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977B1 -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977B1
KR100754977B1 KR1020070030715A KR20070030715A KR100754977B1 KR 100754977 B1 KR100754977 B1 KR 100754977B1 KR 1020070030715 A KR1020070030715 A KR 1020070030715A KR 20070030715 A KR20070030715 A KR 20070030715A KR 100754977 B1 KR100754977 B1 KR 10075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ircular
construction stone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헌
안태진
지홍기
Original Assignee
(주)리버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버앤텍 filed Critical (주)리버앤텍
Priority to PCT/KR2007/0028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1621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 상세하게는 식물의 자연스러운 생장이 확보되는 하천 보강 구조물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시공석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어 각종 토목구축물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석을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하천의 바닥이나 호안에 접하는 구조물의 맨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형상의 일정 두께로 형성된 판상체의 상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시공석 안착되고, 상기 시공석이 원형돌출부 사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시공석, 호안 보호 구조물, 토목구축물, 하천, 하상저하방지

Description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The assemble of construction stone a fixed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판상체에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판상체가 배열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물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나선돌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물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나선돌출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물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나선돌출부 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물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돌기돌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물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돌기돌출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물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솔부로 구성되어 토사가 뿌려진 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판상체에 구성된 조립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인 직방형 판상체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직방형 판상체 구조물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직방형 판상체 구조물의 배열 조립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원형돌출부 20:판상체
22:홈부 30:고정부재
32:곡선부 34:삽입홈
40:고정핀 42:원형핀돌기
51:고정캡 52:나선돌출부
53:사선면 54:돌기돌출부
56:걸이캡 57:돌기부
60:돌출부 62:사각돌출부
63:반원형체돌출부 64:굴곡돌출부
65:사선돌출부 66:굴곡돌출솔부
68:굴곡솔부 72:솔부
82:끼움돌기 84:끼움홈
86:결합공 91:고정통공
92:직방형 판상체 93:고정다리
94:모서리연결핀 95:중심연결핀
96:원형연결핀 100:고정구조물
본 발명은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호안이나 바닥면의 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설치된 부분을 보강함과 아울 러 식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친환경적인 식생 하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석 고정구조물로서,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시공석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어 각종 토목구축물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석을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 수로 및 도심을 흐르는 하천의 하상보호공, 저수로 비탈면, 도로나 채석장의 절개지 등에는 침식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옹벽, 계단공, 호안 공사 등의 다양한 토목구축물이 시공되는데, 최근에는 자연 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한 자연형 하천 조성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친화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자연석이나 인공석(이하, "시공석"으로 통칭함)을 하상보호공, 호안 구조물, 계단공과 같은 토목구축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도로나 채석장의 절개지 등에는 구조적 안정성과 경관미를 동시에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종래에는 시공석과 시공석 사이에 쇠말뚝 또는 나무말뚝을 지면에 박아 말뚝으로만 시공석을 지지하여 호안을 구성하게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상기 말뚝을 박아 고정하는 공법은 말뚝이 지면에 고정이 어렵고 시공석이 유실될 뿐만 아니라 시공석에 말뚝이 밀리거나 무너지는 경우를 많이 접하게 된다.
이러한, 하천의 호안이나 바닥면 등에는 흐르는 물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고 물의 범람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물이 시설되는데, 최근 들어 자연경관과의 조화 및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하천 조성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하천의 호안에 식생이 가능한 블록을 차곡차곡 쌓아서 설치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블록은 바닥면에는 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호안에만 주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었고, 바닥을 포함한 여러 부위에 자유롭게 시공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시공석을 다양한 형태의 돌망태에 담아서 하천의 바닥이나 호안에 선택적으로 설치한 다음, 복토를 하여 시공석과 시공석 사이의 틈으로 자연스럽게 흙이 메워져 그 부분에 식물이 뿌리를 내려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돌망태의 사용은 근래 들어 시공의 편의성을 위하여 규격화된 사각형 형태의 돌망태를 시공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돌망태를 바닥에 시공하는 경우 바닥 면에 차례로 돌망태를 깔게 되는데, 이 경우 돌망태의 일부 단절에 의해 내부에 넣어둔 시공석이 외부로 흘러나와 구조물이 붕괴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호안에 시공할 경우에는 마치 벽돌을 쌓듯이 돌망태를 쌓아서 시공하는데, 이 경우에는 식생을 위한 복토 또한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돌망태가 훼손되면 전체 구조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더해 규격화된 돌망태를 시공하여야 함에 따라 시공될 부분에 대한 기초작업시 시공될 부분의 넓이와 시공될 돌망태의 개수를 따로 계산 하여 맞추어야 하는 어려움 또한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을 위해 개선되어야할 사항으로서 지적되고 있었다.
