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731B1 -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menu and characters in message i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menu and characters in message i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731B1
KR100754731B1 KR1020060088495A KR20060088495A KR100754731B1 KR 100754731 B1 KR100754731 B1 KR 100754731B1 KR 1020060088495 A KR1020060088495 A KR 1020060088495A KR 20060088495 A KR20060088495 A KR 20060088495A KR 100754731 B1 KR100754731 B1 KR 10075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editor
message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4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7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7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linking a string contained in a message with a menu in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input a desired string contained in a displayed message, without memorizing or noting down it, and to use it relatively with a specific menu by displaying an editor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string while watching the displayed message. A control part confirms whether an output request for a received message is generated(204). If the output request is made, the control part displays the message on the screen(206). Then the control part confirms whether a request to display an editor to input a string, such as a phone number, contained in the message is generated(208). If the user makes the editor display request, the control part displays the editor on the screen(210). If the user inputs a specific string contained in the message and makes a request to output a list of menus which can be linked with the specific string, the control part displays the menu list(212,214). Then, if a specific menu is selected(216), the control part links the inputted string with the selected menu and execut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218).

Description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MENU AND CHARACTERS IN MESSAGE IN TERMINAL}Method for integrating a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terminal menu in the terminal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MENU AND CHARACTERS IN MESSAGE I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linking a character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terminal menu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3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linking a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terminal menu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과정 수행 중 도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shown during the process of integrating a character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terminal menu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메시지 내용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의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 message content in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nterworking a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menu of a terminal.

최근,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단순한 전화통화뿐만 아니라 전자수첩, 인터넷 등의 부가적 인 기능을 요구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구비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발신 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발신자의 단말기 전화번호를 자신의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다른 단말기로 재전송, 내용 편집,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용을 메모장에 저장하고, 메모 내용을 편집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Recently, as the number of people carrying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reases, user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demand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electronic organizers and the Internet as well as simple telephone calls.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ipped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order to revive the needs of the user. In general,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calling party terminal, the user may store the calling party's terminal phone number in the phonebook of his terminal. The terminal has a function of retransmitting, editing, and deleting the received message to anoth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user. In addition, the terminal has a function of storing the contents input by the user in a memo pad and editing or deleting the memo contents.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저장을 한다거나, 제품번호와 같은 복잡하고 암기하기 어려운 문장을 메모장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저장할 내용을 기억하고 메시지 확인을 위한 화면을 종료한다. 이후, 사용자는 전화번호 저장을 위한 메뉴 또는 메모장과 같은 메뉴를 선택하여 기억한 내용을 입력해야만 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tore a phone number included in a received message content in a phone book, or to store a complicated and difficult-to-memory sentence such as a product number in a memo pad, the user stores the contents to be stored and confirms a message. Exit the screen for. After that, the user had to select a menu such as a phone number storage menu or a memo pad and input the memorized contents.

이와 같이 사용자가 기억한 내용을 다른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과정에서 기억한 내용을 잘못 입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기억한 내용을 단말기에 입력 중 잊어버리게 되면 다시 해당 메시지를 보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여 다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As such, when a user selects a different menu and inputs the memorized contents, the user may incorrectly input the memorized contents. If the user forgets the input of the memorized contents, the user selects a menu to view the message again. This may cause inconvenience to be checked again.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내용을 별도로 사용자가 기억 또는 메모하지 않고도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내용을 다른 메뉴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link a specific content included in a message with another menu without separately storing or memorizing the specific content included in the messag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 입력을 위한 에디터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요구가 있으면, 상기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으면,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리스트에 포함된 메뉴들 중 특정 메뉴 선택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리스트에 포함된 메뉴들 중 특정 메뉴 선택이 있으면, 상기 특정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terworking a character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terminal menu in a terminal, and if the message is displayed on a screen,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editor display request for inputting a character string included in the message. And if there is a request to display the editor, displaying the edito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menu list display request that can be linked to the string input to the editor, and interworking with the string input to the editor. If there is a request for displaying a menu list, displaying a menu list that can be linked to a character string input to the edito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specific menu selection among menus included in the menu list; and One of the menus If there is a selection,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enu is perform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그러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Next, referring to FIG. 1,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interworking with a terminal menu a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FIG.

