은 각각 1선 동축 선로이다.
이 블루투스 통신 장치(4)는 안테나(6)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경우, CPU(1)로부터 범용 직렬 버스(11A)를 통해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내장한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그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 규격으로써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로 변경한 후에 부호화 처리를 하며, 내장된 무선기에 의해 RF 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스용 RF 신호선(13)에 출력한다. 또한, 안테나(6)를 이용한 데이터 수신 처리의 경우는 블루투스용 RF 신호선(13)을 통해 안테나(6)에 의해 수신한 RF 신호를 전술한 무선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에 복호화 처리를 하고, 전술한 마 이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복호된 데이터를 프로토콜에 따라 CPU(1)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제어 신호선(11A)을 통해 CPU(1)에 송신한다.
무선 LAN 통신 장치(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통신부; 5)는 제어 신호선(11B)을 통해 CPU(1)에 접속되고, 무선 LAN용 제2 RF 신호선(안테나선; 15)을 통해 안테나(7)에 고정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무선 LAN용 제1 RF 신호선(14), 안테나 전환 스위치(8) 및 안테나선(16)을 통해 안테나(6)에 접속/단절 가능하게 접속되며, CPU(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안테나(6) 혹은 안테나(7)를 이용하여 무선 LAN에 의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 신호선(11B)은 32 비트 폭의 데이터 신호선 및 커맨드 신호선으로 구성되는 PCI 버스(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로서, 무선 LAN용 제1 RF 신호선(14) 및 무선 LAN용 제2 RF 신호선(안테나선; 15)은 각각 1선 동축 선로이다.
이 무선 LAN 통신 장치(5)는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와, 이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에 의해 제어되어 송수신하는 송수신기(5b)와, 역시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에 의해 전환 제어되는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기(5b)와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는 수신 신호선(17) 및 송신 신호선(18)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각 신호선(17, 18)은 각각 1선 동축 선로이다.
무선 LAN 통신 장치(5)는 안테나(6) 혹은 안테나(7)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 처리의 경우, CPU(1)로부터 제어 신호선(11B)을 통해 수신한 송신 데이터를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IEEE802. 11a/b 통신 규격(Institute of Electronic and Electronics Engineers)으로써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로 변경한 후에 부호화 처리를 하고, 송수신기(5b)에 의해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 신호선(18)에 출력한다. 안테나(6) 혹은 안테나(7)를 이용한 데이터 수신 처리의 경우는 수신 신호선(17)을 통해 안테나(6) 혹은 안테나(7)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송수신기(5b)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복호화 처리를 한 후,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복호된 데이터를 프로토콜에 따라 CPU(1)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제어 신호선(11B)을 통해 CPU(1)에 송신한다.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는 2개의 안테나(6, 7)에 의한 다이버시티 수신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2개의 안테나(6, 7) 중 송수신 에러율이 낮은 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6 또는 7)와 송수신기(5b)를 전환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의 RX 단자 및 TX 단자는 각각 수신 신호선(17) 및 송신 신호선(18)을 통해 송수신기(5b)에 접속되는 것 이외에 SEL_RX 단자 및 SEL_Y1 단자는 각각 송수신 전환 신호선(19) 및 다이버시티 전환 신호선(20)을 통해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는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로부터 송수신 전환 신호선(19)을 통해 SEL_RX 단자로써 수신한 송수신 전환 신호에 의해 송신/수신을 전환하는 동시에,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로부터 다이버시티 전환 신호선(20)을 통해 SEL_Y1 단자로써 수신한 다이버시티 전환 신호에 의해 Y1 단자[안테나(6)]/Y2 단자[안테나(7)]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 전환 신호선(19) 및 다이버시티 전환 신호선(20)은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의 전환을 각각 신호의 High(고)/Low(저)로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는 송수신 전환 신호선(19)을 통해 SEL_RX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High인 경우는 수신 신호선(17)과 안테나를 접속하고, Low인 경우는 송신 신호선(18)과 안테나를 접속한다. 또한,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는 다이버시티 전환 신호선(20)의 신호가 High인 경우는 Y1 단자[안테나(6)]를 선택하고, Low인 경우는 Y2 단자[안테나(7)]를 선택하도록 동작한다.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는 그것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에러율 혹은 수신 감도가 나쁜 경우에, 다이버시티 전환 신호에 의해 다른 쪽 안테나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이 제어를 항상 실시함으로써, 항상 상태가 좋은 안테나가 선택된다.