한편, 사각형상의 돌망태 외에도 긴 자루 형태의 돌망태에 시공석을 담은 후 이를 차례로 배치하여 구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 또한 돌망태 안에 시공석을 일일이 담아야 하는 불편과 아울러 돌망태를 구성하는 철망 일부분의 단절에 의한 훼손의 우려를 가진 구성인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간편하게 시공석을 하천의 바닥이나 호안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시공이 용이함과 아울러 구조적으로 안정되며, 복토를 통해 자연스러운 식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형태의 제약이 없어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자유롭게 변형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식물의 자연스러운 생장이 확보되는 하천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일정 두께로 형성된 판상체의 상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시공석 안착되고, 상기 시공석이 원형돌출부 사이 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고정구조물(100)은 일정 두께를 가진 판상체(20) 서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조립체로 상기 판상체(20) 상부 내측에 일정간격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형돌출부(10)와 사각형상으로 함몰된 홈부(22)가 가로세로 방향으로 교호하게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형돌출부(10) 중앙에 홈부(22)가 형성된 판상체(20)의 모서리 부분이 내측으로 곡선부(32)로 파진 중심에서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삽입홈(34)을 형성한 고정부재(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판상체(20)가 다수 배열되고 고정부재(30)의 삽입홈(34)에 관 통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핀(4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상체(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는 흡출방지재(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상체(20)가 다수로 조립 배열되면서 모서리부분의 곡선부(32)가 모여 원형을 이루고 상기 원형 중심에 고정부재(30)의 삽입홈(34)이 수직하게 포개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상체(20)의 배열로 고정부재(30)의 삽입홈(34)이 상하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홈(34)에 고정핀(40)이 삽입되어 판상체(20)를 지면(2)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판상체(20)는 고정부재(30)의 삽입홈(34)이 포개지게 결합되어 상기 판상체(20)가 넓게 나열된다.
아울러, 상기 판상체(2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출부(10) 사이에 형성된 홈부(22)에 시공석(6)이 안착되고, 상기 원형돌출부(10)가 시공석(6)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판상체(20)의 고정부재(30)와 다른 판상체(20)의 고정부재(30)가 포개져 수직으로 통공되는 삽입홈(34)에 삽입되는 고정핀(40)은 못 형상으로 축 둘레에 형성된 것으로 탄성을 가진 다수의 원형핀돌기(42)는 원형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삽입은 쉬우나 빠지지 않게 삽입되는 방향으로 기울기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상체(20)를 지면(2)에 고정하는 고정핀(40)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플라스틱이 가지고 있는 일정한 탄성으로 삽입홈(34)에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판상체(20)에 시공석(6)이 위치하여 고정되고 그 위에 토사가 뿌려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판상체(20)에 안착되는 시공석(6)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시공석(6)을 고정하는 판상체(20)에 구성된 원형돌출부(10)의 가로 세로, 간격과 높이를 각 구조 및 현장에 맞게 조정 제작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고정구조물(100)은 상기 판상체(20)의 측면에 형성된 사면에서 상기 판상체(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돌기(82)와, 상기 판상체(20)에서 끼움돌기(82)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에 상기 판상체(2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ㄷ' 형상의 끼움홈(84)과, 상기 판상체(20)의 끼움돌기(82)와 끼움홈(84)에 형성된 통공이 상하로 관통되는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공(86)과, 상기 판상체(2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돌기(82)가 다른 판상체(20)의 끼움홈(84)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결합공(86)에 고정핀(40)이 삽입되어 지면(2)에 박혀 판상체(20)와 판상체(2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판상체(20)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끼움돌기(82)과 끼움홈(84)은 상호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판상체(20)에 