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734B1 - Push Button Switch - Google Patents

Push Button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734B1
KR100759734B1 KR1020050131251A KR20050131251A KR100759734B1 KR 100759734 B1 KR100759734 B1 KR 100759734B1 KR 1020050131251 A KR1020050131251 A KR 1020050131251A KR 20050131251 A KR20050131251 A KR 20050131251A KR 100759734 B1 KR100759734 B1 KR 10075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using
switch
present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9300A (en
Inventor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5013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734B1/en
Publication of KR2007006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3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7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된 장치를 보호하며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바닥 일측에 구비되어 위로 돌출된 택트 스위치;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하우징 내측벽에 연결설치하는 체결부재; 상기 하우징 상단에 연결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하단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의 배면 일측으로부터 택트 스위치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누름수단; 상기 버튼부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단면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재 또는 상기 체결부재와 연결설치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for protecting a device provided therein and providing a place for seating; A tact switch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One or more operating member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 fastening member connecting the operating member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 button uni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Push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tact switch from the back side of the button portion; It provides a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ring which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or the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은 스위치의 작동시 사용자가 버튼의 어떤 부분을 누름 조작하여도 힘이 균형있게 전달되어 작동감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 구조를 간단히 구성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금형개발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is balanced evenly when the user presses any part of the button d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to provide a sufficient feeling, and the switch structure is simply configure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reduce mold development costs. There is.

푸시 버튼 스위치, 택트 스위치 Push button switch, tact switch

Description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Push Button Switch

도 1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ush button switch,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푸시 버튼 스위치 10 : 버튼부2 push button switch 10 button part

12 : 걸림고리 14 : 누름수단12: hook 14: pressing means

16 : 버튼부 걸림쇠 20 : 하우징16: button latch 20: housing

21 : 체결부재 22 : 작동부재21: fastening member 22: operating member

24 : 택트 스위치 25 : 하우징 걸림쇠 24: tact switch 25: housing latch

26 : 고정힌지26: fixed hinge

본 발명은 누름조작에 의해 스위치가 온-오프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 내부에 버튼부와 연결설치된 걸림부재, 작동부재 및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버튼부의 어떤 부분을 누름 조작하더라도 버튼부에 힘이 균형있게 전달되어 작동감이 동일하도록 한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button switch that is switched on and off by a push operation, and more specifically, a locking member, an operating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which are connected to the button unit and installed in the switch, are pressed to press any part of the button unit. Even if it is a push switch to the force of the button portion is transmitted in a balanced manner to the same feeling.

일반적으로 푸시 버튼 스위치는 비디오, TV 또는 오디오 등 전자기기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버튼이 작동되고, 상기 버튼에 의해 내부 설치된 택트 스위치 등이 작동되고, 상기 택트 스위치에 의하여 내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회로가 온-오프되어 소정의 작동을 시키는 전자부품이다. In general, a push button switch is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video, a TV, or an audio, and a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anel is operated by a user, and a tact switch installed inside is operated by the button. As a result, a circuit installed in an internal printed circuit board is turned on and off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일반적인 푸시 버튼 스위치는 피가압부를 갖는 택트 스위치와, 피가압부와 동축선을 갖도록 배치되는 버튼을 포함하며, 버튼의 가압에 따라 버튼이 피가압부를 가압하여 소정의 신호 및 전기적 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주로 컴퓨터의 전원스위치를 포함한 텔레비전 등의 가전제품들에 흔히 이용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다양한 전자제품들 중, 주변에서 흔 히 접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 및 리셋스위치 등을 일실시예로 일반적인 스위치로 설명한다.The general push button switch includes a tact switch having a pressurized part and a button disposed to have a coaxial line with the pressurized part, and the button presses the pressurized part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to obtain a predetermined signal and electrical operation. It is called one. Such a push button switch may be commonly used in home appliances such as televisions, including a power switch of a computer. Hereinafter, among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 power switch and a reset switch, which are commonly found in the vicinity, may be implemented. As an example, a general switch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위치는 메인프레임인 케이싱(101)의 전면부에 형성된 소정의 관통공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케이싱(101)에 걸림유지되며 승강이 자유롭게 마련되는 버튼(120)과, 버튼(120)과 동축선상에 배치되어 버튼(120)의 가압시 버튼(120)과 접촉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택트 스위치(150) 및 버튼(120)과 택트 스위치(150)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120)의 가압해제시 버튼(120)을 탄성적으로 복원시켜주는 코일스프링(1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general switch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through-hole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asing 101, which is the main frame, the button 120 is held in the casing 101, the lifting is freely provided, and Is disposed on the coaxial line with the button 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tact switch 150 and the button 120 and the tact switch 150 to apply power to the system in contact with the button 120 when the button 120 is pressed It includes a coil spring 140 to elastically restore the button 120 when the button 120 is released.

