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683B1 - Parking Lot - Google Patents

Parking L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683B1
KR100756683B1 KR1020060007097A KR20060007097A KR100756683B1 KR 100756683 B1 KR100756683 B1 KR 100756683B1 KR 1020060007097 A KR1020060007097 A KR 1020060007097A KR 20060007097 A KR20060007097 A KR 20060007097A KR 100756683 B1 KR100756683 B1 KR 10075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room
output devic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74427A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06000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683B1/en
Publication of KR20070074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4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6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 및 그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한 차량 내부에서 영화를 시청할 수 있는 조건을 조성해 주며, 더불어 주차공간을 냉난방하여 이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끈 상태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차공간 내부에서 잠시 시동을 켰을 경우에는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주차공간 외부로 배기할 수 있는 배기시스템을 구축하여 쾌적한 분위기에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t and its operating system, which provides a condition for watching a movie inside a parked vehicle, and by cooling and heating the parking space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movie with the vehicle turned off, Air pollut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engine is temporarily turned on in the parking space, an exhaust system for exhausting the exhaust gas to the outside of the parking space may be constructed to watch a movie in a comfortable atmosphere.

특히, 본 발명의 주차장 및 그 운영시스템은 영화장면 중에서 긴박한 상황에 맞춰 차량을 진동시킴으로써, 긴장감을 더 느낄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parking lot and its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vibrate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urgent situation in the movie scene, so as to feel more tension.

근거리무선통신망, 주차장, 영상출력장치, 음향출력장치, 음향세기, 배기구 Local area wireless network, Parking lot, Video output device, Audio output device, Sound intensity, Exhaust vent

Description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Parking Lot}Parking lot with independent movie watching {Parking Lot}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을 나타낸 평면도이고,1 is a plan view showing a parking lot capable of independent movie wat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실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arking room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배기구 및 호스를 나타낸 상세도이고,3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exhaust port and the hose of the door shown in FIG.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배기구가 형성된 도어의 정면도이고,Figure 4a is a front view of the door formed with the exhaust port shown in Figure 2,

도 4b는 개방부가 형성된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Figure 4b is a front view showing a door formed with an openin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통제실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ontrol room shown in FIG. 1,

도 6는 도 2에 도시된 영상출력장치와 음향출력장치의 작동 및 동작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신호흐름도이고,FIG. 6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mage output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통제실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7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the control room illustrated in FIG. 1.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구동부를 캠으로 대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riving unit shown in FIG. 2 is replaced with a cam. FIG.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운영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lot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실의 도어를 천막으로 구성하였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when the door of the parking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 tent,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근거리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음향을 출 력하는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diagram of outputting sound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차량 100 : 주차장1: vehicle 100: parking lot

105 : 보조 주차장 107 : 표시부105: auxiliary parking lot 107: display unit

200 : 통제실 220 : 영상음향재생기200: control room 220: video sound player

300 : 주차실 310 : 영상출력장치300: parking space 310: video output device

320 : 음향출력장치 330 : 조명장치320: sound output device 330: lighting device

340 : 배기구 345 : 팬340: exhaust port 345: fan

350 : 냉난방시스템 360 : 진행방지턱350: Air conditioning system 360: Progress prevention jaw

400 : 동작부 430 : 구동부400: operating unit 430: driving unit

본 발명은 주차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된 차량 내부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하면서 보다 긴장감 있게 영상물을 시청할 수 있으며, 주차된 차량이 시동을 끈 상태로 주차할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하며, 설사 차량이 잠시 시동을 걸어두더라도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t,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watch a video with more tension while taking a comfortable rest inside a parked vehicle,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arked vehicle can park with the engine turned off, It prevents air pollution caused by air, and even if the vehicle starts for a while,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991-10345호(발명의 명칭 : 영화등 감상장치 부착 주차장)와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2005-8953호(발명의 명칭 : 자동차 영화감상장)는 주차 공간 내에 영화상영이 가능하게 구성한 기술들을 언급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991-10345 (name of the invention: parking lot with a device for watching movies) and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5-8953 (name of the invention: car movie appreciation hall) is made possible to screen the movie in the parking space It mentions technologies.

하지만,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991-10345호와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2005-8953호는 차량이 위치하는 내부공간이 폐쇄형으로서, 차량에서 배기한 매연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매연 속에서 영화를 감상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1 내지 3시간 동안 오염된 공간에서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자칫 질식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건강에 무척 해롭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91-10345 and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5-8953 have a closed interior space in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so that the exhaust gas emitted from the vehicle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watch movies in the smoke. do. Therefore, the user has to be in a contaminated space for 1 to 3 hours, so that choke accidents may occur, which is very harmful to health.

따라서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991-10345호과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2005-8953호에 공개된 기술의 주차실 내부에서는 차량의 시동을 꺼두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차량의 시동을 꺼두면,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 차량 내부 또는 주차실 내부가 너무 덥거나 춥게 되어 영화를 편안하게 감상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다시 차량은 시동을 켜게 되고, 그로 인해 배기가스 발생에 의한 문제점이 반복된다. 더불어 차량의 시동을 켜고 끄는 것을 반복함에 따라 영화에 집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 interior of the parking spac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991-10345 and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5-8953 should be turned off, the vehicle in the summer or winter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interior or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becomes too hot or cold and you will not be able to watch movies comfortably. Therefore, the vehicle is turned on again, and thus the problem caused by the exhaust gas is repeated. In addition, there is a drawback that you cannot concentrate on the movie as the vehicle is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또한, 주차된 차량 및 감상실에서 출력되는 영화를 수동적으로 시청하기 때문에 흥미를 잃기 쉽다.In addition, it is easy to lose interest because of passively watching movies output from parked vehicles and listening rooms.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05-8953호(발명의 명칭 : 자동차 영화감상장)은 영상분배기와 음향분배기를 통해 동일한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각 감상장으로 분배하는 기술로서, 각 감상장에서 동일한 영화를 일괄적으로 시청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특히 FM방식을 통해 차량의 수신기를 이용한다는 것은 자동차 극 장과 같이 동일한 영상과 음향을 시청하기에 적합한 구성이다. 즉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05-8953호는 단지 감상장의 공간만을 독립적으로 구성한 것일 뿐 일괄적인 영화 시청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5-8953 (name of the invention: car movie theater) is a technology for distributing the same video signal and audio signal to each listening room through the video distributor and sound distributor, It has a structure of watching the same movie collectively. In particular, using the receiv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FM system is a suitable configuration for watching the same video and sound, such as a car theater. In other words, the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5-8953 is simply configured independently of the space of the viewing hall, so that the whole movie can be watched.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쾌적한 환경에서 영상물을 집중하여 시청할 수 있고, 또한 영화의 긴박감에 따라 차량의 진동을 느낄 수 있게 구성한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 및 그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arking lot that can be watched and concentrated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and also the independent parking lot that can feel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rgency of the movie parking lot And its operating system.

