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090B1 - 치근관의 충전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치근관의 충전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090B1
KR100756090B1 KR1020017015601A KR20017015601A KR100756090B1 KR 100756090 B1 KR100756090 B1 KR 100756090B1 KR 1020017015601 A KR1020017015601 A KR 1020017015601A KR 20017015601 A KR20017015601 A KR 20017015601A KR 100756090 B1 KR100756090 B1 KR 10075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anal
kit
photosensitizer
optical fib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2591A (ko
Inventor
질 안 윌리암스
데이비드 죤 클리멘츠
가빈 죤 피어손
미챌 윌슨
Original Assignee
덴포텍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9913100.5A external-priority patent/GB9913100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000882A external-priority patent/GB0000882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000886A external-priority patent/GB0000886D0/en
Application filed by 덴포텍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덴포텍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1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61C5/55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with heating means, e.g. for heating gutta perch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e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 광증감제로 치근관을 치료한 뒤 밀봉수단으로 치근관을 밀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치료과정중에 치근관에 광학섬유를 삽입하는데, 상기 광학섬유는 레이저광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과 인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동성 광증감제, 치근관, 광학섬유, 밀봉수단

Description

치근관의 충전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dental root canal}
본 발명은 치근관 밀봉을 포함한 치근관 치료에 관한 것이다.
치근관을 치료해야 할 상황은 여러가지 있다. 치아조직과 치수(齒髓; dental pulp)내의 조직은 치아우식증(齒牙齪蝕症; dental caries)으로 인해 썩을 수 있고, 세포와 조직이 상처를 받거나 위축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치수조직이 죽거나 감염될 수 있다. 이는 치수를 죽게한다. 이 경우 치아를 뽑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병든조직을 제거하고 깨끗하고 위생적인 치근관을 밀봉하여 치아를 계속 사용할 수도 있다. 병든 치수를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수술은 기술적으로 어렵고, 치근관에 접근하여 치근단이나 그 부근의 감염된 조직을 제거해야만 한다. 치근관 자체의 해부도 복잡하지만, 치근관 자체가 좁을수록 이런 치료법도 복잡해진다.
종래의 근관치료는 먼저 겉부분의 에나멜과 상아질의 중첩부분을 제거하여 치수강으로 접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단 치수강이 노출되면, 치근관까지 통로를 뚫고 확대한다. 다음, 진단촬영법이나 치근단 검출기를 이용해 치근관의 길이를 계산하고, 치근관 확대용 줄이나 리이머를 이용해 치근관을 처리한다. 이들 기구는 상아질 벽을 줄질하고 깍아내서 치근관 내면을 제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아질 벽에는 작은 구멍들이 있고, 이들 구멍을 통해 상아질 형성 세포가 상아질 안으로 들어간다. 이들 구멍에 박테리아가 정착하여 증식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들은 치근관 내면을 기계적으로 깍아냄으로써 감소된다. 이를 위해, 치근관 확대용 리이머와 줄을 이용해 치근단 근처에서 밀봉기구의 크기에 일치하는 치근관을 생성한다. 치근관의 내경이 확대될 수록 치근벽 공동의 크기가 작아지며 치근관은 기계적으로 청소된다.
박테리아를 화학적으로 치사시키는 약품이 사용될 수도 있는바, 이들 약품은 대개 치아염소산염 용액이나 항생제 연고 등의 살균제와 항균제이다. 이들 약품은 먼저 기계적 조직제거 이후에 치근관 안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런 약품 및 조직을 제거하는 기계적 방법은 박테리아나 오염물이 없는 치근관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기존의 방법은 시간이 소요되고 실행하기가 어려운데, 이는 치근관 벽을 조심스럽고 과도하게 기계적으로 제거해야 하면서도 수성 치아염소산염 나트륨과 같은 용액이 치근관에 과도하고 투입되기 때문이다. 치아가 구강내에서 뒷쪽에 위치할수록 목적을 달성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는데, 이는 치근관의 형태가 더 와선형으로 되고 접근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치근관의 치료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치과의사가 치근관내의 썩은 부분과 박테리아 오염을 치근관의 밀봉 이전에 확실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근관을 준비 및 밀봉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또 치근관을 만드는 것과 동일한 노고가 드는 치근관 밀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 단계를 포함한 치근관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 치근관에 접근하는 단계;
⒝ 광증감제를 치근관에 유입시키는 단계;
⒞ 치근관 내의 광학섬유를 통해 치근관 벽을 레이저광에 노출시켜 광증감제를 활성화시켜 치근관 내의 박테리아를 치사시키는 단계; 및
⒟ 치근관을 밀봉하는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치근관을 개방시켜 줄질이나 리이밍하여 썩은 부분을 제거한다. 치근관을 세척하는 한가지 편리한 방법은 기구를 홈이패인 뾰쪽한 터널을 형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와 직경이 점점 커지는 팁과 비슷한 일련의 기구를 이용한다. 이들 기구는 수동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종래의 회전식 치과용 핸드피스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치근관 형성단계 중 및 후, 치근관의 내부와 벽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면서 생성된 파편을 흡입하여 제거하거나 용해시킨다. 통상적으로, 농도 2-3%의 수성 치아염소산염 나트륨 용액을 사용한다. 이들 용액은 단단한 파편을 제거하거나 박테리아를 치사시키는 조직제거 과정중에 상당량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먼저 파편을 제거하는데 치아염소산염 나트륨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 또는 초기 파편을 제거하고 치아염소산염 용액을 부은 후 광증감제 수용액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는 치근관에 광증감제 염료를 도입시키는 것이다. 