케이싱(101)의 전면부 일측은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버튼(120)이 삽입되는 삽입부(103)가 된다. 또한, 삽입부(103)내는 버튼(120)의 걸림부(123)가 삽입되어 걸림유지되는 제 1관통공(105)과 버튼(120)의 전달부(127)가 자유롭게 승강하여 삽입되는 제 2관통공(107)이 마련된다.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asing 101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plate surface to be an insertion portion 103 into which the button 120 is inserted. In addition, the first insertion hole 105 and the transmission part 127 of the button 120, which are inserted and held by the locking portion 123 of the button 12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03, and are freely lifted and inserted. The through hole 107 is provided.

버튼(120)은 케이싱(101)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121)와, 케이싱(101)에 형성된 제 1관통공(105)에 삽입되어 버튼(120)을 케이싱(101)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23)와, 케이싱(101)의 제2관통공(107)에 삽입되며 누름부(121)와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부(121)의 가압시 택트 스위치(150)의 피가압부(151)를 가압하는 전달부(127)를 포함한다.The button 120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portion 121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101 and the first through hole 105 formed in the casing 101 to release the button 120 out of the casing 101. The locking portion 12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07 of the casing 101 to prevent the insertion of the tact switch 150 when the pressing portion 12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essing portion 121. It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127 for pressing the pressing unit 151.

걸림부(123)는 누름부(121)의 중심 축선을 따라 배면으로부터 택트 스위치(150)를 향해 돌출되며 제 1 관통공(105)에 삽입 가능하도록 도 1과 같이 소정의 경사면(124)을 포함하며, 경사면(124)의 끝단부에는 걸림턱(125)이 형성된다. 이 에, 걸림턱(125)에 의해 버튼(120)이 케이싱(101)에 걸림유지됨으로써, 버튼(120)이 케이싱(101)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locking portion 123 protrudes from the back toward the tact switch 150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pressing portion 121 and includes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124 as shown in FIG. 1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05. At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124, a locking step 125 is formed. The button 120 is held by the casing 101 by the locking step 125, thereby preventing the button 120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casing 101.

전달부(127)는 누름부(121)의 중심 축선을 따라 배면으로부터 택트 스위치(150)를 향해 돌출 연장되며, 또한, 케이싱(101)에 형성된 제 2 관통공(107) 내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누름부(121)를 가압하는 경우, 누름부(121)와 일체로 이동하여 택트 스위치(150)의 피가압부(127)를 가압한다.The transmission part 127 protrudes and extends from the back toward the tact switch 150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pressing part 121,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07 formed in the casing 101 to be pressed by the user. When pressing the part 121, the pressing part 121 moves integrally to press the pressurized part 127 of the tact switch 150.

택트 스위치(150)는 케이싱(101)의 전면부 배면에 케이싱(101)과 소정의 이격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PCB 기판(153) 상에 마련되며, 전달부(127)와 접촉하는 피가압부(151)를 포함한다.The tact switch 150 is provided on the PCB substrate 153 which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rear surface of the casing 101 with a predetermined space from the casing 101, and is pressurized to contact the transfer part 127. 151).

