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900B1 - 시청시간을 제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청시간을 제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900B1
KR100759900B1 KR1020050089392A KR20050089392A KR100759900B1 KR 100759900 B1 KR100759900 B1 KR 100759900B1 KR 1020050089392 A KR1020050089392 A KR 1020050089392A KR 20050089392 A KR20050089392 A KR 20050089392A KR 100759900 B1 KR100759900 B1 KR 10075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time
broadcast
broadcast signal
time
rem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817A (ko
Inventor
김준환
반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90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신호시청시간을 제한하는 방송수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방송수신장치는, 소정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방송신호 중 등급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방송 채널이 선국된 상태에서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시청시간을 검출하는 타이머부, 등급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시청시간을 보상하는 보상부 및 보상된 시청시간 및 기 설정된 총시청시간으로부터 잔존시청시간을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방송신호 수신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익한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유도하면서, 동시에 시청제한기능을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방송 신호, 등급 정보, 가중치, 잔존시청시간

Description

시청시간을 제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 Broadcast receiving device for limiting seeing time and method thereof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방송수신장치에서 표시되는 메시지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 시청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 시청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신호수신부 120 : 검출부
130 : 보상부 140 : 제어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타이머부
170 : 저장부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송신호 시청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등급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신호 시청 시간을 제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아날로그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방송 시스템이 점진적으로 디지털(Digital) 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의 방송 시스템은 제작, 편집, 전송, 수신 등 방송의 모든 단계를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TV 방송 시스템이라 정의할 수 있다. 디지털 방식 방송 시스템의 특징 중 하나로 다채널화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백개의 채널을 통해 다양한 방송 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아날로그 채널 이외에 추가적으로 수많은 디지털 채널까지 시청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이 유해한 방송신호에 노출될 위험도 커지게 되었다. 이는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의 교육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래의 방송수신장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 별로 등급을 설정하여 소정 등급 이상의 프로그램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시청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미성년자 시청이 가능한 등급의 쇼, 오락 프로그램 등의 경우에도, 장시간 시청시에는 청소년 들의 교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총 시청 시간을 설정하여 시청 시간을 제한하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총 3시간만 시청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경우, 해당 시간이 경과되면 방송수신장치가 자동적으로 턴-오프되어 시청을 제한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종래 방송 수신 장치는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령, 총 시청 시간이 거의 완료된 시점에서는 유익한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되더라도 이를 시청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 방송 수신 장치는 시청자에게 유해한 프로그램을 차단할 수는 있으나, 유익한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유도하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신호 중에 포함된 등급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잔존 시청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방송 신호 시청 제한 기능을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유익한 프로그램의 시청을 유도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신호 시청 제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소정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방송신호 중 등급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방송 채널이 선국된 상태에서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시청시간을 검출하는 타이머부, 상기 등급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시청시간을 보상하는 보상부, 및, 상기 보상된 시청시간 및 기 설정된 총시청시간으로부터 잔존시청시간을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방송신호 수신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존시청시간이 0이면 전체(全體) 시스템을 턴-오프시켜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총시청시간, 상기 시청시간, 상기 보상된 시청시간 및 상기 잔존시청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존시청시간이 0이면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소정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며, 일치하면 총시청시간 재설정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존시청시간이 소정의 임계시간 이하라고 판단되면, 타 방송채널 선국시에 잔존시청시간 연장 가능함을 알리는 소정의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 제한 방법은, 소정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 중 등급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방송 채널이 선국된 상태에서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시청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등급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시청시간을 보상하는 단계, 상기 보상된 시청시간 및 기 설정된 총시청시간을 비교하여 잔존시청시간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잔존시청시간을 참고하여 방송신호 수신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방송수신장치(100)는 신호수신부(110), 검출부(120), 보상부(13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50), 타이머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소정 방송 채널을 선국하여, 선국된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수신부(110)는 튜너(미도시)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는 디코딩, 스케일링, 멀티플렉싱 등의 처리를 거쳐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러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없으므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검출부(120)는 신호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중에서 등급 정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서 정한 표준에 따르면, 검출부(120)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이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등급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방송등급정보와 같은 부가정보는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 중에서 픽처 유저 데이터(Picture User Data) 영역이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중에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섹션에 포함된 EIT(Event Information Table)나, PSI(Program specification information) 섹션에 포함된 PMT(Program Map Table) 등의 영역에 기록될 수 있다. 검출부(120)는 이러한 영역으로부터 등급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부(120)는 V 칩(Violence 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V 칩이란 유해 프로그램 시청 제한을 위한 목적으로 미국 등지에서 13인치 이상의 수신기에 의무적으로 장착되는 컴퓨터 칩을 의미한다. V 칩은 "TV Parental Guide"와 같은 TV 방송 등급, "Movie Rating(MPAA)"와 같은 영화 등급 등을 검출하여, 소정 등급 이상의 신호는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이러한 등급정보는 폭력성, 선정성 등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아이들에게 유익한 정도를 기준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V 칩 이외의 다른 칩을 이용하여 등급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아날로그 신호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의 XDS(Extended Data Services) 영역으로부터 등급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타이머부(16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영하는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시청시간을 검출한다.