광증감제는 수용액에 톨루이딘 블루 염료를 부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EP 0637976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광증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염료나 기타 광증감제는 박테리아와 접촉하자마자 박테리아와 결합하고, 일단 감광반응이 일어나면, 광증감제에 강력히 흡수되는 특정 파장의 빛을 그 부분에 조사한다. 이 파장은 각각의 광증감제의 흡광에 특이적이다. 염료가 활성화되어 하나의 산소가 방출되면 박테리아가 치사된다. 박테리아로 오염될 수 있는 부분 가까이 빛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광 가이드나 광학섬유를 치근관내로 도입함으로써 가장 잘 실시된다. 빛을 치근관 벽에 조사하려면 광학섬유 팁은 적절한 형태를 가져야 한다. 광학섬유 말초부분를 구형이나 원통형으로 한다. 이런 형태의 팁의 생성은 미국특허 제5,073,402호에 기재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경화된 상태에서 투명하면서도 경화를 일으키는 파장의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에 광학섬유 말초부분를 접촉시켜 팁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적절한 광경화성 조성물은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리에트를 포함한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있다. 이런 조성물은 α-디케톤(캄포로퀴논),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메틸-피-톨루이딘 등의 광화학적 개시제 및 자유 라디칼 발생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르게는, "Ternary photoinitiator system for curing Epoxy/polyol compositions"란 명칭의 PCT/US98/04458과 "Ternary photoinitiator system for curing epoxy resins"란 명칭의 미국특허 6,043,295에 기재된 바와 같은 광중합 에폭시수지로 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스미스의 미국특허 4,256,868, 하야세의 미국특허 4,835,193, 팔래조소 일행의 미국특허 5,545,676, 네커 일행의 WO95/14716에 설명된 에폭사이드를 함유하는 광중합 조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팁에 TiO2 등의 백색안료를 약 1-2 중량%까지 소량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학섬유를 통해 전송된 빛에 산란효과가 생겨 치근관 벽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 미국특허 5,073,402에 기재된 바와 같은 광경화성 조성물 용기에 광학섬유팁을 담궈 등방성 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팁의 형태는 중합 조성물을 함유한 튜브 등의 몰드에 광학섬유 팁을 삽입하여 원통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EE)이나 실리콘을 선택하여 몰드를 형성하면, 광경화 수지를 중합한 뒤 몰드를 쉽게 벗겨낼 수 있다. 관형 몰드를 이용해 원통형 팁을 만들 수도 있다. 상기 미국특허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해 구형 팁을 제조할 수도 있다. 광학섬유는 그 강도와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피복과 유리 코어를 갖는다. 적절한 피복재로는 폴리아미드나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재료가 좋다. 팁을 형성하기 전에, 섬유 단부에서 피복을 벗겨낸다. 이 를 위해, 화염이나 강산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 제거되어 깨끗한 단부를 광중합 수지용액 조성물 용기에 담그고, 광학섬유를 흐르는 빛을 이용해 "연질 경화된" 배형 수지 방울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 상기 용기에서 팁을 꺼낸 다음 더 높은 강도로 광학섬유에 빛을 통과시켜 방울을 경화시킨다. 이 팁에서 피복을 벗겨 수지 방울을 코어와 피복 둘다에 부착시킨다. 경화중에, 불활성 기체나 파라핀 오일 등의 액체에 담궈 연질경화된 수지 방울을 무산소 분위기로 유지한다.
광증감제로 치근관을 처리하고 빛을 조사한 뒤, 흡입 및 흡수 포인트를 사용하여 치근관을 건조시킨다. 이어, 적절한 밀봉 시스템을 이용해 치근관을 밀봉한다. 이는 밀봉제로 경화되는 구타페리카 또는 은 또는 티타늄 포인트 등의 종래의 밀봉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예로는, 산화아연/유제놀 및 수산화 칼슘 기제 세멘트 및 에폭시 수지 등을 포함한다. 종래의 밀봉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구타페리카를 채택한 시스템이 편리할 수도 있다. 한가지 적절한 방법은 가열 연화된 형태의 구타페리카를 봉 형태의 캐리어로 치근관 안으로 삽입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유럽특허출원 제0337024호에 기재되어 있다. 비슷한 방법이 미국특허 제5149268호에도 기재되어 있다.
다르게는, 광경화성 충전 조성물로 치근관을 밀봉할 수도 있다. 광경화성 조성물은 본래의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특정 파장의 광을 치근관 안에 위치한 광학섬유를 통해 조사하여 경화될 수 있다. 광학섬유의 말초부분에는 빛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팁을 별도로 부착하거나, 치근관 안으로 광을 조사하여 광증감제를 활성화시키는 광학섬유 자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광증감제를 활성화시키지 않고 밀봉제를 경화시키는 다른 파장의 빛을 사용해야 할 때도 있다. 충전재를 경화시킨 후, 밀봉제의 일부로서 치근관 안에 광학섬유를 묻어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치근관 치료 키트를 또한 포함한다.
⒜ 유동성 광증감제;
⒝ 팁 이 치근관의 끝부분에 닿을 수 있도록 치근관 안으로 삽입하기에 적합하고 빛을 조사하는 말초부분을 갖고, 발광수단과 인접하여 연결될 수 있는 광학섬유; 및
⒞ 치근관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수단.
본 발명에 있어서, 밀봉수단은 유동성, 광경화성 충전 조성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광증감제 및 광증감제를 활성화하기에 적절한 파장에서 작동하는 광원을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근관 단부 또는 그 부근까지 광증감제를 전달하여 파편과 박테리아에 접촉시키는 전달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근 부분에 적절한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학섬유에 구형이나 원통형 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근 부근에 균일한 빛을 조사하기 위한 형태의 광학적 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새로운 밀봉제나 충전제를 제공함으로써, 치근관이 공동이나 단부 구멍을 통해 재감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봉재나 충전재는 새로운 전달시스템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고속 치과용 드릴을 이용해 치수강과 치근관의 치관 부분에 접근한다. 다르게는, 레이저를 이용해 치근관 통로와 치수강을 노출시킬 수도 있다. 방사선을 이용해 또는 전기광학적 탐지장치를 이용해 치근관길이를 추정한 후 치근관을 리이밍하여 치근관 개구부를 넓힌다. 이어, 치근관을 수성 치아염소산염이나 광증감제 등으로 세척한다. 이는 미세팁형 주사기나 후술할 특별한 디스펜싱 기구를 이용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Gooden의 1976, 2:2571, Chow J.Endodont 1983 9.47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광증감제를 치근관 안으로 주입할 때 난류가 발생할 수 있다. 치근단에 세척액이 잘 닿도록 안쪽으로 뾰쪽한 치근관을 만듬으로써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적절한 기구의 사용은 이를 촉진시킨다.
