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97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nam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nam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976B1
KR100755976B1 KR1020060084308A KR20060084308A KR100755976B1 KR 100755976 B1 KR100755976 B1 KR 100755976B1 KR 1020060084308 A KR1020060084308 A KR 1020060084308A KR 20060084308 A KR20060084308 A KR 20060084308A KR 100755976 B1 KR100755976 B1 KR 100755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multimedi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완
권성근
강창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9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broadcast or relay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etting up a data name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part are provided to extra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the ID of a gap filler and appoint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as the name of multimedia data. In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reating multimedia data, a control part judges whether the user inputs a storage request signal for the multimedia data through an input part(S601,S603). If the storage request signal is inputted, the control part transmits a DMB function activation signal to a DMB receiving part and executes a DMB receiving function(S605). The DMB receiving part accesses a gap filler and receives pilot channel information from the gap filler(S607). The control part completes the DMB receiving function(S609). The control part analyzes the received pilot channel information and extracts the ID of the gap filler(S611). The control part extracts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gap filler ID from a location information DB(S613). The control part appoints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as the name of the multimedia data and stores the multimedia data in a storage part(S615).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명칭 설정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NAM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ER}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ata name in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METHOD AND APPARATUS FOR NAM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280)로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pilot channel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2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명을 위치정보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 4 is a diagram for a method of setting a data name of multimedia data a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명을 위치정보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도면, 그리고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data name of multimedia data as location informa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명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방법의 화면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embodiment of a method of storing data names of multimedia data us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명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 name of multimedia data.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예컨대, 동영상, 뮤직비디오 등)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탑재기술이 발달하고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최근에는 카메라, 엠피쓰리 플레이어, 녹음기 및 디지털 방송 재생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emory mounting technology that can store a large amount of multimedia data (e.g., video, music video, etc.) and the proliferation of portable terminals, recently, portable terminals with cameras, MP3 players, recorders, and digital broadcasting playback functions Users who have a trend to increase day by day.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에서는 영상 및 음성과 같은 여러 가지 종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A portable terminal having such a function can generate various kinds of multimedia data such as video and audio.

그런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장 시, 데이터명의 초기값은 '00001.gif' 또는 'V-Cam001.mpeg', '0003.mp3' 와 같이 고정적이다. 따라서 많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목만으로는 어떤 내용인지 판단할 수 없고, 일일이 파일을 열어서 프리뷰(Preview) 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when storing the multimedia data, the initial value of the data name is fixed as '00001.gif', 'V-Cam001.mpeg', or '0003.mp3'. Therefore, when a lot of multimedia data is stored,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at content only by the title,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open and preview the file one by one.

그리고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명칭을 일일이 지정하여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많은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name of the multimedia data to be stored by the user must be specified, there is a lot of troubl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그래서 종래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명을 지피에스 위성이나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명으로 설정하는 방법이 있었다. Therefore,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method of se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lculated using the multimedia data name using GPS satellite or base station information as the multimedia data name.

하지만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별도로 지피에스 수신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when calcul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GPS satellit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provided with a GPS receiver separately.