도 1을 살펴보면, 제어부(100)는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등의 통상적인 단말기의 기능을 처리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출력 요구에 따라 해당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에디터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으면, 메시지에 포함되는 문자열을 입력하기 위한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문자열이 입력되면 에디터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 출력 요구가 있으면,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선택된 메뉴와 연동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00)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하기의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ler 100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and controlling a function of a conventional terminal such as a telephone call or data communicat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n editor display request while the corresponding mess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output request for the received message,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an editor for inputting a string included in the message, and specifies by the user. When a string is entered, it is displayed in the editor.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 menu list that can be linked with the string input to the editor. If the specific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00 links the string input to the editor with the selected menu. Perform the func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RF(Radio Frequency)모듈(102)은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 수신하는데, 베이스밴드처리부(104)를 통해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처리부(104)를 통해 제어부(100)에 제공한다.The RF module 10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nd modulates a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00 through the baseband processor 104 to convert an RF signal into an antenna. And demodulates an RF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provides the demodulated RF signal to the controller 100 through the baseband processor 104.

베이스밴드처리부(104)는 RF모듈(102)과 제어부(100)간에 송, 수신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한다.The baseband processor 104 processes baseband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F module 102 and the controller 100.

메모리부(106)는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전화번호 정보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로 제공된다. 또한, 메모리부(106)는 다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부와 수신된 메시지들, 발신된 메시지들 및 메모 내용들을 저장하 고 있다. 상기한 메시지들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 LMS(Large Message Service), 이메일, OMA(Open Mobile Alliance) 메시지들을 포함한다.The memory unit 106 stores various updatable storage data such as programs, reference data, and phone number information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is provided a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ler 100.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06 stores a phone book includ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received messages, sent messages, and memo contents. The above messages include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short message service (SMS), 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 (EMS), large message service (LMS), email, and open mobile alliance (OMA) messages.

키입력부(108)는 0~9의 숫자 키들과 *, #키, 그리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비하는 여러 가지 기능에 대응되게 메뉴(menu), 선택, 통화, 지움, 전원/종료, 볼륨(volume)조절 등 다수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키입력부(108)는 메시지 디스플레이 시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를 제공한다. 이러한 메시지 디스플레이 중 사용되지 않는 키인 0~9의 숫자키와 *, #키와 같은 특수키를 에디터 디스플레이를 위한 키로 설정할 수도 있다.The key input unit 108 corresponds to menus, selections, calls, deletions, power / ends, and volumes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s 0 to 9, *, # keys,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such as adjustment and provides the control unit 100 with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pressed by the user. In particular, the key input unit 108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 for displaying an editor when displaying a message. Numeric keys of 0 ~ 9 and special keys such as * and # keys, which are not used during the message display, may be set as keys for the editor display.

음성처리부(110)는 전화 통화, 음성 녹음, 음성 출력 등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The voice processor 110 processes a voice signal input or out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phone call, voice recording, voice output,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12)는 각종 화상정보와 수신 또는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의 내용을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2)는 메시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100)로부터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요구가 있으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가리지 않도록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의 위 또는 아래에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2)는 문자열의 길이가 길어진 경우, 내용 확인을 위한 스크롤 바를 에디터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12 displays various image information and contents of a message stored in the reception or memory unit 106 on the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 request to display the editor from the control unit 100 in the state that the message screen is displayed, above or below the area where the message is displayed so as not to cover the area where the message is displayed. Display the editor on. 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character string is long, the display unit 112 may display a scroll bar for checking the content together with the editor.