또한, 버튼(120)과 택트 스위치(150)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누름부(121)의 배면과 접하며, 타단이 삽입부(103)의 판면과 접하는 코일스프링(140)이 마련되어 버튼(120)의 가입시 압축되며, 버튼(120)의 가압해제시 탄성부세하여 버튼(1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In addition, between the button 120 and the tact switch 150,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121,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coil spring 140 is in contact with the plate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103 of the button 120 It is compressed at the time of joining and elastically returns when the button 120 is depressurized to return the button 120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버튼 스위치는 버튼의 크기가 클 경우 버튼의 중심부를 정확히 가압하지 않으면 버튼의 일측만 하강하여 택트 스위치가 정확히 가압되지 않아 버튼의 접촉에 의한 스위치의 온-오프가 오작동 되고, 버튼 스위치가 하강되었다가 상승할시 초기상태를 회복하려는 탄성력보다 스위치와 하우징 사이의 마찰력이 강하여 버튼 스위치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If the button switch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 large size, the button is not pressurized correctly, but only one side of the button is lowered and the tact switch is not pressurized correctly. When the switch is lowered and then raised,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switch and the housing is stronger than the elastic force for restoring the initial state, such that the button switch is fixed in the lowered stat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버튼부 하단면에 연결설치되는 작동부재를 구비시켜, 상기 버튼부의 어떤 부위를 가압하더라도 작동부재에 의해 버튼부에 힘이 균일하게 전달되어 버튼부가 기울어짐 없이 하강 또는 상승되는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d with an oper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even if any portion of the pressurized portion of the button by the operating member evenly pushed the button to the button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in providing a button switch in which the portion is lowered or raised without tilting.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된 장치를 보호하며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바닥 일측에 구비되어 위로 돌출된 택트 스위치;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하우징 내측벽에 연결설치하는 체결부재; 상기 하우징 상단에 연결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하단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의 배면 일측으로부터 택트 스위치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누름수단; 상기 버튼부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단면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재 또는 상기 체결부재와 연결설치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for protecting a device provided therein and providing a place for seating; A tact switch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One or more operating member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 fastening member connecting the operating member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 button uni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Push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tact switch from the back side of the button portion; It provides a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ring which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or the fasten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는 버튼부와 하우징 사이에 작동부재, 체결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와 버튼부를 연결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의 누름조작에 의해 버튼부 전체가 기울어짐 없이 하강 또는 상승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버튼형 스위치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느 장치에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넓은 크기의 버튼부를 필요로 하는 스위치에 사용되는 것이 좋다.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member, a fastening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button between the button portion and the housing is lowered or raised without tilting the entire button portion by pressing the button portion As can be done, the button-type switch may be used in any device commonly used, and preferably used in a switch requiring a wide button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내부에 구비된 택트 스위치, 작동부재 및 체결부재 를 보호하며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적인 하우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ce to protect the tact switch,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provided therein, any housing may be used if it is a conventional housing used for this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택트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 내측바닥 일측에 구비되어 위로 돌출된 것으로서, 내부 기판에 설치된 회로가 온-오프되도록 작동 시키는 전자부품인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택트 스위치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택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tac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and protrudes upward, and is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operates the circuit installed on the inner substrate to be on-off. It is preferable to use a tact switch commonly us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서, 버튼부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작동부재 일측이 이동되면. 상기 작동부재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도 동일하게 연동하여 버튼부 전체가 동일하게 하강된다.One or more operating me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when one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is moved by pressing one side of the button unit.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operation member is interlocked in the same way so that the entire button portion is lowered equally.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상기 작동부재를 하우징 내측벽에 연결설치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작동부재가 사용되면 하우징 내측벽에 구비되어 작동부재를 하우징 내측벽에 직접 안착시키고, 두개 이상의 작동부재가 사용되면 작동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의 작동부재와 연결설치되고, 그 일측이 하우징 내측벽에 고정된다.The fasten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nd install the operation member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when one operating member is used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seating the operating member directly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two or more operating members are used When provided between the operating member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each operating member, one side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버튼부는 상기 하우징 상단에 구비되어 하우징에 덮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하단면 일측에는 하우징 걸림쇠에 걸림유지되어 상ㆍ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버튼부 걸림쇠가 형성될 수 있다.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to provide a cover to the housing, the lower end of one side may be formed in the button latch so that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is held by the housing latch.

본 발명에 따른 누름수단은 상기 버튼부의 하단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의 배면 일측으로부터 택트 스위치를 향하여 돌출 연장된 것으로서, 이는 상기 버튼부가 하강할 때 택트 스위치를 가압하여 기계적 또는 전기적 신호를 송출한다.The pres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art and extends from the rear side of the button part toward the tact switch, which presses the tact switch when the button part is lowered to send out a mechanical or electrical signal. .