그리고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 별다른 외부장치나 프로그램 없이도 가능하다. 하지만 기지국의 전파도달 반경을 하나의 셀로 정하고, 해당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위치를 통해 대략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오차범위가 커서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external device or program in the portable terminal. However, since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propagation radius of the base station as one cell and estimating the approximat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adio wave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ccuracy range is larg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중계기의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위치정보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명칭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ra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of the repeater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extracted pos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be set as a name of multimedia data as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명칭 설정 방법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저장 요청신호의 입력이 있을 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디지털 방송데이터 수신기능을 실행하여 중계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중계기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위치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이름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은 생성 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저장 요청신호의 입력이 있을 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디지털 방송데이터 수신기능을 휴대용 단말기 내부적으로 실행하는 단계와, 중계기로부터 파일럿 채널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디지털 방송데이터 수신기능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파일럿 채널정보에서 중계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중계기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위치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이름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ata name sett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storage request signal for generating generated multimedia data is input, When there is an input, executing the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ing function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extrac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repeater, and extracting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under the name of the multimedia data.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storage request signal of the generated multimedia data is input, and when the storage request signal is input, executing the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ing function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nternally in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including pilot channel information from the repeater, terminating the digital broadcast data receiving function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from the received pilot channel information. And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and storing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under the name of the multimedia dat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명칭 설정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카메라부와,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상기 영상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생성신호 및 상기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요청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요청 시,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실행하여 중계기로부터 파일럿 채널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상기 중계기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요청신호 입력 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동하고, 상기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파일럿 채널정보로부터 중계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저장부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 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명으로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ata name sett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for capturing a subject and receiving image data, and processing audio data requested by a user. A processing unit,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generation signal of the multimedia data us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and a storage request signal of the generated multimedia data, and executing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when the storage request of the multimedia data is executed, and executing a pilot from a repeater.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including channel information, a storage unit for matching and sto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and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when the storage request signal for the multimedia data is input. Sphere receiver And extracting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data, extra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from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ing the extracted repeater posi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inputting the multimedia data name.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디지털 방송 중계기 중에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이하 'DMB'라고 칭함) 중계기(갭필러)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위성 DMB 중계기의 식별정보 외에도 지상파 DMB 중계기 및 디지털 방송 중계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방법의 실시 예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peater (gap filler) among digital broadcasting repeaters will be described. Shall b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alculating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restrial DMB repeater and the digital broadcasting repeater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atellite DMB repeat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성 DMB 시스템은 방송국(100),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200),중계기(갭필러,Gap Filler)(300),디지털 방송 위성(400) 및 프로그램 공급자(500)를 포함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atellite DMB system includes a broadcasting station 100, a portable terminal 200 including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 repeater (gap filler) 300, a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400, and a program provider 500. do.

상기 방송국(100)은 프로그램 공급자(5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뮤직비디오, 드라마 등 각종 방송 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방송 위성(400)으로 송출한다. The broadcasting station 100 generates various broadcasting signals such as moving pictures, music videos, dramas, etc. received from the program provider 500 and transmits them to the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400.

디지털 방송 위성(400)은 방송국(100)으로부터 송출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상으로 송신한다. The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400 receive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100 and transmits it to the ground.

중계기(갭필러)(300)는 디지털 방송 위성으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특정 영역(예컨대, 파일럿 채널정보)에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삽입한 후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는 중계기(갭필러)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정보로서 모든 중계기(갭필러)가 각기 다른 값을 가진다. The repeater (gap filler) 300 receive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from a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inserts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nto a specific region (eg, pilot channel information) of the receiv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and then repeats the repeate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ta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s output.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s unique information possessed by each repeater (gap filler), and all repeaters (gap fillers) have different values.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디지털 방송 위성(400) 또는 중계기(갭필러)(300)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이하 DMB라고 칭함)데이터를 수신한다.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중계기(갭필러)(300)로부터 수신된 DMB데이터에 포함된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정보를 알려준다. The portable terminal 200 including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receive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B) data from the digital broadcasting satellite 400 or the repeater (gap filler) 300. In particular, the portable terminal 200 informs the inform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located by using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ncluded in the DMB data received from the repeater (gap filler) 300.

이를 위해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DMB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해 일정간격(예를 들면, 500m~2km)으로 설치된 중계기(갭필러)의 식별정보(아이디)별로 그 중계기(갭필러)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20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To this end, the portable terminal 200 including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has a repeater (ID)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a repeater (gap fill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500 m to 2 km) to relay DMB data transmitted from satellites. It is desirable to match and stor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gap filler is installed.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200 includ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is illustrated in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카메라부(240), 영상처리부(250), 오디오 처리부(260), 저장부(270),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n input unit 220, a display unit 230, a camera unit 240, an image processor 250, an audio processor 260, and a storage unit. 270,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and a controller 290.

통신부(2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즉,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 수신신호로 처리하여 제어부(290)로 전송하고, 제어부(290)에서 수신되는 송신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다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210 processes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intermediate frequency recep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90,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90 to the other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send.