더불어 주차공간 내부에서는 차량의 시동을 꺼둘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차량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reating an environment to turn off the vehicle in the parking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pollution by the vehicle exhaust ga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은 차량 1대를 주차할 수 있는 면적이거나 이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다수 개의 측벽과 지붕 및 상기 차량이 진입 또는 진출하도록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형성된 구조이고 내부에 영상출력장치와 음향출력장치가 설치된 복수 개의 주차실과, 상기 주차실로 영상정보와 음향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주차실 내에 위치한 상기 영상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통해 각 주차실 마다 다른 독립적인 영상 및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통제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arking lot capable of independent movie wa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n and close a plurality of side walls and a roof and an entrance to enter or exit the vehicle so as to have an area for parking a vehicle or a larger area.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in which a door is formed and an image output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are installed therein, and the image output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located in the parking room by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to the parking room. It is a technical feature that it comprises a control room that controls to output different independent video and sound for each parking room.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주차실을 감싸 는 울타리가 형성되며, 상기 울타리의 일측에는 출입구가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ence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parking rooms is formed, the entran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en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제실에는 영상음향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복수 개의 영상음향재생기가 위치하며, 각각의 영상음향재생기에 접속된 케이블은 각 주차실 마다의 영상출력장치 및 음향출력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음향재생기에서 발생한 음향정보를 갖는 전기적신호와 영상정보를 갖는 전기적신호가 상기 영상출력장치와 상기 음향출력장치로 전송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roo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ideo sound player for playing the video sound recording medium, the cable connected to each video sound player is an image output device and sound for each parking room An electrical signal having soun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ideo sound player and an electrical signal having video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video out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출력장치는 영상투사기, LCD, PDP, CRT 중 어느 하나 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utput apparatus is any one of an image projector, an LCD, a PDP, and a CR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스피커로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주차실 내에 주차된 차량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실 내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케이블에 접속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device is a speaker, and the speaker is connected to a cabl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parking compartment so that the speaker can be located inside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compartment.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에 연결된 케이블의 단부에는 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영상출력장치에는 음향출력용 잭이 형성되며, 상기 음향출력용 잭에 상기 플러그가 접속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is formed at an end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speaker, a sound output jack is formed in the image output device, and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jack.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 지붕, 도어 및 상기 주차실의 바닥 중 어느 한 곳에는 배기구가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port is formed in any one of the side wall, the roof, the door and the floor of the parking compartmen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기구는 주차된 차량의 소음기 배출구와 마주하는 도어에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port is formed in a door facing the silencer outlet of the parked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기구에는 팬이 장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port is equipped with a fa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기구에는 팬이 장착되고, 상기 배기구에는 유연한 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호스는 주차된 차량의 소음기 배출구에 연장될 수 있게 구성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port is equipped with a fan, the exhaust port is connected to a flexible hose, the hos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tend to the silencer outlet of the parked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음기의 배출구에 연장되는 상기 호스의 단부에는 부착부재인 자석이 장착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 which is an attachment member,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hose extending to the outlet of the silenc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음기의 배출구에 연장되는 상기 호스의 단부에는 고무줄 또는 밸크로 테이프가 고정되어, 상기 호스의 단부가 상기 배출구를 감싸 위치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ubber band or a Velcro tape is fixed to the end of the hose extending to the outlet of the silencer, the end of the hose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le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의 내부에는 주차공간을 밝히는 실내 조명등이 설치되어 점등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of the parking room is installed to illuminate the indoor lighting to illuminate the parking spa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의 외측에는 상기 주차실을 안내하는 안내 조명등이 설치되어 점등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ide of the parking room is provided with a guide light for guiding the parking room is illumina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의 외측에는 상기 주차실을 안내하는 안내 조명등이 설치되어 점등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ide of the parking room is provided with a guide light for guiding the parking room is illumina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조명등과 상기 실내 조명등은 상기 통제실에서 원격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안내 조명등의 스위치 및 상기 실내 조명등의 스위치를 각각 눌러 접촉제어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light and the room light is remotely controlled in the control room or by pressing the switch of the guide light and the switch of the room light, respectively, the contact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입구에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이 만차상태인지 아니면 주차 가능한 지를 메시지로 출력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to output a message whether the parking lot is full or parking availab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LCD, LED전광판, 램프, 문자가 기재된 패널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is any one of the LCD, LED display, lamp, a panel in which characters are describ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제실에서 상기 LCD, LED전광판, 램프를 원격제어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rol room to remotely control the LCD, LED display, lamp.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입구 바깥쪽에는 진입을 원하는 차량이 상기 청구항 2의 주차장 밖에서 대기하도록 주차 가능한 보조 주차장을 구비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ide of the door is provided with a secondary parking lot that can be parked so that the vehicle that wants to enter waiting outside the parking lot of claim 2.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차량을 지지하는 동작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동작부는 상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차량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탄성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ng unit for supporting the vehicle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parking compartment, the operating unit includes a plate for supporting the wheel of the vehicle, and an elastic body for supporting the plate, The plate may move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body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으로서,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body is a spring,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plate to support the pl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부는, 스트로크의 변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를 가압하거나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driving portion for pressing the plate or located away from the plat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strok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은, 상기 음향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세기를 측정하는 음향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설정된 음향세기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가 작동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lot includes a sound sensor for measuring the intensit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the driving unit is activated when more than the set sound intensit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은, 상기 음향출력장치로 전송되는 음향정보를 갖는 전기적신호의 전압을 감지하여 설정된 전압 이상 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가 작동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lot detects a voltage of an electrical signal having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ound output device, and the driving unit is activated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or more is detec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을 구비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위치한 상기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플레이트를 밀어올린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is provided with a cam that is rotated by a motor, the cam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plate rotates to push up the pl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전체 길이가 신축 가능한 유압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유압시스템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와 떨어져 위치하며, 신장된 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를 가압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is provided with a hydraulic system that can be stretched to the full length, the hydraulic system is located away from the plate in the contracted state, and presses the plate in the extended st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제실에는 영상음향기록매체가 진열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sound recording medium is displayed in the control room.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의 바닥에는 상기 도어를 통해 진입한 차량이 더 이상 직진하지 못하게 막는 진행방지턱이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ess prevention jaw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arking compartment that prevents the vehicle entering through the door from going straight any furth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는 여닫이식 도어, 미닫이식 도어, 절첩식 도어, 셔터식 도어, 지붕에 설치되며 빛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의 스크린을 말거나 펼치는 롤스크린 도어 또는 천막 중 어느 하나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a sliding door, a sliding door, a folding door, a shutter door, a roll screen door or tent which is installed on the roof and rolls or spreads a screen made of a material that can completely block light Which is eith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닫이식 도어와 상기 미닫이식 및 상기 절첩식 도어들은 그 하부가 개방되어 닫았을 때에, 주차된 차량의 소음기 부위가 상기 주차실 밖으로 노출되면서 배기구를 형성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door, the sliding door and the folding door when the lower portion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silencer portion of the parked vehicle is exposed outside the parking chamber to form an exhaust port do.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셔터식 도어 및 상기 롤스크린 도어는 닫았을 때에 주차실의 바닥까지 닿지 않아, 주차된 차량의 소음기 부위가 상기 주차실 밖으로 노출되어 배기구를 형성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utter door and the roll screen door does not reach the bottom of the parking compartment when closed, the silencer portion of the parked vehicle is exposed outside the parking compartment to form an exhaust por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또는 측벽에는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창이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r side wall is formed with a window to look insid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의 내부에는 난방시스템이 장착되어 상기 주차실의 내부를 난방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ing system is mounted inside the parking room to heat the inside of the parking room.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방시스템은 통제실에서 원격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난방시스템의 제어패널을 통해 접촉제어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system is remotely controlled in the control room or contact control through the control panel of the heat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의 내부에는 냉방시스템이 장착되어 상기 주차실의 내부를 냉방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ling system is mounted inside the parking room to cool the inside of the parking room.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방시스템은 통제실에서 원격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냉방시스템의 제어패널을 통해 접촉제어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system is remotely controlled in the control room or contact control through the control panel of the cool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 내부에는 통제실과 연결되는 인터폰이 설치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phone connected to the control room is installed in the parking room.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폰은 주차된 차량의 운전석 도어 쪽 측벽에 위치하며, 상기 운전석 도어의 창문에 대응하게 위치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phone is located on the side wall of the driver's seat of the parked vehicle, and corresponds to the window of the driver's doo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스피커로서, 상기 주차실 내에 주차된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음향재생기에서 연장된 케이블과 상기 스피커는 상기 주차실 내의 블루투스 모듈에 접속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device is a speaker, located in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room, the cable extending from the video sound player to output the sound and the speaker is the parking It is connected to the Bluetooth module in the room.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는 천막으로서, 상기 천막의 가장자리에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고, 상기 주차실의 입구에 벨크로 테이 프가 부착되어 상기 벨크로 테이프 끼리의 탈부착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a tent, the Velcro tape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tent, the Velcro tape is attached to the entrance of the parking room is detachable between the Velcro tape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에 주차된 차량의 소음기 배출구에는 유연한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호스는 상기 천막을 지나 상기 주차실 외부로 연장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hose is connected to the silencer outlet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compartment, the hose extends through the tent outside the parking compart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운영시스템은, 빈 주차실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빈 주차실이 있으면 차량 진입을 허락하는 단계와, 이용자가 선택한 영상음향기록매체를 재생하여 상기 빈 주차실에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와, 차량을 빈 주차실 중에 지정한 주차실에 주차하는 단계와, 재생 종료시점을 판단하여 종료하는 단계와, 재생 종료되면, 빈 주차실에서 출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pace, allowing the vehicle entry if there is an empty parking space, and reproduces the video sound recording medium selected by the user the empty parking room Outputting an image and sound to the vehicle; parking the vehicle in a designated parking space in an empty parking space; determining ending the reproduction end point; and exiting the empty parking space when the reproduction ends.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빈 주차실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빈 주차실이 없으면, 진입하는 차량을 보조 주차장으로 유도하는 단계와, 주차장에 빈 주차실이 생기면 보조 주차장에 유도한 차량을 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pace, if there is no empty parking space, guiding an entering vehicle to an auxiliary parking lot; Entering the guided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주차장으로 유동하는 단계에서, 유도되는 차량에 대기 순번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빈 주차실이 생기면, 대기 순번의 순서에 따라 차량을 주차장으로 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flowing to the secondary parking lot, the step of assigning the waiting sequence to the guided vehicle, and if the empty parking space is generated, allowing the vehicle to enter the parking lot in the order of the waiting sequence Step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빈 주차실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빈 주차실이 없을 경우에는 표시부를 통해 주차장 출입구에 만차를 뜻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빈주차실이 있을 경우에는 주차가능을 뜻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space, if there is no empty parking space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full parking at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a message indicating parking availab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에 주차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차실에 주차가 이루어지면, 주차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parking in the parking room, if the parking is made in the parking room, including the step of exhausting the air inside the parking room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에 주차하는 단계에서, 허락되어 진입한 차량을 상기 주차실까지 안내하는 안내 조명등이 꺼졌는지를 판단하고, 커졌으면 안내조명등과 주차실 내부의 실내 조명등을 켜는 단계와, 안내 조명등이 켜졌으면, 실내 조명등만 켜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parking in the parking room,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uide light for guiding the permitted vehicles entering the parking room is turned off, and if it is large, the guide light and the inside of the parking room Turning on the indoor light, and if the guide light is on, turning on only the indoor ligh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에 주차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차가 완료되면, 주차실의 도어를 닫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parking in the parking room, when the parking is completed, comprising the step of closing the door of the parking room.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실에 주차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차가 완료되면, 상기 안내 조명등과 상기 실내 조명등을 끄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parking in the parking room, when the parking is completed, turning off the guide light and the indoor ligh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종료단계 이후에, 상기 주차실의 도어를 여는 단계와, 상기 주차실을 안내하는 안내 조명등과 상기 주차실 내부를 조명하는 실내등을 켜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eproducing end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pening the door of the parking room, the step of turning on the guide light for guiding the parking room and the interior light for illuminating the interior of the parking room. do.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되는 음향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음향 세기 이상일 경우에는 주차된 차량을 흔드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utputting the image and sound, comprising the step of measuring the intensity of the output sound, and shaking the parked vehicle when it is above the set sound intensit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음향정보를 갖는 전기적신호의 전압세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전 압세기 이상일 경우에는 주차된 차량을 흔드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utputting of the image and sound, measuring the voltage intensity of the electrical signal having the sound information, and shaking the parked vehicle when the set voltage strength or more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을 흔드는 단계는, 스프링에 지지되어 차량의 바퀴를 받치고 있는 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이동시킨 후에 가압을 해제하여 차량의 무게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차량이 흔들린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shaking the vehicle, by pressing and moving the plate which is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ing the wheel of the vehicle and release the pressure by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hak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하는 단계에서, 주차실 내부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step includes the step of cooling or heating the inside of the parking room.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 및 그 운영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arking lot and its operating system capable of independent movie wa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실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배기구 및 호스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배기구가 형성된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개방부가 형성된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통제실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parking lot capable of independent movie vie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king room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door shown in Figure 2 Detailed illustration showing the exhaust port and the hose. 4A is a front view of the door in which the exhaust port is formed in FIG. 2, FIG. 4B is a front view of the door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and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terior of the control room shown in FIG. 1.