본 발명에서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에디터 디스플레이 요구를 위한 입력에 따라 메시지 디스플레이 화면과 함께 사용자가 메시지의 내용을 보면서 특정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디터를 팝업 창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에디터 디스플레이 요구를 위한 입력이 “*, “#”과 같은 특수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에디터 화면을 팝업시키고, 숫자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에디터 화면을 팝업 시킴과 동시에 입력된 숫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하기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에디터 디스플레이 요구를 위한 입력이 특수키 또는 숫자키의 입력과는 상관없이 에디터 화면을 팝업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실시 예에서는 특수키 또는 숫자키의 입력에 따라 에디터 화면을 팝업창으로 디스플레이 또는 에디터 화면에 입력된 숫자를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n input for an editor display request while a message is displayed, a popup window can display an editor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a specific character string while viewing the contents of the message. At this time, if special input key such as “*,“ # ”is input, the editor screen is popped up. If numeric key is input, the editor screen is popped up and the input number is displayed. Can be. In the following first embodiment, an embodiment in which an editor screen is displayed as a pop-up window regardless of an input of a special key or a numeric key is input. 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s an embodiment of displaying an editor screen as a pop-up window or displaying a number input to the editor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of a special key or a numeric key.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First, a process for interworking a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terminal menu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2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출력 요구가 있는지 검사한다. 204단계 검사 결과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출력 요구가 있으면, 제어부(100)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도 4의 a와 같이 해당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출력 요구는 메시지 수신 시 즉시 확인하기 위한 요구가 있거나 메모리부(106)에 이미 저장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요구가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In step 200, the controller 100 maintains a standby mode. In operation 204,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re is an output request for the received message. If there is an output request for the received message as a result of step 204,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06 and displays the message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A. In this case, the output request for the received message includes a case for prompt confirmation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or a case for confirming a message already stored in the memory unit 106.

한편, 204단계 검사 결과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출력 요구가 없으면, 제어부(100)는 200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If there is no output request for the received message as a result of step 204,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00 to maintain the standby mode.

이후, 206단계에서 208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0)는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입력하기 위한 에디터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는지 검사한다. 208단계 검사 결과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요구가 있으면, 제어부(100)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도 4의 (b)와 같이 에디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요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00)는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 또는 그와 관련된 문자열 입력을 위한 에디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문자열은 한글, 영자, 숫자 및 특수문자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팝업창으로 표시된 메뉴들 중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에디터를 도 4의 (b)와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ubsequently, in step 206 to step 208,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re is an editor display request for inputting a character string included in the message. If there is a request to display the editor in step 208,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10 and displays the editor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B. At this time, looking specifically at the request for displaying the editor, the control unit 100, if any key is input in the state in which the received message is displayed, the editor for inputting a string included in the message or a string associated with it on the screen Display. The string here contains all Korean, English, numeric and special characters. In addition, when a menu for displaying an editor is selected from among menus displayed as a pop-up window,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editor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한편, 도 4의 (c)와 같이 문자열 입력을 위한 에디터에 문자열이 입력된 상태로 210단계에서 212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요구가 있는지 검사한다. 212단계 검사 결과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요구가 있으면, 제어부(10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말기의 화면은 도 4의 (d)와 같다. 그러나 212단계 검사 결과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요구가 없으면, 제어부(100)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에디터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c) of FIG. 4,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from step 210 to step 212 in a state in which a string is input to an editor for inputting a string. Check for presence. If there is a request to output a menu list that can be linked to the string input to the editor as a result of step 212,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14 and displays a menu list that can be linked to the string input to the editor. At this time, the screen of the terminal displaying the menu list that can be linked to the character string input to the editor is as shown in (d) of FIG. However, if there is no request for outputting a menu list that can be linked to the character string input to the editor as a result of step 212,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10 and continues to display the editor.