입력부(22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290)로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입력부(22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신호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작성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UI Command)를 입력받아 제어부(290)로 전달한다. The input unit 220 may be formed of a keypad including a touch screen or various function keys, numeric keys, special keys, text keys, and the like, inputted by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90.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and a user command (UI Command) for creating multimedia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290.

표시부(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90)의 제어를 받아 입력부(220), 카메라부(240), 오디오 처리부(260),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특히 표시부(230)는 제어부(290)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30)는 제어부(29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명 설정화면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230 may be configured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90, the display unit 230, the camera unit 240, the audio processor 260, and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may be used.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the multimedia data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29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the data name setting screen of the multimedia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90.

카메라부(240)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부(240)는 제어부(290)가 영상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제어부(290)로 전달한다. The camera unit 240 captures an image, and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In this case, a CCD (Charge Coupled Device) sensor is generally applied to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24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control unit 290 so that the control unit 290 can generate the image multimedia data.

영상처리부(250)는 카메라부(240)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신호를 표시부(230)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대응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250)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23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신호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 신호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신호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or 250 processes the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24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characteristics and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23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25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signa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signal to the original frame image signal. .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오디오 처리부(26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260) 사용자로부터 마이크(262)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261)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된 음성데이터와 오디오파일(예를 들면, MP3)를 포함한다. The audio processor 260 may include a codec, and the codec may include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260 converts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62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stored audio data through the speaker 261. The audio data includes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an audio file (for example, MP3).

저장부(270)는 중계기(갭필러)별로 부여된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에 상기 중계기(갭필러)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별 위치정보 DB구조의 예는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storage unit 270 stores position information on a position where the repeater (gap filler) is installed in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assigned to each repeater (gap filler) in the form of a database (DB). An examp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DB structure for each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표 1> TABLE 1

Figure 112006063524268-pat00001
Figure 112006063524268-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가 'A00000001'인 중계기(갭필러)는 '강남'이라는 위치정보에 매칭되어 있고,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가 'A00000002'인 중계기(갭필러)는 '역삼'이라는 위치정보에 매칭되고,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가 'A00000003'인 중계기(갭필러)는 '선릉'이라는 위치정보에 매칭되어 있다.  Referring to <Table 1>, the repeater (gap filler) whos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s 'A00000001' is match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Gangnam', and the repeater whos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s 'A00000002' ( The gap filler) is matched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Yeoksam', and the repeater (gap filler) whos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s 'A00000003' is matched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Seonreung'.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별 위치정보 DB는 외부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270)에 저장하거나, 수신한 상기 DB를 사용자가 편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별 위치정보 DB를 직접 작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o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70, or the user may edit and store the received DB. And the user can directly create the lo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는 제어부(290)로부터 전달된 DMB 수신 기능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DMB 수신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는 파일럿 채널정보가 포함된 DMB 데이터를 중계기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290)에 포함된 위치정보 추출부(293)로 전달한다. Th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unit 280 executes the DMB receiving function in response to the DMB receiving function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290.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receives the DMB data including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from the repeater and transmits the DMB data to 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or 293 included in the controller 290.

제어부(29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29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어(UI Command)에 의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상기 카메라부(240)와 오디오 처리부(260)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어(UI Command)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생성부(291)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2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UI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290 generates the multimedia data by the user command (UI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220, the image data and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240 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260 The generation unit 291 is included.

그리고 제어부(290)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로부터 수신한 DMB데이터에 포함된 파일럿 채널 정보로부터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추출하는 중계기 식별정보 추출부(29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중계기 식별정보 추출부(292)는 상기 파일럿 채널 정보 중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필드(즉, 갭필러 아이디의 저장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그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ler 290 includes a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92 for extracting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from pilot channe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MB data received from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To this e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92 stores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field (ie, the storage location of the gap filler ID) information among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and repea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using the field information. Is preferably detected.

또한 제어부(290)는 상기 추출한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부(270)의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별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293)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9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93 to extract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extracted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of the storage unit 270. .

