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349B1 -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on of reading ability using internet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on of reading ability using inter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349B1
KR100759349B1 KR1020050091455A KR20050091455A KR100759349B1 KR 100759349 B1 KR100759349 B1 KR 100759349B1 KR 1020050091455 A KR1020050091455 A KR 1020050091455A KR 20050091455 A KR20050091455 A KR 20050091455A KR 100759349 B1 KR100759349 B1 KR 100759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ading
user terminal
example sentenc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6439A (en
Inventor
전방하
Original Assignee
전방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방하 filed Critical 전방하
Priority to KR102005009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349B1/en
Publication of KR2007003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4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방법 및 시스템과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단말기가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됨에 따라 메뉴선택화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사용자단말기에서 적독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서버에서 적독훈련을 위한 단계선택 화면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사용자단말기에서 선택된 단계에 해당하는 예문 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사용자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예문에 대한 적독훈련 화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한 후, 해당 예문에 대한 이해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예문에 대한 적독훈련 후 서버에서 예문에 대한 전체내용 이해력 평가질문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평가질문에 답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using the Internet and a storage medium, wherein a process of transmitting menu selection screen data to the user terminal as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d selecting a red reading menu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tep selection screen data for the red reading training from the server to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example sente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ep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red reading training screen data for the example senten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After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data,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question data for evalu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ample sentences to the user terminal, after training the reading for the example sentences, the server transmits the full content understanding evaluation question data about the example to the user to evaluate Including the process of answering a question I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속독, 적독, 발췌독, 인터넷, 서버, 단말기, 5독, 평가, 질문, 이해력 Read, Red, Excerpt, Internet, Server, Terminal, 5 Poison, Assessment, Question, Understanding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on of reading ability using internet}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on of reading ability using interne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속독훈련과정의 흐름도이고,1 is a flow chart of a speed reading training process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2 is a network diagram of a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power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과정의 흐름도이고,3 is a flow chart of a reading ability improvement process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회독 내지 5 회독에 대한 적독훈련을 위한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표시도이다.4A to 4E are screen display diagrams of a user terminal for red reading training for the first to fifth rerea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사용자단말기 200 : 서버100: user terminal 200: server

210 : 적독훈련서버 221 : 회원데이터베이스210: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21: member database

222 : 예문데이터베이스 223 : 평가데이터베이스222: Example database 223: Evaluation database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독서력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된 단말기를 통해 다양하게 표시된 예문을 육안으로 이동하면서 적독(발췌독 : 일정부분을 골라 읽는 독서방법)을 단계별로 훈련하여 빠른 속도로 책을 읽고 정확히 이해하는 독서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through the Internet, and more particularly, a user reads various reading examples through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et with the naked eye (excerpt reading: reading a selected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using the Internet and a recording medium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to read and accurately read a book at high speed by training step by step.

일반적으로 독서방법에는 다양한 피드백을 통하여 빨리읽기에 초점을 맞춘 속독, 내용 파악에 초점을 맞춰 읽는 정독, 발췌독을 통한 문제풀이를 통해 속독과 정독의 장점을 갖춘 적독이 있으며, 이의 훈련을 통해 독서력을 향상시키게 된다.In general, there are reading methods that focus on fast reading through various feedbacks, reading carefully by focusing on content reading, and reading through problem solving through excerpt reading. Will improve.

여기서, 속독은 안구의 행간운동에 기초한 독서법으로써 책의 내용을 신속하게 읽어가면서 이해하고자 하는데 그 숙련의 목적이 있는 것으로,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많은 독서량을 필요로하는 자나 수험생들이 학습속도의 향상을 위해 이용되고 있다.  Here, the speed reading is a reading method based on the interline movement of the eye, and the purpose of the reading is to quick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book. The purpose of the skill is to improve the learning speed of those who need a large amount of reading in a relatively short time. It is used.

이와 같은 속독은 주로 종이위에 인쇄된 평면상의 속독훈련도형을 따라 안구를 좌에서 우로, 상에서 하로 점진적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동작의 반복에 의해 훈련자의 속독능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Such speed reading mainly improves the speed reading ability of the trainees by repeating the movement of the eye gradually moving from the left to the right and the top to the right along the speed reading training pattern printed on the paper.