광증감제를 치근관 안으로 유입시킨 후, 특정 광원으로부터의 광학섬유를 통해 전될된 빛을 이용해 광증감제를 활성화시킨다. 적용된 파장은 광증감제의 흡수 스펙트럼에 따라 다르다. 흡수파장이 최대 630-660㎚인 톨루이딘 블루 O를 광증감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레이저, 갈륨/비소 및 헬륨/네온 레이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레이저광은 연속적이거나 펄스형일 수 있다. 레이저광을 좁은 표적에 집중시키기 보다는 치근관내에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발견했다. 이를 달성하는 한가지 방법은, 특정 형태의 팁이 달린 광학섬유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 팁은 구형의 등방성 팁일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원통형 곡면을 갖는 말초부분를 제공하는 것이다. 광산란부의 직경을 광학섬유보다 크게 하거나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탐침부 부분에 걸쳐 광학섬유의 내부반사형 외피를 벗겨내거나 내부 반사부가 없는 소정 형태의 연장부를 만들어 광산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코팅을 형성할 때 필요한 부분에 내부 반사코팅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런 팁을 형성하는 한 방법이 미국특허 제5,073,402호에 기재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광산란 말단팁은 광학섬유 일단부에 경화성 광투과 조성물을 성형하거나 주조하여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다. 중합조성물에 광학섬유를 담근 다음 접착성 방울을 비혼화성 불활성 액체로 지지하면서 경화시키면 구형 팁을 형성할 수 있다. 경화시키기에 적절한 파장의 빛을 광학섬유를 따라 흐르게 하면 경화가 이루어진다. 적절한 중합 조성물은 적절한 밀봉재로서 후술하는 것을 포함하여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 조성물들을 포함한다. 중합성 재료내에 안료가 5중량%까지 분산되어 있는 광산란재를 함유하여 치근관에 대한 조사 균일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화된 팁은 염료를 감지하도록 선택된 파장의 빛에 투과될 것이다.
광학섬유 단부를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거나 주조하여 다른 형상의 팁을 형성할 수도 있다
광증감제
파편과 박테리아와 접촉되도록 광증감제를 함유한 액체나 겔을 배치하여 치근관의 내측면을 소독하는데 광증감제나 염료를 사용한다. 이어, 광증감제에 흡수되는 적절한 파장의 빛으로 치근관 내부를 조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광증감제와 레이저를 동시에 사용하여,
⒜ 감염된 치아의 치근관에 먼저 접근한 뒤 또는 치근관을 밀봉하기 전에 치근관을 소독하거나 살균하고,
⒝ 재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치근관 내면의 충치균을 살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증감제는 대개 소정 농도에서 표적 세균이나 그 주변 조직에 비독성이다. 그러나, 광증감제가 세균에 비독성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노출시간이 짧기 때문에, 주변조직에 약간의 독성이 있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된 광증감제는 가시광선의 적색 가장자리 또는 그보다 더 긴 파장에서 흡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파장은 치근관을 둘러싼 치아조직에서 더 큰 침투력을 갖는다.
치근관 병소에 관련된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효과적인 것이 바람직한 광증감제이다. 치근관 감염부에서 발견된 일반적인 형태의 박테리아는 조건 혐기성 미생물 및 절대 무산소성 미생물을 포함하고 Lewes MAO, Mcfarlane TW, Mcgowan DAJ Medical Microbilogy 21:101:1986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박테리아는 Streptococcus milleri와 Actinomyces naeslundi를 포함한 조건 혐기성 미생물(Facultative Anaerobes), Bacteroides gingivalis, Bacteroides melaninigenicus, Bacteroides oralis, Peptococcus species, Peptostreptoccus를 포함한 절대 무산소성 미생물(Strict Anaerobes)을 포함한다. 이러한 박테로이드형 박테리아는 Porphyromonas [gingivalis 및 endodontalis]와 Prevotella [melaninogenica 및 intermedia]로 구분된다. 이들 박테리아가 감염된 치근관에 존재하거나 부적절한 세척 이후에도 존재하면 재감염되고 고통이 따라 불편해진다. 광증감제의 기능은 박테리아에 결합하여 레이저광과 작용하여 단일 산소를 방출시키는데 있다. 광증감제로는 현재 톨루이딘 블루 O가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알루미늄 디설포네이티드 프탈로시아닌 클로리드, 메틸렌 불루 또는 아주르 블루 클로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염료는 특정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치근관내의 세균에는 특정될 수도 있다.
레이저
광개시제의 농도 및 레이저 전력은 최대 조직 침투 및 치사율을 제공한다. 염료의 농도는 0.00001-2%이고, 현재 바람직한 농도는 0.0001-0.2%이고, 더 바람직한 농도는 0.001-0.1%이다.
광증감제에 대한 레이저 조사 시간은 10분에서 2분 사이가 바람직하지만, 30초에서 90초 사이가 더 바람직하다.
레이저 전력은 25-150㎽가 바람직하지만, 약 80㎽가 가장 바람직하다. 레이저 전력/노출시간의 조합은 원하는 양에 따라 가변적이다.
광증감제 용액의 농도는 외인성 유체의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를 보충하도록 그 농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경질조직의 표면을 변형시키고 광증감제가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광증감제 용액의 보조제로서 강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는바, 이들 강화제는 감광용액보다 미리 또는 나중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보조제의 예로는 다음과 같다.