이후, 214단계에서 216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특정 메뉴가 선택되었는 지 검사한다. 216단계 검사 결과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218단계로 진행하여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메뉴와 연동하도록 제어한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100 proceeds from step 214 to step 216 and checks whether a specific menu is selected. If a specific menu is selected as a result of step 216,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18 and controls the text string input in the editor to be linked with the menu selected by the user.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보면, 상기한 특정 메뉴 선택에 있어서, 메시지 본문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새로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창을 열어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자동 출력한 후 마지막 문자의 다음 위치에 커서가 대기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메시지 수신자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새로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확인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수신자의 번호 또는 이름으로 자동 입력이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화 걸기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 후, 통화키가 입력이 되면, 문자열에 해당하는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화를 걸도록 한다. 또한, 메모장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메모장을 열어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메모장에 자동 입력한 후, 마지막 문자의 다음 위치에 커서가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화번호부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전화번호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Specifically,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menu selection, when the message body menu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00 opens a window for creating a new message and automatically outputs a character string input to the editor and then next to the last character. Controls the cursor to wait for a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message receiver menu is selected,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 window for creating a new message. Then, when the confirmation key is input,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o automatically input the character string entered in the editor by the number or name of the receiver. In addition, when the dialing menu is selected,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 text string input to the editor on the screen, and when a call key is input, makes a call to the terminal of the counterpart user corresponding to the text string. In addition, when the memo pad menu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00 opens the memo pad and automatically inputs a string input in the editor into the memo pad, and controls the cursor to be positioned at the next position of the last character. In addition, when the phone book is selected,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o store the character string input to the editor in the phone book.

하지만, 216단계 검사 결과 특정 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한다.However, if the specific menu is not selected as a result of step 216,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14 and continuously displays a menu list that can be linked to the character string input to the editor.

한편, 218단계에서 220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해당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220단계 검사 결과 해당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이 있으 면, 제어부(100)는 해당 기능을 종료한다. 그러나 220단계 검사 결과 해당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이 없으면, 제어부(100)는 218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100 proceeds from step 218 to step 220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n input for terminat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If there is an input for end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as a result of step 220, the controller 100 ends the corresponding function. However, if there is no input for ending the function as a result of step 220,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18 and continues to perform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Next, a process for interworking a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terminal menu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서 나타낸 300~306단계는 도 2에서 설명한 200~208단계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306단계에서 308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숫자키가 입력되었는지 검사를 한다. 308단계 검사 결과 0~9에 해당하는 숫자키이면, 제어부(10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숫자키에 대응되는 숫자를 에디터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308단계 검사 결과 0~9에 해당하는 숫자키가 아니면, 제어부(100)는 322단계로 진행하여 문자열 입력을 위한 에디터를 디스플레이 한 후, 31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과정을 수행한다.Steps 300 to 306 shown in FIG. 3 perform the same operations as steps 200 to 208 described in FIG. Thereafter, the controller 100 proceeds from step 306 to step 308 to check whether a numeric key is input.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308 is a numeric key corresponding to 0 to 9,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10 and inputs and display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in an editor. However, if the check result of step 308 is not a numeric key corresponding to 0-9,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22 to display an editor for inputting a string, and then proceeds to step 312 to perform a corresponding process.

즉,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디스플레이 시 숫자키 또는 특수키 가 입력되면, 내용이 비어있는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하지만, 제 2 실시 예에서는 특수키가 입력되면 제 1 실시 예에서처럼 내용이 비어있는 에디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같지만, 숫자키가 입력이 되면,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숫자를 에디터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후, 312~320단계는 도 2의 212~220단계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hen a numeric key or a special key is input when the message is displayed, it is described as displaying an editor whose contents are empty.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special key is input, the same content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s displayed in the editor, but when the numeric key is input,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eric key is input to the editor. There is a difference. Thereafter, steps 312 to 320 perform the same operations as steps 212 to 220 of FIG. 2.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에서는 에디터에 사용자가 키 입력을 통해 문자열을 입력하였지만, 메시지 내용 중 특정 문자열을 에디터에 입력할 시 사용자의 키 입력 이외의 특정 문자를 복사 및 붙이기 위한 기능을 사용하여 해당 문자열을 에디터에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복사와 붙이기 기능은 사용자가 복사하기를 원하는 문장의 맨 앞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복사 시작 기능에 대응되는 키를 입력한다. 또한, 문장의 맨 끝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복사 끝 기능에 대응되는 키를 입력한다. 이후, 붙이기 기능에 대응되는 키가 입력되면, 임시로 복사된 내용을 에디터에 자동으로 입력하는 기능을 말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lthough a user inputs a character string through a key input in the editor, when a specific character string is input into the editor, specific characters other than the user's key input are copied and pasted. You can also enter the string into the editor using the function. In this case, the copy and paste function places the cursor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that the user wants to copy, and then inputs a key corresponding to the copy start function. Also, after placing the cursor at the end of the sentence, enter a key corresponding to the copy end function. After that, when a key corresponding to the paste function is input, the temporary copy content is automatically input into the editor.