또한, 도 6는 도 2에 도시된 영상출력장치와 음향출력장치의 작동 및 동작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신호흐름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통제실의 제어관계를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며,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구동부를 캠으로 대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운영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6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mage output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2 and an operation unit of the audio output device. FIG. 7 is a contro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room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8.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riving unit shown in Fig. 2 is replaced with a cam.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lot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주차장(100)은 차량(1)들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 출입구(101)와, 상기 주차장(100) 내에 독립적으로 위치한 다수 개의 주차실(300)과, 상기 주차실(300)로 영상정보와 음향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주차실(300) 내에 위치한 영상출력장치(310) 및 음향출력장치(320)를 통해 영상 및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통제실(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parking lot 10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cludes an entrance 101 through which vehicles 1 enter or exit, and a plurality of parking rooms 300 independently located in the parking lot 100. The control room 200 which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parking room 300 to control the image and sound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31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320 located in the parking room 300. ).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주차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arking lo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주차장(100)은 그 둘레를 따라 울타리(103)가 설치되며, 울타리(103) 안쪽에는 차량 1대당 법적으로 설정된 주차공간과 같거나 더 큰 면적의 주차실(300)이 한 개 이상 위치한다.The parking lot 100 is provided with a fence 103 along its circumference, and at least one parking space 300 having an area equal to or larger than a legally set parking space per vehicle is located inside the fence 103.

각 주차실(300)은 도 2에 보이듯이, 내부에 영상출력장치(310)와 음향출력장치(320) 및 조명장치(330)가 설치된다. 상기 주차실(300)에 대해서는 차후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한다.As shown in FIG. 2, each parking room 300 has an image output device 310, a sound output device 320, and a lighting device 330 therein. The parking room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이와 같이 울타리(103) 내에 정렬되어 위치한 한 개 이상의 주차실(300)은 통제실(200)과 케이블(210)로 연결된다. One or more parking rooms 300 aligned in the fence 103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room 200 and the cable 210.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제실(200)에는 한 개 이상의 영상음향재생기(220)가 위치하며, 상기 영상음향재생기(220)에 영상음향기록매체(230)(VHS, CD, DVD 등)를 넣고 재생시키면, 영상음향재생기(220)에서 출력된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가 케이블(210)을 따라 주차실(300)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된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는 주차실(300) 내에 장착된 영상출력장치(310) 및 음향출력장치(320)를 통해 출력되면서, 차량 내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자(이하 '이용자'라 함)는 영상 및 음향을 보고 들을 수 있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at least one video sound player 220 is positioned in the control room 200, and the video sound recording medium 230 (VHS, CD, DVD, etc.) is mounted on the video sound player 220. ) And play,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video sound player 220 are transmitted to the parking room 300 along the cable 210. The transmitted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ar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31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320 mounted in the parking room 300, and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who ride in the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Can see and hear the image and sound.

한편 도 2 및 도 7에 보이듯이, 주차실(300)의 조명장치(330)는, 주차실(300)로 차량(1)이 진입하거나 나갈 때에 안전을 위해 설치된 실내 조명등(331)과, 주차장(100)에 진입한 차량(1)을 지정된 주차실(300)로 안내하기 위해 주차실(300)의 번호를 밝혀 주는 안내 조명등(3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 조명등(331) 및 안내 조명등(333)은 통제실(200)에는 장착된 각 조명스위치를 이용하여 원격제어하거나, 다르게는 주차장 관리인이 직접 상기 실내 조명등(331)의 스위치 및 상기 안내 조명등(333)의 스위치를 눌러 접촉제어하여 점등시킨다. 다른 예로서는, 적외선을 이용한 동작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주차실 내에서 움직이는 사물체를 감지하면 켜지고 소정의 시간동안 움직임의 감지가 없으면 꺼지도록 구성한다.2 and 7, the lighting device 330 of the parking room 300 includes an indoor lighting 331 installed for safety when the vehicle 1 enters or exits the parking room 300, and a parking lot. In order to guide the vehicle (1) entering the (100) to the designated parking room 300 includes a guide light 333 that reveals the number of the parking room (300). The indoor lighting 331 and the guide lighting 333 are remotely controlled by using each light switch mounted in the control room 200, or the parking lot manager directly switches the indoor lighting 331 and the guide lighting ( Press 333) switch to turn on contact control. As another example, a motion detection sensor using infrared rays is mounted to turn on when sensing an object moving in the parking space, and to turn off when there is no detection of mov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통제실(200)에는 이용자가 원하는 영상음향기록매체(230)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영상음향기록매체(230)가 진열대에 진열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ideo sound recording media 23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rack in the control room 20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d view the desired video sound recording media 230.