그러나 이와 같은 속독훈련은 단순하고 지루한 방법으로서 많은 훈련자들이 중도에서 탈락하여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포기하며, 사용자들의 반복되는 동일형태의 문자, 도형에 싫증이 날뿐만 아니라, 속독훈련을 위하여 도형 또는 문자가 표시된 훈련서적을 반드시 지참하여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0478935호(인터넷을 이용한 속독훈련방법 및 시스템과 저장매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로 속독훈련을 위한 훈 련데이터를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속독학습성과를 시험하여 사용자의 실력향상 상태를 알려주도록 하고 있다.However, such speed reading training is a simple and tedious method, and many trainees drop out in the middle, failing to achieve a predetermined purpose, and get tired of repeating the same type of letters and shapes of users, but also for speed reading training. Alternatively,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ring a training book marked with a letter, a computer connected to the Internet,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478935 (Method and system for fast reading using the Internet and a storage medium). It provides training data for speed reading training, and tests the speed reading learning performance in real time to inform the user of the improvement statu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속독훈련 과정의 흐름도로서, 다수의 접속단말기와, 상기 접속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특정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속독훈련방법에 있어서, 속독훈련자가 접속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메뉴화면출력을 요청하면 서버에서 속독메뉴화면출력데이터를 해당 접속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접속단말기가 접속한 인터넷 통신망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접속단말기의 화면에 속독메뉴화면을 출력하고 속독훈련자에 의하여 선택된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출력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속독훈련모드 및 상기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출력방식, 속도, 횟수, 또는 출력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속독훈련조건을 상기 접속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속독훈련자가 선택한 속독훈련모드 및 속독훈련조건에 따라 속독훈련을 실행하도록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등의 속독훈련데이터를 속독훈련자의 접속단말기로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is a flow chart of a speed reading training process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peed reading training us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access terminals and at least one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by a request from the access terminal. In the method, when the speed reading trainer requests a menu screen output by accessing a server through an access terminal, the server transmits the speed reading menu screen output data to the corresponding access terminal, and the server is connected to the protocol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access terminal is connected. Selectively converting and transmitt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first step; A speed reading mode for outputting a speed reading menu screen on the screen of the access terminal and selecting one or more of a text, an image, or a video selected by the speed reading trainer, and an output method and speed of the text, image, or video. Receiving a speed reading training condition for setting a number of times, or an output time from the access terminal; And a third step of outputting the speed reading training data such as a text, an image, or a video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peed reading trainer to execute the speed reading training according to the speed reading training mode and the speed reading training conditions selected by the speed reading trainer in the second step. It is characterized by.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속독훈련을 위한 학습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속독학습성과를 시험하여 사용자의 실력향상 상태를 알려주는 잇점이 있다.The prior art thus made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learning data for speed reading training over the Internet and testing the speed reading learning performance in real time to inform the user of improved skills.

그러나, 종래기술은 단지 사용자의 속독실력 및 훈련의 진행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통해 설정된 시간에 다양한 형태의 훈련데이터를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속독학습성과를 테스트를 수행하여 책을 읽는 속도만 빠르게 할 뿐 독서력의 가장 중요한 정확한 이해력이 간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only provides various types of training data at a set time through the Internet to test the speed reading and the progress of the training, and speeds up the speed of reading a book by testing the speed reading performance in real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ost important accurate understanding of reading ability was overlook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터넷 서버에 온라인 접속된 사용자단말기로 다양하게 예문을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에 표시된 예문을 육안으로 이동하면서 적독을 단계별로 훈련하여 속독을 통해 빠른 속도로 책을 읽고 정확히 이해하도록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방법 및 시스템과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various examples are displayed by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et server online, and the user step by step while reading the example sentence displayed on the terminal with the naked ey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and a storage medium using the Internet that display information so that students can read and read books quickly and accurately through speed rea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적독훈련을 하도록 적독훈련 난이도 단계에 따라 예문을 제공하고, 각 예문에 대하여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내용에 따른 소정부분을 각각 표시하여 제공하고, 각 회독을 마칠때마다 내용의 이해력 질문을 통해 평가를 수행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방법 및 시스템과 저장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exampl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difficulty reading training to the user to perform red reading training over the Internet, and for each example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reading content,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using the Internet, and a storage medium for evaluating a comprehension question on each read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과정은 인터넷에 온라인으로 접속된 개인용컴퓨터를 포함한 이동통신 접속가능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베이스(이하, 'DB'라 약칭함)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엑세스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인터넷을 통한 독서력 향상 훈련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서 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됨에 따라 메뉴선택화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인화면 제공과정과(S110~S210),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적독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적독훈련을 위한 단계선택 화면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적독메뉴화면 제공과정(S112~S212)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선택된 단계에 해당하는 예문 데이터를 예문DB에서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예문데이터 제공과정(S114)(S214)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예문에 대한 적독훈련 화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한 후, 해당 예문에 대한 이해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적독훈련화면 제공과정과, 상기 예문에 대한 적독훈련 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예문에 대한 전체내용 이해력 평가질문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평가질문에 답하도록 하는 평가질문 제공과정(S116~S2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Such a reading improvement process using the Interne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access user terminal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o the Internet online and the corresponding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B"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In the training method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through the Internet, including a server for accessing the stored data and transmitting the stored data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selects the menu selection screen data as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Internet. Providing the main screen to the terminal (S110 ~ S210), and the process of providing a red read menu screen for transmitting the step selection screen data for the red read training in the server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red read menu in the user terminal (S112) S212) corresponding to the step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After the sentence data is read from the example sentence DB, the example sentence data providing process (S114) (S214)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red read training screen data for the example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n the example sentence The process of providing a reading test screen for transmitting the question data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understanding to the user terminal, and after the red reading training for the example sentence, the server transmits the entire content understanding evaluation question data for the example sentence to the us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evaluation question providing process (S116 ~ S234) to answer the question.