단, 본 실시예인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에 있어서는 Y1 단자가 무선 LAN용 제1 RF 신호선(14), 안테나 전환 스위치(8) 및 안테나선(16)을 통해 안테나(6)에 접속/단절 가능하게 접속되고, Y2 단자가 무선 LAN용 제2 RF 신호선(안테나선; 15)을 통해 안테나(7)에 고정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가 무선 LAN(단자 B)측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 LAN 통신 장치(5)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이용하여 송수신 에러율이 낮은 안테나(6, 7)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면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지만, 후술하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가 블루투스(단자 A)측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 LAN 통신 장치(5)는 전파를 안테나(7)로부터 밖에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 (5a)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가 안테나(7)만을 접속하도록 자동적으로 전환 제어된다.
안테나 전환 스위치(전환부; 8)는 안테나(6)를 통신 장치(4, 5)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안테나 전환 스위치(8)에 있어서는 Y 단자가 안테나선(16)을 통해 안테나(6)에 접속되고, SEL 단자가 안테나 전환 신호선(12)을 통해 CPU(1)에 접속되며, A 단자가 블루투스용 RF 신호선(13)을 통해 블루투스 통신 장치(4)에 접속되고, B 단자가 무선 LAN용 제1 RF 신호선(14)을 통해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접속되어 있다.
이 안테나 전환 스위치(8)는 CPU(1)로부터의 안테나 전환 신호에 따라 A 단자와 Y 단자를 접속한 상태[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안테나(6)에 접속한 상태]와, B 단자와 Y 단자를 접속한 상태[무선 LAN 통신 장치(5)를 안테나(6)에 접속한 상태] 중 어느 한쪽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 전환 신호선(12)은 신호의 High(고)/Low(저)로 상기 전환을 안테나 전환 스위치(8)에 지시하는 것으로서, 안테나 전환 스위치(8)는 신호가 High인 경우는 A 단자와 Y 단자를 접속하고, Low인 경우는 B 단자와 Y 단자를 접속하도록 동작한다.
특히, 제1 실시예의 안테나 전환 스위치(8)는 2개의 통신 장치(4, 5) 모두를 이용하여 동시에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4)와 안테나(6)를 접속함으로써 통신 장치(4, 5)와 안테나(6, 7)를 각각 접속하는 한편,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 LAN 통신 장치(5)만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무선 LAN 통신 장치(5)와 안테나(7)를 접속함으로써 다이버시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여기서는 2)의 안테나(6, 7)를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CPU(1)는 소정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제어하여 안테나(6)와 통신 장치(4, 5)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사용중인 통신 장치(4) 혹은 통신 장치(5)에 대한 전파의 수신 상태를 상기 조작자에게 제공하는 수신 상태 제공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여기서, CPU(1)가 전환 제어부로서 기능할 때, CPU(1)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통신 장치(4, 5) 모두를 이용하여 동시에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4)와 안테나(6)를 접속하도록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제어하는 한편,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 LAN 통신 장치(5)만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무선 LAN 통신 장치(5)와 안테나(7)를 접속하도록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제어한다. 이 때, 제1 실시예의 CPU(1)는 조작자에 의해 입력 장치(3)로부터 입력된 전환 지시 정보[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이용할지 여부의 정보]에 따라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전환 제어하고 있다.
