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934B1 - Wiper apparatus with extension of washing surface in an automobile - Google Patents
Wiper apparatus with extension of washing surface in an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6934B1 KR100756934B1 KR1020050075901A KR20050075901A KR100756934B1 KR 100756934 B1 KR100756934 B1 KR 100756934B1 KR 1020050075901 A KR1020050075901 A KR 1020050075901A KR 20050075901 A KR20050075901 A KR 20050075901A KR 100756934 B1 KR100756934 B1 KR 1007569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blade
- bevel gear
- swash plate
- wiper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4—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rotary cr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3—Wiper shaf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8/00—Electricity: motive power systems
- Y10S318/02—Windshield wiper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윈도우 표면을 세척하는 블레이드의 이동 궤적을 변경시켜 윈도우 표면의 닦임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는 닦임영역을 확대시킨 차량의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구동모터(10)와 연결되는 제1링크(11)와, 상기 제1링크(11)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링크(12)와, 상기 제2링크(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1베벨기어(14)가 설치된 제3링크(13)와, 상기 제1베벨기어(14)에 기어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15)가 설치되고 중심축(17)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된 회전 사판(16)과, 상기 제3링크(13)와 함께 회전되면서 윈도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블레이드(1)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a wiping area capable of enlarging a wiping area of a window surface by changing a movement trajectory of a blade for cleaning a window surface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a vehicle is characterized by a driving motor. A first link 11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1, a second link 12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1 to transmit powe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12, A third link 13 provided with a first bevel gear 14 and a second bevel gear 15 geared to the first bevel gear 14 are installed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central axis 17. It includes the swash plate 16, and the blade (1) to rotate with the third link 13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window surface.
차량, 와이퍼, 블레이드, 회전 사판 Vehicles, wipers, blades, swash plate
Description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vehicle.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설치된 블레이드의 궤적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trajectory of the blade installed in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 to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설치된 블레이드의 궤적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trajectory of the blade installed in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 블레이드 10 : 구동모터1: blade 10: drive motor
11 : 제1링크 12 : 제2링크11: first link 12: second link
13 : 제3링크 14 : 제1베벨기어13: 3rd link 14: 1st bevel gear
15 : 제2베벨기어 16 : 회전 사판15: second bevel gear 16: rotational swash plate
17 : 중심축17: central axis
본 발명은 차량의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윈도우 표면을 세척하는 블레이드의 이동 궤적을 변경시켜 윈도우 표면의 닦임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는 닦임영역을 확대시킨 차량의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per of a vehicle in which a wiping area capable of enlarging a wiping area of a window surface is changed by changing a movement trajectory of a blade for cleaning a window surface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a vehicle.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차량의 와이퍼 장치는,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윈도우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 및 빛물 등을 제거하는 것이다.In general, a wiper device for a vehicle removes various foreign matters, minerals, etc. attached to the window surfac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이러한 와이퍼 장치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블레이드(1)가 동시에 작동되면서 윈도우 표면을 세척하고 있다.This wiper device cleans the window surface as the pair of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와이퍼 장치는 도1의 빗금친 부분과 같이 블레이드에 의해서 닦여진 이물질이 부착되고 있으며, 이 영역은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iper device is attached to the foreign matter wiped by the blade like the hatched portion of Figure 1, this area has a problem that obstructs the driver's view,
한편, 이러한 종래의 와이퍼 장치에 설치된 블레이드(1)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정면 충돌 시 블레이드(1)가 차 실내로 유입되어 운전자 및 승객의 상해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최근에는 블레이드(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법규로 규정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blade (1) installed in such a conventional wiper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blade (1)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interior during the frontal collision to increase the injury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so recently the blade (1) to the outside It is regulated to prevent exposure.
따라서 최근에는 블레이드에 의해서 제거된 이물질에 의한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방지하도록 한 개의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한편, 법규를 만족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후드의 내측에 설치하는 와이퍼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wiper device using one blade to prevent the driver's vision from being disturbed by foreign matter removed by the blade, and to install the blade inside the hood in order to satisfy the law, has been used.