한편,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에서는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들을 메시지 본문, 메시지 수신자, 전화 걸기, 메모장, 전화번호부로 구성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경우, 해당 URL로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menus that can be linked to the text input in the editor ar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a message body, a message receiver, a phone call, a memo pad, and a phone book are described. In the case of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the wireless Internet may be used by accessing the URL.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에서는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발신된 메시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In additio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d message is displayed and the text input in the editor is described as interlocking with the terminal menu,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sent messag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메시지 디스플레이 중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를 보면서 동시에 화면에 별도의 문자열 입력을 위한 에디터를 팝업창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메뉴와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수신한 메시지의 내용 중 특정 문자열을 저장 및 이용하여야 하는 경우 별도로 암기나 메모를 하지 않고 메시지 내용을 보면서 원하는 문자열을 입력한 후 이를 원하는 메뉴와 연동할 수 있으므로 인해 메시지의 내용을 암기하거나 별도로 메모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editor for inputting a separate string on the screen as a pop-up window while simultaneously viewing the message displayed during the message display on the terminal, and executes the string input in the editor in association with a specific menu selected by the user. . Therefore, when the user needs to save and use a specific string among the contents of the received message, the user can enter the desired string while watching the contents of the message without memorizing or memorizing it separately, and then interlocks it with the desired menu. It can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ake notes.

Claims (9)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the terminal for interlocking a string included in the message with the terminal menu, 메시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 입력을 위한 에디터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와,Checking that there is an editor display request for inputting a string included in the message while the mess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상기 에디터 디스플레이를 위한 요구가 있으면, 상기 에디터를 디스플레이 한 후, 사용자로부터 문자열을 입력받아 상기 에디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If there is a request for the editor display, after displaying the editor, receiving a string from a user and displaying the string in the editor;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there is a menu list display request that can be linked to the text string input to the editor;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으면,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과 연동 가능한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If there is a request for displaying a menu list that can be linked to the string input to the editor, displaying a menu list that can be linked to the string input to the editor; 상기 메뉴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상기 선택 메뉴 실행 시 입력 가능한 영역에 입력하여 상기 선택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If at least one menu of the menu list is selected, executing the selection menu by inputting a character string input to the editor into a region that can be input when the selection menu is executed; How to link a string with a terminal menu.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디터 디스플레이 요구는 숫자키들 또는 특수키들 중 하나의 키 입력을 통해 요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ditor display request may be requested through a key input of one of numeric keys or special key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디터 디스플레이를 위한 요구가 숫자키들 중 하나를 입력함으로 인한 요구이면, 상기 에디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에디터에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f the request for displaying the editor is a request by inputting one of the numeric keys, displaying the editor on a screen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eric key in the editor. A method for interworking with a terminal menu a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in a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리스트는 메시지 본문 메뉴, 메시지 수신자, 전화 걸기, 메모장, 전화번호부 메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Th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enu lis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message body menu, a message receiver, a caller, a memo pad, and a phone book menu. Wa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시지 본문 메뉴가 선택되면, 새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자동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executing the selection menu, when the message body menu is selected from the user, a character string input to the editor is automatically input to a screen for inputting a new message. Method for linking a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terminal menu in a termin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시지 수신자가 선택되면, 새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확인키가 입력되면 수신자 입력 화면에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자동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executing the menu, when the message receiver is selected from the user, a screen for inputting a new message is displayed, and when a confirmation key is input, the screen is inputted to the editor on the receiver input screen. A method for interworking a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terminal menu in a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automatically displays a string. 제 4항에 있어서,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화 걸기 메뉴가 선택되면, 화면에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자동으로 입력한 후,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문자열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executing the menu, when the dialing menu is selected from the user, a character string input in the editor is automatically input to a screen, and when a call key is input,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string. A method for interworking a string included in a message with a terminal menu in a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performs a call with a telephone number. 제 4항에 있어서,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장 메뉴가 선택되면, 메모를 위한 화면에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자동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The terminal of claim 4, wherein in executing the menu, when the notepad menu is selected from the user, a character string input to the editor is automatically input to a screen for a memo. How to link a string with a terminal menu. 제 4항에 있어서,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부 메뉴가 선택되면, 전화번호 편집 화면에 상기 에디터에 입력된 문자열을 자동으로 입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을 단말기 메뉴와 연동하기 위한 방법.The terminal of claim 4, wherein in the executing a menu, when the phone book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a message input by the terminal is automatically input and displayed on a phone number edit screen. Method for integrating a string included in the terminal menu.
KR1020060088495A 2006-09-13 2006-09-13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menu and characters in message in terminal KR1007547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495A KR100754731B1 (en) 2006-09-13 2006-09-13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menu and characters in message i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495A KR100754731B1 (en) 2006-09-13 2006-09-13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menu and characters in message i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731B1 true KR100754731B1 (en) 2007-09-03