또한, CPU(1)는 조작자가 블루투스 통신 장치(4)의 온/오프 및 무선 LAN 통신 장치(5)의 온/오프의 전환·설정(안테나 전환 지시)을 행할 때, 표시부(3)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환·설정 화면(3A)을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신 상태 제공 수단으로서 기능하여 통신 장치(4, 5)에 의한 전파의 수신 상태를 표시부(3) 에 표시시킨다(수신 상태의 표시 상태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전파의 수신 상태 및 전환·설정 화면(3A)을 참조한 조작자는 전파의 수신 상태를 참고로 하여 마우스[입력 장치(2)]를 이용하여 전환·설정 화면(3A)에 있어서의 블루투스 온/오프 스위치(아이콘; 애플리케이션상의 소프트웨어 버튼)(3a) 및 W-LAN 온/오프 스위치(아이콘; 애플리케이션상의 소프트웨어 버튼)(3b)의 각각을 클릭 조작함으로써, 블루투스 통신 장치(4)의 온/오프나 무선 LAN 통신 장치(5)의 온/오프가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CPU(1)에 의한 전환 제어부 및 수신 상태 제공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는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크, CD-ROM, CD-R, CD-RW, DVD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 경우, 컴퓨터[CPU(1)]는 그 기록 매체로부터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내부 기억 장치 또는 외부 기억 장치로 전송 저장하여 이용한다. 또한, 그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예컨대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기록 매체)에 기록해 두고, 그 기억 장치로부터 통신 회선을 통해 컴퓨터[CPU(1)]에 제공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컴퓨터밖의 기억 매체로부터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내의 기억 장치에 저장하도록 설명하고 있지만, 공장 출하시에 컴퓨터내의 기억 장치에 미리 저장해 두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컴퓨터란 하드웨어와 OS(운영체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OS의 제어 하에서 동작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OS가 불필요하고 애플리케이 션 프로그램 단독으로 하드웨어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그 하드웨어 자체가 컴퓨터에 해당한다. 하드웨어는 적어도 CPU 등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로 하여금 전환 제어부 및 수신 상태 제공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그 기능의 일부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아니라 OS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로서는 전술한 플렉시블 디스크, CD-ROM, CD-R, CD-RW, DVD,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외에 IC 카드, ROM 카트리지, 자기 테이프, 펀치 카드,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RAM이나 ROM 등의 메모리), 외부 기억 장치 등이나 바코드 등의 부호가 인쇄된 인쇄물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여러 가지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2종류의 통신 방식의 통신 장치[블루투스 통신 장치(4) 및 무선 LAN 통신 장치(5)]와 독립된 2개의 안테나(6, 7)가 구비되고, 2개의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 통신 장치(5)의 2개의 RF 신호선(14, 15) 중 한쪽[여기서는 RF 신호선(15)]이 안테나(7)에 고정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쪽 RF 신호선(14)과 블루투스 통신 장치(4)의 RF 신호선(13)은 안테나 전환 스위치(8)에 의해 안테나(6)로 전 환하여 접속되고, 어느 한쪽 RF 신호선[즉 통신 장치(4, 5) 중 어느 한쪽]만이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통해 안테나(6)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에서는, 입력 장치(2)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이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에 내장된 OS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조작할 수 있다. 즉,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의 조작자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이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애플리케이션상의 소프트웨어 버튼[전환·설정 화면(3A)의 블루투스 온/오프 스위치(3a)]을 입력 장치(2)에 의해 조작함으로써,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사용하는 경우는 무선 LAN 통신 장치(5)를 싱글 안테나 모드로 사용하고,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 LAN 통신 장치(5)만을 다이버시티 모드로 작동시키도록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싱글 안테나 모드와 다이버시티 모드 중 어느 한쪽을 임의로 선택하여 전환할 수 있다.
동시에 2개의 통신 장치(4, 5)를 사용할 때에는 조작자가 도 2에 도시된 전환·설정 화면(3A) 상에서 입력 장치(2)로부터 블루투스 온/오프 스위치(3a)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 이것에 따라, CPU(1)의 전환 제어부로서의 기능에 의해 안테나 전환 스위치(8)가 블루투스 통신 장치(4)와 안테나(6)를 접속하도록 전환된다. 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장치(4)는 안테나(6)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동시에, 무선 LAN 통신 장치(5)는 안테나(7)만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단, 동시에 2개의 통신 장치(4, 5)를 사용할 때에는 무선 LAN 통신 장치(5)는 안테나(7)밖에 사용할 수 없어 다이버시티 기능에 의한 안테나(6, 7)의 전환을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무선 LAN 통신 장치(5)의 통신 가능 커버 범위는 안테나(7)의 방사 특성이나 파장에 의한 통신 거리의 문제에 의해 제한된다. 이 때문에,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무선 LAN측으로 전환하여 안테나(6)를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접속한다. 이 전환은 조작자가 입력 장치(2)로부터 전환·설정 화면(3A)을 통해 수동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CPU(1)의 전환 제어부로서의 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안테나(6)와 무선 LAN 통신 장치(5)를 접속한 상태에서는 무선 LAN 통신 장치(5)는 전파를 안테나(6, 7)의 양방에 의해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가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를 자동적으로 전환 제어함으로써 다이버시티 기능이 실현되며, 수신 상태가 좋은 안테나(6 또는 7)를 선택하면서 무선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선 LAN 통신 장치(5)의 통신 가능 커버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조작자가 전환·설정 화면(3A) 상의 온/오프 스위치(3a, 3b)를 조작하여 안테나 전환 지시를 행하는 경우, 무선 LAN 통신 장치(4)가 사용중인 안테나(6)를 잘못 분리하여 블루투스 통신 장치(4)에 접속하고, 무선 LAN 통신 장치(5)가 통신 단절 상태가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실시예에서는 CPU(1)의 수신 상태 제공 수단으로서의 기능에 의해 적어도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의한 전파의 수신 상태가 표시부(3)에 표시되며, 조작자에게 안테나(6)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여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사용하여도 문제가 없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단계 S11 내지 단계 S15)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에 있어서의 안테나 전환 제어 순서[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에 의해 실현되는 전환 제어부 및 수신 상태 제공 수단의 동작]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CPU(1)는 조작자에 의해 통신 장치(4, 5)의 전환·선택[결국은 안테나(6, 7)의 전환·선택]의 요구를 받으면, 우선, 통신 장치(4, 5)[특히 무선 LAN 통신 장치(5)]의 전파 수신 상태를 표시부(3)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환·선택 화면(3A)을 표시부(3)에 표시시킨다(단계 S11).