아래에서는 주차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parking space in more detail.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실(300)은 법적으로 규정된 차량 1대의 주차공간과 같거나 더 큰 면적을 갖는다. 주차실(300)은 직육면체 구조로서, 3개의 수직 측벽(301)과, 3개의 수직 측벽(301)의 상부를 덮는 지붕(303) 및, 개방된 측면을 개폐하는 도어(305)를 포함한다. 그리고 내부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출력장치(310)와 음향출력장치(320) 그리고 실내 조명등(331)이 장착되고, 주차실(300) 외측에는 안내 조명등(333)이 장착된다.As shown in FIG. 2 and FIG. 4A, the parking room 300 has an area equal to or larger than the parking space of one vehicle legally defined. The parking room 3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and includes three vertical sidewalls 301, a roof 303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three vertical sidewalls 301, and a door 305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 side.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output device 310, the sound output device 320, and the interior lighting 331 are mounted, and the guide lighting 333 is mounted outside the parking room 300.

한편, 상기 3개의 측벽(301) 및 지붕(303)은 방음재와 단열재가 내장된 벽체 인 것이 바람직하며, 측벽(301)과 지붕(303) 그리고 측벽(301)과 측벽(301)의 맞닿는 부위에는 실링부재(309)가 도포되어 빛이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해 들어오지 않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hree side walls 301 and the roof 303 is preferably a wall in which the soundproofing material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re embedded, and the side walls 301 and the roof 303 and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s 301 and the side walls 301 The sealing member 309 is applied to prevent the light from entering the inside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주차실(300)의 다른 예로서는, 도어(305)가 형성된 컨테이너 박스를 주차장에 위치하고 컨테이너 박스에 상기 영상출력장치(310), 음향출력장치(320), 실내 조명등(331), 안내 조명등(333)을 설치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such a parking room 300, a container box in which a door 305 is formed is placed in a parking lot, and the image output device 310, the audio output device 320, the indoor lighting 331, the guide lighting ( 333) can be installed.

상기 주차실(300)에 있어서, 차량(1)은 주차실(300)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305)를 통해 진입 또는 진출한다. 여기에서 도어(305)는 여닫이식 도어, 미닫이식 도어, 절첩식 도어, 셔터식 도어 또는 지붕에 설치되며 빛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의 스크린을 말거나 펼치는 롤스크린 도어, 입구를 가리는 천막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도어(305)에는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창(347)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창(347)은 도어의 전체면적에 대해 1/2이상의 크기를 갖는 투명창이고, 측벽에 창이 형성될 경우에는 바닥에서 1.3m이상 2m이하의 부분 중 해당 면적의 좌우대비 1/2이상의 투명창으로 형성된다. 도어에 형성된 창의 면적이 1/2이상의 크기여야 하는 이유는 도어 밖에서 실내를 용이하게 볼 수 있어야 한다. 창의 면적인 1/2미만일 경우에는, 관리인이 의도적으로 실내를 보려고 해야만 실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측벽에 형성된 창의 면적이 바닥에서 1.3m이상 2m이하의 부분 중 해당 면적의 1/2이상이여야 하는 이유 또한 관리인이 측벽을 따라 지나가면서 쉽게 실내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람의 평균신장에 비해 1.3m미만이면 창이 낮게 위치하여 내부를 보기 어렵고, 2m를 초과하면 창의 높이가 높아 내부를 보기에 어려움이 있다.
In the parking room 300, the vehicle 1 enters or exits through a door 305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of the parking room 300. The door 305 is installed in a sliding door, a sliding door, a folding door, a shutter door or a roof, and a roll screen door that rolls up or spreads a screen made of a material that can completely block light, and a tent covering an entrance. The door 305 may be formed with a window 347 to look inside. Here, the window 347 is a transparent window having a size of 1/2 or more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of the door, when the window is formed on the side wall 1/2 of the area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1.3m or more and 2m or less from the bottom The transparent window is formed. The reason why the area of the window formed in the door should be larger than 1/2 is that the interior of the door can be easily seen. If the area of the window is less than 1/2, the manager can intentionally see the room to see the room.
On the other hand, the area of the window formed on the side wall should be more than 1/2 of the area of 1.3m or more and 2m or less from the floor, and also to allow the manager to easily see the room as it passes along the sidewall. Compared to 1.3m, it is difficult to see the inside because the window is located low, and if it exceeds 2m, it is difficult to see the inside because the window is high.

도어(305)의 다른 예로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닫이식 도어와 상기 미닫이식 및 상기 절첩식 도어들은 그 하부가 개방되어 닫았을 때에, 주차된 차량(1)의 소음기 부위가 상기 주차실(300) 밖으로 노출되면서 배기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셔터식 도어, 상기 롤스크린 도어, 천막은 닫았을 때에 일부가 주차실(300)의 바닥에 닿지 않게 하여 일부 개방함으로써, 배기구를 형성한다.As another example of the door 305, as shown in FIG. 4B, the doors of the sliding door, the sliding doors, and the folding doors are closed when the lower part of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e exhaust port may be formed while being exposed out of the parking space 300, and the shutter type door, the roll screen door, and the tent may be partially opened so as not to touch the floor of the parking space 300 when the shutter door is closed, thereby forming an exhaust port. .

또한 창(347)은 작은 크기로서, 상기 창(347)을 통해 들어온 빛에도 선명한 영상출력이 가능한 즉, 영상의 해상도가 떨어지지 않는 정도의 작은 크기이다. 이런 창(347)의 용도는 주차장 관리인이 주차실(300)의 내부를 들어다 보기 위한 것 이다.In addition, the window 347 is a small size, and is capable of providing a clear image even with light entering through the window 347, that is, a small size such that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oes not fall. The purpose of this window 347 is for the parking lot manager to look inside the parking room 300.

*한편 앞에서 간단히 설명한 바와 같이, 주차실(300)의 측벽(301), 도어(305), 지붕(303), 바닥(307) 중 어느 한 곳에는 배기구(340)가 형성된다. 한편 바닥이 지면일 경우에는 지면에 터널을 형성하여 배기구를 형성하고, 만약 도 2에 보이듯이, 별도의 패널이 바닥을 형성할 경우에는 외부와 통하는 터널을 패널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닥이 패널로 형성되었을 경우에, 패널의 높이가 지면과 같도록 하거나 또는 차량 진입이 원만하도록 패널 앞에 경사턱을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briefly above, an exhaust port 340 is formed at any one of the side wall 301, the door 305, the roof 303, and the floor 307 of the parking room 300. On the other hand, if the floor is the ground to form a tunnel in the ground to form an exhaust port, as shown in Figure 2, if a separate panel to form a floor can be formed in the panel tunnel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Here, when the floor is formed of a panel, an inclined jaw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panel so that the height of the panel is equal to the ground or the vehicle is smoothly entered.

배기구(340)는 측벽(301) 또는 도어(305)의 하단 즉 바닥(307)에 근접해 형성되는데, 도어(305)의 하단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기구(340)에는 팬(345)이 장착될 수 있다.The exhaust port 340 is formed near the bottom of the side wall 301 or the door 305, that is, the bottom 307,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305, the fan 345 is provided in the exhaust port 340 Can be mounted.