Family

ID=3873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495A KR100754731B1 (en) 2006-09-13 2006-09-13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menu and characters in message i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73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2695B2 (en) 2006-10-26 2017-04-25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KR101732768B1 (en) * 2009-03-16 2017-05-04 애플 인크.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10664144B2 (en) 2011-05-31 2020-05-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manipulation
US11379113B2 (en) 2019-06-01 2022-07-05 Apple Inc. Techniques for selecting tex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69A (en) * 2004-08-31 2006-03-06 (주)엔리포 Business clique connec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69A (en) * 2004-08-31 2006-03-06 (주)엔리포 Business clique connec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20569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2695B2 (en) 2006-10-26 2017-04-25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KR101732768B1 (en) * 2009-03-16 2017-05-04 애플 인크.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9846533B2 (en) 2009-03-16 2017-12-19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9875013B2 (en) 2009-03-16 2018-01-23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10761716B2 (en) 2009-03-16 2020-09-01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10664144B2 (en) 2011-05-31 2020-05-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manipulation
US11256401B2 (en) 2011-05-31 2022-02-2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manipulation
US11379113B2 (en) 2019-06-01 2022-07-05 Apple Inc. Techniques for selecting tex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094067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EP1901534B1 (en) Method of managing a language information for a text input and method of inputting a text and a mobile terminal
CN101199217A (en) Terminal with messaging application
KR20080035108A (en) Method for inputting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983419A2 (en) Method for managing user content in communication terminal
US11108905B2 (en) Method of processing input information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37858B1 (en) Method for saving message contents in phone book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7418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MS therefor
JP2002189555A (en) Electronic equipment
KR100754731B1 (en)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menu and characters in message in terminal
CN196438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speed dial numb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62642B1 (en) Method for displaying sms message background picture in terminal including sms function and terminal thereof
US2005006911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ountry codes
JP2002027037A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for portable telephone
KR100454953B1 (en)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3983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KR20000060798A (en) Method for managing user data in digital portablr terminal equipment
US20020078156A1 (en) Display data transmi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JP4597392B2 (en) User dictionary regist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ith user dictionary registration function
KR100506282B1 (en) Telephone number editing method using the short message
KR101394278B1 (en) Method for executing communication mode in mobile terminal
KR20050055798A (en) Method for operating memopad during convers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79467B1 (en) Method for calling out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06348A (en) Method for saving received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61962A (en)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using receiver nam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