여기서, 상기 적독훈련화면 제공과정은 상기 예문만을 표시하여 예문 전체의 느낌을 파악하게 하는 제 1 회독과, 상기 예문에 인물 및 인물의 행동을 묘사하는 구절을 표시하는 제 2 회독과, 상기 예문에 시간적 배경과 서사에 대하여 묘사된 구절을 표시하는 제 3 회독과, 상기 예문에 공간적 배경과 공간이동에 따른 사건을 묘사하는 구절을 표시하는 제 4 회독과, 상기 예문에 각 문단의 배역과 문단의 기능 구성에 따라 문단을 표시하는 제 5 회독 내용을 조합하여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red reading screen, the first reading to display only the example sentence to grasp the feeling of the whole sentence, and the second reading to display a phrase describing the behavior of the person and the person in the example sentence, and A third repertoire that displays passages depicted against temporal backgrounds and narratives; a fourth repertoire for passages that describe events based on spatial backgrounds and space movements; and the roles and paragraphs of each paragraph According to the function configuration, the contents of the fifth readout displaying the paragraphs are combin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sequentially.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 시스템은 인터넷에 온라인으로 접속된 개인용컴퓨터를 포함한 이동통신 접속가능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해당 DB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엑세스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인터넷을 통한 독서력 향상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회원정보 및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적독훈련 진행단계 및 적독훈련 평가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DB과,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기에 독서 예문데이터를 단계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제공하는 예문DB와,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 내용에 해당하는 예문데이터의 이해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질문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질문데이터를 제공하는 평가DB와, 상기 예문DB에 저장된 예문데이터를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 선택에 따라 설정된 형태로 상기 소정의 예문 구절 또는 문단을 표시하고, 상기 질문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DB에 저장된 정오답 데이터와 비교한 후 평가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회원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상기 회원DB에 저장하는 적독훈련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power using the Internet accesses a user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o the Internet online and accesses data stored in a corresponding DB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In the training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power over the Internet, including a server for transmitting to a terminal, the server stores a user's member information and login information, and a member DB for storing the user's intensive training progress step and the intensive training evaluation result data. Storing at least one reading example sentence data in the connected user terminal step by step, and providing an example sentence DB provid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understanding the example sente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fifth reading contents. Save question data for evaluation and user terminal An evaluation DB for providing the corresponding question data according to a selection, and the predetermined sentence phrase or paragraph in the form set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reread selections of the example data stored in the example sentence DB, and for the question data Receiving the response data of the user and compared with the noon answer data stored in the evaluation DB and transmits the evaluation result data to the user terminal, and comprises a red read training server for storing in the member DB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emb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4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인터넷에 온라인으로 접속된 개인용컴퓨터(PC), PDA, 휴대폰 등을 포함한 이동통신 접속가능한 사용자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적독훈련 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200)로 구성된다.2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power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PC), a PDA, a mobile phone, and the like,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server 200 reads the red train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read data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의 회원정보 및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적독훈련 진행단계 및 적독훈련 평가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DB(221)와,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기(100)에 독서 예문데이터를 단계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선택에 따라 제공하는 예문DB(222)와,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 내용에 해당하는 예문데이터의 이해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질문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단말기(100)의 선택에 따라 해당 질문데이터를 제공하는 평가DB(223)와, 상기 예문DB(222)에 저장된 예문데이터를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 중 선택에 따라 설정된 형태로 상기 소정의 예문 구절 또는 문단을 표시하고, 상기 질문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DB(223)에 저장된 정오답 데이터와 비교한 후 평가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선택에 따라 상기 회원DB(221)에 저장하는 적독훈련서버(210)로 구성된다.The server 200 stores the user's member information and login information, the member DB 221 for storing the user's deep reading training progress step and the deep reading training evaluation result data, and a reading example in the connected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step by step to store the data, and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example of the example terminal DB 222,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exampl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fifth reading content The evaluation DB 223 which stores the question data and provides the question data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example sentence data stored in the example sentence DB 222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to fifth readings. Display the predetermined example sentence or paragraph in a set form, receive the user's answer data for the question data and compare it with the noon answer data stored in the evaluation DB 223, and the evaluation result It consists of the data into training jeokdok server 210 for storage in the member DB (221) at the op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ransmits to the user terminal (10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e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2 to 4E attached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사용자단말기(100)는 개인용컴퓨터(PC), PDA, 휴대폰 또는 그밖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이 가능하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power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used as a personal computer (PC), PDA, mobile phone or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Do.

상기 소정의 사용자단말기(100)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200)에 온라인 접속을 하며, 적독훈련을 위한 적독훈련서버(21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에 맞는 통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The predetermined user terminal 100 makes an online connection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for the red reading training is a communication protocol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data is converted and transmit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user terminal 100.

또한, 적독훈련서버(210)는 회원DB(221)에 가입회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의 로그인 요청시, 회원확인 인증을 위해 저장된 회원정보를 참조한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회원방에 적독훈련 진도상황 및 평가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이를 사용자단말기(100)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member in the member DB 221, and when the logi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refers to the stored member information for member verification authentic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o store the progress and evaluation result of the red reading training in their member room,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necessary.

상기 예문DB(222)는 초등, 중등, 고등 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마다 24개의 세부단계로 분류하며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단계의 예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는 상기 예문DB(222)에서 독취된 예문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한다.The example DB 222 may be classified in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levels, and may be classified into 24 sub-levels for each step, and select an example of a step suitable for a user's level.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transmits the exemplary sentence data read from the example sentence DB 222 to the user terminal 100.

상기 사용자단말기(100) 화면은 상기 예문데이터를 브라우져상에 책을 펼친 모양으로 두 쪽을 한 화면으로 표시하여 실제책을 보는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한다.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example data in the form of an open book on a browser, and displays two pages as one screen to produce an effect such as viewing an actual book.