전파 수신 상태 및 전환·설정 화면(3A)을 참조한 조작자는 전파의 수신 상태를 참고로 하여 마우스[입력 장치(2)]를 이용하여 전환·설정 화면(3A)에서의 블루투스 온/오프 스위치(3a) 및 W-LAN 온/오프 스위치(3b)의 각각을 클릭 조작함으로써, 블루투스 통신 장치(4)의 온/오프 및 무선 LAN 통신 장치(5)의 온/오프를 설정한다.
이 설정 조작에 따라 CPU(1)는 블루투스 온/오프 스위치(3a)의 온/오프 상태를 체크하여(단계 S12), 온 상태라면(단계 S13의 YES인 경우),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블루투스측으로 전환하여 안테나(6)와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접속하는 한편(단계 S14), 오프 상태라면(단계 S13의 NO인 경우),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무 선 LAN측으로 전환하여 안테나(6)와 무선 LAN 통신 장치(5)를 접속한다(단계 S15).
또한, OS 상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작동하기 이전의 상태, 혹은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블루투스 장치(4)를 사용할 수 있도록 CPU(1)에 내장되는 BIOS(기본 입출력 시스템)에 의해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이 기동되지 않는 경우는 BIOS가 갖는 셋업 메뉴의 상태에 따라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통신 장치(4, 5) 중 어느 한쪽에 정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의 설치전이라도 정상적으로 동작이 가능한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휴대형 정보 처리 장치; 100A)에 따르면, 통신 장치(4, 5) 모두를 이용하여 동시에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블루투스측으로 전환함으로써 통신 장치(4, 5)와 안테나(6, 7)가 각각 접속되고, 2종류의 통신 방식에 의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 LAN 통신 장치(5)만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무선 LAN측으로 전환함으로써 무선 LAN 통신 장치(5)와 2개의 안테나(6, 7)가 접속되고, 다이버시티 기능을 활용하여 수신 상태가 좋은 안테나(6 또는 7)를 선택하면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와 같이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 통신 장치(5)와 함께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구비한 경우, 통신 장치의 수와 안테나의 수를 같은 수로 할 수 있어 안테나의 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2개의 통신 장치(4, 5)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고, 또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의한 다이버시티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을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의 한층 더한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에서는 CPU(1)의 전환 제어부로서의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안테나 전환 상태를 자동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 이외에 조작자에 의해 입력 장치(2)로부터 입력되는 전환 지시 정보에 따른 안테나 전환(수동 전환)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조작자가 입력 장치(2)로부터 전환 지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CPU(1)의 수신 상태 제공 수단으로서의 기능에 의해 안테나(6)를 사용중인 통신 장치(4 또는 5)에 대한 전파의 수신 상태를 조작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중인 안테나(6)를 잘못 전환하여 통신 장치(4 또는 5)의 통신 단절 상태를 초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에서는 2개의 안테나(6, 7)를 디스플레이부(100b)의 상부에 내장함으로써,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를 사용하고 있을 때에는 2개의 안테나(6, 7)가 가시 거리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2개의 안테나(6, 7) 사이에 최저 20 ㎝ 정도의 물리적인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통신 방식으로서 블루투스와 2개의 안테나의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을 채용한 경우에는 충분 한 물리적인 거리를 두면서 디스플레이부(100b)의 상부에 내장된 2개의 안테나(6, 7)를 이용하고, 신호/잡음비의 악화를 방지하면서 특히 블루투스의 이용시에는 책상의 재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충분한 통신 성능(통신 거리)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CPU(1)는 조작자에 의해 입력 장치(3)로부터 입력된 전환 지시 정보[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이용하는지 여부의 정보]에 따라 안테나 전환 스위치(8)의 전환 제어를 행하고 있지만, 통신 장치(4, 5)의 이용 상황에 따라 CPU(1)의 전환 제어부로서의 기능에 의해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사용할 때에만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블루투스측으로 전환하고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무선 LAN측으로 전환하도록 CPU(1)의 전환 제어부로서의 기능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환·선택 화면(3A)의 온/오프 스위치(3a, 3b) 모두를 오프 상태로 설정하여 통신 장치(4, 5)를 양쪽 모두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CPU(1)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블루투스측으로 전환하여 안테나(6)를 블루투스 통신 장치(4)에 접속해 두어도 좋고,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무선 LAN측으로 전환하여 안테나(6)를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접속해 두어도 좋다.