구비되는 원형돌출부(10), 고정부재(30)는 폴리에틸렌(PE)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틸렌(PE)이 아닌 다른 합성수지 또는 나무, 금속 등 다른 우수한 다른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판상체에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구조물(100)은 사각형상의 일정두께로 형성하여 서로 결합하는 조립체인 판상체(20)와, 상기 판상체(20)의 상부에 일정간격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형돌출부(10)와, 상기 원형돌출부(10) 사이에 사각형상으로 함몰된 홈부(22)와, 상기 판상체(20)의 모서리 부분이 내측으로 곡선부(32)로 파진 중심에서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삽입홈(34)을 형성한 고정부재(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판상체(20)는 다수로 조립 배열되는 것으로 지형과 전체를 이루는 시공 구조물에 따라 판상체(20)의 크기와 내부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10)와 홈부(22)는 선택적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판상체(20)가 다수로 조립되어 원 형태를 이루는 곡선부(32) 중앙에 고정부재(30)의 삽입홈(34)이 하나의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홈(34)에 고정핀(40)이 삽입되어 판상체(20)를 지면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판상체가 배열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상체(20)의 모서리부분의 곡선부(32)는 원을 사등분한 부체꼴 형상으로 4개의 판상체(20)가 부착되어 고정부재(30)의 삽입홈(34)이 수직으로 포개지게 위치하여 판상체(20)의 곡선부(32)가 전체적으로 원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상체(2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출부(10) 사이에 형성된 홈부(22)에 시공석(6)이 안착되고, 상기 원형돌출부(10)가 시공석(6)을 고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판상체(20)는 상하 ,좌우로 계속해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상체(20)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이 가능한 것으로 꺽이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된 지면에 위치하는 판상체(20)는 크기를 작게 하거나 판상체(20)의 형태를 지면(2) 형태에 맞게 굴곡지게 형성하여 조립한다.
아울러, 상기 판상체(20)에 안착되는 시공석(6)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시공석(6)을 고정하는 판상체(20)에 구성된 원형돌출부(10)의 가로 세로 간격과 높이를 조정 제작하여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상기 판상체(20)의 내부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10) 구성이 작은 공간에서 조립 시에는 가로 세로 2개씩으로 구성하여 판상체(20)와 판상체(20)를 연결 조립한다.
또한, 상기 시공석(6)의 크기에 맞게 간격이 형성되는 원형돌출부(10)의 간 격으로 판상체(20)에 형성되는 홈부(22)의 크기를 조정 제작하여 시공석(6)의 크기에 맞게 홈부(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시공석(6)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구성되면 판상체(20)의 원형돌출부(10)의 간격과 홈부(22)의 크기를 작은 시공석(6)에 맞게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돌출부(10)를 다른 실시 예로 구성한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원형돌출부(10)의 외주연에 나사선 구조로 이루어진 나선돌출부(5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선돌출부(52)의 사이에 시공석(6)이 위치하며, 상기 나선돌출부(52)의 상부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시공석(6)을 밀착 고정하는 것으로 원형 역사다리꼴 형태의 나사선홈부를 구성한 고정캡(51)이 나선돌출부(52)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나선돌출부(52)가 판상체(20)에 수직하게 다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선돌출부(52) 사이 사이에 시공석(6)이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판상체(20)의 나선돌출부(52) 각각에 고정캡(51)이 결합되며 회전으로 나선돌출부(52)에서 상하 이동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물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나선돌출부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물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나선돌출부 시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돌출부(52)에 결합된 고정캡(51)은 시공석(6)의 높낮이에 따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캡(51)이 고정된 나선돌출부(52)를 구성한 판상체(20)의 일측에 다른 판상체(20)가 위치하여 다수 배열로 판상체(20)와 판상체(20)가 부착되어 마주보는 나선돌출부(52)에 결합되는 일측의 고정캡(51)은 원형 역사다이꼴 형태로 체결되며, 타측의 나선돌출부(52)에 결합된 고정캡(51)은 반대의 원형 사다리꼴 형태로 결합되어 서로 반대로 결합된 고정캡(51)의 사선면(53)이 밀착되는 것이다.