즉,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의 일정 키를 선택할 때마다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는 제 1 회독 내용에 해당하는 예문을 첫 쪽부터 마지막 쪽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예문DB(222)에서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한 후 상기 평가DB(223)로부터 상기 제 1 회독 내용에 해당하는 질문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한다. That is, whenever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key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reads the example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ading contents sequentially from the first page to the last page in the example sentence DB 222. Afte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ques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ad content is read from the evaluation DB 223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제 2 회독 내지 제 5 회독 내용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일정키를 선택할 때마다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는 상기 예문DB(222)에서 해당 예문을 독취하여 전송한다.Similarly for the second to fifth read contents, whenever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key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reads the example sentences from the example DB 222 and transmits them.

상기 평가DB(223)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까지의 적독훈련과 전체 내용 평가가 끝난 결과를 저장하고자 할 경우 이를 저장하게 된다.The evaluation DB 223 stores the result of the completion of the red reading and the entire content evaluation of the first to fifth read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과정의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적독훈련을 위해 자신의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버(200)에 접속 및 로그인을 요청한다.(S110)3 is a flowchart of a reading improvement process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user requests access and login to the Internet server 200 using his or her user terminal 100 for red reading training. S110)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후 메인화면을 전송하고, 입력된 회원정보를 상기 회원DB(221)를 참조하여 로그인을 인증하게 된다.(S210)The server 100 transmits the main screen after being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authenticates the login by referring to the member DB 221 with the inputted member information (S210).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적독훈련을 위한 메뉴를 선택할 경우 적독훈련서버(210)는 적독훈련을 위한 단계를 선택하도록 적독훈련 단계화면을 전송한다.(S112)(S212)When the user selects a menu for red reading train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transmits a red reading training step screen to select a step for red reading training (S112) (S212).

이때, 사용자가 기 저장된 자신의 적독훈련 단계를 계속 진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단계 적독훈련을 위한 예문데이터를 전송한다.At this time, if the user wants to proceed with the pre-stored his own red reading training step, it transmits example data for the corresponding step red reading training.

상기 적독훈련 단계는 초등, 중등, 고등으로 크게 분류하고, 각 대분류에 24개의 세부단계로 나누어 사용자가 선택한 단계에 해당되는 예문을 상기 예문DB(222)로부터 독취하여 제공하게 된다.(S114)(S214)The red reading training step is largely divided in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and divided into 24 sub-levels for each major category to read and provide example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step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example sentence DB 222. (S114) ( S214)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로부터 전송된 예문데이터가 전송되어 화면에 표시(도 4a)됨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예문을 전체적으로 빠른 속도로 읽는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예문을 읽은 후 설정된 소정키를 누르면 다음 쪽의 예문데이터를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로부터 전송받아 표시하여 제 1 회독을 수행하게 된다.(S116)As the example sentence data transmitted from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FIG. 4A), the user reads the example sentence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whole at a high speed.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set after reading the example sentenc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example sentence data of the next page is received and displayed from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to perform the first read.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다음 쪽 이동을 위한 키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는 상기 예문DB(222)에서 다음 쪽 예문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예문 마지막 쪽까지 반복하여 표시하게 된다.(S116~S218)Whenever a key for moving to the next page of the user terminal 100 is input,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reads the next page example data from the example DB 222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00 for display. do.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last page of the sentence. (S116 ~ S218)

여기서, 다음 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키는 사용자단말기(100)의 키보드에 구비된 엔터키 또는 스페이스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음 쪽 이동을 위해 집중력이 분산되지 않도록 한다.Here, the user input key for moving to the next side is such that the user's concentration is not distributed for the next page using the enter key or the space key provided in the keyboard of the user terminal 100.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는 제 1 회독에 대한 예문을 사용자의 키입력없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마지막 쪽까지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설정된 일정시간 안에 전체 예문을 읽도록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red read training server 210 to display the example sentence for the first reread automatically to the last page at a set time interval without the user's key input so that the user reads the entire example sentence within a set time period do.

또한, 상기 적독훈련을 위한 예문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거나, 조합하여 구성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xample data for the red reading training is to be composed of any one of the text, image, video, or combined.

마지막 예문 쪽까지 전송하여 사용자가 해당 예문에 대한 제 1 회독을 수행한 후 해당 예문의 전체적인 느낌의 이해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질문데이터를 상기 평가DB(223)에서 독취하여 전송하여 사용자가 질문에 답하도록 한다.(S220)(S122)After transmitting to the last example page, the user reads the question data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feeling of the example sentence after the first reading of the example sentence, and transmits the reading data from the evaluation DB 223 to answer the question. (S220) (S122)

여기서, 질문데이터는 단답식, 사지선다, 오지선다, 서술형 등을 통해 해당 예문의 제 1 회독에 대한 평가를 하도록 한다.Here, the question data may be evaluated for the first reading of the example sentence through a short answer, a limb choice, an outgoing answer, a narrative type, and the like.