- pH4.5 이상의 용액을 생성하는 산
- 유기/무기 파편에 침투하여 제거하기 위한 산
- HEMA(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글루타르알데히드와 같은 습윤제
- EDTA 디소듐 형 킬레이트제와 같은 탈염제
이런 재료로는 시트르산, 폴리알케노산, 폴리포스폰산, 인산, EDTA, HEMA,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기타 산이 있다. EDTA와 시트르산은 광증감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박테리아 치사율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들 보조제의 경우에는 감광처리 전후에 사용되어야 하며, 감광처리 전에 처리부분을 세척액으로 씻어내야 한다. 인산, 특히 pH 4.5 이상으로 완충된 인산은 감광처리와 동시에 사용되었을 때 박테리아 치사율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물질들은 감광처리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자유라디칼과 단일 산소 제거물질의 사용은 피해야만 한다.
광증감제는 주사기나 단위량 투입장치로 주입되고, 이들 주사기나 투입장치는 15mm 길이의 말초부분 끝 부분을 따라 천공되어 있는 얇고 유연한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된 튜브는 최대 직경이 0.1mm로서 치근관 벽에 닿지 않고 치근관에 삽입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치근관의 제3 정점(치근단에 가장 가까운 정점) 내부에 있고, 치근관 벽에 닿지 않으면서 정점 가까이 있다. 이어, 단위량 카트리지 등의 염료를 튜브를 통해 주입하여 치근관 벽면 전체를 코팅한다. 이어, 단위량 주사기와 튜브를 제거하고 상기 섬유를 적절한 광원에 연결하여 치근관내로 삽입한다. 광증감제 염료는 광원에 의해 활성화된다.
충전재 또는 밀봉재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술한 전달시스템을 통해 광증감제와 함께 유체 밀봉제를 주입하는데 있다. 이 밀봉제는 치근관 벽면을 코팅하고 정점 부분까지 이어진 튜브나 주사기 팁을 통해 치근관을 채우면서 치근관에서 공기를 제거한다. 이어, 등방성 팁이 달린 광학섬유를 통해 가시광을 이용해 밀봉제를 경화시킨다.
이런 밀봉제로는 PCT/GB92/02128, PCT/GB98/00072, 미국특허 제5,172,763호 및 제5,063,257호에서 상아질 접착제로서 개시된 바와 같이 수지일 수 있으며, 하기 특허 및 특허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치아 접착 및 충전재로 이용되는 다른 경화성 수지 시스템이 있다.
EP 0356868 WO97/00065
GB 2107341 UK 1488403
US 5520725 US 4627097
US 1428165 US 4001483
박테리아 살균후의 밀봉은 근관치료기술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이는 박테리아 재감염을 최소화한다. 이는 또한 기존의 치아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재료는 도포되기에 적당히 가변적인 점도를 갖는 것이다. 바람직한 점도는 0.33-1340cP이다. 치아 대체물로서 사용될 때, 점도는 물의 점도와 유사하며 80-170 Mpa에서 중합 후의 굴곡강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중합 과정중 그 체적은 0.5-4.5% 축소된다. 밀봉제는 도포되기에 적절한 점도 범위를 갖는 수지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밀봉제로는, 전술한 특허에 기재된 바와 같은 디메타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수지 구조는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UDMA), 비스페놀-A-글리시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 및 30-90중량%의 테트라히드로퍼퓨릴 메타크릴레이트(THFMA)를 함유한 THFMA의 혼합물이다. 이들은 다양한 비율로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조성은 THFMA 50%, UDMA33%, BisGMA 17%이다.
상기 물질은 화학적으로 중합되거나 특정 파장의 빛에 의해 중합된다.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한 밀봉재는 약 450-470㎚의 파장을 갖는 빛에 의해 일반적으로 경화된다.
외부 에너지(열, 빛 등)의 부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 냉각 경화 개시제 시스템으로는 개시제로서의 벤조일 퍼옥사이드와 같은 물질 및 활성제로서의 N,N-디메틸-p-톨루이딘이 있다.
바람직한 광활성 시스템으로는 캄포퀴논 및 아민을 포함한 것이 있다. 다른 활성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개시제가 적절량 있어야만 적절한 수준의 변환이 가능하다. 이들 개시제는 통상 모노머 혼합물의 0.1-12 중량% 존재하고,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 존재한다.
산화방지제, UV 억제제와 중합 억제제를 이용한 안정화제, 안료, 항균제와 같은 치료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금속 이온등의 기타 의약품 등의 혼합물에 각종 첨가제를 혼합할 수도 있다.
졸-겔 유리와 같은 다른 물질을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전달되는 밀봉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유용한 밀봉재로는, PCT/US98/04458 및 미국특허 6,043,295에 기재된 것과 같은 광중합 에폭시 수지가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밀봉재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치근관을 밀봉하는 것이다. 치근관 벽과 밀봉재 사이에 밀봉제로 작용하는 치근관 밀봉제로는 구타페리카가 있다. 그 특성으로 인해 구타페리카는 치근관 벽에 압착될 수 있다. 구타페리카는 치근관의 형상에 잘 맞는다. 구타페리카는 상하 좌우로 압축되어 냉간 또는 열간 수축된다. 열연화 및 열변형을 포함한 다른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따듯한 구타페리카를 주입할 수도 있다. "Thermafil"이란 이름으로 Tulsa Dental CO.에 의해 제시된 기술을 이용해 치근관을 밀봉할 수도 있다. 이 기술에서는 구타페리카를 플라스틱핀 둘레에 형성하고, 구타페리카를 가열하고 핀과 구타페리카를 치근관 안으로 삽입한 다음, 플라스틱핀에 압력을 가하여 연질 재료를 치근관 벽의 구멍으로 삽입한다.