아울러, 일측에 위치하는 판상체(20)의 사각 둘레에 위치한 나선돌출부(52)에 결합되는 고정캡(51)은 원형 역사다리꼴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역사다리꼴 형태로 결합된 고정캡(51)을 구비한 판상체(20)의 사방으로 원형 사다리꼴 형태의 고정캡(51)을 구비한 판상체(20)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상기 원형 역사다리꼴 고정캡(51)과 원형 사다리꼴 고정캡(51)이 판상체(20)와 같이 교호하게 위치하여 다수로 배열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형돌출부(10)를 또 다른 실시예로 구성한 것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원형돌출부(10)의 외주연에 하단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게 돌출되어 탄성을 가진 돌기부(57)가 다수 형성된 돌기돌출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돌출부(54)의 사이에 시공석(6)이 위치하며, 상기 돌기돌출부(54)의 상부에서 하단방향으로만 단계적으로 체결되어 시공석(6)을 누름식 고정하는 것으로 원형 사다리꼴 형태의 걸이캡(56)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판상체(20)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기돌출부(54) 사이에 시공석(6)이 위치하여 상기 시공석(6)을 고정하기 위한 원형 사다리꼴 형태의 걸이캡(56)이 결합되어 단계적으로 하단방향으로 결합되어 시공석(6)을 눌러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이캡(56)은 돌기돌출부(54)의 탄성을 가지는 돌기부(57)에 지나면서 하단 방향으로는 이동하지만 다시 상단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돌기돌출부(54)의 돌기부(57)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꼬깔형태로 형성되어 걸이캡(56)이 돌기돌출부(54)에서 하단으로 이동시 걸이캡(56)은 돌기부(57)의 탄성으로 단계적으로 통과하게 되며, 통과한 걸이캡(56)은 돌기부(57)에 의해 상측으로는 이동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돌기돌출부(54)에서 걸이캡(56)이 돌기부(57)를 단계적으로 통과하여 시공석(6)의 높낮이에 따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형돌출부(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10의 (a), (b), (c), (d), (e),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체(20)의 상부에 구성되는 원형돌출부(1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원형돌출부(10)를 사각형상의 기둥인 사각돌출부(62)로 제작되어 시공석(6)을 지지할 수 있으며, 기둥의 형상이 사각형상이 아닌 삼각형, 마름모, 육각형상(미도시)등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원형돌출부(10)의 상단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 기둥 상단에 버섯형상의 반원형체가 형성되어 상단의 반원형체에 의해 시공석(6)을 눌러 고정하는 반원형체돌출부(63)로 구성될 수 있다.{도 5의 (a), (b) 참조}
아울러,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 기둥 상단에 버섯형상의 반원형체를 형성한 반원형돌출부(63)가 'ㄱ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시공석(6)을 내측에서 고정하는 굴곡돌출부(64)를 구비한 고정구조물(100)로 이루어져 시공석(6)을 지지하면서 굴곡지게 형성되어 물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굴곡돌출부(64)로 구성된다.{도 5의 (c) 참조}
또한, 상기 판상체(20)에 구성되어 시공석(6)을 지지하는 돌출부(60)의 반원돌출부(63)가 물의 흐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구성되게 돌출부(60)가 사선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한 사선돌출부(65)가 시공석(6)을 지지하게 제작된다.{도 5의 (d) 참조} 즉,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 기둥 상단에 버섯형상의 반원형체를 형성한 반원형돌출부(63)가 일측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시공석(6)을 고정하는 사선돌출부(65)를 구비한 고정구조물(1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또 다른 형태의 돌출부(60)로 일정높이로는 기둥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고 상기 기둥 상단에서 다수의 내측으로 굴곡을 가지는 굴곡돌출솔부(66)를 형성하여 굴곡돌출솔부(66)들이 시공석(6)을 감싸듯이 형성되어 시공석(6)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 기둥 상단에 솔로 형성되어 다수의 내측으로 굴곡을 가지는 굴곡돌출솔부(66)를 구비한 고정구조물(100)로 이루어진 것이다.
아울러,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판 상체(20)와 일체형의 솔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굴곡을 가지는 굴곡솔부(68)가 제작되고, 이로 인하여 다수의 굴곡솔부(68)가 시공석(6)을 감싸듯이 고정하여 시공석을 고정하게 된다.{도 5의 (e), (f) 참조}
이때, 상기 굴곡솔부(68)와 굴곡돌출솔부(66)에 형성된 솔은 합성수지 재로 제작되어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솔이 뭉쳐있는 것으로 좌우 탄성을 가지는 솔로 제작된다.