그리고 제어부(290)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생성부(291)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명을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293)가 위치정보로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270)에 저장한다. The controller 290 stores the data name of the multimedia data generated by the multimedia data generator 291 in the storage unit 270 by se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or 293 as the location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280)로 전달되는 파일럿 채널 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0과 도 320에서 볼 수 있듯이, 하나의 파일럿 채널 프레임은 32비트의 파일롯 심볼(PS)과 32비트의 위성 방송 제어 데이터(D1 ~ D51)가 교번하여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320). 그리고 하나의 파일럿 채널 프레임(도 a)이 6개가 합쳐져서 하나의 수퍼 프레임을 구성한다(310).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pilot channel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2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S. 310 and 320, one pilot channel frame is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32-bit pilot symbols PS and 32-bit satellite broadcast control data D1 to D51 are alternately arranged (320). One pilot channel frame (FIG. A) is combined to form one super frame (310).

상기 320을 참조하면, 현재 ITU-R BO.1130-4 권고안에서의 파일럿 심볼은 데이터가 모두 '1'이고, 파일럿 채널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성 방송 제어 데이터(D1 ~ D51) 중 'D1'은 유니크(Unique) 워드를 나타내고, 'D2'는 프레임 동기를 위한 프레임 카운터(Frame Counter)를 나타낸다. 그리고 'D3 ~ D50'은 방송채널에 대한 제어 데이터이고, 'D51'은 예비(reserve) 제어 데이터 공간으로 데이터가 실려 있지 않다. Referring to 320, the pilot symbols in the current ITU-R BO.1130-4 recommendation data are all '1', and 'D1' of the satellite broadcast control data D1 to D51 included in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It represents a unique word and 'D2' represents a frame counter for frame synchronization. In addition, 'D3 to D50' are control data for the broadcast channel, and 'D51' is a reserved control data space in which data is not loaded.

따라서 중계기(갭필러)는 상기 방송채널 제어 데이터 영역(D3~D50)중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영역에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저장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260)로 전달한다. 통상적으로 중계기(갭필러)는 상기와 같은 DMB 데이터의 방송채널 제어 데이터 영역 중 'D3'의 상위 4바이트(bytes)를 이용하여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부가한다. Therefore, the repeater (gap filler) stores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n an area where data is not stored in the broadcast channel control data areas D3 to D50 and transmits it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260. In general, a repeater (gap filler) adds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using upper 4 bytes of 'D3' in the broadcasting channel control data area of the DMB data.

도면부호 330을 참조하면, D3의 데이터 패킷 포맷은 플래그(FLAG) 필드와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에 대한 상세정보를 나타내는 헤더(HEADWE)필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정보 및 중계기(갭필러)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메시 지(MESSAGE) 필드 및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에서 수신된 상기 헤더 필드의 정보와 상기 메시지 필드의 정보의 정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씨알씨(CRC) 필드를 포함하는 페이로드(PAYLOAD) 필드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330, the data packet format of D3 includes a header field indicating detailed information on a flag (FLAG) field and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network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a repeater (gap filler). Payload (PAYLOAD) including a message field indicating a message field and a CRC field for checking whether the information of the header field received from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and the information of the message field are correct. It consists of fields.

여기서 상기 헤더(Header)필드는 상기 메시지(MESSAGE)의 메시지 타입을 알려주는 타입(TYPE)필드, 중계기 식별정보(GAP FILLER ID)필드, 상기 타입(TYPE)필드에서 분할된 패킷이 최종 패킷임을 알려 주는 프레그 앤드(FRAG END) 필드 및 상기 메시지 필드의 길이정보를 나타내는 랭스(LENGTH) 필드로 구성된다. Herein, the header field indicates that a packet divided from a type field indicating a message type of the message, a re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eld, and a type field is a final packet. The note consists of a FRAG END field and a LENGTH field indicating length information of the message field.