본 발명의 큰 장점은 치근관내의 광증감제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재감염의 위험을 확실히 없애는데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치근관에서 시작하는 측면통로로 광증감제를 흡수하고 레이저광이 상당한 두께의 상아질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다음은 근관감염에 관련되는 세균에 대한 PDT 기술의 효과에 대한 실험결과이다.
⑴ 표적 박테리아
근관감염에 아주 다양한 박테리아가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종류는 다음과 같다:
펩토스트렙토코쿠스 마이크로스(Peptostreptococcus micros),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Prevotella intermidia), 스트렙토코쿠스 인터메디움(Streptococcus intermedium), 스트렙토코쿠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
⑵ 실험방법
이 실험의 목적은 PDT가 표적세균을 실질적으로 치사시킬 수 있는 가를 판단하는데 있다. 성공의 기준은 임상적으로 허용가능한 농도의 톨루이딘 블루 O(TBO)의 존재하에 낮은 광량으로 모든 표적 세균을 치사시키는 것이다.
두가지 중요한 실험 변수로서 TBO 농도와 광에너지량을 선택했다. 이들 변수의 치사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정량분석을 이용했다.
기본 실험계획은 다음과 같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혐기성세균 캐비넷내의 37℃의 까다로운 혐기성세균 액체배지내에서 24-48시간 동안 표적 세균을 배양했다. 이어, 0.85%(w/v) 식염수내의 세균의 현탁액 30㎕ 동분량을 96-웰의 둥근 바닥의 마이크로-적정판의 웰로 옮기고 동일량의 TBO 식염수(0.85% w/v) 용액을 각 웰에 부가했다. 광학섬유 팁을 현탁액에 담근 다음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나온 빛에 두개의 웰을 필요한 시간동안 노출시킨다. TBO 대신 세균 현탁액과 0.85%(w/v) 식염수를 함유한 대조용 웰들을 동일하게 처리하여 박테리아 생존에 미치는 파장 640nm의 레이저광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마찬가지로, 다른 4개의 웰들을 준비하여 어두운 곳에 유지했다. 따라서, TBO의 박테리아 생존에 대한 영향만을 확인했다. 웰에 적절하게 조사한 후, 각 웰들의 내용물을 살균 배양액에서 연속 희석하고 50㎕씩 혈액배양판 표면에 펴발랐다다. 7일동안 37℃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혐기 배양한 후 세포군수를 계산했다.
이상의 방법을 이용해 혐기성세균에 대해 다음 결과를 얻었다.
레이저전력 80㎽; 노출시간 30초
염료 농도(㎍/mL) 세균 초기 cfu 박테리아 치사율(%) 평균
20 Streptococcus intermedius 1.46E8 4.90E10 99.914 99.6 99.386
20 Peptostreptococcus micros 3.23E8 1.94E9 99.901 99.38 98.865
20 Fusobacterium nucleatum 6.98E6 99.959
레이저전력 80㎽; 노출시간 60초
염료 농도(㎍/mL) 세균 초기 cfu 박테리아 치사율(%) 평균
10 Streptococcus intermedius 2.85E8 3.56E8 99.9997 99.998 99.9958
20 Peptostreptococcus micros 2.45E9 2.49E8 99.999 99.998 99.996
20 Fusobacterium nucleatum 1.32E7 1.57E7 99.934 99.998 99.841
식염수 현탁액에서의 스트렙토코쿠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의 치사적 감광처리.
소정 농도범위의 톨루이딘 블루 O(TBO)를 이용해 실험을 했다. 이 농도의 TBO를 스트렙토코쿠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의 식염수 현탁액에 주입한 다음 첨부 도면에 도시된 레이저장비를 이용해 조사했다. 소정 범위의 출력밀도와 노출시간을 측정했다. 노출시간과 레이저 전력밀도의 세부 사항과 평가된 염료농도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파장은 640㎚였다.
염료 농도(㎍/mL) 염료/박테리아 현탁액 체적(μL)) 레이저전력(㎽) 노출시간(초)
50 200 80 30
50 200 48 30
50 200 15 30
50 200 80 60
50 200 48 60
50 200 15 60
50 200 15 90
20 200 80 30
20 200 15 30
20 200 80 60
20 200 15 90
20 200 15 60
20 50 40 10
20 50 40 20
20 50 40 30
5 50 40 20
5 50 40 50
5 50 40 80
증류수를 이용해 각 경우마다 염료용액을 새로 만들었다. 먼저, 스트렙토코쿠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의 식염수 현탁액 100㎕를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의 마이크로 웰에 부가했다. 이들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 NCTC 10449로부터 유도되었고 108 내지 109 클로니 형성 유니트(cfu; colony forming units) 범위의 박테리아 농도를 갖도록 현탁액을 만들었다. 이들의 광학적 밀도는 약 0.10이다. 나머지 실험을 위해 이 용액을 부드럽게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100㎕의 TBO나 식염수를 부가했다. 식염수는 조절제로 기능한다. 염료를 첨가한 지 30초 후에 등방성 탐침을 현탁액에 담그고 표 3에 제시된 노출시간/출력밀도의 범위에서 조사하였다.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상의 각 웰의 바닥 둘레를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처리중인 웰 부근의 웰에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도록 하였다.
조사 후, 각 웰내의 생존 개체수를 트립톤 간장배양기에서 계산했다. 마이크로웰에서 100㎕의 액체를 제거하여 점차로 10배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현탁액을 트립톤 간장 배양 플레이트에서 24시간동안 배양했다. 이어, 플레이트를 50-300cfu의 클로니 형성 유니트 밀도에 따라 선택하고 샘플 전체에 걸쳐 생존 박테리아를 검사했다.
결과
레이저출력 노출시간과 염료농도의 각각 다른 조합으로 소정 범위의 치사량을 얻었다. 이는, 소정의 레이저전력/노출시간/염료농도에서 필요한 치사량을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중 임상적으로 이용하기에 적절한 조합이 있다.