상기 배기구(340)가 주차실(300)의 하단에 형성된 이유는 차량(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바로 주차실(300) 외부로 배기되어 쾌적한 주차실(300) 내부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팬(345)은 주차실(300)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exhaust port 3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arking chamber 300 because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vehicle 1 is directly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parking chamber 300 to create a pleasant parking chamber 300 inside, The fan 345 is a component for forcibly evacuating the air of the parking space 300 to the outside.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구(340)에 유연한 호스(341)를 연결하여 상기 호스(341)의 단부를 차량 소음기의 배출구(3)에 끼워 둘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호스(341)의 단부에는 부착부재 중 하나인 다수 개의 자석(343)을 고정하여 호스(341)의 단부를 소음기의 배출구(3)에 끼웠을 때에 자석(343)이 소음기에 부착됨으로써, 호스(341)가 배출구(3)에 끼워져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자석(343)을 대신하는 부착부재로서, 고무줄 또는 밸크로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호스(341)의 단부가 배출구(3)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detail in FIG. 3, more preferably, a flexible hose 341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340 so that the end of the hose 341 can be inserted into the outlet 3 of the vehicle silencer. . At this time, the magnet 343 is attached to the silencer when the end of the hose 341 is fixed to the discharge port 3 of the silencer by fixing a plurality of magnets 343, which are one of the attachment members, to the end of the hose 341. 341 is comprised so that the discharge port 3 may be inserted. Here, as an attachment member to replace the magnet 343, an end of the hose 341 may be wrapped around the outlet 3 using a rubber band or a Velcro tap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5)를 천막(305c)으로 이용할 경우에, 천막(305c)의 안쪽 가장자리에는 벨크로 테이프(308)가 부착되고, 주차실(300)의 입구에 해당하는 측벽(301)과 지붕(303)에 벨크로 테이프(308)가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천막(305c)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308)를 주차실(300)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308)에 부착하여 천막(305c)을 도어(305)로서 사용한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door 305 is used as the tent 305c, a Velcro tape 308 is attached to the inner edge of the tent 305c, and a side wall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of the parking space 300 is provided. Velcro tape 308 is attached to 301 and roof 303. Therefore, the velcro tape 308 attached to the tent 305c is attached to the velcro tape 308 attached to the parking space 300 to use the tent 305c as the door 305.

이 경우에 있어서, 천막(305c)에 팬(345)을 장착하기 곤란함으로, 소음기의 배출구(3)에서 연장된 호스(341c)를 천막(305c)과 지면 사이로 빼내 주차실(300) 외부로 배기가스를 배기한다.In this case, since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fan 345 in the tent 305c, the hose 341c extending from the discharge port 3 of the silencer is pulled out between the tent 305c and the ground and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parking chamber 300. Exhaust the gas.

한편, 도 2 및 도 6에 보이듯이, 주차실(300)의 바닥(307)에는 주차된 차량(1)의 4바퀴(5)를 받쳐주는 복수의 동작부(400)가 장착된다. 상기 동작부(400)는 바퀴(5)를 지지하는 플레이트(410)와, 상기 플레이트(410)를 지지하는 탄성체 중 하나인 압축 코일스프링(4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410)를 움직이는 구동부(430) 중 하나인 유압시스템(431)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유압시스템(431)이란, 실린더(433)와 상기 실린더(433)를 따라 유체에 의해 이동하는 로드(435)를 포함하며, 로드(435)의 이동에 따라 스트로크가 신축하는 장치로서, 상기 유압시스템(431)이 신장하여 플레이트(410)를 밀어올린 후에 다시 수축하게 되면 코일스프링(420)에 지지된 플레이트(410)는 차량 무게에 의해 흔들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6, the floor 307 of the parking room 300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 400 for supporting the four wheels 5 of the parked vehicle (1). The operation unit 400 includes a plate 410 for supporting the wheel 5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420, which is one of the elastic bodies for supporting the plate 410. Preferably, the hydraulic system 431, which is one of the driving units 430 for moving the plate 410, is installed. Herein, the hydraulic system 431 includes a cylinder 433 and a rod 435 moving by a fluid along the cylinder 433, and the stroke is stretch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od 435. When the hydraulic system 431 extends and pushes the plate 410 up and then contracts again, the plate 410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420 is shaken by the vehicle weight.

한편, 상기 유압시스템(431)의 신축은 솔레노이드 밸브(437)에 의해 제어되 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37)는 음향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세기에 따라 신축된다. 즉 음향출력장치(320)에는 음향감지센서(323)가 설치되어 설정된 dB이상 세기의 소리가 감지되면 전기적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신호는 동작부(400)의 제어부(450)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450)에서는 상기 신호에 따라 유압시스템(431)의 스트로크를 신축시켜 차량(1)을 흔든다. On the other h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hydraulic system 431 is controlled by the solenoid valve 437, the solenoid valve 437 is stretch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sit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That is, when the sound output sensor 320 is provided with a sound sensor 323 is detected a sound of a predetermined dB or more intensity, an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the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450 of the operation unit 400, The control unit 450 shakes the vehicle 1 by stretching the stroke of the hydraulic system 431 according to the signal.

이와 같은 유압시스템(431)의 구성 외에 다른 구동부로서, 회전 가능한 캠(440)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ydraulic system 431, a rotatable cam 440 may be used as another driving unit.

구체적으로, 도 8에 보이듯이, 플레이트(410)의 하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한 캠(440)을 장착하고, 음향감지센서(323)에서 발생한 신호에 의해 모터를 구동하여 캠(440)을 회전시키면, 캠(440)의 장축 부위가 수직하게 위치하여 플레이트(410)와 접하며 장축 부위가 수평으로 위치하면서 플레이트(410)와 떨어진다. 이때 플레이트(410)는 가압하는 캠(440)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고, 가압해제되면 코일스프링(420)의 탄성변형에 의해 흔들거린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cam 440 rotatable by the motor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410, and the cam 440 is rotated by driving the motor by a signal generated by the acoustic sensor 323. When the long axis portion of the cam 440 is vertically positioned to contact the plate 410 and the long axis portion is horizontally positioned, the plate 410 is separated from the plate 410. At this time, the plate 410 is moved upward by the pressing cam 440,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is shaken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il spring 420.

이와 같이 플레이트(410)가 흔들거리면, 플레이트(410)에 안착된 차량(1) 또한 흔들거리며, 차량(1) 내에 위치한 이용자는 음향의 세기에 따라 차량(1)의 흔들림을 느껴 긴장감을 한 층 더 느낄 수 있다.When the plate 410 is shaken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1 seated on the plate 410 is also shaken, and the user located in the vehicle 1 feels the shaking of the vehicle 1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sound, thereby increasing the tension. I can feel more.

아래에서는 주차실에 설치된 영상출력장치와 음향출력장치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video output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room.

도 2 및 도 6에 보이듯이, 주차실(300)의 도어와 마주하는 내부 정면에는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313)이 위치하고, 주차실(300) 내부 상면에는 영상투사기(Projector)(311)가 장착된다. 따라서 통제실(200)에서 재생시켜 전송한 영상정보 가 케이블(210)을 통해 영상투사기(311)에 입력되면, 영상투사기(311)에서는 영상정보를 가진 빛을 스크린(313)에 조사한다. 조사된 빛은 스크린(313)에 투영되어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투사기(311)외에도 다른 영상출력장치로서, LCD, PDP, CRT 중에 어느 하나가 대신 사용될 수 있으며, LCD, PDP, CRT 중 하나를 사용할 경우에는 영상출력장치(310)가 주차실(300) 내부 정면에 위치한다. 그리고 주차된 차량(1)과 영상출력장치(310)의 사이에는 차후에 설명될 진행방지턱(360)이 설치되어 차량(1)의 직진을 차단하여 영상출력장치(310)의 파손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S. 2 and 6, a screen 313 on which an image is projected is positioned on an inner front facing the door of the parking compartment 300, and an image projector 311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rking compartment 300. Is mounted. Therefore, when the image information reproduced an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room 200 is input to the image projector 311 through the cable 210, the image projector 311 irradiates the screen 313 with light hav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irradiated light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313 to output an image. As another image out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image projector 311, any one of LCD, PDP, and CRT may be used instead, and when using one of the LCD, PDP and CRT, the image output device 310 is located inside the parking room 300. Located in the front In addition, between the parked vehicle 1 and the image output apparatus 310, a progress prevention jaw 3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to prevent the vehicle 1 from going straight to prevent damage to the image output apparatus 310.

한편, 통제실(200)에서 재생시켜 전송한 음향정보는 케이블(210)을 통해 음향출력기(320) 중 하나인 스피커(321)에 입력되고, 스피커(321)에서는 음향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피커(321)는 차량(1)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ound information reproduced and transmitted by the control room 200 is input to the speaker 321 which is one of the sound output devices 320 through the cable 210, and the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321. Here, the speaker 321 is preferably located inside the vehicle 1.