상기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체크된 답데이터는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로 전 송되고, 상기 평가DB(223)에 저장된 정답과 비교하여 정오답을 체크 한 후 평가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표시한다.(S222)(S124)Checked answer data for the user's question is sent to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check the noon answer compared to the correct answer stored in the evaluation DB (223) after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ed by transmitting to (S222) (S124).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된 평가결과를 확인한 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평가결과를 상기 회원DB(221)에 저장한다. After checking the evaluation result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the evaluation result is stored in the member DB 221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사용자가 다음 제 2 회독에 대한 진행을 위한 선택키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회독의 동일한 예문에서 등장인물과 등장인물이 한 일을 묘사한 부분에 대하여 밑줄을 쳐진 상태의 예문데이터를 상기 예문DB(222)에서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제 2 회독에 대한 훈련을 진행하게 된다.(S124)(S224)(S226)As the user inputs a selection key for proceeding to the next second reading,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performs the work of the characters and the characters in the same example of the first reading as shown in FIG. 4B. The example data underlined with respect to the depicted portion is read from the example sentence DB 222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o proceed with the training for the second reread. (S124) (S224) (S226) )

즉, 사용자가 상기 제 1 회독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된 소정키를 누름에 따라 제 2 회독을 진행하도록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줄 친 예문 데이터를 마지막 쪽까지 예문DB(222)로부터 독취하여 전송하게 된다.(S116~S226)That is, as shown in FIG. 4C, the underlined example sentence data is read from the example sentence DB 222 to the end as shown in FIG. 4C so that the user proceeds with the second reread as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se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reread. (S116 ~ S226)

상기 제 2 회독에 대한 마지막 쪽까지 예문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제 2 회독 내용에 대한 이해력 평가 질문데이터를 상기 평가DB(223)로부터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20)After the example data is transmitted to the last page of the second readout, the comprehension evaluation question data about the second readout is read from the evaluation DB 223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S220)

상기 제 2 회독 내용에 대한 평가결과도 제 1 회독에서와 마찬가지로 평가결과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회원DB(221)에 저장하고, 다음 회독을 위한 선택키가 입력됨에 따라 제 3 회독 예문데이터를 상기 예문DB(222)로부터 독취하여 예문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한다.(S124)(S224)(S226)(S116)As in the first read, the evaluation result for the second read content is also stored in the member DB 221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 third read example sentence data is read as the selection key for the next read is input. The example sentence data is read from the example sentence DB 222, and the example sentence data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S124) (S224) (S226) (S116)

상기 제 3 회독 예문데이터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문데이터 중 시간적 배경에 해당 부분을 붉은 글자색으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C, the third readout example data is converted into a red text color on a temporal background of the example data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user terminal 100.

제 3 회독에 해당하는 마지막 쪽의 예문까지 표시한 후 해당 제 3 회독에 대한 질문데이터를 상기 평가DB(223)로부터 독취하여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답하도록 한다.(S120~S122)After displaying the example sentence of the last page corresponding to the third reread, the question data about the third reread is read from the evaluation DB 223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so that the user answers. S122)

제 3 회독에 대한 질문데이터는 해당 예문에 대한 시간적 배경과 서사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한다. The questionnaire data for the third reading consists of the evaluation of the temporal backgroun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narrative.

상기 제 1 회독 내지 제 3 회독과 같은 순서로 다음 제 4 회독 및 제 5 회독에 대한 적독훈련을 수행한다. In the same order as the first to third rereads, red read training for the next fourth and fifth rereads is performed.

여기서, 제 4 회독은 상기 동일 예문데이터에서 공간적 배경에 해당하는 부분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란 글자색으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4 회독에 대한 질문데이터는 해당 예문의 공간적 배경과 공간이동에 따른 사건의 흐름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다.(S116~S226)Here, the fourth readout converts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background from the same example sentence data into blue text color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user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4D, and the question data for the fourth readout. Consists of the contents for evalu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flow of events according to the spatial background and spatial movement of the sentence. (S116 ~ S226)

상기 제 5 회독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일 예문데이터에서 문단을 구분하여 읽을 수 있도록 각 문단을 소정의 음영색으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5 회독 내용에 대한 질문데이터는 해당 예문에 대한 각 문단의 배열과 기능 구성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다.(S116~S226)As illustrated in FIG. 4E, the fifth readout converts each paragraph into a predetermined shaded color so that the paragraphs can be read separately from the same example sentence data,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questionnaire data for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contents for evaluating understanding of the arrangement and function composition of each paragraph for the example sentence. (S116 ~ S226)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는 사용자가 제 5 회독의 이해력 평가까지 마친 후 예문에 대한 전체 내용 이해력 평가질문 데이터를 상기 평가DB(223)로부터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전체 이해력 평가 질문데이터에 대한 답을 체크한 후 다시 적독훈련서버(210)로 전송하게 된다.(S228~S126)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reads the entire content comprehension evaluation question data for the example sentence after the user has completed the comprehension evaluation of the fifth retransmission from the evaluation DB 223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00 for display on the screen. And, the user checks the answer to the overall understanding evaluation question data and then transmitted to 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S228 ~ S126)

상기 적독훈련서버(21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답데이터와 상기 평가DB(223)에 기저장된 정답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오답을 체크 한 후 전체 평가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S126)(S230)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210 compares the answer data sent from the user terminal 100 with the correct answer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evaluation DB 223 checks the correct answer, and then checks the entire evaluation result data of the user terminal 100. (S126) (S230).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된 평가결과를 확인하고, 저장키를 입력할 경우 자신의 회원DB(221) 영역에 평가결과와 진행상황을 저장하게 된다.(S128)(S232)The user checks the evaluation resul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if the user inputs the storage key, the evaluation result and progress is stored in the member DB 221 area (S128) (S232).

상기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적독 훈련단계을 마치며, 상기 사용자가 다음 단계를 선택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적독훈련을 위한 메뉴선택단계(S122)로 리턴하여 상기한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에 대한 적독훈련을 수행하게 된다.(S234) When the user finishes the selected reading process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the user wants to select the next step, returning to the menu selection step (S122) for the reading process, and performing the reading process for the first to fifth readings. It is performed (S234).