여기서, 반원형체돌출부(63), 굴곡돌출부(64), 사선돌출부(65), 굴곡돌출솔부(66), 굴곡솔부(68)를 다른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시공석(6)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솔로도 제작이 가능하여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체(20) 상부 내측에 칫솔형태의 얇은 솔부(72)로만 구성되어 상기 솔부(72)로 구성된 판상체(20)가 조립 나열되어 구조물을 이루고 그 위에 토사로만 뿌려져 호안 구조물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솔부(72)는 일반 칫솔모의 형태로 제작하여 칫솔 형태로 판상체(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재료를 구성한 합성수지로 판상체(20) 상부 위에 가느다란 형상 또는 간격이 매우 협소하고 가느다란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토사가 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판상체(20)와 판상체(20)의 결합관계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일 실시예로서 도 12과 도 13과 같이, 상기 판상체(20)가 사각형 상으로 형성되고, 사각형상의 상기 판상체(20)의 측면에 형성된 사면에서 상기 판상체(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돌기(82)와 상기 판상체(20)에서 끼움돌기(82)가 형성된 측면 부분의 반대 측면에 상기 끼움돌기(82)가 삽입되게 'ㄷ'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끼움홈(84)과 상기 판상체(20)의 끼움돌기(82)와 끼움홈(84)의 상면에 각각 통공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공(86)과 상기 판상체(20)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돌기(82)가 다른 판상체(20)의 끼움홈(84)에 삽입되어 수직선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공(86)에 고정핀(40)이 삽입되어 지면에 박혀 판상체(20)와 판상체(20)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판상체(20)의 끼움돌기(82)와 끼움홈(84)이 서로 결합으로 형성하는 조립체로 상하, 좌우의 결합으로 시공석(6)의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끼움돌기(82)와 끼움홈(84)으로 구성되는 판상체(20)의 내측에 구성되는 돌출부(60)는 앞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원형돌출부(10), 사각돌출부(62), 반원형체돌출부(64), 굴곡돌출솔부(66), 굴곡솔부(68)로 구성하여 제작할 수 있어, 상기 판상체(20)의 내부에 안착되는 시공석(6)을 고정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판상체(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토사의 흡출을 방지하는 흡출방지재(4)가 위치하게 되고 그 위로 사각형상의 판상체(20)가 위치하여 판상체(20)와 판상체(20)가 지면의 형상에 맞게 조립 나열되는 것으로 상기 판상체(2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고정부재(30)의 삽입홈(34)에 다른 판상체(20)의 삽입홈(34)이 위치하여 상기 판상체(20)의 곡선부(32)가 원형체로 구성되고, 사방으로 판상체(20)가 조립되어 나열 된다.
아울러, 다수의 판상체(20)가 배열되어 수직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삽입홈(34)에 고정핀(40)이 삽입되어 판상체(20)를 지면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조립된 판상체(20)의 내부에 구성된 원형돌출부(10) 사이에 형성된 홈부(22)에 시공석(6)을 포설하여 다수의 시공석이 원형돌출부(10) 사이의 홈부(22)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시공석 구조물은 하천의 호안이나 바닥면의 보강을 위해 지면(2)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판상체(20)를 하나의 줄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체(20)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어 제작시 한번에 판상체(20)의 모형이 성형 될 수 있어 제작비가 절감되며, 시공석(6)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이 가능하므로 시공석 구조물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 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체(20)의 구성을 다양화하여 시공석(6)을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인 직방형 판상체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직방형 판상체 구조물의 측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의 직방형 판상체 구조물의 배열 조립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고정캡(51)이 삽입된 나선돌출부(52)를 상단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구성한 직방형 판상체(92)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직방형 판상체(92)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고정통공(91)이 형성되된다.