즉 상기 스피커(321)는 주차실(300) 내부에서 자유롭게 옮겨다닐 수 있도록 스피커(321)는 충분히 여유 길이를 갖는 케이블(325) 단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스피커(321)를 차량(1) 내부에 위치하고 차량(1)의 도어를 닫게 되면, 스피커(321)는 차량(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음향을 출력한다. 한편, 차량(1)의 도어를 닫더라도, 차량(1) 도어 둘레에는 패킹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케이블(325)의 굵기가 얇기 때문에 단선되지 않는다. 또한, 스피커(321)를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방음효과를 향상시켜 다른 주차실(300)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방해받지 않는다.That is, the speaker 321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cable 325 having a sufficient length so that the speaker 321 can move freely in the parking space 300. When such a speaker 321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1 and the door of the vehicle 1 is closed, the speaker 321 outputs sound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vehicle 1.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door of the vehicle 1 is closed, the pack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door of the vehicle 1 and since the thickness of the cable 325 is thin, it is not disconnected. In addition, the speaker 321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to output sound, thereby improving the soundproofing effect so that the sound output from the other parking room 300 is not disturbed.

한편, 앞에서는 스피커(321)가 주차된 차량(1) 내부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케이블(325)로 연결되었다고 설명하였으나, 스피커(321)의 자유로운 움 직임을 위해 근거리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speaker 321 is connected to the cable 325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peaker 321 is located inside the parked vehicle 1, bu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used for free movement of the speaker 321. hav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서는, 블루투스 모듈(380)을 이용한다. 즉, 영상음향재생기(220)에서 연장된 케이블(210)이 주차실(300)에 인입되어 블루투스 모듈(380)에 접속되고, 블루투스 모듈(380)은 스피커(321)에 접속된다. 따라서 케이블(325)을 따라 전송된 전기적 음향신호는 블루투스 모듈(380)에서 특정 주파수로 변환되어 송신되고 스피커(321)에서는 송신된 주파수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적신호에 따라 스피커(321)에서는 음향을 출력한다.As illustrated in FIG. 11, a Bluetooth module 380 is used as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the cable 210 extended from the video sound player 220 is introduced into the parking space 300 to be connected to the Bluetooth module 380, and the Bluetooth module 380 is connected to the speaker 321. Therefore, the electrical acoustic signal transmitted along the cable 325 is converted to a specific frequency in the Bluetooth module 380 and transmitted, the speaker 321 converts the transmitted frequency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speaker 321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Outputs sound.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피커(321)는 주차실(300)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충분한 길이를 갖는 케이블(325) 또는 블루투스 모듈(380)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스피커(321)가 차량(1)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음향 출력이 가능하다.Since the speaker 32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by the cable 325 or the Bluetooth module 380 having a sufficient length to be freely moved in the parking space 300, the speaker 321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1. Sound output is possible even in the state.

한편, 출입구(101)에는 주차실(300)의 상태 즉 주차 가능한지를 알리는 표시부(107)가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는 LCD, LED전광판, 램프, 문자가 기재된 패널 등을 이용하여 주차 가능여부 및 빈 주차실의 개수 등을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trance 101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07 indicating the state of the parking room 300, that is, whether parking is possibl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whether or not parking is possible and the number of empty parking spaces using an LCD, an LED display, a lamp, a panel in which characters are written, and the like.

이와 같은 패널을 제외한 LCD, LED전광판, 램프 표시부는 통제실(200)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며, 램프 및 패널은 주차장 관리인이 직접 제어한다.LCD, LED sign, and lamp display unit except such a panel can be controlled remotely from the control room 200, the lamp and the panel is directly controlled by the parking lot manager.

또한, 상기 주차실(300) 내부의 정면 쪽 바닥에는 진행방지턱(360)이 고정되어 상기 도어(305)를 통해 주차실(300) 내부로 진입한 차량이 직진하여 정면 측벽(301)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travel prevention jaw 36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side of the inside of the parking compartment 300, and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compartment 300 through the door 305 goes straight and collides with the front side wall 301. prevent.

한편, 도 2 및 도 7에 보이듯이, 각 주차실(300)의 내부에는 냉방시스템과 난방시스템, 또는 겸용인 냉난방시스템(350)을 구비하고, 통제실(200)에서 이들을 원격제어하거나 주차장 관리인이 직접 제어패널을 조작하여 주차실(300)의 내부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방시스템과 난방시스템, 또는 겸용인 냉난방시스템(350) 또한 진행방지턱(360)을 기준으로 주차된 차량(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7, each of the parking room 300 is provided with a cooling system and a heating system, or a cooling and heating system 350 for both, and remote control them in the control room 200 or the parking lot manag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arking room 300 may be controlled by directly operating the control panel.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heating system, or the combined cooling and heating system 350 is also preferably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ehicle (1) parked on the basis of the traveling projection (360).

또한, 각 주차실(300)에는 통제실(200)과 연결되는 인터폰(370)이 설치된다. 상기 인터폰(370)은 주차실(300) 내부의 전방 쪽에 위치하되, 주차된 차량(1)의 운전석 도어 옆 측벽에 걸쳐 위치하며, 이용자가 차량 도어의 창문을 열고 인터폰(370)의 수화기를 들을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한다.In addition, each parking room 300 is provided with an interphone 370 connected to the control room 200. The interphone 370 is located in front of the interior of the parking room 300, and is located over the side wall side of the driver's seat of the parked vehicle 1, and the user opens a window of the vehicle door and listens to the handset of the interphone 370. It is located in distanc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주차장의 운영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arking lo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주차장 관리인은 통제실(200)에서 각 주차실(300) 외측에 설치된 안내 조명등(333)을 확인하고, 빈 주차실(300)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주차장 운영시스템에 따르면, 안내 조명등(333)은 주차실(300)에 차량(1)이 주차된 경우에 꺼지고 비워지면 켜진다.As shown in FIG. 9, the parking lot manager checks the guide lamp 333 installed outside each parking room 300 in the control room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empty parking room 300. According to the parking lot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light 333 is turned off when the vehicle 1 is parked in the parking room 300 and is turned on when it is emptied.

즉 주차장 관리인은 안내 조명등(333)을 확인함으로써, 현재 빈 주차실(300)의 개수 및 빈 주차실(300)의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출입구(101)에 설치된 표시부(107)를 통해 주차 가능여부를 출력한다.That is, the parking lot manager may check the guide light 333 to confirm the number of the empty parking spaces 300 and the number of the empty parking spaces 300. And it outputs whether or not parking is possible through the display unit 107 installed in the doorway (101).

만약, 빈 주차실(300)이 없을 경우에는 표시부(107)에 '만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다른 차량이 주차장(10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으며, 빈 주차실(300)이 있을 경우에는 '주차가능'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빈 주차실(300)이 있음을 알린다. 여기에서, 만차 시에 진입을 원하는 차량이 본 발명에 따 른 주차장 밖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출입구 바깥쪽에 주차 가능한 공터로서, 별도의 보조 주차장(105)을 구비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주차장(105)은 노상 주차장이든 노외 주차장이든 또는 기계식 주차장이든 무관하다.If there is no empty parking space 300, the display unit 107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full cars” to prevent other vehicles from entering the parking lot 100, and if there is an empty parking space 300.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parking available' to indicate that there is an empty parking room 300. Here, as an empty lot that can be parked outside the entrance and exit so that the vehicle which wants to enter at the time of full parking can wait outside the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provide a separate auxiliary parking lot 105. The secondary parking lot 105 may be a road parking lot, an off-road parking lot or a mechanical parking lot.