이와같은 과정을 사용자는 속독을 이용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읽음으로써, 적독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can double the effect of red poisoning by reading the speed more quickly using the speed reading.

도 4a 내지 도 4e는 상기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 내용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화면의 표시도로서, 도 4a는 빠른 속도로 예문을 읽을 수 있도록 예문만을 사용자단말기(100) 화면에 표시한 일 실시도이고, 도 4b는 등장인물과 등장인물이 한 일에 대한 부분을 밑줄친 화면을 표시한 일 실시도이고, 도 4c는 예문에서 시간적배경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다른 글자색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 화면의 표시도이고, 도 4d는 예문 중에서 공간적배경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또 다른 글자색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 화면의 표시도이고, 도 4e는 예문의 각 문단을 구분하여 적독할 수 있도록 각 문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영색으로 디스플레이한 화면의 표시도이다.4A to 4E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showing embodiments of the first to fifth read contents, and FIG. 4A shows only the example sentence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read the example sentences at high speed. Figure 4b is an embodiment showing a screen underlining the characters and the part about the work done by the characters, Figure 4c is a display showing the conversion of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emporal background in a different text color in the example sentence 4D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in which on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spatial background of the example is converted to another text color and is displayed. FIG. 4E is a diagram showing each paragraph so that each paragraph of the example can be read. A display diagram of a screen displayed in at least one shaded color.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은 그 순서를 변환이 가능하며, 적독을 위한 부분의 표시는 사용자가 식별가능하도록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fifth rereads may be converted in order, and the indication of the portion for red read may be variously modified to be identifiable by the us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 향상방법 및 시스템과 저장매체는 주어진 예문을 5회독법을 이용한 5단계의 적독훈련을 수행하므로 주어진 도서를 무조건 빨리 읽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는 독서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주어진 예문을 통하여 교과의 일부 내용이 보여진 국어과 시험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학습에 필요한 부분을 짧은 시간에 빠르게 적용함으로 짧은 시간에 학습을 활용할 수 있으며, 신문이나 도감 등을 읽을 때 주로 사용되었던 적독을 교과나 문학작품에 접목시킴으로 효과적인 수능 언어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속독훈련자가 5회독법에 의한 적독훈련을 수행할 경우 독서력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orage medium perform five steps of red reading training using a five-fold reading method for a given example, so it is not necessary to read a given book unconditionally and quickly. It is effective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and it is effective to apply to Korean language and test that shows some contents of subject through given example sentence, and can apply learning in a short time by quickly applying necessary parts in a short time. By combining red reading, which was used mainly when reading books or books, with textbooks or literary works, it can be used for effective SAT language areas. In particular, when the speed reading trainee performs the red reading training by the 5th reading method, it is very effective to improve the reading ability.

Claims (16)