[2] 제2 실시예의 설명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의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이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노트 북 퍼스널 컴퓨터(정보 처리 장치, 통신 장치; 100B)는 제1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와 마찬가지로 CPU(1), 입력 장치(2), 표시부(3), Bluetoooth 통신 장치(4),무선 LAN 통신 장치(5), 안테나(6, 7) 및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구비하는 동시에, 안테나 전환 스위치(8A)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 이미 설명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부분을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B)도 도 6에 도시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와 마찬가지로 2개의 케이스[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00a) 및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본체(100b)]를 가지며, 이들 케이스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힌지에 의해 접이식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제2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B)에 있어서도 2개의 안테나(6, 7)는 도 6에 도시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와 같이 장치로부터의 가시 거리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는 위치, 구체적으로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B)의 디스플레이부(100a)[표시 장치(3)] 상부의 좌우 양측에 내장되어 있다.
안테나 전환 스위치(8)가 통신 장치(4, 5)와 안테나(6)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데 대하여, 안테나 전환 스위치(전환부; 8A)는 통신 장치(4, 5)와 안테나(7) 사이에 설치되고, 안테나(7)를 통신 장치(4, 5)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여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 안테나 전환 스위치(8A)에 있어서는 Y 단자가 안테나선(16A)을 통해 안테나(7)에 접속되고, SEL 단자가 안테나 전환 신호선(21)을 통해 CPU(1)에 접속되며, A 단자가 블루투스용 RF 신호선(13)을 통해 블루투스 통신 장치(4)에 접속 되고, B 단자가 무선 LAN용 제2 RF 신호선(15)을 통해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안테나 전환 스위치(8A)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와 마찬가지로 본체(100b)에 배치되고, 그것에 접속되는 안테나선(16A)은 디스플레이부(100a)에 배치되며, 이 디스플레이부(100a)에 배치된 안테나(7)에 접속된다.
이 안테나 전환 스위치(8A)는 CPU(1)로부터의 안테나 전환 신호에 따라 A 단자와 Y 단자를 접속한 상태[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안테나(7)에 접속한 상태]와, B 단자와 Y 단자를 접속한 상태[무선 LAN 통신 장치(5)를 안테나(7)에 접속한 상태] 중 어느 한쪽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안테나 전환 신호선(21)은 신호의 High(고)/Low(저)로 상기 전환을 안테나 전환 스위치(8A)에 지시하는 것으로서, 안테나 전환 스위치(8A)는 신호가 High인 경우는 A 단자와 Y 단자를 접속하고, Low인 경우는 B 단자와 Y 단자를 접속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CPU(1)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B)를 통괄 및 관리하는 것으로서, 특히, 소정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특징적인 기능인 전환 제어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환 제어부로서의 기능은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6 또는 7)를 안테나 전환 스위치(8 또는 8A)에 의해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접속하는 동시에,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다른 쪽 안테나(7 또는 6)를 안테나 전환 스위치(8A 또는 8)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 장치(4)에 접속하도록 안테나 전환 스위치(8, 8A)를 제어하는 것이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안테나(6 또는 7)가 자동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장치(4)에 할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환 제어부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크, CD-ROM, CD-R, CD-RW, DVD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되어도 좋고, 예컨대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로부터 통신 회선을 통해 컴퓨터[CPU(1)]에 제공되어도 좋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단계 S21 내지 단계 S29)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B)에 있어서의 안테나 전환 제어 순서[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에 의해서 실현되는 전환 제어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B)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안테나(6, 7)와, 이들 양 안테나(6, 7)에 의한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 통신 장치(5)와, 어느 한쪽 안테나(6, 7)만을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테나(6, 7)는 양쪽 모두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접속되고(단계 S21의 NO인 경우 단계 S28 및 S29), 무선 LAN 통신 장치(5)는 무선 LAN 통신 제어 장치(5a)에 의해 2개의 안테나(6, 7) 중 송수신 에러율이 낮은 쪽의 안테나(6 또는 7)를 다이버시티 전환 스위치(5c)를 통해 송수신기(5b)와 전환하여 접속하면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 블루투스 통신 장치(4)가 기동되었을 경우(단계 S21의 YES인 경우), CPU(1)는 무선 모듈에 있어서의 사용 안테나 상태[무선 LAN 통신 장치(5)가 사용하고 있는 RF 신호의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무선 LAN 통신 장치(5)가 2개의 안테나(6, 7) 중 어느 쪽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2).