또한, 상기 직방형 판상체(92)의 고정통공(91) 사이에 시공석(6)이 안착되는 홈부(22)를 형성하여 직방형 판상체(92)와 직방형 판상체(92)가 사방으로 배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직방형 판상체(92)가 배열 조립되어 모아진 고정통공(91)에 삽입되어 직방형 판상체(92)와 직방형 판상체(92)를 원형연결핀(96)으로 연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원형연결핀(96)은 직방형 판상체(92)와 직방형 판상체(92)가 사방으로 배열되어 고정통공(91)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이 모아져 형성된 4개의 고정통공(91)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4개의 고정다리(93)를 형성한 모서리연결핀(94)이 삽입되며, 상기 직방형 판상체(92)와 직방형 판상체(92)가 사방을 배열되어 직방형 판상체(92)의 측면 밀착으로 2개의 고정통공(91)이 모아져 형성된 2개의 고정통공(91)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2개의 고정다리(93)를 형성한 중심연결핀(95)이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직방형 판상체(92)가 배열로 지면에 형성되어 직방형 판상체(92)와 직방형 판상체(92)에 모서리연결핀(94)과 중심연결핀(95)이 고정통공(91)에 맞는 위치에 삽입되어 지면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은 하천의 호안이나 바닥면의 보강을 위해 설치되어 시공석이 설치된 부분을 보강함과 아울러 식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친환경적인 식생 하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석 고정구조물로서,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시공석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어 각종 토목구축물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석을 다양한 패턴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경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9)

  1. 식물의 자연스러운 생장이 확보되는 하천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일정 두께로 형성된 판상체(20)의 상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돌출부(10) 사이에 형성된 홈부(22)에 시공석(6)이 안착되고, 상기 시공석(6)이 원형돌출부(10) 사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의 상부 내측에 일정간격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형돌출부(10)와 사각형상으로 함몰된 홈부(22)가 가로세로 방향으로 교호하게 위치하고, 상기 판상체(20)의 모서리 부분이 곡선부(32)로 형성되며, 상기 곡선부(32) 중심에서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원형 삽입홈(34)을 형성한 고정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가 지면에 사방으로 다수 배열 조립되면서 모서리부분의 곡선부(32)가 원형형상으로 결합되는 원형 중심에 고정부재(30)의 삽 입홈(34)이 수직으로 포개지게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의 배열로 고정부재(30)의 삽입홈(34)들이 상하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홈(34)에 고정핀(40)이 삽입되어 판상체(20)를 지면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40)은 못 형상으로 축 둘레에 원형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을 가진 다수의 원형핀돌기(42)는 삽입홈(34)에 삽입은 쉬우나 빠지지 않게 삽입되는 방향으로 기울기 경사를 가지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에 안착되는 시공석(6)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시공석(6)을 고정하는 판상체(20)에 구성된 원형돌출부(10)의 가로 세로 간격과 높이를 조정 제작하여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석(6)의 크기에 맞도록 간격이 형성되는 원형돌출부(10)의 간격으로 판상체(20)에 형성되는 홈부(22)의 크기를 조정 제작하여 시공석(6)의 크기에 맞는 홈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원형기둥의 외주연에 나사선 구조로 형성되는 나선돌출부(52)와,
    상기 나선돌출부(52)의 사이에 시공석(6)이 위치하며, 상기 나선돌출부(52)의 상부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시공석(6)을 밀착 고정하는 것으로 원형 역사다리 꼴 형태의 나사선 홈을 구성한 고정캡(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51)이 고정된 나선돌출부(52)를 구성한 판상체(20)의 일측에 다른 판상체(20)가 위치하여 다수 배열로 판상체(20)와 판상체(20)가 부착되어 마주보는 나선돌출부(52)에 결합되는 일측의 고정캡(51)은 원형 역사다이꼴 형태로 체결되며, 타측에 결합된 고정캡(51)은 반대의 원형 사다리꼴 형태로 결합되어 서로 반대로 결합된 고정캡의 사선면(53)이 밀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원형기둥의 외주연에 하단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게 돌출된 탄성을 가진 돌기부(57)가 다수 형성된 돌기돌출부(54)와,