이러한 와이퍼 장치는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복수개의 링크가 연결되어 있고, 그 링크에는 윈도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블레이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후드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윈도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와이퍼 장치를 구동시키면 블레이드가 동작되면서 윈도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Such a wiper device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nks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the link is provided with a blad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window surface, if the blade is not used Is inserted inside the hoo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wiper device is driven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window surface, the blade is operat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window.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와이퍼 장치에 설치된 블레이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 원운동 궤적을 하게 되므로 윈도우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blade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wiper device has a simple circular motion trajectory as shown in FIG. 2,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window.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링크의 단부에 회전사판을 연결하여 상기 링크가 작동됨에 따라서 블레이드가 회전 및 이동될 때 블레이드와 윈도우의 접촉면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닦임영역을 확대시킨 차량의 와이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connecting the rotating plate to the end of the link for rotating the blade can increase the contact surface of the blade and the window when the blade is rotated and moved as the link is opera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n enlarged wiping area.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닦임영역을 확대시킨 차량의 와이퍼 장치는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1베벨기어가 설치된 제3링크와, 상기 제1베벨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제2베벨기어가 설치되고 중심축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된 회전 사판과, 상기 제3링크와 함께 회전되면서 윈도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iper devic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wiping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larged includes a first link connected to a drive motor,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ransmitting power; A rotational swash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and a third link provided with a first bevel gear, a second bevel gear coupled to the first bevel gear,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a central axis; Rotation with the third link is to include a blade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window surfa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설치된 블레이드의 궤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3 to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trajectory of the blade installed in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퍼 장치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0)가 마련되어 있고, 그 구동모터(10)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링크(1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링크(11)에는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킨 상태에서 전달하는 제2링크(12)가 연결되어 있다.As referred to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한편, 상기 제2링크(12)에는 직선운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제3링크(1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링크(13)의 타단에는 제1베벨기어(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제1베벨기어(14)에는 제2베벨기어(15)가 기어 결합되어 있되, 그 제2베벨기어(15)는 회전 사판(16)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사판(16)은 중심축(17)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것이며, 상기 회전 사판(16)은 중심축(17)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은 윈도우 측으로 향하고 하측은 엔진룸 측으로 향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구동모터(10)가 동작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그 회전력은 제1링크(11)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이고, 상기 제1링크(11)의 회전력은 제2링크(12)로 전달되면서 직선운동으로 변경된다.First, when the
이때 제2링크(12)에 연결된 제3링크(13)는 도3에 나타낸 범위(θ)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 제3링크(13)가 회전되면 그 제3링크(13)에 설치된 블레이드(1)는 도3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윈도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한편, 제3링크(13)가 회전될 때 그 타단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14)는 제2베벨기어(15)에 기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2베벨기어(15)가 회전될 때 그 제2베벨기어(15)가 설치된 회전 사판(16)은 중심축(17)을 기점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사판(16)이 회전되면, 그 단부에 설치된 제2베벨기어(15)는 중심축(17)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Meanwhile, when the
When the
즉, 상기 회전 사판(16)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1)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상태에서 'B' 및 'C'상태로 회전되면 회전 사판(16)의 경사도에 의해서 블레이드(1)가 윈도우의 모서리 측으로 이동하면서 회전되므로 블레이드(1)에 의해서 닦여지는 영영이 증가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한편, 'C'상태에서 'D' 및 'E' 상태로 회전되면 회전 사판(16)의 경사도에 의해서 블레이드(1)가 윈도우의 중앙 하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회전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rotated from the 'C' state to the 'D' and 'E' state by the inclination of the
즉, 윈도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블레이드(1)가 윈도우 표면에서 회전 및 모서리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블레이드(1)에 의해서 닦여지는 영역이 증가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윈도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블레이드가 회전은 물론 회전 사판에 의해서 이동하게 되므로 블레이드에 의해서 닦여지는 영역이 증가되어 윈도우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한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방지 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window surface is moved by the rotating swash plate as well as the rotation, thereby increasing the area wiped by the blade,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s vision from being disturbed by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window. There is a distinctive effect that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블레이드가 후드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차량의 외관 향상은 물론, 법규를 만족하게 되는 특유의 효가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ade is not used, the blade is inserted into the hood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is improved, as well as the specific effect of satisfying the law.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5901A KR100756934B1 (en) | 2005-08-18 | 2005-08-18 | Wiper apparatus with extension of washing surface in an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5901A KR100756934B1 (en) | 2005-08-18 | 2005-08-18 | Wiper apparatus with extension of washing surface in an automobi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1552A KR20070021552A (en) | 2007-02-23 |
KR100756934B1 true KR100756934B1 (en) | 2007-09-07 |
Family
ID=4162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5901A KR100756934B1 (en) | 2005-08-18 | 2005-08-18 | Wiper apparatus with extension of washing surface in an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693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6767Y1 (en) * | 1994-09-07 | 1997-07-03 | 홍재형 | Wiper system of side window for a vehicle |
KR19980049474U (en) | 1996-12-30 | 1998-10-07 | 임경춘 | Trajectory variable wiper window device |
-
2005
- 2005-08-18 KR KR1020050075901A patent/KR10075693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6767Y1 (en) * | 1994-09-07 | 1997-07-03 | 홍재형 | Wiper system of side window for a vehicle |
KR19980049474U (en) | 1996-12-30 | 1998-10-07 | 임경춘 | Trajectory variable wiper window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1552A (en) | 2007-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0394B1 (en) | Hinge actuator | |
KR101824710B1 (en) | wiper moving system of water cleaning board | |
JP2023512326A (en) | Wiping device for detection system | |
KR100756934B1 (en) | Wiper apparatus with extension of washing surface in an automobile | |
KR100488977B1 (en) | Wiper system for side mirror of vehicle | |
KR200321231Y1 (en) | Ship's window wiper of power plant | |
KR100600114B1 (en) | Wiper system for vehicle | |
KR100439888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a fog of wind shield glass for vehicles | |
KR200224441Y1 (en) | Wiper for an vehicle | |
KR100391618B1 (en) | Wiper system for vehicle | |
KR100666363B1 (en) | Wiper system for vehicle | |
CN218703137U (en) | Windscreen wiper and vehicle with same | |
WO2023273256A1 (en) | Vehicle-mounted visual acquisition module and cleaning device therefor, and unmanned vehicle | |
KR100401728B1 (en) | Link structure of rear wiper driving device for automobile | |
KR100372701B1 (en) | Length variable wiper having a sheave contained therein | |
KR19990058658A (en) | Driving system of windshield wiper | |
KR100372786B1 (en) | Pivot holder of a wiper system for an automobile | |
KR970025737A (en) | Of cleaning robot for cleaning interior of air conditioning duct | |
KR200229251Y1 (en) | Car Wiper Drive | |
KR200166949Y1 (en) | Cam driving wiper for an automobile | |
JP2021107204A (en) | Wiped surface rotary moving type wiper mechanism | |
KR200150174Y1 (en) | Wiper for a car | |
JPS63215450A (en) | Wiper device for vehicle | |
JP2008162529A (en) | Wiper device | |
JPS5981240A (en) | Wiper for c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