저장부(170)는 등급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 정보, 기 설정된 총시청시간정보, 기 설정된 비밀번호 정보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보상부(130)는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된 등급정보를 확인하여, 등급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저장부(170)로부터 독출한 후, 타이머부(160)에서 검출된 시청시간에 적용하여 시청시간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총 1-7 등급이 존재하고 등급이 커질수록 미성년자가 시청하기에 부적합한 경우라고 가정하면, 1-7등급에 대하여 각각 0.4, 0.6, 0.8, 1, 1.2, 1.4, 1.6과 같은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실제 시청 시간이 2시간인 경우, 1등급 방송신호만 시청한 경우에는 0.8시간 시청한 것으로 보상된다. 반면, 7등급 방송신호만 시청한 경우에는 3.2 시간을 시청한 것으로 보상된다.
제어부(140)는 보상부(130)에 의해 보상된 시청시간과 기 설정된 총시청시간을 비교하여 잔존시청시간을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따라 방송 신호 수신 차단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총시청시간이 5시간이고 보상된 시청시간이 3시간이라면 제어부(140)는 5-3=2 시간이 잔존시청시간이라고 인식한다. 이에 따라, 방송 신호를 계속 수신하여 방영한다. 반면, 보상된 시청시간이 3시간이라면 제어부(140)는 잔존시청시간이 0임을 확인하여, 방송 신호 수신을 차단한다.
방송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전체 시스템을 바로 턴-오프시킬 수 있다.
또는, 화면을 정지시키거나, 블랙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비밀번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시켜 추가 시청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한다.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총시청시간을 재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숫자버튼을 이용하여 총시청시간을 새로이 설정하거나, 총시청시간 제한 기능을 해제함으로써 방송신호를 계속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0)는 비밀번호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구하거나, 전체 시스템을 바로 턴-오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총시청시간, 시청시간, 보상된 시청시간, 잔존시청시간 등을 디스플레이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등급정보가 낮은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잔존시청시간이 소정의 임계시간 이하이면 타 방송채널 시청시에 잔존시청시간이 연장될 수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방송등급이 낮은 채널로 전환하면, 해당 채널의 등급정보에 따라 잔존시청시간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현재 7등급 방송신호를 시청중이고 잔존시청시간이 1시간이며, 임계시간이 1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0)에 의해 타 방송 채널 시청을 권장하는 내용의 메시지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그 메시지 내용에 따라 1등급 방송신호를 방영하는 채널로 전환하면, 잔존시청시간은 1/0.4 = 2.4로 연장된다.
도 2 내지 4는 본 방송수신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화면상에는 현재 선국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이외에 채널 번호(210), 총시청시간 등을 알리는 메시지창(220) 등이 표시된다. 도 2에서는 현재 "00"채널을 시청하고 있으며, 총시청시간은 3시간이고 잔존시청시간은 1시간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임계시간이 1시간으로 설정된 경우라면 도 3과 같이 화면상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230)가 표시된다. 경고 메시지(230)는 타 채널 전환시 시청시간 연장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채널을 전환하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채널을 "XX"로 전환한 경우, "XX" 채널의 등급정보에 따라 잔존시청시간이 연장된다. 도 4에 따르면, 잔존시청시간이 1시간에서 2시간으로 연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방송신호 수신 제한 방 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S510),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등급정보를 검출하는 한편(S520),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시청시간을 카운팅한다(S530).
이에 따라, 검출된 등급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시청시간에 적용하여 시청시간을 보상한다(S540). 그리고 나서, 보상된 시청시간 및 기 설정된 총시청시간을 비교한다(S550). 비교결과, 보상된 시청시간이 총시청시간 미만이면 지속적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반면, 보상된 시청시간이 총시청시간 이상이면 방송신호의 수신을 차단한다(S56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 제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시청시간을 보상하는 과정까지는 도 5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보상된 시청시간이 총시청시간 미만이면(S610), 잔존시청시간이 임계시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620). 판단 결과, 임계시간 이하라면 타 방송 채널 선국시에 잔존시청시간 연장이 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한다(S630). 반면, 임계시간 이하가 아니라면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그대로 방영한다.