    상기 돌기돌출부(54)의 사이에 시공석(6)이 위치하며, 상기 돌기돌출부(57)의 상부에서 하단방향으로만 돌기부(57)를 단계적으로 통과하여 시공석(6)을 누름식 고정하는 것으로 원형 사다리꼴 형태의 걸이캡(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 기둥 상단에 버섯형상의 반원형체를 형성한 반원형돌출부(63)를 구비한 고정구조물(100)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 기둥 상단에 버섯형상의 반원형체를 형성한 반원형돌출부(63)가 'ㄱ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시공석(6)을 내측에서 고정하는 굴곡돌출부(64)를 구비한 고정구조물(100)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 기둥 상단에 버섯형상의 반원형체를 형성한 반원형돌출부(63)가 일측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시공석(6)을 고정하는 사선돌출부(65)를 구비한 고정구조물(100)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원형 기둥 상단에 솔로 형성되어 다수의 내측으로 굴곡을 가지는 굴곡돌출솔부(66)를 구비한 고정구조물(100)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 상단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판상체(20)와 일체형의 솔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굴곡을 가지는 굴곡솔부(68)를 구비한 고정구조물(100)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의 상단 내부에서 촘촘하게 구성되는 칫솔형태의 얇은 솔부(7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솔부(72)로 구성된 판상체(20) 조립 나열된 고정구조물(100) 위에 토사가 뿌려져 호안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0)의 측면에 형성된 사면에서 상기 판상체(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돌기(82)와,
    상기 판상체(20)에서 끼움돌기(82)가 형성된 측면 부분의 반대 측면에 상기 끼움돌기(82)가 삽입되게 'ㄷ'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끼움홈(84)과,
    상기 판상체(20)의 끼움돌기(82)와 끼움홈(84)의 상면에 각각 통공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공(86)과,
    상기 판상체(20)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돌기(82)가 다른 판상체(20)의 끼움홈(84)에 삽입되어 수직선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공(86)에 고정핀(40)이 삽입되어 지면에 박혀 판상체(20)와 판상체(20)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51)이 삽입된 나선돌출부(52)를 상단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구성한 직방형 판상체(92)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고정통공(9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통공(91) 사이에 시공석(6)이 안착되는 홈부(22)를 형성하여 직방형 판상체(92)와 직방형 판상체(92)가 사방으로 배열되어 모아진 고정통공(91)에 삽입되어 직방형 판상체(92)와 직방형 판상체(92)를 연결 고정하는 원형연결핀(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연결핀(96)은 직방형 판상체(92)와 직방형 판상체(92)가 사방으로 배열되어 고정통공(91)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이 모아져 형성된 4개의 고정통공(91)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4개의 고정다리(93)를 형성한 모서리연결핀(94)과,
    상기 직방형 판상체(92)와 직방형 판상체(92)가 사방을 배열되어 직방형 판상체(92)의 측면 밀착으로 2개의 고정통공(91)이 모아져 형성된 2개의 고정통공(91)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2개의 고정다리(93)를 형성한 중심연결핀(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KR1020070030715A 2006-08-01 2007-03-29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KR100754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2819 WO2008016218A1 (en) 2006-08-01 2007-06-12 The assemble of construction stone a fixed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537 2006-08-01
KR20060072537 2006-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977B1 true KR100754977B1 (ko) 2007-09-04

Family

ID=3873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715A KR100754977B1 (ko) 2006-08-01 2007-03-29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23B1 (ko) 2007-11-14 2009-01-0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KR102251559B1 (ko) * 2020-09-23 2021-05-13 서금석 호안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23B1 (ko) 2007-11-14 2009-01-0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KR102251559B1 (ko) * 2020-09-23 2021-05-13 서금석 호안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050B1 (ko) 식생블럭 프레임 및 식생블럭
KR100925886B1 (ko) 생태블록 사방댐.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1394208B1 (ko)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100754977B1 (ko)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KR100645294B1 (ko) 사면용 축조블록
KR20090001728U (ko) 생태 옹벽축조블록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100818794B1 (ko) 하상보호블록
KR101843058B1 (ko) 사면 보호용 친환경 자연석블록 시공구조 및 그 자연석블록 연결방법
KR101331826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200443040Y1 (ko) 자연석형 식생블럭의 설치구조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100607605B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WO2008016218A1 (en) The assemble of construction stone a fixed structure
KR200275387Y1 (ko) 식생옹벽 구조체
KR100877723B1 (ko) 조립식 시공석 고정 구조물
KR100918026B1 (ko) 생태블록 사방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