제 1상:
기준값으로서 30초의 노출시간을 임의로 설정했다. 레이저 전력은 80㎽와 15㎽로 선택했다. 상아질에 침투하도록 설정된 값으로 염료농도를 고정했다.
4가지 단계의 결과가 아래와 같다.
노출시간 30초
단계 1: 염료농도와 레이저전력 모두 최대
염료농도(㎍/mL) 레이저전력(㎽) 초기 cfu 박테리아 치사율(%) 평균
50 80 E9-E10 93.11 89.71 86.32
이 노출시간에서는 치사율은 상당히 높지만 전체 치사율이 99.9%까지는 안됨을 알 수 있다.
단계 2: 염료농도와 레이저전력 모두 최저
염료농도(㎍/mL) 레이저전력(㎽) 초기 cfu 박테리아 치사율(%) 평균
20 15 1.1E9 0 20.0 40.0
레이저전력이 최저이고 염료농도가 낮으면 적절한 치사율을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단계 3: 염료농도 최저, 레이저전력 최대
염료농도(㎍/mL) 레이저전력(㎽) 초기 cfu 박테리아 치사율(%) 평균
20 80 E9-E10 99.99 99.99 99.99
이 레이저전력과 염료농도에서는 필요한 치사율을 얻을 수 있었다.
단계 4: 염료농도 최대, 레이저출력 최소
염료농도(㎍/mL) 레이저전력(㎽) 초기 cfu 박테리아 치사율(%) 평균
50 15 2.1E10 2.8E9 0 7.05 14.1
염료농도가 최대이고 레이저전력이 최소이면 치사율이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염료농도가 최저이고 레이저전력이 최대이면 성공적인 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이 레이저전력에서 염료농도를 증가되면 치사율이 감소되었다. 이로부터, 최대 염료농도는 필요한 농도를 초과했고 농도가 낮을수록 결과가 좋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단계 2 및 4에서 확인되었는 바, 치사율이 매우 높지 않았지만 염료 농도를 높일수록 치사율이 낮아졌다.
노출시간과 레이저 에너지를 달리 하면서 실험을 하여 효과적이라고 증명된 조합 범위를 설정했다. 그 결과들을 노출시간을 증가시키면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노출시간: 10초
염료농도(㎍/mL) 레이저전력(㎽) 초기 cfu 박테리아 치사율(%) 평균
50 40 2.6E7 20.23 36.34 52.45
이 상태는 사용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예상된 치사율의 증가가 불충분하다고 판단되어 더 낮은 염료농도에서는 반복하지 않고 노출시간을 증가시켰다.
노출시간: 20초
염료농도(㎍/mL) 레이저전력(㎽) 초기 cfu 박테리아 치사율(%) 평균
5 40 1.7E7 1.1E8 0 30.1 60.3
20 40 3.0E7 1.8E7 79.36 81.1 82.90
20초의 노출시간에서는 치사율이 상당히 높았다. 20㎍/㎕의 염료농도에서는 치사율이 80%이었다.
노출시간: 50초
염료농도(㎍/mL) 레이저전력(㎽) 초기 cfu 박테리아 치사율(%) 평균
5 40 7.1E7 1.3E8 80.43 87.14 89.85
염료농도와 레이저전력을 낮게 유지하면서 노출시간을 50초까지 연장시켰다. 모두 치사되지는 않았지만 치사율은 높아졌다. 이는, 5㎍/㎕의 낮은 염료농도가 이용가능한 최저 농도임을 의미한다. 전체 박테리아를 치사시키려면 레이저전력을 높이고 노출시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
노출시간: 60초
염료농도(㎍/mL) 레이저전력(㎽) 초기 cfu 박테리아 치사율(%) 평균
20 15 1.2E9 1.1E9 86.32 52.29 18.26
20 80 E9-E10 99.99 99.99 99.99
50 15 1.3E9 2.8E9 12.0 12.16 12.32
50 48 2.3E10 1.3E9 99.76 99.78 99.8
50 80 E9-E10 99.99 99.99 99.99
소정 범위의 레이저출력과 염료농도에서 노출시간을 60초까지 연장시켰을 때 치사율이 올라갔음이 밝혀졌다. 109의 영역에서 성공적인 치사율을 얻기 위한 최소 레이저전력은 이 노출시간에서 45㎽였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광학섬유와 팁이 치근관내에 위치한 상태의 치아의 종단면도;
도 2는 광학섬유의 확대단면도;
도 2a는 광증감제를 치근관으로 삽입하기 위한 광학섬유, 팁 및 튜브가 구비된 치과용 핸드피스의 개략도;
도 3은 치근관에 광증감제 용액을 투입하기 위한 단일 용량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치과용 핸드피스에 연결된 레이저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화살표 X 방향에서 본 도면;
도 6은 EDTA의 탈염화에 의한 충치 상아질의 광투과량 증가의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
먼저 치아(1)에 구멍을 뚫어 감염된 치근관(3)의 통로(2)에 접근하고, 종래의 기구를 이용해 치근관을 드러내고 깎아냈다. 파편을 흡입하거나, 치아염소산염으로 치근관을 세척한 다음 물을 세척하였다. 다음, 도 2a, 3에 도시된 1회용 디스펜서나 팁이 경사진 미세팁 주사기를 이용해 희석 수용액(농도 약 20㎍/㎖)내의 톨루이딘 블루 O 등의 광증감제 용액을 치근관에 넣었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디스펜서는 광증감제 용액용 저장소(11)가 그 근위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얇은 도관(10)을 포함한다. 저장소와 도관 사이의 연결부에는 약한 막(12)으로 밀봉된다. 도관으로부터 용액이 빠져나올 수 있는 작은 구멍들(13)이 도관 말초부분에 천공되어 있다. 사용시, 도관 말초부분이 치근관 끝에 가까워질 때까지 도관을 치근관에 삽입한다. 저장소(11)를 눌러, 막(12)을 찢어 광증감제를 말초부분과 구멍들(13)을 통해 흐르게 함으로써 광증감제를 치근관 안으로 배출시켰다. 이들 구멍(13)은 치근관 벽면이 광증감제 용액으로 젖게한다. 광증감제는 치근관과 계속 접촉하여 약 20-40초내에 치근관내의 박테리아에 흡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디스펜서를 제거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근관(3)에 광학섬유(20)를 삽입하고 파장 약 630-640㎚의 레이저광을 치근관 안으로 유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섬유 말단에는 직경 약 800㎛의 투명 구형 팁(21)이 형성된다. 이 팁(21)은 광학섬유를 통과한 빛을 확산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고, 팁(21)에서 나온 빛을 치근관내에서 상하좌우로 균등하게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치근관 내부를 조사하면서 단계적으로나 연속적으로 치근관에 광학섬유의 팁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치근관 끝까지 팁을 삽입한 다음 치근관을 조사하면서 조금씩 후퇴시킬 수도 있다. 이는 팁 크기와 비슷한 표지를 광학섬유 표면에 새기면 용이해 질 것이다. 시술자는 이들 표지를 이용해 팁을 조금씩 후퇴시켜, 전체 치근관에 걸쳐 광증감제를 조사할 수 있다. 구형 팁이 달린 광학섬유 대신, 말초부분가 원통형인 광학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직경 약 200-500㎛, 바람직하게는 200-300㎛, 길이 3㎜의 원통형 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구형 팁과 비슷한 면적을 갖는다.