인터넷에 온라인으로 접속된 개인용컴퓨터를 포함한 이동통신 접속가능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베이스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엑세스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인터넷을 통한 독서력 향상 훈련방법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access user terminal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online to the Internet and a server for accessing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up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To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됨에 따라 메뉴선택화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인화면 제공과정;A main screen providing process of transmitting menu selection screen data to the user terminal as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the Internet;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적독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적독훈련을 위한 단계선택 화면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적독메뉴화면 제공과정;A process of providing a red read menu screen for transmitting the step selection screen data for red read training from the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s the user reads the red read menu;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선택된 단계에 해당하는 예문 데이터를 예문데이터베이스에서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예문데이터 제공과정;Providing example sentence data for reading example sente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tep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in an example sentence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example sentence data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예문에 대한 적독훈련 화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한 후, 해당 예문에 대한 이해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적독훈련화면 제공과정;A red read training screen providing step of sequentially transmitting the red read training screen data for the example senten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question data for evalu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ample sentenc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예문에 대한 적독훈련 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예문에 대한 전체내용 이해력 평가질문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평가질문에 답하도록 하는 평가질문 제공과정을 포함하되,After the redevelopment training for the example sentence includes the evaluation question providing process for the user to transmit the entire content understanding evaluation question data for the example sentence to the user to answer the evaluation question, 상기 적독훈련화면 제공과정은 상기 예문만을 표시하여 예문 전체의 느낌을 파악하는 제 1 회독;The red reading training screen providing process is the first replay to determine the feeling of the entire example by displaying only the example sentence; 상기 예문에 인물 및 인물의 행동을 묘사하는 구절을 표시하는 제 2 회독;A second readout displaying a phrase in the example sentence describing the person and the person's behavior; 상기 예문에 시간적 배경과 서사에 대하여 묘사된 구절을 표시하는 제 3 회독;A third reprint reading the verses depicting the temporal background and narrative in the example sentence; 상기 예문에 공간적 배경과 공간이동에 따른 사건을 묘사하는 구절을 표시하는 제 4 회독;A fourth reenactment displaying a phrase in the example sentence describing a spatial background and an event caused by space movement; 상기 예문에 각 문단의 배역과 문단의 기능 구성에 따라 문단을 표시하는 제 5 회독 내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The read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fifth repetition content for displaying the paragraph in accordance with the cast of each paragraph and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aragraph in the example senten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예문데이터제공과정에서 제공되는 단계는 초등,중등,고등 3단계로 사용자의 적독수준에 따라 선택되며, 상기 각 3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단계로 분류되며, 각 세부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문데이터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The steps provided in the example data providing proces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readiness of the user into three level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erein each of the three steps is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or more sub-steps, and each of the sub-steps includes at least one example data. Reading power improvement method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독훈련화면 제공과정의 적독훈련화면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 The red reading screen data of the red reading training screen providing process is any one of the text, image or video reading power improvement method using the Intern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독훈련화면 제공과정에서 제공되는 예문은 상기 사용자단말기 화면에 실제 책을 펼친 2쪽 이미지로 표시되며, 적어도 한쪽 이상인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 The example sentence provided in the red reading training screen providing process is displayed as a two-page image of the actual book sprea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reading power using the Interne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 내용의 표시는 해당 구절에 밑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색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영색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The reading of the first to fifth reading contents may be displayed in any one of underline, at least one or more letters, or at least one or more shades of color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회독 내지 제 4 회독 내용의 표시는 필요에 따라 순서를 변경하여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 The method of improving reading power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f the second to fourth reading content is changed and combined as necessar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은 사용자단말기의 설정된 소정의 키가 입력됨에 따라 전환되며, 상기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이 끝난 후 표시된 해당 내용의 이해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The first to fifth rereads are switched according to input of a predetermined key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question data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corresponding contents displayed after the first to fifth rereads is inputted to the user terminal. Method for improving reading power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and display.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질문데이터는 단답식, 사지선다, 오지선다, 서술형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The question data is a read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t least one question consisting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short answer, limb choice, comeback, narrative type.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각 평가질문데이터에 대한 답 데이터는 상기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평가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오답와 비교하여 체크한 후 상기 정오답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 The answer data for each of the evaluation question dat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o check the comparison with the noon answer stored in the evaluation database, and then transmitting and displaying the noon answer data to the user terminal. Reading power improvement method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질문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력 평가결과, 전체내용 평가질문데이터에 대한 평가결과 및 진행 단계에 대한 정보를 로그인된 해당 회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방법.The user's comprehension evaluation results for each question data, 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entire content evaluation question data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rogress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information in the log-in corresponding member database, the reading power using the Internet How to improve. 삭제delete 사용자단말기가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됨에 따라 메뉴선택화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인화면 제공과정;A main screen providing process of transmitting menu selection screen data to the user terminal as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Internet;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적독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적독훈련을 위한 단계선택 화면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적독메뉴화면 제공과정;A process of providing a red read menu screen for transmitting the step selection screen data for red read training from the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s the user reads the red read menu;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선택된 단계에 해당하는 예문 데이터를 예문데이터베이스에서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예문데이터 제공과정;Providing example sentence data for reading example sente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tep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in an example sentence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example sentence data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예문에 대한 적독훈련을 위한 예문전체의 느낌을 파악하도록 전체예문을 표시하는 제 1 회독 화면과, 상기 예문에 인물 및 인물의 행동을 묘사하는 구절을 표시하는 제 2 회독 화면과, 상기 예문에 시간적 배경과 서사에 대하여 묘사된 구절을 표시하는 제 3 회독 화면과, 상기 예문에 공간적 배경과 공간이동에 따른 사건을 묘사하는 구절을 표시하는 제 4 회독 화면과, 상기 예문에 각 문단의 배역과 문단의 기능 구성에 따라 문단을 표시하는 제 5 회독 화면에 해당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서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며, 상기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 종료시마다 해당 예문에 대한 이해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적독훈련화면 제공과정;A first reading screen displaying the entire example sentence to grasp the whole example sentence for the red reading training for the example senten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sentence displaying a phrase describing the person and the person's behavior in the example sentence. A third reading screen displaying a reading screen, a phrase describing a temporal background and a narrative in the example sentence, a fourth reading screen displaying a phrase describing an event according to a spatial background and a space movement in the example sentence, and According to the example of each paragraph in the sentence and the function configuration of the paragraph in the fifth reading screen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data in the server in order to send the data sequentially, and understand the example sentence at the end of each of the first to fifth reading A process of providing a red reading screen for transmitting the question data evaluating the degre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예문에 대한 적독훈련 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예문에 대한 전체내용 이해력 평가질문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평가질문에 답하도록 하는 평가질문 제공과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And an evaluation question providing process of allowing the user to answer the evaluation question by transmitting the entire content understanding evaluation question data for the example sentence from the server after the red reading training of the example sentence. 인터넷에 온라인으로 접속된 개인용컴퓨터를 포함한 이동통신 접속가능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베이스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엑세스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인터넷을 통한 독서력 향상 훈련시스템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access user terminal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online to the Internet, and a server for accessing and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corresponding database to the user terminal up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To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회원정보 및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적독훈련 진행단계 및 적독훈련 평가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데이터베이스;The server stores a user member information and login information, the member database for storing the user's intensive training progress step and the intensive training evaluation result data; 상기 접속된 사용자단말기에 독서 예문데이터를 단계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제공하는 예문데이터베이스;An example sentence database for storing at least one reading example sentence data in the connected user terminal step by step, and providing the example sentenc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제 1 내지 제 5 회독 내용에 해당하는 예문데이터의 이해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질문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질문데이터를 제공하는 평가데이터베이스;An evaluation database for storing question data for evalu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xemplary sente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fifth read contents, and providing the question data according to a selection of a user terminal; 상기 예문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문데이터를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 선택에 따라 설정된 형태로 예문 구절 또는 문단을 표시하고, 상기 질문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오답 데이터와 비교한 후 평가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회원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상기 회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적독훈련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 시스템.And display the example sentences or paragraphs in the form set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reread selections, and receive the user's answer data for the question data to store the example sentence data stored in the example database. And a reading and training server for transmitting the evaluation result data to the user terminal after comparison, and storing the evaluation result data in the member databas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ember terminal.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소정 키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적독훈련서버에서 상기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의 예문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되,As the predetermined key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example reading data of the first to fifth rereads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n the red read training server, 상기 제 1 회독 화면은 예문 데이터만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고, The first read screen displays only example data on the user terminal, 상기 제 2 회독 화면은 상기 예문데이터에서 인물 및 인물의 행동을 묘사하는 구절을 표시하고,The second read screen displays a phrase describing the person and the person's action in the example data. 상기 제 3 회독 화면은 상기 예문데이터에서 시간적 배경과 서사에 대하여 묘사된 구절을 표시하고,The third replay screen displays verses depicted with respect to a temporal background and a narrative in the example data. 상기 제 4 회독 화면은 상기 예문데이터에서 공간적 배경과 공간이동에 따른 사건을 묘사하는 구절을 표시하고, The fourth replay screen displays a phrase describing a spatial background and an event caused by space movement in the example data. 상기 제 5 회독 화면은 상기 예문데이터에서 각 문단의 배열과 문단의 기능 구성에 따라 문단을 표시하며,The fifth replay screen displays paragraph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paragraphs and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paragraphs in the example data. 상기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 화면은 사용자단말기의 소정키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시스템.The first to fifth read screens are sequentially displa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of a user terminal.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적독훈련서버는 제 1 회독 내지 제 5 회독이 끝날때 마다 상기 사용자의 소정 키입력에 따라 해당 예문의 이해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데이터를 상기 평가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취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력향상 시스템.The red reading training server further includes reading the question data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example senten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of the user every time the first reading to the fifth reading is read from the evaluation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ques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Reading power improv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KR1020050091455A 2005-09-29 2005-09-29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on of reading ability using internet KR100759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55A KR100759349B1 (en) 2005-09-29 2005-09-29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on of reading ability using in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55A KR100759349B1 (en) 2005-09-29 2005-09-29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on of reading ability using inter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439A KR20070036439A (en) 2007-04-03
KR100759349B1 true KR100759349B1 (en) 2007-09-17