따라서 도 2의 제어부(260)는 이와 같이 DMB 파일럿 채널 정보로부터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가 DMB 데이터의 파일럿 채널 정보에 어느 방송 제어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그 영역(예컨대, D3)에서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60 of FIG. 2 stores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n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of the DMB data in a broadcast control data area in order to detect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from the DMB pilot channel inform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s detected in the area (eg, D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명을 위치정보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data name of multimedia data a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 및 도4를 참고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 중(S401)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부(290)는 상기 생성 중인 데이터의 저장요청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3). First, referring to FIGS. 2 and 4, in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ing multimedia data (S401), the controller 290 determines whether a storage request signal for the generated data has bee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20. (S403).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사진, 동영상, 음성데이터와 상기 사진, 동영상,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문서파일을 포함한다. The multimedia data includes a picture, a video, voice data, and a document file including the picture, video, and voice data.

상기 S403단계의 판단결과 저장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90)는 기본 데이터명이 표시된 데이터명 입력창을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한다(S405).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3 is input to the storage request signal, the controller 290 displays the data name input window on which the basic data nam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S405).

상기 데이터명 입력창에 표시된 기본 데이터 명은 예컨데, '00001.gif' 또는 'V-Cam001.mpeg', '0003.mp3' 과 같이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순으로 설정되는 일반적인 데이터명이다. The basic data name displayed on the data name input window is, for example, '00001.gif', 'V-Cam001.mpeg', or '0003.mp3'. Generally, the general data set in the order of storing specific multimedia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People.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표시된 기본 데이터명 외 사용자가 임의대로 설정한 새로운 사용자 입력 데이터명 사용의 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7). Thereafter, the controller 290 determines whether a request signal for using a new user input data name set by the user other than the displayed basic data name is input (S407).

상기 도면부호 S407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 명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90)는 상기 표시부(230)에 표시된 기본 데이터 명으로 저장한다(S417).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7, when a signal not to use the user input data name is input, the control unit 290 stores the basic data nam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0 in operation S417.

그리고 상기 도면부호 S407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 명을 사용하겠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 명을 위치정보로 대체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11).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7, when a signal to use the user input data name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a signal for requesting replacement of the data name with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S411).

상기 대체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90)는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중계하는 중계기(갭필러)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S413). 도면부호 S413 단계의 위치정보 추출단계는 하기 도 5의 도면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When the replacement request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290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of a repeater (gap filler) currently relaying the portable terminal (S413). 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step S41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of FIG. 5.

그런 다음 제어부(290)는 상기 추출한 위치정보를 데이터 명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부(270)에 저장한다(S415). Then, the control unit 290 stores the multimedia data in the storage unit 270 using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as the data name (S415).

상기 도면부호 S415 단계에서 위치정보를 데이터 명으로 저장할 때, 사용자 의 요청에 의하여 추출된 위치정보를 편집하여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면부호 S415 단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강아지 사진을 촬영하여 저장하려고 한다. 이때, 사진에 대한 데이터명이 위치정보가 '역삼'이 추출됐을 경우, 사용자가 임의대로 '강아지'라는 특정 단어를 추가하여 '역삼강아지'로 '강아지'라는 단어를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s a data name in step S415, 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user's request may be edited and stored. Referring to step S415 as an example, the user tries to take a picture of the dog and store it. In this case, when the data name of the picture is extract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Yeoksam', the user may arbitrarily add a specific word of 'dog' and add the word 'dog' as 'Yeoksam'. .

상기 도면부호 S407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새로운 데이터 명을 사용한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9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명으로 상기 저장 요청한 파일을 저장한다(S409).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7,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new data name is used is input, the controller 290 stores the file for which the storage is requested as the data nam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20 (S409).

도 5는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얻기 위해서, 제어부(29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로 DMB 수신 기능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DMB기능을 실행한다(S501).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DMB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데이터 생성 및 저장을 위해 멀티태스킹(Multi Tasking) 기능이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MB 수신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적으로 구동하며,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irst, in order to obtain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the controller 290 transmits the DMB reception function driving signal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to execute the DMB function (S501). The portable terminal preferably supports a multi tasking function for generating and storing DMB reception and multimedia data. The DMB reception function is driven internall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preferably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도면부호 S501 단계의 수행결과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는 중계기(갭필러)와 연결되고, 중계기(갭필러)로부터 파일럿 채널정보를 수신(S503)한다.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 S501,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is connected to a repeater (gap filler) and receives pilot channel information from the repeater (gap filler) (S503).