광학섬유의 직경은 약 200-800㎛, 바람직하게는 200-500㎛이다. 이 광학섬유를 플라스틱이나 금속의 외관으로 보호하고, 팁을 외측 보호관에서 돌출시킬 수 있다. 외측 보호관을 테이퍼형 치근관과 동일하게 테이퍼형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a에는 도 1, 2, 3에 도시된 시스템의 개량형이 도시되어 있다. 핸드피스(42)에는 등방성 팁(5)이 달린 "플러그-인" 광학섬유(4)가 있다. 이 광학섬유는 핸드피스(42)에 스냅식으로 삽입되고 핸드피스를 통해 컨솔(41)의 광원에 광학적으로 연결된다. 광학섬유는 중공 튜브(6)로 감싸인다. 핸드피스 안에는 저장소 (7,8)가 있고, 각 저장소는 광증감제 염료 및 밀봉 조성물로 채워진다. 저장소는 이송튜브 (9,10)를 통해 튜브(6)에 연결된다. 이들 저장소는 압축 가능한 주머니로서, 이 주머니를 누르면 염료나 액체수지가 튜브(6) 안으로 분출되어 치근관(2)으로 주입된다. 이들 저장소, 광학섬유팁 및 튜브는 1회용이 바람직하다.
광학섬유가 달린 치과용 핸드피스와 레이저컨솔의 개량형이 도 4,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치과용 핸드피스(42)에 연결된 레이저 하우징(41)의 사시도이다. 환자의 구강 안으로 삽입될 핸드피스 부분에 광학섬유(43)가 고정된다. 이 광학섬유 (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방성 팁이 달린 1회용 "플러그-인" 요소이다. 하우징 (41)에는 레이저 발생기가 들어 있고, 이 레이저발생기의 출력은 핸드피스내의 가요성 광학섬유에 연결된다. 하우징(41)에는 두개의 레이저 광원이 수납될 수 있는바, 하나는 광증감처리용으로 파장 670㎚의 레이저광을 발사하고, 다른 하나는 수지 밀봉제 경화용 레이저광을 발사할 수 있다. 각각의 레이저광원에서 나온 빛을 팁(43)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광 가이드와 분광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광증감처리를 한 뒤 광학섬유 팁을 교체하고 새로운 팁을 핸드피스에 끼워 수지 밀봉제를 경화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치료기간중 레이저 파워를 프로그램하기 위한 터치스크린(46)을 구비한 제어판(45)을 보여준다. 편의상, 이 장치는 휴대용이고 충전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치근관 내부를 확실히 살균하기에 충분한 기간(대개 40-80㎽의 레이저 전력에서 30초 내지 1분동안 레이저광을 광증감제에 조사한 후, 광학섬유를 제거한다.
이때 치근관에서 광증감제를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치근관에 밀봉액이나 충전 조성물을 넣는다. 이를위해, 도 2a에 도시된 단위 용량 디스펜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도 2a에 도시된 광학섬유를 치근관에 삽입하고 광학섬유에 빛을 통과시켜 밀봉액을 경화시킨다. 이는 치근관을 밀봉하여 재감염을 방지한다. 밀봉제내에 바륨이나 스트론튬 염, 플루오르화물 등의 방사선 불투과성 충전재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 아민 플루오르화물을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광학섬유 돌출부를 잘라내고, 접근 구멍을 아말감이나 유리이온 수지 등의 통상의 치아 충전재로 충전한다.
제거된 치아에서 절삭된 상아질 조각으로 실험한 결과, 감광처리 이전에 EDTA 등의 탈염용액으로 치근관을 예비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0.1 몰 수용액의 EDTA 등으로 짧게 예비처리해도, 레이저광이 통과할 수 있는 거리가 상당히 증가한다. 0.1몰 EDTA 또는 다른 탈염용액으로 15초 정도만 상아질을 예비처리해도 광투과 깊이와 염료 침투 깊이가 상당히 증가된다. 이는 중요한 발견으로서, 치과의사가 치료된 치아의 치근관에서 시작한 통로내의 박테리아를 확실히 치사시킬 수 있게 한다. 광투과 및 염료 흡수에 대한 탈염처리 효과는 도 6에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탈염 첨가제의 효과는 최대 탈염화 부위가 우식증 병반에 영향을 받는 상아질의 경계까지만 연장된다는 점에서 자체-제한적이다.