본 발명에 따른 걸림고리는 상기 버튼부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단면 양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작동부재 또는 체결부재가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h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tton part,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recessed so that the operation member or the fastening member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other view of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 aspect, FIG. 9 demonstrates together as a top view which shows another aspect of the pushbutton switch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는 내부에 구비된 장치를 보호하며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 내측바닥 일측에 구비되어 위로 돌출된 택트 스위치(24); 상기 하우징(20) 내부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작동부재(22); 상기 작동부재(22)를 상기 하우징(20) 내측벽에 연결설치하는 체결부재(21); 상기 하우징(20) 상단에 연결설치되는 버튼부(10); 상기 버튼부(10)의 하단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10)의 배면 일측으로부터 택트 스위치(24)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누름수단(14); 상기 버튼부 (10)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단면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재(22) 또는 상기 체결부재(22)와 연결설치되는 걸림고리(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2 to 9,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device provided therein housing 20 for providing a place to be seated; A tact switch 2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20 to protrude upward; One or more operating members 22 provided on one side inside the housing 20; A fastening member 21 for connecting and installing the operating member 22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0; A button unit 10 connected to and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20; Pushing means (1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10 protruding toward the tact switch 24 from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10); The button portion 1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ok ring 12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22 or the fastening member 22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20)은 내부에 구비된 장치를 보호하며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적인 하우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20)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향으로 돌출된 택트 스위치(24), 상기 택트 스위치(24)에 이웃하도록 하우징 길이방향의 내측벽에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고리(21), 상기 체결고리(2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작동부재(22) 및 하우징 걸림쇠(25)가 형성된 것이 좋다.The housing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ce to protect the device provided therein and to be seated, and any housing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 housing used for this purpose, preferably the housing 20 At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tact switch 24 protrudes upward, at least one fastening ring 21 formed on the inner 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so as to be adjacent to the tact switch 24, the fastening ring 21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member 22 and the housing latch 25 are inserted and fixed.

여기서, 상기 택트 스위치(24)는 외부로 신호가 송출 되도록 작동 시키는 전자부품인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택트 스위치(24)라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택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Here, the tact switch 24 is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operates to transmit a signal to the outside, so that the tact switch 24 used for this purpo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tact switch commonly used in the art is used. It is good.

필요에 따라, 상기 택트 스위치(24) 하단에는 기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If necessary, a substrate (not shown) may be provided below the tact switch 24.

상기 기판은 그 표면에 저항 등의 소자가 실장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substrate provides a place where elements such as resistors are mount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any substrate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used for this purpos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conventional substrate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22)는 상기 하우징(20) 내부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서, 버튼부(10)가 이동함에 따라 걸림고리(12)가 이동하여 작동부재(22)를 연동시킨다.One or more operating members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t one side inside the housing 20, and the locking ring 12 moves as the button unit 10 moves to interlock the operating members 22.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22)는 하나의 작동부재(22)가 구비 될 경우 버튼부(10)와 비슷한 길이로 형성되고, 그 형태는 하우징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봉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봉형은 그 양단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 및 "┏"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 particular aspect, the actuating member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similar to that of the button part 10 when one actuating member 22 is provided, and the shape of the actuating member 22 is rod-shap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t is provided, the rod-shape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및" and "┏"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다른 특정 양태로서, 두개 이상의 작동부재(22)가 구비될 경우 상기 작동부재(22)는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when two or more actuating members 22 are provided, the actuating members 22 are all form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상기 체결부재(21)는 상기 작동부재(22)를 상기 하우징(20) 내측벽에 연결설치하는 것으로서, 작동부재(22)를 고정시키거나 연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The fastening member 21 is installed to connect the operating member 22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0, and is provided to fix or interlock the operating member 22.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21)는 하나의 작동부재(22)가 이용될 경우에 상기 작동부재(22)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소정 깊이로 홈이 형성된 원형, 바람직하게는 타원형 구 또는 소정 깊이로 홈이 형성된 직육면체로 구비될 수 있다.As a specific aspect, the fastening member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ircular, preferably formed with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one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22 is inserted and fixed when one operating member 22 is used. It may be provided as an oval spher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21)는 두개 이상의 작동부재(22)가 이용될 경우에 두개 이상의 작동부재(22) 사이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각각의 작동부재(22)를 연결설치하고, 각각의 작동부재(22)를 하우징(20) 내측벽에 안착시켜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며, 그 형태는 종축 단면이 "┓" 또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specific aspect, the fastening member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between two or more operating members 22 when two or more operating members 22 are used to connect and install each operating member 22. And, each operating member 22 is se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0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shape of the longitudinal axis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또는" or "형태".

이때, 상기 체결부재(21)는 그 일측면이 하우징(20) 내측벽에 고정되도록 일측에 고정힌지(26)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 21 is provided with a fixed hinge 26 on one side thereof so that one side thereof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0.