이와 같이 보조 주차장(105)을 만들어 둠에 따라 만차 시에 진입하는 차량을 보조 주차장(105)으로 유도하고, 대기 순번을 지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차장에서 차량이 나갈 경우 즉 빈 주차실(300)이 발생할 경우에 보조 주차장(105)에 대기하고 있는 차량의 대기 순번에 따라 주차장(100) 내부로 진입할 차량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차량을 주차장(100) 내로 진입시킨다. 이때도 여분의 빈 주차실(300)이 없을 경우, 표시부(107)를 통해 만차 메시지를 계속 출력한다.As the auxiliary parking lot 105 is made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entering the full parking lot is guided to the auxiliary parking lot 105, and the waiting sequence number is designated. When the vehicle leaves the parking lo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empty parking space 300 occurs, the vehicle to be entered into the parking lot 100 is set according to the waiting sequence number of the vehicle waiting in the auxiliary parking lot 105 and the set The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100. In this case, when there is no spare empty parking space 300, the mancha message is continuously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07.

한편 빈 주차실(300)이 있어 주차장(100) 내부로 차량(1) 진입이 허락되면, 이용자는 차량에서 하차하여 통제실(200)로 들어와 자신이 보고자 하는 영상음향기록매체(230)를 선택하고, 이를 주차장 관리인에게 전달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 empty parking room 300 and the vehicle 1 is allowed to enter the parking lot 100, the user gets off the vehicle and enters the control room 200 to select the video sound recording medium 230 that he wants to see. And forward it to the parking lot manager.

이때, 주차장 관리인은 비용을 청구 및 영수하고, 이용자에게 빈 주차실(300)의 번호를 지정해 준다.At this time, the parking lot manager charges and receives the fee, and assigns the number of the empty parking room 300 to the user.

그리고 주차장 관리인은 지정해 준 주차실(300)에 연결된 영상음향재생기(220)에 영상음향기록매체(230)를 넣고 재생시키면, 영상음향재생기(220)에서는 영상정보와 음향정보를 케이블(210)을 통해 지정한 주차실(300)의 영상출력장치(310) 및 음향출력장치(320)로 전송한다. 더불어, 주차장 관리인은 안내 조명등(333)이 켜졌는지를 확인하고, 꺼져있으면 켜고, 껴져 있으면 바로 실내 조명등(331)을 켠다. 본 발명의 운영시스템에 따르면, 주차실(300)에 주차되어 있으면 안내 조명 등(333)은 꺼져 있지만, 빈 주차실(300)의 경우에도 안내 조명등(333)이 꺼진 경우는 영업을 바로 시작하는 경우이다.When the parking lot manager inserts and plays the video sound recording medium 230 into the video sound player 220 connected to the designated parking room 300, the video sound player 220 connects the cable 210 to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It transmits to the image output device 31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320 of the designated parking room 300 through. In addition, the parking lot manager checks whether the guide light (333) is turned on, if it is turned off, if it is turned on immediately turns on the indoor light (331).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rking lot 300 is parked, the guide light 333 is turned off, but in the case of the empty parking room 300 when the guide light 333 is turned off to start business immediately. If it is.

한편, 이용자는 안내하는 안내 조명등(333)을 따라 차량을 이동시킨 후 지정한 주차실(300)의 플레이트(410) 위에 바퀴(5)가 안착되도록 주차한다. Meanwhile, the user parks the wheel 5 to be seated on the plate 410 of the designated parking room 300 after moving the vehicle along the guiding guide light 333.

주차장 관리인은 차량(1)의 도어를 열고 음향출력장치(320)를 차량(1) 내부로 넣은 후에 차량 도어를 닫는다. 그리고 호스(341)를 소음기의 배출구(3)에 끼워 매연을 주차실(300) 밖으로 배기한다. 이 상태에서 주차실(300)의 도어(305)를 닫는다. 그리고 안내 조명등(333)과 실내 조명등(331)을 끈다.The parking lot manager opens the door of the vehicle 1, inserts the sound output device 320 into the vehicle 1, and then closes the vehicle door. Then, the hose 341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3 of the silencer to exhaust the soot out of the parking space 300. In this state, the door 305 of the parking room 300 is closed. And turn off the guide light (333) and the room light (331).

이용자는 차량(1) 내부에서 차량(1) 전면에 출력되는 영상물 및 차량(1) 내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들으면서, 영화를 감상한다.The user watches a movie while listening to the video output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1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1.

한편, 음향출력장치(320)에서 출력된 음향의 세기가 설정된 dB이상이 되면, 음향감지센서(323)에서 전기적신호를 발생하고, 그 신호에 의해 구동부(430)가 작동하여 차량을 흔든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nsity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320 is more than the set dB, the acoustic sensor 323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the driving unit 430 is operated by the signal to shake the vehicle.

이와 같이 영화를 감상하다가 영화가 종료되면, 영상음향재생기(220)에서는 종료를 알린다. 그러면 주차장 관리인은 주차실(300)의 영화 상영 종료 즉 재생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고, 주차실(300) 내의 실내 조명등(331)과 안내 조명등(333)을 켠다. 그리고 도어(305)를 열고, 배기구(340)의 팬(345)을 정지한다. 그런 다음, 차량(1) 도어를 열고, 음향출력장치(320)를 꺼낸다.When the movie is finished while watching the movie as described above, the video sound player 220 notifies the end. Then, the parking lot manager recognizes that the movie screening of the parking room 300 is finished, that is, the reproduction is finished, and turns on the indoor lighting 331 and the guide lighting 333 in the parking room 300. And the door 305 is opened and the fan 345 of the exhaust port 340 is stopped. Then, the vehicle 1 door is opened, and the sound output device 320 is taken out.

열린 도어(305)를 통해 차량(1)이 주차실(300)을 완전히 빠져 나오면, 실내 조명등(331)을 끈다.When the vehicle 1 completely exits the parking space 300 through the open door 305, the interior lamp 331 is turned off.

도어(305)를 여는 과정 또는 차량(1)이 주차실(300)을 빠져 나오는 과정에서, 소음기 배출구(3)에 끼워진 유연한 호스(341)는 자연스럽게 소음기 배출구(3)에서 벗겨진다.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305 or the vehicle 1 exiting the parking compartment 300, the flexible hose 341 fitted to the muffler outlet 3 naturally comes off from the muffler outlet 3.

한편, 앞에서 설명한 롤스크린 도어를 이용하여 주차실(300) 입구를 폐쇄함에 있어서는, 롤스크린 도어의 스크린을 지면이 닫는 부위까지 내리지 않고 주차실(300) 하단 일부가 개방되도록 스크린의 일부만을 내림으로써, 개방부를 통해 배기구(340)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closing the entrance of the parking room 300 by using the roll screen door described above, by lowering only a part of the screen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parking room 300 is opened without lowering the screen of the roll screen door to a part where the ground is closed. The exhaust port 340 may be formed through the portion.

또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영상출력장치(310)는 영상투사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LCD, PDP, CRT 등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스피커(321)에 연결된 케이블(325)의 단부에는 플러그(327)가 고정되고, 상기 플러그(327)는 영상출력장치(310)의 음향출력용 잭(315)에 접속된다. 그럼으로써, 스피커(321)가 차량(1)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고 차량(1)을 후진하였을 때에 플러그(327)가 잭(315)에서 분리되어 스피커(321) 및 영상출력장치(3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주차장 관리인이 차량(1)의 외부로 연장된 케이블(325)을 통해 스피커(321)가 차량 내부에 위치함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mage output apparatus 31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an image projector, but may be any one of LCD, PDP, CRT, etc., the end of the cable 325 connected to the speaker 321 plug ( 327 is fixed, and the plug 327 is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jack 315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310. Thus, when the speaker 321 is located in the vehicle 1 and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vehicle 1 and the vehicle 1 moves backward, the plug 327 is disconnected from the jack 315 so that the speaker 321 and the image output device ( 31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parking lot manager may recognize that the speaker 321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through the cable 325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1.