한편, EPA 0337024나 USA5149268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봉형 캐리어에 지지된 구타페리카(gutta percha) 충전물로 살균된 치근관을 밀봉할 수도 있다.

Claims (3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a)박테리아에 의해 흡수되는 유동성 광증감제;
    (b)치근관(2) 주변 및 치근관을 따라 광 조사가 퍼지도록 형상화된 팁(5,21)이 말초부분에 형성되어 있고,상기 팁이 치근관의 정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치근관에 삽입되기에 적절하며,광증감제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레이저광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41)과 인접하게 연결될 수 있는 광학섬유(4,20)를 포함하는 치근관 살균 키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치근관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이 유동성의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12. 제 10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13. 제 10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이 봉 형태의 지지부 위에서 지지되는 구타 페리카(gutta percha)를 포함하는 키트.
  14. 제 10항에 있어서, 밀봉 수단이 구타페리카,은 또는 티타늄 포인트의 예비성형 플러그를 포함하는 키트.
  15. 제 9항 내지 제 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증감제가 수성 염료인 키트.
  16. 제 15항에 있어서, 광증감제가 톨루디엔 블루 O, 알루미늄 디설폰이티드 프탈로시아닌 클로라이드, 메틸렌 블루 또는 아주르 블루 클로라이드인 키트.
  17. 제 15항에 있어서, 광증감제가 톨루이딘 블루 O 인 키트.
  18. 제15항에 있어서,염료의 농도가 0.00001 내지 2%인 키트.
  19. 제 15항에 있어서,염료의 농도가 0.001 내지 0.2 %인 키트.
  20. 제 15항에 있어서, 염료의 농도가 0.01 내지 0.1%인 키트.
  21. 제 9항 내지 제 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성 광증감제가 광증감제를 치근관 안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전달 튜브(9,10)을 포함하는 카트리지(7,11)에 들어 있는 키트.
  22. 제 9항 내지 제 1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 섬유의 말초 부분이 분산된 안료를 5중량 % 함유하는 투명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23. 제 9항 내지 제 1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광학 섬유의 말초 부분이 광학 섬유의 말단에 광 경화성 중합 조성물을 중합시켜 형성된 키트.
  24. 제9항 내지 제1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광학 섬유(4,20)가 등방성 팁(5,21)을 갖는 키트.
  25. 제 24항에 있어서, 광학 섬유의 팁이 200 내지 500㎛의 직경을 갖는 키트.
  26. 제 24항에 있어서, 광학 섬유의 팁이 200 내지 300㎛의 직경을 갖는 키트.
  27. 제 24항에 있어서,광학 섬유의 팁이 200 내지 800㎛의 직경을 갖는 키트.
  28. 제 24항에 있어서, 광학 섬유의 팁이 200 내지 500㎛의 직경을 갖는 키트.
  29. 제 9항 내지 제 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증감제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키트.
  30. 제 29항에 있어서, 레이저가 25 내지 150mW의 전력을 갖는 키트.
  31. 제 29항에 있어서, 레이저가 40 내지 80mW의 전력을 갖는 키트.
KR1020017015601A 1999-06-04 2000-06-02 치근관의 충전방법 및 장치 KR100756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13100.5A GB9913100D0 (en) 1999-06-04 1999-06-04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dental root canal
GB9913100.5 1999-06-04
GB0000882.1 2000-01-14
GB0000882A GB0000882D0 (en) 2000-01-14 2000-01-14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dental root canal
GB0000886A GB0000886D0 (en) 2000-01-14 2000-01-14 Polymerisable resin compositions for use in dentistry
GB0000886.1 2000-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591A KR20020012591A (ko) 2002-02-16
KR100756090B1 true KR100756090B1 (ko) 2007-09-05

Family

ID=6940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601A KR100756090B1 (ko) 1999-06-04 2000-06-02 치근관의 충전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8111A1 (en) * 2016-03-22 2020-09-16 DENTSPLY SIRONA Inc. Method and arrangement for cleaning of a ca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7976A1 (en) * 1992-04-30 1995-02-15 Inst Of Dental Surgery LASER TREATMENT.
KR19980024782A (ko) * 1996-09-20 1998-07-06 마쓰오 히로또 치과용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치과용 광경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7976A1 (en) * 1992-04-30 1995-02-15 Inst Of Dental Surgery LASER TREATMENT.
KR19980024782A (ko) * 1996-09-20 1998-07-06 마쓰오 히로또 치과용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치과용 광경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591A (ko) 200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609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 dental root canal
US20180256455A1 (en) Activated micro-bubble based root canal disinfection system
US7090497B1 (en) Method of periodontal laser treatment
US20090042171A1 (en) Fluid controllable laser endodontic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US20070072153A1 (en) Photo-sterilization
JP2008507327A (ja) 歯科的用途のための音響光力学的治療
AU7739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dental caries
Dostálová et al. Endodontic treatment with application of Er: YAG laser waveguide radiation disinfection
KR100756090B1 (ko) 치근관의 충전방법 및 장치
US11813368B2 (en) Anti-microbial blue light systems and methods
Bolhari et al. Effect of SWEEPS and PIPS techniques on dye extrusion in photodynamic therapy procedure after root canal preparation
de Paula Eduardo et al. The use of lasers for endodontic applicationsin dentistry
George et al. Laser-assisted endodontics
RU2178320C1 (ru) Способ фотополимеризации светоотверждаемых пломбировочных адгезивных материалов
Komine et al. The smear layer removal effect of hydroxyl radicals generated from hydrogen peroxide irradiated with 405-nm LED light
George et al. Laser-Assisted Endodontics
Haskiyal et al. Evaluation of efficacy of photodynamic disinfection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and compare it with the effect of different endodontic irrigant activation techniques.
Meire Application of lasers in cleaning, disinfection and sealing of root canals: an in vitro study
George Middle infrared lasers for endodontic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