그리고 제어부(290)는 상기 도면부호 S501 단계에서 실행했던 DMB 수신기능을 종료한다(S504). The control unit 290 ends the DMB receiving function performed in step S501 (S504).

제어부(290)는 수신한 파일럿 채널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파일럿 채널 정보를 송신한 중계기(갭필러)의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추출한다(S505). The control unit 290 analyzes the received pilot channel information and extracts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of the repeater (gap filler) that has transmitted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S505).

그리고 제어부(290)는 상기 S505 과정에서 추출한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에 대응된 위치정보가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별 위치정보 DB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9). The controller 290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extracted in step S505 exists in the lo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S509).

판단결과 존재하면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별 위치정보 DB로부터 상기 추출한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추출(S517)하고 도 4의 S413 단계로 복귀한다. If the determination result exists,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re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s extract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S517),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13 of FIG. 4.

상기 도면부호 S509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추출한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에 대응된 위치정보가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별 위치정보 DB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추출한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에 사용자가 임의로 정한 위치정보의 추가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11). If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s not present in the lo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the extracted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an additional request sign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user is input (S511).

판단결과, 추가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해 위치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3). 상기 판단결과, 위치정보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290)는 상기 S505 단계에서 추출한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에 상기 입력된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S515).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additional request signal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20 from the user (S51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the controller 290 matches and stores the input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extracted in the step S505 (S515).

그리고 제어부(290)는 상기 저장한 위치정보를 추출(S517)하고 도 4의 S413 단계로 복귀한다. The controller 290 extracts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S517) and returns to step S413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명을 위치정보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data name of multimedia data a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 6은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요청신호 입력 시 중계기(갭필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명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In particular,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data name of the multimedia data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epeater (gap filler) when a storage request signal of the multimedia data generated by a user is input.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 중(S601)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부(290)는 상기 생성중인 데이터의 저장요청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하여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3). In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ing multimedia data (S601), the controller 290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request signal for the generated data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20 (S603).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사진, 동영상, 음성데이터와 상기 사진, 동영상,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문서파일을 포함한다. The multimedia data includes a picture, a video, voice data, and a document file including the picture, video, and voice data.

상기 S603단계의 판단결과 저장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9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로 DMB 기능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DMB 수신 기능을 실행한다(S605).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DMB 수신 기능과 멀티미디어 데이터 생성 및 저장을 위해 멀티태스킹(Multi Tasking) 기능이 지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MB 수신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적으로 구동하며, 표시부(230)에 표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03, when the storage request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290 transmits the DMB function driving signal to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to execute the DMB receiving function (S605). The portable terminal preferably supports a multi tasking function for generating and storing DMB reception and multimedia data. The DMB reception function is internally driven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0.

그러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280)는 중계기(갭필러)와 연결되고, 중계기(갭필러)로부터 파일럿 채널정보를 수신(S607)한다. Then,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280 is connected to a repeater (gap filler) and receives pilot channel information from the repeater (gap filler) (S607).

그리고 제어부(290)는 상기 도면부호 S501 단계에서 실행했던 DMB 수신 기능을 종료한다(S609). The control unit 290 ends the DMB receiving function performed in step S501 (S609).

제어부(290)는 수신한 파일럿 채널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파일럿 채널 정보를 송신한 중계기(갭필러)의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추출한다(S611). The control unit 290 analyzes the received pilot channel information and extracts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of the repeater (gap filler) that has transmitted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S611).

그리고 제어부(290)는 상기 S605 과정에서 추출한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에 대응된 위치정보가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별 위치정보 DB에 서 추출한다(S613). The control unit 290 extracts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extracted in step S605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DB for each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S613).

그런 다음 제어부(290)는 상기 추출한 위치정보를 데이터 명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부(270)에 저장한다(S615). Then, the control unit 290 stores the multimedia data in the storage unit 270 using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as the data name (S615).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명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방법의 화면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영상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데이터 명을 설정하는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embodiment of a method of storing data names of multimedia data us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n embodiment of setting a data name of video multimedia data among multimedia data will be described.