이에, 버튼부(10)가 하강 또는 상승되면 상기 체결부재(21) 및 작동부재(22) 가 고정힌지(26)를 중심으로 연동된다. 이때, 상기 고정힌지(26)는 상기 체결부재(21) 일측 및 하우징(20) 내측면을 관통하는 핀 또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Thus, when the button unit 10 is lowered or raised, the fastening member 21 and the operating member 22 are interlocked around the fixed hinge 26. In this case, the fixed hinge 26 may use a pin or bolt and nut penetrating the fastening member 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푸시 스위치 버튼(2)은 하우징(20) 내측면 일측에 하우징 걸림쇠(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걸림쇠(25)는 버튼부 걸림쇠(16)와 접촉하여 하우징(20)과 버튼부(10)를 걸림유지시키며, 이를 통하여 버튼부(10)가 하우징(20)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 particular aspect, the push switch button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housing latch 25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The housing latch 25 contacts the button latch 16 to hold the housing 20 and the button 10, thereby preventing the button 10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housing 20. .

본 발명에 따른 버튼부(10)는 하우징(20)의 상단에 구비되어 하우징(20)을 덮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하단면 일측에는 하우징 걸림쇠(25)에 걸림유지되어 상ㆍ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버튼부 걸림쇠(16)를 형성시킬 수 있다.The butto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20 to provide a cover for the housing 20,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utton unit 10 are held by the housing brace 25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The button latch 16 can be formed so as to.

상기 버튼부 걸림쇠(16) 및 상기 하우징 걸림쇠(25)의 형태는 서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버튼부(10)가 상ㆍ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후크 형태가 좋다.The shape of the button latch 16 and the housing latch 25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xed, the button portion 10 is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enable the up and down movement, preferably a hook Good form

필요에 따라, 상기 버튼부(10)와 택트 스위치(24) 사이에는 버튼부(10)의 가압해지시 버튼부(10)를 탄성적으로 이동시켜 원위치로 복원시켜주는 코일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If necessary, a coil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button unit 10 and the tact switch 24 to elastically move the button unit 10 to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button unit 10 is released. It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누름수단(14)은 버튼부(10)의 배면으로부터 택트 스위치(24)를 향해 돌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버튼부(10)가 하강할 때 택트 스위치(24)를 가압하여 기판이 온-오프되도록 하고, 그 형태는 원통형, 평판형, 삼각뿔, 직육면체 등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 좋다. The pressing means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10 toward the tact switch 24. When the button portion 10 descends, the pressing means 14 presses the tact switch 24 so that the substrate is pressed. On-off, the shape is formed of a cylindrical, flat plate, triangular pyramid,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like, preferably cylindrical.

본 발명에 따른 걸림고리(12)는 상기 버튼부(10) 하단면 양단부에 구비되어 작동부재(22) 또는 체결부재(21)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서, 임의의 제 1 걸림고리(12)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이와 연결설치된 작동부재(22) 또는 체결부재(21)가 연동하여 임의의 제 2 걸림고리(12)도 동일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버튼부(10) 하단면 양단부에 각각 두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hook rin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art 10 a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member 22 or the fastening member 21, and any first hook ring 12 is raised. Alternatively, when lowered, the operation member 22 or the fastening member 21 connected thereto is interlocked to raise or lower any second locking ring 12 to the same height, and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part 10 as necessary. Each may be provided in two or more.

상기 걸림고리(12)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작동부재(22) 또는 체결부재(21)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걸림고리(12)는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The locking ring 12 is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one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22 or the fastening member 21 can be inserted, and each locking ring 1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버튼 스위치의 작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ush butt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사용자가 버튼부(10) 일측을 누름조작하면, 상기 버튼부(10)의 하단면 일측에 연결설치된 임의의 제 1 걸림고리(12)가 하강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고리(12)에 연결설치된 작동부재(22) 일측이 함께 이동된다.When the user pushes one side of the button unit 10, an operating member installed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hook ring 1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unit 10 is lowered and connected to the hook ring 12. (22) One side is moved together.

이때, 상기 작동부재(22)의 일측이 이동되면 이에 대향되는 작동부재(22)의 타측도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22) 타측에 연결설치되고 버튼부(10) 하단면 일측에 연결설치된 임의의 제 2 걸림고리(12)도 연동하여 함께 하강한다.In this case, when one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22 is moved,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22 opposite thereto is also moved, and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22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unit 10. Any second hook 12 is also lowered in conjunction.