Family

ID=3815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455A KR100759349B1 (en) 2005-09-29 2005-09-29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on of reading ability using inter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3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364A (en) 2020-11-24 2022-05-31 정성태 Real-time non-face-to-face reading training methods and their systems
KR20220155862A (en) 2021-05-17 2022-11-24 정성태 the real-time non-face-to-face reading comprehension training method an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886A (en) * 2001-07-07 2003-01-15 다본정보기술 주식회사 Rapid reading practice service method using data communication network
KR100478935B1 (en) 2000-07-12 2005-03-28 박규진 Method and System for practising reading power using internet and storaging medi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35B1 (en) 2000-07-12 2005-03-28 박규진 Method and System for practising reading power using internet and storaging media
KR20030004886A (en) * 2001-07-07 2003-01-15 다본정보기술 주식회사 Rapid reading practice service method using data communication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364A (en) 2020-11-24 2022-05-31 정성태 Real-time non-face-to-face reading training methods and their systems
KR20220155862A (en) 2021-05-17 2022-11-24 정성태 the real-time non-face-to-face reading comprehension training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439A (en)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Garr The use of virtual simulations in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pre-service teachers’ behaviour and classroom management skills: implications for reflective practice
Coe et al. What makes great teaching? Review of the underpinning research
Brown et al. How pre-service teachers’ sense of teaching efficacy and preparedness to teach impact performance during student teaching
Buchanan The efficacy of a World‐Wide Web mediated formative assessment
Khan et al. Mitigating the urban–rural educational gap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mobile technology‐supported learning
Norman Assessing accomplished teaching: Good strides, great challenges
Slocum-Schaffer et al. Information literacy for everyone: Using practical strategies to overcome ‘fear and loathing’in the undergraduate research methods course
Pombo et al. Edulabs AGIRE project–evaluation of ICT integration in teaching strategies
Choi et al. Predicting the difficulty of EFL tests based on corpus linguistic features and expert judgment
Daniel et al. Applied music studio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evidence of learner-centred teaching
Coleman et al. Beyond predictive validity: A mixed method study of self-directed developmental education placement at a small community college
McManus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web-based versus in-class textbook ethics instruction on accounting students’ propensity to whistle-blow
Xi Validating TOEFL® iBT Speaking and setting score requirements for ITA screening
US20140272906A1 (en) Mastery-based online learning system
Hardman et al. Teacher–pupil dialogue with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the National Literacy Strategy
Anamalai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formative assessment tools
KR1007593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on of reading ability using internet
Stapleton Knowledge surveys as an assessment tool of simulation course outcomes
Strawhecker et al. The role of electronic portfolios in the hiring of K-12 teachers
Hofer et al. Differentiating TPACK-based learning material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Guàrdia et al. Digital competence assessment framework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Europe: The CRISS Project
Coniam Perceptions of a multimedia syllabus—Making the demands of a performance test more accessible
N. Hopfenbeck Writing assessment, comparative judgement and students’ evaluative expertise
Davis et al. Preparing preservice teachers to be agents of social justice: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using literature circles in a reading methods course
KR20160020813A (en) System,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examination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