안테나(6)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단계 S23의 YES인 경우), CPU(1)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A)를 블루투스측으로 전환하여 안테나(7)와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접속하는 동시에(단계 S24), 안테나 전환 스위치(8)에 대해서는 그대로 무선 LAN측으로 전환된 상태[무선 LAN 통신 장치(5)와 안테나(6)를 사용한 상태]를 유지시킨다(단계 S25).
반대로, 안테나(7)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단계 S23의 NO인 경우), CPU(1)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A)에 대해서는 그대로 무선 LAN측으로 전환된 상태[무선 LAN 통신 장치(5)와 안테나(7)를 사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시에(단계 S26), 안테나 전환 스위치(8)를 블루투스측으로 전환하여 안테나(6)와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접속한다(단계 S27).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 장치(4)가 오프된 경우(단계 S21의 NO인 경우), CPU(1)는 안테나 전환 스위치(8, 8A)를 양쪽 모두 무선 LAN측으로 전환하여 안테나(6, 7) 모두를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접속한다(단계 S28, 단계 S29).
이에 따라,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안테나(6 또는 7)를 자동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장치(4)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LAN 통신 장치(5)가 사용하고 있는 안테나를 잘못 절단하여 버리는 일도 없게 되고, 통신 품질의 열화에 따른 성능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휴대형 정보 처리 장치; 100B)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 장치(4)를 사용할 때에는 2개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무선 LAN 통신 장치(5)가 사용하지 않는 안테나(6 또는 7)를 블루투스 통신 장치(4)에 접속하도록 안테나 전환 스위치(8, 8A)가 전환 제어되기 때문에, 무선 LAN 통신 장치(5)에 있어서 항상 안테나의 양호한 방사 특성을 확보하여 통신 품질의 열화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 블루투스 통신 장치(4)에 의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B)에서도 제1 실시예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100A)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물리적인 거리를 두면서 디스플레이부(100b)의 상부에 내장된 2개의 안테나(6, 7)를 이용하고, 신호/잡음비의 악화를 방지하면서 특히 블루투스의 이용시에는 책상의 재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충분한 통신 성능(통신 거리)을 얻을 수 있게 된다.