이에, 상기 버튼부(10) 전체가 동일하게 하강하여 상기 버튼부(10) 하단면 일측에 구비된 누름수단(14)이 하강하고, 상기 하강한 누름수단(14)이 택트 스위치(24)를 가압하여 스위치가 온 된다. Thus, the entire button unit 10 is lowered in the same manner so that the pressing unit 1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unit 10 descends, and the lower pressing unit 14 pushes the tact switch 24. Pressurized to switch on.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22)가 두개 이상 구비된 경우에는 임의의 제 1 걸림고리(12)가 작동부재(22) 사이에 연결설치된 체결부재(21)와 연결설치되어 체결부재(21)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21) 타측에 연결설치되고 버튼부(10) 하단면 일측에 연결설치된 임의의 제 2 걸림고리(12)를 연동하여 함께 하강된다. Here, in the case where two or more operating members 22 are provided, an arbitrary first catching ring 12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member 21 installed between the operating members 22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21 slides. Simultaneously with movement, the fastening member 21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descends together by interlocking an arbitrary second locking ring 1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unit 10.

그 다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버튼부(1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전술한 과정을 거쳐 스위치를 온-오프 시킨다.Then, the user selectively presses the button unit 10 as necessary to turn the switch on and off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은 스위치의 작동시 사용자가 버튼의 어떤 부분을 누름 조작하여도 힘이 균형있게 전달되어 작동감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 구조를 간단히 구성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금형개발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is balanced evenly when the user presses any part of the button d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to provide a sufficient feeling, and the switch structure is simply configure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reduce mold development costs. There is.

Claims (5)

내부에 구비된 장치를 보호하며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바닥 일측에 구비되어 위로 돌출된 택트 스위치;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두개 이상 구비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하우징 내측벽에 연결설치하는 체결부재; 상기 하우징 상단에 연결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하단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의 배면 일측으로부터 택트 스위치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누름수단; 상기 버튼부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단면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와 연결설치되는 걸림고리; 및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면이 하우징의 내측벽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A housing that protects the device provided therein and provides a place for seating therein; A tact switch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Two or more operating member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 fastening member connecting the operating member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 button uni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Push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tact switch from the back side of the button portion; A catch ring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tton part and connect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 fixing hing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to be fixed to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부재는 그 종축 단면이 "┓" 또는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The fastening member is a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axis cross section "┓" or "┏" ty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작동부재는 평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The push button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member is formed in a flat shape.
KR1020050131251A 2005-12-28 2005-12-28 Push Button Switch KR1007597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251A KR100759734B1 (en) 2005-12-28 2005-12-28 Push Button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251A KR100759734B1 (en) 2005-12-28 2005-12-28 Push Button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300A KR20070069300A (en) 2007-07-03
KR100759734B1 true KR100759734B1 (en) 2007-09-20

Family

ID=3850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251A KR100759734B1 (en) 2005-12-28 2005-12-28 Push Button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73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749A (en) * 1994-02-25 1995-09-05 Fujitsu Ltd Keyboard
JPH0831263A (en) * 1994-07-14 1996-02-02 Nec Tohoku Ltd Large key mounting structure of keyboard
JPH1092261A (en) 1996-07-22 1998-04-10 Oki Electric Ind Co Ltd Key top fix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749A (en) * 1994-02-25 1995-09-05 Fujitsu Ltd Keyboard
JPH0831263A (en) * 1994-07-14 1996-02-02 Nec Tohoku Ltd Large key mounting structure of keyboard
JPH1092261A (en) 1996-07-22 1998-04-10 Oki Electric Ind Co Ltd Key top fix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300A (en)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72083A (en) Push button
US2008029327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JP5558235B2 (en) Push switch
US7922512B2 (en) Socket connector having movable frame with actuating member
KR101685188B1 (en) Push button switch
KR100759734B1 (en) Push Button Switch
JP3179036U (en) Push switch
CA2629690C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KR100762278B1 (en) Socket for holding backlight lamp
KR100426695B1 (en) Push Button Switch
CN212209284U (en) Button switch with lock
KR101110463B1 (en) Trip button mechanism of remote operating handle for circuit breaker
US6790069B2 (en) IC socket with resistant mechanism
KR102396709B1 (en) Keyboard
KR930009235B1 (en) Push button switch
US8342870B2 (en) Burn-in-test socket incorporating with actuating mechanism perfecting leveling of driving plate
JP2001250450A (en) Push button switch
KR100549314B1 (en) Apparatus for power button
KR200295555Y1 (en) Button device of remote controller
WO2013011802A1 (en) Contact member
KR930009234B1 (en) Push button switch
KR200346436Y1 (en) Structure of tact switch
JPH0447862Y2 (en)
KR200295991Y1 (en) Monitor switch
JP4560499B2 (en) 2-stage push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