도 7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피사체인 강아지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저장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휴대용 단말기는 도 702에서 보듯이 기본 데이터 명(예를 들면, '0001.gif')이 표시된 창을 팝업(Pop Up)창에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701, a user photographs a dog as a subject with a camera, and inputs a storage signal to store the captured image multimedia data. Then, as shown in FIG. 702,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 window displaying a basic data name (for example, '0001.gif') on a pop up window.

상기 '0001.gif'이 표시된 팝업(Pop Up)창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키를 누르면(702),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0001.gif'의 데이터 명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메뉴리스트를 표시한다. 상기 메뉴리스트는 위치정보로 저장하는 '위치정보'와 이모티콘(emoticon)으로 저장하는 '이모티콘'의 메뉴리스트를 포함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menu key while the pop-up window displaying '0001.gif' is displayed (702),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 menu list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data name of '0001.gif'. . The menu list includes a menu list of 'location information' stored as location information and 'emoticons' stored as emoticons.

이때 사용자가 데이터명 '0001.gif'을 위치정보로 대체 저장하겠다는 신호를 입력하면(703), 휴대용 단말기는 DMB 방송을 수신하기위해 중계기(갭필러)와 연결한다. 그러면 휴대용 단말기는 파일럿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갭필러)로부터 수신한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inputs a signal to replace the data name '0001.gif' with location information (703),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s with a repeater (gap filler) to receive the DMB broadcast. The portable terminal then receives DMB data including pilot channel information from the repeater (gap filler).

상기 DMB 방송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적으로만 구동하고, DMB 방송 재생창을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는 멀티태스킹(Multi Tasking)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DMB broadcast is driven only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MB broadcast playback window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for this purpose, the portable terminal preferably has a multitasking function.

그러면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DMB 데이터에 포함된 파일럿 채널정보를 분석하고,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추출한다. Then, the portable terminal analyzes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DMB data and extracts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추출한 중계기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에 대응된 위치정보인, '역삼'을 추출하여 데이터 명(예를 들면, '역삼.gif')을 표시부에 표시한다(704). The portable terminal extracts 'Yeoksam', which i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and displays a data name (eg, Yeoksam .gif) on the display unit (704).

상기 도면부호 704에 표시된 위치정보에 사용자가 임의대로 '강아지'라는 특정 단어를 추가(705)하여 '역삼강아지'로 데이터 명을 설정하여 저장한다(706). The user arbitrarily adds a specific word 'doggy'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04 (705), and sets and stores the data name as 'reverse three dogs' (706).