[3] 기타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LAN과 블루투스와의 2종류의 통신 방식을 구비한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종류 이상의 통신 방식을 구비한 경우나 무선 LAN이나 블루투스 이외의 여러 가지 통신 방식(예컨대, 제3 세대 휴대 전화의 통신 모듈에 의한 통신 방식)을 구비한 경우나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이외의 정보 처리 장치[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소형 휴대형 정보 처리 장치]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전술한 실시에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하는 통신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화용 통신 장치라도 좋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힌지로 연결된 2개의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가 하나의 케이스에 수용된 형상의 것(예컨대, 펜 컴퓨터와 같은 단일 케이스)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통신부 이외에 다른 통신 방식(예컨대 블루투스)의 통신부를 구비한 경우, 통신부의 수와 안테나의 수를 같은 수로 하여 안테나의 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복수의 통신부가 독립적으로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일부의 통신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이버시티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컨대 블루투스와 무선 LAN을 갖는 노트북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이용하기 적합하며, 그 유용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Claims (27)

  1. 2개의 안테나;
    무선 통신을 하는 제1 통신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만이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동시에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안테나의 각각 1개를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전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환부에 의한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 제어부가 상기 제2 통신부만이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동시에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안테나의 각각 1개를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전환부에 의한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지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중인 통신부에 대한 전파의 수신 상태를 상기 조작자에게 제공하는 수신 상태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
  5. 삭제
  6. 2개의 안테나;
    무선 통신을 하는 제1 통신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
    상기 2개의 안테나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동시에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를 상기 제1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측 케이스와 고정측 케이스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이식(foldable)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안테나는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가동측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
  8. 2개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제어 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2 통신부만이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동시에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안테나의 각각 1개를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전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환부에 의한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부만이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동시에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안테나의 각각 1개를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전환부에 의한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지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중인 통신부에 대한 전파의 수신 상태를 상기 조작자에게 제공하는 수신 상태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
  12. 삭제
  13. 2개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2개의 안테나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동시에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를 상기 제1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
  14. 2개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2개의 안테나와 상기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에 이용되며,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2 통신부만이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동시에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안테나의 각각 1개를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전환부에 의한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지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중인 통신부에 대한 전파의 수신 상태를 상기 조작자에게 제공하는 수신 상태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17. 2개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2개의 안테나와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에 이용되며,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동시에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를 상기 제1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2개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2개의 안테나와 상기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에서,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제2 통신부만이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동시에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안테나의 각각 1개를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이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고 상기 전환부에 의한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이 사용중인 통신부에 대한 전파의 수신 상태를 상기 조작자에게 제공하는 수신 상태 제공 수단으로서 상기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5. 2개의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하는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2개의 안테나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능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2개의 안테나와 상기 제1 통신부 및 제2 통신부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에서,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동시에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 이외의 안테나를 상기 제1 통신부에 접속하도록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환부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6. 삭제
  27. 삭제
KR1020057019574A 2005-10-14 2003-04-17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6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9574A KR100760225B1 (ko) 2005-10-14 2003-04-17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9574A KR100760225B1 (ko) 2005-10-14 2003-04-17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209A KR20050119209A (ko) 2005-12-20
KR100760225B1 true KR100760225B1 (ko) 2007-09-20

Family

ID=3729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574A KR100760225B1 (ko) 2005-10-14 2003-04-17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1522B2 (en) 2006-11-02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able antenna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1537A (ja) * 1982-05-04 1983-11-08 Nec Corp 見通し外通信無線通信方式
JPS6413387A (en) * 1987-07-08 1989-01-18 Toshiba Corp Driving device at time of fire of group control elevator
JPH01188245A (ja) * 1988-01-22 1989-07-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ード基材切削用治具
JPH07502391A (ja) * 1991-12-23 1995-03-09 モトローラ・リミテッド ダイバシティ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1537A (ja) * 1982-05-04 1983-11-08 Nec Corp 見通し外通信無線通信方式
JPS6413387A (en) * 1987-07-08 1989-01-18 Toshiba Corp Driving device at time of fire of group control elevator
JPH01188245A (ja) * 1988-01-22 1989-07-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ード基材切削用治具
JPH07502391A (ja) * 1991-12-23 1995-03-09 モトローラ・リミテッド ダイバシティ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209A (ko) 200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757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tenna switching 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antenna switching control device, antenna switching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JP6734795B2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を有する符号化情報読取端末
US8543059B2 (en) Combo wireless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6646873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nnecting with a communtcations module
US2006013922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07021885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ual antenna structures and their switching method
KR10188885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이버시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870450B (zh) 电子装置及其信号收发方法
US7047040B2 (en) Portable computer
US707623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xchanging encrypted data
EP34258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econfigurable radio front-end
CN100536228C (zh) 用于移动终端的天线单元
KR100760225B1 (ko) 안테나 전환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장치, 안테나 전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070021079A1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electronic device
US7162270B2 (en) Dual communication mode wireless network transmission device
US20130267274A1 (en) Expansion device
JP2010239182A (ja) 携帯無線端末およびアンテナ選択方法
JP2008061057A (ja) 無線制御装置
KR101061110B1 (ko)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US201102179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ntenna frequency control method
EP1748517B1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an omnidirectional and a directive antenna
JP2006148472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情報端末並びにアンテナ切り替え方法
JP2003309499A (ja) 携帯型情報機器
US201101436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6981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