한편, 보상된 시청시간이 총시청시간 이상이면(S610), 비밀번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S640). 이에 따라, 비밀번호가 입력되면(S650),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60). 판단 결과, 일치하면 총시청시간 재설정 여부를 문의하고(S670), 사용자가 이에 대해 승낙하여 시간정보를 재입력하면 재입력된 시간 정보에 따라 총시청시간을 재설정한다(S680). 한편, 비밀번호가 불일치하 면, 방송신호의 수신을 차단한다(S690). 구체적으로는 전체 시스템을 턴-오프하는 방식으로 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르면 등급정보에 따라 시청제한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유익한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소정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방송신호 중 등급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방송 채널이 선국된 상태에서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시청시간을 검출하는 타이머부;
    상기 등급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시청시간을 보상하는 보상부; 및,
    상기 보상된 시청시간 및 기 설정된 총시청시간으로부터 잔존시청시간을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방송신호 수신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존시청시간이 0이면 전체(全體) 시스템을 턴-오프시켜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시청시간, 상기 시청시간, 상기 보상된 시청시간 및 상기 잔존시청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존시청시간이 0이면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소정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며, 일치하면 총시청시간 재설정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존시청시간이 소정의 임계시간 이하라고 판단되면, 타 방송채널 선국시에 잔존시청시간 연장 가능함을 알리는 소정의 메시지 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5. 소정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신호 중 등급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방송 채널이 선국된 상태에서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시청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등급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시청시간을 보상하는 단계;
    상기 보상된 시청시간 및 기 설정된 총시청시간을 비교하여 잔존시청시간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잔존시청시간을 참고하여 방송신호 수신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시청 제한방법.
KR1020050089392A 2005-09-26 2005-09-26 시청시간을 제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75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392A KR100759900B1 (ko) 2005-09-26 2005-09-26 시청시간을 제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392A KR100759900B1 (ko) 2005-09-26 2005-09-26 시청시간을 제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817A KR20070034817A (ko) 2007-03-29
KR100759900B1 true KR100759900B1 (ko) 2007-09-18

Family

ID=4162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392A KR100759900B1 (ko) 2005-09-26 2005-09-26 시청시간을 제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82B1 (ko) 2008-09-09 2011-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권한 객체 자동 갱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635A (ko) * 1994-08-26 1996-03-22 김광호 시청시간 조정방법
KR19980085731A (ko) * 1997-05-30 1998-12-05 배순훈 아동 시청 차단기능 동작시 av기능 동작 가능 여부 제어 방법
KR20000003160A (ko) * 1998-06-26 2000-01-15 전주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시청이 제한된 프로그램 접근방법
KR20000008072A (ko)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텔리비젼 프로그램 등급별로 시청시간을 제어하는 장치및 방법
KR20040078817A (ko) * 2003-03-05 2004-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스케줄 알람 구현 방법
KR20050062198A (ko) * 2003-12-20 200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의 시청 제한 방법
KR20050115390A (ko) * 2004-06-03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개시를 알리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635A (ko) * 1994-08-26 1996-03-22 김광호 시청시간 조정방법
KR19980085731A (ko) * 1997-05-30 1998-12-05 배순훈 아동 시청 차단기능 동작시 av기능 동작 가능 여부 제어 방법
KR20000003160A (ko) * 1998-06-26 2000-01-15 전주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시청이 제한된 프로그램 접근방법
KR20000008072A (ko)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텔리비젼 프로그램 등급별로 시청시간을 제어하는 장치및 방법
KR20040078817A (ko) * 2003-03-05 2004-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스케줄 알람 구현 방법
KR20050062198A (ko) * 2003-12-20 200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의 시청 제한 방법
KR20050115390A (ko) * 2004-06-03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개시를 알리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82B1 (ko) 2008-09-09 2011-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권한 객체 자동 갱신 방법 및 장치
US8774401B2 (en) 2008-09-09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ight object renewal method and apparatus for right-protected broadcast service
US9275423B2 (en) 2008-09-09 2016-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ight object renewal method and apparatus for right-protected broadcast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817A (ko)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3389A (ko)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에서 자동 신호 에러 사용자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안내된 복구
KR100753090B1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채널 정보 표시방법
CN101779448B (zh) 接收广播节目的设备和显示喜爱频道的方法
US20100262990A1 (en) Television receiver
KR100759900B1 (ko) 시청시간을 제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EP1995954A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KR10074981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42889B1 (ko) 텔레비젼 방송 프로그램 등급에 따른 시청 제한장치와방법
KR20090067524A (ko) 영상표시기기 및 화면 비 조정 방법
KR100242233B1 (ko) 방송 프로그램 시청 잠금 장치 및 방법
KR100720688B1 (ko) Epg 정보를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275693B1 (ko) 프로그램 등급에 따른 영상/음성 출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115390A (ko) 방송개시를 알리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KR100720545B1 (ko) 티브이의 시청 관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5186A (ko) 텔레비전 시청 제한 장치
KR10078262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채널 전환방법
KR101041816B1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예약 프로그램 제공 방법
KR20080067206A (ko) 아날로그 채널 프로그램 안내 방법
KR100189499B1 (ko) 아이씨-카드(IC-Card)를 이용한 방송프로그램 선별장치 및 방법
KR20090075158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청 제한 방법
KR20030067994A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절환 장치 및 방법
KR20060087769A (ko) 방송 프로그램 자동 저장장치 및 방법
KR20070058034A (ko) 텔레비전의 개인별 등급 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19990027026A (ko) 텔레비젼에서의 시청 제한 방법
KR19990042396A (ko) 텔레비젼에서의 영상 차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