상기 도 7에서 서술한 본 발명의 화면 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영상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명칭을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로 설정하는 실시 예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scree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the video multimedia data is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the multimedia dat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name of the voice multimedia data is set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ppended in the claims.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중계기의 식별정보(갭필러 아이디)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위치정보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명칭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xtra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p filler ID) of the repeater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setting the name of the multimedia data as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Claims (12)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에 있어서, In the multimedia data name sett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etermining whether a storage request signal for generating generated multimedia data is input; 저장 요청신호의 입력이 있을 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디지털 방송데이터 수신기능을 실행하여 중계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When the storage request signal is input, executing the digital broadcast data reception func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상기 수신한 중계기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상기 추출한 위치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이름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 And storing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under the name of the multimedia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ultimedia data is 사진, 동영상,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사진, 동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문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 And a document data including a photo, a video, audio data, and document data including the photo, video, and audio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디지털 방송데이터 수신기능은 The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ing function of claim 1, wherein 내부적으로 실행하며, 상기 중계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후에는, 상기 수신기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 Executing internally and terminating the receiving function afte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xtra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mprises: 상기 중계기로부터 파일럿 채널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including pilot channel information from the repeater; 상기 디지털 방송데이터에 포함된 파일럿 채널 정보에서 중계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repeater from pilot channe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gital broadcast data; 상기 추출한 중계기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중계기 식별정보별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 And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for each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peater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파일럿 채널 정보에 중계기 식별정보를 삽입한 후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 And inserting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portable termin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별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for each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중계기마다 부여되는 중계기 식별정보에 상기 중계기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 And a database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repeater is matched with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for each repeater and stored therei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중계기마다 보유하고 있는 고유한 정보로서 모든 중계기가 각기 다른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 A method of setting a name for multimedia data, in which all repeaters have different values as unique information held for each repe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이름으로 저장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oring of the multimedia data under the name of the multimedia data comprises: 사용자 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편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 And editing and storing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a user.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에 있어서, In the multimedia data name sett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etermining whether a storage request signal for generating generated multimedia data is input; 저장 요청신호의 입력이 있을 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디지털 방송데이터 수신기능을 휴대용 단말기 내부적으로 실행하는 단계; Executing a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ing function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nternally when the storage request signal is input; 중계기로부터 파일럿 채널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digital broadcast data including pilot channel information from a repeater;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디지털 방송데이터 수신기능을 종료하는 단계 Terminating the digital broadcast data reception func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상기 수신한 파일럿 채널정보에서 중계기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from the received pilot channel information; 상기 수신한 중계기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상기 추출한 위치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이름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명 설정 방법. And storing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under the name of the multimedia data.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In a portable terminal,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카메라부; A camera unit photographing a subject to receive image data;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 An audio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audio data requested from a user; 상기 영상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생성신호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요청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generation signal of the multimedia data us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and a storage request signal of the multimedia data;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요청 시,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실행하여 중계기로부터 파일럿 채널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digital broadcast data including pilot channel information from a repeater by executing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when the multimedia data is requested to be stored; 상기 중계기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A storage unit for matching and sto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요청신호 입력 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동하고, 상기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파일럿 채널정보로부터 중계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중계기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명으로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When the storage request signal of the multimedia data is input,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s driven,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ing data,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is based on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the data from the storage unit and inputting the multimedia data name using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파일럿 채널 정보에서 중계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중계기 식별정보 추출부; A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ilot channe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gital broadcast data; 상기 추출하는 중계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And a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re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extracted from the storage uni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카메라부 및 오디오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오디오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데이 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And a multimedia data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multimedia data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by using the image data / audio data input from the camera unit and the audio processor.
KR1020060084308A 2006-09-01 2006-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nam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er KR1007559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08A KR100755976B1 (en) 2006-09-01 2006-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nam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08A KR100755976B1 (en) 2006-09-01 2006-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nam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976B1 true KR100755976B1 (en) 2007-09-06

Family

ID=3873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308A KR100755976B1 (en) 2006-09-01 2006-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nam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97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023A (en) * 2004-12-14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data name in wireless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023A (en) * 2004-12-14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data name in wireless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06-67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0940B1 (en) Methods for sending and receiving video short message, apparatus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1372333B1 (en) Picture transfer between mobile terminal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1702659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syncronizing moving picture contents and e-book contents and system thereof
US8249422B2 (en) Content usage system, content usage method,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content delivery method, and content delivery program
EP246380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ing an augmented reality database
EP1675390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US8245258B2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telephony using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N100518256C (en) Method for displaying wallpaper o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EP1802109A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201300726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ttached file of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US70035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US99362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data
CN102541452A (en) Multimedia input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US20010020247A1 (en) Electronic mail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mail processing system and transmission medium used therein
EP1662790A1 (en) Reception device
KR1007180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 Information classified by Broadcasting Program
KR20030019147A (en) Broadcasting receiving device and broadcasting receiving method
KR1007559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m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data receiver
KR101482736B1 (en) Broadcast receiver to provide a list of recorded files to external devices, Method for providing recorded files,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4769527A (en) Mixed media from multimodal sensors
JP4846674B2 (en) Still image extraction apparatus and still image extraction program
KR1016950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ty service
JP2006352438A (en)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audience information
KR20150064613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3863498B2 (en) VIDEO DISTRIBUTION SERVER DEVICE,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DISTRIBU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