한편 음향감지센서(323)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피커(321)에서 출력되는 음향 세기를 감지하여 구동부(430)를 작동시킬 수 있으나, 다르게는 영상음향재생기(220)에서 출력된 음향정보의 전압세기를 감지하여 설정된 전압세기 이상이 전송될 경우에 상기 구동부(430)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sensor 323 may operate the driving unit 430 by detecting the sound intensity output from the speaker 321, but differently, the voltage of the sou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video sound player 220. The driving unit 430 operates to detect the intensity and to transmit the set voltage intensity or more.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장 및 그 운영 시스템은 밀폐된 주차실 내부에 차량을 주차함에 있어, 배출되는 배기가스 등을 밀폐된 주차실 외부로 배기함으로써, 쾌적한 환경 속에서 영상물을 감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parking lot and its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closed parking space,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osed parking space, so that the image can be enjoyed in a pleasant environ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장은 스피커가 차량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각 주차실마다 다른 음향이 출력되더라도 차량 자체가 방음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주차실을 구성하는 측벽 및 지붕 그리고 도어를 얇게 구성할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든다. In addition, the parking l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the speaker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itself has a sound insulation effect even if different sounds are output to each parking space, so that the side walls, roofs and doors constituting the parking space can be made thin. It is inexpensive.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장 및 그 운영 시스템은 유선의 음향출력장치는 차량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무선 음향출력장치를 갖춤에 따라 발생하는 혼선 및 잡음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음향출력장치를 차량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음향출력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의 길이를 충분히 가진다. 그럼으로써, 스피커를 실고 차량이 후진하였을 때에, 주차장 관리인이 차량 외부로 연장된 케이블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arking lot and its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problems such as crosstalk and noise caused by having a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because the wired sound output device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It also has a sufficient length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device so that the sound output device can be located inside the vehicle. This allows the parking lot manager to recognize the cable extending ou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retracted with the speaker.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장 및 그 운영 시스템은 출력되는 음향에 따라 차량을 흔들어 이용자가 긴장감을 더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lot and its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feel more tension by shak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utput sound.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장 및 운영시스템은 주차실 내부를 냉난방할 수 있어 차량의 시동을 끈 상태로 영화를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된 상태로 엔진을 공회전 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대기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lot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at and cool the inside of the parking room to watch a movie while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refore, air pollution caused by idling the engine while parked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 및 그 운영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arking lot and its operating system capable of watching an independent movi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by way of example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 1대를 주차할 수 있는 면적이거나 이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다수 개의 측벽과 지붕 및 상기 차량이 진입 또는 진출하도록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형성된 구조이고 내부에 영상출력장치와 음향출력장치가 설치된 복수 개의 주차실과,A plurality of side walls and a roof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for entering or exiting the vehicle to have an area for parking or larger than one vehicle and having a video output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installed therein Parking spaces, 상기 주차실로 영상정보와 음향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주차실 내에 위치한 상기 영상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통해 각 주차실 마다 다른 독립적인 영상 및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통제실을 포함하며,And a control room that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parking room to control the output of different independent images and sounds for each parking room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located in the parking room.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스피커로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주차실 내에 주차된 차량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주차실 내에서 자유롭게 연장된 케이블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And the sound output device is a speaker, and the speaker is connected to a cable extending freely in the parking space so as to be located inside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삭제delete 차량 1대를 주차할 수 있는 면적이거나 이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다수 개의 측벽과 지붕 및 상기 차량이 진입 또는 진출하도록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형성된 구조이고 내부에 영상출력장치와 음향출력장치가 설치된 복수 개의 주차실과,A plurality of side walls and a roof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for entering or exiting the vehicle to have an area for parking or larger than one vehicle and having a video output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installed therein Parking spaces, 상기 주차실로 영상정보와 음향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주차실 내에 위치한 상기 영상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통해 각 주차실 마다 다른 독립적인 영상 및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통제실을 포함하며,And a control room that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parking room to control the output of different independent images and sounds for each parking room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located in the parking room. 상기 도어의 하부에는 배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Parking lot capable of independent movie watc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aust por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배기구에는 팬이 장착되어 상기 주차실 내부에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The exhaust port is equipped with a fan for parking the independent movie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inside the parking roo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 1대를 주차할 수 있는 면적이거나 이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다수 개의 측벽과 지붕 및 상기 차량이 진입 또는 진출하도록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형성된 구조이고 내부에 영상출력장치와 음향출력장치가 설치된 복수 개의 주차실과,A plurality of side walls and a roof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for entering or exiting the vehicle to have an area for parking or larger than one vehicle and having a video output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installed therein Parking spaces, 상기 주차실로 영상정보와 음향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주차실 내에 위치한 상기 영상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통해 각 주차실 마다 다른 독립적인 영상 및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통제실을 포함하며,And a control room that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parking room to control the output of different independent images and sounds for each parking room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located in the parking room. 상기 주차실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차량을 지지하는 동작부가 설치되는데,An operation unit for supporting the vehicle is installed on the inner floor of the parking compartment. 상기 동작부는 상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차량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탄성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움직이면서 상기 차량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The operation unit includes a plate for supporting the wheel of the vehicle, and an elastic body for supporting the plate, th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vehicle while moving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body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Parking lot with independent movi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 1대를 주차할 수 있는 면적이거나 이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다수 개의 측벽과 지붕 및 상기 차량이 진입 또는 진출하도록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형성된 구조이고 내부에 영상출력장치와 음향출력장치가 설치된 복수 개의 주차실과,A plurality of side walls and a roof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for entering or exiting the vehicle to have an area for parking or larger than one vehicle and having a video output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installed therein Parking spaces, 상기 주차실로 영상정보와 음향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주차실 내에 위치한 상기 영상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통해 각 주차실 마다 다른 독립적인 영상 및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통제실을 포함하며,And a control room that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to the parking room to control the output of different independent images and sounds for each parking room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located in the parking room. 상기 도어에는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창이 도어의 바닥에서 1.3m이상 2m이하의 부분에 투명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The door is a parking lot capable of watching independent movi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ow which can look inside the window formed in the transparent window in the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door more than 1.3m 2m. 제5항, 제7항, 제9항, 제17항 및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7, 9, 17 and 28, 상기 주차실의 내부에는 주차공간을 밝히는 실내 조명등이 설치되고, The interior of the parking room is provided with an indoor lighting to illuminate the parking space, 상기 주차실의 안쪽 바닥에는 차량의 진입을 막는 진행방지턱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영화감상이 가능한 주차장.Parking lot capable of independent movie watc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gress prevention jaw is fixed to the inner floor of the parking room to prevent entry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07097A 2006-01-06 2006-01-24 Parking Lot KR1007566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097A KR100756683B1 (en) 2006-01-06 2006-01-24 Parking L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588 2006-01-06
KR20060001588 2006-01-06
KR1020060007097A KR100756683B1 (en) 2006-01-06 2006-01-24 Parking L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427A KR20070074427A (en) 2007-07-12
KR100756683B1 true KR100756683B1 (en) 2007-09-07

Family

ID=3850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097A KR100756683B1 (en) 2006-01-06 2006-01-24 Parking L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6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810B1 (en) * 2021-01-06 2023-01-27 주식회사 브론 The vr cinema system of drive-through type
KR102588416B1 (en) * 2021-04-01 2023-10-12 주식회사 아이젠 Vehicle video content provid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46Y1 (en) 2005-04-01 2005-09-16 정성호 Car movie appreciation roo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46Y1 (en) 2005-04-01 2005-09-16 정성호 Car movie appreciation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427A (en)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45422A2 (en) Image-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 integrated with camera
KR100756683B1 (en) Parking Lot
JP2008035472A (en) In-vehicle outside-vehicle acoustic transmission system
CN109387277A (en) External voice monitoring based on accelerometer
CN1370980A (en) Image recorder and sound recorder for vehicle
CN107367841A (en) mobile object,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090119720A1 (en) Rear Seat Entertainment System
CA1097524A (en) Drive in theatre
JPH0588605A (en) Riding simulation device
KR101271865B1 (en) Engine and Exhaust acoustic occurrence system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8006832A (en) Vehicle mounted with video image display
JP2006064914A (en) Display device
KR200289396Y1 (en) Drive-in personal theater
JP4640768B2 (en) Multiple monitor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H0944077A (en) Automobile and simulated driving system apparatus for automobile
CN1775593A (en) Automobile display system
JP2004218583A (en) Exhaust sound controlling device
KR20110007657U (en) Driving theater using Parking building
KR102485251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H05292585A (en) Presence reproduction system
KR200384865Y1 (en) Box using for movable vehicle theater
KR200172867Y1 (en) A movable led sign board vehicle
KR200395946Y1 (en) Car movie appreciation room
CN215436245U (en) Vehicle-mounted system
KR200211984Y1 (en) Moving image advertisement equipment of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226

Effective date: 200807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120

Effective date: 20080718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